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367B1 -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367B1
KR102414367B1 KR1020200039694A KR20200039694A KR102414367B1 KR 102414367 B1 KR102414367 B1 KR 102414367B1 KR 1020200039694 A KR1020200039694 A KR 1020200039694A KR 20200039694 A KR20200039694 A KR 20200039694A KR 102414367 B1 KR102414367 B1 KR 102414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search
card
settlement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2489A (ko
Inventor
신은영
최주형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웹케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웹케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웹케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3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은, 카드사 서버로부터 연구비 지출에 연관된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수집부; 연구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에 연관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입력부;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연구비 지출의 정산을 위한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연구비 지출에 대한 청구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연구 행정 관리부; 및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청구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면, 카드로 지출한 연구비 사용내역에 대한 과세 유형을 자동으로 검증하고, 연구자가 카드 사용내역에 대해 입력한 청구종류, 사용내역, 증빙사진 등의 부가 정보를 자동으로 연계하여 연구비 정산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실물 영수증 상의 메모 내역을 기초로 연구비를 정산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TTLEMENT OF RESEARCH FUND USING CARDS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들은 카드로 지출한 연구비 사용내역에 대한 과세 유형을 자동으로 검증하고, 연구자가 입력한 청구종류, 사용내역, 증빙사진 등의 부가 정보를 자동으로 연계하여 연구비 정산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카드 정산 연계 기술에 대한 것이다.
국가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국가연구 개발사업이 있다. 정부에서는 국가연구 개발사업을 통해 다양한 과제를 선정하고, 과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기관에 연구비를 지원함으로써 양질의 기술 개발을 도모하고 있다.
다양한 과제에 대한 전체 연구비를 관리하기 위하여, 연구비 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어 운용되고 있다. 과제의 수행 기관은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연구비 사용 계획 및 연구 수행원 등을 포함하는 수행 계획을 연구비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고, 연구비의 사용이나 연구 수행이 완료된 후에 연구비 관리 시스템에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 수행 내역을 등록하여 연구비 정산 작업을 해야 한다.
그런데, 연구자가 연구비를 사용하는 시점과, 연구비 사용 내역을 연구비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정산 시점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연구자는 연구비 지출의 통상 80% 정도를 연구비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데, 결제 건 수가 많고 사용 시점과 정산 시점이 상이한 특성 상 연구자가 사용 내역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연구자들은 카드의 실물 영수증에 사용 내역을 메모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정산 담당자에게 전달하고 있으나, 이는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실물 영수증을 분실하기 쉽고, 또한 메모 내용과 상이한 청구 내역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과제의 종류에 따라 부가세의 지원 여부가 상이하며 부가세를 지원하지 않는 과제의 경우 지원금 정산을 위해서는 공급가액과 부가세를 분리하여야 하는데, 사용 금액 중 부가세의 비율은 사용처의 과세 유형 및 업종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연구비 사용 내역을 입력하는 정산 담당자가 과제 및 사용처의 과세 유형을 잘못 입력하거나 카드 사용내역의 부가세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잘못된 연구비 청구가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6063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물 영수증 상의 메모 내역을 기초로 연구비를 정산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카드로 지출한 연구비 사용내역에 대한 과세 유형을 자동으로 검증하고, 연구자가 카드 사용내역에 대해 입력한 청구종류, 사용내역, 증빙사진 등의 부가 정보를 자동으로 연계하여 연구비 정산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은, 카드사 서버로부터 연구비 지출에 연관된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수집부; 연구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에 연관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입력부;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연구비 지출의 정산을 위한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연구비 지출에 대한 청구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연구 행정 관리부; 및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청구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입력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은, 국세청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처의 과세 유형 정보를 조회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검증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청구기초정보는 상기 과세 유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부가세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연구 과제 및 상기 연구 과제의 과세 유형이 포함된 과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구 행정 관리부는, 상기 과제 정보 및 상기 부가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연구비 지출에 상응하는 청구액을 산출함으로써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제 정보는 상기 연구 과제에 상응하는 카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구 행정 관리부는, 상기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와 상기 연구 과제의 매칭(matching)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정보 매칭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는 하나 이상의 연구 과제에 대한 정산 정보를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연구 행정 관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정산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입력 