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023B1 -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023B1
KR102416023B1 KR1020210171237A KR20210171237A KR102416023B1 KR 102416023 B1 KR102416023 B1 KR 102416023B1 KR 1020210171237 A KR1020210171237 A KR 1020210171237A KR 20210171237 A KR20210171237 A KR 20210171237A KR 102416023 B1 KR102416023 B1 KR 102416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sound
wall
floor impact
sound block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근
이재협
최안숙
김성주
김성빈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상명엔프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상명엔프라(주) filed Critical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1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 E04F15/02166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wherein the grooves are filled with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형태의 격벽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단위 흡수셀이 구비되어 형성된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에 마감 모르타르가 타설되어짐으로써 시공 후 상부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충격음이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된 마감 모르타르의 단위 흡수셀에서 수평방향으로 확산됨이 차단되어 지도록 하고,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을 생략하여 시공의 단순화를 기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FLOOR IMPACT SOUND BLOCKING PANEL AND SLAB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IMPACT SOUND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이 건 발명은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형태의 격벽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단위 흡수셀이 구비되어 형성된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에 마감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마감 모르타르층이 곧바로 구비되어짐으로써 시공 후 상부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음이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의 단위 흡수셀에서 수평방향으로 확산되지 아니하고 차단되어질 뿐만 아니라, 종래의 층간 바닥충격음 바닥 슬래브 구조와는 달리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이 없어 시공이 간단해지는 구조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충격음이라 함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상층바닥에서 사람의 보행, 물건의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질 때, 콘크리트 슬래브를 통하여 하층 세대 내로 방사되는 소음을 말한다. 특히 콘크리트구조물에서 충격이나 진동을 가하게 되면 인접한 다른 세대로 전달되어 소음으로 쉽게 방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주택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기준에서 "바닥충격음 차단구조"란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의 성능을 확인하여 인정한 바닥구조를 말하고,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의 성능이란 중량충격음(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을 말한다) 50db 이하, 경량충격음(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을 말한다) 58 db 이하]을 확인하여 인정한 바닥구조를 말한다.
또한, "표준바닥구조"란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래브, 완충재, 마감 모르타르, 바닥마감재 등으로 구성된 일체형 바닥구조를 말한다[시행 2018. 9. 21.국토교통부고시 제2018-585호, 2018. 9. 21. 일부개정].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인 도 8 및 등록특허공보 10-114219호(2012. 4. 25.등록)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완충재를 설치하고 그 위에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그 위에 다시 마감 모르타르층 시공하여 공동 주택의 층간 소음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 방법은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인건비 상승의 요인이 되어 분양가 상승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3729호(2007.01.05.)의 온돌용 배관블록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배관블록은 끼워 맞춤 구조에 의하여 확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높은 배관라인의 자유도를 보장하므로 시공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나,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지는 과정에서 배관블록의 하부에 공극이 발생되는 원인이 있었고,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진동이나 충격력이 공명현상에 의하여 더 증폭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0700호(2009.04.27.)의 층간소음방지용 난방패널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난방패널은 난연성과 내화성능이 우수하고, 저중량 고강성을 가지며, 공기층들에 의하여 층간에 전달되는 소음이 줄어 들도록 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시공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나, 공기층들에 의하여 층간에 전달되는 소음이 더 증폭되는 동일한 문제점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114219호(2012. 4. 25.등록)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3729호(2007.01.05.)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0700호(2009.04.27.)
