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269B1 -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269B1
KR102415269B1 KR1020210035127A KR20210035127A KR102415269B1 KR 102415269 B1 KR102415269 B1 KR 102415269B1 KR 1020210035127 A KR1020210035127 A KR 1020210035127A KR 20210035127 A KR20210035127 A KR 20210035127A KR 102415269 B1 KR102415269 B1 KR 102415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s
antenna
reception
receiving
antenn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321A (ko
Inventor
이재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7566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3207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센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센싱
Publication of KR20210036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3/32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 G01S13/34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frequency-modulated waves while heterodyning the received signal, or a signal derived therefrom, with a locally-generated signal related to the contemporaneously transmitted signal
    • G01S13/343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frequency-modulated waves while heterodyning the received signal, or a signal derived therefrom, with a locally-generated signal related to the contemporaneously transmitted signal using sawtooth mod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42Simultaneous measurement of distance and other co-ordin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032Constructional details for solid-state rada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8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rectilinear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22Antenna units of the array energised non-uniformly in amplitude or phase, e.g. tapered array or binomial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05Array of radiating elements provided with a feedback control over the element weights, e.g. adaptive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2013/0236Special technical features
    • G01S2013/0245Radar with phased array antenn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7Sensor installation details
    • G01S2013/93271Sensor installation details in the front of the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레이더 장치는 복수의 송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신안테나부, 제 1 수평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 및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제 1 수신안테나그룹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수평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제 2 수신안테나그룹을 포함하는 수신안테나부, 송신 안테나부를 통해 송신신호를 송신하고, 수신안테나부를 통해 대상체에서 반사된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수신된 반사신호를 처리하여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RADAR AND ANTENNA BUILT IN RADAR}
본 발명은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더 장치는 전파 송수신을 통해 표적 장치의 거리, 속도 및 각도를 탐지하거나 추적하기 위해 고해상도의 각도 분해능을 가져야 한다.
기존의 레이더 장치는 각도 분해능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여러 개 배열하는 구조를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배열 구조를 갖는 레이더 장치의 경우, 안테나의 사이즈가 커지고 송수신부와 관련된 많은 소자가 필요하게 되어 레이더 장치의 전체 사이즈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58072호 (2019.05.29.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송신안테나 및 복수의 수신 안테나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중장거리 및 근거리 감지에서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각도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이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레이더 장치는 복수의 송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신안테나부; 상기 제 1 수평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 및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 를 포함하는 제 1 수신안테나그룹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수평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제 2 수신안테나그룹을 포함하는 수신안테나부; 상기 송신 안테나부를 통해 송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안테나부를 통해 대상체에서 반사된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반사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레이더 장치에 사용되는 안테나 장치는 복수의 송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신안테나부; 및 상기 제 1 수평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 및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 를 포함하는 제 1 수신안테나그룹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수평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제 2 수신안테나그룹을 포함하는 수신안테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안테나 및 복수의 수신 안테나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중장거리 및 근거리 감지에서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각도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안테나가 수직간격으로 수직단차를 갖도록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수직방향 물체 정보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에 포함된 안테나 장치의 복수의 송신 안테나 및 복수의 수신 안테나의 배열 구성의 제 1예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제 1 예에 의한 안테나의 배열 구성을 이용하여 수평정보를 감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어레이 보간법이 적용된 안테나 패턴 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예에 의한 안테나의 배열 구성을 이용하여 수직정보를 감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예가 적용된 칩을 도시한 도면 중 하나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의한 레이더 장치의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에 포함된 안테나 장치의 복수의 송신 안테나 및 복수의 수신 안테나의 배열 구성의 제 2 예를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1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더 장치(100)는 안테나 장치(110), 송수신부(120), 처리부(130), 가상 수신 안테나 형성부(140) 및 보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도 1을 설명하기로 한다.
레이더 장치(100)는 차량의 특정 위치에 장착되어 안테나 장치(110)를 통해 송신 신호를 송신한 후, 차량의 주변에 있는 대상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수신신호를 수신하여 대상체의 존재 여부, 위치, 방향 또는 크기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레이더 장치(100)에 의해 감지된 대상체의 감지 결과는 차량의 전방차량에 대한 충돌 방지를 위한 충돌 회피 기능, 안전한 차선 변경을 위한 기능 등의 차량 시스템에 적용됨으로써 차량 시스템이 정확한 제어를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안테나 장치(11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송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신 안테나부(112)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수신 안테나부(114)로 구성된다.
