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761B1 - Remote control Ball recove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Ball recove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761B1
KR102414761B1 KR1020200111032A KR20200111032A KR102414761B1 KR 102414761 B1 KR102414761 B1 KR 102414761B1 KR 1020200111032 A KR1020200111032 A KR 1020200111032A KR 20200111032 A KR20200111032 A KR 20200111032A KR 102414761 B1 KR102414761 B1 KR 102414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alls
conveyor belt
guide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0453A (en
Inventor
윤기봉
배재현
유종민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1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761B1/en
Publication of KR2022003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4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7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1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for picking-up automatically, e.g. by apparatus moving over the play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36Accessories for stowing, putting away or transporting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B25J9/1697Vision control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 B65G15/44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for impelling the lo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조정 공 회수기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의 지면에 흩어져 있는 공들을 회수하는 공 회수기에 있어서, 하부측에 바퀴가 형성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내부공간에 회수된 공이 저장되고, 전방에 개방면이 형성된 공수거함; 상기 공수거함의 개방면에 결합되며 양측면을 갖는 가이드 본체; 상기 가이드 본체 양측면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는 벨트 구동부; 및 상기 가이드 본체 전방 하단에 결합되며, 공 회수시 상부로 공이 안착되는 공받이 유닛;을 포함하여, 지면에 흩어져 있는 공이 상기 공받이 유닛 상면에 안착되어 수거된 후, 수거된 공들이 상기 컨베이어벨트로 이동된 후,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공수거함 내부공간으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in a ball collecting machine for collecting balls scattered on the ground in front, wheels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to be movable, and to be moved in the inner space. The collected balls are stored, and an open surface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collection box; a guide body coupled to the open surface of the air collection box and having both sides; a conveyor belt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a bel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conveyor belt; and a ball receiving unit coupled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guide body, on which the ball is seated at the top when the ball is collected; including, after the balls scattered on the ground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unit and collected, the collected balls are placed on the conveyor belt It relates to a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fter being moved to the bin, it is recovered to the inner space of the air collection box by driving the conveyor belt.

Description

무선조정 공 회수기 및 그 작동방법{Remote control Ball recove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Remote control Ball recove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조정 공 회수기 및 그 작동방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dio-controlled ball recovery machine and its operating room.

테니스는 테니스공을 이용하여 행하는 스포츠로서, 테니스 코트에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테니스 경기를 진행할 경우에 원칙적으로 필요한 테니스공의 갯수는 1개이나, 신속한 경기 운영을 위하여 각각의 선수가 2개 내지 3개의 테니스공을 몸에 지니고 경기에 임하는 것이 보통이다.Tennis is a sport played using a tennis ball, and is generally played on a tennis court. In the case of a tennis game, in principle, the number of tennis balls required is one, but it is common for each player to carry two or three tennis balls on their body for quick operation of the game.

따라서, 2인 간의 단식 경기와 4인간의 복식 경기 등으로 진행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필요한 테니스공의 갯수는 전부 합하여도 10여개를 넘지 않는다. 그러나 테니스 기술을 연마하기 위한 테니스 교습장에서는 일반적으로 강사가 타격한 테니스공을 네트 반대편의 연습자가 받아 넘기는 식으로 진행되는 경우 많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singles match between two players and a doubles match between four players, the total number of tennis balls required generally does not exceed ten. However, in tennis academies to hone tennis skills, in many cases, the tennis ball hit by the instructor is usually passed by the practitioner on the other side of the net.

이 경우에 다수의 테니스공을 큰 바구니 등에 담아 놓고서 강사가 연속적으로 테니스공을 타격하여 반대편으로 넘기게 되고, 그 바구니에 담긴 테니스공이 모두 소진된 후에 지면에 떨어진 테니스공들을 하나씩 주어 그 바구니에 집어 넣고 다시 교습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테니스 교습장에서는 한번의 강습시간에 소요되는 테니스공의 갯수가 수백개에 이르기도 한다.In this case, a large number of tennis balls are placed in a large basket, etc., and the instructor hits the tennis balls successively and passes them to the other side. Put it back in and start teaching again. In general, in the tennis classroom, the number of tennis balls required for one lesson time reaches several hundred.