항목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청구기초정보는 상기 부가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을 이용하여 생성된 청구종류, 청구내역 및 증빙자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방법은,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카드사 서버로부터 연구비 지출에 연관된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연구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에 연관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연구비 지출의 정산을 위한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구비 지출에 대한 청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방법은,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국세청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처의 과세 유형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청구기초정보는 상기 과세 유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부가세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방법은,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에 하나 이상의 연구 과제 및 상기 연구 과제의 과세 유형이 포함된 과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과제 정보 및 상기 부가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연구비 지출에 상응하는 청구액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제 정보는 상기 연구 과제에 상응하는 카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와 상기 연구 과제의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방법은,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에 하나 이상의 연구 과제에 대한 정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정산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입력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연구비를 지출하는 연구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을 통하여 카드 사용내역에 대한 청구종류, 사용내역, 증빙사진 등의 부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카드 사용내역과 이에 대해 입력된 부가 정보가 정산 담당자의 연구비 청구 시 자동으로 연계되므로, 종래와 같이 실물 영수증에 사용 내역을 메모하여 사용 내역이 분실되거나 부정확한 연구비 청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카드 사용내역에 대한 과세 유형이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검증되고 과제의 과세 유형(수익, 비수익, 면세 등)과 부가세 금액이 자동으로 산출되어 정산이 이루어지므로, 정산 담당자가 과세 유형을 잘못 입력하거나 카드 사용내역의 부가세 정보가 부정확하여 잘못된 연구비 청구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a 및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카드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 상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 상의 예시적인 UI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데이터 수집부(31), 연구 행정 관리부(33), 제1 입력부(34) 및 제2 입력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데이터 검증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저장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 포함된 각 모듈 또는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서버", "시스템", "플랫폼",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unit)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의 각 부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을 이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각 부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부가 다른 부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의 각 부는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연구비 지출에 관련된 카드 사용 데이터의 수신을 위하여 카드사 서버(4)와 통신하며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카드 사용처의 과세 유형 조회를 위하여 국세청 서버(5)와 통신하며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연구비 지출에 관련된 청구종류, 청구내역 및 증빙자료의 입력을 위하여 연구자의 사용자 장치(1)와 통신하며 동작할 수 있으며, 연구비 정산을 위한 청구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2)와 통신하며 동작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카드사 서버(4), 국세청 서버(5) 및 사용자 장치(1, 2) 등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2)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연구자란, 연구비 카드 등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를 이용하여 연구비를 지출하는 사용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상 대학 교수 등 연구 책임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정산 담당자란, 연구비 지출에 상응하는 청구종류, 청구내역, 증빙서류 등을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 업로드함으로써 연구비 지출에 대한 정산을 요청하는 사용자를 지칭한다. 정산 담당자는 연구자와 상이한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산 담당자가 연구자와 동일인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연구자가 자신의 사용자 장치(1)를 통해 카드 사용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에 대해 필요한 부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 장치(1) 상에서 실행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또는, 앱)과 통신하며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application service serv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정산 담당자가 웹 페이지(web page)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 접속하여 연구비 지출에 대한 사전 승인이나 정산 등을 신청하고 과제비의 사용 현황을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 연구자의 사용자 장치(1)는 스마트폰(smartphone)의 형태로 도시되었으며,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2)는 노트북 컴퓨터의 형태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각각의 사용자 장치(1, 2)는 스마트폰 등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을 위한 셋톱박스(set-top box) 또는 네트워크 서버 등 임의의 컴퓨팅 장치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1, 2)의 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을 이용하는 연구자 또는 정산 담당자의 인원 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데이터 수집부(3)는 카드사 서버(4)로부터 연구비 지출에 연관된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카드사 와의 연계를 통하여 특정 카드(즉, 연구비 카드)에 대한 카드 승인이 발생하는 즉시 이를 실시간으로 카드사 서버(4)로부터 통지받을 수 있다.
