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754B1 - 직장암 항암화학방사선 치료 반응 예측용 바이오마커 - Google Patents

직장암 항암화학방사선 치료 반응 예측용 바이오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754B1
KR102414754B1 KR1020200130563A KR20200130563A KR102414754B1 KR 102414754 B1 KR102414754 B1 KR 102414754B1 KR 1020200130563 A KR1020200130563 A KR 1020200130563A KR 20200130563 A KR20200130563 A KR 20200130563A KR 102414754 B1 KR102414754 B1 KR 102414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hemotherapy
response
rectal cancer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2836A (ko
Inventor
백정흠
이후근
김경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근당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근당,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근당
Publication of KR2021004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AMP(human cathelicidin antimicrobial peptide), LPCAT2(Lysophosphatidylcholine acyltransferase 2) 및 AKR1B1(Aldo-keto reductase family 1, member B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용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용 조성물; 예측용 키트;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이오마커를 이용하여 직장암 환자의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유무를 수술 전에 예측할 수 있어, 직장암 환자의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직장암 항암화학방사선 치료 반응 예측용 바이오마커 {Biomarkers for prediction of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in rectal cancer}
본 발명은 CAMP(human cathelicidin antimicrobial peptide), LPCAT2(Lysophosphatidylcholine acyltransferase 2) 및 AKR1B1(Aldo-keto reductase family 1, member B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항암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용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항암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용 조성물; 예측용 키트;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IARC(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위암 발생률은 세계 1위, 대장암은 2위, 간암은 10위다. 암 환자의 치료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은 점점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대장암(colorectal cancer, CRC)은 전 세계적으로 세 번째로 많은 악성종양으로, 매년 거의 94만 명의 대장암 환자가 발생하며 150만 명에 이르는 환자들이 매년 대장암으로 사망한다. 2012년 우리나라의 국가암등록사업 보고에 의하면 대장암(결장암, 직장암)은 갑상선암, 위암에 이어 세 번째(28,919명, 12.9%)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경우 위암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은 17,419명(15.5%)에서 발생하였으며, 여자의 경우 갑상선, 유방암 다음으로 많은 11,514명(10.3%)에서 발생하는 다빈도 암으로 나타난다. 대장암 진단을 받은 환자 중 50 ~ 55%는 직장암 환자로 직장암의 치료 성적 향상은 현재뿐 아니라 미래에도 우리나라 전체의 보건 건강증진에 그 어느 암종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직장암이란 직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종양을 말한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되는데,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 직장암이라고 한다. 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길이는 약 15㎝이며 상부, 중부, 하부 직장으로 나눌 수 있고, 천골의 앞면에서 가운데를 따라 내려가 항문에서 끝난다. 직장은 파이프 모양의 관으로 안쪽에서부터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 등 4개의 층으로 나뉘어져 있다. 대부분의 직장암은 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며, 이 외에도 유암종, 림프종, 육종, 편평상피암, 다른 암의 전이성 병변 등이 있다.
현재 직장암의 표준치료로 수술 전 항암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어 전체 직장암 환자의 약 50%가 항암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방사선치료에 대해 반응하는 정도는 사람마다 매우 다양하다. 방사선치료에 대해 반응이 좋은 경우는 치료로 인해 수술 방법도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암 치료 성적도 좋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반응이 좋지 않은 경우는 불필요한 방사선치료를 받게 될 뿐 아니라 치료 후 수술을 기다리기까지의 과정 중 암이 진행하게 되어 치료를 지연시키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방사선치료 후 반응이 좋지 않거나 오히려 병이 진행된 경우는 치료한 환자의 50 ~ 60%에 이른다.
직장암의 효율적인 치료를 위하여 직장암 환자의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및 진단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나, 예측 특이성 및 효율성이 우수한 마커 및 진단키트의 개발 및 상용화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직장암 환자의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유무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반응 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 3개의 바이오마커를 선별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CAMP(human cathelicidin antimicrobial peptide), LPCAT2(Lysophosphatidylcholine acyltransferase 2) 및 AKR1B1(Aldo-keto reductase family 1, member B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발현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항암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항암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로부터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는 CAMP(human cathelicidin antimicrobial peptide), LPCAT2(Lysophosphatidylcholine acyltransferase 2) 및 AKR1B1(Aldo-keto reductase family 1, member B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용 마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항암 방사선치료의 효능 유무를 치료 전에 확인하기 위한 단백질 진단 바이오마커 발굴을 위해 프로테오믹스 분석을 진행하였다. 항암 방사선치료 전 대장내시경 검사 시행을 통해 직장암 조직을 얻고, 수술 후 수술실에서 조직을 얻어 단백질을 추출한 뒤, 트립신 절단을 하여 LC-MS/MS 데이터를 얻고, SEQUEST 알고리즘을 이용해 신뢰도를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동정하였으며, Mass Profile Professional(MPP) 소프트웨어를 통해 p-value 0.05이하, fold change 2배 이상 차이가 나는 단백질을 동정하였다(표 1).
