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305B1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305B1
KR102415305B1 KR1020200099373A KR20200099373A KR102415305B1 KR 102415305 B1 KR102415305 B1 KR 102415305B1 KR 1020200099373 A KR1020200099373 A KR 1020200099373A KR 20200099373 A KR20200099373 A KR 20200099373A KR 102415305 B1 KR102415305 B1 KR 102415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hthalmic
basic
data
information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8812A (ko
Inventor
허은아
신은동
허은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아이포펫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아이포펫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아이포펫
Priority to KR102020009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305B1/ko
Priority to CN202080104349.3A priority patent/CN116157051A/zh
Priority to JP2023509398A priority patent/JP2023537384A/ja
Priority to US18/019,799 priority patent/US20230301512A1/en
Priority to PCT/KR2020/014380 priority patent/WO2022030683A1/ko
Priority to DE112020007293.2T priority patent/DE112020007293T5/de
Publication of KR20220018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건강관리서버가 기초안과상태정보 및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매칭하여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사대상체의 안과상태측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안과상태측정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기초안과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초안과촬영정보에 포함된 이미지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전처리된 상기 이미지로부터 분석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분석이미지로부터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부위별 분석이미지에 대한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여 기초진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기초진단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부위별 분석이미지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기초판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기초진단데이터 및 상기 기초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기초판단데이터가 포함된 상기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 {OPHTHALMIC DISEASE MEASURING SYSTEM USING A PORTABLE TREMINAL AND OPHTHALMIC DISEASE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안과에 질환이 발생한 경우 초기에 질환유무를 빠르게 판단하여 신속한 진료를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구구조가 고령화되고 독신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인간은 점차 자기중심적이고 맘이 황폐해져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을 가족 구성원 또는 동반자로 인식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동물 시장 또한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에게 평소에는 볼 수 없었던 이상 증세가 발생하는 경우 대부분 반려동물을 동물 병원에 데리고 가서 치료를 받거나 주위 사람 또는 인터넷·전화 등을 통하여 입수한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에게 발생한 이상 증세를 해결하여 왔다.
그러나 주위 사람 또는 인터넷·전화 등을 통하여 입수한 정보는 잘못된 정보도 많기 때문에 치료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병원을 직접 방문한 경우에도 병원에서의 대기 시간이 길고, 병원 업무량이 많아 고객에게 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32088호(2003. 04. 26.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방법은, 건강관리서버가 기초안과상태정보 및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매칭하여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사대상체의 안과상태측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안과상태측정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기초안과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초안과촬영정보에 포함된 이미지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전처리된 상기 이미지로부터 분석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분석이미지로부터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부위별 분석이미지에 대한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여 기초진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기초진단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부위별 분석이미지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기초판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기초진단데이터 및 상기 기초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기초판단데이터가 포함된 상기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기초안과상태정보에 포함된 상기 검사대상체의 기초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동시에 분석하여 상기 질환별 진행단계에 따라 상기 기초안과촬영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기초안과촬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일반촬영모드에서 상기 검사대상체의 눈을 촬영하여 일반촬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스캐너를 이용한 스캐너촬영모드에서 상기 검사대상체의 동공에 격자패턴이 스캔 되도록 상기 검사대상체의 눈을 촬영하여 스캐너촬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안과촬영정보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초안과촬영정보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정상이미지를 판단하여 최소 10장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필터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체의 동공에 스캔된 상기 격자패턴을 이용하여 각막 표면에 이상징후가 발생한 경우,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검사대상체에 대한 상기 안과질환을 유로 진단하고, 이에 대한 상기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기초안과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반복 학습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검사대상체의 상기 안과상태측정정보에 포함된 실제안과촬영정보에서 실제분석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실제분석이미지로부터 부위별 실제분석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부위별 실제분석이미지에 대한 상기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여 실제안과진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실제안과진단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부위별 실제분석이미지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실제판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실제안과진단데이터와 상기 실제안과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판단데이터가 포함된 상기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안과건강결과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진료관리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진료관리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서비스연계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관리방법은, 건강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검사대상체의 안과상태측정정보에 대응하는 건강관리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건강관리데이터를 서비스연계 단말기와 공유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서비스연계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병원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강관리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추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와 상기 서비스연계 단말기 사이의 예약관리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연계 단말기가 상기 건강관리데이터에 대응하여 진료관리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연계 단말기는 상기 검사대상체에 대한 알림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은, 검사대상체로부터 획득한 실제안과촬영정보가 포함된 안과상태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기초안과상태정보와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매칭하여 생성된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반복 학습하여 상기 안과상태측정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체에 대한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건강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실제안과촬영정보로부터 실제분석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실제분석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부위별 실제분석이미지를 동시에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체에 대한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여 실제안과진단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실제안과진단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안과질환의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생성되는 실제판단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과건강결과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진료관리데이터를 공유하는 서비스연계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안과상태측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학습하여 상기 안과상태측정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자 단말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관리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대상체 특히, 반려동물의 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현재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서 반려동물의 보호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현재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진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현재상태에 대한 병원정보를 함께 제공받음으로써, 반려동물의 질병에 대응가능한 병원에서 반려동물의 질병을 초기에 치료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에 대한 알림정보를 보호자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동물병원의 재방문유도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결과데이터를 연계서비스와 공유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반려동물을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어서 반려동물의 보호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기초안과촬영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기초안과상태정보에 대응하여 라벨링된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다.