종래에는, 넓은 테니스 코트에 흩어져 있는 수백개의 테니스공들을 인간의 수작업으로 하나씩 수집하였는데, 이럴 경우에는 테니스공의 수집시간이 매우 길어지며, 허리나 무릎을 굽혔다 펴면서 테니스공을 주워야 하기에 인체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past, hundreds of tennis balls scattered on a wide tennis court were manually collected one by one. There was an increasing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한국 등록특허 10-1718743은 공 수거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718743은 야구공, 테니스공, 골프공이 놓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공이 브러쉬를 통해 내부로 이송되어 박스에 담아주도록 하여 공을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게 한 공 수거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도 1은 한국 등록특허 10-1718743에 따른 공수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공인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전방브러쉬와 후방브러쉬의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공인입구를 통해 인인된 공을 후방브러쉬의 빠른 회전으로 공을 수거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공이 브러쉬를 통해 내부로 이송되게 하여 박스에 담아주어 수거함으로써 공을 편하게 수거할 수 있으며, 공인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전방브러쉬와 후방브러쉬의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공인입부를 통해 인입된 공을 후방브러쉬의 빠른회전으로 공을 수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거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io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18743 describes a ball collection devic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18743 describes a ball collecting device that allows the ball to be conveniently collected by simply moving the baseball, tennis ball, and golf ball to the place where the ball is placed through the brush and put in the box. hav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18743. The rotation speed of the front and rear brushes installed adjacent to the official entrance is different, so that the ball received through the official entrance can be collected by the fast rotation of the rear brush. In other words, the ball can be easily collected by transporting the ball to the inside through the brush and putting it in a box to collect it. It is stated that the bad collection can be prevented by allowing the ball to be collected by the fast rotation of the rear brush.

또한, 도 2는 한국 공개특허 10-2010-0018120에 따른 테니스공 수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 10-2010-0018120은 전방의 지면에 흩어져 있는 테니스공들을 수집하는 테니스공 수집장치를 기재하고 있으며,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며 그 개구부를 통해 테니스공들을 수납하는 수납체; 상기 수납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과 구름접촉하는 바퀴; 상기 수납체에 설치된 모터; 상기 수납체의 앞부분에 결합되며, 지면의 테니스공들이 상기 수납체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납체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면과 개구부 사이에서 상기 테니스공들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상을 주행하며, 상기 지면의 테니스공들을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그 테니스공들을 상기 수납체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납체 내로 수납시키는 컨베이어벨트; 를 구비하고 있다. In addi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nnis bal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0-0018120.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0-0018120 discloses a tennis ball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tennis balls scattered on the ground in front,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t the upper portion and receiving tennis balls through the opening; a wheel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round; a motor installed in the housing; a guide member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and guiding movement of the tennis balls between the ground and the opening so that the tennis balls on the grou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using; a conveyor belt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motor and travels on an endless track, and moves the tennis balls on the ground along the guide member, thereby accommodating the tennis balls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using; is equipped with

그리고, 도 3은 등록특허 10-1132001에 따른 테니스공 수집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수거통을 갖는 본체를 이동시키면서 코트에 널려진 테니스 공을 신속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테니스 공 수집장치로서, 손잡이가 일측에 형성되고, 하부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전륜구동축 및 전륜으로 구성된 전륜부와, 후륜구동축 및 후륜으로 구성된 후륜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에 장착된 수거통; 상기 전륜부의 전륜구동축에 결합된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수거기로 구성된 송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Figure 3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nnis bal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atent registration 10-1132001. A tennis ball collecting device for quickly collecting tennis balls spread on a court while moving a main body having a container, a handle is formed on one side, and a front wheel part composed of a front wheel drive shaft and a front wheel to facilitate movement in the lower part, and a rear wheel a main body including a rear wheel portion composed of a driving shaft and a rear wheel; a container mount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ear unit coupled to the front wheel drive shaft of the front wheel unit, and a sending device configured with a collector connected to the gear unit to rotate.

또한, 도 4는 공개특허 10-2018-0091416의 테니스공 자동 수거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테니스 코트를 포함한 테니스장을 2차원 배열의 논리적 구조로 구현하여 테니스 코트와 같이 장애물로 지정한 구역을 제외한 모든 구역을 빠짐없이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정범위 균형 탐색을 이용한 테니스공 자동 수거기 및 자동 수거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In addition, Figure 4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nnis ball automatic collection machine of Patent Publication 10-2018-0091416. Tennis ball automatic collection machine and automatic collection using the balance search within the specified range to realize all areas except for areas designated as obstacles such as tennis courts by implementing a tennis court including a tennis court as a logical structure of a two-dimensional arrangement method is described.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18743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71874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1812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0-001812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32001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132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9141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8-009141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물인식센서에 의해 회수될 공들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회수될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며, 회수될 공의 크기, 종류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한 쌍의 공받이 부재의 사이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공들을 수거할 수 있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balls to be collected is detected by an object recognition sensor and automatically moved to the position to be retriev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capable of collecting balls of various sizes by recognizing the size and type of balls to be used and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a pair of ball receiving member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받이 부재를 통해 수거된 공의 수량을 감지하여 설정된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수거된 공들을 컨베이어 벨트 측으로 이동시킨 후,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에 의해 공들 공수거함에 회수시킬 수 있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quantity of balls collected through the ball receiving member is detected and the set quantity is exceeded, the collected balls are moved to the conveyor belt side, and then the balls can be recovered by driving the conveyor bel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ly controlled ball recovery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수모드가 종료된 후, 가이드 본체와 공받이 유닛이 모두 접혀 공수거함 내부로 철첩될 수 있어 보관시 공간 제약이 적은, 무선조정 공 회수기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recovery mode ends, both the guide body and the ball receiving unit can be folded and folded into the air collection box, thereby providing a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which has less space restrictions during storage but it has a purpose.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전방의 지면에 흩어져 있는 공들을 회수하는 공 회수기에 있어서,하부측에 바퀴가 형성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내부공간에 회수된 공이 저장되고, 전방에 개방면이 형성된 공수거함; 상기 공수거함의 개방면에 결합되며 양측면을 갖는 가이드 본체; 상기 가이드 본체 양측면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는 벨트 구동부; 및 상기 가이드 본체 전방 하단에 결합되며, 공 회수시 상부로 공이 안착되는 공받이 유닛;을 포함하여, 지면에 흩어져 있는 공이 상기 공받이 유닛 상면에 안착되어 수거된 후, 수거된 공들이 상기 컨베이어벨트로 이동된 후,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공수거함 내부공간으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로서 달성될 수 있다.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ll collecting machine for collecting balls scattered on the ground in front, Wheels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configured to be movable, the recovered balls are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and an open surface is provided in the front. formed airlift box; a guide body coupled to the open surface of the air collection box and having both sides; a conveyor belt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a bel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conveyor belt; and a ball receiving unit coupled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guide body, on which the ball is seated at the top when the ball is collected; including, after the balls scattered on the ground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unit and collected, the collected balls are placed on the conveyor belt It can be achieved as a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covered to the inner space of the air collection box by driving the conveyor belt after being moved to.