송신 안테나부(112)는 대상체의 감지를 위해 송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송신안테나(Tx1, Tx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안테나부(112)는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Rx1)의 배열 구조와 동일한 선상에 배치된 제 1 송신안테나 그룹(Tx1)과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Rx2)의 배열 구조로부터 제 1 수평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제 2 송신안테나 그룹(Tx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송신안테나(Tx1, Tx2)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에 대하여 일정간격만큼 떨어져 배열되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에 대한 위상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송신안테나(Tx1, Tx2)은 송신안테나(Tx1, Tx2)별 위상 시프트(phase shift)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송신 신호의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방향에 대한 송신신호의 빔포밍은 수직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 배열되어 수직방향에 대한 위상차이를 갖는 복수의 송신안테나(Tx1, Tx2)를 통해 송신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칩에 연결된 제 1 송신안테나 그룹(Tx1) 및 제 2 송신안테나 그룹(Tx2)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안테나는 위상 시프트를 통해 수평 방향의 간격에 의한 위상 차이를 보상한 후, 수직방향으로 송신 신호의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송신안테나 그룹(Tx1) 및 제 2 송신안테나 그룹(Tx2)에 대하여 바이너리 위상 시프트를 동시에 적용하게 되면 다중입출력(Multi Input Multi Output, MIMO) 처리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6에서 표현된 제 1 예의 경우, 4 개의 칩을 이용하여 송신안테나 및 수신안테나를 포함한 안테나 구조를 구성하고 있으며, 4 개의 칩을 캐스캐이딩(Cascading)하는 경우 동기화를 위하여 마스터용 칩으로 별도의 칩이 추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송신안테나 그룹(Tx1) 및 제 2 송신안테나 그룹(Tx2)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안테나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제 1 수평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송신안테나 그룹(Tx1) 및 제 2 송신안테나 그룹(Tx2)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안테나 각각은 제 1 수평 간격과 동일한 크기의 수직 간격으로 수직 단차가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간격이 0.5람다인 경우, 제 1 송신안테나 그룹(Tx1) 및 제 2 송신안테나 그룹(Tx2) 별 복수의 송신안테나의 총 수직면적은 2.5람다의 안테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 1 송신안테나 그룹(Tx1) 및 제 2 송신안테나 그룹(Tx2)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안테나 각각이 수직 방향으로 확장하여 배치되면, 송신 안테나의 성능에 안정성을 가질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FOV(Field of View)가 줄어들어 클러터(Clutter) 영향을 덜 받게 되는 장점이 있다.
제 1 송신안테나 그룹(Tx1)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 및 제 2 송신안테나 그룹(Tx2)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안테나는 각각 병렬로 배치된 m 개의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의 제 1 예에서는 m이 6이다.
복수의 송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제 1 송신안테나 그룹(Tx1) 및 제 2 송신안테나 그룹(Tx2)은 수직방향으로 제 1 수평 간격과 동일한 크기의 수직 간격만큼 떨어져 배열됨으로써 발생하는 수직방향에 대한 수직위상차이를 갖고, 수평방향으로 제 1 수평 간격만큼 떨어져 배열됨으로써 발생하는 수평방향에 대한 수평위상차이를 갖는다. 이 때, 각 송신안테나 채널은 수평방향으로의 제 1 수평 간격에 의한 수평위상차이와 수직방향으로의 제 1 수평 간격과 동일한 크기의 수직 간격에 의한 수직위상 차이가 동시에 존재하게 된다.
제 1 송신안테나 그룹(Tx1) 및 제 2 송신안테나 그룹(Tx2)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안테나 각각은 송신 신호가 송신되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이 상이한 송신안테나 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수신 안테나부(114)는 송신 안테나부(112)로부터 송신된 송신신호가 주변에 있는 대상체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수신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안테나부(114)는 제 1 수평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Rx1) 및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Rx2)를 포함하는 제 1 수신 안테나 그룹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수평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Rx3)를 포함하는 제 2 수신안테나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신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Rx1)는 a개의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Rx2)는 b개의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의 제1예에서는 a은 6이고, b는 4이다.
제 1 수신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Rx1) 및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Rx2)의 경우, 연이어 배치된 싱글 수신안테나 3개의 합(sum)을 통해 3개의 어레이 안테나(예컨대, 삼지창 구조의 안테나)와 유사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수신안테나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Rx3)는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Rx1) 및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Rx2) 사이에 제 2 수평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수평간격이 K일 경우, 제 2 수평간격은 적어도 4K 및 7K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수신안테나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Rx3)는 한쌍의 3개의 어레이 안테나로 구성된 수신안테나가 c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의 제1예에서는 c는 6이다.
