KR102416566B1 - 소금블록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소금블록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566B1
KR102416566B1 KR1020220037188A KR20220037188A KR102416566B1 KR 102416566 B1 KR102416566 B1 KR 102416566B1 KR 1020220037188 A KR1020220037188 A KR 1020220037188A KR 20220037188 A KR20220037188 A KR 20220037188A KR 102416566 B1 KR102416566 B1 KR 102416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alt block
salt
block support
mason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후
차길수
류치영
배석진
이천만
이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산업
Priority to KR102022007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0816A/ko
Priority to KR1020220079977A priority patent/KR20220100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소금블록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개시하며, 건축물의 내벽이나 침대 바닥에 조적 시공되는 다수의 소금블록을 지지 및 고정시켜주는 소금블록지지체로서, 다수개가 이격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가로지지대와, 상기 가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의 사이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로지지대와 같이 일정 면적의 조적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세로지지대, 및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단부측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근접 소금블록지지체와 연결되는 연결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적공간에 억지끼움으로 상기 소금블록이 지지 설치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소금블록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Salt block suppor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금으로 이루어진 소금블록을 건축물 내벽이나 침대 등에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내벽이나 침대 등에 소금블록지지체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한 소금블록 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일염 등의 소금은 염화나트륨(NaCl)을 주성분으로 하며, 짠맛이 나는 흰색의 결정체로서 인간의 생리작용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통상은 암염층에서 얻어지기도 하나, 대부분은 해수로부터 얻어진다.
소금의 종류에는 해수(海水)를 자연 증발시켜 얻어지는 천일염, 소금을 대나무 속에 넣고 구워낸 죽염, 천일염 을 가공한 생소금 등 그 종류도 다양하며, 각 종류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효과도 매우 다양하다.
또한, 소금은 음식물을 분해하고, 노폐물을 배설처리하는 기능을 비롯하여 인간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체내에 염분이 부족하면 피로, 권태,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소금은 원적외선 방사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원적외선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열작용을 하는 파의 일종으로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말초 모세 혈관을 확장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생체 조직의 세포에 보내지는 노폐물 등의 독소를 배설하고 영양소와 산소를 운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원적외선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피로회복, 신경통, 근육통을 완화시켜 주며 위장의 작용을 활발하게 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원적외선 방사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재질을 이용하여 생활용품에 적극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대표적인 것이 세라믹이나 황토를 이용한 침대나, 숯을 적용한 매트가 적용되고 있다.
침대는 수면을 취하기 위한 용도에서 더욱 나아가 수면 시 피로를 풀어주고 수면 건강을 증진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돌침대, 흙침대, 나무침대, 물침대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특성과 기능을 갖춘 형태의 침대가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돌침대는 방출되는 원적외선으로 인해 모세혈관 확장 및 혈액순환 등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매트리스와 달리 세균 문제나 먼지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흙침대는 혈액순환과 신진 대사를 촉진하고 몸속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해주며 허리나 관절이 불편한 사람들에게는 더욱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나무침대는 따로 매트리스를 쓰지 않아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수면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평상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물침대는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사계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 효과가 높은 소금을 블록 형태로 제작하여 침대에 적용하거나 전열보료 등에 사용하고 있다.