그리고 상기 가이드 본체의 양측면은 상기 공수거함 내면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보관모드시 상기 공수거함 내부로 철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받이 유닛의 측면 부재 각각은 상기 가이드 본체 양측면 전방 하단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보관모드시 상기 가이드 본체측으로 접힌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body are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air-collection box, and are configured to be folded into the air-collection box in storage mode, and each side member of the ball-receiving unit is hinged to the front lower end of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toward the guide body in the storage mode.

또한 상기 공받이 유닛은 상기 측면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공받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받이 부재 상으로 상기 공들이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ll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ll receiving members provided between the side member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ls are collected on the ball receiving member.

그리고 상기 공받이 부재는 서로 사이 간격을 갖도록 2개로 구성되며, 상기 공들은 상기 사이 간격으로 수거되며, 상기 공들의 직경에 따라 상기 사이간격을 조절하는 간결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ball receiving member is composed of two to have an interval between each other, the balls are collected at the interva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ort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balls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balls.

또한 상기 전방에 위치되는 공들을 감지하는 사물인식센서; 및 상기 사물인식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바퀴 구동을 제어하여 공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recogn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balls located in the fro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heel drive based on the data measured by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to move the ball to a position where the ball exists.

그리고 상기 사물인식센서는, 상기 전방 측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획득하는 비전시스템과, 상기 촬영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의 위치와 크기를 분석하는 영상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may include a vision system that acquires photographing data by photographing the front side, and an imag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ball based on the photographed data.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바퀴 구동을 제어하여 공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공의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간격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한 쌍의 공받이 부재의 사이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heel driv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ball to move it to a position where the ball exists, and controls the interval adjusting unit based on the size of the ball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ball receiving members. It can be characterized as

그리고 상기 공받이 부재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받이 부재 상면으로 수거된 공의 수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 및 상기 공받이 유닛의 각도를 조절하는 공받이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센서에서 측정된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받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받이 부재에 수거된 공들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a contact senso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to sense the quantity of balls coll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and a ball ball driv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ll receiving unit, wherein when the quantity measured by the contact sensor exceeds a preset quantit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all receiving driving unit to provide the ball receiving memb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lected balls are moved toward the conveyor belt.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 구동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anti-skid bar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pecific distance in the driving direction.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전방의 지면에 흩어져 있는 공들을 회수하는 공 회수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회수기의 공수거함 하부측에 구비된 바퀴가 구동되어 회수될 공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단계; 가이드 본체 전방 하단에 결합된 공받이 유닛의 공받이 부재 상부로, 공들이 안착되어 수거되는 단계; 공받이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공받이 부재 상부로 수거된 공들이 상기 가이드 본체 양측면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 측으로 이동되는 단계; 및 벨트 구동부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공들이 공수거함 내부공간으로 회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의 작동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a ball recovery machine for recovering balls scattered on the ground in front, in which the wheel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air collection machine are driven to move to a position where the balls to be recovered are present. ; Step of collecting the ball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ll receiving unit of the ball receiving unit coupled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guide body; moving the ball-receiving driving unit to the conveyor belt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body by driving the ball-receiving driving unit to move the balls coll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ll-receiving member; and a belt driving unit driving the conveyor belt to collect the balls into the air collection box inner space by the conveyor belt.

그리고 상기 이동되는 단계는, 비전시스템이 전방 측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분석부가 상기 촬영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의 위치와 크기를 분석하고, 제어부가 상기 공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바퀴 구동을 제어하여 공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moving step, the vision system acquires photographing data by photographing the front side, the image analysis unit analyzes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ball based on the photographed data, and the control unit drives the wheel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ball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by controlling the move to the position where the ball exists.

그리고 수거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의 크기를 간격조절부를 제어하여 한 쌍의 공받이 부재의 사이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collecting step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tance adjusting unit to adjust the size of the ball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ball receiving members.

