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910B1 - 타이어 휠 - Google Patents

타이어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910B1
KR102415910B1 KR1020200180805A KR20200180805A KR102415910B1 KR 102415910 B1 KR102415910 B1 KR 102415910B1 KR 1020200180805 A KR1020200180805 A KR 1020200180805A KR 20200180805 A KR20200180805 A KR 20200180805A KR 102415910 B1 KR102415910 B1 KR 102415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rim
tire
collision
tir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0031A (ko
Inventor
이성준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9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1Ring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nly the wheel rim or the tyre sidewall, e.g. removable tyre sidewall trim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2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made essentially in on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6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 B60B7/061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 of the wheels to which the discs, rings or the like are mounted
    • B60B7/065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 of the wheels to which the discs, rings or the like are mounted to the dis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2Protection against exteri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이어가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림; 상기 림의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림과 결합하는 디스크; 상기 림과 상기 디스크 사이의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는 충돌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충돌 방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림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어 휠{Tire whee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휠에 관한 것이다.
도로가 아스팔트 포장 도로로 시공된 이래로 그 수명이 다한 아스팔트 포장 도로가 늘어나면서 도로의 아스팔트 일부분이 깊게 파이는 포트홀(Pothole)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포트홀은 여름철의 장마나 겨울철의 제설용으로 살포된 염화칼슘 등의 계절적 요인으로 인하여 약해진 아스팔트 도로가 과적이나 교통사고 등의 직접적인 충격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포트홀은 교통사고의 직접적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타이어, 휠 등에 큰 충격을 주어 차량의 상태에 문제를 일으킨다. 이와 같은 포트홀로 인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타이어는 기존에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도로에 설치된 연석의 경우,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휠 및 사이드월과 접촉할 수 있는 높이로 설치되기 때문에 타이어의 휠 및 사이드월은 연석과의 접촉에 대해 취약하나, 이로 인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타이어는 전무한 실정이다. 즉, 도로의 연석에 타이어의 옆면이 부딪히면 휠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고 사이드월은 파단이 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연석으로부터 타이어를 보호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석 등의 외부 물체와 타이어 휠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 방지 부재를 구비하여, 연석 등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이어 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이어가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림; 상기 림의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림과 결합하는 디스크; 상기 림과 상기 디스크 사이의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는 충돌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충돌 방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림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에는 압축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디스크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수용부의 부피가 감소하면서 상기 수용부 내의 압축 공기가 상기 충돌 방지 부재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충돌 방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림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돌 방지 부재는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수용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탄성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연결부가 압축되면서 상기 수용부의 부피가 감소하여, 상기 충돌 방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림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볼(ball)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의 표면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돌 방지 부재는 탄성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격벽부에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된 각각의 영역은 상호 간에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상기 구획된 각각의 영역에 대응되도록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분할 형성된 각각의 디스크는 가압되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 휠은 연석 등의 외부 물체와 타이어 휠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 방지 부재를 구비하여, 연석 등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타이어 휠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타이어 휠의 측단면도로써, 도 4는 타이어 휠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타이어 휠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타이어 휠의 측단면도로써, 도 7은 타이어 휠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타이어 휠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휠(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차륜을 구성하는 타이어는 휠과 함께 차의 전중량을 분담 지지하고 구동 및 제동시의 토크, 노면으로부터의 충격, 선회시의 원심력과 구심력, 차가 기울어졌을 때 발생하는 옆방향의 힘 등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 진다. 특히 타이어는 차륜의 림에 끼워져 일체로 회전하며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고 노면과 접하여 자동차의 구동이나 제동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타이어(10)에 대해 설명하면, 타이어(10)는 트레드부(11) 및 트레드부(11)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사이드월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타이어(10)는 사이드월부(12)의 단부에 구비되는 비드부, 비드 에이펙스(Apex) 및 보강층을 포함하며, 트레드부(11)와 한 쌍의 사이드월부(12)들 내측에 위치하여 타이어(10)의 내부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이너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는 트레드부(11)의 아래에 위치하는 벨트층과 카카스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트레드부와 벨트층 사이에는 캡 플라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트레드부(11)는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트레드부(11)의 표면에는 조종 안전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들(14)과 트레드 패턴들(14)에 의해 구획된 블록들(16)이 위치할 수 있다. 트레드 패턴들(14)은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시 배수를 위한 복수의 그루브들과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는 차량의 주행방향과 일치하는 원주방향 그루브와 원주방향 그루브 사이의 횡방향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는 블록에 형성되며, 그루브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타이어(10)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블록들(16)은 트레드부(11)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지면과 직접 접하여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사이드월부(12)는 트레드부(11)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사이드월부(12)는 타이어(10)의 옆부분으로, 카카스층을 보호하고, 타이어(10)의 측면 안정성을 제공하며, 굴신운동을 함으로써 승차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2)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통해 받은 엔진의 토크를 트레드부(1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타이어 휠의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타이어 휠의 측단면도로써, 도 4는 타이어 휠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타이어 휠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휠(100)은 림(110), 디스크(120), 충돌 방지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림(110)은 타이어가 끼워져 차축에 결합하는 틀인 충격완화용 타이어 휠(100)의 구성요소로 타이어가 직접 결합하는 원통형의 테두리 부분이다.