더 나아가 소금블록을 이용하여 건축물 실내 내벽을 시공하는 방법 등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고형화된 소금블록은 천연 소금을 500 ℃ 이상 1300 ℃ 미만에서 가열 압축시켜 이루어진 것으로, 소금을 가열 용융하여 용융된 소금물을 경화시켜 고형체로 제조되어 비교적 강도가 떨어져 잘부스러지는 단점이 있고, 가열 압착하는 방식 자체가 제조 공정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단순히 침대 상면 또는 건축물 내벽에 다수 소금블록을 연속적으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성하고 있는 관계로, 일반 벽돌과 같이 시공이 용이하지 않기에 원적외선 방사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공이 까다로워 많이 적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12108호(공개일 2013년 02월 01일)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21-0107286호(공개일 2021년 09월 01일)
본 발명의 목적은, 소금블록을 건축물 내벽이나 온돌, 침대 등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 일정 형태로 사출금형 제작된 소금블록지지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소금블록지지체를 이용하여 건축물 내벽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누구나 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금속재의 소금블록지지체에 부식방지코팅층이 형성되어 부식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과립화 물질의 처리에 의하여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경화처리 전에 비해 단단한 입자의 형태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소금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소금블록지지체는, 건축물의 내벽이나 침대 바닥에 조적 시공되는 다수의 소금블록을 지지 및 고정시켜주는 소금블록지지체로서, 다수개가 이격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가로지지대와, 상기 가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의 사이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로지지대와 같이 일정 면적의 조적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세로지지대, 및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단부측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근접 소금블록지지체와 연결되는 연결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적공간에 억지끼움으로 상기 소금블록이 지지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 및 연결지지대는 사출 금형으로 일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적공간의 내측 모서리측에는 상기 내벽에 볼트 체결되도록 볼트홀을 형성한 브라켓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지지대에 조립되도록 상기 세로지지대에는 선택적으로 연결지지대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금블록지지체가 연속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조적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가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소금블록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벽에 설치되는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의 일면으로 원적외선 방출 및 습기 제거를 위한 가열패드가 더 설치될 수 잇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에는 그 표면에 부식방지액이 도포되어 부식방지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부식방지액은 디메틸 실리콘 오일 또는 메틸페닐 실리콘 오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실리콘 오일에 불용성 계면활성제가 혼합되어 에멀전을 형성한 혼합물이 1 내지 1.2 중량부 일때, PEO-b-PS(poly(ethylene oxide)-polystyrene)를 1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또 따른 소금블록지지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사출금형으로 제작된 일체의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 및 연결지지대로 구성되는 소금블록지지체를 내벽에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에 엇갈리게 형성되는 조적공간에 소금블록을 억지끼움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지지대에 상기 소금블록지지체를 연속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소금블록의 고정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소금블록에는 가이드홈이 대응 형성되어 상기 소금블록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금블록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로, 소금블록지지체를 이용한 소금블록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공이 간편하고 비숙련공이라도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시켜주고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셋째로, 사출금형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소금블록지지체에 소금블록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로, 금속재의 소금블록지지체에 부식방지코팅층이 형성되어 부식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섯째로, 과립화 물질의 처리에 의하여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경화처리 전에 비해 상당히 더 단단한 입자의 형태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소금블록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블록지지체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블록지지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블록지지체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블록지지체의 연속 연결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연결부위의 일부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서 볼트홀의 브라켓을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적공간에 소금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라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블록지지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블록지지체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블록지지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블록지지체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블록지지체의 연속 연결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연결부위의 일부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서 볼트홀의 브라켓을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적공간에 소금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라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블록지지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소금블록지지체(100)는, 건축물의 내벽(10:도 8에 도시)이나 침대 바닥에 고정되도록 조적 시공되는 다수의 소금블록(1)을 지지해주는 것이다.
먼저, 소금은 해독작용 및 해열, 지혈 등의 효능이 있어 일정 크기로 고형화한 소금블록(1)을 매트리스로 침대에 사용하거나, 온돌, 찜질방과 같은 내벽에 조적시공하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는 주로 찜질방과 같은 건축물 내벽(10)에 시공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소금블록(1)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2 내지 3㎝ 두께로 고형화된 블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는, 적외선 방사 소금에 염화칼륨, 황산칼륨 및 황산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과립화 물질과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과립화 물질과 혼합되는 경우에 상기 원적외선 방사소금의 농도는 80 내지 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립화 물질의 처리에 의하여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경화처리 전에 비해 상당히 단단한 입자의 형태를 갖게 된다.
즉, 상기 과립화 물질들은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전단강도(break strength)를 증진시켜, 소금 가루와 같은 먼지의 생성을 방지하고, 선적이나 운반시에 파손을 방지시킴으로써 보다 자유로운 사용을 증진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천일염의 가열 과정을 통하여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소금을 말한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맥반석 및 목문옥을 함유하는 내열성 용기에 천일염을 투입하고, 상기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를, 외벽이 3겹 이상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화벽돌의 최내측 2겹에 상기 내열성 용기와 동일 성분으로 내화물이 형성되어 있는 가마에 적재하고,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700~1000℃로 상승시킨 후, 6 내지 8시간 동안 상기 내열성 용기를 가열 및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켜 얻어진다.
