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585B1 - 향미원 유닛 및 향미 흡인기 - Google Patents

향미원 유닛 및 향미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585B1
KR102414585B1 KR1020197034691A KR20197034691A KR102414585B1 KR 102414585 B1 KR102414585 B1 KR 102414585B1 KR 1020197034691 A KR1020197034691 A KR 1020197034691A KR 20197034691 A KR20197034691 A KR 20197034691A KR 102414585 B1 KR102414585 B1 KR 102414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r
cylindrical
mass
f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875A (ko
Inventor
타케시 신카와
타케시 아키야마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8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97Heating of fluids for non specified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6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향미원 유닛(30)은, 복수의 향미편에 의해 구성되는 주상괴체(320)와, 주상괴체를 수용하는 통체(31)를 구비한다. 통체는, 공기의 유입단을 구성하는 제1 통체 단면(311)과, 공기의 유출단을 구성하는 제2 통체 단면(313)과, 제1 통체 단면의 외주와 제2 통체 단면의 외주를 접속하는 통체 측벽(313)을 가진다. 주상괴체는, 공기의 유입단을 구성하는 제1 괴체 단면(321)과, 공기의 유출단을 구성하는 제2 괴체 단면(322)과, 제1 괴체 단면의 외주 및 제2 괴체 단면의 외주에 연속하는 괴체 측면(323)을 가진다. 주상괴체는, 통체 측벽의 내면의 어느 부분과 괴체 측면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통체 측벽의 내측 공간을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통체 단면과 제1 괴체 단면 사이 및 제2 통체 단면과 제2 괴체 단면 사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제1 스페이스(35)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향미원 유닛 및 향미 흡인기
본 발명은, 향미원(香味源) 유닛 및 향미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향미원 유닛을 가지는 향미 흡인기(吸引器)가 알려져 있다. 향미원 유닛은, 복수(複數)의 향미편(香味片)을 수용하는 통체(筒體)와, 통기성(通氣性)을 가지는 1쌍의 단벽(端壁)을 가진다. 1쌍의 단벽은, 통체의 양단부(兩端部)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1쌍의 단벽 및 통체로 구획되는 공간에 있어서, 복수의 향미편의 충전율은 95% 이상이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15/179388호
제1 특징은, 향미원(香味源) 유닛으로서, 복수의 향미편(香味片)에 의해 구성되는 주상괴체(柱狀塊體, columnar lump body)와, 상기 주상괴체를 수용하는 통체(筒體)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는, 공기의 유입단(流入端)을 구성하는 제1 통체 단면(端面)과, 공기의 유출단(流出端)을 구성하는 제2 통체 단면과, 상기 제1 통체 단면의 외주(外周)와 상기 제2 통체 단면의 외주를 접속하는 통체 측벽(側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주상괴체는, 공기의 유입단을 구성하는 제1 괴체 단면(塊體端面)과, 공기의 유출단을 구성하는 제2 괴체 단면과, 상기 제1 괴체 단면의 외주 및 상기 제2 괴체 단면의 외주에 연속하는 괴체 측면(塊體側面)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주상괴체는, 상기 통체 측벽의 내면의 어느 부분과 상기 괴체 측면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통체 측벽의 내측 공간을 막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통체 단면과 상기 제1 괴체 단면 사이 및 상기 제2 통체 단면과 상기 제2 괴체 단면 사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제1 스페이스(space)가 마련되는 것을 요지(要旨)로 한다.
제2 특징은,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체 단면 측에서 상기 통체 측벽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제1 단벽(端壁)과, 상기 제2 통체 단면 측에서 상기 통체 측벽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제2 단벽을 상기 향미원 유닛이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벽과 상기 제1 괴체 단면 사이 및 상기 제2 단벽과 상기 제2 괴체 단면 사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제1 스페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스페이스가 마련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 특징은,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벽 및 상기 제2 단벽 중, 상기 제2 스페이스에 면하는 벽체(壁體)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괴체 측면은, 상기 통체 측벽의 내면에 고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 특징은, 제2 특징, 제2 특징을 인용하는 제3 특징 또는 제4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벽 및 상기 제1 괴체 단면이 접촉하고 있으며, 또, 상기 제2 단벽과 상기 제2 괴체 단면 사이에 상기 제2 스페이스가 마련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6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통체는, 향미 흡인기의 본체에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스페이스는, 상기 접속 부분과 인접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 특징은, 제2 특징, 제2 특징을 인용하는 제3 특징 내지 제6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페이스의 체적은, 상기 제1 단벽, 상기 제2 단벽 및 상기 통체 측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의 용적의 5∼90%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8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7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체 단면의 형상 및 사이즈는, 상기 제2 통체 단면의 형상 및 사이즈와 동일한 것을 요지로 한다.
제9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8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괴체 단면의 형상 및 사이즈는, 상기 제2 괴체 단면의 형상 및 사이즈와 동일한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 특징은,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체 단면 측에서 상기 통체 측벽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제1 단벽과, 상기 제2 통체 단면 측에서 상기 통체 측벽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제2 단벽을 상기 향미원 유닛이 구비하며, 상기 제1 단벽 및 상기 제2 단벽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주상괴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스페이스를 메우고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0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주상괴체는, 상기 복수의 향미편의 압축체(壓縮體)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2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1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향미편은, 향료(香料) 및 바인더(bind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3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2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주상괴체의 벌크 밀도는, 상기 복수의 향미편의 루스 벌크 밀도(loose bulk density)의 130∼160%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4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주상괴체의 벌크 밀도는, 상기 복수의 향미편의 타이트 벌크 밀도(tight bulk density)보다 큰 것을 요지로 한다.
