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513B1 -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513B1
KR102415513B1 KR1020210174111A KR20210174111A KR102415513B1 KR 102415513 B1 KR102415513 B1 KR 102415513B1 KR 1020210174111 A KR1020210174111 A KR 1020210174111A KR 20210174111 A KR20210174111 A KR 20210174111A KR 102415513 B1 KR102415513 B1 KR 102415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zone se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승
김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더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더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더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10174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2Arrangements for broadcast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방송송출에 대한 ON/OFF 제어를 수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반의 방송시스템에서 운영컴퓨터의 고장, 방송 주제어장치의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운영자로 하여금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비상시에도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Network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network zone selector }
본 발명은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방송송출에 대한 ON/OFF 제어를 수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반의 방송시스템에서 운영컴퓨터의 고장, 방송 주제어장치의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운영자로 하여금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비상시에도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관 방송 시스템은 사무실 빌딩이나 호텔, 학교 등 단일 건물이나 인접건물에서 원하는 지역의 전체, 층별, 구역별 방송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으로서, 여러 가지의 각기 다른 음원을 동시에 송출하여 각 지역이나 구역별로 각기 다른 음원을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건물의 규모나 그 필요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설계된다.
이와 같은 전관방송(Public address) 시스템은 사내방송 시스템 또는 구내방송 시스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전관방송 시스템은 평소에는 업무 수행에 관련된 일상적인 메세지를 전달하는 수단이고 화재나 사고 발생 등의 비상 상황에서는 대피 안내 방송 등의 기능도 수행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며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종래 전관방송시스템이 가지는 거리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전관방송 시스템이 근래에는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전관 방송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다. 네트워크 기반 전관방송시스템은 운영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운영컴퓨터, 메인 컨트롤러, 네트워크 방송서버, 네트워크 허브, 네트워크 방송단말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네트워크 기반 전관방송시스템은 방송조작이 운영컴퓨터, 메인컨트롤러를 이용해 제어되기 때문에 운영컴퓨터의 고장, 운영소프트웨어의 장애, 메인컨트롤러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네트워크 방송단말 제어 불능을 포함하여 방송 기능이 상실되는 단점이 있다.
관련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825923호에는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방송을 위한 지역과 방송 수용 최종단을 선택하여 해당 방송 타겟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 컴퓨터(300); 방송을 위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컴퓨터(300)로부터의 제어 신호와 함께 이더넷 패킷으로 조립하여 이너넷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네트워크 제어장치(200); 및 각 지역에 분산배치되며, 상기 네트워크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이더넷 패킷을 자신의 고유 주소 정보를 이용해 수신하고 해당 이더넷 패킷에서 오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를 분리하여 해당 제어 신호에 포함된 노드 제어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최종 스피커에 출력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증폭장치(500);를 포함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25923호(2008.10.27.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8575호(2004.03.04.) 등록특허공보 제10-0512473호(2005.09.02.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745662호(2017.06.2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기존 네트워크 전관방송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방송 기능상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수동제어 수단을 제공하여 장애 발생시 운영자가 네트워크 방송단말들의 제어를 수동조작하여 방송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은, 방송을 출력하는 다수의 방송단말과;
음성, 오디오 및 비상신호 중 선택된 1개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단말로 방송정보를 송출하며, 다수의 방송단말 각각에 연결된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방송시스템과;
상기 방송시스템 및 다수의 방송단말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시스템은,
음성, 오디오 및 비상신호 중 선택된 1개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로 하여금 방송신호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는,
다수의 방송단말을 채널로 구분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정해진 방송단말로 방송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보조 컨트롤러(1)와;
각 보조 컨트롤러(1)에 대응되도록 각각 포함된 스위치(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보조 컨트롤러와 스위치는 하나의 논리적 채널이며, 각 채널은 1개 또는 1개 이상의 방송단말과 대응(Mapping) 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정보가 수신되면, 방송정보를 출력할 채널을 판단하되,
판단결과,
