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665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665B1
KR102415665B1 KR1020200068271A KR20200068271A KR102415665B1 KR 102415665 B1 KR102415665 B1 KR 102415665B1 KR 1020200068271 A KR1020200068271 A KR 1020200068271A KR 20200068271 A KR20200068271 A KR 20200068271A KR 102415665 B1 KR102415665 B1 KR 102415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temperature
mode
display devi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1440A (ko
Inventor
허환
채종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8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66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1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라 방열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케이스, 케이스의 일 측에 위치하여 화면이 표시되는 글래스,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글래스의 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글래스의 후면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 맞닿는 접합부, 케이스의 일 면에 위치한 제1 개구부, 케이스의 타 면에 위치한 제2 개구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형성되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연통하는 개방유로, 케이스의 타 측 및 개방유로의 후면에 형성되며 개방유로와 열을 교환하는 폐쇄유로, UV센서 및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에서 감지한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외에 설치되는 옥외용 함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 구조 및/또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환경 변화가 적은 실내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개발된다. 따라서 태양열, 강우, 강설, 극심한 온도 변화 등에 노출되는 경우 부품의 오작동이나 수명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광고나 키오스크나 전자 간판과 같은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에 설치된다는 특성상, 환경의 변화에 강인한 구조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인 옥외용 디스플레이는, 하우징을 설치하고 하우징의 내부에 디스플레이 부품들을 실장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화면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가 존재할 수 있다. 발광부가 화면 표시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빛을 내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도는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더운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외부 기온에 의한 열과 발광에 의한 열이 합쳐져, 장치가 과열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관에 위치하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는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글래스로부터 케이스 내측으로 이격되어 실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원을 공급받아 화면을 나타내게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빛의 방향을 바꾸거나 세기를 조절하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대부분의 편광판은 요오드계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디스플레이가 장시간 구동하거나 높은 온도에 노출되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과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에 의하여 편광판이 녹아내릴 수 있다. 편광판은 요오드계 재료를 포함하며 요오드가 녹아내리면 황색 빛을 띠는 바, 고열에 의하여 녹아내린 편광판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황색으로 변색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과열을 막기 위한 방열 구조를 포함한다. 종래의 방열 구조 및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특정 온도에 다다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팬 등의 방열구조를 작동시킨다. 방열 구조를 통하여 장치를 냉각하고 과열을 막을 수 있다.
종래의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글래스간 이격된 공간 사이로 차가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유동하는 차가운 공기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한다. 그러나 글래스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빈 공간에 의하여 외부에서 바라볼 때의 디스플레이 화면 선명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빈 공간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디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존재할 수 있다.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의 전면은 자외선의 복사에 의해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온도 센서를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실장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이 같은 온도 센서의 위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태양빛 복사에 의하여 과열되는 온도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실장된 온도센서로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의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과열되기 전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냉각시키지 못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면부의 외관을 이루는 글래스의 후면부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착시켜 화면의 선명도를 높이고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부 및 글래스의 후면부 사이에 UV센서를 구비시켜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부의 온도 변화를 예측하여 방열하는 기능을 가진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열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케이스, 케이스의 일 측에 위치한 글래스, 케이스에 위치하며 글래스의 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UV센서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케이스 내부의 열을 배출하는 방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는 감지부에서 감지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방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모드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온도기준을 만족하거나, UV센서가 감지한 자외선이 자외선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제1 모드보다 방열효과가 높은 제2 모드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열부는, 케이스에 위치한 제1 개구부, 케이스에 위치한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열부는 개방유로 및 폐쇄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유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형성되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연통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팬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폐쇄유로는 케이스의 타 측 및 개방유로의 후면에 형성되며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2 팬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폐쇄유로는 개방유로와 열을 교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모드는 제1 제어 및 제2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방법을 따를 수 있다. 