또한, 통계적 방법 및 상대 정량분석법을 이용하여 6개의 바이오마커 후보군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최종적인 검증을 통해 최종 3개의 바이오마커를 도출하였다.
본 발명의 용어 "CAMP(human cathelicidin antimicrobial peptide)는 LL-37의 전구체로써, 비타민 D 수용체의 직접적인 타겟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항암 방사선치료의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용도에 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본 발명자에 의해 최초로 규명되었다.
본 발명의 용어 "LPCAT2(Lysophosphatidylcholine acyltransferase 2)"는 아실전이효소(acyltransferase) 및 아세틸기전이효소(acetyltransferase)의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본 발명의 항암 방사선치료의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용도에 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본 발명자에 의해 최초로 규명되었다.
본 발명의 용어 "AKR1B1(Aldo-keto reductase family 1, member B1)"는 알도오스 환원효소(aldose reductase)로도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알데하이드와 케톤의 해당 알코올에 환원을 촉진시키는 NADPH-의존성 감소 효소이다. 반면, 본 발명의 항암 방사선치료의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용도에 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본 발명자에 의해 최초로 규명되었다.
상기 항암 방사선치료는 암 치료에서 환자 수술 전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암은 직장암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국소 진행성 직장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항암 방사선치료"는 수술, 항암 약물치료와 함께 3대 암 치료 중 하나이며 방사선이 발생되는 장치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고 에너지 방사선을 조사하여 암이 발병된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용어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은 조직에서 암 세포가 소실되거나 암이 발병된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양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예측"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대한 개체의 감수성(susceptibility)을 판정하는 것, 개체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을 현재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걸린 개체의 예후(prognosis)를 판정하는 것, 또는 테라메트릭스(therametrics)(예컨대, 치료 효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개체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 "예측"은 "진단"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측용 조성물은 CAMP 또는 LPCAT2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단백질 발현 수준이 높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순응하는 것이고 낮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불응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AKR1B1이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단백질 발현 수준이 낮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순응하는 것이고 높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불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6개의 바이오마커 후보군을 선정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개체에서 CAMP, CAD, LPCAT2 및 STAT3가 높게 발현될수록, ANXA13 및 AKR1B1이 낮게 발현될수록 항암 방사선치료에 순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이를 기반으로, 최종적인 검증을 거쳐, 상기 바이오마커 후보군 중 CAMP, LPCAT2 및 AKR1B1이 신뢰도 있는 결과를 보임을 확인함으로써(도 6), 최종적인 바이오마커로 선정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CAMP, LPCAT2, 및 AKR1B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발현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용어 "CAMP", "LPCAT2", "AKR1B1",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예측" 등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용 키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용어 "CAMP", "LPCAT2", "AKR1B1",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예측" 등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키트는 상기 단백질의 발현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가 포함된 키트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키트를 이용하여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용 키트에는 상기 단백질뿐만 아니라, 분석방법에 적합한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 성분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항체의 면역학적 검출을 위하여 기질, 적당한 완충용액, 발색 효소 또는 형광물질로 표지된 2차 항체, 발색 기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질은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폴리비닐 수지로 합성된 96웰 플레이트, 폴리스테린 수지로 합성된 96웰 플레이트 및 유리로 된 슬라이드글라스 등이 이용될 수 있고, 발색효소는 퍼옥시다아제(peroxidase),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Alkaline Phosphatase)가 사용될 수 있고, 형광물질은 FITC, RITC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발색 기질액은 ABTS(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폰산)) 또는 OPD(o-페닐렌디아민), TMB(테트라메틸 벤지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로부터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용어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예측" 등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시료"는 상기 개체로부터 유래되어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뇌척수액 또는 뇨와 같은 시료 등을 포함하며, 특히 개체로부터 분리된 혈액 샘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정보제공방법은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단백질들의 상향-조절 또는 하향-조절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 내 단백질의 검출 및 이의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제공방법이다.