또한 상기 공받이 부재 상면에 구비된 접촉센서가 상기 공받이 부재 상면으로 수거된 공의 수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cting the quantity of balls collected by the contact senso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벨트 측으로 이동되는 단계는, 기 제어부가 상기 접촉센서에서 측정된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공받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받이 부재에 수거된 공들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 측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in the step of moving to the conveyor belt, when the quantity measured by the contact sensor exceeds a preset quantit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all driving unit to move the balls collected in the ball receiving member to the conveyor belt side. It can be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또한 공 회수 완료 후, 보관모드 전환시, 상기 공받이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공받이 유닛은 상기 가이드 본체측으로 접힌상태가 되고, 상기 공수거함 내면 하단에 힌지 결합된 상기 가이드 본체의 양측면은 가이드 본체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공수거함 내부로 철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torage mode is switched after the ball collection is completed, the ball receiving unit is folded toward the guide body by the ball receiving driving unit, and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collecting box are connected to the guide body driving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eolcheop inside the air collection box by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조정 공 회수기 및 그 작동방법에 따르면, 사물인식센서에 의해 회수될 공들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회수될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며, 회수될 공의 크기, 종류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한 쌍의 공받이 부재의 사이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공들을 수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and its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balls to be collected is detected by an object recognition sensor so that they are automatically moved to the retrieved position, and the size and type of the balls to be collected are recognized. Thus, it has the effect of collecting balls of various sizes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ball receiving memb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조정 공 회수기 및 그 작동방법에 따르면, 공받이 부재를 통해 수거된 공의 수량을 감지하여 설정된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수거된 공들을 컨베이어 벨트 측으로 이동시킨 후,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에 의해 공들 공수거함에 회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and its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umber of balls collected through the ball receiving member is detected and the set quantity is exceeded, the collected balls are moved to the conveyor belt side, and then the conveyor belt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recover the ball in the air bin by driving it.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조정 공 회수기 및 그 작동방법에 따르면, 회수모드가 종료된 후, 가이드 본체와 공받이 유닛이 모두 접혀 공수거함 내부로 철첩될 수 있어 보관시 공간 제약이 적은 장점이 있다. And, according to the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and its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recovery mode is finished, both the guide body and the ball receiving unit can be folded and folded into the air collecting box, so there is little space restriction during storage. There is this.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한국 등록특허 10-1718743에 따른 공수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한국 공개특허 10-2010-0018120에 따른 테니스공 수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등록특허 10-1132001에 따른 테니스공 수집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공개특허 10-2018-0091416의 테니스공 자동 수거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조정 공 회수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모드에서의 무선조정 공 회수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에 의해 각도가 변화되어 사이간격이 조절되는 공받이 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받이 유닛으로 공이 회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회수된 공이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공수거함으로 이동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수거완료 후, 공받이 유닛과 가이드 본체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조정 공 회수기의 작동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ose draw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18743;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nnis bal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0-0018120;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ennis bal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Patent Registration No. 10-1132001;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tennis ball collector of Patent Publication 10-2018-0091416;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dio-controlled ball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dio-controlled ball collector in a storag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gnal flow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ball receiving unit in which an angle is changed by an angl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djust an interval therebetween;
9A and 9B are perspective views of a state in which a ball is recovered to a ball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ball recov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a collection box by a conveyor belt;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all receiving unit and the guide body are folded after collection is complete;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Theref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form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region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illustrated regions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shapes of regions of the device and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more specifically describe the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However, a reader having enough knowledge in this field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and not large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without any reas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조정 공 회수기(100)의 구성, 기능 및 그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adio-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조정 공 회수기(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모드에서의 무선조정 공 회수기(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First, Figure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radio-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adio-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100 in the storag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the control unit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조정 공 회수기(100)는 전방의 지면에 흩어져 있는 공들을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수거함(10)과, 가이드 본체(20), 컨베이어벨트(30), 벨트구동부(32), 공받이 유닛(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llecting the balls scattered on the ground in front, and as shown in FIGS. 5 to 7 , the air collection box 10 and the guide body 20 ), the conveyor belt 30, the belt driving unit 32,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ball receiving unit (40).

공수거함(10)은 몸통부의 내부공간(11) 크기에 따라 공보관 용량이 달라지게 되며, 하부측에 바퀴(1)가 형성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내부공간(11)에 회수된 공이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방에 개방면이 형성된다. The air collection box 10 has a different storage capacit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nner space 11 of the body part, and the wheels 1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to be movable, and to store the recovered balls in the inner space 11 . is composed And, an open surface is formed in the front.

가이드 본체(20)는 양측면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양측면의 후방 하단은 공수거함(10)의 개방면 하단 내면과 힌지결합되게 된다. The guide body 20 is configured on both sides, and the rear bottom of these side surfaces is hinged with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open surface of the air collection box 10 .

그리고 컨베이어벨트(30)는 가이드 본체(20) 양측면 하단 사이에 설치되며, 벨트구동부(32)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And the conveyor belt 30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20 , and is driven by the belt driving unit 32 .