이 건 발명은 공동주택 등의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이웃 간의 층간 소음 관련 분쟁으로 인한 갈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이 건 발명은 상기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의 완충재 상부에 곧바로 일정한 높이의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을 설치하여, 상기 패널몸체 내부에 마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마감 모르타르층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을 생략하고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슬래브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이 건 발명은 상기 패널몸체의 높이를 일정한 높이로 구비하게 함으로써 상기 패널몸체 내부에 마감 모르타르를 타설시 패널의 휨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패널몸체 상부에 난방배관이 안정적으로 안치되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이 건 발명은 일정 높이를 갖는 패널몸체의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격벽(W)을 형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충격음 흡수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충격음 흡수셀에 마감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마감 모르타르층이 구비됨으로써, 시공 후 상부로부터 발생되는 바닥 충격음이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의 단위 충격음 흡수셀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회절되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과 난방배관이 마감 모르타르에 의하여 소정 깊이로 동시에 매립되어지며, 바닥 슬래브의 최 상부에 마감 모르타르가 동시에 마감 처리되어지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건 발명은 일정 높이의 사각형태로 형성된 패널몸체(10)의 내부에 다수개의 다양한 형태의 격벽(W)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몸체(10)의 테두리벽(110)의 내부 중앙에는 원형벽(120)이 구비되고, 상기 원형벽(120)의 상하좌우에는 반원형벽(130)이 구비되며, 상기 패널몸체(10)의 네모서리에는 1/4원형벽(14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은 외측에 원호형상의 외측 가이드벽(1W)이 구비되고 내측에 원호형상의 내측 지지벽(2W)이 구비되어 상기 외측 가이드벽(1W)과 내측 지지벽(2W)이 제1연결벽(3W)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지고, 상기 패널몸체(10)의 상부에는 난방배관(P)이 안치되어지는 직선배관로(SW)와 곡선배관로(CW)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직선배관로(SW)는 상기 원형벽(120)의 외측 가이드벽(1W)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각각 2개씩 상기 테두리벽(110)을 향하여 구비되어지고, 상기 곡선배관로(CW)는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의 외측 가이드벽(1W) 상부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어지며,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의 사이에는 4개의 X자형 배관안착부(1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의 내부에 구비된 제1연결벽(3W)은 상하좌우 및 대각선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널몸체(1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위치 고정핀(16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의 테두리벽(110) 외주면에는 수직으로 도브테일(dovetail)형태의 결합돌부(111)와 결합요부(112)가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의 사이에는 4개의 X자형 배관 안착부(15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4개의 X자형 배관 안착부(150)의 상하좌우에는 상기 직선배관로(SW)가 형성되어 직선배관(SP)이 안착되어지도록 U자형 안착홈부(151)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선배관(CP)이 얹혀지는 곡선배관 지지벽(5W)은 상기 4개의 X자형 배관 안착부(150)의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된 안착돌출벽(4W)과 이웃하는 상기 외측 가이드벽(1W)에 연결되어지도록 구비되어지되, 상기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에 구비된 대각선 방향의 제1연결벽(3W)에 대응되어지도록 구비되고, 그 높이는 상기 외측 가이드벽(1W) 및 안착돌출벽(4W) 보다 낮게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4개의 X자형 배관 안착부(150)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된 안착오목벽(6W) 외주면에는 상기 직선배관(SP)이 얹혀지는 +자형의 직선배관 지지벽(7W)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직선배관 지지벽(7W)의 단부 양측 교차벽(8W)은 이웃하는 상기 외측 가이드벽(1W)에 연결되어지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안착오목벽(6W) 및 +자형의 직선배관 지지벽(7W)의 높이는 상기 외측 가이드벽(1W) 보다 낮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B)에 있어서,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B)는 콘크리트 슬래브(SB) 상부에 완충재(CM)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재(CM)의 상부에 마감 모르타르층(FM)이 구비되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FM)의 상부에는 바닥마감재(FF)가 구비되어진다.
상기'바닥마감재'란 온돌층 상부표면에 최종 마감되는 재료(발포 비닐계 장판지목재 마루 등)를 말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SB)의 두께는 210mm 이상으로 하되, 벽식 및 혼합구조는 210mm, 라멘구조는 150mm, 무량판구조는 18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식 구조'란 수직하중과 횡력을 전단벽이 부담하는 구조를 말하고, '혼합구조'란 '벽식구조'에서 벽체의 일부분을 기둥으로 바꾸거나 부분적으로 보를 활용하는 구조를 말하며, '라멘구조'란 보와 기둥을 통해서 내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말하고, '무량판구조”란 보가 없이 기둥과 슬래브만으로 중력하중을 저항하는 구조방식을 말한다.