예를 들어, 제 1 수평간격이 0.5람다인 경우, 제 2 수신안테나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Rx3) 중 N 개의 제 3 수신안테나는 3.5람다의 제 2 수평 간격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M 개의 제 3 수신안테나는 2.0람다의 제 2 수평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2 수신안테나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Rx3)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안테나는 적어도 3개의 어레이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싱글 어레이 안테나 간의 배치 간격에 따라 싱글 어레이 안테나의 개수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수신 안테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Rx1) 및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Rx2) 각각이 0.5람다 간격으로 배치되고, 제 2 수신안테나그룹의 제 3 수신안테나(Rx3)와 인접한 제 1 수신안테나(Rx1) 간의 간격이 1람다로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경우, 제 2 수신안테나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Rx3)는 3개의 어레이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Rx3) 각각에 대하여 수신 채널당 3개의 어레이 안테나로 구성하게 되면, 수신 게인을 향상시키고, 빔 특성 및 SNR(Signal to Noise Ratio)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통 전방 차량용 레이더의 장거리 빔 영역은 -10도 내지 +10도 정도로 넓지 않기 때문에 넓은 FOV(field-of- view)를 가져야 하는 이유가 아니라면 복수의 어레이 안테나를 하나의 안테나로 그룹핑하여 구성하게 될 경우, 수신 게인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복수의 싱글 어레이 안테나를 하나로 구성한 안테나의 경우, 싱글 어레이 안테나의 간격이 0.5람다보다 크게 되면, 안테나의 성능에 나쁜 영향을 주는 그레이팅로브(gratinglobe)가 생기는데, 본 발명의 경우, 본원 발명의 상기와 같은 안테나 배열 구성(안테나가 최소 간격이 0.5 람다 간격과 가깝게 배열)을 가짐으로써 그레이팅로브를 메인 빔 또는 메인 로브의 위치로부터 멀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수평방향 감지 해상도 또는 수평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송수신부(120)는 송신 안테나부(112)를 통해 송신신호를 송신하고, 수신 안테나부(114)를 통해 대상체에서 반사된 반사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120)는 도 7과 같은 제 1 송신 방식(예컨대, fast-chirp FMCW 방식)을 사용하여 송신 안테나부(112)를 통해 일정간격으로 송신 신호를 빠르게 송신하고, 수신 안테나부(114)를 통해 대상체에서 반사된 반사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수신된 반사 신호를 처리하여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30)는 수신된 반사 신호를 통해 대상체의 높이 등과 같은 수직 정보 및 대상체의 폭 등의 수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가상 수신 안테나 형성부(140)는 복수의 송신안테나(Tx1, Tx2)를 통해 다중입출력(MIMO)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제 1 수신안테나그룹(Rx1) 및 제 2 수신안테나그룹(Rx2)과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공간적으로 A만큼 시프트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수신안테나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을 참조하면, 제 1 수신안테나그룹(Rx1), 제 2 수신안테나그룹(Rx2) 및 제 3 수신안테나그룹(Rx3)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안테나에서 동일한 송신 신호가 동시에 송신되면, 송신 신호를 기초로 대상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 입장에서는 동일한 수신 신호가 공간적으로 수평방향으로 A만큼 이격된 위치로 시프트되어 수신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며 이렇게 시프트된 위치에 생성된 수신안테나들을 가상수신안테나그룹(VRx1, VRx2, VRx3)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제 1 수신안테나그룹(Rx1)으로부터 A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 1 가상수신안테나(VRx1)가 생성되고, 제 2 수신안테나그룹(Rx2)으로부터 A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 2 가상수신안테나(VRx2)가 생성되고, 제 3 수신안테나그룹(Rx3) 으로부터 A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 3 가상수신안테나(VRx3)가 생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신단에서는 제 1 수신안테나그룹(Rx1), 제 2 수신안테나그룹(Rx2), 제 3 수신안테나그룹(Rx3), 제 1가상수신안테나(VRx1), 제 2 가상수신안테나(VRx2) 및 제 3 가상수신안테나(VRx3)가 형성됨으로써 2배의 수평면적으로 확장된 확장 개구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중장거리 대상체의 수평정보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고, 수평방향 정보에 대한 분해능 또는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레이팅 로브가 발생하는 위치가 메인 빔이 위치하는 센터 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즉, 그레이팅 로브를 억제하도록 가상 안테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b 내지 3d는 다중입출력(MIMO)을 구성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 2 송신안테나그룹(Tx2)에 포함된 송신 안테나가 제 2 수신안테나그룹(Rx2)에 포함된 복수의 수신 안테나 중 일부 수신 안테나(30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송신 안테나의 배치 간격을 제 1 간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 안테나의 간격 조정을 통해 도 3b과 같은 다중입출력 구조가 구성되며, 가상수신안테나그룹(VRx)이 형성되어 수신 안테나가 2배로 확장되는 효과가 나타나며, 이 경우, 