또한, 컨베이어 벨트(30) 표면에 구동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바(31)를 포함하여, 이송되는 공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conveyor belt 30 includes a plurality of anti-skid bars 31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pecific distance in the driving direction, so as to prevent omission of the transferred ball.

또한, 공받이 유닛(40)은 가이드 본체(20) 전방 하단 힌지에 결합되며, 공 회수시 상부로 공이 쓰레받이 방식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ball receiving unit 40 is coupled to the front lower hinge of the guide body 20,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ball can be seated in the dust tray manner to the upper part when the ball is retrieved.

따라서 지면에 흩어져 있는 공은 공받이 유닛(40) 상면에 안착되어 수거된 후, 수거된 공들이 컨베이어벨트(30)로 이동된 후, 컨베이어벨트(30)의 구동에 의해 공수거함(10) 내부공간(11)으로 회수되게 된다. Therefore, after the balls scattered on the ground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unit 40 and collected, the collected balls are moved to the conveyor belt 30, and then, by driving the conveyor belt 30, the air collecting box 10 inside It is returned to the space (11).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본체(20)의 양측면은 공수거함(10) 내면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보관모드시 공수거함(10) 내부로 접혀, 철첩되도록 구성되고, 공받이 유닛(40)의 측면부재(41) 각각은 가이드 본체(20) 양측면 전방 하단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보관모드시 가이드 본체(20)측으로 접힌상태로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 6,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20 are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air-collection box 10, and are folded and folded into the air-collection box 10 in storage mode. It can be seen that each of the side members 41 of the guide body 20 is hinged to the front lower end of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20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toward the guide body 20 in the storage mode.

또한 공받이 유닛(40)은 측면부재(41)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공받이부재(42)를 포함하며, 공받이부재(42) 상으로 공들이 수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lso, the ball receiving unit 40 includes a plurality of ball receiving members 42 provided between the side members 41 ,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balls can be collected on the ball receiving member 42 .

구체적으로 공받이부재(42)는 서로 사이 간격을 갖도록 2개로 구성되며, 공들은 상기 사이 간격으로 수거되며, 공들의 직경에 따라 상기 사이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43)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ball receiving member 42 is composed of two to have an interval between them, the balls are collected at the interval, and includes a spacing adjusting unit 43 for adjust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balls.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에 의해 각도가 변화되어 사이간격이 조절되는 공받이 유닛(40)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부(43)는 각도조절부로 구성되어, 공받이부재(42)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이간격이 제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8A and 8B are views showing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ball receiving unit 40 in which the interval is adjusted by changing the angle by the angl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A and 8B , the interval adjusting unit 43 is configured as an angle adjusting unit,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val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42 .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조정 공 회수기(100)는, 전방에 위치되는 공들을 감지하는 사물인식센서(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사물인식센서(5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바퀴 구동부(12)를 제어하여 공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the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bject recognition sensor 50 for detecting balls positioned in front. And,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wheel driving unit 12 based on the data measured by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50 to move the ball to a position where it exists.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식센서(50)는, 전방 측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획득하는 비전시스템(51)과, 이러한 촬영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의 위치와 크기를 분석하는 영상분석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sion system 51 that acquires photographing data by photographing the front side, and image analysis that analyzes the position and size of a ball based on the photographed data Part 52 may be included.

