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623B1 - 샤워겔이 구비된 샤워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샤워겔이 구비된 샤워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623B1
KR102415623B1 KR1020210124782A KR20210124782A KR102415623B1 KR 102415623 B1 KR102415623 B1 KR 102415623B1 KR 1020210124782 A KR1020210124782 A KR 1020210124782A KR 20210124782 A KR20210124782 A KR 20210124782A KR 102415623 B1 KR102415623 B1 KR 102415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ater
guide
shower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475A (ko
Inventor
남승우
설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아룩스
Publication of KR2022006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카트리지는, 일측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수납케이스 및 상기 수납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샤워겔이 충진되고 외부에 상기 수납케이스 내측면에 밀착하여 상기 물의 회전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가이드날개를 포함하는 충진케이스 및 상기 충진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유입되는 상기 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샤워겔이 구비된 샤워카트리지{SHOWER CARTRIDGE HAVING SMELL GEL}
본 발명은 샤워겔이 구비된 샤워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은 일상생활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요소이다. 식수로 사용되는 물에 한약재 또는 한방재 등을 넣어 끓여 마시듯, 물에 대한 인식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세안을 하거나 샤워 및 목욕 등에 사용되는 물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고 있다. 이러한 물은 정수 장치를 이용하여 정수장에서 정수되어 가정으로 투입되고 있지만, 정수된 물에는 염소성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소정의 상태로 잔존하고 있으므로, 어린이들이나 피부가 약한 사람에게는 피부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세안, 샤워 및 목욕에 사용되는 물에 물성을 변화시켜 물에 잔존하는 염소성분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피부 치료 및 미용에 효과를 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시키고 미백 및 노화효과가 있는 성분의 공급과 물의 살균을 할 수 있는 샤워카트리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카트리지는 일측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수납케이스, 상기 수납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샤워겔이 충진되고 외부에 상기 수납케이스 내측면에 밀착하여 상기 물의 회전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가이드날개를 포함하는 충진케이스 및 상기 충진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유입되는 상기 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케이스는 표면에 상기 가이드날개와 인접한 가이드날개 사이로 다이아몬드분말이 결합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수납케이스에 안착되며 상기 충진케이스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충진케이스의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내측에 다이아몬드분말이 저장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케이스 상부에 배치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서 상기 케이스와 바디부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끼워지게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를 따라 이동하는 날개몸체부, 및 상기 날개몸체부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진케이스는 상기 가이드날개와 상기 필터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날개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회전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충진케이스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2 가이드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카트리지는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샤워겔이충진되고 관통구가 형성된 충진케이스를 수납하여 물과 샤워겔을 공간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카트리지는 관통구의 폭을 변화시켜 물과 샤워겔이 혼화되는 속도 및 시간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충전케이스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필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필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충전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충전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 카트리지와 샤워기 하우징과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 카트리지와 수전과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카트리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충전케이스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카트리지(1000)는 샤워겔이 충진되는 공간과 물을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물이 샤워카트리지 내부로 유입될 때 바로 샤워겔과 접하지 않게 함으로써 샤워겔이 물로 인해 용해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어 샤워겔이 빨리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카트리지(1000)는 샤워겔이 충진되는 충진케이스(100) 및 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수납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진케이스(100)에 충진되는 샤워겔은 액상 또는 반고체 상태로 비타민C 등과 같은 비타민 성분에 아로마향, 과일향, 화향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향이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샤워겔은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해주고, 미백 및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충진케이스(100)는 몸체부(110), 덮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샤워겔이 충진될 수 있도록 상부측에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는 외측면에 제1 관통구(11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구(110a)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1 관통구(110a)는 몸체부(1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수납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제1 관통구(110a)를 통과하여 샤워겔이 충진된 몸체부(110)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게 되며, 이때, 제1 관통구(110a)의 형상에 따라서 물의 유압 및 유속을 변화시킴으로써 물과 샤워겔이 혼합되는 속도 및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관통구(110a)는 관통된 폭(W)이 몸체부(110)의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형성됨으로써 물의 유압 및 유속을 변화시킴으로써 물과 샤워겔이 혼합되는 속도 및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수납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제1 관통구(110a)를 통해 충진케이스(100)의 내부로 스며들게 되고, 충진케이스(100)에 충진된 샤워겔을 용해시킬 수 있다.