도 14는 7에 도시된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기초안과촬영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기초안과상태정보에 대응하여 라벨링된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기(10), 건강관리서버(20), 서비스연계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기(40)는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 건강관리서버(20), 서비스연계 단말기(30) 및 관리자 단말기(40)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망은 다양한 원거리 통신 방식이 지원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RF(Radio Frequency), LoRa(Long Range)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널리 알려진 다양한 무선통신 또는 이동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1000)을 이용하여 반려동물 특히, 강아지로 한정하여 반려동물의 눈을 촬영하고, 이에 대한 안과질환의 유무 및 안과질환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호자 또는 반려인 또는 견주(이하, 보호자라 함)와 함께 생활하는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등과 같은 척추동물, 절지동물, 연체동물과 같은 무척추동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동물의 안과질환뿐만 아니라 사람의 안과질환을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반려동물(1)의 보호자가 소지한 휴대 가능한 단말기로써, 본 개시에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서버 또는 건강관리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테블릿(Tablet),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등 포함) 및 각종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과 같은 다양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00), 송수신부(110), 메모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단말기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0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하여 반려동물(1)의 안구를 인식하여 안구를 중심으로 촬영한 실제안과촬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제안과촬영정보는 반려동물(1)의 관리가 필요한 상태의 사진 및/또는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안과촬영정보에는 반려동물(1)의 눈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촬영부(100)는 후술되는 촬영보조기구인 스캐너(2)를 이용하여 반려동물(1)의 눈의 상태를 촬영하여 실제안과촬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반려동물(1)의 동공에 격자패턴이 스캔 되도록 하는 스캐너(2)를 이용하여 반려동물(1)의 눈의 상태를 촬영하여 실제안과촬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송수신부(110)는 안과상태측정정보를 건강관리서버(20)로 전송하고, 건강관리서버(20)로부터 안과건강표준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건강관리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안과건강표준데이터는 안과건강결과데이터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여기서, 안과상태측정정보는 실제안과촬영정보를 기초로 주변환경, 흔들림, 눈깜빡임, 동공촬영여부 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밝기, 선명도 등을 조절된 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과건강표준데이터는 반려동물(1)의 기초안과상태정보와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매칭하여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
기초안과상태정보에는 기초정보 및 기초안과촬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기초정보는 보호자정보, 유기정보, 병원기록정보, 고유식별번호, 견종, 성별, 나이, 몸무게, 중성화유무 등을 포함하고, 보호자정보는 연락처 등을 포함하며, 병원기록정보는 예방접종정보, 진료정보, 알러지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병원기록정보에 미용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기초안과촬영정보는 일반촬영모드로 촬영된 일반촬영정보와 스캐너(2)를 이용하여 촬영된 스캐너촬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초안과결과데이터는 기초진단데이터 및 기초판단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초진단데이터는 기초안과촬영정보를 이용하여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는 데이터이고, 기초판단데이터는 기초진단데이터를 기초로 안과질환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 등을 판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기초진단데이터는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안과건강결과데이터는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안과상태측정정보를 이용하여 반려동물(1)의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한 실제안과진단데이터와,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실제안과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질환별 진행단계 등을 판단한 실제판단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제안과진단데이터는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안과질환에 대한 질환명에는 건성안, 궤양성 각막염, 비궤양성 각막염, 결막염, 녹내장, 포도막염, 유루증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송수신부(110)는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건강관리서버(20)로 수신하고,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건강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송수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안과상태측정정보를 건강관리서버(20)로 전송하는 경우, 건강관리서버(20)로부터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10)는 진료관리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진료관리데이터는 반려동물(1)의 현상태 또는 질환상태에 따라 추천가능한 추천정보, 예약관리정보, 동물병원연계정보 및 병원기록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메모리부(12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사용자 단말기(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기(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동작상태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동작 상태에 따라 기호, 문자, 숫자 등을 화면에 출력할 수 디스플레이, 색변화 또는 깜빡임으로 출력하는 램프, 또는 오디오로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1)에 대한 측정이 완료된 후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실제안과진단데이터를 O/X로 표시하거나, 화면을 적색 또는 녹색으로 깜빡이거나, '정상입니다' 또는 '병원 방문을 추천 드립니다' 등의 안내문구를 표시하거나, 실제판단데이터를 사전적정보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30)는 안내 문구를 소리로 안내하여 보호자가 반려동물(1)의 결과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진료관리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동물병원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추천정보에 해당하는 병원의 