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111B1 - Prefab Parklet - Google Patents

Prefab Park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111B1
KR102414111B1 KR1020200173801A KR20200173801A KR102414111B1 KR 102414111 B1 KR102414111 B1 KR 102414111B1 KR 1020200173801 A KR1020200173801 A KR 1020200173801A KR 20200173801 A KR20200173801 A KR 20200173801A KR 102414111 B1 KR102414111 B1 KR 102414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rklet
prefabricated
bas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8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3496A (en
Inventor
윤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고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고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고연
Priority to KR102020017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111B1/en
Publication of KR20220083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4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1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파크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모듈부를 상면에 적재할 수 있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의 기재부; 및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이 수직으로 적재되어 식재 공간 또는 좌석을 형성하는 모듈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재부는 기재부의 하면의 가장자리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기재부가 노면에 놓일 때 노면의 경사나 굴곡에 따라 상기 기재부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경사 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에 의하면, 현장 설치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어 보행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전문 시공자가 아닌 비숙련자라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구조나 배치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arklet, and more specifically, a plate-shaped base par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capable of loading the following module part on an upper surface; and a module part in which one or more block units are vertically stacked to form a planting space or seat, wherein the base part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and when the base part is placed on the road surface, According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adjustment unit is provided to enable the base unit to be adjusted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shorten the on-site installation time, there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pedestrians, and it can be installed easily even by non-skilled persons other than professional contractors, and the structure or arrangement can be easily changed Or, there is a scalable effect.

Description

조립식 파크렛{Prefab Parklet}Prefab Parklet {Prefab Parklet}

본 발명은 도로변이나 주차장에 미니 공원 조성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조립식 파크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arklet that can be used for creating a mini park on a roadside or parking lot.

파크렛(parklet)은 상업지나 관공서 주변, 생활권 도로 등 보행자의 통행량이 많은 도로변이나 주차 공간 일부에 테이블, 좌석, 식목 등을 설치하여 보행자가 편히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마련한 일종의 미니 공원으로서, 최근 들어 녹지가 부족한 도심의 도로 환경을 개선하려는 목적으로 파크렛을 도입하여 일시적으로 도심 주차장의 일부를 공원으로 탈바꿈시키려는 시도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A parklet is a kind of mini park prepared so that pedestrians can sit comfortably and rest by installing tables, seats, and planting trees on the side of a road or in a part of a parking space where pedestrians have a lot of traffic, such as near commercial areas, government offices, and roads in living areas. For the first time, attempts to temporarily transform a part of a city parking lot into a park by introducing a parkle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road environment in the city center, which lacks green space, are attracting attention worldwide.

특히, 국내의 경우 도로변에 불법으로 노상 주차를 하는 사례가 많아 보행자의 안전 및 도로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어, 이러한 불법 노상 주차를 줄이고, 삭막한 도로변 환경을 보행자간의 커뮤니티 및 휴식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파크렛에 대한 국내 도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Korea, there are many cases of illegal on-street parking on the side of the road, which is a factor hindering pedestrian safety and road aesthetics. The need for domestic introduction of available parklets is increasing.

현재 파크렛은 미국 등 외국의 설치 사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기존의 파크렛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자재를 이용하여 공사를 통해 설치를 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공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보행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파크렛은 시공이 복잡하여 현장에서 전문 시공자만이 설치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으며, 한번 설치된 파크렛의 구조나 배치를 쉽게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Currently, most of the installation cases of parklet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re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In addition, the existing parklet has a limitation in that only a professional contractor can install it in the field because the construction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limit that the structure or arrangement of the parklet once installed cannot be easily changed or expan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장 설치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어 보행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크렛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let that can significantly shorten the on-site installation time and thus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pedestrians.