용해된 샤워겔은 충진케이스(100)의 내측에 머물다가, 충진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물이 빠르게 유동할 때 압력차에 의해 자연스럽게 충진케이스(100)의 외측으로 새어 나오게 된다. 또한, 액상 상태의 샤워겔은 물에 금방 용해될 수 있지만, 반고체 상태의 샤워겔은 용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통구(110a)의 수가 많을수록 물이 샤워겔과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샤워겔의 용해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덮개부(미도시)는 몸체부(110)에 샤워겔이 충진된 상태에서 몸체부(110)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샤워겔이 충진될 수 있도록 입구 역할을 하는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덮개부(미도시)의 상면에 제2 관통구(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덮개부 (120)는 상면 중심부에 하나 이상의 제2 관통구(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부(110)와 덮개부(미도시)는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몸체부(110)의 개구부를 막을 수 있다.
수납케이스(200)는 충진케이스(100)가 수납된 상태에서 일측 예를 들어 수납케이스(200)의 하부에 제1 어뎁터(210) 및 타측 예를 들어 수납케이스(200)의 상부에 제2 어뎁터(22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수납케이스(200)와 제1 어뎁터(210) 및 수납케이스(200)와 제2 어뎁터(220)는 각각 충진케이스(100)를 수납한 상태에서 열융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어뎁터(210)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10a)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결합부(225)에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22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어뎁터(210)는, 유입구(210a)에서 수납케이스(2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제1 결합부(215) 및 유입구(210a)에서 수납케이스(2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며, 단부에 물이 순환되는 순환홈(미도시)이 형성된 안착턱(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어뎁터(220)는, 배출구(220a)에서 수납케이스(2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제2 결합부(225) 및 배출구(220a)에서 수납케이스(2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충진케이스(100)에 접촉되는 지지턱(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뎁터(210)의 제1 결합부(215)에는 물 공급호스(500)가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2 어뎁터(220)의 제2 결합부에는 샤워기 하우징(300)이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어뎁터(210)는 유입구(210a)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홀(미도시)이 형성된 필터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212)의 형상은 벌집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어뎁터(220)는 지지턱(221)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턱(221)은 제2 어뎁터(22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턱(221)은 충진케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된 덮개부(120)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덮개부(120)와 결합된 충진케이스(100)가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턱(221)은 링형 단면으로 지지턱(2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순환구(미도시)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50)는 수납케이스(2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2)는 수납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에 잔존하는 화학물질 등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부(2)는 제1 어뎁터(210)의 안착턱(211)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착턱(211)은 제1 어뎁터(2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부에 복수개의 순환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212)는 유입구(210a)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샤워카트리지(1000)는 필터부(212)를 통해 수납케이스(20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갑작스럽게 들어올 때 즉 급 물살로 들어오는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충진케이스(100) 외측면에는 제1 가이드날개(121)가 형성되고, 제1 가이드날개(121)와 인접한 제1 가이드날개(121) 사이에는 다이아몬드분말(13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날개(121)는 충진케이스(100)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 가이드날개(121) 각각은 수납케이스(20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납케이스(200)의 유입구(210a)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1 가이드날개(121)에 의해 회전하면서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카트리지(1000)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날개(121)를 통해 수납케이스(200)와 몸체부(110) 사이에 형성된 물이 유동할 수 있는 경로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물과 샤워겔의 혼화 속도 및 시간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충진케이스(100) 외측면에 복수개의 제1 가이드날개(121)가 형성됨으로써, 물의 유동 및 흐름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날개(121)가 형성된 부근에서 난류 