제15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향미편의 압축도(壓縮度)는, 22∼34%의 범위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6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향미편의 루스 벌크 밀도는, 0.40∼0.54g/㎤의 범위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7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향미편의 타이트 벌크 밀도는 0.68∼0.71g/㎤의 범위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8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7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향미편의 각각의 사이즈는, 0.2∼1.4mm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9 특징은, 향미 흡인기로서, 제1 특징 내지 제18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원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0 특징은, 제19 특징에 있어서, 상기 향미원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보지(保持, hold)하는 본체를 향미 흡인기가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1 특징은, 제19 특징 또는 제20 특징에 있어서, 상기 향미원 유닛보다 상류에 설치되는 무화(霧化) 유닛을 향미 흡인기가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2 특징은, 제19 특징 내지 제21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향미원 유닛은, 사용자(user)가 입에 무는 흡구(吸口, mouthpiece)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유닛(1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카트리지(2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카트리지(2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카트리지(3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카트리지(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통체(31)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5에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도 8]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통체(31)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7에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도 9]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카트리지(3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카트리지(3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도 11은, 변경예 1에 따른 제2 카트리지(3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도 12는, 변경예 2에 따른 제2 카트리지(3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도 13은, 변경예 3에 따른 제2 카트리지(3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도 14는, 변경예 4에 따른 제2 카트리지(3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도 15는, 변경예 5에 따른 제2 카트리지(30)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도 16은, 변경예 5에 따른 제2 카트리지(30)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도 17은, 변경예 5에 따른 제2 카트리지(3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해서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개시의 개요]
배경 기술에서 기재한 향미원 유닛에서는, 복수의 향미편(香味片)의 충전율이 95% 이상이다. 따라서, 복수의 향미편의 양이 적어도 되는 케이스에 있어서는, 95% 이상의 충전율을 실현하기 위해서, 향미원(香味源) 유닛의 사이즈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향미원 유닛의 제조 용이성 및 향미원 유닛의 취급 용이성을 고려하면, 향미원 유닛의 과도한 소형화는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95% 이상의 충전율이 실현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흡입하는 공기가 균일하게 복수의 향미편과 접촉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향미편이 충전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생겨, 결과적으로 복수의 향미편과 접촉하지 않는 공기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복수의 향미편이 괴체(예를 들면, 응집물)일 경우에는, 괴체 부분(향미편이 충전되어 있는 부분)과 향미편이 충전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통기(通氣) 저항차가 커지기 때문에, 괴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향미편과 공기가 접촉하지 않아, 괴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향미편에 의해 향미가 공기에 부여되기 어렵다.
개시의 개요에 관계되는 향미원 유닛은, 복수의 향미편에 의해 구성되는 주상괴체와, 상기 주상괴체(柱狀塊體)를 수용하는 통체(筒體)를 구비한다. 상기 통체는, 공기의 유입단(流入端)을 구성하는 제1 통체 단면(端面)과, 공기의 유출단(流出端)을 구성하는 제2 통체 단면(端面)과, 상기 제1 통체 단면의 외주(外周)와 상기 제2 통체 단면의 외주를 접속하는 통체 측벽(側壁)을 가진다. 상기 주상괴체는, 공기의 유입단을 구성하는 제1 괴체 단면과, 공기의 유출단을 구성하는 제2 괴체 단면과, 상기 제1 괴체 단면의 외주 및 상기 제2 괴체 단면의 외주에 연속하는 괴체 측면을 가진다. 상기 주상괴체는, 상기 통체 측벽의 내면의 어느 부분과 상기 괴체 측면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통체 측벽의 내측 공간을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통체 단면과 상기 제1 괴체 단면 사이 및 상기 제2 통체 단면과 상기 제2 괴체 단면 사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제1 스페이스가 마련된다.
개시의 개요에 따르면, 주상괴체는, 통체 측벽의 내면의 어느 부분과 괴체 측면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통체 측벽의 내측 공간을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괴체 측면과 통체 측벽의 내면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할 수 있어, 주상괴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향미편에 의해 향미를 공기에 부여하기 쉽다.
개시의 개요에 따르면, 제1 통체 단면과 제1 괴체 단면 사이 및 제2 통체 단면과 제2 괴체 단면 사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제1 스페이스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향미원 유닛의 과도한 소형화가 억제되어, 향미원 유닛의 제조 용이성 및 향미원 유닛의 취급 용이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의 개요에 관계되는 향미원 유닛에 따르면, 향미원 유닛의 과도한 소형화를 억제하면서도, 향미를 공기에 부여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
(향미 흡인기)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유닛(1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카트리지(2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카트리지(2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도 4에서는, 후술하는 리저버(21)가 생략되어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카트리지(3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카트리지(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통체(31)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5에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통체(31)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7에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단, 도 5 및 도 6에서는, 후술하는 주상괴체(향미원)가 생략되어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는, 비흡구단(非吸口端)에서부터 흡구단으로 향하는 방향인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향미 흡인기(1)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향미 흡인기(1)는, 전원 유닛(10)과,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를 가진다. 제1 카트리지(20)는, 전원 유닛(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며, 제2 카트리지(30)는, 제1 카트리지(20)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는, 각각, 교환 가능하다. 향미 흡인기(1)는, 인렛(4) 및 아웃렛(5)을 가지고 있으며, 인렛(4)으로부터 아웃렛(5)에 연통하는 공기 유로를 가진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유닛(10)은,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전지(11)를 적어도 가진다. 전지(11)는, 일회용 타입의 전지여도 되고, 충전 타입의 전지여도 된다. 전지(11)의 출력 전압의 초기값은 1.2V 이상 4.2V 이하의 범위여도 된다. 또한, 전지(11)의 전지 용량은, 100mAh 이상 1000mAh 이하의 범위여도 된다. 전원 유닛(10)은, 인렛(4)을 구성하는 구멍(4A) 및 사용자의 퍼프 동작을 검출하는 흡인 센서(12)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흡인 센서(12)는, 공기 유로에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카트리지(20)는,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1 카트리지(20)는, 리저버(21)와, 무화부(霧化部)(22)와, 유로 형성체(23)와, 외틀체(24)와, 엔드 캡(25)을 가진다. 제1 카트리지(20)는,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에어로졸 유로(流路)로서, 무화부(22)보다 하류측에 배치된 제1 유로(20X)를 가진다. 제1 카트리지(20)는, 인렛(4)을 구성하는 구멍(4B)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인렛(4)으로부터 아웃렛(5)에 연통하는 공기 유로에서, 인렛(4)에 가까운 측을 상류라고 칭하고, 아웃렛(5)에 가까운 측을 하류라고 칭한다. 마찬가지로, 공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에어로졸 유로에서, 무화부(22)에 가까운 측을 상류라고 칭하고, 무화부(22)로부터 아웃렛(5)을 향해 멀어지는 측을 하류라고 칭해도 된다.