제1 제어를 통하여 방열부의 출력을 제2 모드보다 제1 모드에서 더 낮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제2 제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제2 모드보다 제1 모드에서 더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온도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값인 경우여야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온도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여야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자외선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UV센서가 설정된 입사량 이상의 자외선을 설정된 시간동안 감지하는 경우여야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모드는 제3 제어 및 제4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방법을 따를 수 있다. 제3 제어에 따라 UV센서가 감지한 자외선 입사량에 비례하여 방열부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4 제어에 따라 UV센서가 감지한 자외선 입사량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UV센서는 글래스의 후면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온도센서는 폐쇄유로의 내부에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의 자외선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온도 및 감지된 자외선의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방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열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1 모드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온도기준을 만족하거나, UV센서가 감지한 자외선이 자외선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제1 모드보다 방열효과가 높은 제2 모드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모드는 제1 제어 및 제2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방법을 따를 수 있다. 제1 제어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방열부의 출력을 제2 모드보다 제1 모드에서 더 낮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제2 모드보다 제1 모드에서 더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온도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값을 가지는 경우여야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온도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감지된 온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해야 하는 경우여야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자외선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감지된 자외선이 설정된 입사량 이상으로 설정된 시간동안 감지되어야 하는 경우여야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모드는 제3 제어 및 제4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방법을 따라야 할 수 있다. 제3 제어는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방열부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4 제어는 감지된 자외선의 입사량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패널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관을 이루는 글래스와 그 내부에 실장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맞닿게 부착될 수 있다. 이는 기존에 존재하던 글래스 및 디스플레이 패널간의 이격된 공간을 제거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더욱 선명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에 온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UV센서를 디스플레이 패널과 글래스 사이에 구비시킬 수 있다. UV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입사하는 자외선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온도, 자외선의 복사량 및 자외선의 측정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의 온도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예측된 온도변화 정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온상태 및/또는 저온상태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고, 각각 상황에 맞는 방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과열될 가능성이 높지 않은 저온상태에서 방열기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음 및/또는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온도가 과열될 수 있는 고온상태 및/또는 자외선 복사상태에서는 방열기능을 증가시켜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방열기능을 작동시킴에 따라,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이 황색으로 변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과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작동하거나 부품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을 활용하면, 장치의 잦은 보수 등으로 인하여 비용, 시간 및 노력이 낭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상황에서, UV센서에 감지되는 태양빛의 일조량 및 방향을 나타내었고, 또한 계절에 따라 온도센서에 감지되는 대기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패널 온도 변화에 따른 팬의 출력이 갖는 문제점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감지된 UV 조건에 따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방열기능을 변화시키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온도기준에 따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방열기능을 변화시키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온도기준에 따라 제1 모드인 상태로 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UV 조건에 따라 제2 모드에서 방열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UV 조건에 따라 제2 모드에서 방열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상기 발명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이해 및 실현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및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 및 이해되어야 한다.
IT 기술의 발달이 진행됨에 따라, 인간의 직접적인 노동력 제공 없이도 광고 및/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사이니지(Signage)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각종 장치나, 키오스크와 같이 옥외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들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옥외 설치용 디스플레이는 날씨와 같은 외부조건에 강인한 특성을 가져야 한다. 특히 사막과 같은 장소에 설치된 옥외용 디스플레이는 고온의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내부가 과열되어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고, 부품들의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온도가 과열되는 것을 막기 위한 효과적인 방열 구조 및/또는 방법이 필요하다.
사막지역은 일교차가 매우 큰 특징을 지닌다. 낮 동안의 기온은 매우 높고 밤의 기온은 낮은 지역에 옥외용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경우, 밤에는 방열기능을 약화시키고 낮에는 방열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을 통하여 효율적인 에너지의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옥외용 디스플레이는 함체 내부에 온도센서(200)를 실장시켜 장치 내부 기체의 온도를 바탕으로 방열기능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함체 내부에 온도센서(200)를 실장시키는 온도 파악 방법은, 함체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의 온도를 파악하는 방법에 불과하다. 이는 부품 자체가 어느 정도의 온도를 가지는지 직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다.