유동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납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샤워겔은 물에 용해되지만 일부가 물에 덩어리 째 뭉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샤워겔이 덩어리 째 뭉친 상태에서 수납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흐름을 타고 그대로 배출구(220a)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날개(121)가 형성된 부근의 난류 유동에 의하여 뭉친 샤워겔은 물에 좀 더 미세하게 용해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날개(121)와 제1 가이드날개(121) 사이로 복수개의 다이아몬드분말(130)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분말(130)은 작은 다이아몬드알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다이아몬드분말(130)을 충진케이스(100) 측면에 결합시키고 흐르는 물을 살균 또는 항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진케이스(100)에 오목하게 형성된 다이아몬드분말(130)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에 다이아몬드분말(130)을 위치시키고, 글루를 매개로 충진케이스(100)와 다이아몬드분말(130)을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충진케이스를 일부를 가열하고, 다이아몬드분말(130)을 압착하여 충진케이스(100) 외측면으로 다이아몬드분말(1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필터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필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필터부(150)는 케이스(154), 제1 가이드부(152) 및 제2 가이드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54) 내부에는 다이아몬드분말(130)이 저장되어 있으며, 필터부(150)를 관통하는 물에 살균 및 항균 효과를 낼 수 있다. 케이스(154) 상하로 제1 가이드부(152) 및 제2 가이드부(153)가 위치하며, 제1 가이드부(152)와 제2 가이드부(153)는 각각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부(152)와 제2 가이드부(153)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되는 물이 다이아몬드분말(130)이 저장된 케이스(154)내에 보다 오래 머무를 수 있게 하여 다이아몬드분말(130)에 의해 살균 및 항균의 효과가 나타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필터부(150) 바디부(151) 상면에 돌기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55)는 필터부(150)의 중심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충진케이스(100)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110c)에 상호 끼워져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진케이스(100)는 돌기부(155)를 중심으로 하여 편심되게 회전하여 수납케이스(200)에 보다 밀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52)는 바디부(151) 내측에서 케이스(154)와 바디부(151) 내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부(152a), 연결부(152a)에 끼워지게 연결되어 연결부(152a)를 따라 이동하는 날개몸체부(152b) 및 날개몸체부(152b)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날개부(15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되는 물에 의해 제1 가이드부(152)는 회전하면서 케이스(154)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입되는 물이 약해질 경우 케이스(154)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질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제1 가이드부의 회전 속도가 변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보다 용이하게 다이아몬드분말에 접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충전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충전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충진케이스(100)에는 제1 가이드날개(121) 및 제2 가이드날개(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날개(121)는 충진케이스(100)의 상면 즉, 물이 유출되는 부근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날개(121a)는 충진케이스(100)의 하면 즉, 필터부(150)와 가까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날개(121)와 제2 가이드날개(121a)는 회전방향을 달리하여 물이 보다 회전하고, 난류 상태로 흘러갈 수 있도록 형성하게 된다. 이를 통해, 충진케이스(100)에 저장된 샤워겔의 용해가 보다 잘 이뤄지게 할 뿐 아니라, 충진케이스(100) 외측면에 결합된 다이아몬드분말(130)에 의해 물의 항균 및 살균이 보다 잘 이뤄지게 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날개(121a)는 충진케이스(100)에 끼워지게 연결되어 충진케이스(100)를 따라 이동하는 회전날개몸체부(142) 및 회전날개몸체부(142) 외주면에 연결되는 날개부(15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되는 물에 의해 제1 가이드날개(121)는 회전하면서 제1 가이드날개(121) 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입되는 물이 약해질 경우 제1 가이드날개(121)와 상대적으로 멀어질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제2 가이드날개(121a)의 회전 속도가 변화될 수 있다. 유입되는 물은 제2 가이드날개(121a)에 의해 보다 난류로 흐르게 되며, 제1 가이드날개(121) 부근에 위치된 다이아몬드분말(130)에 접촉되면서 보다 살균과 항균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 카트리지와 샤워기 하우징과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 카트리지와 수전과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를 참고하면, 수납케이스(200)의 제1 어뎁터(210)는 물 공급호스(500)와 결합될 수 있고, 수납케이스(200)의 제2 어뎁터(220)는 샤워기 하우징(300) 또는 수전(400)과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샤워기 하우징(300)은 샤워기 헤드(310)와 샤워기 손잡이(3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샤워기 헤드 내부에는 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납케이스(200)의 내부에서 미처 혼화되지 않은 샤워겔이 덩어리로 존재될 수 있고 이렇게 덩어리진 샤워겔은 그대로 배출구(220a)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샤워기 헤드(310)의 내부에 장착된 필터는, 덩어리진 샤워겔을 걸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0: 샤워카트리지