또한, 상기 '완충재(CM)'란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바닥구조체 위에 설치하는 재료를 말하며, 상기 완충재(CM)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밀착 시공하고, 접합부위는 접합테이프 등으로 마감하여야 한다. 또한, 온돌층이 벽체와 접하는 부위에는 측면완충재를 설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재(CM)의 두께는 30mm 이상이어야 하고, 상기 완충재(CM)는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제2조에 따른 단열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동탄성 계수는 40MN/m3 이하, 손실계수는 0.1부터 0.3까지의 범위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FM)은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의 상부에 난방배관(P)을 설치한 다음,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에 구비된 다양한 형태의 충격음 흡수셀(C)에 마감 모르타르(M)가 타설되어 마감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마감 모르타르(FM)층의 두께는 55mm 이상으로 하되, 8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 모르타르(M)는 결합재로 시멘트와 모래만 섞어서 만든 것이 일반적이고 바닥용으로는 시멘트와 모래 비율이 1:3정도가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FM)의 두께가 80mm 이상으로 되기 위하여는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의 패널몸체(10) 높이가 적어도 55mm 이상은 되어야 하고, 상기 패널몸체(10) 상부로 25mm 이상 마감 모르타르(M)가 마감처리되어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상기 마감 모르타르(M)에 묻혀 매립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위치 고정핀(160)은 쿠션재인 상기 완충재(CM)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완충재(CM)에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안정적으로 설치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에 마감 모르타르(M)가 타설되어 마감될 때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상기 완충재(CM)의 상부에서 이동되지 아니하고 안정되게 고정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재(CM)의 상부에 구비된 마감 모르타르층(FM)은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에 상기 마감 모르타르(M)가 타설될 때 동시에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 상부로 일정 높이로 마감 처리되어지되, 높이 55mm의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사용되었을 경우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 상부로 25mm 정도 마감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슬래브(SB) 상부에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매립되어 구비되어지는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SB)의 윗면에 낙하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슬래브 이물질 제거단계(S100)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 슬래브(SB)의 윗면에 소정 두께를 갖는 완충재(CM)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반복되게 설치되는 완충재 설치단계(S200)와; 상기 완충재(CM)의 상부로 상기 제1항 발명의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설치되는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설치단계(S300)와;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의 상부에 상기 제1항 발명의 난방배관(P)을 설치하는 난방배관 설치단계(S400)와; 상기 난방배관(P)이 설치되는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 내부에 마감 모르타르(M)가 타설되는 마감 모르타르 타설단계(S5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 모르타르(FM)층 상부로 바닥마감재(FF)가 설치되는 바닥마감재 설치단계(S600)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SB)의 두께는 210mm(라멘구조는 150mm, 무량판구조는 18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재(CM)의 두께는 30mm 이상이어야 하고, 상기 완충재(CM)는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제2조에 따른 단열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동탄성계수는 40MN/m3 이하, 손실계수는 0.1부터 0.3까지의 범위이어야 하고, 상기 완충재(CM)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밀착 시공하고, 접합부위는 접합테이프 등으로 마감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FM)은 상기 제1항의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 상부에 난방배관(P)이 설치되고,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에 구비된 다양한 형태의 충격음 흡수셀(C)에 마감 모르타르(M)가 타설되어 마감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마감 모르타르(FM)층의 두께는 55mm 이상으로 하되, 8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 모르타르(M)는 결합재로 시멘트와 모래만 섞어서 만든 것이 일반적이고, 바닥용으로는 시멘트와 모래 비율이 1:3정도가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마감 모르타르(FM)층의 두께가 80mm 이상으로 되기 위하여는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의 패널몸체(10) 높이가 적어도 55mm 이상은 되어야 하고, 상기 패널몸체(10) 상부로 25mm 이상 상기 마감 모르타르(M)가 동시에 타설되어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상기 마감 모르타르(M)에 묻혀 매립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위치 고정핀(160)은 쿠션재인 상기 완충재(CM)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완충재(CM)에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가 안정적으로 설치되어짐으로써,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에 마감 모르타르(M)가 타설되어 경화될 때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상기 완충재(CM)의 상부에서 이동되지 아니하고 안정되게 고정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재(CM)의 상부에 설치된 마감 모르타르층(FM)은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에 상기 마감 모르타르(M)가 타설될 때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 상부로 일정 높이까지 마감되어지되, 높이 55mm의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사용되었을 