또한, 본 발명은 전문 시공자가 아닌 비숙련자라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구조나 배치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확장할 수 있는 파크렛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let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by a non-skilled person other than a professional constructor and can be easily changed or expanded in structure or arrangeme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립식 파크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모듈부를 상면에 적재할 수 있고, 내부에 격자 구조를 가지는 금속재 프레임 구조물이 내장되어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의 기재부; 및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이 수직으로 적재되어 식재 공간 또는 좌석을 형성하는 모듈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재부는 기재부의 하면의 가장자리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기재부가 노면에 놓일 때 노면의 경사나 굴곡에 따라 상기 기재부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경사 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relates to a prefabricated parklet, and more specifically, the following module part can be loaded on the upper surface, a metal frame structure having a lattice structure is built therein,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plate-shaped base unit; and a module part in which one or more block units are vertically stacked to form a planting space or seat, wherein the base part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and when the base part is placed on the road surface, According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adjustment unit is provided to enable the base unit to be adjusted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에 의하면, 현장 설치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어 보행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전문 시공자가 아닌 비숙련자라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구조나 배치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shorten the on-site installation time, there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pedestrians, and it can be installed easily even by non-skilled persons other than professional contractors, and the structure or arrangement can be easily changed Or, there is a scalabl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이 도로변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의 기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의 집수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의 경사조절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의 모듈부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lan view exemplari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roadside.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part of a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water collecting well of a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inclination adjusting unit of a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module part of a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은 조립식 파크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모듈부를 상면에 적재할 수 있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의 기재부 및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이 수직으로 적재되어 식재 공간 또는 좌석을 형성하는 모듈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재부는 기재부의 하면의 가장자리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기재부가 노면에 놓일 때 노면의 경사나 굴곡에 따라 상기 기재부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 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arklet, and more specifically, the following module part can be load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ate-shaped base par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one or more block units are vertically stacked to form a planting space or seat. Including a module part, wherein the base part is provided on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and when the base part is placed on the road surface, an inclination adjusting part is provided to adjust the base part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r curvature of the road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은 보행자가 편히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마련한 일종의 미니 공원과 같은 것으로서, 보행자의 통행이 잦은 도로변이나 주차 공간 중 일부 영역에 테이블, 좌석, 식물 등이 다양한 배치 형태로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은 작업자가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좌석, 식물 등의 배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ike a kind of mini park prepared so that pedestrians can sit comfortably and take a rest. do. In particular, the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ssembled by an operator, and the arrangement of seats, plants, etc. can be variously changed.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부는 모듈부를 상면에 적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 폭은 특별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주변 통행 차량의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이용객들이 파크렛 내에서 여유롭고 쾌적하게 쉴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고, 운반 차량에 적재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차장의 주차 라인의 폭의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unit is capable of loading the module unit on the upper surface, and ha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horizontal widt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users can In order to provide a sufficient space for a leisurely and comfortable rest in the parklet and to facilitate loading in a transport vehicl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be equal to the length of the parking line of the parking lot.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부는 복수의 이용자들이나 적재물들의 하중을 오랜 기간 동안 견딜 정도로 내구성을 충족하기 위해, 내부에 금속재 프레임 구조물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재 프레임 구조물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으나, 자재 사용량 대비 기재부 전체적으로 고른 내구성을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격자 구조를 가지는 금속재 프레임 구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atisfy the durability enough to withstand the load of a plurality of users or loads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metal frame structure is embedded therein. The structure of the metal frame struc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but is preferably a metal frame structure having a lattice structure in order to efficiently secure uniform durability as a whole compared to the amount of material used.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부는 목재, 플라스틱재, 금속재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로변 휴식 공간으로서 설치되는 식목과 조화를 이루면서 이용자에게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주기 위해서는 목재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art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plastic material, metal material, etc., but in order to give psychological comfort to users while harmonizing with planting trees installed as a roadside rest space, it is preferably made of wood material.

또한, 상기 기재부는 우천 시에 상기 기재부의 내부로 스며드는 빗물의 양이 많아 상기 기재부의 표면으로 넘쳐흐르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로 빗물이 스며드는 경우 스며든 빗물을 집수하고, 외부 우수 관로와 연결되어 외부로 빗물을 배출하는 집수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부는 상기 기재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기재부의 표면 전체로부터 스며드는 빗물이 하기 집수정 쪽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해 하기 집수정 쪽으로 하방 경사진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집수하고, 적정 수위 이상으로 빗물이 차는 경우 연결되어 있는 외부 우수 관로를 통해 외부로 빗물을 배출하는 집수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base unit overflows to the surface of the base unit due to a large amount of rainwater that permeates into the inside of the base unit during rainy weather, the base unit collects rainwater that permeates when rainwater permeates into the inside, It is preferable that a water collecting unit connected to discharge rainwater to the outside is provided. The water collec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unit, and is connected to a guide member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ollecting well and the guide member to induce rainwater that permeates from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unit to flow toward the lower collecting wel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llecting well that collects rainwater flowing in through the water and discharges rainwater to the outside through a connected external rainwater pipe when rainwater fills up above an appropriate water level.