위치, 연락처, 예약가능한 날짜 등의 병원정보를 로드뷰 또는 지도 또는 달력과 함께 표시하거나, 진료내역정보, 예방정보 등을 포함하는 병원기록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의 예약요청신호에 예약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받은 예약완료신호가 포함된 예약관리정보를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제어부(140)는 보호자의 수동 동작에 의해 촬영부(100)를 작동시켜 반려동물(1)의 안과상태측정정보를 생성하고, 안과상태측정정보에 대한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제어부(140)는 반려동물(1)의 안구를 인식하여 안구를 중심으로 획득한 실제안과촬영정보를 자동 보정하여 안과상태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안과상태측정정보는 실제기초정보 및 실제안과촬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제기초정보는 보호자정보, 병원기록정보, 고유식별번호, 견종, 성별, 나이, 몸무게, 중성화유무 등을 포함하고, 보호자정보는 연락처 등을 포함하며, 병원기록정보는 예방접종정보, 진료정보, 알러지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병원기록정보에 미용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실제안과촬영정보는 실제안과촬영정보로부터 주변환경, 흔들림, 눈깜빡임, 동공촬영여부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밝기 및 선명도를 조절하여 생성된 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진은 최소 1장, 동영상은 최소 10초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안과상태측정정보는 일반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사진 및/또는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거나, 스캐너촬영모드에서 스캐너(2)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 및/또는 동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말기제어부(140)는 휴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시간 및 장소에 상관없이 안과상태측정정보에 대한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반려동물(1)의 안과질환의 유무 및 안과질환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1)의 안과질환을 초기에 치료하여 반려동물(1)의 건강을 지킬 수 있음으로써, 보호자의 다양성을 존중하면서 편의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제어부(140)는 건강관리서버(20)로부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수신받은 경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안과상태측정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제어부(140)는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기초로 반려동물(1)의 현상태 또는 질환상태에 대응하는 진료관리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제어부(140)는 동물병원연계정보를 기초로 안과건강결과데이터에 따라 추천된 추천정보에 의해 병원선택, 병원예약요청 등을 포함하는 예약요청신호를 생성하여 건강관리서버(20) 또는 서비스연계 단말기(30)로 전송하고, 예약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예약완료신호를 건강관리서버(20) 또는 서비스연계 단말기(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제어부(140)는 건강관리서버(20) 또는 서비스연계 단말기(30)로부터 반려동물(1)의 병원기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20)는 통신부(200), 데이터베이스부(210), 모니터링부(220), 질환데이터관리부(230), 진료데이터관리부(240) 및 관리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안과상태측정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200)는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00)는 진료관리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와 건강관리서버(20)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200)는 진료관리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와 서비스연계 단말기(30)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1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 및 서비스연계 단말기(30)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안과건강표준데이터는 안과건강결과데이터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10)는 건강관리서버(2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10)는 건강관리서버(2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건강관리서버(2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부(210)에 저장되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기초안과상태정보, 안과상태측정정보, 안과건강결과데이터 및 안과건강표준데이터는 상호 대응되는 매핑 테이블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모니터링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동작상태, 건강관리서버(20)의 동작상태,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와 건강관리서버(20) 사이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보호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여 보호자에게 더욱 신뢰감을 줄 수 있다.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복수의 반려동물(1)로부터 기초안과상태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기초안과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초안과상태정보는 유기견 센터, 보호소 등의 시설의 강아지로부터 획득한 정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반려동물(1)에 대한 기초정보를 입력하고, 반려동물(1)의 촬영부위를 설정한 후, 일반촬영모드로 촬영한 일반촬영정보와 스캐너촬영모드로 촬영한 스캐너촬영정보로 이루어진 기초안과촬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초안과상태정보는 복수의 반려동물(1)에 대한 기초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1)의 눈에 대한 기초안과촬영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얼굴, 머리, 배, 발, 가슴, 등 다양한 부위에 대한 기초안과촬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기초안과촬영정보에는 사진 또는 동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부위에 대한 기초안과촬영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도 4를 참고하면, 일반촬영모드에서 반려동물(1)의 동공이 정확하게 촬영될 수 있도록 하고, 스캐너촬영모드에서 반려동물(1)의 동공에 스캐너(2)의 격자패턴이 스캔될 수 있도록 상의 크기와 촬영거리를 산출하여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기초안과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초안과촬영정보를 이용하여 안과질환의 유무를 판단하고, 안과질환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안과질환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가 포함된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하면,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기초안과촬영정보를 이용하여 안과질환의 유무를 분석하여 Level 1(정상) 및 Level 2(건성안)로 분류하여 1차 라벨링하고,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비궤양성 각막염 및 궤양성 각막염 등으로 분류하여 2차 라벨링하여 데이터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반려동물(1)의 