방송정보를 수신할 채널이 선택적인 경우 선택된 채널로 방송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며,
방송정보를 수신한 채널이 모든 채널인 경우, 모든 채널로 방송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방송정보를 수신할 채널의 상태가 스위치에 기반하여 온(On) 상태인지 혹은 오프(Off) 상태인지를 판단하되,
판단결과,
채널상태가 온(On)이라면, 온 상태를 유지 및 갱신하고, 방송정보를 출력하여 오디오 스트리밍을 시작하고,
채널상태가 오프(Off)라면, 해당 채널로 방송정보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는,
상기 스위치의 누름이 판단되면, 스위치의 누름이 '전체' 스위치에서 발생된 것인지 판단하되,
전체가 아니라면, 스위치에 해당하는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채널의 온/오프를 변경하여 온상태는 오프상태로, 오프상태는 온상태로 변경하고,
전체라면, 모든 채널의 온/오프를 일괄적으로 변경하여 전체 채널이 온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오프상태가 되도록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컴퓨터 또는 방송 주 제어장치에 장애가 발생되더라도, 운영자로 하여금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비상시에도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으로써, 비상대피방송 등 긴급을 요구하는 방송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중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중 네트워크 구역선택기에서 주제어기로부터 제어 메시지 수신시 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중 네트워크 구역선택기에서 스위치 변동이 발생된 경우 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중 방송단말기에서 네트워크구역선택기로부터 수신한 채널상태메시지를 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방송송출에 대한 ON/OFF 제어를 수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반의 방송시스템에서 운영컴퓨터의 고장, 방송 주제어장치의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운영자로 하여금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비상시에도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은, 방송을 출력하는 다수의 방송단말과; 음성, 오디오 및 비상신호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단말로 방송정보를 송출하며, 다수의 방송단말 각각에 연결된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방송시스템과; 상기 방송시스템 및 다수의 방송단말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방송단말이란, 방송을 송출하는 모든 기기를 의미하며, 예컨대 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 또는 음성과 영상 모두를 출력하는 모니터 등 종래 모든 기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자명하게 선택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방송시스템의 음성이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정보를 의미하고, 오디오란 별도의 음원을 통해 입력되는 모든 오디오정보를 의미하며, 비상신호란 특정 음성으로 설정된 종래의 모든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시스템는 음성, 오디오 및 비상신호 중 선택된 1개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로 하여금 방송신호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술된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는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중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상기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는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다수의 방송단말을 채널로 구분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정해진 방송단말로 방송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보조 컨트롤러(1)를 포함하고, 각 보조 컨트롤러(1)에 대응되는 스위치(2)를 각각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2)는 연결된 각 방송단말로 방송정보 출력을 위한 온(On)/오프(Off) 기능을 수행하며, 버튼식, 누름식, 패드식, 전환식 등 종래 모든 스위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컨트롤러(1)는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방송정보를 도 2의 오디오입력부를 통해 입력받고, 오디오 코덱을 통해 입력된 방송정보의 신호 형태를 아날로그->디지털로 변환한다.
이렇게 된 방송정보는 보조 컨트롤러(1)의 제어부를 통해 전송된 방송단말로 방송정보를 출력할지를 선택하게 되는데, 이는 스위치(2)의 조작에 기반한다.
또한, 보조 컨트롤러(1)는 별도의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보조 컨트롤러(1)의 상태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정보는 스위치(2)에 의한 온/오프 상태를 포함하여, 방송단말에 연결되기 위한 채널의 모든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보조 컨트롤러(1)는 채널별로 연결된 각 방송단말과의 네트워크에 기반한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방송단말 역시 보조 컨트롤러(1)를 통해 네트워크 구역선택기에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방송단말은 수신된 방송정보에 기반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 모든 구성을 포함함이 당연하나, 본 발명의 주요 목적상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방송단말에 연결되는 별도의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는 수신기에 구비되도록 하여, 기존 방송단말의 교체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의 경우, 수신된 방송정보를 다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방송단말과의 연동제어를 위한 I/O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I/O인터페이스는 릴레이 접점출력, 시리얼 통신 포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경우, 외부 전원없이 LAN 케이블을 통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POE (Power of Ethernet) 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컨트롤러는 입력된 정보를, 출력될 방송정보가 모든 채널, 즉 모든 방송단말로 출력되도록 할 것인지, 혹은 선택된 채널로 출력되도록 할 것인지를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기반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여러 개의 방송단말이 1개의 채널로 병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송정보의 채널 선택에 대한 처리절차를 부연하면, 컨트롤러를 통해 채널선택에 대한 제어메시지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는 제어부를 통해 방송정보를 출력할 채널의 판단하도록 한다.