리저버(21)는, 에어로졸원(21A)을 저류(貯留)한다. 리저버(21)는, 제1 유로(20X)(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斷面)에서 유로 형성체(23)의 주위에 위치한다. 실시형태에서, 리저버(21)는, 유로 형성체(23)와 외틀체(24) 사이의 공극(空隙) 내에 위치한다. 리저버(21)는, 예를 들면, 수지(樹脂) 웹이나 면(綿) 등의 다공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 리저버(21)는, 액체의 에어로졸원(21A)을 수용하는 탱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에어로졸원(21A)은,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액체를 포함한다.
무화부(22)는, 전지(1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21A)을 무화한다. 실시형태에서, 무화부(22)는, 소정 피치로 감아 돌리는 전열선(코일)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무화부(22)는, 1.0Ω 이상 3.0Ω 이하의 범위의 저항값을 가지는 전열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소정 피치는, 전열선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값 이상이며, 작은 값이어도 된다. 소정 피치는, 예를 들면, 0.40mm 이하여도 된다. 소정 피치는, 에어로졸원(21A)의 무화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일정해도 된다. 또한, 소정 피치란, 서로 인접하는 전열선의 중심 간격이다.
유로 형성체(23)는,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유로 형성체(23)는,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유로(20X)를 형성하는 통 모양 형상을 가진다.
외틀체(24)는,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외틀체(24)는, 유로 형성체(23)를 수용하는 통 모양 형상을 가진다. 실시형태에서, 외틀체(24)는, 엔드 캡(25)보다 하류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2 카트리지(30)를 착탈 가능하게 보지(保持)한다.
엔드 캡(25)은, 유로 형성체(23)와 외틀체(24) 사이의 공극(空隙)을 하류측으로부터 막는 캡이다. 엔드 캡(25)은, 리저버(21)에 저류되는 에어로졸원(21A)이 유로(20X)나 제2 카트리지(30) 측으로 새는 사태를 억제한다.
실시형태에서, 제1 카트리지(20)는, 제2 카트리지(30)보다 상류에 설치되는 무화 유닛의 일례이다.
제2 카트리지(30)는, 향미 흡인기(1)의 본체에 장착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2 카트리지(30)는, 제1 카트리지(20)에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제2 카트리지(30)의 일부는, 제1 카트리지(20)의 외틀체(24)에 삽입된다.
실시형태에서, 제2 카트리지(30)는, 복수의 향미편에 의해 구성되는 주상괴체 및 주상괴체를 수용하는 통체(31)를 구비하는 향미원 유닛의 일례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카트리지(30)는,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2 카트리지(30)는, 통체(31)와, 메시체(32)와, 필터(33)와, 캡(34)을 가진다. 통체(31)는, 에어로졸 유로로서, 제1 유로(20X)보다 하류에 배치된 제2 유로(30X)를 가진다.
제2 카트리지(30)에 따르면, 무화부(22)에 의해 무화된 에어로졸이 통체(31)의 내측 공간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주상괴체에 의해서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한다. 여기서, 실시형태에서는, 주상괴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향미편을 가열하지 않고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향미원(31A)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에어로졸이 발생하지 않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소정 방향 A에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대 사이즈는, 40mm 이하여도 된다. 나아가, 소정 방향 A에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대 사이즈는, 25mm 이하여도 된다. 한편, 소정 방향 A에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소 사이즈는, 5mm 이상이어도 된다. 나아가, 소정 방향 A에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소 사이즈는, 1mm 이상이어도 된다. 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대 사이즈는, 20mm 이하여도 된다. 나아가, 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대 사이즈는, 10mm 이하여도 된다. 한편, 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소 사이즈는, 3mm 이상이어도 된다. 나아가, 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소 사이즈는, 1mm 이상이어도 된다.
통체(31)는, 통 모양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공기의 유입단(후술하는 제1 통체 단면(端面)(311))에서부터 공기의 유출단(후술하는 제2 통체 단면(端面)(312))까지 연속하는 제2 유로(30X)를 형성한다.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는 주상괴체는, 통체(31)의 내측 공간(제2 유로(30X)) 내에 수용된다. 여기서,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斷面)에서, 주상괴체를 저류하는 리저버(21)의 체적을 확보하기 위해, 제1 유로(20X)의 사이즈가 작아도 된다. 따라서,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을 가지는 외틀체(24)에 제2 카트리지(30)가 수용되는 케이스에 있어서는, 결과적으로, 제2 유로(30X)의 사이즈는, 상술한 제1 유로(20X)의 사이즈보다 커지기 쉽다.
실시형태에서, 통체(31)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斷面)에서 통체(31)의 상류에 설치되는 단벽(端壁)(여기서는, 메시체(32))의 외연(外緣)으로부터 상류측(실시형태에서는, 유로 형성체(23) 혹은 엔드 캡(25)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1E)를 가져도 된다. 돌출부(31E)는, 통체(31)의 상류에 설치되는 메시체(32)의 외연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통체(31)의 외연을 따라 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외틀체(24)와 통체(31) 사이에 간극이 존재할 경우에는, 돌출부(31E)는, 통체(31)의 상류에 설치되는 메시체(32)의 외연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테이퍼 부분(31T)의 상류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에 에어로졸이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통체(31)의 외면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해서 넓어지는 테이퍼 부분(31T)을 포함해도 된다. 테이퍼 부분(31T)은, 통체(31)의 외면의 일부에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테이퍼 부분(31T)의 테이퍼 각 α는, 예를 들면, 3 내지 5도 정도이다.
실시형태에서, 통체(31)의 내면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해서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리브(31R)가 마련되어도 된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리브(31R)의 수는 2 이상이어도 된다. 리브(31R)의 하류단부(下流端部)는, 통체(31)의 하류 단면(端面)에 도달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소정 방향 A에서, 메시체(32)로부터 리브(31R)의 하류단부까지의 길이 L2는, 메시체(32)로부터 통체(31)의 하류 단면까지의 길이 L1보다 짧다. 환언하면, 통체(31)에 필터(33)가 삽입된 상태에서, 리브(31R)의 하류단부는, 통체(31)의 하류단부에 이르지 않고 필터(33)와 접해 있어도 된다.