경우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 상부로 25mm 정도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건 발명은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를 제시하여 이웃 간의 층간 소음 관련 분쟁으로 인한 갈등을 예방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건 발명은 일정 높이의 패널몸체 내부에 다수개의 다양한 형태의 격벽이 형성되어 패널의 구조적인 안정감과 평활도가 확보되어짐으로써 안정된 바닥 슬래브 구조를 갖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건 발명은 일정 높이의 패널몸체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격벽이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의 충격음 흡수셀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음 흡수셀에 마감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경화되어짐으로써, 상부로부터 발생되는 바닥 충격음이 상기 단위 충격음 흡수셀의 내부에서 상기 격벽에 의하여 더 이상 수평방향으로 회절되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건 발명은 상기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의 완충재 상부에 곧바로 일정 두께의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을 설치하여, 상기 패널몸체 내부에 마감 모르타르를 타설함으로써 종래의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이 생략되어 공정이 단순화되어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건 발명은 상기 패널몸체의 높이를 일정한 높이로 구비하게 함으로써 상기 패널몸체 내부에 마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충진할 때 패널의 휨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패널몸체가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상기 패널몸체 상부에 난방배관이 안전하게 안치되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패널몸체의 상기 원형벽, 반원형벽 및 1/4원형벽의 외측 가이드벽 상부 외측 둘레에 만곡턱부가 만곡지게 구비되어 상기 만곡턱부에 의하여 상기 패널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곡선배관이 안정되게 얹혀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외측 가이드벽과 이웃하여 맞대어지는 외측 가이드벽의 상단부 외측에 구비된 배관이탈방지편에 의하여 상기 곡선배관 또는 직선배관이 탄성적으로 삽입된 후 쉽게 이탈되지 아니하고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배관이탈방지편의 양측에는 절취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관이탈방지편이 탄성적으로 작동되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로 난방배관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상기 마감 모르타르에 의하여 난방배관이 소정 깊이로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을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도3의 ST1-ST1'선 단면도.
도5는 도3의 ST2-ST2'선 단면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8은 종래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도.
이 건 발명에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을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4는 도3의 ST1-ST1'선 단면도이고, 도5는 도3의 ST2-ST2'선 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은 층간 바닥충격음이 콘크리트 슬래브(SB)를 통해 확산되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시공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의 사각형태로 형성된 패널몸체(10)의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격벽(W)이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의 충격음 흡수셀(C)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패널몸체(10)는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의 외부를 이루는 테두리벽(110)의 내부 중앙에는 원형벽(120)이 구비되고, 상기 원형벽(120)의 상하좌우에는 반원형벽(130)이 구비되며, 상기 패널몸체(10)의 네모서리에는 1/4원형벽(14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패널몸체(10)의 테두리벽(110) 외주면에는 도브테일(dovetail)형태의 결합돌부(111)와 결합요부(112)가 일측 및 타측에 수직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이웃하는 다른 패널몸체(10)에 테두리벽(110)과 용이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은 외측 가이드벽(1W)의 내부에 내측 지지벽(2W)이 제1연결벽(3W)에 의하여 연결되어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의 내부에 구비된 제1연결벽(3W)은 상하좌우 및 대각선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몸체(10)의 상부에는 난방배관(P)이 안치되어지는 직선배관로(SW)와 곡선배관로(CW)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직선배관로(SW)는 상기 원형벽(120)의 외측 가이드벽(1W)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각각 2개씩 상기 테두리벽(110)을 향하여 구비되어지고, 상기 곡선배관로(CW)는 상기 원형격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의 외측 가이드벽(1W) 상부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있다.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의 사이에는 직선 또는 곡선형태를 갖는 난방배관(P)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4개의 X자형 배관안착부(15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4개의 X자형 배관 안착부(150)의 상하좌우에는 직선배관(SP)이 안착되어지도록 U자형 안착홈부(151)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4개의 X자형 배관 안착부(150)의 대각선 방향에 구비된 안착돌출벽(4W) 외주면에는 곡선배관(CP)이 얹혀지는 곡선배관 지지벽(5W)이 이웃하는 상기 외측 가이드벽(1W)에 연결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곡선배관 지지벽(5W)은 제1연결벽(3W)에 대응되어지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높이는 상기 외측 가이드벽(1W) 및 안착돌출벽(4W) 보다 낮게 구비되어야 한다. 