이와 같은 림(110)의 중심부에는 디스크(12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11)는 림(110)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수용부(111) 내에 디스크(120) 및 연결부(125)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1)에는 압축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120)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수용부(111)의 전체 부피가 감소하면, 내부의 압축 공기가 더욱 압축되어 충돌 방지 부재(130)를 가압함으로써 충돌 방지 부재(130)가 일정 정도 외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크(120)는 평평한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림(110)의 수용부(1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평상시에 디스크(120)가 수용부(111)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디스크(120)는 림(110)의 외주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림(110)과 디스크(120)는 연결부(1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림(110)과 디스크(120) 사이에 연결부(125)가 개재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상세히, 림(110)의 수용부(111)의 내부 표면에 연결부(125)의 일 단부가 결합되고, 연결부(125)의 타 단부가 디스크(120)와 결합되어, 림(110)과 디스크(120)는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25)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디스크(12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압축되면서 길이가 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25)가 압축되면서 수용부(111)의 전체 부피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수용부(111) 내부의 압축 공기가 더욱 압축되어 충돌 방지 부재(130)를 가압함으로써 충돌 방지 부재(130)가 일정 정도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디스크(120)의 외부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부재(121)는 예를 들어 볼(ball) 형태로 형성되며 디스크(120)의 외부 표면보다 일정 정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디스크(120)가 연석과 같은 외부 물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접촉 부재(121)가 볼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디스크(120)가 외부 물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위치, 개수로 접촉 부재(121)가 형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충돌 방지 부재(130)는 일종의 탄성 막(예를 들어 고무막)으로 형성되어 림(110)과 디스크(120) 사이의 영역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돌 방지 부재(130)는 디스크(120)가 수용된 림(110)의 수용부(111)를 밀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충돌 방지 부재(130)는 수용부(111) 내에 주입된 압축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돌 방지 부재(130)에 의해 디스크(120)가 수용된 림(110)의 수용부(111)가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20)가 외력(F)에 의해 가압되어 수용부(111)의 전체 부피가 감소하면, 내부의 압축 공기가 더욱 압축되어 소정의 반력(R)으로 충돌 방지 부재(130)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해 탄성 막으로 형성된 충돌 방지 부재(130)가 일정 정도 외부로 돌출되며, 이와 같이 일정 정도 돌출된 충돌 방지 부재(130)가 연석과 같은 외부 물질을 밀어냄으로써, 디스크(120)가 연석 등의 외부 물질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로에 설치된 연석의 경우,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휠 및 사이드월과 접촉할 수 있는 높이로 설치되기 때문에 타이어의 휠 및 사이드월은 연석과의 접촉에 대해 취약하나, 이로 인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타이어는 전무한 실정이다. 즉, 도로의 연석에 타이어의 옆면이 부딪히면 휠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고 사이드월은 파단이 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연석으로부터 타이어를 보호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휠(100)은 도로의 연석에 타이어 휠(100)의 디스크(120)가 접할 때 생기는 압력에 의해, 고무 막 등으로 형성된 충돌 방지 부재(130)가 디스크(120) 바깥쪽으로 돌출되면서 연석을 밀어내서, 타이어 휠(100) 및 타이어의 사이드월부(도 1의 12 참조)를 동시에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디스크(120)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부재(121)는 림(110) 또는 디스크(120) 대신 연석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타이어에 스크래치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타이어 휠(100)은 디스크(120)와 림(110)의 공간을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분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구분막은 수용부(111)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되, 디스크(120)의 일부와 충돌 방지 부재(130)의 일부가 하나의 공간을 공유하도록 구획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분막은 수용부(111)를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일 영역이 가압되는 경우 압축공기가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압되는 일 영역에 인접한 충돌 방지 부재(130)만 돌출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타이어 휠(100) 및 타이어의 사이드월부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휠(100)은 연석 등의 외부 물체와 타이어 휠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 방지 부재(130)를 구비하여, 연석 등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타이어 휠의 측단면도로써, 도 7은 타이어 휠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타이어 휠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림(210)은 타이어가 끼워져 차축에 결합하는 틀인 충격완화용 타이어 휠(200)의 구성요소로 타이어가 직접 결합하는 원통형의 테두리 부분이다.