메시체(32)는, 향미원(31A)보다 상류(비흡구측)에 배치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체(32)는, 통체(31)의 상류단부(上流端部)에 배치된다. 매우 작은 통체(31)에 메시체(32)를 설치할 경우에는, 메시체(32)의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통체(31) 및 메시체(32)가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즉, 실시형태에서, 메시체(32)는, 통체(31)의 일부이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통체(31) 및 메시체(32)는,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수지 및 ABS 수지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성형성 및 텍스처의 관점에서는,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이어도 된다. 통체(31) 및 메시체(32)는, 금형 성형이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필터(33)는, 소정 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원료편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거칠기를 가진다. 필터(33)는, 주상괴체(320)보다 하류에 배치된다. 필터(33)는,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필터이다. 캡(34)은, 필터(33)보다 하류(흡구측)에 설치된다. 캡(34)은, 아웃렛(5)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무는 흡구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통체(31)(여기서는, 메시체(32)를 포함한다), 필터(33) 및 캡(34)은, 서로 접착 또는 용착(溶着)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 제2 카트리지(3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향미편에 의해 구성되는 주상괴체(320)와, 주상괴체(320)를 수용하는 통체(31)를 구비한다. 통체(31)는, 공기의 유입단을 구성하는 제1 통체 단면(311)과, 공기의 유출단을 구성하는 제2 통체 단면(312)과, 제1 통체 단면(311)의 외주와 제2 통체 단면(312)의 외주를 접속하는 통체 측벽(313)을 가진다. 주상괴체(320)는, 공기의 유입단을 구성하는 제1 괴체 단면(端面)(321)과, 공기의 유출단을 구성하는 제2 괴체 단면(322)과, 제1 괴체 단면(321)의 외주 및 제2 괴체 단면(322)의 외주에 연속하는 괴체 측면(323)을 가진다.
주상괴체(320)는, 통체 측벽(313)의 내면의 어느 부분과 괴체 측면(323)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통체 측벽(313)의 내측 공간(즉, 제2 유로(30X))을 막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막다」란, 주상괴체(32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 유로를 제외하고, 공기의 유입단으로부터 공기의 유출단을 향하여 주상괴체(320)의 내부를 통하지 않는 공기 유로가 존재하지 않도록, 예를 들면, 통체 측벽(313)의 내면과 괴체 측면(323) 사이에 형성되는 통기 저항이 낮은 공기 유로가 존재하지 않도록, 통체 측벽(313)의 내측 공간 내에 주상괴체(320)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9에 나타내는 C-C 단면(斷面)에서 괴체 측면(323)의 전체가 통체 측벽(313)의 내면과 접촉하고 있다.
괴체 측면(323)은, 통체 측벽(313)의 내면에 고정되어도 된다. 「고정」이란, 통상의 사용에서 주상괴체(320)의 위치 차이를 일으키지 않는 정도에 주상괴체(320)가 통체 측벽(313)의 내면에 위치 결정된 상태이면 되고, 예를 들면, 괴체 측면(323)과 통체 측벽(313)의 내면 사이의 정지 마찰에 의해 통체 측벽(313)의 내측 공간에서 주상괴체(320)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 것을 의미해도 되고, 주상괴체(320)의 점성에 의해 괴체 측면(323)이 통체 측벽(313)의 내면에 접착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혹은, 괴체 측면(323)이 통체 측벽(313)의 내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통체 단면(311)과 제1 괴체 단면(321) 사이 및 제2 통체 단면(312)과 제2 괴체 단면(322) 사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제1 스페이스(35)가 마련된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통체 단면(312)과 제2 괴체 단면(322) 사이에 제1 스페이스(35A)가 마련된다. 한편, 메시체(32)의 외연으로부터 상류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1E)가 마련되기 때문에, 제1 통체 단면(311)과 제1 괴체 단면(321) 사이에 제1 스페이스(35B)가 마련된다.
통체(31)는, 제1 통체 단면(311) 측에서 통체 측벽(313)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메시체(32)(제1 단벽(端壁))와, 제2 통체 단면(312) 측에서 통체 측벽(313)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필터(33)(제2 단벽)를 가진다. 메시체(32)와 제1 괴체 단면(321) 사이 및 필터(33)와 제2 괴체 단면(322) 사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제1 스페이스(35)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스페이스(36)가 마련된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필터(33)와 제2 괴체 단면(322) 사이에 제2 스페이스(36A)가 마련된다. 즉, 필터(33)는, 제2 스페이스(36A)에 노출되어 있으며, 제2 괴체 단면(322)과 접촉하지 않도록 제2 괴체 단면(322)으로부터 이간(離間)되어 있다. 즉, 제2 스페이스(36)에 면하는 벽체는 필터(33)(제2 단벽)이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메시체(32)와 제1 괴체 단면(321) 사이에 제2 스페이스(36)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메시체(32)는, 제1 괴체 단면(321)과 접촉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카트리지(30)는, 향미 흡인기(100)의 본체(제1 카트리지(2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보지(保持)된다. 구체적으로는, 통체(31)는, 제1 카트리지(20)의 외틀체(24)에 삽입되는 삽입 부분(31I)을 가진다. 삽입 부분(31I)은, 향미 흡인기(100)의 본체에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분으로서 테이퍼 부분(31T)을 가진다. 제1 스페이스(35A)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스페이스(36A)는, 접속 부분(테이퍼 부분(31T))에 인접한다. 여기서 말하는 인접이란, 접속 부분(테이퍼 부분(31T))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적어도 일부와 제2 스페이스(36A)가 중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스페이스(36)의 체적은, 메시체(32)(제1 단벽), 필터(33)(제2 단벽) 및 통체 측벽(313)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의 용적(이하, 기준 용적)의 5∼90%여도 된다. 기준 용적(容積)에 대한 제2 스페이스(36)의 체적의 하한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나아가, 기준 용적에 대한 제2 스페이스(36)의 체적의 하한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기준 용적에 대한 제2 스페이스(36)의 체적의 상한은, 7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기준 용적에 대한 제2 스페이스(36)의 체적의 하한으로서, 5%, 10%, 20%, 30% 및 40% 중에서 선택된 임의의 값을 사용함과 함께, 기준 용적에 대한 제2 스페이스(36)의 체적의 상한으로서, 90%, 70% 및 50% 중에서 선택된 임의의 값을 사용해도 된다.