상기와 같이 공정을 통해 얻어진 소금블록(1)을 조적 시공하기 위한 소금블록지지체(1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할 때, 크게 사출금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가로지지대(110)와 세로지지대(120) 및 연결지지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출금형은 바람직하게 3매판 사출금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금블록지지체(100)는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복합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소재일 경우에는 PC(polycarbonate), PPE(polyphenylene ether), Nylon, PPS(polyphenylene sulfide), PPA(polyphthalamid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PCTG(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및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 소재는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불투명할 수도 있다.
복합 소재일 경우에는 탄소 섬유(carbon fiber), 유리 섬유(glass fiber), 마이카(mica),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및 스멕타이트(smecti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금블록지지체(100)를 구성하는 다수개가 이격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가로지지대(110)는 다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일정 길이를 가지며 다수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하부부터 제1가로지지대(111)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11)로부터 이격되어 차례로 제2가로지지대(112), 제3가로지지대(113), 제4가로지지대(114), 제5가로지지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로지지대(111), 제3가로지지대(113), 제4가로지지대(114) 및 제5가로지지대(115)는 사출금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며, 그 길이는 같을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일예에서는 5개의 가로지지대가 형성되나, 이 보다 적을 수도 많을 수도 있기에 가로지지대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사출금형 제작이기에 가로지지대(110)가 7개 이상 넘어가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세로지지대(120)는 가로지지대(110)와 가로지지대(110)의 사이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가로지지대(110)와 같이 일정 면적의 조적공간(140)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제1가로지지대(111)와 제2가로지지대(112)의 사이에서 양단에 제1세로지지대(121)가 형성되고, 양단의 제1세로지지대(121)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두 개의 제1세로지지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가로지지대(111)와 제2가로지지대(112)의 사이에 제1세로지지대(121)로 하여 직사각형태의 조적공간(140)이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1조적공간(140)이라 칭하며, 3개의 제1조적공간(140)이 마련되며, 제1조적공간(140)에 소금블록(1)이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제2가로지지대(112)와 제3가로지지대(113)의 사이에는 양단에 제1연결지지대(131)가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연결지지대(131)의 사이에 제2세로지지대(122)가 등간격으로 3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3개의 제2세로지지대(122)는 제1세로지지대(121)의 사이에 엇갈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조적공간(140)과 엇갈리게 제2조적공간(140)이 배치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3가로지지대(113)와 제4가로지지대(114)의 사이에서 양단에 제3세로지지대(123)가 형성되고, 양단의 제3세로지지대(123)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두 개의 제3세로지지대(123)가 형성되어, 제3가로지지대(113)와 제4가로지지대(114)의 사이에 제3세로지지대(123)로 하여 직사각형태의 제3조적공간(1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조적공간(140)은 제1조적공간(140)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가로지지대(114)와 제5가로지지대(115)의 사이에는 양단에 제2연결지지대(132)가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연결지지대(132)의 사이에 제4세로지지대(124)가 등간격으로 3개 형성되어 제2조적공간(140)과 동일 위치의 제4조적공간(14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1연결지지대(131)와 제2연결지지대(132)는 또 하나의 소금블록지지체(100)을 연속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 또는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가로지지대(110)와 세로지지대(120)와 달리 바(bar) 형태일 수 있으며, 평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태일 수 있으며, 더욱이 가로지지대(110)의 후방 모서리측에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일체의 사출금형에서 가로지지대(110)와 세로지지대(120)의 형성 이후에, 별도로 용접 등을 통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결지지대(131) 및 제2연결지지대(132)와의 체결을 위하여 양단의 제1세로지지대(121)와 제3세로지지대(123)에는 상기 제1연결지지대(131)와 제2연결지지대(132)를 포함할 수 있도록 연결지지대홈(125)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금블록지지체(100)가 연속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대홈(125)은 제1세로지지대(121)와 제3세로지지대(123)에서 제1조적공간(140)과 제3조적공간(140)을 향하는 내측면이 아니고,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연결지지대(131) 및 제2연결지지대(132)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이면 가능하다.