이와 같은 림(210)의 중심부에는 디스크(22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11)는 림(210)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수용부(211) 내에 디스크(220) 및 연결부(225)가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수용부(211)가 격벽부(240)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220a)(220b) 또한 각각의 수용부(211)에 맞게 분할 형성되고, 분할된 디스크(220a)(220b) 각각에 연결부(225a)(225b)가 형성되어, 각각의 디스크(220a)(220b)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된다.
또한 분할된 각각의 수용부(211)에는 압축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디스크(220a)(220b)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수용부(211)의 전체 부피가 감소하면, 내부의 압축 공기가 더욱 압축되어 충돌 방지 부재(230a)(230b)를 가압함으로써 충돌 방지 부재(230a)(230b)가 일정 정도 외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디스크(220a)(220b)의 외부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221a)(221b)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부재(221)는 예를 들어 볼(ball) 형태로 형성되며 디스크(220a)(220b)의 외부 표면보다 일정 정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디스크(220a)(220b)가 연석과 같은 외부 물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충돌 방지 부재(230a)(230b)는 일종의 탄성 막(예를 들어 고무막)으로 형성되어 림(210)과 디스크(220a)(220b) 사이의 영역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돌 방지 부재(230a)(230b)는 디스크(220a)(220b)가 수용된 림(210)의 수용부(211)를 밀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충돌 방지 부재(230a)(230b)는 수용부(211) 내에 주입된 압축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돌 방지 부재(230a)(230b)에 의해 디스크(220a)(220b)가 수용된 림(210)의 수용부(211)가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220b) 중 어느 하나가 외력(F)에 의해 가압되어 수용부(211)의 부피가 감소하면, 내부의 압축 공기가 더욱 압축되어 소정의 반력(R)으로 충돌 방지 부재(230b)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해 탄성 막으로 형성된 충돌 방지 부재(230b)가 일정 정도 외부로 돌출되며, 이와 같이 일정 정도 돌출된 충돌 방지 부재(230b)가 연석과 같은 외부 물질을 밀어냄으로써, 디스크(220b)가 연석 등의 외부 물질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휠(200)은 도로의 연석에 타이어 휠(200)의 디스크(220b)가 접할 때 생기는 압력에 의해, 고무 막 등으로 형성된 충돌 방지 부재(230b)가 디스크(220b) 바깥쪽으로 돌출되면서 연석을 밀어내서, 타이어 휠(200) 및 타이어의 사이드월부(도 1의 12 참조)를 동시에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디스크(220b)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부재(221b)는 림(210) 또는 디스크(220b) 대신 연석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타이어에 스크래치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부(240)를 구비하여 수용부(211)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구획된 영역별로 디스크(220a)(220b), 연결부(225a)(225b), 충돌 방지 부재(230a)(230b)를 형성하여, 분할 형성된 각각의 디스크(220a)(220b)가 가압되면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각 디스크(220a)(220b)가 보다 정밀하고 신속하게 동작하여, 외부 물체와의 충돌로 인한 피해를 더욱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수용부(211)를 네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개수 및 형태로 수용부(211)를 분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휠(200)은 연석 등의 외부 물체와 타이어 휠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 방지 부재(230)를 구비하여, 연석 등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타이어 휠
110: 림
120: 디스크
130: 충돌 방지 부재

Claims (10)

  1. 타이어가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림;
    상기 림의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림과 결합하는 디스크; 및
    상기 림과 상기 디스크 사이의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는 충돌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충돌 방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림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에는 압축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디스크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수용부의 부피가 감소하면서 상기 수용부 내의 압축 공기가 상기 충돌 방지 부재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충돌 방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림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휠.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방지 부재는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수용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휠.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휠.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연결부가 압축되면서 상기 수용부의 부피가 감소하여, 상기 충돌 방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림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휠.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휠.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볼(ball)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의 표면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휠.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방지 부재는 탄성 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휠.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격벽부에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된 각각의 영역은 상호 간에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휠.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상기 구획된 각각의 영역에 대응되도록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분할 형성된 각각의 디스크는 가압되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휠.