제1 통체 단면(311)의 형상 및 사이즈는, 제2 통체 단면(312)의 형상 및 사이즈와 동일해도 된다. 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통체(31)의 단면의 형상 및 사이즈는, 소정 방향 A에서의 통체(31)의 전체에 걸쳐 동일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동일」이란, 형상 및 사이즈가 대폭 변화되지 않으면 되는 것을 의미하며, 상술한 테이퍼 부분(31T)에 기인하는 형상 및 사이즈의 차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1 괴체 단면(321)의 형상 및 사이즈는, 제2 괴체 단면(322)의 형상 및 사이즈와 동일해도 된다. 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주상괴체(320)의 단면(斷面)의 형상 및 사이즈는, 소정 방향 A에서의 주상괴체(320)의 전체에 걸쳐 동일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동일」의 개념은 상술한 개념과 마찬가지이다.
주상괴체(3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향미편에 의해 구성된다. 복수의 향미편은, 향미 흡인기(1)가 발생시키는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는 향미편에 의해 구성된다. 향미편으로서는, 담배 원료의 재각(裁刻)에 의해 얻어지는 살담배, 담배 원료의 분쇄에 의해 얻어지는 입상(粒狀) 담배를 이용할 수 있다. 향미편으로서는,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허브 등)의 재각 또는 분쇄에 의해 얻어지는 원료편을 이용할 수 있다. 복수의 향미편은, 향료 및 바인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향료로서는, 멘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바인더로서는, HPC(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풀루란, CMC(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Na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향료 및 바인더의 양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향료는 5-20중량%, 바인더는 3-7중량%로 할 수 있다.
복수의 향미편의 압축도(壓縮度)는 22∼34%의 범위여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향미편의 압축도는 29∼34%의 범위여도 된다. 이러한 수치 범위의 압축도로 형성된 주상괴체(320)에 의하면, 주상괴체(320)가 가지는 기둥 모양 형상의 붕괴를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향미편의 루스 벌크 밀도는, 0.40∼0.54g/㎤의 범위여도 된다. 복수의 향미편의 타이트 벌크 밀도는, 0.68∼0.71g/㎤의 범위여도 된다. 주상괴체(320)의 벌크 밀도는, 복수의 향미편의 루스 벌크 밀도의 130∼160%여도 된다. 주상괴체(320)의 벌크 밀도는, 복수의 향미편의 타이트 벌크 밀도보다 커도 된다. 복수의 향미편의 각각의 사이즈(각폭(刻幅) 또는 입경(粒徑))는, 0.2∼1.4mm여도 된다.
여기서, 루스 벌크 밀도(A)는, 눈 크기(aperture size)가 큰 체(표준 1.7mm)의 아래에 벽(壁) 효과가 적은 용기를 배치함과 아울러, 체를 통해서 향미편을 용기에 공급한다. 이어서, 용기에 공급된 향미편의 중량을 용기의 체적으로 나눗셈하는 것에 의해 루스 벌크 밀도(A)가 산출된다. 타이트 벌크 밀도(P)는, 용기에 캡을 장착함과 아울러, 용기를 탭핑(tapping)하면서 향미편을 용기에 충전한다. 여기서, 탭핑 스트로크는 18mm이며, 탭핑 횟수는 180회이다. 탭핑이 종료된 후에 있어서, 용기에 충전된 향미편의 중량을 용기의 체적으로 나눗셈하는 것에 의해 타이트 벌크 밀도(P)가 산출된다. 압축도(C)는, C=(P-A)/P×100(%)의 식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이들 값은, 예를 들면, 호소카와 미크론 사제의 파우더 테스터를 이용해서 측정 가능하다.
복수의 향미편의 압축에 의해 주상괴체(320)를 형성함으로써, 주상괴체(32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주상괴체(320)의 내부에서의 향미편의 치우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향미편 또는 복수의 향미편에 의해 구성되는 일차 압축체를 통체(31) 내에서 압축하는 것에 의해 주상괴체(320)를 형성함으로써, 통체 측벽(313)의 내면과 괴체 측면(323) 사이에서의 간극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작용 및 효과)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상괴체(320)는, 통체 측벽(313)의 내면의 어느 부분과 괴체 측면(323)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통체 측벽(313)의 내측 공간을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괴체 측면(323)과 통체 측벽(313)의 내면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할 수 있어, 주상괴체(320)의 내부에 위치하는 향미편에 의해 향미를 공기에 부여하기 쉽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제2 통체 단면(312)과 제2 괴체 단면(322) 사이에 제2 스페이스(36A)를 포함하는 제1 스페이스(35)가 마련된다. 제1 통체 단면(311)과 제1 괴체 단면(321) 사이에 제1 스페이스(35)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2 카트리지(30)의 과도한 소형화가 억제되어, 제2 카트리지(30)의 제조 용이성 및 제2 카트리지(30)의 취급 용이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카트리지(30)에 의하면, 제2 카트리지(30)의 과도한 소형화를 억제하면서도, 향미를 공기에 부여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향미편이 주상괴체(320)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통체 측벽(313)의 내측 공간을 주상괴체(320)가 막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향미를 공기에 부여하는 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괴체 측면(323)은, 통체 측벽(313)의 내면에 고정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통체 측벽(313)의 내측 공간 내에서의 주상괴체(320)의 이동이 억제되며, 주상괴체(320)의 붕괴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통체 측벽(313)의 내측 공간을 주상괴체(320)가 막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기 쉽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필터(33)와 제2 괴체 단면(322) 사이에 제2 스페이스(36)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2 카트리지(30)의 과도한 소형화를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필터(33)가 주상괴체(320)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필터(33)의 착색 및 눈 막힘, 주상괴체(320)로부터 필터로의 성분 이행(移行)이 억제된다. 또한, 제2 카트리지(30) 전체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일없이, 소정 방향 A에서의 필터(33)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체(32)(제1 단벽)는, 제1 괴체 단면(321)과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통체(31) 내에 배치된 복수의 향미편 또는 복수의 향미편의 일차 압축체를 메시체(32)에 대고 누르면서 압축하는 것에 의해, 괴체 측면(323)과 통체 측벽(313)의 내면과의 간극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스페이스(35A)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스페이스(36A)는, 접속 부분(테이퍼 부분(31T))에 인접한다. 따라서, 향미 흡인기(100)의 본체에 제2 카트리지를 장착할 때에 접속 부분에 걸리는 응력에 따른 주상괴체(320)의 붕괴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통체 측벽(313)의 내측 공간을 주상괴체(320)가 막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기 쉽다.