상기 기재부는 기재부의 하면의 가장자리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기재부가 노면에 놓일 때 노면의 경사나 굴곡에 따라 상기 기재부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경사 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경사조절부는 특별히 그 구조에 있어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노면의 다양한 경사 및 굴곡에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하고, 상기 기재부에 대한 경사 조절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봉의 둘레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기재부의 금속재 프레임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좌우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수직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너트; 상기 몸체부의 일 측 단부에 형성되어 하기 바닥 지지부와 관절 결합하도록 하는 볼 조인트; 및 상기 볼 조인트와 결합되고 하면이 노면에 닿아 상기 기재부를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기재부의 금속재 프레임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에 삽입되는 몸체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몸체부가 상기 너트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기재부의 수평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에는 렌치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한 몸체부의 회전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공구에 대응하는 공구 대응부가 몸체부의 둘레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구 대응부는 다양한 공구에 대응하는 형상이나 구조라면 어떠한 형상나 구조라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렌치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를 회전할 수 있도록 너트 형상의 공구 대응부일 수 있다.The base part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and when the base part is placed on the road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inclination adjusting part that allows the base part to be adjusted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r curvature of the road surface, The inclination adjustment un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its structure, but a body portion having a thread formed around the rod to flexibly respond to various inclinations and curves of the road surface, an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inclination adjustment work for the base unit ; a nut fixed to the metal frame structure of the base part and inserted into the body part so tha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body part can be changed by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body part; a ball joint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jointly coupled to the bottom support; and a bottom support part coupled to the ball joint and having a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to support the base part. The inclination adjusting unit rotates the body part inserted into the nut fixed to the metal frame structure of the base part, so that the body part moves up and down based on the nut to adjust the horizontal inclination of the base part. In order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body part using a tool such as a wrench, a tool correspond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tool is preferably formed in the body part to protrude around the body part. The tool counterpart may have any shape or structure as long as it has a shape or structure corresponding to various tools. For example, the tool counterpart may be a nut-shaped tool counterpart so that the body can be rotated using a wrench.

또한, 상기 경사 조절부에서 볼 조인트는 경사지거나 굴곡진 노면에 상기 기재부가 유연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놓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all joint in the inclination control unit allows the base unit to be flexibly placed on a sloped or curved road surface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본 발명의 조립식 파크렛은 주변을 통행하는 차량,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 등의 운전자가 쉽게 발견할 수 있어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미관상의 화려한 조명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상기 기재부의 측면부에 LED 모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LED 모듈부는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prefabricated park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iscovered by drivers of vehicles, motorcycles, electric kickboards, etc. passing around, to prevent collision accidents in advance, and to provide an aesthetically gorgeous lighting effect, LEDs on the side of the base part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module part is formed. The LED module unit may have various colors and shapes of desig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은 주변을 통행하는 차량이 조립식 파크렛을 이용하는 이용자들과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기재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차량 충돌방지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충돌방지 구조물은 차량이 조립식 파크렛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구조물이라면 어떠한 형태나 구조라도 가능하며, 상기 기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차량 충돌방지 구조물은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충격으로 인해 상기 차량 충돌방지 구조물이 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조립식 파크렛의 이용자에게 날아가 부딪히더라도 상기 이용자가 입는 부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의 충격이 가해지는 순간 자동으로 작동하는 에어백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a vehicle passing in the vicinity from directly colliding with users who use the prefabricated parklet to increase safety, and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base uni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event vehicle collision It may be desirable to further include a structure. The vehicle anti-collision structure may have any shape or structure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a vehicle from entering the prefabricated parklet,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uni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firmly fixed to the ground. The vehicle anti-collision structure is a vehicle impact prevention structure that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due to the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and flies to the user of the prefabricated parklet to minimize injuries to the user even if the vehicle impact is applied. It would be even more desirable to have an airbag system that activates momentarily automatically.