특히 옥외용 디스플레이에 태양빛이 입사하는 경우, 태양빛의 복사에 의하여 장치의 외면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태양빛 복사 현상은 장치의 외면에 가깝게 위치한 옥외용 디스플레이의 패널 전면부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아침 시간대에는, 외부기온이 낮은 상태에서 태양빛이 장치의 표면을 비추게 된다. 이 때 태양빛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의 패널 전면부의 온도는 급격히 상승하지만, 함체 내부공기의 온도는 대기온도와 비슷하게 낮은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함체 내부 기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00)만으로는 패널의 전면이 과열되지 않게 하는 방열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40)의 양 면에는 편광을 위한 폴(POL)이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이 과열되면 폴(POL)이 녹아내릴 수 있다. 폴(POL)이 녹으면 발광부로부터 발생한 빛이 제대로 편광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폴(POL)은 요오드(Iodine)계 성분을 가지므로 녹아내린 폴(POL)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황색으로 변색되는 문제가 존재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기존의 디스플레이들에 존재하던 발열의 감지방법 및 방열방법에 관한 문제점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a)는, 전면에 UV센서(100)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40)이 동향을 향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시간에 따라 태양빛이 입사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사막지대의 10월 기온 및 태양광 입사량을 하루동안 시간 변화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1(c)는 사막지대의 7월 기온 및 태양광 입사량을 하루동안 시간 변화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1(b),(c)의 왼쪽 세로축은 광량을 나타내며, 오른쪽 세로축은 섭씨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대부분의 사막지대는 저위도 지역에 위치한다. 기존에 존재하던 옥외용 함체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사막지대는, 10월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기온을 가지나 동향으로부터 입사되는 태양빛의 양은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을 가질 수 있고, 7월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기온을 가지나 동향으로부터 입사되는 태양빛의 양은 상대적으로 낮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태양은 동쪽에서 떠올라서 서쪽으로 진다. 아침시간대인 오전 6시경부터 오전 9시경까지는 동향으로부터 태양빛의 입사량이 급격히 늘어난다. 특히, 태양빛의 입사량이 늘어나는 양은 10월의 경우가 7월의 경우보다 높을 수 있다. 한편, 오전 6시경부터 오전 9시경까지의 기온은 10월의 경우가 7월의 경우보다 낮을 수 있다.
도 2는 기존에 존재하던 옥외용 디스플레이가 사막지대에 동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스크린의 정면으로 입사되는 태양빛의 광량 및 패널의 온도변화를 시간 변화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패널의 전면으로 입사하는 태양빛의 에너지 변화를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고 패널의 온도 변화를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의 왼쪽 세로축은 패널의 온도를 나타내며, 도 2(a)의 오른쪽 세로축은 태양빛의 입사량을 나타낸다.
또한 도 2(b)는, 기존에 존재하던 옥외용 디스플레이가 도 2(a)에서 나타난 패널의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방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b)의 왼쪽 세로축은 기존에 존재하던 옥외용 디스플레이가 포함하는 방열 팬의 출력을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동쪽에서 태양이 떠오름에 따라 8시경부터 10시경까지 스크린 정면으로 입사되는 태양빛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시간대에는 대기의 온도가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 내부에 실장된 온도 센서 만으로는 복사에 의한 패널 정면의 온도 상승(H)을 감지할 수 없다.
도 2(b)를 참조하면, 8시경부터 10시경까지 패널의 온도 상승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열 팬의 출력은 낮은 상태로 유지(H)된다. 방열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음에 따라 패널의 전면은 과열되어 폴(POL)의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기온이 급격히 상승하는 10시 이후부터는 온도센서(200)가 외부 기온변화를 감지하여 방열 팬의 출력을 높이며 패널의 온도는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이는 이미 패널의 손상이 일어난 이후이다.
이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의 전면에 UV센서(100)를 포함시킨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조 및/또는 방열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의 전면에 UV센서(1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실시예들에 따라 방열기능을 가지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일 측에 위치한 글래스(20), 케이스(10)에 위치하며 글래스(20)의 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40), UV센서(100) 및 온도센서(200)를 포함하는 감지부, 디스플레이 패널(40) 및 케이스(10) 내부의 열을 배출하는 방열부, 감지부에서 감지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40) 및 방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모드(R1) 또는 제2 모드(R2)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열부는 개방유로(50) 및 폐쇄유로(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개방유로(50)는 케이스(10)에 위치한 제1 개구부(11), 케이스(10)에 위치한 제2 개구부(12),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후면에 형성되며 제1 개구부(11)와 제2 개구부(12)를 연통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팬(52)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폐쇄유로(60)는, 케이스(10)의 타 측 및 개방유로(50)의 후면에 형성되며,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2 팬(62)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개방유로(50)와 폐쇄유로(60)는 열을 교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래스(20)의 후면은 접합부(3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의 전면부와 직접적으로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존재하던 옥외용 디스플레이가 흔히 포함하는, 글래스(20)와 디스플레이 패널(40) 전면 사이의 이격공간이 제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 전면에서 발생하는 열은 주로 전도현상에 의하여 글래스(20)의 전면부로 이동할 수 있다. 글래스(20)의 전면부로 이동한 열은 주로 대류현상에 의하여 외부 공기로 방출될 수 있다.