91개의 수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b과 같은 다중입출력 구조로 구성하게 되면, 바이너리 위상 시프트(0deg/180deg)를 이용하고, 위상 레퍼런스로 활용가능하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 2 송신안테나그룹(Tx2)에 포함된 송신 안테나가 제 2 수신안테나그룹(Rx2)에 포함된 복수의 수신 안테나 중 일부 수신 안테나(31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송신 안테나의 배치 간격을 제 2 간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 안테나의 간격 조정을 통해 도 3c와 같은 다중입출력 구조가 구성되며, 가상수신안테나그룹(VRx)이 형성되어 수신 안테나가 2배로 확장되는 효과가 나타나며, 이 경우, 88개의 수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c와 같은 다중입출력 구조로 구성하게 되면, 바이너리 위상 시프트(0deg/180deg)를 이용하고, 위상 레퍼런스로 활용가능하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 2 송신안테나그룹(Tx2)에 포함된 송신 안테나가 제 2 수신안테나그룹(Rx2)에 포함된 복수의 수신 안테나 중 일부 수신 안테나(32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송신 안테나의 배치 간격을 제 3 간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 안테나의 간격 조정을 통해 도 3d와 같은 다중입출력 구조가 구성되며, 가상수신안테나그룹(VRx)이 형성되어 수신 안테나가 2배로 확장되는 효과가 나타나며, 이 경우, 91개의 수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d와 같은 다중입출력 구조로 구성하게 되면, 바이너리 위상 시프트(0deg/180deg)를 이용하고, 위상 레퍼런스로 활용가능하다.
보간부(150)는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 및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에 비선형 어레이 보간법(NLA Array Interpolation)을 적용하여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 및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에 해당하는 수평면적 내에 제 1 수평간격으로 배치된 안테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수신 안테나에 비선형 어레이 보간법이 적용되면 제한된 수신 채널 수에서 최대의 방사 개구부가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 및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에 비선형 어레이 보간법(NLA(Non-Uniform Linear Array) Interpolation)을 적용하면,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 및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가 위치한 수평 면적 내에 0.5람다 간격으로 복수의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며, 수평 면적 내에 형성된 복수의 안테나 패턴에 대한 수평 간격은 총 22.0 람다일 수 있다.
도 2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가상 수신 안테나 형성부(140)는 수직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송신안테나(Tx1, Tx2)를 통해 다중입출력(MIMO)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제 1 수신안테나그룹(Rx1) 및 제 2 수신안테나그룹(Rx2)과 동일한 수평방향에 적어도 하나의 가상수신안테나그룹(VRx)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수신안테나그룹(Rx1) 및 제 2 수신안테나그룹(Rx2)과 동일한 수평방향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수신안테나그룹(VRx)에 포함된 복수의 가상수신안테나 간에 수직간격으로 수직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제 1 수신안테나그룹(Rx1) 및 제 2 수신안테나그룹(Rx2)과 동일한 수평방향에 형성되면서 수직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가상수신안테나그룹(VRx)을 통한 위상차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각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가상 수신 안테나 형성부(140)는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 및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에 비선형 어레이 보간법이 적용되어 형성된 제 1 수평간격으로 배치된 안테나 패턴에, 수직간격으로 수직단차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수신안테나그룹(VRx)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200)에 포함된 안테나 장치(110)의 복수의 송신 안테나 및 복수의 수신 안테나의 배열 구성의 제 2 예를 도시한다. 도 8에서 표현된 제 2 예의 경우, 복수의 칩을 이용하여 송신안테나 및 수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를 구성할 수 있으며, 해당 복수의 칩을 이용하여 캐스캐이딩(Cascading)하는 경우 동기화를 위하여 마스터용 칩으로 별도의 칩이 추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송신안테나 그룹(Tx1) 및 제 2 송신안테나 그룹(Tx2)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안테나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되, 제 1 수평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송신안테나 그룹(Tx1) 및 제 2 송신안테나 그룹(Tx2)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안테나 각각은 제 1 수평 간격과 동일한 크기의 수직 간격으로 수직 단차가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간격이 0.5람다인 경우, 제 1 송신안테나 그룹(Tx1) 및 제 2 송신안테나 그룹(Tx2) 별 복수의 송신안테나의 총 수직면적은 4.0 람다의 안테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송신안테나 그룹(Tx1)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 및 제 2 송신안테나 그룹(Tx2)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안테나는 각각 병렬로 배치된 m 개의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의 제 1 예에서는 m이 9이다.
