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947Y1 - 토담집용 황토 벽체 - Google Patents

토담집용 황토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947Y1
KR200317947Y1 KR20-2003-0008443U KR20030008443U KR200317947Y1 KR 200317947 Y1 KR200317947 Y1 KR 200317947Y1 KR 20030008443 U KR20030008443 U KR 20030008443U KR 200317947 Y1 KR200317947 Y1 KR 200317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ocher
soil
styrofoam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구
Original Assignee
권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구 filed Critical 권순구
Priority to KR20-2003-0008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9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9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oth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황토흙을 주재료로 한 토담집을 구축함에 있어, 토담집의 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황토흙을 주재료로 한 토담벽의 구축공법으로는, 황토흙을 물과 짚등으로 반죽하여 사각 흙벽돌로 찍어 성형한 후 이를 벽재료로 사용하는 것과, 벽에 대나무등과 같은 지지체를 가로 세로로 엮은 후 그 위에 물반죽한 황토흙을 덧붙여 벽체를 구성한 후 그 외측에 회반죽을 덧입혀 토담벽을 구성 하였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방법은 건조되는 과정중 벽에 금이 가거나 갈라지는 경우를 쉽게 경험하게 되며, 또한 지지력이나 보강력에 있어서도 튼튼하지 않아 안전성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많이 있었다. 또한 벽체 내측에 설치되는 수도파이프는 쉽게 겨울철에 동파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그 구성은 벽체 내측 한가운데에 스치로폼을 위치시키고 상기 스치로폼 양측면으로 각각 각목, 황토벽돌, 철망, 황토흙등을 차례대로 덧입히도록 한 것인바,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벽체는 건조되는 과정에 있어서 금이가거나 갈라지는 경우가 방지되는 것이며, 또한 단열 및 보온, 방음효과가 우수하며, 지지력과 보강력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치로폼 내측에 위치하는 수도파이프는 그 외주면에 열선을 나선형으로 감거나 직선형으로 부착토록 하여 동파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되, 자동전원조절장치에 의하여 열선에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토록 함으로서, 매우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토담집용 황토 벽체{a mud wall}
본 고안은 황토흙을 주재료로 한 토담집을 구축함에 있어, 토담집의 벽체에 관한 것이다.
황토흙은 야산이나 농촌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옛부터 토담집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황토흙을 주재료로 사용한 토담집은 보온성 및 방음성이 뛰어나 겨울에는 따뜻하며 여름에는 시원한 생활공간을 제공하여 주게 된다.
종래에 있어 황토흙을 주재료로 한 토담벽의 구축공법으로는, 황토흙을 물과 짚등으로 반죽하여 사각 흙벽돌로 찍어 성형한 후 이를 벽재료로 사용하는 것과, 벽에 대나무등과 같은 지지체를 가로 세로로 엮은 후 그 위에 물반죽한 황토흙을 덧붙여 벽체를 구성한 후 그 외측에 회반죽을 덧입혀 토담벽을 구성 하였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황토흙을 사용한 벽체의 구성 방법은 일반 시멘트나 벽돌을 사용하여 짓는 것보다 결코 용이하지 않았으며, 벽체를 완성한 후에도 건조되는 과정중 벽에 금이 가거나 갈라지는 경우를 쉽게 경험하게 되며, 또한 지지력이나 보강력에 있어서도 튼튼하지 않아 안전성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많이 있었다.