폐쇄유로(60)의 내부에는 제어부, 온도센서(200), 동력원 등 다양한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부품들이 작동함에 따라 폐쇄유로(60) 내부에 열이 발생한다. 제2 팬(62)은 폐쇄유로(60) 내부의 공기(61)를 유동시켜 개방유로(50)를 흐르는 공기(51)와 열교환이 일어나게 만들 수 있다.
제1 팬(52)은 제1 개구부(11)를 통하여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개방유로(5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저온을 갖는 개방유로(50)를 흐르는 공기(51)는, 상대적으로 고온을 갖는 폐쇄유로(60) 내부의 공기(61)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저온을 갖는 개방유로(50)를 흐르는 공기(51)는, 디스플레이 패널(40) 후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열을 전달받은 공기는 제2 개구부(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가 포함하는 UV센서(100)는, 글래스(20)의 후면 및 접합부(3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UV센서(100)는 디스플레이 패널(4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UV센서(100)는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40) 전면에 입사하는 태양빛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UV센서(10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 상황에 알맞은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가 포함하는 온도센서(200)는, 폐쇄유로(60)의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폐쇄유로(60)의 내부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구비되어 열을 방출하므로, 폐쇄유로(60) 내부의 공기(61)는 쉽게 뜨거워질 수 있다. 폐쇄유로(60) 내부에 온도센서(200)를 실장시켜 폐쇄유로(60) 내부의 공기(61)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품의 과열을 막고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제어부는 온도센서(200)의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 상황에 알맞은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부가 방열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는 제1 모드(R1) 또는 제2 모드(R2)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1 모드(R1)는 상대적으로 약한 방열기능을 필요로 할 때 적용될 수 있다. 제2 모드(R2)는 상대적으로 강한 방열기능을 필요로 할 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며, 온도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Ts)가 온도기준을 만족하거나 UV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자외선이 자외선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제1 모드(R1)보다 방열효과가 높은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모드(R1)는, 제2 모드(R2)일 때보다 방열부의 출력이 낮은 제1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방열부의 에너지 소모량이 적어지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모드(R1)는, 제2 모드(R2)일 때보다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가 더 높은 값을 가지게 하는 제2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40)의 에너지 소모량이 적어져서 디스플레이 패널(40)의 발열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때 제1 제어 및 제2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방열기능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는 방열부의 출력을 줄여 에너지의 낭비를 막고,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를 높여 밝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방열기능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는 방열부의 출력을 높여 디스플레이 패널(40) 및/또는 폐쇄유로(6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개방유로(50)를 흐르는 공기(51)를 통하여 빠르게 빠져나가도록 하며, 디스플레이 패널(40)의 발열을 줄여 디스플레이 장치(1) 전체의 발열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이 온도기준과 자외선기준을 만족하는지에 따라 방열기능을 달리 작동시킬 수 있다.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이 제1 조건 내지 제4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온도기준 및/또는 자외선기준의 만족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온도 조건 파악단계(S103)에서, 온도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Ts)가 설정된 온도(Td)보다 높은지 여부에 대한 제1 조건을 파악할 수 있다. 감지된 온도(Ts)가 설정된 온도(Td)보다 높다면 제1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온도 상승조건 파악단계(S104)에서, 감지된 온도(Ts)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조건을 파악할 수 있다. 온도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Ts)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제2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자외선 입사량 조건 파악단계(S105)에서,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이 설정된 입사량(Ud)보다 높은지 여부에 대한 제3 조건을 파악할 수 있다. UV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자외선의 입사량이 설정된 입사량(Ud)보다 높다면 제3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자외선 입사시간 조건 파악단계(S106)에서, 감지된 자외선이 설정된 입사량(Ud) 이상으로 감지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Pd) 이상인지 여부에 대한 제4 조건을 파악할 수 있다. UV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자외선이 설정된 입사량(Ud) 이상의 세기로 설정된 시간(Pd) 이상 감지되었다면 제4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즉, 제3 조건을 만족하는 자외선이 설정된 시간(Pd) 이상 감지되었다면 이는 제4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온도기준에 따라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라, 온도센서(200)가 감지한 온도를 전달받아 제어부가 방열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는, 감지된 온도(Ts)가 설정된 온도(Td)보다 높은 값을 가지는 경우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는 외부온도의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방열 기능을 작동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방열 방법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의 방열제어 방법은, 온도센서(200)에 의한 장치의 내부온도 감지단계(S101), 온도 조건 파악단계(S103), 제1 모드(R1) 작동단계(S107) 및 제2 모드(R2) 