[변경예 1]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에서는, 필터(33)(제2 단벽)와 제2 괴체 단면(322) 사이에 제2 스페이스(36A)가 마련되어 있으며, 메시체(32)(제1 단벽)는, 제1 괴체 단면(321)과 접촉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변경예 1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33)와 제2 괴체 단면(322) 사이에 제2 스페이스(36A)가 마련되어 있으며, 메시체(32)와 제1 괴체 단면(321) 사이에 제2 스페이스(36B)가 마련된다. 제2 스페이스(36B)는, 제1 통체 단면(311)과 제1 괴체 단면(321)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스페이스(35B)의 일부를 구성한다.
[변경예 2]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에서는, 필터(33)(제2 단벽)와 제2 괴체 단면(322) 사이에 제2 스페이스(36A)가 마련되어 있으며, 메시체(32)(제1 단벽)는, 제1 괴체 단면(321)과 접촉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변경예 2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33)와 제2 괴체 단면(322) 사이에 제2 스페이스(36)가 마련되지 않아, 필터(33)는 제2 괴체 단면(322)과 접촉하다. 한편, 메시체(32)와 제1 괴체 단면(321) 사이에 제2 스페이스(36B)가 마련된다. 제2 스페이스(36B)는, 제1 통체 단면(311)과 제1 괴체 단면(321)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스페이스(35B)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12에서는, 대비(對比)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도 9와 동일한 구성을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변경예 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단벽은, 메시체(32)가 아니라, 필터(33)여도 된다. 한편, 제2 단벽은, 필터(33)가 아니라, 메시체(32)여도 된다.
[변경예 3]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3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에서는, 제2 유로(30X)(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斷面)은, 괴체 측면(323)의 전체가 통체 측벽(313)의 내면과 접촉하는 단면(斷面)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 변경예 3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유로(30X)(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은, 괴체 측면(323)의 전체가 통체 측벽(313)의 내면과 접촉하는 단면을 포함하지 않는다. 단, 변경예 3에서도, 주상괴체(320)는, 통체 측벽(313)의 내면의 어느 부분과 괴체 측면(323)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통체 측벽(313)의 내측 공간(즉, 제2 유로(30X))을 막도록 배치된다. 즉,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주상괴체(320)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 유로가 존재하지 않는다.
[변경예 4]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4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체(32)(제1 단벽)와 제1 괴체 단면(321) 사이 및 필터(33)(제2 단벽)와 제2 괴체 단면(322) 사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제1 스페이스(35)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스페이스(36)가 형성된다.
이에 대해, 변경예 4에서는, 메시체(32) 및 필터(33)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주상괴체(320)와 접촉하도록 제1 스페이스(35)를 메우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필터(33)는, 주상괴체(320)와 접촉하도록 제1 스페이스(35)를 채우고 있다. 즉, 필터(33)와 제2 괴체 단면(322) 사이에 제2 스페이스(36)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변경예 5]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5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카트리지(30)는, 에어로졸 유로를 구획하도록 향미 흡인기(100)의 본체(제1 카트리지(2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카트리지(30)는, 제1 카트리지(20)에 마련되는 가이드 리브(26)를 따라 제1 카트리지(20)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유로는 제2 카트리지(30)에 의해 구획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카트리지(30)의 상면이 공기의 유입단이며, 제2 카트리지(30)의 하면이 공기의 유출단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체(31)는, 공기의 유입단을 구성하는 제1 통체 단면(311) 측에서 통체 측벽(313)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제1 단벽(32X)과, 공기의 유출단을 구성하는 제2 통체 단면(312) 측에서 통체 측벽(313)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제2 단벽(33X)을 가진다. 제1 단벽(32X) 및 제2 단벽(33X)은 메시체 또는 필터이다.
여기서, 제1 통체 단면(311)과 제1 괴체 단면(321) 사이에는 제1 스페이스(35B)가 형성된다. 제1 단벽(32X)과 제1 괴체 단면(321) 사이에는, 제1 스페이스(35B)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스페이스(36B)가 형성된다. 변경예 5에서도, 주상괴체(320)는, 통체 측벽(313)의 내면의 어느 부분과 괴체 측면(323)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통체 측벽(313)의 내측 공간(즉, 제2 유로(30X))을 막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 카트리지(30)의 단체(單體)로서 공기가 흐르는 방향(제1 통체 단면(311)에서부터 제2 통체 단면(312)까지 연속하는 제2 유로(30X)의 방향)은, 상술한 소정 방향 A의 방향과 달라도 된다. 이러한 경우라도,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괴체 측면(323)과 통체 측벽(313)의 내면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할 수 있어, 주상괴체(320)의 내부에 위치하는 향미편에 의해 향미를 공기에 부여하기 쉽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통체(31)는, 상류측에 마련되는 제1 단벽으로서 메시체(32)를 가진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1 단벽은, 필터(33)여도 된다. 즉, 제2 스페이스에 면하는 벽체는 제1 단벽이어도 된다. 통체(31)는, 하류측에 마련되는 제2 단벽으로서 필터(33)를 가진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2 단벽은, 메시체(32)여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2 단벽이 필터(33)인 것으로 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2 단벽은, 필터(33)에 더해서 다른 부재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단벽은, 필터(33) 및 캡(34)이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통체(31)는, 향미 흡인기(100)의 본체에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분으로서 테이퍼 부분(31T)을 가진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 부분은, 향미 흡인기(100)의 본체에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면 되고, 향미 흡인기(100)의 본체에 제2 카트리지를 장착할 때에 응력이 걸리는 부분이다. 접속 부분은, 향미 흡인기(100)의 본체에 제2 카트리지를 계지(係止)하기 위한 단차(段差)여도 되고, 향미 흡인기(100)의 본체에 제2 카트리지를 나사 고정하기 위한 수나사여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체(32)의 외연으로부터 상류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1E)가 마련되기 때문에, 제1 통체 단면(311)과 제1 괴체 단면(321) 사이에 제1 스페이스(35B)가 형성된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시체(32)(제1 단벽)가 제1 통체 단면(311)을 포함하고 있어, 제1 통체 단면(311)과 제1 괴체 단면(321) 사이에 제1 스페이스(35B)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도 9, 도 11∼도 14에서는, 통체(31)가 캡(34)을 포함하지 않는 케이스가 예시되어 있기 때문에, 캡(34)이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 및 변경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통체(31)가 캡(34)을 포함하는 부재라고 생각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2 통체 단면(312)은, 캡(34)의 상류 단면(端面)에 의해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통체 단면(312)의 형상 및 사이즈는, 제1 통체 단면(311)의 형상 및 사이즈와 동일해도 된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7-104173호(2017년 5월 26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원용되어 있다.