따라서, 제어부(60)는 공의 위치를 기반으로 바퀴 구동부(12)를 제어하여 공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분석된 공의 크기를 기반으로 간격조절부(43)를 제어하여 한 쌍의 공받이부재(42)의 사이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wheel driving unit 12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ball to move the ball to the position where the ball exists, and controls the spacing adjusting unit 43 based on the analyzed size of the ball to control the pair of balls. The spacing between the receiving members 42 is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조정 공 회수기(100)는, 공받이부재(42) 상면에 구비되어 공받이부재(42) 상면으로 수거된 공의 수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센서(44)는 접촉을 인지하는 센서 또는, 촉각센서, 힘 센서, 무게 감지센서 등일 수 있다. 그리고 공받이 유닛(40)의 각도를 조절하는 공받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받이 유닛(40)으로 공이 회수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sensor 4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42 to detect the number of balls coll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42. can do. The touch sensor 44 may be a sensor for recognizing a contact, a tactile sensor, a force sensor, a weight sensor, or the lik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ball-receiving driv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ll-receiving unit (40). 9A and 9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ll is recovered by the ball receiving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제어부(60)는 접촉센서(44)에서 측정된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예를 들어, 공받이부재(42)의 상면 전체에 공이 접촉되게 되는 경우), 공받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받이부재(42)에 수거된 공들을 컨베이어 벨트(30) 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Therefore, when the quantity measured by the contact sensor 44 exceeds a preset quantity (for example, when the ball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42),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ball driving unit Thus, the balls collected in the ball receiving member 42 are moved to the conveyor belt 30 sid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회수된 공이 컨베이어 벨트(30)에 의해 공수거함(10)으로 이동되는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받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받이부재(42)에 수거된 공들을 컨베이어 벨트(30) 측으로 이동되게 되면, 벨트 구동부(32)가 작동되어 컨베이어벨트(30)에 의해 공들이 공수거함(10)으로 회수되게 된다. 그리고 회수가 완료되면, 공받이 구동부를 통해 공받이 유닛(40)을 접고, 가이드 본체 구동부(21)를 구동시켜, 가이드 본체(20)를 공수거함(10) 측으로 철첩하여 보관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도 11은 수거완료 후, 공받이 유닛(40)과 가이드 본체(20)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alls recov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ved to the air collection box 10 by the conveyor belt 30 . As shown in FIG. 10 , when the ball-receiving drive unit is controlled to move the balls collected in the ball-receiving member 42 toward the conveyor belt 30 , the belt driving unit 32 is operated to attach the ball to the conveyor belt 30 . By this, the balls are returned to the air collection box (10). And when the collection is completed, the ball receiving unit 40 is folded through the ball receiving drive unit, and the guide body driving unit 21 is driven, and the guide body 20 is folded toward the air collection box 10 side to switch to the storage mode. .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ll receiving unit 40 and the guide body 20 are folded after the collection is completed.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조정 공 회수기(100)의 작동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전방의 지면에 흩어져 있는 공들을 회수하는 공 회수기(100)의 작동방법은, 먼저, 공회수기(100)의 공수거함(10) 하부측에 구비된 바퀴(1)가 구동되어 회수될 공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ball collecting machine 100 for collecting the balls scattered on the ground in front is, first, the wheel 1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air collecting box 10 of the empty collecting machine 100 is driven so that the balls to be recovered are present. will be moved to position.

구체적으로, 비전시스템(51)이 전방 측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획득하고(S1), 영상분석부(52)가 촬영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의 위치를 인식하여(S2), 바퀴 구동부(12)를 제어하여 공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S3). Specifically, the vision system 51 acquires photographing data by photographing the front side (S1), and the image analysis unit 52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ball based on the photographed data (S2), and operates the wheel drive unit 12 Controlled to move the ball to the existing position (S3).

그리고 영상분석부(52)가 공의 종류와 크기를 분석하고(S4), 제어부(60)는 공의 크기를 기반으로 간격조절부(43)를 제어하여 한 쌍의 공받이부재(42)의 사이간격을 조절하게 된다(S5). And the image analysis unit 52 analyzes the type and size of the ball (S4), and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spacing adjusting unit 43 based on the size of the ball to adjust the size of the pair of ball receiving members 42. The interval is adjusted (S5).

그리고 가이드 본체(20) 전방 하단에 결합된 공받이 유닛(40)의 공받이부재(42) 상부로, 공들이 쓰레받이 방식으로 안착되어 수거되게 된다. And, on the upper part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42 of the ball receiving unit 40 coupled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guide body 20, the balls are seated in a dustpan manner and collected.

이때, 공받이부재(42) 상면에 구비된 접촉센서(44)가 공받이부재(42) 상면으로 수거된 공의 수량을 감지하게 된다(S7). At this time, the contact sensor 4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42 detects the quantity of balls coll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42 (S7).

그리고, 제어부(60)가 접촉센서(44)에서 측정된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S8), 공받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공받이부재(42)에 수거된 공들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30) 측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9). And, when the quantity measured by the contact sensor 44 exceeds the preset quantity (S8),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ball-receiving driving unit to transfer the balls collected to the ball-receiving member 42 to the conveyor belt 30 ) to move to the side (S9).

그리고, 공받이 구동부가 구동되어 공받이부재(42) 상부로 수거된 공들이 가이드 본체(20) 양측면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30) 측으로 이동되고(S10), 벨트 구동부(32)가 컨베이어벨트(30)를 구동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30)에 의해 공들이 공수거함(10) 내부공간(11)으로 회수되게 된다(S11). Then, the ball bearing driving unit is driven to move the balls coll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42 toward the conveyor belt 30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20 (S10), and the belt driving unit 32 is the conveyor By driving the belt 30, the balls are recovered to the inner space 11 of the air collection box 10 by the conveyor belt 30 (S11).

이러한 과정은 공 회수가 완료될 때까지 지속되게 된다(S12). This process is continued until the ball collection is completed (S12).