특히 황토용 벽체중에 욕조용 황토 벽체는 그 내측에 수도파이프가 위치하게 되는바, 이경우 수도파이프는 겨울철에 동파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그 구성은 벽체 내측 한가운데에 두께가 약 10㎝ 정도인 스치로폼을 형성하고, 상기 스치로폼 양측면으로 각각 각목, 황토벽돌, 철망, 황토흙등을 차례대로 덧입히도록 하되, 황토벽돌의 형상을 독특하게 하여 조립식으로 구축이 아주 용이하게 하였으며, 또한 스치로폼 내측에 위치하는 수도파이프는 그 외주면에 열선을 부착토록 하여 동파를 방지토록 하되, 자동전원조절장치에 의하여 열선에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토록 함으로서, 매우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벽체는 여러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바,
첫째 목적은 황토흙을 주재료로 하여 벽체를 구성함으로서, 단열에 의한 보온 및 방음효과가 뛰어난 효과를 갖도록 하였으며,
둘째 목적은 황토 벽체 내측에 위치한 수도파이프가 열선에 의하여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세째 목적은 황토벽체가 건조되는 과정에 있어서 금이가거나 갈라지는 경우를 방지토록 하였으며,
네째 목적은 황토벽체의 지지력과 보강력이 우수하도록 하였으며,
다섯째 목적은 황토벽돌에 의한 조립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벽체를 구축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여섯째 목적은 황토흙에서 발산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신체의 기능이 활성화되는 건강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구성품인 황토벽돌의 사시도
내측 중앙에 두께 약 10㎝ 정도의 스치로폼(1)을 위치시키며, 상기 스치로폼(1) 양측면에는 두께 약 3㎝ 정도의 각목(2)을 일정간격으로 상하로 부착하되, 각목(2) 사이 사이에는 두께 약 20㎝ 정도로 성형된 황토벽돌(3)을 적층시키고, 그 양측면에는 철망(4)을 부착하며, 상기 철망(4) 양측면으로는 다시한번 일정두께로 반죽된 황토흙(5)을 덧입히도록 하였다.
상기에 있어 스치로폼(1) 내측에는 수도파이프(6)가 끼워지되, 상기 수도파이프(6)의 외주면에는 열선(7)이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황토 벽체 중앙에 삽치되는 스치로폼(1)은 그 두께가 약 10㎝정도가 적당하며, 그 양측에는 두께가 약 3㎝ 정도인 각목(2)을 부착토록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각목(2)은 상하와 좌우 사이의 간격이 약 20㎝ 정도가 되도록 하며, 각목(2) 사이에는 황토벽돌(3)이 적층되도록 하였다. 상기 황토벽돌은 그 크기가가로, 세로, 높이가 약 20㎝정도 되므로, 양측으로 합치면 약 20㎝ 정도의 폭을 가지게 되어 확실한 보온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황토벽돌(3)은 4귀퉁이에 끼움턱(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턱(3')에 의하여 각목(2)에 손쉽게 걸쳐질수가 있는 것이므로 조립이 용이하여 구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 공정으로는 철망(4)을 덧붙이게 되는 바, 상기에 있어 철망(4)의 구멍 넓이는 약 1㎠ 가 적당하며, 철망을 구성하는 철사의 두께는 약 1㎜가 적당하다.
상기 철망은 다음 공정으로 덧입혀지는 황토흙이 벽체에 잘 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황토흙이 건조된 후 갈라지거나 벽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 마지막 공정으로 반죽된 황토흙(5)을 약 2㎝내외의 두께로 바르는 공정을 행하게 되는 바, 상기 마지막으로 발라지는 황토흙(5)은 철망에 덧입혀짐과 동시에 철망 내측에 발라진 황토벽돌(3)과도 일체를 이루게 되어 황토 벽체의 마감질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스치로폼 양측에 각목, 황토벽돌, 철망, 황토흙을 순서대로 덧입혀 구축한 황토벽체에 관한 것이다.
한편 상기 황토 벽체가 욕조용 벽체로 사용될 경우에는 그 내측에 수도파이프(6)가 지나가게 된다. 상기 수도파이프의 경우 냉수용 파이프와 온수용 파이프가 지나가게 되는바, 냉수용 파이프의 경우 겨울철에 동파할 염려가 많은 것이다. 원래 본 고안처럼 황토를 이용하여 두껍게 벽체를 구성하면 보온성이 우수하여 냉수용 파이프가 동파될 염려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강원도의 깊숙한 산골 같은 경우에는 한겨울의 추위가 워낙 매섭기 때문에 동파될 우려를 전혀 배재할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는 냉수용 파이프 외주면에 열선(7)을 부착하여 파이프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이경우 열선은 파이프(6)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겨지거나 직선형으로 배열되어 보온재등으로 감싸여져 설치하게 된다. 또한 열선에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도, 외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고,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자동으로 전원을 연결시켜주는 자동전원조절장치에 의하여 조정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황토흙을 주재료로 한 토담집을 구축함에 있어, 벽을 구성하는 황토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황토흙을 주재료로 한 토담벽의 구축공법으로는, 황토흙을 물과 짚등으로 반죽하여 사각 흙벽돌로 찍어 성형한 후 이를 벽재료로 사용하는 것과, 벽에 대나무등과 같은 지지체를 가로 세로로 엮은 후 그 위에 물반죽한 황토흙을 덧붙여 벽체를 구성한 후 그 외측에 회반죽을 덧입혀 토담벽을 구성 하였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방법은 건조되는 과정중 벽에 금이 가거나 갈라지는 경우를 쉽게 경험하게 되며, 또한 지지력이나 보강력에 있어서도 튼튼하지 않아 안전성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많이 있었다. 또한 벽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수도파이프가 한파에 의하여 동파될 염려도 많았다.