일 태양(態樣)에 따르면, 과도한 소형화를 억제하면서도, 향미를 공기에 부여하는 효율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향미원 유닛 및 향미 흡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2)

  1. 복수의 향미편(香味片)에 의해 구성되는 주상괴체(柱狀塊體)와,
    상기 주상괴체를 수용하는 통체(筒體)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는, 공기의 유입단(流入端)을 구성하는 제1 통체 단면(端面)과, 공기의 유출단(流出端)을 구성하는 제2 통체 단면(端面)과, 상기 제1 통체 단면의 외주(外周)와 상기 제2 통체 단면의 외주를 접속하는 통체 측벽(側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주상괴체는, 공기의 유입단을 구성하는 제1 괴체 단면(端面)과, 공기의 유출단을 구성하는 제2 괴체 단면(端面)과, 상기 제1 괴체 단면의 외주 및 상기 제2 괴체 단면의 외주에 연속하는 괴체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주상괴체는, 상기 통체 측벽의 내면의 어느 부분과 상기 괴체 측면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통체 측벽의 내측 공간을 막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통체 단면과 상기 제1 괴체 단면 사이 및 상기 제2 통체 단면과 상기 제2 괴체 단면 사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제1 스페이스가 마련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향미원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체 단면 측에서 상기 통체 측벽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제1 단벽(端壁)과,
    상기 제2 통체 단면 측에서 상기 통체 측벽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제2 단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단벽과 상기 제1 괴체 단면 사이 및 상기 제2 단벽과 상기 제2 괴체 단면 사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제1 스페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스페이스가 마련되는, 향미원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벽 및 상기 제2 단벽 중, 상기 제2 스페이스에 면(面)하는 벽체(壁體)는 필터를 포함하는, 향미원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괴체 측면은, 상기 통체 측벽의 내면에 고정되는, 향미원 유닛.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벽 및 상기 제1 괴체 단면이 접촉해 있고, 또, 상기 제2 단벽과 상기 제2 괴체 단면 사이에 상기 제2 스페이스가 마련되는, 향미원 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체는, 향미 흡인기(吸引器)의 본체에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스페이스는, 상기 접속 부분과 인접하는, 향미원 유닛.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페이스의 체적은, 상기 제1 단벽, 상기 제2 단벽 및 상기 통체 측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의 용적(容積)의 5∼90%인, 향미원 유닛.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체 단면의 형상 및 사이즈는, 상기 제2 통체 단면의 형상 및 사이즈와 동일한, 향미원 유닛.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괴체 단면의 형상 및 사이즈는, 상기 제2 괴체 단면의 형상 및 사이즈와 동일한, 향미원 유닛.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체 단면 측에서 상기 통체 측벽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제1 단벽(端壁)과,
    상기 제2 통체 단면 측에서 상기 통체 측벽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제2 단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단벽 및 상기 제2 단벽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주상괴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스페이스를 메우고 있는, 향미원 유닛.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상괴체는, 상기 복수의 향미편(香味片)의 압축체(壓縮體)인, 향미원 유닛.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향미편은, 향료 및 바인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향미원 유닛.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상괴체의 벌크 밀도는, 상기 복수의 향미편의 루스 벌크 밀도의 130∼160%인, 향미원 유닛.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상괴체의 벌크 밀도는, 상기 복수의 향미편의 타이트 벌크 밀도보다 큰, 향미원 유닛.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향미편의 압축도(壓縮度)는, 22∼34% 범위인, 향미원 유닛.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향미편의 루스 벌크 밀도는, 0.40∼0.54g/㎤ 범위인, 향미원 유닛.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향미편의 타이트 벌크 밀도는, 0.68∼0.71g/㎤ 범위인, 향미원 유닛.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향미편의 각각의 사이즈는, 0.2∼1.4mm인, 향미원 유닛.
  19. 청구항 1에 기재된 향미원 유닛을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향미원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보지(保持)하는 본체를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향미원 유닛보다 상류에 설치되는 무화(霧化) 유닛을 구비하는, 향미 흡인기.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향미원 유닛은, 사용자가 입에 무는 흡구(吸口)를 포함하는, 향미 흡인기.