판단결과, 방송정보를 수신할 채널이 선택적인 경우 선택된 채널로 방송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며, 네트워크 구역선택기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판단결과, 방송정보를 수신한 채널이 모든 채널인 경우, 모든 채널로 방송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며, 모든 채널별 네트워크 구역선택기의 표시부를 통해 각각 출력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나 운영프로그램을 포함한 운영컴퓨터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스위치(2)를 통해 방송송출에 대한 온/오프 제어를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한 절차는 첨부된 도면의 도 4와 도 5에서 나타내었다.
첨부된 도면의 도 4와 도 5를 참조한 절차는, 채널을 판단한 후 방송정보를 출력하기 전의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는 메인컨트롤러 또는 운영컴퓨터으로부터 수신한 채널 제어메시지에 따라 채널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는 수신한 제어메시지를 해석하여 명령어, 채널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메시지의 채널이 “전체” 면 명령어에 따라 전체 채널의 채널 상태를 ON 또는 OFF 로 설정한다. 채널상태가 변경되었으므로 채널들에 연동된 네트워크 방송단말들에게 채널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각 채널상태는 표시부에 표시된다.
제어메시지의 채널이 “전체”가 아니면 채널정보에 대응하는 채널을 선택하고 명령어에 따라 전체 채널의 채널 상태를 ON 또는 OFF 로 설정한다. 채널상태가 변경되었으므로 해당 채널에 연동된 네트워크 방송단말들에게 채널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동작 후에는 마찬가지로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판단결과, 채널상태가 오프(Off)라면, 해당 채널로 방송정보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표시부를 통해 이러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스위치(2)의 조작이 발생된 경우, 네트워크 구역선택기의 제어부가 처리하는 절차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중 네트워크 구역선택기에서 스위치 변동이 발생된 경우 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따르면, 스위치의 누름이 판단되면 네트워크 구역선택기의 보조컨트롤러의 제어부는 스위치의 누름이 "전체" 스위치에서 발생된 것인지 판단하되,
전체가 아니라면, 스위치에 해당하는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채널의 온/오프를 변경하여 온상태는 오프상태로, 오프상태는 온상태로 변경한 후, 상태변경에 따른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만약, 전체인 경우라면, 모든 채널의 온/오프를 일괄적으로 변경하여 전체 채널이 온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오프상태가 되도록 변경한 후, 그에 따른 상태 변경을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온/오프 상태 변경에 따른 정보는, 상술된 바와 같이 수신기를 포함하는 경우 상태공유를 위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수신기의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만약 네트워크 구역선택기의 오류로 오프상태인 채널로 방송정보가 출력되어도 수신기가 해당 방송정보를 출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오작동에 대한 가능성을 2차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중 네트워크 방송단말기에서 네트워크 구역선택기의 채널상태 메시지 수신시 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5을 참조하면, 네트워크방송단말기는 네트워크구역선택기로부터 수신한 채널상태메시지의 정보를 해석하여,
판단결과, 채널상태가 온(On)이라면, 온 상태를 유지 및 갱신하고, 방송정보를 출력하여 오디오 스트리밍을 시작한다. 그리고 방송정보 출력에 대하여 설계시 사전에 정의된 방송출력에 대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 후에는 마찬가지로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판단결과, 채널상태가 오프(Off)라면, 해당 채널로 방송정보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표시부를 통해 이러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보조 컨트롤러
2 : 스위치

Claims (5)

  1. 방송을 출력하는 다수의 방송단말과;
    음성, 오디오 및 비상신호 중 선택된 1개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단말로 방송정보를 송출하며, 다수의 방송단말 각각에 연결된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방송시스템과;
    상기 방송시스템 및 다수의 방송단말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시스템은,
    음성, 오디오 및 비상신호 중 선택된 1개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로 하여금 방송신호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는,
    다수의 방송단말을 채널로 구분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정해진 방송단말로 방송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보조 컨트롤러(1)와;
    각 보조 컨트롤러(1)에 대응되도록 각각 포함된 스위치(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 보조 컨트롤러(1)와 스위치(2)는 하나의 채널을 구성하며, 각 채널은 1개 또는 1개 이상의 방송단말과 대응(Mapp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방송정보를 출력할 채널을 판단하되,
    판단결과,
    방송정보를 수신할 채널이 선택적인 경우 선택된 채널로 방송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며,
    방송정보를 수신한 채널이 모든 채널인 경우, 모든 채널로 방송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방송정보를 수신할 채널의 상태가 스위치에 기반하여 온(On) 상태인지 혹은 오프(Off) 상태인지를 판단하되,
    판단결과,
    채널상태가 온(On)이라면, 온 상태를 유지 및 갱신하고, 채널상태정보를 채널과 연동된 네트워크 방송단말에 제공되며,
    채널상태가 오프(Off)라면, 채널상태정보를 채널과 연동된 네트워크 방송단말에 제공하여 방송단말이 출력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는,