기초정보를 기초로 기초안과촬영정보를 전처리하여 분석가능한 이미지를 추출 및 보정하고, 추출된 분석이미지로부터 부위별 분석이미지 추출하여 육안으로 진단가능한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여 기초진단데이터를 생성하고, 기초진단데이터를 기초로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동시에 분석하여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함으로써, 복수의 질병에 대하여 진행단계가 분석된 기초판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초진단데이터는 동공에 스캔된 격자패턴을 이용하여 각막 표면에 이상징후를 육안으로 진단가능한 데이터이고, 기초판단데이터는 기초진단데이터를 기초로 추출된 분석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질병 분석을 위한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추출하여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동공에 스캔된 격자패턴이 불규칙한 경우 건성안으로 판단하고, 뭉개지는 경우 각막손상이 있다고 진단하여 안과질환유무에 대한 기초진단데이터를 생성하고, 기초진단데이터를 기초로 DCI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부위별로 동시에 판단하여 질환별 진행단계가 포함된 기초판단데이터를 더욱 명확하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기초안과촬영정보가 눈을 촬영한 정보인 경우, 기초안과촬영정보에 포함된 사진 또는 동영상에서 주변환경, 흔들림, 눈깜빡임, 동공촬영여부 등을 고려하여 분석가능한 분석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분석이미지에 대해서 자동으로 밝기, 선명도 등을 보정하고, 보정된 분석이미지에서 동공, 흰자부위, 눈꺼풀 등의 복수의 질병 분석을 위한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추출하고, 이를 동시에 분석하여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레벨별로 라벨링하여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기초안과촬영정보가 사진인 경우 1장의 사진에 대해서 기초진단데이터 및 기초판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초안과촬영정보가 동영상인 경우 필터링 단계를 통해 동영상으로부터 정상이미지를 판단하여 최소 10장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기초진단데이터 및 기초판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필터링은 라플라스(Laplace) 필터를 이용하여 전체 면적에서 눈이 차지하는 면적이 일정 이상이 되는 경우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이미지의 흔들림 정도를 필터링하여 정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진료데이터관리부(240)는 안과건강결과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와 서비스연계 단말기(30) 사이에 송수신되는 진료관리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진료관리데이터는 반려동물(1)의 현상태 또는 질환상태에 따라 추천가능한 추천정보, 예약관리정보, 동물병원연계정보 및 병원기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데이터관리부(240)는 실제안과진단데이터에 따라 진료가 필요한 경우 병원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추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추천정보는 서비스연계 단말기(30)로부터 제공받은 병원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동물병원연계정보를 이용하여 안과건강결과데이터에 대응하는 병원정보를 추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진료데이터관리부(24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서비스연계 단말기(30) 사이의 예약관리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데이터관리부(24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받은 예약요청신호를 서비스연계 단말기(30)로 전송하고, 서비스연계 단말기(30)로부터 예약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된 예약완료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진료데이터관리부(240)는 병원기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진료데이터관리부(240)는 병원기록정보를 서비스연계 단말기(3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데이터관리부(240)는 반려동물(1)의 진료가 완료된 후인 경우 진료내역정보가 포함된 병원기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일반적인 경우 예방정보 또는 미용정보가 포함된 병원기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진료데이터관리부(240)는 반려동물(1)에 대한 알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알림정보는 서비스연계 단말기(30)에 의해서 생성된 정보로써 반려동물(1)의 진료 또는 미용에 대한 알림정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진료데이터관리부(240)는 병원기록정보를 타서버와 공유할 수 있다.
관리제어부(250)는 딥러닝을 이용하여 기초안과상태정보와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매칭시켜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딥러닝을 이용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등의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관리제어부(250)는 안과건강결과데이터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제어부(250)는 기초안과상태정보와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을 기초로 반복 학습하여 적합성을 검증하여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검증하는 과정은 위탁연구기간의 수의사 및 연구진 예를 들어 최소 3 명의 전문의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합성이 교차 검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관리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안과상태측정정보를 수신한 경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제어부(250)는 안과상태측정정보에 포함된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전처리하여 추출된 실제분석이미지로부터 이미지별 실제분석이미지를 추출하여 안과질환의 유무를 육안으로 진단가능한 실제안과진단데이터와, 실제안과진단데이터를 기초로 부위별 실제분석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질병 분석을 동시에 분석하여 실제안과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생성된 실제판단데이터가 포함된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제어부(250)는 실제안과촬영정보가 눈을 촬영한 정보인 경우, 실제안과촬영정보에 포함된 사진 또는 동영상에서 주변환경, 흔들림, 눈깜빡임, 동공촬영여부 등을 고려하여 분석가능한 실제분석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실제분석이미지에 대해서 자동으로 밝기, 선명도 등을 보정하여 보정된 실제분석이미지에서 동공, 흰자부위, 눈꺼풀 등의 복수의 질병 분석을 위한 부위별 실제분석이미지를 추출하고, 육안으로 진단가능한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여 실제안과진단데이터와, 실제안과진단데이터를 기초로 이를 분석하여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실제판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관리제어부(250)는 동공부분의 실제분석이미지에서 상처의 유무를 판단하고, 흰자부분의 실제분석이미지에서 흰자의 색상, 실핏줄의 굵기, 흰자의 붉은 면적 등을 판단하고, 눈꺼풀부분의 실제분석이미지에서 속눈썹의 이상유무, 눈꺼풀의 거친정도를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통해 복수의 질병에 대한 진행단계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관리제어부(250)는 실제안과촬영정보가 사진인 경우 1장의 사진에 대해서 실제안과진단데이터 및 