따라서 소금블록지지체(100)간의 연결은, 연결되는 소금블록지지체(100)를 반대로 180°회전시켜서 제1세로지지대(121)의 연결지지대홈(125)에 제2연결지지대(132)가 결합되고, 이와 같이 제3세로지지대(123)의 연결지지대홈(125)에 제1연결지지대(131)가 결합되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각 조적공간(140) 즉, 제1조적공간(140), 제2조적공간(140), 제3조적공간(140) 및 제4조적공간(140)의 내측 모서리측에는 내벽(10)에 볼트(도면번호 미부여)가 체결되도록 볼트홀(152)을 형성한 브라켓(150)이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150) 역시 사출금형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로 용접 등으로 추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브라켓(150)은 도 6에서와 같이, 각 조적공간(140)의 내측 모서리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두 개의 브라켓(150)은 조적공간(140)의 내측에서 대각선 방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소금블록지지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사출금형으로 제작된 일체의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 및 연결지지대로 구성되는 소금블록지지체를 내벽에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S100) 및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에 엇갈리게 형성되는 조적공간에 소금블록을 억지끼움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대(130)에 소금블록지지체(100)를 연속으로 연결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단계(S100)에서는, 사출금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 소금블록지지체(100)를 설치가 요구되는 내벽(10)에 설치하게 된다.
내벽(10)에 소금블록지지체(100)를 밀착시킨 후, 브라켓(150)의 볼트홀(152)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내벽(1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소금블록지지체(100)를 내벽(10)에 연속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소금블록지지체(100)가 내벽(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되는 소금블록지지체(100)를 반대로 180°회전시켜서 제1세로지지대(121)의 연결지지대홈(125)에 제2연결지지대(132)가 결합되고, 이와 같이 제3세로지지대(123)의 연결지지대홈(125)에 제1연결지지대(131)가 결합하여 연결하게 된다. 단계(S110)
단계(S120)에서는 내벽(10)에 소금블록지지체(100)를 설치하고, 미리 조적공간(140)에 적합한 크기로 가공된 소금블록(1)을 제1조적공간(140), 제2조적공간(140), 제3조적공간(140) 및 제4조적공간(140)에 억지끼움으로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단계(S110)와 단계(S120)의 시공 순서는 바꾸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소금블록지지체를 이용한 소금블록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공이 간편하고 비숙련공이라도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시켜주고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소금블록지지체에 소금블록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금속재의 소금블록지지체에 부식방지코팅층이 형성되어 부식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과립화 물질의 처리에 의하여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경화처리 전에 비해 상당히 더 단단한 입자의 형태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소금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적공간(140)을 형성하는 가로지지대(110)와 세로지지대(120)에는 가이드돌기(160)가 돌출 형성되고, 소금블록(1)에는 가이드돌기(160)에 대응되도록 가이드홈(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적공간(140), 제2조적공간(140), 제3조적공간(140) 및 제4조적공간(140)의 내측변에 즉, 가로지지대(110)와 세로지지대(120)에는 적정거리 이격되어 가이드돌기(160)가 일정 크기로 형성된다.
가이드돌기(160)는 직사각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사출금형 제작시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돌기(160)에 대응되도록 소금블록(1)에도 가이드홈(1a)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a) 역시 소금블록(1)의 고형화 시 가이드돌기(160)의 크기나 위치에 맞추어서 형성 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적공간(140)에 가이드홈(1a)이, 소금블록(1)에 가이드돌기(16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소금블록(1)을 조적공간(140)을 향하여 억지끼움으로 위치시키게 되며, 이때, 소금블록(1)의 가이드홈(1a)이 조적공간(140)의 가이드돌기(160)에 맞춰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소금블록지지체(100)가 금속재로 제작 시 그 표면에 부식방지액이 도포되어 부식방지코팅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식방지액은 오일의 성질을 갖는 디메틸 실리콘(예를 들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TSF-400, TSF-405, TSF-4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메틸페닐 실리콘(예를 들어, TSF-431, TSF-433, TSF-4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실리콘 오일에 PEO-b-PS(poly(ethylene oxide)-polystyrene)를 소정의 중량부로 혼합한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부식방지액의 중량비는 실리콘 오일이 1 내지 1.5 중량부 일 때 PEO-b-PS 는 1 내지 1.2 중량부의 비율을 갖도록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오일 성질을 갖는 디메틸 실리콘 또는 메틸페닐 실리콘은 물에 불용성(不溶性)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용매를 물로하는 수용액(水溶液)을 형성하기 어려운 점을 극복할 수 있게 해당 실리콘 오일에 불용 성 계면활성제를 혼합 후, 이를 O/W 에멀전을 형성함으로써, 실리콘 오일의 수용액을 형성이 만족될 수 있도록 하며, 부식방지액의 도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나아가, 부식방지액은 스프레이건으로 도포 시에 그 도포 능력의 향상은 물론, 부식방지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메틸피롤리돈이나 메틸이소부틸 케톤으로 이루어진 코팅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술한 실리콘 오일 15 내지 20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소금블록지지체(100) 표면의 도포(코팅)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내벽(10)에 설치되는 소금블록지지체(100)의 일면으로 원적외선 방출 및 습기 제거를 위한 가열패드(2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패드(200)는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가로지지대(110)와 세로지지대(120)로 이루어지는 소금블록지지체(100)의 면적과 같거나 작을 수 있으며, 내부에 열선이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드일 수 있다.
