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062B1 -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및 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및 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062B1
KR102471062B1 KR1020200078827A KR20200078827A KR102471062B1 KR 102471062 B1 KR102471062 B1 KR 102471062B1 KR 1020200078827 A KR1020200078827 A KR 1020200078827A KR 20200078827 A KR20200078827 A KR 20200078827A KR 102471062 B1 KR102471062 B1 KR 102471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delivery
mesh body
cartridge
case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764A (ko
Inventor
박주언
임헌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78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0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매질을 수용하는 케이스; 기체를 통과시키도록 케이스에 배치되는 메시체; 및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고, 메시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메시체와 케이스의 사이를 밀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및 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Aerosol delivery cartridge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he aerosol comprising cartridge thereof}
본 발명은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흡입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서, 액체 및 고체매질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장치에 구비되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에 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물질로서, 액체로 된 물질을 사용하는 장치, 고체로 된 물질을 사용하는 장치 및 액체와 고체로 된 물질을 모두 사용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히, 고체 및 액체로 된 물질을 모두 사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는, 고체로 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와 고체로 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열을 가하지 않는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가 모두 포함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체 및 액체를 모두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을 최적화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로서,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매질을 수용하는 케이스; 기체를 통과시키도록 케이스에 배치되는 메시체;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고, 상기 메시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메시체와 상기 케이스의 사이를 밀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액체로부터 기체를 생성하는 액상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고체로 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통과하는 기체의 이행량과 유속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의 일 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돌출부에 결합되어 있는 메시체를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돌출부의 다른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의 일 예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의 다른 일 예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5에서 설명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의 일 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는 케이스(100), 마우스피스(110), 고체매질(130), 돌출부(200) 및 메시체(30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는 액상카트리지에서 생성된 기체가 고체매질(130)을 통과하면서, 그 기체에 고체매질(130)의 고유한 향미가 부가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액상 카트리지에서 형성된 기체가 고체매질(130)을 통과하여 향미가 부가된 것을 에어로졸(aerosol)이라고 호칭하기로 하며, 도 1에서는 액상카트리지는 생략되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케이스(100)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고, 통상(cylindrical shape)이다. 마우스피스(110)는 비흡구단에서 흡구단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마우스피스(110)를 입에 접촉시키고, 마우스피스(110)의 흡구단으로부터 에어로졸을 흡입하게 된다. 케이스(100)의 중앙부에는 고체매질(130)이 존재한다.
돌출부(200)는 케이스(100)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고, 메시체(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케이스(100)의 메시체(300) 사이를 밀봉한다. 돌출부(200)는 메시체(300)가 케이스(1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의 내부를 향해 튀어나온 형태이고, 케이스(100)와 원형의 메시체(300) 사이에 생긴 틈에 의해서 기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케이스(100)와 메시체(300)의 사이를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00)는 케이스(100)의 내부를 향해 제1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에 그치지 않고, 제1방향으로 돌출되다가 제1방향과 서로 다른 제2방향으로 꺾이는 형태일 수 있다. 도 1과 같은 돌출부(200)의 형상은 메시체(300)가 돌출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메시체(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시체(300)가 돌출부(2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다.