그리고 공 회수가 완료되면, 보관모드 전환되게 된다(S13). 즉, 공받이 구동부에 의해 공받이 유닛(40)은 상기 가이드 본체(20)측으로 접힌상태가 되고, 공수거함(10) 내면 하단에 힌지 결합된 가이드 본체(20)의 양측면은 가이드 본체 구동부(21)에 의해 상기 공수거함(10) 내부로 철첩되게 된다. And when the empty collection is completed, the storage mode is switched (S13). That is, the ball receiving unit 40 is folded toward the guide body 20 side by the ball receiving driving unit, and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20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collection box 10 are the guide body driving unit 21 ) to be iron-clad into the air collection box 10 by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pparatus and method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ly applicable,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is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1:바퀴
10:공수거함
11:내부공간
12:바퀴구동부
20:가이드본체
21:가이드본체 구동부
30:컨베이어벨트
31:미끄럼방지바
32:벨트구동부
40:공받이 유닛
41:측면부재
42:공받이부재
43:간격조절부
44:접촉센서
50:사물인식센서
51:비전시스템
52:영상분석부
60:제어부
100:무선조정 공 회수기
1: wheel
10: Airlift box
11: Internal space
12: wheel drive
20: guide body
21: guide body drive unit
30: conveyor belt
31: anti-skid bar
32: belt drive unit
40: ball unit
41: side member
42: ball receiving member
43: gap adjustment unit
44: contact sensor
50: object recognition sensor
51: vision system
52: image analysis unit
60: control unit
100: wireless control ball recovery machine

Claims (15)

전방의 지면에 흩어져 있는 공들을 회수하는 공 회수기에 있어서,
하부측에 바퀴가 형성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내부공간에 회수된 공이 저장되고, 전방에 개방면이 형성된 공수거함;
상기 공수거함의 개방면에 결합되며 양측면을 갖는 가이드 본체;
상기 가이드 본체 양측면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는 벨트 구동부; 및
상기 가이드 본체 전방 하단에 결합되며, 공 회수시 상부로 공이 안착되는 공받이 유닛;을 포함하여,
지면에 흩어져 있는 공이 상기 공받이 유닛 상면에 안착되어 수거된 후, 수거된 공들이 상기 컨베이어벨트로 이동된 후,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공수거함 내부공간으로 회수되고,
상기 가이드 본체의 양측면은 상기 공수거함 내면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보관모드시 상기 공수거함 내부로 철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받이 유닛의 측면 부재 각각은 상기 가이드 본체 양측면 전방 하단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보관모드시 상기 가이드 본체측으로 접힌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공받이 유닛은 상기 측면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공받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받이 부재 상으로 상기 공들이 수거되고,
상기 공받이 부재는 서로 사이 간격을 갖도록 2개로 구성되며, 상기 공들은 상기 사이 간격으로 수거되며, 상기 공들의 직경에 따라 상기 사이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
In the ball recovery machine for recovering the balls scattered on the ground in front,
A ball collection box with wheel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configured to be movable, the balls recovered in the inner space are stored, and an open surface is formed in the front;
a guide body coupled to the open surface of the air collection box and having both sides;
a conveyor belt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a bel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conveyor belt; and
Including; a ball receiving unit coupled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guide body, on which the ball is seated on the upper part when the ball is retrieved;
After the balls scattered on the ground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unit and collected, the collected balls are moved to the conveyor belt, and then are recovered to the inner space of the air collection box by driving the conveyor belt,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are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air-collection box, and are configured to be folded into the air-collection box in storage mode, and each of the side members of the ball-receiving unit is hinged to the front lower end of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In mode, it is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toward the guide body,
The ball receiv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ball receiving members provided between the side members, and the balls are collected on the ball receiving member,
The ball receiving member is composed of two so as to have an interval between them, the balls are collected at the interval between them, and a spac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balls.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에 위치되는 공들을 감지하는 사물인식센서; 및
상기 사물인식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바퀴 구동을 제어하여 공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n object recogn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balls located in the front; and
A control unit for moving the ball to a position where the ball exists by controlling the wheel drive based on the data measured by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식센서는, 상기 전방 측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획득하는 비전시스템과, 상기 촬영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의 위치와 크기를 분석하는 영상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includes a vision system that acquires photographing data by photographing the front side, and an imag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ball based on the photographed data.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바퀴 구동을 제어하여 공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공의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간격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한 쌍의 공받이 부재의 사이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heel driv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ball to move it to a position where the ball exists, and controls the interval adjusting unit based on the size of the ball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ball receiving members A radio controlled ball recovery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받이 부재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받이 부재 상면으로 수거된 공의 수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 및
상기 공받이 유닛의 각도를 조절하는 공받이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센서에서 측정된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받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받이 부재에 수거된 공들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
8. The method of claim 7,
a contact senso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to detect the quantity of balls coll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and
Further comprising; a ball receiving driv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ll receiving unit;
When the quantity measured by the contact sensor exceeds a preset quantit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all holder driving unit to move the balls collected in the ball holder member toward the conveyor belt.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 구동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
The method of claim 1,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anti-skid bar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pecific distance in the driving direction.
전방의 지면에 흩어져 있는 공들을 회수하는 공 회수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회수기의 공수거함 하부측에 구비된 바퀴가 구동되어 회수될 공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단계;
가이드 본체 전방 하단에 결합된 공받이 유닛의 공받이 부재 상부로, 공들이 안착되어 수거되는 단계;
공받이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공받이 부재 상부로 수거된 공들이 상기 가이드 본체 양측면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 측으로 이동되는 단계; 및
벨트 구동부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공들이 공수거함 내부공간으로 회수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되는 단계는, 비전시스템이 전방 측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분석부가 상기 촬영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의 위치와 크기를 분석하고, 제어부가 상기 공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바퀴 구동을 제어하여 공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수거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의 크기를 간격조절부를 제어하여 한 쌍의 공받이 부재의 사이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의 작동방법.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ball recovery machine to recover the balls scattered on the ground in front,
a step of driving a wheel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air collection box of the empty collection machine to move it to a position where the balls to be recovered exist;
Step of collecting the ball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ll receiving unit of the ball receiving unit coupled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guide body;
moving the ball-receiving driving unit to the side of the conveyor belt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body by driving the ball-receiving driving unit to move the balls coll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ll-receiving member; and
Including; by a belt driving unit driving the conveyor belt, and collecting the balls into the air collection box inner space by the conveyor belt;
In the moving step, the vision system acquires photographing data by photographing the front side, the image analysis unit analyzes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ball based on the photographed data, and the control unit drives the wheel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ball Control and move the ball to the existing position,
In the collecting step,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tance adjusting unit to adjust the size of the ball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ball receiving memb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받이 부재 상면에 구비된 접촉센서가 상기 공받이 부재 상면으로 수거된 공의 수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의 작동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ly controlled ball collec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cting, by a contact senso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the number of balls coll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member.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 측으로 이동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접촉센서에서 측정된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공받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받이 부재에 수거된 공들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 측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의 작동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of moving toward the conveyor belt is,
When the quantity measured by the contact sensor exceeds a preset quantit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all holder driving unit to control the balls collected in the ball holder member to be moved to the conveyor belt side. how it works.
제 14항에 있어서,
공 회수 완료 후, 보관모드 전환시,
상기 공받이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공받이 유닛은 상기 가이드 본체측으로 접힌상태가 되고, 상기 공수거함 내면 하단에 힌지 결합된 상기 가이드 본체의 양측면은 가이드 본체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공수거함 내부로 철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공 회수기의 작동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fter completing the ball collection, when changing the storage mode,
The ball receiving unit is folded toward the guide body by the ball receiving driving unit, and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collecting box are hinged into the air collecting box by the guide body driv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How to operate a radio controlled ball recovery machine.