제 1 수신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Rx1)는 a개의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Rx2)는 b개의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8의 제2예에서는 a은 5고, b는 8이다.
제 2 수신안테나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Rx3)는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Rx1) 및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Rx2) 사이에 제 2 수평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수평간격이 K(예컨대, 0.5)일 경우, 제 2 수평간격은 적어도 4K, 5K, 6K, 11K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수신안테나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Rx3)는 한쌍의 3개의 어레이 안테나로 구성된 수신안테나가 c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8의 제2예에서는 c는 11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레이더 장치
110: 안테나 장치
112: 송신 안테나부
114: 수신 안테나부
120: 송수신부
130: 처리부
140: 가상 수신 안테나 형성부
150: 보간부

Claims (2)

  1. 삭제
  2. 레이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송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신안테나부;
    제 1 수평간격에 기초하여 배치된 복수의 제 1 수신안테나 및 상기 제 1 수평간격에 기초하여 배치된 복수의 제 2 수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제 1 수신안테나그룹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수평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3 수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제 2 수신안테나그룹을 포함하는 수신안테나부;
    상기 송신안테나부를 통해 송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안테나부를 통해 대상체에서 반사된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반사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수평간격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수평간격보다 작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2 수신안테나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수신안테나는 상기 제 1 수신안테나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수신안테나 사이에 상기 제 2 수평간격으로 배치된 것인, 레이더 장치.
KR1020210035127A 2018-06-27 2021-03-18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KR102415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4235 2018-06-27
KR1020180074235 2018-06-27
KR1020190075666A KR102232075B1 (ko) 2018-06-27 2019-06-25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666A Division KR102232075B1 (ko) 2018-06-27 2019-06-25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321A KR20210036321A (ko) 2021-04-02
KR102415269B1 true KR102415269B1 (ko) 2022-07-01

Family

ID=6898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127A KR102415269B1 (ko) 2018-06-27 2021-03-18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5269B1 (ko)
WO (1) WO202000494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3123A1 (en) * 2001-11-15 2003-05-22 Roke Manor Research Limited A cellular radio adaptive antenna array
US20170082730A1 (en) * 2015-09-17 2017-03-23 Panasonic Corporation Rada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9113A1 (de) * 2014-09-23 2016-03-24 Robert Bosch Gmbh MIMO-Radarvorrichtung zum entkoppelten Bestimmen eines Elevationswinkels und eines Azimutwinkels eines Objekt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IMO-Radarvorrichtung
JP6755121B2 (ja) * 2015-09-17 2020-09-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ーダ装置
JP6365494B2 (ja) * 2015-10-07 2018-08-01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ンテナ装置及び物標検出装置
KR102653129B1 (ko) * 2016-11-28 2024-04-02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레이더 장치 및 그를 위한 안테나 장치
KR102662238B1 (ko) * 2016-11-28 2024-05-02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레이더 장치 및 그를 위한 안테나 장치
KR102261723B1 (ko) 2017-11-21 2021-06-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레이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3123A1 (en) * 2001-11-15 2003-05-22 Roke Manor Research Limited A cellular radio adaptive antenna array
US20170082730A1 (en) * 2015-09-17 2017-03-23 Panasonic Corporation Rada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4942A1 (ko) 2020-01-02
KR20210036321A (ko)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075B1 (ko)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KR102276975B1 (ko)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US10578707B2 (en) Rada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radar signal
CN108120957B (zh) 雷达装置及其天线装置
KR102288673B1 (ko) 수평 간격 및 수직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레이더 장치
US201601469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Angular Resolution in an Automotive Radar System
US11079485B2 (en) Antenna device
KR102662238B1 (ko) 레이더 장치 및 그를 위한 안테나 장치
CN104901021A (zh) 具有仰角检测的mimo天线
CN112136060B (zh) 用于机动车的mimo雷达传感器
CN110537106B (zh) 雷达装置
KR20200108456A (ko)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496065B1 (ko)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US9160072B2 (en) Antenna system having guard array and associated techniques
KR102415269B1 (ko)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KR20200123747A (ko) 레이더 장치 및 레이더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KR102288675B1 (ko) 수평 간격 및 수직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레이더 장치
JP7061534B2 (ja) レーダ装置
EP3825718A1 (en) Radar device and antenna device used in radar device
WO2023286483A1 (ja) レーダ装置
KR20220113277A (ko) Mimo 레이더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