메시체(3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돌출부(200)에 의해 케이스(100) 내부의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그물형상의 구조체(mesh body)를 의미한다. 메시체(300)는 케이스(100) 내부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기공(aperture)을 포함하고 있다. 메시체(300)에 형성된 각 기공의 크기는 실시 예에 따라 모두 같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메시체(300)에 형성된 기공들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있는 고체매질(130)이 케이스(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스(100)의 내부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고체매질(130)의 최소크기보다 더 작지만 기체분자보다는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메시체(300)는 고어 텍스(Gore-tex)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돌출부에 결합되어 있는 메시체를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체가 비흡구단에서 흡구단으로 이동하는 방향(이하, "소정 방향")으로 잘랐을 때의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의 단면도가 도 1이라면, 도 2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를 소정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다.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가 중공의 통상이므로, 돌출부(200)는 도 2에서 메시체(300)를 둘러싸고 있는 원형으로 표현되며, 메시체(300)는 고체매질이 케이스(100)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체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기공을 복수개 갖고 있어서, 도 2에서 그물망과 유사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액상카트리지에서 형성된 기체는 케이스(100)로 이동하게 되면서, 돌출부(200) 또는 메시체(300)에 도달한다. 메시체(300)에 도달한 기체는 메시체(300)의 기공들을 통해서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되며, 돌출부(200)에 도달한 기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확산되어 메시체(300)로 이동하고,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메시체(300)는 복수의 기공들을 포함하고, 도 2에서 돌출부(200)가 메시체(300)를 둘러싸고 있는 원형이므로, 기공들로 형성되는 기공들의 집합은 원의 형상을 갖는다. 메시체(300)의 기공의 최소크기는 고체매질의 최소크기보다 더 작으며, 일 실시 예로서, 메시체(300)의 각 기공의 최소크기는 0.2mm일 수 있다. 도 2에서 메시체(300)를 구성하는 각 기공들의 형상은 정사각형이나, 실시 예에 따라서, 메시체(300)를 구성하는 기공들의 각각의 형상은 정사각형이 아닌 다각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액상카트리지와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가 결합되어 동작하며, 돌출부(200)는 케이스(100)와 메시체(300)의 사이를 밀봉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액상카트리지로부터의 기체는 모두 메시체(300)의 기공을 통해서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에서 돌출부(200)의 반경을 최소화하면 상대적으로 메시체(300)가 형성하는 원의 면적이 넓어져서, 액상카트리지에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에 도달할 때에 메시체(300)의 기공을 통해 바로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이 많아진다.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이 많아지면, 마우스피스(110)로 빠져나가는 에어로졸의 이행량이 더 많아진다. 또한,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이 많아지면, 마우스피스(110)로 빠져나가는 에어로졸의 유속도 더 빠르게 된다.
기존에 알려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메시형상구조는 금형성형이나 사출형성에 의해 형성되며, 생산 수율 문제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여 작업하는 직조방식이 이용되므로, 메시체에 포함된 영역이지만 기공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한다. 위와 같은 구조적인 특성에 의해서, 기존에 알려진 방식으로 메시구조를 형성할 경우, 메시체를 통해 빠져나가는 기체의 양과 속도에 제한이 생길 수밖에 없어서, 그 기체로부터 형성되는 에어로졸의 이행량 및 유속도 제한적이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의 돌출부(200)에 메시체(300)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케이스(100)와 메시체(300) 사이를 돌출부(200)로 밀봉함에 따라서, 액상카트리지에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로 전달되는 기체의 유실을 최소화하고, 에어로졸 이행량과 유속면에서 기존의 장치보다 더 유리한 특성이 있다.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메시체(300)는 기체분자만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반투과성 멤브레인(semipermeable membrane)일 수 있다. 또한, 메시체(300)는 돌출부(200)로부터 분리하여 교체가능한 특성을 가지므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에 수용되는 고체매질(130)의 종류가 변경되어, 고체매질(130)의 최소크기가 변경되면, 고체매질(130)의 최소크기에 맞춰서 더 경제성 높은 물질로 제작된 메시체(300)로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체(300)가 교체되더라도, 액상카트리지에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로 이동하는 기체에 노출되는 메시체(300)의 면적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3은 돌출부의 다른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의 돌출부(200)는 걸림턱(210)을 추가로 구비하여, 결합되어 있는 메시체(300)가 돌출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돌출부(200)의 걸림턱(210)은 메시체(30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기준점이 됨과 동시에 이미 결합되어 있는 메시체(30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 메시체(300)에서 돌출부(200)의 걸림턱(210)과 맞물리는 양 단부는, 걸림턱(210)의 형상과 크기에 맞춰서 성형될 수 있다.