실제판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실제안과촬영정보가 동영상인 경우 필터링 단계를 통해 동영상으로부터 정상이미지를 판단하여 최소 10장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실제안과진단데이터 및 실제판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필터링은 라플라스(Laplace) 필터를 이용하여 전체 면적에서 눈이 차지하는 면적이 일정 이상이 되는 경우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이미지의 흔들림 정도를 필터링하여 정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제어부(250)는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 경우, 반려동물(1)의 안과상태측정정보에 대응하는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0), 서비스연계 단말기(3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40)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함께 광고정보를 삽입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광고수익이 발생하여 유기견 센터, 보호소 등의 시설에 후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건강관리서버(20)는 복수의 반려동물(1)로부터 획득한 기초안과상태정보에 대응하여 라벨링된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반복 학습하여 검증된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획득한 안과상태측정정보로부터 진단부위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를 비교 및 분석하여 복수의 질병을 분석하여 안과질환의 유무 및 질환별 진행단계가 포함된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1)의 상태를 육안이미지로만 판단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병원방문, 방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관리서버(20)는 반려동물(1)의 현상태 또는 질환상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에게 추천정보를 제공하여 반려동물(1)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강관리서버(20)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연계 단말기(30)는 반려동물(1)의 건강을 관리 및 진료하는 복수의 동물병원으로써,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이용하여 반려동물(1)의 진료를 더욱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서비스연계 단말기(30)는 병원기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 건강관리서버(20) 및 별도의 서버와 공유할 수 있다.
서비스연계 단말기(30)는 병원정보 및 알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 및/또는 건강관리서버(20)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연계 단말기(30)는 유기견 센터, 보호소 등의 별도의 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별도의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로써, 사용자 단말기(10), 건강관리서버(20) 및 서비스연계 단말기(30)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기(40)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건강관리서버(20)로부터 수신된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학습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받은 안과상태측정정보를 분석하여 실제안과진단데이터 및 실제판단데이터가 포함된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4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안과상태측정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안과상태측정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40)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안과건강결과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수신받아 건강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제어부(38)는 건강관리서버(20)에서 안과건강결과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건강관리서버(20)로부터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수신받아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40)는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기초로 반려동물(1)의 현상태 또는 질환상태에 대응하는 진료관리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 건강관리서버(20) 및 서비스연계 단말기(30) 중 적어도 하나와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30)는 사용자 단말기(10), 건강관리서버(20) 및 서비스연계 단말기(30)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각종 휴대 가능한 전자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스마트 기기로써,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테블릿(Tablet),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등 포함) 및 각종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과 같은 다양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며, 도 10 내지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고, 도 14는 7에 도시된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려동물(1)을 강아지로 한정하여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관리서버(20)는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0).
구체적으로, 도 8를 참조하면, 건강관리서버(20)는 복수의 반려동물(1)로부터 기초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 여기서, 기초정보에는 보호자정보, 유기정보, 병원기록정보, 고유식별번호, 견종, 성별, 나이, 몸무게, 중성화유무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a)을 참고하면,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별도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반려동물(1)의 기초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 건강관리서버(20)는 기초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1)의 촬영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도 9(b)를 참고하면,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반려동물(1)의 촬영부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반려동물(1)의 신체부위 얼굴, 귀, 배, 발, 가슴, 등 등의 다양한 부위에 대하여 선택할 수 있다.
다음, 건강관리서버(20)는 눈을 촬영하는 경우, 반려동물(1)의 눈을 일반촬영모드에서 1차적으로 촬영하여 일반촬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도 9(c)를 참조하면,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일반촬영모드로 반려동물(1)의 눈을 촬영할 수 있다.
다음, 건강관리서버(20)는 눈을 촬영하는 경우, 반려동물(1)의 눈을 스캐너촬영모드에서 2차적으로 촬영하여 스캐너촬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30).
예를 들어, 도 9(c)를 참조하면,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이동 단말기 및 격자패턴을 갖는 스캐너(2)를 이용하여 스캐너촬영모드로 반려동물(1)의 눈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반려동물(1)의 동공에 격자패턴이 스캔 되도록 스캐너(2)를 반려동물(1)의 눈에 배치시킬 수 있다.