이는 난방배관(P)이 용이하게 안착되어 경량기포 콘크리트(C)가 타설될 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4개의 X자형 배관 안착부(150)의 상하좌우 방향 안착오목벽(6W) 외주면에는 직선배관(SP)이 얹혀지는 +자형의 직선배관 지지벽(7W)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직선배관 지지벽(7W)의 단부 교차벽(8W)은 이웃하는 상기 외측 가이드벽(1W)에 연결되어지도록 구비되어지며, 그 높이는 상기 외측 가이드벽(1W) 보다 낮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난방배관(P)이 용이하게 안착되어 경량기포 콘크리트(C)가 타설될 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패널몸체(1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위치 고정핀(16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위치 고정핀(160)은 상기 패널몸체(10)를 충분히 지지하도록 상기 +자형의 직선배관 지지벽(7W)의 교차점 하부에 구비되어진다. 이는 상기 위치 고정핀(160)이 상기 완충재(CM)의 윗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소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완충재(CM)의 상부에서 유동되거나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건 발명에서 상기 위치 고정핀(160)는 도 2에서와 같이 8군데 설치되어짐을 알 수 있는바, 더 이상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의 원호형상의 외측 가이드벽(1W) 상부 외측 둘레에는 상기 곡선배관(CP)이 얹혀지는 만곡턱부(170)가 만곡지게 구비되어진다.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의 원호형상의 외측 가이드벽(1W)과 가깝게 마주하는 또 다른 원호형상의 외측 가이드벽(1W)의 상단부에는 배관이탈방지편(180)이 서로 마주보고 각각 구비되어지되, 상기 배관이탈방지편(180)의 양측에는 절취홈(182)이 하부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관이탈방지편(180)의 상단부에는 배관이탈방지턱(181)이 서로 마주보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배관이탈방지편(180)이 탄성적으로 작동되어짐으로써, 상기 배관(P)이 쉽게 안착되고 안착된 후에는 쉽게 이탈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건 발명에서 상기 배관이탈방지편(180)은 도 1에서와 같이 12군데 설치되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은 500mm×500mm×55mm의 크기로 하고, 상기 패널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위치 고정핀(160)의 길이는 17mm로 한다. 또한 패널몸체(10)의 재질은 Poly-Propylen(PP)으로 하고, 상기 충격음 흡수셀(C)은 89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A)의 크기는 400mm×400mm×55mm 및 460mm×460mm×55mm의 크기로 할수도 있다.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러한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을 이용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B)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구조물의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B)에 있어서, 상기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B)는 콘크리트 슬래브(SB) 상부에 완충재(CM)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재(CM)의 상부에 마감 모르타르층(FM)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FM)은 상기 완충재(CM)의 상부에 상기 제1항의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설치되고,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 내부에 마감 모르타르(M)가 타설되어 경화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FM)의 상부에는 바닥마감재(FF)가 설치되어 구비되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FM)은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의 상부에 난방배관(P)이 설치되고, 마감 모르타르(M)가 타설되어 구비되어진다.
이때,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위치 고정핀(160)이 상기 완충재(CM)에 삽입됨으로써, 완충재(CM)의 상부로부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FM)은 상기 완충재(CM)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에 상기 마감 모르타르(M)가 타설될 때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 상부로 일정 높이까지 타설되어지되, 높이 55mm의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사용되었을 경우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 상부로 25mm 정도 마감 처리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마감 모르타르(M)가 1회에 걸쳐 타설되는 과정에서 난방배관(P)이 구비된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의 상부에 소정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그 만큼의 공정을 줄이기 위함이다.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의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러한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을 이용한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시공방법은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슬래브(SB) 상부에 상기 제1항의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매립되어 구비되어지는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SB)의 윗면에 낙하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슬래브 이물질 제거단계(S100)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 슬래브(SB)의 윗면에 소정 두께를 갖는 완충재(CM)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반복되게 설치되는 완충재 설치단계(S200)와; 상기 완충재(CM)의 상부로 상기 제1항의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설치되는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설치단계(S300)와;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의 상부에 난방배관(P)이 설치되는 난방배관 설치단계(S400)와; 상기 난방배관(P)이 설치되는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 내부 또는 상부에 마감 모르타르(M)가 타설되어 경화되는 마감 모르타르 타설단계(S500); 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다음,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FM)의 상부에 바닥마감재(FF)가 설치되는 바닥마감재 설치단계(S60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건 발명은 상기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이 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과제해결원리가 동일한 설계변경은 이 건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10:패널몸체 110:테두리벽
120:원형벽 130:반원형벽