KR1020197034691A 2017-05-26 2018-04-26 향미원 유닛 및 향미 흡인기 KR102414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04173 2017-05-26
JP2017104173 2017-05-26
PCT/JP2018/016948 WO2018216430A1 (ja) 2017-05-26 2018-04-26 香味源ユニット及び香味吸引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875A KR20190138875A (ko) 2019-12-16
KR102414585B1 true KR102414585B1 (ko) 2022-06-29

Family

ID=6439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691A KR102414585B1 (ko) 2017-05-26 2018-04-26 향미원 유닛 및 향미 흡인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13070B2 (ko)
EP (1) EP3636085A4 (ko)
JP (2) JP7100024B2 (ko)
KR (1) KR102414585B1 (ko)
CN (1) CN110691524A (ko)
CA (1) CA3063017C (ko)
EA (1) EA038503B1 (ko)
TW (1) TWI694780B (ko)
WO (1) WO2018216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6430A1 (ja) * 2017-05-26 2018-11-2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源ユニット及び香味吸引器
WO2020152827A1 (ja) * 2019-01-24 2020-07-3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たばこカプセル及び間接加熱式たばこ製品
US11456480B2 (en) * 2019-02-07 2022-09-27 Rai Strategic Holdings, Inc. Non-inverting amplifier circuit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WO2020261540A1 (ja) * 2019-06-28 2020-12-3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システム、マウスピース及びカートリッジ
GB201909883D0 (en) * 2019-07-10 2019-08-21 Nicoventures Trading Ltd Vapour delivery systems
TW202128035A (zh) 2019-10-10 2021-08-01 日商日本煙草產業股份有限公司 非燃燒型香味吸嚐器用的煙草母料及含有該母料的煙草材料
GB202004733D0 (en) * 2020-03-31 2020-05-13 Nicoventures Holdings Ltd Non-combustible electronic aerosol delivery system
KR102471062B1 (ko) * 2020-06-26 2022-11-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및 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471108B1 (ko) * 2020-08-06 2022-11-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WO2022123649A1 (ko) * 2020-12-08 2022-06-16
JPWO2022123650A1 (ko) * 2020-12-08 2022-06-16
KR102647540B1 (ko) * 2022-09-02 2024-03-14 주식회사 이엠텍 에어로졸 발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5749A1 (ja) * 2014-11-10 2016-05-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非燃焼型香味吸引器
JP2016185158A (ja) * 2013-03-05 2016-10-2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燃焼型熱源、香味吸引器及び燃焼型熱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4599A (en) * 1976-06-15 1977-12-22 Japan Tobacco Inc Method for imparting water resistance to molded smoking composition
US4765348A (en) * 1986-12-12 1988-08-23 Brown & Williamson Tobacco Corporation Non-combustible simulated cigarette device
SE8703827D0 (sv) * 1987-10-05 1987-10-05 Svenska Tobaks Ab Tobaksportion
US4967774A (en) * 1989-10-11 1990-11-06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with improved means for retaining the fuel element
JP3327826B2 (ja) * 1997-12-05 2002-09-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生成物品及び香味生成器具
JP2949114B1 (ja) * 1998-08-04 1999-09-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電気式香味生成物品加熱制御装置
US20030159703A1 (en) * 2002-02-22 2003-08-28 Zuyin Yang Flavored carbon useful as filtering material of smoking article
US7163015B2 (en) * 2003-01-30 2007-01-16 Philip Morris Usa Inc. Opposed seam electrically heated cigarette smoking system
PL2609822T3 (pl) * 2010-08-24 2018-11-30 Japan Tobacco, Inc. Inhalator aromatu typu niegrzejnego i sposób wytwarzania wkładu aromatu
RU2604012C2 (ru) * 2011-11-21 2016-12-10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Экстрактор для аэрозоль-генерир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US9687025B2 (en) * 2012-09-10 2017-06-27 Healthier Choices Managment Corp. Electronic pipe
KR101888282B1 (ko) 2013-09-30 2018-08-13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향미 흡인구
JP5660238B1 (ja) 2014-03-19 2015-01-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ム電卓及びプログラム
US20150335070A1 (en) 2014-05-20 2015-11-2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Electrically-powered aerosol delivery system
KR20170041797A (ko) * 2014-08-07 2017-04-17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필터 부착 시가렛
AU2014411336B2 (en) * 2014-11-10 2018-05-24 Japan Tobacco Inc. Non-burning type flavor inhaler
TWI581725B (zh) * 2015-04-02 2017-05-11 日本煙草產業股份有限公司 香味吸嚐器
WO2016162933A1 (ja) * 2015-04-06 2016-10-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及び内側保持部材
JP6647028B2 (ja) 2015-12-07 2020-02-14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KR102444765B1 (ko) * 2016-02-18 2022-09-19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연소형 흡인 물품
WO2018216430A1 (ja) * 2017-05-26 2018-11-2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源ユニット及び香味吸引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5158A (ja) * 2013-03-05 2016-10-2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燃焼型熱源、香味吸引器及び燃焼型熱源の製造方法
WO2016075749A1 (ja) * 2014-11-10 2016-05-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非燃焼型香味吸引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875A (ko) 2019-12-16
US20200085098A1 (en) 2020-03-19
TW201900043A (zh) 2019-01-01
EP3636085A4 (en) 2021-03-03
JP2022001043A (ja) 2022-01-06
EA201992791A1 (ru) 2020-04-30
WO2018216430A1 (ja) 2018-11-29
CA3063017C (en) 2022-03-22
US11213070B2 (en) 2022-01-04
JP7100024B2 (ja) 2022-07-12
TWI694780B (zh) 2020-06-01
CN110691524A (zh) 2020-01-14
CA3063017A1 (en) 2019-12-03
EA038503B1 (ru) 2021-09-08
EP3636085A1 (en) 2020-04-15
JPWO2018216430A1 (ja)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585B1 (ko) 향미원 유닛 및 향미 흡인기
TWI594704B (zh) 匣體及非燃燒型香味吸嚐器
EP3245885B1 (en) Non-combustion type flavor inhaler, flavor source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mber used in a non-combustion type flavor inhaler
TWI578922B (zh) 非燃燒型香味吸嚐器
KR102145861B1 (ko)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패키지
EP4014772A1 (en) Non-burning type flavor inhaler and control method
CA3127610A1 (en) Vapour provision systems
TW201626907A (zh) 非燃燒型香味吸嚐器及控制方法
JP7267422B2 (ja) 香味吸引器
JP7267423B2 (ja) 香味吸引器
JP6913193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非燃焼型香味吸引器
JP7549690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非燃焼型香味吸引器
JP6660418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非燃焼型香味吸引器
WO2022123649A1 (ja) 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