다음, 건강관리서버(20)는 기초정보와, 일반촬영정보 및 스캐너촬영정보가 포함된 기초안과촬영정보를 이용하여 기초안과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40). 이때, 일반촬영정보 및 스캐너촬영정보에는 최소 1장 이상의 사진과 최소 10초 이상의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건강관리서버(20)는 기초안과촬영정보로부터 분석가능한 분석이미지를 추출하여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50).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관리서버(20)는 기초안과촬영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사진인 경우(S200), 사진에 대하여 분석가능한 이미지인지 검증하여 분석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주변환경, 흔들림, 눈깜빡임, 동공촬영여부 등을 고려하여 분석가능한 분석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분석 이미지(도 11(a) 참조)를 보정 처리할 수 있다(도 11(b) 참조). 즉,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분석이미지에서 눈 주위를 추출하여 화이트 밸런스 및 밝기를 보정 처리할 수 있다.
다음, 건강관리서버(20)는 추출된 분석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질병 분석을 위한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도 12를 참고하면,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분석이미지로부터 동공부분에 대한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추출하고(도 12(a) 참조), 흰자부분에 대한 분석 이미지를 부위별 추출하고(도 12(b) 참조), 눈꺼풀부분에 대한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추출하여(도 12(c) 참조) 동시에 복수의 질병을 분석할 수 있다.
다음,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이용하여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한 기초진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동공에 스캔된 격자패턴이 불규칙한 경우 건성안으로 판단하고, 뭉개지는 경우 각막손상이 있다고 진단하여 안과질환의 유무에 대한 기초진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건강관리서버(20)는 기초진단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질병 분석을 위한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판단하여 기초판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240).
구체적으로,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동공부분의 이미지에서 상처의 유무를 판단하고, 흰자부분의 이미지에서 흰자의 색상, 실핏줄의 굵기, 흰자의 붉은 면적 등을 판단하고, 눈꺼풀부분의 이미지에서 속눈썹의 이상유무, 눈꺼풀의 거친정도를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통해 복수의 질병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기초진단데이터를 기초로 DCI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동시에 부위별로 판단하여 복수의 질병 분석이 분석된 기초판단데이터를 더욱 명확하게 생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기초안과촬영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동영상인 경우(S250), 동영상에 대하여 눈깜빡임을 필터링하여 정상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S260).
예를 들어, 질환데이터관리부(230)는 도 13을 참고하면, 필터링 단계를 통해 동영상으로부터 정상이미지를 판단하여 최소 10장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필터링은 라플라스(Laplace) 필터를 이용하여 전체 면적에서 눈이 차지하는 면적이 일정 이상이 되는 경우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이미지의 흔들림 정도를 필터링하여 정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강관리서버(20)는 기초안과상태정보에 대응하는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건강관리서버(20)는 기초안과상태정보와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매칭하여(S160), CNN 알고리즘을 기초로 반복 학습함으로써, 적합성을 검증하여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70, S180).
다음으로, 보호자가 반려동물(1)의 현상태 또는 질환상태에 대한 진단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는 도 14(a)와 같이 해당 반려동물(1)의 눈에 대한 실제안과촬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는 실제기초정보를 입력하고, 실제기초정보 및 실제안과촬영정보를 이용하여 안과상태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4).
다음으로, 건강관리서버(20)는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안과상태측정정보에 대응하는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6).
구체적으로, 관리제어부(250)는 안과상태측정정보에 포함된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전처리하여 실제분석이미지를 추출 및 보정하고, 보정된 실제분석이미지로부터 부위별 실제분석이미지를 추출하여 부위별 실제분석이미지에 대한 안과질환의 유무를 육안으로 진단가능한 실제안과진단데이터와, 실제안과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생성된 실제판단데이터가 포함된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는 건강관리서버(20)로부터 안과상태측정정보에 대응하는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8).
예를 들어, 반려동물(1)에 대한 안과질환의 측정이 완료된 후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14(b)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연계 단말기(30)는 안과건강표준데이터에 기초하여 병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0).
여기서, 병원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이전에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건강관리서버(20)는 병원정보를 기초로 동물병원연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2).
여기서, 동물병원연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전에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건강관리서버(20)는 동물병원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안과건강결과데이터에 대응하는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게 전송할 수 있다(S24).
다음으로, 건강관리서버(20)는 예약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6).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20)는 맞춤정보에 따라 생성된 예약요청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하고, 예약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예약관리정보를 서비스연계 단말기(30)로부터 수신받아 사용자 단말기(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연계 단말기(30)는 반려동물(1)에 대한 진료내역정보가 포함된 병원기록정보를 생성하여 공유할 수 있다(S28).