그러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벽체의 폭을 두껍게 함으로서 단열 보온 효과가 뛰어나게 하였으며, 또한 황토벽돌을 규격화하되 4귀퉁이에 끼움턱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각목에 쉽게 적층할 수가 있어 구축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황토 벽체 내측에 냉수용 파이프 가 통과하는 경우, 파이프의 외주면에 열선을 부착하여 파이프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으며, 특히 자동전원조절장치에 의하여 열선에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토록 함으로서 매우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내측 중앙에 두께 약 10㎝ 정도의 스치로폼(1)을 위치시키고, 상기 스치로폼(1) 양측면에는 두께 약 3㎝ 정도의 각목(2)을 일정간격으로 상하 좌우로 부착하되, 각목(2) 사이 사이에는 두께 약 20㎝ 정도로 성형된 황토벽돌(3)을 적층시키고, 그 양측면에는 철망(4)을 부착하며, 상기 철망(4) 양측면으로는 다시한번 일정두께로 반죽된 황토흙(5)을 덧입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황토벽돌(3)은 각목(2)과 각목(2) 사이에 걸쳐질수 있도록 4귀퉁이에 끼움턱(3')을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벽체.
  3. 제1항에 있어서, 황토벽체 내측에 위치하는 수도파이프(6)는 그 외주면에 열선(7)을 부착시키되,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은 자동전원조절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벽체.
KR20-2003-0008443U 2003-03-21 2003-03-21 토담집용 황토 벽체 KR200317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443U KR200317947Y1 (ko) 2003-03-21 2003-03-21 토담집용 황토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443U KR200317947Y1 (ko) 2003-03-21 2003-03-21 토담집용 황토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947Y1 true KR200317947Y1 (ko) 2003-06-27

Family

ID=4940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443U KR200317947Y1 (ko) 2003-03-21 2003-03-21 토담집용 황토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9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806B1 (ko) * 2012-05-29 2015-03-10 이영택 인텔리전트 철근 콘크리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806B1 (ko) * 2012-05-29 2015-03-10 이영택 인텔리전트 철근 콘크리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186B1 (ko) 한옥용 벽체
KR100715253B1 (ko) 중공형 경량 블록
KR100361582B1 (ko) 방수단열용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JP2008196179A (ja) 仮設材を使用しない無垢の木の化粧打ち込み型枠
KR200317947Y1 (ko) 토담집용 황토 벽체
KR101209183B1 (ko) 왕겨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황토주택 건축공법
CA2659984C (en) Fastener element and system for curing concrete
KR100702668B1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110251A (ko) 스트로베일 하우스용 벽체 블록 및 상기 벽체 블록을 이용한 스트로베일 하우스 건축공법
CN209538513U (zh) 一种采用聚苯乙烯保温隔热泡沫板的绿色节能混合墙体结构
KR200207364Y1 (ko) 황토 벽체용 판넬
KR200415512Y1 (ko) 구들용 조립식 황토패널
KR101010964B1 (ko) 조립식 온돌구조 및 난방용 조립식 패널
KR200190750Y1 (ko) 옥과 숯을 이용한 온돌용 패널
KR100677819B1 (ko) 목조주택의 벽체구조
RU219052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ехслойной стеновой панели
KR20100018923A (ko) 건축용 조립식 보온 벽돌 세트의 형성방법
KR200152280Y1 (ko) 건물의 벽체구조
JPH0115776Y2 (ko)
KR200362128Y1 (ko) 조립식 난방용 패널
KR20080004661U (ko) 냉, 온수 순환 수관 파이프가 내장된 패널
RU2062843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наружных стен и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возведения наружных стен
RU116528U1 (ru) Несъемная опалубка
KR102089748B1 (ko)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
KR200292654Y1 (ko) 황토 구조물의 골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