가열패드(200)는 공지의 다양한 가열수단이 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선이 사용되는 것이 사용의 편리성 및 제어의 용이성 등의 측면에 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가열패드(200)는 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소금블록(1)의 일면에 위치하여 전기적 연결에 의한 열선 작동으로 직접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소금블록지지체(100)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어 내벽(10)에 소금블록지지체(100)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열패드(200)에는 소금블록지지체(100)에 형성된 브라켓(150)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내벽(10)에 볼트 체결에 간섭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가열패드(200)를 통하여 소금블록(1)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온도로의 가열 및 이의 제어가 필요하므로 이를 위하여 온도감지센서(210)가 상기 소금블록 또는 가열패드(200)상에 바람직하게는 접촉하여 설치된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온도감지센서(210)가 여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열패드(200)는 제어부(220)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단순히 사용자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될 수도 있고, 온도감지센서(210)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를 참고하여 수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목표치 입력에 따라 이에 대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또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와 저장 장치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0)는 온도감지센서(210)를 통해 획득된 측정값과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기준값은 평균적인 온도값(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온도값)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가열패드(200)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소금블록 1a : 가이드홈
10 : 내벽
100 : 소금블록지지체 110 : 가로지지대
111 : 제1가로지지대 112 : 제2가로지지대
113 : 제3가로지지대 114 : 제4가로지지대
115 : 제5가로지지대 120 : 세로지지대
121 : 제1세로지지대 122 : 제2세로지지대
123 : 제3세로지지대 124 : 제4세로지지대
125 : 연결지지대홈 130 : 연결지지대
131 : 제1연결지지대 132 : 제2연결지지대
140 : 조적공간 141 : 제1조적공간
142 : 제2조적공간 143 : 제3조적공간
144 : 제4조적공간 150 : 브라켓
152 : 볼트홀 160 : 가이드돌기
200 : 가열패드 210 : 온도감지센서
220 : 제어부

Claims (11)

  1. 건축물의 내벽이나 침대 바닥에 조적 시공되는 다수의 소금블록을 지지 및 고정시켜주는 소금블록지지체로서,
    다수개가 이격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가로지지대와,
    상기 가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의 사이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로지지대와 같이 일정 면적의 조적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세로지지대, 및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단부측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근접 소금블록지지체와 연결되는 연결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적공간에 억지끼움으로 상기 소금블록이 지지 설치되고,
    상기 조적공간의 내측 모서리측에는 상기 내벽에 볼트 체결되도록 볼트홀을 형성한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은 각각의 상기 조적공간의 내측 모서리에 두 개씩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조적공간에서 상기 두 개의 브라켓은 대각선 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지지대는 평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연결지지대에 조립되도록 상기 세로지지대에는 선택적으로 연결지지대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금블록지지체가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연결지지대홈은 상기 세로지지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지지대의 일부가 상기 연결지지대홈 내에 삽입되고,
    상기 조적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가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소금블록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직사각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소금블록의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조적공간의 상기 가이드돌기에 맞춰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소금블록은 적외선 방사 소금에 염화칼륨, 황산칼륨 및 황산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과립화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적외선 방사 소금의 농도는 80 내지 99 중량%이고,
    상기 내벽에 설치되는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의 일면으로 원적외선 방출 및 습기 제거를 위한 가열패드가 더 설치되고,
    상기 가열패드의 면적은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의 면적과 동일하고,
    상기 가열패드는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어 상기 내벽에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와 함께 설치되고,
    상기 가열패드에는, 상기 볼트 체결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의 상기 브라켓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열패드에는 상기 가열패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소금블록지지체는, 상기 가열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획득된 측정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가열패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블록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 및 상기 연결지지대는 사출 금형으로 제작되는, 소금블록지지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블록지지체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소금블록지지체는 PC(polycarbonate), PPE(polyphenylene ether), Nylon, PPS(polyphenylene sulfide), PPA(polyphthalamid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PCTG(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및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소금블록지지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블록지지체는 복합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소금블록지지체는 탄소 섬유(carbon fiber), 유리 섬유(glass fiber), 마이카(mica),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및 스멕타이트(smectite) 중 적 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소금블록지지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블록지지체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인, 소금블록지지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블록은 2 내지 3cm 두께로 고형화된 블록 형태를 갖는 것인, 소금블록지지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에는 그 표면에 부식방지액이 도포되어 부식방지코팅층을 포함하는, 소금블록지지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액은,
    디메틸 실리콘 오일 또는 메틸페닐 실리콘 오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실리콘 오일에 불용성 계면활성제가 혼합되어 에멀전을 형성한 혼합물이 1 내지 1.2 중량부 일때, PEO-b-PS(poly(ethylene oxide)-polystyrene)를 1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소금블록지지체.