데이터 검증부(32)는 카드 사용 데이터를 토대로 국세청 서버(5)와 통신함으로서 카드 사용처의 과세 유형(일반과세자 또는 간이과세자 등)을 조회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부(36)는 과세 유형이 검증된 카드 사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 데이터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3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6)는 연구비 지원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연구 과제와 각 과제의 과세 유형(수익, 비수익, 면세 등)이 저장된 과제 정보 DB(361)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과제 정보 DB(361)에는 각 과제에 해당하는 지출 카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제1 입력부(34)는 연구자가 사용자 장치(1)를 통하여 카드 사용 데이터를 확인하고, 해당 카드 사용에 대한 정산 청구를 위하여 필요한 부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연구 행정 관리부(33)는, 과세 유형이 검증된 카드 사용 데이터와, 과제 정보 및 제1 입력부(34)를 통해 연구자가 입력한 부가 정보 등을 토대로 정산 담당자의 정산 청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한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연구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간편하게 입력된 정보가 비용 정산시 연계될 수 있는 것이다.
연구 행정 관리부(33)에 의해 생성된 청구기초정보는 제2 입력부(35)를 통해 정산 담당자에게 제공된다. 정산 담당자는 자신의 사용자 장치(2)를 통하여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이 제공하는 청구기초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정보를 숭인, 편집하거나 또는 이에 필요한 일부 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청구 정보를 연구 행정 관리부(33)에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연구 행정 관리부(33)는 연구자, 정산 담당자 및 연구 과제의 관리 기관에서 과제의 연구비 사용을 계획하고 지출 내역에 대한 정산 등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연구 행정 관리부(33)는 연구비 관리를 위한 전사적 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구 행정 관리부(33)는 저장부(36)에 저장된 동일 또는 유사 과제에 대한 과거의 정산 정보를 토대로 정산 담당자의 정산 청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한 입력 항목들을 추천하는 정보 분석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연구 행정 관리부(33)는 과제 정보 DB(361)의 과제별 카드 정보를 토대로 카드 사용 데이터와 이에 해당하는 과제의 매칭(matching)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 매칭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는 하나 이상의 연구 과제에 대한 과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S1). 과제 정보는 각 연구 과제의 과제명과 책임 연구원, 과제의 과세 유형(수익, 비수익, 면세 등)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각 연구 과제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연구비 카드의 카드명과 카드번호 등 카드 정보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의 운영자와 카드사의 협약을 통하여, 연구비 카드를 이용한 지출이 발생하면 카드사 서버(4)는 카드 사용 데이터를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S2). 예컨대, 카드사 서버(4)에서는 카드사용 요청이 승인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카드의 사용처, 사용일시, 사용금액, 공급가액, 부가세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사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수신된 카드 사용 데이터를 토대로 국세청 서버(5)와 통신함으로써 과세 유형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S3). 카드 사용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세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서는 카드 사용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처(즉, 가맹점)의 식별정보(예컨대, 사업자 등록번호)를 이용하여 국세청 서버(5)를 조회함으로써 해당 사용처가 일반과세자 또는 간이과세자인지 등 과세 유형을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서는 국세청 서버(5)에서 사용처의 업종에 해당하는 업종별 부가세율을 더 조회하고, 과세 유형 및 업종별 부가가치율을 토대로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 금액에 해당하는 부가세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공급가액은 사용 금액에서 부가세를 제한 나머지 금액이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과세 유형이 검증된 카드 사용 데이터를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 저장할 수 있다(S4). 이때,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카드 사용 데이터의 이의 과세 유형 정보만을 저장할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처의 과세 유형과 업종별 부가가치율 등을 토대로 산출된 공급가액 및 부가세 정보를 카드 사용 데이터와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카드를 이용하여 연구비를 지출한 연구자는, 자신의 사용자 장치(1)를 이용하여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 접속함으로써 카드 사용 데이터를 확인하고, 해당 카드 사용 내역과 관련하여 연구비 청구에 필요한 부가 정보, 예컨대, 청구종류, 청구내역, 실물 영수증 사진 등의 증빙서류, 회의록이나 회의 참석자의 서명 또는 사진과 같은 보충서류 등을 입력하여 이를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S5).
일 실시예에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카드 사용 데이터가 수신되면 과제 정보 DB를 조회하여 해당 카드에 상응하는 연구 과제의 연구자를 특정하고, 연구자의 사용자 장치(1)에 이메일, 문자 메시지 또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을 통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등을 전송하여 연구자가 카드 사용 데이터에 대한 부가 정보를 입력하도록 촉구할 수 있다.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서는, 과세 유형이 검증된 카드 사용 데이터와 함께 이에 대해 연구자가 입력한 부가 정보를 토대로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6). 청구기초정보란, 연구 과제의 정산 담당자가 연구비 지출에 대한 정산을 청구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청구에 관련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을 사전에 저장된 데이터와 연계하여 미리 설정해 놓은 것을 의미한다.