상기 정보제공방법은,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분리된 시료 내 단백질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방법은 CAMP 또는 LPCAT2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단백질 발현 수준이 높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순응하는 것이고 낮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불응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AKR1B1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단백질 발현 수준이 낮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순응하는 것이고 높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불응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마커를 이용하여 직장암 환자의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유무를 수술 전에 예측할 수 있어 직장암 환자의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진단 바이오마커 발굴을 위한 샘플 그룹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질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단백체를 분석하는 실험과정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동정을 통한 항암 방사선치료 반응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단백질의 Parallel recation monitoring(PRM)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방사선 조사량에 따른 직장암 세포주 SNU-503과 방사선 저항성 직장암 세포주 SNU-503R80Gy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방사선 조사 후 시간별 직장암 세포주 SNU-503과 방사선 저항성 직장암 세포주 SNU-503R80Gy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직장암 세포주 SNU-503과 방사선 저항성 직장암 세포주 SNU-503R80Gy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 후 각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펩타이드 동정
항암 방사선치료의 효능 유무를 치료 전에 확인하기 위한 단백질 진단 바이오마커 발굴을 위해 프로테오믹스 분석을 통해 펩타이드를 동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항암 방사선치료 전 직장암 환자로부터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직장암 조직을 얻고, 수술 후 수술실에서 조직을 얻었다. 획득한 조직은 완전관해된 CR 그룹의 치료 전(CR-S)과 치료 후(CR-T) 그리고 반응이 없는 3기 병기의 치료 전(Std3-S)과 치료 후(Std-T)로 분류하였다(도 1). 이후, 상기 그룹들로부터 Pulverization과 Focused Sonication 방법을 통해 10% 이상의 효율로 조직으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한 뒤, Filter Aided Sample Preparation(FASP) Digestion 방법을 통해 트립신 절단을 한 뒤, Hybrid Orbitrap MS를 통해 LC-MS/MS 데이터를 얻고 비표지 정량분석을 위해 3번 반복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뒤, SEQUEST 알고리즘을 이용해 신뢰도를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동정하였다(표 1). 각 단백질별 abundance, retention time, m/z 정보를 Agilent사의 Mass Profile Professional(MPP) 소프트웨어에 입력하여 t-test 및 ANOVA 통계 분석을 통해 p-value 0.05이하, fold change 1.5배 이상 차이가 나는 단백질 정보를 얻어 단백질별 기능 및 연관 관계를 확인하였다(도 2).
그 결과,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는 펩타이드 정보를 가진 단백질을 동정하였다.
Figure 112020106810956-pat00001
실시예 2: KEGG 경로 분석
p-value 0.05이하, fold change 1.5배 이상 차이를 나타내는 유의성 있는 단백질 정보를 얻은 후, KEGG 경로, GO Ontology 및 단백질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단백질별 기능 및 연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Wnt 신호전달은 조직의 항상성과 복구에 중요한 매개체이며, 종양 발달 중에 종종 나타나는 전달체계이다. 거의 모든 대장암은 Wnt 경로의 과다 활성화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JAK-STAT 신호전달은 면역기능과 세포성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IGF1/2와 IGF1R/2R의 결합 또는 다수의 성장인자가 IGF1R과 결합하여 하위 전달체계인 JAK-STAT 경로를 선택하여 종양성장과 세포사 억제 기능을 한다. IGF2 mRNA와 단백질은 대장암의 약 1/3에서 과다 발현되며 IGF1R 단백질은 대장암의 90% 이상에서 발현되고 있다.
실시예 3: 바이오마커 후보군 선정
실시예 3-1: 통계적 방법을 통한 선정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6개의 바이오마커를 선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 1에서 동정된 단백질들을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FDR 1%에 해당하는 단백질 및 최소 2개 이상의 유니크한 펩타이드를 가지는 단백질인 CR-S:1,481개, CR-T:1,418개, Std3-S:2,064개 및 Std3-T:1,853개를 선별하였다. 이후, 치료 전 그룹인 CR-S, 치료 후 그룹인 CR-T와 치료효과가 없는 환자 그룹의 치료 전 시료인 Std3-S, 치료 후 그룹인 Std3-T 단백질의 정량 값을 기준으로 정량하여 총 1,268개의 단백질을 선정하였다.