작동단계(S10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된 온도(Ts)가 설정된 온도(Td)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온도(Ts)가 설정된 온도(Td)보다 높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며,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자외선기준에 따라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라, UV센서(100)가 감지한 자외선 정보를 전달받아 제어부가 방열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는, UV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자외선이 설정된 시간(Pd) 이상 설정된 입사량(Ud)보다 높은 값으로 감지된 경우,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는 감지된 자외선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방열 기능을 작동시키는 방열 방법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의 방열제어 방법은, UV센서(100)에 의한 자외선 입사량 감지단계(S102), 자외선 입사량 조건 파악단계(S105), 자외선 입사시간 조건 파악단계(S106), 제1 모드(R1) 작동단계(S107) 및 제2 모드(R2) 작동단계(S10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V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이 설정된 입사량(Ud)보다 높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이 설정된 입사량(Ud)보다 높더라도, 설정된 입사량(Ud) 이상으로 설정된 시간(Pd) 이상동안 입사된 것이 아니라면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이 설정된 입사량(Ud) 이상의 값을 가진 채로 설정된 시간(Pd) 이상동안 입사된 것인 경우,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제3 조건을 만족하고 제4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제3 조건 및 제4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온도기준에 따라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라, 온도센서(200)가 감지한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제어부가 방열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는, 온도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Ts)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경우,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는 감지된 온도(Ts)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방열 기능을 작동시키는 방열 방법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의 방열제어 방법은, 온도센서(200)에 의한 장치의 내부온도 감지단계(S101), 온도 상승조건 파악단계(S104), 제1 모드(R1) 작동단계(S107) 및 제2 모드(R2) 작동단계(S10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Ts)가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온도(Ts)가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제2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온도기준 및/또는 자외선기준에 따라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7은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온도센서(200)가 감지한 온도가 설정된 온도(Td)보다 높지 않은 경우일지라도, UV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자외선의 조건에 따라 제어부가 방열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의 방열제어 방법은, 온도센서(200)에 의한 장치의 내부온도 감지단계(S101), UV센서(100)에 의한 자외선 입사량 감지단계(S102), 온도 조건 파악단계(S103), 자외선 입사량 조건 파악단계(S105), 자외선 입사시간 조건 파악단계(S106), 제1 모드(R1) 작동단계(S107) 및 제2 모드(R2) 작동단계(S10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Ts)가 설정된 온도(Td)보다 높지 않을지라도, UV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이 설정된 입사량(Ud) 이상의 값을 가지며, 설정된 입사량(Ud) 이상으로 설정된 시간(Pd)보다 긴 시간동안 감지된 경우,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온도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Ts)가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온도(Ts)가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일 때, UV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자외선이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온도(Ts)가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고 제3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일 때, UV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자외선이 제4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고, 제4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외부 온도가 낮아서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의 공기 온도가 높게 감지되지 않더라도 설정된 입사량(Ud) 이상 및 설정된 시간(Pd) 이상으로 자외선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측이 과열될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자외선이 디스플레이 패널(40)의 전면부를 향하여 입사하는 경우, 온도센서(200)만으로 디스플레이 패널(40)의 온도 감지를 해내기에는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자외선의 입사량 및 감지시간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면, 디스플레이 패널(40) 전면부의 방열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감지된 온도(Ts)가 설정된 온도(Td)보다 낮을 때,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UV센서(10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제1 모드(R1)로부터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변화시켜 방열부의 출력을 높이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b)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제1 모드(R1)로부터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변화시켜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를 줄이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8(a)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방열부의 출력 및/또는 자외선의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8(b)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 및/또는 자외선의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그래프상 시간이 0인 상태에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방열기능을 제1 모드(R1)로 작동시킬 수 있다. 