이때, 병원기록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 및 건강관리서버(20)로 전송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건강관리서버(20)는 안과건강결과데이터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30).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1 : 반려동물 2 : 스캐너
10 : 사용자 단말기 20 : 건강관리서버
30 : 서비스연계 단말기 4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14)

  1. 건강관리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관리방법에 있어서,
    기초안과상태정보 및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매칭하여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사대상체의 안과상태측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안과상태측정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초안과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초안과촬영정보에 포함된 이미지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로부터 분석가능한 분석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분석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질병 분석을 위한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부위별 분석이미지에 대한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여 기초진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진단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부위별 분석이미지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기초판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초진단데이터 및 상기 기초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기초판단데이터가 포함된 상기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안과촬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일반촬영모드에서 상기 검사대상체의 눈을 촬영하여 일반촬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스캐너를 이용한 스캐너촬영모드에서 상기 검사대상체의 동공에 격자패턴이 스캔 되도록 상의 크기와 촬영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검사대상체의 눈을 촬영하여 스캐너촬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진단데이터는 동공에 스캔된 격자패턴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진단가능한 각막 표면의 이상징후에 대한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여 생성된 데이터이고,
    상기 기초판단데이터는 상기 기초진단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기초안과촬영정보를 기초로 부위별 분석이미지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생성된 데이터이고,
    상기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초안과상태정보에 포함된 상기 검사대상체의 기초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육안으로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체의 동공에 스캔된 상기 격자패턴이 불규칙하거나 뭉개지는 경우 안과질환을 유로 분류하여 상기 기초진단데이터를 1차로 라벨링하고, 상기 질환별 진행단계를 동시에 판단하여 질환별로 상기 기초판단데이터를 분류하여 2차로 레벨링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안과촬영정보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안과촬영정보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정상이미지를 판단하여 최소 10장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필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기초안과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반복 학습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검사대상체의 상기 안과상태측정정보에 포함된 실제안과촬영정보에서 실제분석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실제분석이미지로부터 부위별 실제분석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부위별 실제분석이미지에 대한 상기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여 실제안과진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실제안과진단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부위별 실제분석이미지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실제판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실제안과진단데이터와 상기 실제안과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제판단데이터가 포함된 상기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안과건강결과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진료관리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진료관리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서비스연계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방법.
  10. 건강관리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관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검사대상체의 안과상태측정정보에 대응하는 건강관리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데이터를 서비스연계 단말기와 공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연계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병원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강관리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추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와 상기 서비스연계 단말기 사이의 예약관리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연계 단말기가 상기 건강관리데이터에 대응하여 진료관리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연계 단말기는 상기 검사대상체에 대한 알림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기초안과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초안과촬영정보에 포함된 이미지를 전처리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분석가능한 분석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질병 분석을 위한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부위별 분석이미지에 대한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여 기초진단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기초진단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부위별 분석이미지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기초판단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기초진단데이터 및 상기 기초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기초판단데이터가 포함된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일반촬영모드에서 상기 검사대상체의 눈을 촬영하여 획득한 일반촬영정보와, 스캐너를 이용한 스캐너촬영모드에서 상기 검사대상체의 동공에 격자패턴이 스캔 되도록 상의 크기와 촬영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검사대상체의 눈을 촬영하여 획득한 스캐너촬영정보가 포함된 기초안과촬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초진단데이터는 동공에 스캔된 격자패턴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진단가능한 각막 표면의 이상징후에 대한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여 생성된 데이터이고,
    상기 기초판단데이터는 상기 기초진단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기초안과촬영정보을 기초로 부위별 분석이미지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생성된 데이터이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기초안과상태정보에 포함된 상기 검사대상체의 기초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육안으로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체의 동공에 스캔된 상기 격자패턴이 불규칙하거나 뭉개지는 경우 안과질환을 유로 분류하여 상기 기초진단데이터를 1차로 라벨링하고, 상기 질환별 진행단계를 동시에 판단하여 질환별로 상기 기초판단데이터를 분류하여 2차로 레벨링하여 상기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관리방법.