실시예 3-2: 상대 정량분석법을 통한 선정
상기에서 정량화된 4개의 그룹 중 치료 효과의 유무 그룹 간(CR-S와 Std3-S)에 차이가 나는 단백질을 상대 정량분석법을 통해 선별하여 총 up-regulation 59개, down-regulation 131개, 총 190개 단백질을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단백질 후보군 중, PRM을 통해 CR-S 및 Std3-S에 상대적으로 정량 변화를 나타내는 6개의 바이오마커 후보군 단백질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CAMP, CAD, LPCAT2 및 STAT3가 높게 발현될수록, ANXA13 및 AKR1B1이 낮게 발현될수록 항암 방사선치료에 순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 6개의 바이오마커 후보군 단백질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실시예 4: 6개의 바이오마커 후보군 검증
상기 실시예 3을 통하여 6개의 바이오마커 후보군을 선정하였는바, 이로부터 국소 진행성 직장암에서 임상적 유용성에 의미있는 바이오마커를 최종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직장암 세포주와 방사선 저항성 직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직장암 세포주 SNU-503과 방사선 저항성 직장암 세포주 SNU-503R50Gy를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 받아, 이를 대상으로 후보물질의 유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방법
4-1: Cell Counting: 세포수 세기
배양된 2개의 세포주를 대상으로 0, 2, 4, 6 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trypan blue로 염색하여 살아 있는 세포수를 각각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암 세포주와 방사선 저항성 직장암 세포주의 방사선 민감도를 확인할 수 있다.
4-2: Cell Viability Assay: 세포 생존율 실험
배양된 2개의 세포주를 대상으로 4 Gy로 방사선 조사한 후, 0, 6h, 24h, 48h, 72h 후에 세포의 생존율을 EZ-Cytox 시약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배양된 2개의 세포주를 대상으로 0, 2, 4, 6 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48h 후에 세포 생존율을 EZ-Cytox 시약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4-3: Western Blot Analysis: 단백질 발현 수준
배양된 2개의 세포주를 대상으로 0 Gy와 4 Gy로 나누어 방사선 조사한 후 0, 6h, 24h, 48h, 72h 후에 세포를 수확하여 총 단백질 20ug을 8-12% SDS-PAGE 젤에서 분리하였다. 도출된 후보물질 바이오마커인 CAMP, CAD, LPCAT2, ANXA13, AKR1B1, STAT3 각각의 항체를 이용하여 발현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먼저, 직장암 세포주 SNU-503과 방사선 저항성 직장암 세포주 SNU-503R80Gy를 대상으로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확인한 결과,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사선 용량과 시간별로 따른 두 세포주의 세포 생존율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4는 방사선 조사량에 따른 세포 생존율이고, 도 5는 시간별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다. 예시적으로 4 Gy 를 조사하고 48h 후에 SNU-503 세포주는 46.9%, SNU503-R80Gy 세포주는 86.0%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는바, 본 실험에 적합한 세포주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직장암 세포주 SNU-503과 방사선 저항성 직장암 세포주 SNU-503R80Gy를 대상으로 6가지 후보물질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Western Blot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 CAMP 및 LPCAT2의 경우 SNU-503 세포주에서 발현이 높게 나타났으며, AKR1B1의 경우 SNU-503R80Gy 세포주에서 발현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이는, CAMP 및 LPCAT2의 경우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단백질 발현 수준이 높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순응하는 것이고, 낮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불응하는 것으로 판단한 실시예 3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AKR1B1의 경우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단백질 발현 수준이 낮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순응하는 것이고, 높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불응하는 것으로 판단한 실시예 3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나머지 후보물질 바이오마커 3개(ANXA13, CAD, STAT3)의 경우에는 두 세포주 간의 발현 수준이 유사하거나 오히려 실시예 3의 결과와 반대로 나타나는 양상을 보여 실제 바이오마커로는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CAMP(human cathelicidin antimicrobial peptide), LPCAT2(Lysophosphatidylcholine acyltransferase 2), 및 AKR1B1(Aldo-keto reductase family 1, member B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발현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직장암에 대한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용 조성물로서,
    상기 CAMP 및 LPCAT2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단백질 발현 수준이 높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순응하는 것이고, 낮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불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며,
    상기 AKR1B1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단백질 발현 수준이 낮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순응하는 것이고, 높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불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직장암에 대한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 방사선치료는 항암 치료에서 환자 수술 전 수행되는 것인, 예측용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장암은 국소 진행성 직장암인 것인, 예측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은 조직에서 암 세포가 소실되는 것인, 예측용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직장암에 대한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용 키트.