KR1020200180805A 2020-12-22 2020-12-22 타이어 휠 KR102415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805A KR102415910B1 (ko) 2020-12-22 2020-12-22 타이어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805A KR102415910B1 (ko) 2020-12-22 2020-12-22 타이어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031A KR20220090031A (ko) 2022-06-29
KR102415910B1 true KR102415910B1 (ko) 2022-07-05

Family

ID=8227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805A KR102415910B1 (ko) 2020-12-22 2020-12-22 타이어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9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1535A (ja) 2003-06-12 2005-01-06 National Traffic Safety & Environment Laboratory ホイールカバー
JP2012504076A (ja) 2008-09-29 2012-02-16 リムプロ−テク・ホールディングス・リミテッド 車両ホイール保護装置
KR200490292Y1 (ko) 2019-02-01 2019-10-23 서홍석 차량용 타이어 보호구
WO2020025867A1 (fr) 2018-07-30 2020-02-06 Psa Automobiles Sa Systeme de protection laterale pour jantes de vehicules automobi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406Y1 (ko) * 1998-12-05 2001-09-25 박재봉 펑크방지용 휠 커버
KR101276411B1 (ko) * 2011-05-18 2013-06-19 최동윤 차량의 광고용 휠캡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1535A (ja) 2003-06-12 2005-01-06 National Traffic Safety & Environment Laboratory ホイールカバー
JP2012504076A (ja) 2008-09-29 2012-02-16 リムプロ−テク・ホールディングス・リミテッド 車両ホイール保護装置
WO2020025867A1 (fr) 2018-07-30 2020-02-06 Psa Automobiles Sa Systeme de protection laterale pour jantes de vehicules automobiles
KR200490292Y1 (ko) 2019-02-01 2019-10-23 서홍석 차량용 타이어 보호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031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3210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EP2578418B1 (en) Pneumatic tire
US7422043B2 (en) Pneumatic tire with tread having circumferential sub-grooves including at least three raised portions
RU2620035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US8616253B2 (en) Tyre for vehicle wheels
US11511571B2 (en) Tyre for heavy load vehicle wheels
US7438100B2 (en) Pneumatic tire for ice-bound or snow-covered road
EA021779B1 (ru) Протектор для шины,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й для автомобиля большой грузоподъемности типа трейлера
KR100612401B1 (ko) 타이어와 그 타이어의 트레드
WO2009077808A1 (en) Tyre for vehicle wheels
CN109070650B (zh) 轮胎
EP2934919B1 (en) Tyre for heavy load vehicle wheels
KR102415910B1 (ko) 타이어 휠
US20180207989A1 (en) Tire
KR102006902B1 (ko) 타이어
CA2097157A1 (en) Cap-and-base type pneumatic tires
RU2733310C2 (ru) Шина
KR102082951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972568B1 (ko) 차량의 전복 방지 시스템 및 차량의 전복 방지 방법
JP3152368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325376B1 (ko) 타이어
KR101978714B1 (ko) 충격완화용 타이어 휠
KR102023653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340781B1 (ko) 스노우 그립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
KR101782621B1 (ko)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