이후 정산 담당자가 연구비 지출에 대한 정산 청구를 위하여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 접속하면,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2)에 청구기초정보를 제공한다(S7). 이는, 카드 사용 데이터와 이에 대해 입력된 부가 정보 등을 토대로 사전에 설정된 과제 정보, 카드 정보, 청구종류, 청구액, 청구내역, 증빙서류, 첨부문서 등의 입력 항목들이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2)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청구기초정보는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을 사용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을 통해 제공되거나, 또는 웹 페이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정산 담당자는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 의해 제공된 청구기초정보를 승인, 편집하거나 이에 정보를 추가함으로서 연구비 지출에 대한 정산을 청구하는 청구 정보를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S8).
일 실시예에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연구비 지출에 대해 청구가 완료된 것에 대한 알림을 연구자의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할 수도 있다(S9). 상기 알림은 연구비 정산 청구 사실과 내역을 연구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의도와 상이한 연구비 청구가 이루어졌을 경우 이를 즉시 연구자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청구 정보의 청구종류, 청구액, 청구내역 및 증빙이나 보충 서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은 이메일, 문자 메시지 또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을 통한 푸시 알림 등 다양한 형태로 연구자의 사용자 장치(1)에 전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방법에 의하면, 카드 사용 데이터와 이에 대해 연구자가 입력한 정보 등이 정산 시 정산 담당자에게 연계되어 디스플레이되므로, 종래와 같이 연구자가 실물 영수증 등에 사용 내역을 메모하여 정산 담당자에게 전달할 필요가 없고, 정산 담당자가 시스템을 통하여 각 연구 과제에 관련된 사용 금액과 이에 대한 청구내역 등을 일목 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카드 사용 데이터에 대해 어떤 청구종류 및 청구액으로 정산을 청구할 것인지, 또는 정산 청구에 어떤 추가 정보(예컨대, 증빙이나 보충서류 등)가 필요한 것인지 등을 나타내는 추천 입력 항목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연구자의 사용자 장치(1) 및/또는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4)에 제시하여 승인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는 과거의 연구비 지출에 대한 정산 내역을 포함하는 정산 정보가 DB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구자가 동일한 사용처, 즉, 카드 가맹점에서 반복적으로 연구비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연구자가 카드 사용 데이터에 대해 부가 정보를 충실히 입력하지 않더라도,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에서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처와 동일한 사용처에 대한 과거의 정산 내역을 검색하고, 과거의 정산 내역에 해당하는 청구종류 및 청구내역을 금번 카드 사용 데이터에 대한 입력 항목으로 추천할 수 있다.
또한, 금번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처와 동일한 사용처에 대한 과거의 정산 이력이 없는 경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해당 사용처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다른 사용처에 대한 과거의 정산 이력을 조회하여 유사한 사용처에 대한 비용 정산 시 기록된 청구내역을 금번 카드 사용 데이터에 대한 추천 입력 항목으로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사용처의 유사성은 사용처의 사업자번호 또는 업종분류코드가 동일하거나, 사용일시의 사용 요일 또는 사용 시간대가 동일하거나, 또는 사용금액의 구간이 일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정된 추천 입력 항목은 연구자가 사용자 장치(1)를 통해 카드 사용 데이터에 대한 부가 정보를 입력하는 시점에 사용자 장치(1)에 제시될 수도 있으며, 또는/또한 추천 입력 항목은 청구기초정보의 일부로서 생성되어 정산 시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4)에 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과거의 정산 이력을 토대로 특정 청구종류 또는 청구내역에 대한 정산 시 필요한 정보의 종류를 추정하고, 해당 정보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이를 연구자나 정산 담당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의비를 청구하는 경우 회의 진행 사실에 대한 증빙을 위해 회의록이나 회의 참석자의 서명 또는 사진 등의 증빙서류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연구자 또는 정산 담당자가 청구종류나 청구내역을 회의비로 선택하면,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는 회의비에 대한 과거의 정산 이력을 현재 입력된 청구 정보의 정보 항목들과 비교하고, 과거의 정산 이력에 포함된 증빙서류 중 현재 청구 정보에 입력되지 않은 정보를 연구자나 정산 담당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3)은 [회의비 청구 시 회의 진행에 대한 증빙서류가 필요합니다] 등의 메시지가 사용자 장치(1, 2)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나, 사용자에 대한 고지의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 및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카드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 상의 예시적인 UI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연구자의 사용자 장치에는 카드 사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지출 정보(301)와, 이에 해당하는 연구비 청구를 위한 UI 요소(302)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지출 정보(301)에는 연구비 카드를 사용한 사업장, 사용일시, 사용금액, 외화 사용일 경우 외화 금액 및 환율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화면에서 연구자가 [영수증 작성하기] UI 요소(302)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구자는 추가로 표시되는 UI 요소(311, 312) 등을 통하여 연구비 지출에 대한 부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구자는 입력란(311)을 통하여 청구종류 및 청구내역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기능 아이콘(312)을 선택하여 지출에 대한 증빙서류(예컨대, 실물 영수증의 촬영 이미지)나 기타 