  9. 건축물의 내벽이나 침대 바닥에 조적 시공되는 다수의 소금블록을 지지 및 고정시켜주는 소금블록지지체로서,
    다수개가 이격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가로지지대와,
    상기 가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의 사이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로지지대와 같이 일정 면적의 조적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세로지지대, 및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단부측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근접 소금블록지지체와 연결되는 연결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적공간에 억지끼움으로 상기 소금블록이 지지 설치되고,
    상기 조적공간의 내측 모서리측에는 상기 내벽에 볼트 체결되도록 볼트홀을 형성한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은 각각의 상기 조적공간의 내측 모서리에 두 개씩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조적공간에서 상기 두 개의 브라켓은 대각선 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지지대에 조립되도록 상기 세로지지대에는 선택적으로 연결지지대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금블록지지체가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연결지지대홈은 상기 세로지지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지지대의 일부가 상기 연결지지대홈 내에 삽입되고,
    상기 조적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가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소금블록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직사각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소금블록의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조적공간의 상기 가이드돌기에 맞춰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소금블록은 적외선 방사 소금에 염화칼륨, 황산칼륨 및 황산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과립화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적외선 방사 소금의 농도는 80 내지 99 중량%이고,
    상기 내벽에 설치되는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의 일면으로 원적외선 방출 및 습기 제거를 위한 가열패드가 더 설치되고,
    상기 가열패드의 면적은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의 면적과 동일하고,
    상기 가열패드는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어 상기 내벽에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와 함께 설치되고,
    상기 가열패드에는, 상기 볼트 체결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의 상기 브라켓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열패드에는 상기 가열패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소금블록지지체는, 상기 가열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획득된 측정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가열패드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소금블록지지체는 복합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소금블록지지체는 탄소 섬유(carbon fiber), 유리 섬유(glass fiber), 마이카(mica),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및 스멕타이트(smectite) 중 적 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블록지지체.
  10. 건축물의 내벽이나 침대 바닥에 조적 시공되는 다수의 소금블록을 지지 및 고정시켜주는 소금블록지지체로서,
    다수개가 이격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가로지지대와,
    상기 가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의 사이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로지지대와 같이 일정 면적의 조적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세로지지대, 및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단부측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근접 소금블록지지체와 연결되는 연결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적공간에 억지끼움으로 상기 소금블록이 지지 설치되고,
    상기 조적공간의 내측 모서리측에는 상기 내벽에 볼트 체결되도록 볼트홀을 형성한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은 각각의 상기 조적공간의 내측 모서리에 두 개씩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조적공간에서 상기 두 개의 브라켓은 대각선 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지지대에 조립되도록 상기 세로지지대에는 선택적으로 연결지지대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금블록지지체가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연결지지대홈은 상기 세로지지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지지대의 일부가 상기 연결지지대홈 내에 삽입되고,
    상기 조적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가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소금블록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직사각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소금블록의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조적공간의 상기 가이드돌기에 맞춰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소금블록은 적외선 방사 소금에 염화칼륨, 황산칼륨 및 황산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과립화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적외선 방사 소금의 농도는 80 내지 99 중량%이고,
    상기 내벽에 설치되는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의 일면으로 원적외선 방출 및 습기 제거를 위한 가열패드가 더 설치되고,
    상기 가열패드의 면적은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의 면적과 동일하고,
    상기 가열패드는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어 상기 내벽에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와 함께 설치되고,
    상기 가열패드에는, 상기 볼트 체결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의 상기 브라켓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열패드에는 상기 가열패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소금블록지지체는, 상기 가열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획득된 측정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가열패드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소금블록지지체에는 그 표면에 부식방지액이 도포되어 부식방지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블록지지체.