설정된 입사량(Ud) 이상의 자외선 값이 설정된 시간(Pd) 이상동안 감지되었을 때, 제어부는 방열부의 출력을 늘리고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줄여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온도기준에 따라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9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온도센서(200)가 감지한 온도가 설정된 온도(Td)보다 높지 않은 경우라도, 감지된 온도(Ts)의 시간에 따른 변화의 정보를 제어부가 전달받아 방열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의 방열제어 방법은, 온도센서(200)에 의한 장치의 내부온도 감지단계(S101), 온도 조건 파악단계(S103), 온도 상승조건 파악단계(S104), 제1 모드(R1) 작동단계(S107) 및 제2 모드(R2) 작동단계(S10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Ts)가 설정된 온도(Td)보다 낮을지라도, 감지된 온도(Ts)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온도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Ts)가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감지된 온도(Ts)가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고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일 때, 감지된 온도(Ts)가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의 온도가 낮아 장치 내부 공기의 온도가 높게 감지되지 않더라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대기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온도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Ts) 또한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온이 높아지기 시작하는 아침시간임을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온이 더 높아져 디스플레이 장치(1)가 과열되기 전에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켜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0(a)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제1 모드(R1)로부터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변화시켜 방열부의 출력을 높이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b)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제1 모드(R1)로부터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변화시켜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를 줄이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a),(b)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가 제1 모드(R1)로만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a) 및 도 11(a)의 가로축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방열부의 출력 및/또는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0(b) 및 도 11(b)의 가로축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 및/또는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그래프상 시간이 0인 상태에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방열기능을 제1 모드(R1)로 작동시킬 수 있다. 감지된 온도(Ts)는 설정된 온도(Td)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이 때 제어부는 방열부의 출력을 늘리고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를 줄여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1을 살펴보면 감지된 온도(Ts)는 설정된 온도(Td)보다 낮고, 지속적인 상승의 양상도 보이지 않고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계속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온도기준 및/또는 자외선기준에 따라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온도센서(200)가 감지한 온도가 설정된 온도(Td)보다 낮은 경우일지라도, UV센서(100)가 감지한 자외선량의 조건 및/또는 감지된 온도(Ts)의 상승 조건에 따라 제어부가 방열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의 방열제어 방법은, 온도센서(200)에 의한 장치의 내부온도 감지단계(S101), UV센서(100)에 의한 자외선 입사량 감지단계(S102), 온도 조건 파악단계(S103), 온도 상승조건 파악단계(S104), 자외선 입사량 조건 파악단계(S105), 자외선 입사시간 조건 파악단계(S106), 제1 모드(R1) 작동단계(S107) 및 제2 모드(R2) 작동단계(S10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Ts)가 설정된 온도(Td)보다 높지 않을지라도, 감지된 온도(Ts)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감지된 온도(Ts)가 설정된 온도(Td)보다 높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지 않더라도,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이 설정된 입사량(Ud) 이상의 값을 가지며, 설정된 입사량(Ud) 이상으로 자외선이 감지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Pd)보다 긴 경우,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일 때,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일 때,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며 제3 조건을 만족할 때, 감지된 자외선이 제4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제1 모드(R1)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고, 제4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외부 온도가 낮아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의 공기 온도가 높게 감지되지 않더라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대기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온도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Ts) 또한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온이 높아지는 아침시간임을 예측할 수 있다. 