보충서류(예컨대, 회의비 청구 시 회의록, 회의참석자 서명 또는 사진 등)를 입력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가 UI 요소(313)를 선택하면 연구자가 사용자 장치에 입력한 부가 정보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에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 상의 예시적인 UI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도 3a 및 3b의 UI를 이용하여 연구자가 입력한 정보들이 정산 담당자의 정산 청구 시 연계되어 청구기초정보로서 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정산 담당자가 연구비를 청구할 과제를 선택하면, 화면 상단의 UI 요소(401)로 도시된 것과 같이 해당 과제명 및 과제 책임자 등 과제 정보와, 해당 과제에 매칭되는 카드의 카드 사용 데이터가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정산 담당자가 특정 카드 사용 데이터를 선택하면, 화면 하단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해당 연구비 지출에 대한 청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UI 요소들이 표시된다.
이때, 정산 담당자가 청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 요소들은 과세 유형 검증 정보와 연구자가 입력한 부가 정보 등을 토대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입력 항목들을 포함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청구기초정보로 지칭한다. 즉,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처의 과세 유형과 해당 과제의 과세 유형을 토대로 UI 요소(403)에 기재될 청구액, 공급가액 및 부가세 각각의 금액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은 국세청을 통해 검증한 사용처의 과세 유형(일반과세자 또는 간이과세자) 및 업종별 부가가치율을 토대로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 금액 중 공급가액과 부가세를 산출하여 이를 정산 담당자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 금액 중 청구액에 해당하는 금액은 카드 사용 데이터에 해당하는 과제의 과세 유형(수익, 비수익, 면제 등)에 따라 달라지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은 해당 과제의 과세 유형을 토대로 사용 금액 중 청구액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정산 담당자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구 결과물의 소유권이 연구 수행자에게 귀속되는 비수익 과제의 경우 부가세가 청구액에 포함되어 1건의 청구건이 생성되지만, 연구 결과물의 소유권이 연구 수행자와 지원 기관의 공동 소유 또는 지원 기관의 단독 소유가 되는 수익 과제의 경우에는 공급가액과 부가세를 분리하여 두건의 청구건이 생성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위의 같이 생성된 청구건과 연계하여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을 통해 부가세신고파일까지 생성함으로써 일괄된 업무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도 3b의 입력란(311)에 연구자가 입력한 부가 정보가 도 4의 청구내역 및/또는 UI 요소(404)에 기재될 청구내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도 3b의 기능 아이콘(312)을 통해 연구자가 업로드한 증빙서류 및/또는 보충서류가 도 4의 UI 요소(402)의 증빙서류 및/또는 UI 요소(404)의 첨부문서 등으로 사전에 설정이 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은 연구자가 입력한 부가 정보 외에 카드 사용 데이터를 토대로 청구내역을 자동으로 정의하고, 이를 청구기초정보로 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은 사용처의 식별 정보인 사업자번호 및 업종분류코드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처에 대한 연구비 지출의 청구내역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사업자번호 및 업종분류코드를 기반으로 한 청구내역은, 예컨대, 물품/재료구입, 도서구입, 회의록, 여비, 출장비, 식대, 학회비, 전문가활용비, 교육훈련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은 연구 과제별로 또는 연구 과제의 카드 정보별로 청구 가능한 사용처의 업종 분류를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구 과제별 및/또는 카드별 사용처 정보는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의 과제 정보 DB에 저장될 수 있다.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카드 사용 데이터에 대한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한 결과, 해당 과제 및/또는 카드에 대해 가능한 업종의 사용처에서 사용된 카드 사용이 아닐 경우, 청구를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연구자에게 카드 오용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은 청구기초정보의 일부로서 업종 불일치에 대한 통지 내역을 생성하여 정산 담당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에서는 과제 정보와 카드 정보가 자동으로 매핑(mapping)되어 있어, 정산 담당자가 과제를 선택하면 해당 과제와 관련하여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에 수신된 카드 사용 데이터가 보여지게 된다. 또한, 과세 유형이 조회된 카드 사용 데이터의 경우 사용처의 과세 유형에 따라 사용 금액 중 공급가액과 부가세가 자동으로 계선되거나 또는 사용금액 전체가 공급가액으로 정의되며, 또한 대상 과제의 과세 유형이 수익, 비수익, 면세 중 어느 것인지에 따라 사용 금액에 상응하는 청구액이 자동으로 결정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면, 연구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웹 페이지 등을 통해 입력한 메모 내용(즉, 부가 정보)이나 증빙서류(연구자의 스마트폰 사진 등)가 청구기초정보로서 연계되어 정산 시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면, 종래와 같이 연구자가 실물 영수증에 사용 내용을 메모한 후 정산 담당자에게 전달하거나 직접 메모를 보고 연구비 관리 시스템에 청구 내역을 업로드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영수증의 분실이나 메모 내용과 상이한 청구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청구 내역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13)

  1.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연구 과제 및 상기 연구 과제의 과세 유형이 포함된 과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 과제에 대한 정산 내역을 포함하는 정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카드사 서버로부터 연구비 지출에 연관되며 공급가액 및 부가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수집부;