140:1/4원형벽 A: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B: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C:충격음 흡수셀
CM:완충재 CW:곡선배관로
FM:마감모르타르 P:난방배관
SB:콘크리트 슬래브 SW:직선배관로
W:격벽 1W:외측 가이드벽
2W:내측 지지벽 3W:제1연결벽
S100:슬래브 이물질 제거단계 S200:완충재 설치단계

Claims (12)

  1. 일정 높이의 사각형태로 형성된 패널몸체(10)의 내부에 다수개의 다양한 형태의 격벽(W)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몸체(10)의 테두리벽(110)의 내부 중앙에는 원형벽(120)이 구비되고, 상기 원형벽(120)의 상하좌우에는 반원형벽(130)이 구비되며, 상기 패널몸체(10)의 네모서리에는 1/4원형벽(14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은 외측에 원호형상의 외측 가이드벽(1W)이 구비되고 내측에 원호형상의 내측 지지벽(2W)이 구비되어 상기 외측 가이드벽(1W)과 내측 지지벽(2W)이 제1연결벽(3W)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지고, 상기 패널몸체(10)의 상부에는 난방배관(P)이 안치되어지는 직선배관로(SW)와 곡선배관로(CW)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직선배관로(SW)는 상기 원형벽(120)의 외측 가이드벽(1W)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각각 2개씩 상기 테두리벽(110)을 향하여 구비되어지고, 상기 곡선배관로(CW)는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의 외측 가이드벽(1W) 상부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어지며,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의 사이에는 4개의 X자형 배관안착부(15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4개의 X자형 배관 안착부(150)의 상하좌우에는 직선배관(SP)이 안착되어지도록 U자형 안착홈부(15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4개의 X자형 배관 안착부(150)의 대각선 방향에는 곡선배관(CP)이 얹혀지는 곡선배관 지지벽(5W)이 구비되는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다양한 형태의 격벽(W)은 상기 일정 높이의 패널몸체(10)를 상하로 관통되도록 일정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일정 높이의 격벽(W)들에 의하여 다수개의 다양한 형태를 갖는 일정 높이의 충격음 흡수셀 (C)이 상하로 관통되어지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의 원호형상의 외측 가이드벽(1W) 상부 외측 둘레에는 상기 곡선배관(CP)이 얹혀지는 만곡턱부(170)가 만곡지게 구비되고,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의 원호형상의 외측 가이드벽(1W)과 가깝게 마주하는 또 다른 원호형상의 외측 가이드벽(1W)의 상단부에는 배관이탈방지편(180)이 서로 마주보고 각각 구비되어지되, 상기 배관이탈방지편(180)의 양측에는 절취홈(182)이 하부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관이탈방지편(180)의 상단부에는 배관이탈방지턱(181)이 서로 마주보고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1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위치 고정핀(16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10)의 테두리벽(110) 외주면에는 수직으로 도브테일(dovetail)형태의 결합돌부(111)와 결합요부(112)가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배관(CP)이 얹혀지는 곡선배관 지지벽(5W)은 상기 4개의 X자형 배관 안착부(150)의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된 안착돌출벽(4W)과 이웃하는 상기 외측 가이드벽(1W)에 연결되어지도록 구비되어지되, 상기 상기 원형벽(120), 반원형벽(130) 및 1/4원형벽(140)에 구비된 대각선 방향의 제1연결벽(3W)에 대응되어지도록 구비되고, 그 높이는 상기 외측 가이드벽(1W) 및 안착돌출벽(4W) 보다 낮게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X자형 배관 안착부(150)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된 안착오목벽(6W) 외주면에는 상기 직선배관(SP)이 얹혀지는 +자형의 직선배관 지지벽(7W)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직선배관 지지벽(7W)의 단부 양측 교차벽(8W)은 이웃하는 상기 외측 가이드벽(1W)에 연결되어지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안착오목벽(6W) 및 +자형의 직선배관 지지벽(7W)의 높이는 상기 외측 가이드벽(1W) 보다 낮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7. 건축 구조물의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B)에 있어서,
    상기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B)는 콘크리트 슬래브(SB) 상부에 완충재(CM)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재(CM)의 상부에 마감 모르타르층(FM)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FM)은 상기 완충재(CM)의 상부에 상기 제1항의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설치되고,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 내부에 마감 모르타르(M)가 타설되어 경화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FM)의 상부에 바닥마감재(FF)가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위치 고정핀(160)은 상기 완충재(CM)에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모르타르(M)는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 상부로 일정 높이까지 타설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11.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슬래브(SB) 상부에 상기 제1항의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매립되어 구비되어지는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SB)의 윗면에 낙하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슬래브 이물질 제거단계(S100)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 슬래브(SB)의 윗면에 소정 두께를 갖는 완충재(CM)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반복되게 설치되는 완충재 설치단계(S200)와;
    상기 완충재(CM)의 상부로 상기 제1항의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이 설치되는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설치단계(S300)와;
    상기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의 상부에 난방배관(P)이 설치되는 난방배관 설치단계(S400)와;
    상기 난방배관(P)이 설치되는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A) 내부 또는 상부에 마감 모르타르(M)가 타설되어 경화되는 마감 모르타르 타설단계(S500);
    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모르타르(F) 상부에 바닥마감재(FF)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시공방법.