기온이 더 높아져 디스플레이 장치(1)가 과열되기 전에 제어부가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켜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과열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온도(Ts)가 설정된 온도(Td)보다 낮고 지속적으로 상승하지 않는다고 해도, 설정된 입사량(Ud) 이상의 자외선이 설정된 시간(Pd) 이상 패널에 입사하는 경우, 복사현상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의 전면이 과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 전면부의 온도가 높아져 손상을 일으키기 전에 제어부가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켜 효과적인 방열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정된 입사량(Ud)은 300 와트 퍼 제곱미터 내지 400 와트 퍼 제곱미터 사이에 있는 값일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시간(Pd)은 2시간일 수 있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 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가 제2 모드(R2)에서 방열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모드(R2)는,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에 따라 제1 팬(52) 및/또는 제2 팬(62)의 출력을 높이는 제3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R2)는,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제4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모드(R2)는,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에 비례하여 개방유로(50) 및/또는 폐쇄유로(60)에 포함된 방열부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제3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R2)는,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제4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가로축은 감지된 자외선의 양을 나타내며, 도 13(a)의 세로축은 방열부의 출력을 나타내고, 도 13(b)의 세로축은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13(a)는, 제어부가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때 제3 제어를 수행함에 따라 방열부의 출력이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최대출력 한계치(Fm)까지 방열부의 출력을 증가시킨 이후에는, 감지된 자외선의 입사량이 더 증가하더라도 최대출력 한계치(Fm)의 출력을 가지도록 방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b)는, 제어부가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때 제4 제어를 수행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가 자외선 입사량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최저휘도 한계치(Lm)까지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를 감소시킨 이후에는, 감지된 자외선의 입사량이 더 증가하더라도 최저휘도 한계치(Lm)의 휘도를 가지도록 디스플레이 패널(4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4의 가로축은 감지된 자외선의 양을 나타내며, 도 14(a)의 세로축은 방열부의 출력을 나타내고, 도 14(b)의 세로축은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14(a)는, 제어부가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때 제3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제3 제어는,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이 제1 제어시작점(St1)의 값 이상인 경우, 방열부의 출력을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에 비례하여 최대출력 한계치(Fm)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최대출력 한계치(Fm)까지 방열부의 출력을 증가시킨 이후에는, 감지된 자외선의 입사량이 더 증가하더라도 최대출력 한계치(Fm)의 출력을 가지도록 방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b)는, 제어부가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때 제4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제4 제어는,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이 제2 제어시작점(St2)의 값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를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Us)의 증가에 비례하여 최저휘도 한계치(Lm)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최저휘도 한계치(Lm)까지 디스플레이 패널(40)의 휘도를 감소시킨 이후에는, 감지된 자외선의 입사량이 더 증가하더라도 최저휘도 한계치(Lm)의 휘도를 가지도록 디스플레이 패널(4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최대출력 한계치(Fm) 및/또는 최저휘도 한계치(Lm)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손상이나 부품의 수명단축을 막을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는, 제2 모드(R2)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킬 때 제3 제어 및 제4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모드(R2)에서 방열기능이 작동시킬 때, 대기의 온도뿐만 아니라 태양광의 작용까지 고려하여 패널이 과열되는 것을 예측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40)의 전면부가 과열되지 않도록 방열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들의 순서 및 구성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0 : 케이스
11 : 제1 개구부
12 : 제2 개구부
20 : 글래스
30 : 접합부
40 : 디스플레이 패널
50 : 개방유로
51 : 개방유로를 흐르는 공기
60 : 폐쇄유로
61 : 폐쇄유로 내부의 공기
70 : 팬
100 : UV센서
200 : 온도센서
Ts : 감지된 온도
Td : 설정된 온도
Us :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
Ud : 설정된 입사량
Ps : 자외선이 설정된 입사량 이상으로 감지된 시간
Pd : 설정된 시간
St1 : 제1 제어시작점
St2 : 제2 제어시작점
Fm : 최대출력 한계치
Lm : 최저휘도 한계치
R1 : 제1 모드
R2 : 제2 모드

Claims (15)

  1. 방열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위치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위치한 글래스;
    상기 케이스에 위치하며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밀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UV센서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케이스 내부의 열을 배출하는 방열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방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키고,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온도기준을 만족하거나, 상기 UV센서가 감지한 자외선이 자외선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보다 방열효과가 높은 상기 제2 모드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를 연통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팬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개방유로; 및
    상기 케이스의 타 측 및 상기 개방유로의 후면에 형성되며,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2 팬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개방유로와 열을 교환하는 폐쇄유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제1 제어 및 제2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방법을 따르며
    상기 제1 제어는, 상기 방열부의 출력을 상기 제2 모드보다 상기 제1 모드에서 더 낮게 유지시키고
    상기 제2 제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상기 제2 모드보다 상기 제1 모드에서 더 높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값이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상기 UV센서가 설정된 입사량 이상의 자외선을 설정된 시간동안 감지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는 제3 제어 및 제4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방법을 따르며