    연구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에 연관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입력부;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연구비 지출의 정산을 위하여 청구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입력 항목을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와 연계하여 설정한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연구비 지출에 대한 청구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연구 행정 관리부; 및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정산 담당자가 상기 청구기초정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항목을 승인 또는 수정함으로써 생성된 상기 청구 정보를 상기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정보는 연구자에 의해 입력된 청구종류, 청구내역, 증빙서류 또는 보충서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청구기초정보는 상기 부가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을 이용하여 생성된 청구종류, 청구내역 및 증빙자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연구 행정 관리부는,
    상기 과제 정보 및 상기 부가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연구비 지출에 상응하는 청구액을 산출함으로써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정산 정보로부터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처 또는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처와 사업자번호 또는 업종분류코드가 동일한 다른 사용처에 대한 정산 내역을 검색하고, 검색된 정산 내역에 상응하는 청구종류 및 청구내역을 상기 청구기초정보에 대한 추천 입력 항목으로 결정하고,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연구 과제의 과세 유형이 수익, 비수익 또는 면제 중 어느 것인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 금액 중 상기 청구기초정보에 설정될 청구액을 결정하며,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연구 과제의 과세 유형이 비수익인 경우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 금액 중 공급가액 및 부가세를 포함하는 1건의 청구 건에 대한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연구 과제의 과제 유형이 수익인 경우 공급가액 및 부가세에 각각 상응하는 2건의 청구 건에 대한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정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청구기초정보의 청구종류 또는 청구내역에 대한 정산 시 필요한 추가 정보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추가 정보가 상기 부가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추가 정보에 대한 고지를 사용자 또는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국세청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처의 과세 유형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과세 유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세 정보를 검증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 정보는 상기 연구 과제에 상응하는 카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구 행정 관리부는, 상기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와 상기 연구 과제의 매칭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정보 매칭부를 포함하는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에 하나 이상의 연구 과제 및 상기 연구 과제의 과세 유형이 포함된 과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에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 과제에 대한 정산 내역을 포함하는 정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카드사 서버로부터 연구비 지출에 연관되며 공급가액 및 부가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연구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에 연관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연구비 지출의 정산을 위하여 청구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입력 항목을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와 연계하여 설정한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정산 담당자가 상기 청구기초정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항목을 승인 또는 수정함으로써 생성된 상기 연구비 지출에 대한 청구 정보를 상기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과제 정보 및 상기 부가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연구비 지출에 상응하는 청구액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청구액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연구 과제의 과세 유형이 수익, 비수익 또는 면제 중 어느 것인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 금액 중 상기 청구기초정보에 설정될 청구액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가 정보는 연구자에 의해 입력된 청구종류, 청구내역, 증빙서류 또는 보충서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청구기초정보는 상기 부가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을 이용하여 생성된 청구종류, 청구내역 및 증빙자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정산 정보로부터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처 또는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처와 사업자번호 또는 업종분류코드가 동일한 다른 사용처에 대한 정산 내역을 검색하고, 검색된 정산 내역에 상응하는 청구종류 및 청구내역을 상기 청구기초정보에 대한 추천 입력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연구 과제의 과세 유형이 비수익인 경우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 금액 중 공급가액 및 부가세를 포함하는 1건의 청구 건에 대한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연구 과제의 과제 유형이 수익인 경우 공급가액 및 부가세에 각각 상응하는 2건의 청구 건에 대한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정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청구기초정보의 청구종류 또는 청구내역에 대한 정산 시 필요한 추가 