  11. 검사대상체로부터 획득한 실제안과촬영정보가 포함된 안과상태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기초안과상태정보와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매칭하여 생성된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반복 학습하여 상기 안과상태측정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체에 대한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건강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실제안과촬영정보로부터 실제분석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실제분석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부위별 실제분석이미지를 동시에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체에 대한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여 실제안과진단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실제안과진단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안과질환의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생성되는 실제판단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기초안과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초안과촬영정보에 포함된 이미지를 전처리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분석가능한 분석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질병 분석을 위한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부위별 분석이미지에 대한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여 기초진단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기초진단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부위별 분석이미지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기초판단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기초진단데이터 및 상기 기초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기초판단데이터가 포함된 상기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일반촬영모드에서 상기 검사대상체의 눈을 촬영하여 획득한 일반촬영정보와, 스캐너를 이용한 스캐너촬영모드에서 상기 검사대상체의 동공에 격자패턴이 스캔 되도록 상의 크기와 촬영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검사대상체의 눈을 촬영하여 획득한 스캐너촬영정보가 포함된 기초안과촬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초진단데이터는 동공에 스캔된 격자패턴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진단가능한 각막 표면의 이상징후에 대한 안과질환의 유무를 진단하여 생성된 데이터이고,
    상기 기초판단데이터는 상기 기초진단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기초안과촬영정보을 기초로 부위별 분석이미지에 대한 질환별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생성된 데이터이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기초안과상태정보에 포함된 상기 검사대상체의 기초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위별 분석이미지를 육안으로 분석하여 상기 검사대상체의 동공에 스캔된 상기 격자패턴이 불규칙하거나 뭉개지는 경우 안과질환을 유로 분류하여 상기 기초진단데이터를 1차로 라벨링하고, 상기 질환별 진행단계를 동시에 판단하여 질환별로 상기 기초판단데이터를 분류하여 2차로 레벨링하여 상기 기초안과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건강결과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진료관리데이터를 공유하는 서비스연계 단말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안과상태측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안과건강표준데이터를 학습하여 상기 안과상태측정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안과건강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자 단말기;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14.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99373A 2020-08-07 2020-08-07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 KR102415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73A KR102415305B1 (ko) 2020-08-07 2020-08-07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
CN202080104349.3A CN116157051A (zh) 2020-08-07 2020-10-21 可携带的视网膜检测装置、利用便携式终端的眼科疾病检测系统及眼科疾病管理方法
JP2023509398A JP2023537384A (ja) 2020-08-07 2020-10-21 携帯可能な網膜測定装置、携帯用端末機を利用した眼科疾患測定システムおよび眼科疾患管理方法
US18/019,799 US20230301512A1 (en) 2020-08-07 2020-10-21 Portable retina measuring device, and ophthalmologic disease measuring system and ophthalmologic disease management method using portable terminal
PCT/KR2020/014380 WO2022030683A1 (ko) 2020-08-07 2020-10-21 휴대 가능한 망막측정장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
DE112020007293.2T DE112020007293T5 (de) 2020-08-07 2020-10-21 Tragbares netzhautmessgerät, messsystem für augenkrankheiten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augenkrankheiten unter verwendung eines tragbaren endgerä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73A KR102415305B1 (ko) 2020-08-07 2020-08-07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812A KR20220018812A (ko) 2022-02-15
KR102415305B1 true KR102415305B1 (ko) 2022-06-30

Family

ID=8032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373A KR102415305B1 (ko) 2020-08-07 2020-08-07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3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498A (ko) * 2021-04-27 2022-11-03 이수안 반려동물을 위한 병원을 추천하는 장치
KR102597931B1 (ko) 2022-07-20 2023-11-06 주식회사 십일리터 슬개골 탈구 관련 이미지 분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088A (ko) 2001-10-09 2003-04-26 임승범 인터넷을 이용한 애완동물의 건강 및 체력관리 시스템
KR20140108417A (ko) * 2013-02-27 2014-09-11 김민준 영상정보를 이용한 건강 진단 시스템
KR20170045798A (ko) * 2015-10-20 2017-04-28 김인태 스마트폰을 이용한 목소리 질환 조기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9253A (ko) * 2018-10-31 2020-05-08 박해유 병원 고객 관리 및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51943B1 (ko) * 2020-06-23 2020-09-04 주식회사 휴런 뇌졸중 관련 병변을 분리하는 과정이 적용된 aspect 스코어 추정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498A (ko) * 2021-04-27 2022-11-03 이수안 반려동물을 위한 병원을 추천하는 장치
KR102628390B1 (ko) 2021-04-27 2024-01-23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반려동물을 위한 병원을 추천하는 장치
KR102597931B1 (ko) 2022-07-20 2023-11-06 주식회사 십일리터 슬개골 탈구 관련 이미지 분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812A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8212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피부질환 측정 시스템 및 피부질환 관리방법
KR102415305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
US10945637B2 (en) Image based jaundice diagno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mage based jaundice diagnosis assisting apparatus
US110517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aundice diagnosis based on an image
Pieczynski et al. The role of telemedicine, in-home test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o alleviate an increasingly burdened healthcare system: Diabetic retinopathy
CN1486156A (zh) 眼睛筛分系统和方法
KR20150128916A (ko) 빌리루빈 레벨의 추정
US20070127781A1 (en) Animal eye biometrics
JP692836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10390692A1 (en) Detecting and tracking macular degeneration
KR102366251B1 (ko)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JPWO2018179219A1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動物診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69397B2 (ja) 判定システム
JP2024508141A (ja) 関節の状態を予測および診断できる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2451102B1 (ko) 임상 및 이미지 정보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반려동물 피부 병변 분류 시스템 및 방법
US20230301512A1 (en) Portable retina measuring device, and ophthalmologic disease measuring system and ophthalmologic disease management method using portable terminal
CN111557639A (zh) 眼底检查系统
CN112053768A (zh) 使用人工智能进行的数字图像筛查和/或诊断
US20240130615A1 (en) System and method to obtain intraocular pressure measurements and other ocular parameters
US20230018374A1 (en) Lightweight, mobile 3d face imaging system for clinical environments
JP7082647B2 (ja) 保険料算出システム及び保険料算出方法
US9111144B2 (en) Eye color paternity test
CN112749607B (zh) 基于人工智能的图像识别方法及装置
JP2023081168A (ja) 保険料算出システム及び保険料算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