  11. 삭제
KR1020220037188A 2022-03-23 2022-03-25 소금블록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16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980A KR20220100816A (ko) 2022-03-23 2022-06-29 소금블록지지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20079977A KR20220100815A (ko) 2022-03-23 2022-06-29 소금블록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118 2022-03-23
KR20220036118 2022-03-23
KR1020220036387 2022-03-24
KR20220036387 2022-03-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980A Division KR20220100816A (ko) 2022-03-23 2022-06-29 소금블록지지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20079977A Division KR20220100815A (ko) 2022-03-23 2022-06-29 소금블록지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566B1 true KR102416566B1 (ko) 2022-07-05

Family

ID=8240208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188A KR102416566B1 (ko) 2022-03-23 2022-03-25 소금블록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20079980A KR20220100816A (ko) 2022-03-23 2022-06-29 소금블록지지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20079977A KR20220100815A (ko) 2022-03-23 2022-06-29 소금블록지지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980A KR20220100816A (ko) 2022-03-23 2022-06-29 소금블록지지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20079977A KR20220100815A (ko) 2022-03-23 2022-06-29 소금블록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165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516Y1 (ko) * 2003-07-22 2003-11-05 이중엽 소금 사우나용 챔버의 벽체 구조
KR20130012108A (ko) 2012-06-28 2013-02-01 심현진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소금고형체를 이용한 전열보료 및 이를 적용한 소금온돌 침대
KR101959889B1 (ko) * 2018-06-08 2019-03-19 (주) 보성스톤 장식재 고정패널 및 이를 이용한 장식재 시공방법
KR20210107286A (ko) 2020-02-24 2021-09-01 천인순 소금블록을 적용한 온돌침대
KR102344695B1 (ko) * 2021-01-11 2021-12-29 강미석 부식방지 기능이 향상된 덕트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516Y1 (ko) * 2003-07-22 2003-11-05 이중엽 소금 사우나용 챔버의 벽체 구조
KR20130012108A (ko) 2012-06-28 2013-02-01 심현진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소금고형체를 이용한 전열보료 및 이를 적용한 소금온돌 침대
KR101959889B1 (ko) * 2018-06-08 2019-03-19 (주) 보성스톤 장식재 고정패널 및 이를 이용한 장식재 시공방법
KR20210107286A (ko) 2020-02-24 2021-09-01 천인순 소금블록을 적용한 온돌침대
KR102344695B1 (ko) * 2021-01-11 2021-12-29 강미석 부식방지 기능이 향상된 덕트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815A (ko) 2022-07-18
KR20220100816A (ko) 202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566B1 (ko) 소금블록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65925Y1 (ko) 황토볼 온열 매트
JP2004321811A (ja) マットレス
KR100242564B1 (ko) 황토를 이용한 침대의 설치구조
KR100310975B1 (ko)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0217702B1 (ko) 황토보료구조장치
KR200466154Y1 (ko) 편백나무 침대
KR101196541B1 (ko)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200418160Y1 (ko) 공기정화 및 습도조절 기능을 갖는 침대 매트리스
KR200233341Y1 (ko) 한증막용 방열장치
KR100356325B1 (ko) 숯을 이용한 온돌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패널
KR100219815B1 (ko)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침대용 온수세라믹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온수세라믹매트
KR100322480B1 (ko) 건물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18175Y1 (ko) 황토침대용 매트
KR200252785Y1 (ko) 조립식 황토침대
KR200322146Y1 (ko) 매트리스
KR200325527Y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판넬과 그 구조물
KR100656548B1 (ko) 원적외선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
KR200168480Y1 (ko) 황토를 이용한 침대구조
KR200317947Y1 (ko) 토담집용 황토 벽체
KR100799337B1 (ko) 유색 석영을 이용한 기능성 모르타르
KR100528650B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판넬과 그 구조물
KR200337806Y1 (ko) 천일염 숯 패널
KR0117789Y1 (ko) 장판
WO2006118336A1 (ja) 健康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