  9.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로부터 CAMP(human cathelicidin antimicrobial peptide), LPCAT2(Lysophosphatidylcholine acyltransferase 2), 및 AKR1B1(Aldo-keto reductase family 1, member B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발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분리된 시료 내 단백질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장암에 대한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으로서,
    상기 CAMP 및 LPCAT2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단백질 발현 수준이 높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순응하는 것이고, 낮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불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며,
    상기 AKR1B1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단백질 발현 수준이 낮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순응하는 것이고, 높은 경우에 항암 방사선치료에 불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직장암에 대한 항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30563A 2019-10-10 2020-10-08 직장암 항암화학방사선 치료 반응 예측용 바이오마커 KR102414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25520 2019-10-10
KR1020190125520 2019-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836A KR20210042836A (ko) 2021-04-20
KR102414754B1 true KR102414754B1 (ko) 2022-06-30

Family

ID=7574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563A KR102414754B1 (ko) 2019-10-10 2020-10-08 직장암 항암화학방사선 치료 반응 예측용 바이오마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7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2109A1 (en) * 2002-10-15 2004-08-05 Gilbert Chu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termining risk of treatment toxicity
US20090023149A1 (en) 2005-12-01 2009-01-22 Steen Knudsen Methods, kits and devices for identifying biomarkers of treatment response and use thereof to predict treatment efficacy
US20120021920A1 (en) * 2009-04-03 2012-01-26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Radiation therapy biomarkers
WO2015035377A1 (en) 2013-09-09 2015-03-12 British Columbia Cancer Agency Branch Methods and kits for predicting outcome and methods and kits for treating breast cancer with radiation therapy
US20190293630A1 (en) 2016-12-02 2019-09-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and kits for predicting cancer prognosis and metastasi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2109A1 (en) * 2002-10-15 2004-08-05 Gilbert Chu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termining risk of treatment toxicity
US7465542B2 (en) 2002-10-15 2008-12-1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termining risk of treatment toxicity
US20090023149A1 (en) 2005-12-01 2009-01-22 Steen Knudsen Methods, kits and devices for identifying biomarkers of treatment response and use thereof to predict treatment efficacy
US20120021920A1 (en) * 2009-04-03 2012-01-26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Radiation therapy biomarkers
WO2015035377A1 (en) 2013-09-09 2015-03-12 British Columbia Cancer Agency Branch Methods and kits for predicting outcome and methods and kits for treating breast cancer with radiation therapy
US20190293630A1 (en) 2016-12-02 2019-09-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and kits for predicting cancer prognosis and metasta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836A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fi et al. Estrogen receptor and progesterone receptor status in breast cancer in relation to age, histological grade, size of lesion and lymph node involvement
Ihata et al. Amino acid profile index for early detection of endometrial cancer: verification as a novel diagnostic marker
Divrik et al. Increasing the number of biopsies increases the concordance of Gleason scores of needle biopsies and prostatectomy specimens
EP2457092B1 (en) Cancer biomarker and the use thereof
Amornsiripanitch et al. Complement factor H autoantibodies are associated with early stage NSCLC
Penner et al. Predictors of resolution of complex atypical hyperplasia or grade 1 endometrial adenocarcinoma in premenopausal women treated with progestin therapy
Moore et al. Current clinical use of biomarkers for epithelial ovarian cancer
Huang et al. Comparison of gastro‐oesophageal junction carcinomas in Chinese versus American patients
EP1775590A1 (en) Non-invasive in vitro method to detect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bladder
Takikita et al. Fascin and CK4 as biomarkers for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US8772038B2 (en) Detection of saliva proteins modulated secondary to ductal carcinoma in situ of the breast
Pucciarelli et 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utcomes in disease-free survivors of mid-low rectal cancer after curative surgery
JP2011527414A5 (ko)
Ma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tumor markers for diagnosis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in China
CN109628591B (zh) 用于肺腺癌预后预测的标志物
KR101378919B1 (ko) 혈액으로부터 직접 폐암 진단 및 폐암의 서브타입 진단이 가능한 마커를 선별하는 시스템 생물학적 방법 및 이로부터 선별된 혈액으로부터 직접 폐암 진단 및 폐암 서브타입 진단이 가능한 마커
CN112345755A (zh) 乳腺癌的生物标志物及其应用
Xie et al. Prognostic value of pretreatment serum alkaline phosphatase in nasopharyngeal carcinoma
Benati et al.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DJ‐1 and HE 4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Bao et al. The overexpression of MDM4: an effective and novel predictor of gastric adenocarcinoma lymph node metastasis
KR102414754B1 (ko) 직장암 항암화학방사선 치료 반응 예측용 바이오마커
JP2017526896A (ja) 補体因子bタンパク質に特異的に結合する抗体及び糖鎖抗原19−9タンパク質に特異的に結合する抗体を含む膵臓癌診断用キット
Fan et al. The diagnostic value of determination of serum GOLPH3 associated with CA125, CA19. 9 in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Zhang et al. Vimentin protein In situ expression predicts less tumor metastasis and overall better survival of endometrial carcinoma
Harada et al. High expression of S-phase kinase-associated protein 2 (Skp2) is a strong prognostic marker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patients treated by UFT in combination with rad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