    상기 제3 제어는, 상기 UV센서가 감지한 자외선 입사량에 비례하여 상기 방열부의 출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4 제어는, 상기 UV센서가 감지한 자외선 입사량에 비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V센서는 상기 글래스의 후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폐쇄유로의 내부에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의 자외선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온도 및 자외선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방열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모드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키고,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온도기준을 만족하거나, 상기 UV센서가 감지한 자외선이 자외선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보다 방열효과가 높은 상기 제2 모드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되,
    상기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더라도 상기 감지된 온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 2 모드로 방열기능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제1 모드는 제1 제어 및 제2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방법을 따르며
    상기 제1 제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방열부의 출력을 상기 제2 모드보다 상기 제1 모드에서 더 낮게 유지시키고
    상기 제2 제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상기 제2 모드보다 상기 제1 모드에서 더 높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제어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값이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제어 방법.
  13. 삭제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상기 감지된 자외선이 설정된 입사량 이상으로 설정된 시간동안 감지되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제어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는 제3 제어 및 제4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방법을 따르며
    상기 제3 제어는, 상기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에 비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방열부의 출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4 제어는, 상기 감지된 자외선 입사량에 비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패널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제어 방법.
KR1020200068271A 2020-06-05 2020-06-05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5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271A KR102415665B1 (ko) 2020-06-05 2020-06-05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271A KR102415665B1 (ko) 2020-06-05 2020-06-05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440A KR20210151440A (ko) 2021-12-14
KR102415665B1 true KR102415665B1 (ko) 2022-07-01

Family

ID=7893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271A KR102415665B1 (ko) 2020-06-05 2020-06-05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6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8854B (zh) * 2021-04-28 2022-06-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散熱機構及其顯示設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0851A (ja) 2004-06-23 2006-01-12 Fuji Xerox Co Ltd 画像表示装置
KR101176906B1 (ko) * 2010-12-31 2012-08-30 주식회사 에이브이시스 엘씨디 모니터 전광판의 방열 구조와 전광판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370B1 (ko) * 2010-04-27 2012-07-02 주식회사 에이브이시스 옥외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 장치
KR20160084279A (ko) * 2015-01-05 201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0851A (ja) 2004-06-23 2006-01-12 Fuji Xerox Co Ltd 画像表示装置
KR101176906B1 (ko) * 2010-12-31 2012-08-30 주식회사 에이브이시스 엘씨디 모니터 전광판의 방열 구조와 전광판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440A (ko)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5908B2 (ja) 表示装置
US8319936B2 (en) Display device with cooling control
US794819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thermal regulation of light emitting diodes in signage
CN100583215C (zh) Led背光模组及其温度控制方法
US72732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nti-melt projection lens cap
JP3177234B1 (ja) 照明装置
US4978890A (en) Fluorescent lamp device
JP2012518816A (ja) 消費電流に応じてディスプレイの動作パラメータを制御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60032480A (ko)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KR1024156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306372A1 (en) Method for demisting a glass cover and display module thereof
KR20160009749A (ko) 적외선 led 감시카메라
JP5667687B2 (ja) 防曇窓ユニット
JPH07175035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JP4937077B2 (ja) 着霜検出装置
CN101086610B (zh) 依据入风口及出风口的温度控制散热的方法及相关装置
JP5377606B2 (ja) 着霜検出装置
KR102499789B1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2089707A (zh) 投影仪
KR102532934B1 (ko) 냉각 효율을 높인 고휘도용 양면 사이니지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513943A (ja) 発光素子の制御回路
KR101334698B1 (ko)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각수단을 갖는 엘이디 광원 장치
CN106471346B (zh) 灯具和温度控制的方法
JP2006330516A (ja) バックライト制御装置
KR200471001Y1 (ko) Smps 공진회로와 방수부재를 활용한 led 가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