100: 충진케이스 110: 몸체부
110a: 제1 관통구 110c: 끼움홈
120a: 제2 관통구 121: 제1 가이드날개
121a: 제2 가이드날개 130: 다이아몬드분말
140: 회전부 141: 회전날개부
142: 회전날개몸체부
150: 필터부 151: 바디부
155: 돌기부 152: 제1 가이드부
152a: 연결부 152b: 날개몸체부
152c: 날개부 153: 제2가이드부
154: 케이스
200: 수납케이스
200a: 수납공간 210: 제1 어뎁터
210a: 유입구 211: 안착턱
212: 필터부 215: 제1 결합부
220: 제2 어뎁터 220a: 배출구
221: 지지턱 225: 제2 결합부
300: 샤워기 하우징 310: 샤워기 헤드
330: 샤워기 손잡이 400: 수전
500: 물 공급호스

Claims (2)

  1. 일측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수납케이스;
    상기 수납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샤워겔이 충진되고 외부에 상기 수납케이스 내측면에 밀착하여 상기 물의 회전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가이드날개를 포함하는 충진케이스; 및
    상기 충진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유입되는 상기 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케이스는,
    표면에 상기 가이드날개와 인접한 가이드날개 사이로 다이아몬드분말이 결합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수납케이스에 안착되며 상기 충진케이스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충진케이스의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내측에 다이아몬드분말이 저장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케이스 상부에 배치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서 상기 케이스와 바디부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끼워지게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를 따라 이동하는 날개몸체부; 및
    상기 날개몸체부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샤워겔이 구비된 샤워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케이스는,
    상기 가이드날개와 상기 필터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날개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충진케이스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2 가이드날개를 포함하는 샤워겔이 구비된 샤워카트리지.
KR1020210124782A 2020-11-17 2021-09-17 샤워겔이 구비된 샤워카트리지 KR102415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622 2020-11-17
KR20200153622 2020-11-17
KR1020210039027A KR102309401B1 (ko) 2020-11-17 2021-03-25 비타민 샤워카트리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027A Division KR102309401B1 (ko) 2020-11-17 2021-03-25 비타민 샤워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475A KR20220067475A (ko) 2022-05-24
KR102415623B1 true KR102415623B1 (ko) 2022-07-01

Family

ID=780774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027A KR102309401B1 (ko) 2020-11-17 2021-03-25 비타민 샤워카트리지
KR1020210124782A KR102415623B1 (ko) 2020-11-17 2021-09-17 샤워겔이 구비된 샤워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027A KR102309401B1 (ko) 2020-11-17 2021-03-25 비타민 샤워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94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329B1 (ko) * 2011-11-29 2012-03-23 윤상진 슬러리 및 자원 재활용 여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535B1 (ko) * 2017-12-05 2019-06-26 이대성 샤워 카트리지
KR20200076957A (ko) *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이온스파 자화수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329B1 (ko) * 2011-11-29 2012-03-23 윤상진 슬러리 및 자원 재활용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401B1 (ko) 2021-10-06
KR20220067475A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535B1 (ko) 샤워 카트리지
TWI580385B (zh) 蓮蓬頭及匣
KR101210305B1 (ko) 정수기능을 갖는 샤워기
KR101298922B1 (ko) 버블 효과가 극대화된 다기능 샤워기
EP3411154B1 (en) A water-saving nozzle mountable on a faucet
KR20090003277U (ko) 미용성분 카트리지를 갖는 샤워기
KR100790828B1 (ko) 음용 및 세정 목적의 수처리용 필터 카트리지 구조를 갖는여과장치
KR20110004345U (ko) 샤워기 헤드
KR102415623B1 (ko) 샤워겔이 구비된 샤워카트리지
KR102368934B1 (ko) 샤워필터 장치
KR101594130B1 (ko) 음용 및 샤워용 비타민 공급 장치
JP4259989B2 (ja) 混合用アタッチメント
CN112604829B (zh) 一种水流切换组件及具有其的花洒
KR20180083037A (ko) 샤워 필터 장치
JP3800479B2 (ja) 混入溶液徐放機能付き給水器
KR100966256B1 (ko) 입욕제 투입기 및 입욕제 용출시스템
KR102049321B1 (ko) 정수장치
KR200300748Y1 (ko) 수용성 분말의 배출량이 일정한 샤워기
JP2001218691A (ja) 塩素除去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KR20050072875A (ko) 다기능 샤워기
KR200325992Y1 (ko) 여과체가 구비된 샤워기 헤드
KR200325272Y1 (ko) 필터가 구비된 샤워기
JP2000350670A5 (ko)
CN215507333U (zh) 一种水流切换组件及具有其的美容花洒
US20060180681A1 (en) Faucet adap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