    상기 스위치의 누름이 판단되면, 스위치의 누름이 "전체" 스위치에서 발생된 것인지 판단하되,
    전체가 아니라면, 스위치에 해당하는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채널의 온/오프를 변경하여 온상태는 오프상태로, 오프상태는 온상태로 변경하고,
    전체라면, 모든 채널의 온/오프를 일괄적으로 변경하여 전체 채널이 온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오프상태가 되도록 변경하고 변경된 채널 정보를 채널들에 연동된 방송단말들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송단말은,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채널의 상태가 온(On) 상태인지 혹은 오프(Off) 상태인지를 판단하되,
    판단결과,
    채널상태가 온(On)이라면, 온 상태를 유지 및 갱신하고, 오디오 스트리밍 수신을 시작하고, 연결된 앰프나 스피커로 방송을 시작하고,
    채널상태가 오프(Off)라면, 오디오스트리밍 수신을 중지하고 방송 출력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KR1020210174111A 2021-12-07 2021-12-07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KR102415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111A KR102415513B1 (ko) 2021-12-07 2021-12-07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111A KR102415513B1 (ko) 2021-12-07 2021-12-07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513B1 true KR102415513B1 (ko) 2022-07-01

Family

ID=8239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111A KR102415513B1 (ko) 2021-12-07 2021-12-07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5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575A (ko) 2002-08-22 2004-03-04 엠아이피텔레콤 주식회사 브이오아이피를 이용한 방송장치
KR100512473B1 (ko) 2004-11-30 2005-09-02 이종성 네트워크 오디오 스피커 시스템
KR100825923B1 (ko) 2007-07-31 2008-10-27 가락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KR101017018B1 (ko) * 2010-11-17 2011-02-23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디지털 매트릭스 앰프를 이용한 다원화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45662B1 (ko) 2015-09-04 2017-06-20 (주)원영전자 구내 방송을 위한 송출기 및 수신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575A (ko) 2002-08-22 2004-03-04 엠아이피텔레콤 주식회사 브이오아이피를 이용한 방송장치
KR100512473B1 (ko) 2004-11-30 2005-09-02 이종성 네트워크 오디오 스피커 시스템
KR100825923B1 (ko) 2007-07-31 2008-10-27 가락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KR101017018B1 (ko) * 2010-11-17 2011-02-23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디지털 매트릭스 앰프를 이용한 다원화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45662B1 (ko) 2015-09-04 2017-06-20 (주)원영전자 구내 방송을 위한 송출기 및 수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1597A (en) Audio processor
US9774966B1 (en) Multi-speaker control from single smart master speaker
WO2017165105A1 (en) Universal internet of things (iot) smart translator
JP2014021485A (ja) 多国言語音声翻訳を具えるテレビシステム及びその実現方法
CN105282660A (zh) 一种实现多声道立体声输出的方法、终端和系统
JP2012151725A (ja) シンク機器
JP6141449B2 (ja) オーディオストリーム装置
CN108353240B (zh) 音频系统、音频装置和音频装置设置方法
KR102415513B1 (ko) 네트워크 구역선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방송시스템
US9524294B2 (en) Circuitry for a commentator and/or simultaneous translator system, operating unit and commentator and/or simultaneous translator system
KR101778126B1 (ko) 다채널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스마트 방송 시스템
US20050289613A1 (en) Control architecture for audio/video (A/V) systems
US11665492B2 (en) In-ceiling loudspeaker assembly with digital interface
US10652658B2 (en)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terminal
WO2017127322A1 (en) Architecture for a media system
US20170243474A1 (en) Remote control with microphone used for pairing the remote control to a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050582B2 (en) Control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KR102372493B1 (ko)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EP2372994B1 (en) Nurse call communication system
US11438461B2 (en) Volume control over shared trunk lines in intercom systems
CN110035078B (zh) 一种音频系统
US107358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transfer when putting on/removing headphones plu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CN108028986B (zh) 控制终端、音频系统以及控制音频系统的方法
US20180192190A1 (en) Mixing console, microphone, and microphone adapter
WO2023079682A1 (ja) 表示装置、表示装置連携システム、及び音声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