정보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추가 정보가 상기 부가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추가 정보에 대한 고지를 사용자 또는 정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국세청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사용처의 과세 유형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과세 유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세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 정보는 상기 연구 과제에 상응하는 카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청구기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와 상기 연구 과제의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청구항 제7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39694A 2020-04-01 2020-04-01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14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694A KR102414367B1 (ko) 2020-04-01 2020-04-01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694A KR102414367B1 (ko) 2020-04-01 2020-04-01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489A KR20210122489A (ko) 2021-10-12
KR102414367B1 true KR102414367B1 (ko) 2022-06-29

Family

ID=7807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694A KR102414367B1 (ko) 2020-04-01 2020-04-01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3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341B1 (ko) 2012-07-30 2014-07-1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실시간 연구비 집행을 위한 계좌이체 시스템
KR20120135158A (ko) * 2012-10-29 2012-12-12 신한카드 주식회사 연구비 관리 시스템 및 연구비 관리 장치 및 그의 연구비 관리 방법
KR101922308B1 (ko) * 2016-12-17 2018-11-26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연구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85870A (ko) * 2018-01-11 2019-07-19 주식회사 스팬딧 경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비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489A (ko)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65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transaction information by object
US110806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anning and processing of payment documentation in an integrated partner platform
US94493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eceipts
US105729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access and control for connecting entities and effecting payments in a commercially oriented entity network
US201401954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yment processing
US20150142545A1 (en) Enhanced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and accepting discounts on invoices in a payment system
US201500124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synchronization of record organized data between disparate applications
US20140025564A1 (en) System for aggregating payments from multiple payers
US10621678B1 (en)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for automating access of tax documents for preparing an electronic tax return
US200800864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payment strategies
US10607236B2 (en) Universal system for enabling dynamically discounted buyer-vendor payments
US11669798B2 (en) Clearing internationally shipped items through government customs agencies
US10592994B1 (en) Orchestrating electronic signature, payment, and filing of tax returns
JP2009098986A (ja) 電子債権仲介システム
KR101742693B1 (ko) 법인카드 사용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14367B1 (ko) 연구비 카드 정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20006897A1 (zh) 企业服务费用计算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80204289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for Facilitating Remote Transfer of Financial Information and File Creation
KR101953554B1 (ko) 통관 절차를 위한 자금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82825A (ko) Soho 기업을 위한 자금 관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54394B1 (ko) 개인경비 이중 공제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855842B1 (en) Primary entity requesting from online service provider (OSP) to produce a resource and to prepare a digital exhibit that reports the resource, receiving from the OSP an access indicator that leads to the digital exhibit, and sending the access indicator to secondary entity
US20230267517A1 (en) Integ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act Process Management
JP2005234799A (ja) 見込み給与照会方法、見込み給与照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78064A (ko) 공과금 납부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