도 4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의 일 예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케이스(100)에 결합가능하고, 결합해제도 가능한 돌출부(200) 및 그 돌출부(200)에 결합되는 메시체(300)를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는, 돌출부(200)에 메시체(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200)가 케이스(100)에 결합되어 도 1과 같은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가 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는 메시체(300)뿐만 아니라, 돌출부(200)도 교체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의 다른 일 예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케이스(100)에 결합가능하고, 결합해제도 가능한 제1돌출부(200A) 및 제2돌출부(200B)와, 두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메시체(300)를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는, 제1돌출부(200A) 및 제2돌출부(200B) 사이에 메시체(3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1돌출부(200A), 메시체(300) 및 제2돌출부(200B)가 모두 결합된 결합체가 케이스(100)에 결합되어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가 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는 돌출부가 케이스(100)로부터 분리가능한 점에서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와 공통점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메시체(300)를 케이스(100)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메시체(300)의 전후로 제1돌출부(200A) 및 제2돌출부(200B)가 구비된다.
도 6은 도 5에서 설명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제1돌출부(200A), 메시체(300), 제2돌출부(200B)가 결합된 채로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메시체(300)는 제1돌출부(200A) 및 제2돌출부(200B) 사이에 위치하는 형태로 케이스(100)내부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실시 예에 따라,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제2돌출부(200B)가 비흡구단에서 흡구단 방향으로 일정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제2돌출부(200B)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걸림턱이 존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액상 카트리지(500) 및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 및 액상 카트리지(500)가 하우징(11) 내부에서 결합된 형태로 동작한다. 도 7에서 경계선(B)은 액상 카트리지(500) 및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를 구분하기 위한 선으로 간주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된 각종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장치(배터리)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생략된 것으로 본다.
액상 카트리지(500)는 액체 저장부(530)에 저장된 액상을 히터(510)로 가열하여 기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체를 유로(550)를 통해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에 전달한다. 도 7의 액상 카트리지(500)는 두 개의 액체 저장부(530)의 상류방향으로 코일형 히터(510)가 배치되고, 액체 저장부(530) 사이에 유로(550)가 배치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액상 카트리지(500)는 액상 카트리지(500)의 일 실시 예로서, 실시 예에 따라서, 다른 형태를 갖는 액상 카트리지(500)로 대체될 수 있다.
히터(510)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가열된 히터(510)는 히터(510)와 액체 저장부(530) 사이에 배치된 심지(wick)로 이동한 액상조성물을 가열하여 기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기체는 유로(550)를 통해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에 전달된다. 심지는 액체 저장부(530)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 조성물이 히터(510)가 있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액체 전달 수단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심지는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히터(51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51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포함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510)가 가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히터(510)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고,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그러나, 히터(510)는 상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액상 조성물로부터 기체가 생성될 수 있는 목표온도까지 충분히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목표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기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530)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도 7에서 액체 저장부(530)는 히터(510)와 분리된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액체 저장부(530)는 히터(510)와 일체로서 제작된 무화기(atomzier)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550)는 액상 카트리지(500)에서 생성된 기체가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로 이동할 때에 사용하는 경로를 의미한다. 유로(550)를 통해 이동하던 기체는 경계선(B)를 지나면서 더 넓은 공간으로 확산된다. 즉, 유로(550)의 폭은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의 폭보다 더 좁다. 유로(550)를 통해 이동하던 기체는 경계선(B)을 지나면서 더 넓어진 공간에 의해 확산되나, 본 발명의 돌출부(200)는 케이스(100) 및 메시체(300)의 사이를 밀봉하여, 메시체(300)에 있는 기공을 통해서만 기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제한한다.
본 발명에서, 메시체(300)는 돌출부(200)와 결합하는 구조적 특징에 의해, 기체에 노출되는 메시체(300)의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에어로졸의 이행량과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메시체(300)의 기공을 통해 케이스(100)의 내부에 유입된 기체는 고체매질(130)과 접촉함으로써, 고체매질(130)이 갖고 있는 특유의 향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서, 고체매질(130)이 니코틴을 함유하고 있는 물질이면, 마우스피스(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에어로졸에는 니코틴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액상 카트리지(500)에서 생성된 기체는 가열된 히터(510)에 의해 생성된 것이지만, 그 기체가 통과될 때 향미를 제공하는 고체매질(130)은 가열되지 않는다.