KR1020200111032A 2020-09-01 2020-09-01 Remote control Ball recove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147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032A KR102414761B1 (en) 2020-09-01 2020-09-01 Remote control Ball recove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032A KR102414761B1 (en) 2020-09-01 2020-09-01 Remote control Ball recove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453A KR20220030453A (en) 2022-03-11
KR102414761B1 true KR102414761B1 (en) 2022-06-30

Family

ID=8081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032A KR102414761B1 (en) 2020-09-01 2020-09-01 Remote control Ball recove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7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18307A1 (en) * 2018-11-06 2020-05-14 Court Bots, Inc. Ball retrieval system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818B2 (en) * 1990-09-24 2000-05-15 エクソン ケミカル パテ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Oxo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818U (en) * 1996-09-10 1997-09-05 幸 常田 Tennis ball collection basket carrier
KR20100018120A (en) 2008-08-06 2010-02-17 권동혁 Machine for collecting tennis balls
KR101132001B1 (en) 2009-11-03 2012-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Tennis ball gathering apparatus
KR101326245B1 (en) * 2012-04-23 2013-11-1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training playing tennis
KR20140122906A (en) * 2013-04-11 2014-10-21 주식회사 만도 Apparatus for collecting ball
KR101718743B1 (en) 2016-06-30 2017-03-22 오복진 The collecting apparatus of ball
KR20180091416A (en) 2017-02-07 2018-08-1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Automatic pickup apparatus for tennis ball using balance search of specified area, and automatic pickup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818B2 (en) * 1990-09-24 2000-05-15 エクソン ケミカル パテ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Oxo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453A (en)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9547B2 (en) Personal sports simulation robot
US7510493B2 (en) Sports skills training apparatus
US20170232323A1 (en) Racket-free tennis training device
US11033780B2 (en) Autonomous tennis ball retrieval robot
US11577129B2 (en) Ball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8261729B2 (en) Shuttlecock launching apparatus
KR102414761B1 (en) Remote control Ball recove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60310817A1 (en) Personal Sports Simulation Robot
KR101894950B1 (en) Screen Badminton Exercise Device
US5487540A (en) Apparatus for use in practicing the fundamentals of basketball
US8790190B2 (en) Golf training aid
KR101873226B1 (en) Device for golf ball retrieving
KR20100018120A (en) Machine for collecting tennis balls
GB2476894A (en) A ball target game with means to record impacts on specific targets
US20200155912A1 (en) Soccer train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14177593B (en) A special basketball stands for basketball training
KR102094238B1 (en) Golf Ball Return Device for Putting Exerciser
CN209828151U (en) Training ground basketball recovery device
US5697617A (en) Game
CN104958884A (en) Badminton receiving device based on machine vision tracking
KR102355087B1 (en)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KR20220167564A (en)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CN213432921U (en) Ball catching game machine
JP5800418B2 (en) Exercise equipment
KR20220154349A (en) Golf Ball Collection Device for Putting Exerci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