KR1020210171237A 2021-12-02 2021-12-02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 KR102416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237A KR102416023B1 (ko) 2021-12-02 2021-12-02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237A KR102416023B1 (ko) 2021-12-02 2021-12-02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023B1 true KR102416023B1 (ko) 2022-07-05

Family

ID=8240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237A KR102416023B1 (ko) 2021-12-02 2021-12-02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0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300B1 (ko) * 2022-12-28 2023-08-01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바닥 충격음 흡수 부재,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
KR102584041B1 (ko) * 2023-06-02 2023-10-05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이중바닥재용 패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127B1 (ko) * 2005-04-01 2006-09-25 정태원 온수보일러용 난방시공장치
KR20070003729A (ko) 2006-12-01 2007-01-05 김진만 온돌용 배관 블록
KR100817728B1 (ko) * 2007-01-11 2008-03-31 김광임 높이조절이 가능한 층간소음방지용 난방패널
KR20090040700A (ko) 2007-10-22 2009-04-27 주식회사 웜하우징 층간소음방지용 난방패널
KR20100114219A (ko) 2009-04-15 2010-10-25 박세용 청각장애인용 이어폰
KR102210028B1 (ko) * 2020-06-11 2021-02-01 (주)대우건설 난방 배관 패드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저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01268U (ko) * 2019-11-29 2021-06-08 김종우 난방 배관 판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127B1 (ko) * 2005-04-01 2006-09-25 정태원 온수보일러용 난방시공장치
KR20070003729A (ko) 2006-12-01 2007-01-05 김진만 온돌용 배관 블록
KR100817728B1 (ko) * 2007-01-11 2008-03-31 김광임 높이조절이 가능한 층간소음방지용 난방패널
KR20090040700A (ko) 2007-10-22 2009-04-27 주식회사 웜하우징 층간소음방지용 난방패널
KR20100114219A (ko) 2009-04-15 2010-10-25 박세용 청각장애인용 이어폰
KR20210001268U (ko) * 2019-11-29 2021-06-08 김종우 난방 배관 판넬
KR102210028B1 (ko) * 2020-06-11 2021-02-01 (주)대우건설 난방 배관 패드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저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300B1 (ko) * 2022-12-28 2023-08-01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바닥 충격음 흡수 부재,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
KR102584041B1 (ko) * 2023-06-02 2023-10-05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이중바닥재용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023B1 (ko)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210028B1 (ko) 난방 배관 패드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저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23976B1 (ko) 소음 차단 이중 슬라브 구조가 적용된 건축물
KR102249118B1 (ko) 건축물 시공방법
US10584487B2 (en) Modular system for assembling a transpiring, disposable heat-insulation shuttering mould / formwork used for surface casting
KR102583142B1 (ko)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
KR20130094040A (ko) 난방배관용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KR20060125044A (ko) 공동 주택의 바닥 마감 모르타르 자재를 갖는 층간 충격음차단구조
KR102583147B1 (ko) 바닥충격음 차단 패널,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JP4412731B2 (ja) 浮き床工法及び浮き床構造
KR100634983B1 (ko)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100692315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20180029389A (ko) 바닥충격음을 흡수하는 복합 차음구조를 구비한 바닥시스템
KR102562300B1 (ko) 바닥 충격음 흡수 부재,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슬래브 구조 및 슬래브 시공방법
KR102382542B1 (ko) 층간차음패널 시공방법
JP2974026B2 (ja) 高層建物の構造
KR101549921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절연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20845B1 (ko) 충격음 저감 바닥판 보강구조 시스템 및 그 보강방법
KR102626135B1 (ko)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 및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 시공방법
KR200213094Y1 (ko) 난방배관용 방음장치
KR200384762Y1 (ko) 조립식 석재가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