고체매질(130)은 기체에 향미를 제공하면 족하므로, 그 형태에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고체매질(130)은 분말(powder)형태일 수도 있고, 과립(granule)형태일 수도 있다. 고체매질(130)을 구성하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메시체(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공의 크기는 달라질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에는 복수의 돌출부 및 메시체가 존재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의 상류 및 하류에 돌출부와 메시부가 각각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메시체(300)는 케이스(100)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스(100) 내부의 고체매질(130)이 케이스(100)의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유로(550)로부터의 기체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서 마우스피스(110)로 이동하도록 하므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의 상류 및 하류에 모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일 수 있다. 고체매질(130)이 기체에 향미를 일정 이상 부가하게 되면, 고체매질(130)은 소진되어 교체되어야 하는데,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를 복수개 장착하여, 다이얼(dial)식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되면, 고체매질(130)이 소진될 때마다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를 매번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현저하게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microcontroller unit)는 복수의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가 있을 때, 고체매질의 농도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만 선택하여, 액상 카트리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 등을 기초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되는 과정에서 기체에 향미를 부가했던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10)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고체매질(130)의 농도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고, 고체매질(130)의 향미방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부터 직접 고체매질(130)의 상태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100: 케이스
110: 마우스피스
130: 고체매질
200: 돌출부
300: 메시체
500: 액상 카트리지
510: 히터
530: 액체 저장부
550: 유로

Claims (12)

  1.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매질을 수용하는 케이스;
    기체를 통과시키도록 케이스에 배치되는 메시체; 및
    외측면이 상기 케이스에 접촉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며 상기 메시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상기 메시체와 상기 케이스의 사이를 밀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메시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메시체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메시체는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매질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체는,
    상기 매질의 최소크기보다 더 작은 크기의 기공을 복수개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들로 형성되는 기공들의 집합은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의 형상을 갖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질의 최소크기는 0.2mm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들의 각각의 형상은 다각형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체는, 반투과성 멤브레인(semipermeable membrane)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체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분리하여 교체가능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체는,
    고어 텍스(Gore-tex)로 구성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10.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액체로부터 기체를 생성하는 액상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매질의 농도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는 복수개이고,
    상기 액상카트리지는, 상기 복수개 중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00078827A 2020-06-26 2020-06-26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및 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471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827A KR102471062B1 (ko) 2020-06-26 2020-06-26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및 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827A KR102471062B1 (ko) 2020-06-26 2020-06-26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및 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64A KR20220000764A (ko) 2022-01-04
KR102471062B1 true KR102471062B1 (ko) 2022-11-25

Family

ID=7934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827A KR102471062B1 (ko) 2020-06-26 2020-06-26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및 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0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148A (ja) * 2002-07-31 2004-02-26 Green Precious:Kk 喫煙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18689D0 (en) * 2011-10-28 2011-12-14 Jt Int Sa Apparatus for creating liquid tobacco extract
WO2016075749A1 (ja) * 2014-11-10 2016-05-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非燃焼型香味吸引器
JP7100024B2 (ja) * 2017-05-26 2022-07-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源ユニット及び香味吸引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148A (ja) * 2002-07-31 2004-02-26 Green Precious:Kk 喫煙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64A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5241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403222B1 (ko) 궐련 및 궐련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3622838B1 (en) Vaporizer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including same
KR102138246B1 (ko) 증기화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1757679B (zh) 气溶胶生成装置用卷烟
JP7173667B2 (ja) エアロゾル生成物品
KR20160040440A (ko) 전자 흡연 용품
CN111479477A (zh) 包括控制主体、雾化器主体和料筒的气溶胶递送装置及相关方法
KR102480475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471062B1 (ko)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 및 그 에어로졸 전달 카트리지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625305B1 (ko)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방법
CN114302654B (zh) 气溶胶生成物品以及气溶胶生成系统
JP7210721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20220136756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과습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03277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35307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장치로 에어로졸을 제공하는 방법
KR102550143B1 (ko) 증기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80476B1 (ko) 캡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시스템
KR2022000333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4364270A (zh) 气溶胶生成物品、气溶胶生成物品用冷却组件以及空气量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