본 발명에서 상기 모듈부는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이 수직으로 적재되어 식재 공간 또는 좌석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블록 유닛은 다양한 규격을 가질 수 있으나, 수직 방향으로 적재 시 식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측 벽면을 제외한 상·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부는 식재 공간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 하나, 좌석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면에 부가적으로 커버 부재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록 유닛은 수직 방향으로 적재 시 개개의 블록 유닛이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 벽면의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에 서로 대응되는 암수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블록 유닛의 측 벽면은 두께가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상기 블록 유닛이 불필요하게 무겁지 않도록 하면서, 식목용 토압으로 인해 블록 유닛이 수평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께가 25 내지 35mm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30 mm 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block units are vertically stacked in the module unit to form a planting space or seat, and the block units may have various specifications, but excluding the side wall to secure a planting space when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When the module part is used as a planting space, the upper surface is maintained in an open state, but when used as a seat, a cover member is additional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to be used. In addition, the block unit preferably has male and female connection par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corners of the side wall to prevent the individual block units from easily detaching when loa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wall thickness is not limited, but preferably, the thickness is preferably 25 to 35 mm in order to prevent the block unit from being horizontally spread or damaged due to the earth pressure for planting while the block unit is not unnecessarily heavy, and most preferably The thickness is usually 30 mm.

본 발명에서 상기 블록 유닛은 상기 모듈부가 식재 공간으로 사용되는 경우 내부 측면부에 방수용 시트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모듈부를 식재 공간으로 사용할 경우 흙 속의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 이용자들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고, 상기 블록 유닛의 내부 측면부가 흙 속의 수분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게 되면 블록 유닛이 썩게 되어 오래 가지 않아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방수용 시트는 수분에 대한 방수 성능을 가지는 시트라면 공지의 어떠한 시트라도 사용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unit may preferably have a waterproofing sheet attached to the inner side part when the module part is used as a planting space. This is because when the module part is used as a planting space, moisture in the soil may leak to the outside, causing inconvenience to surrounding users, and when the inner side part of the block unit is directly exposed to moisture in the soil, the block unit will rot, This is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asily damaged. As the waterproofing sheet, any known sheet may be used as long as it has waterproofing performance against moisture.

상기 기재부의 상면 중 상기 모듈부가 안착되는 부위에는 상기 모듈부가 보다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모듈부를 구성하는 최 하부 블록 유닛의 하부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암수 연결부에 대응하는 연결부가 구비된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 connection part corresponding to the male and female connection part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lowermost block unit constituting the module part is provided on the part on which the module par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so that the module part can be more firmly seated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에 의하면, 상기 기재부 및 모듈부를 공장에서 미리 조립한 상태로 차량으로 운반한 후 현장에 내려놓기만 하여도 설치를 완료할 수 있어 설치 시간을 현저히 단축 가능하며, 상기 기재부와 모듈부를 차량으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설치하는 경우라도 설치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어 보행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문 시공자가 아닌 비숙련자라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구조나 배치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tim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ecause the installation can be completed simply by placing the base material part and the module part in a vehicle in a pre-assembled state at the factory and then putting them down on the site. Even when the base and module parts are transported by vehicle and installed on site, the installation time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to pedestrians, and even non-skilled workers can easily install it, making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easi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ange or extend it.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이 도로변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의 기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의 집수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의 경사조절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의 모듈부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lan view exemplari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roadside, and FIG. 2 is a side view exemplari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fab park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part of a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water collecting well of a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e inclination adjustment part of the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show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module part of the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은 인도(10) 옆의 도로변에 설치되어 미니 공원을 형성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의 목재로 이루어진 기재부(100), 상기 기재부(100)의 상면에 적재되어 식재 공간 또는 좌석을 형성하는 모듈부(200) 및 상기 기재부(100)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차량 충돌방지 구조물(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재부(100)의 측면부에는 바(bar) 타입의 LED 모듈부(300)가 형성되어 있다.1, the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ad next to the sidewalk 10 to form a mini park, and a base unit 100 made of plate-shaped woo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It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100 to form a planting space or seat, and a module unit 200 and a vehicle collision prevention structure 40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unit 100. . In addition, a bar-type LED module unit 30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unit 100 .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크렛의 기재부(100)는 기재부(100)의 하면의 가장자리 부위에 경사 조절부(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 조절부(110)에 의해 상기 기재부(100)가 노면에 놓일 때 노면의 경사나 굴곡에 따라 상기 기재부(10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절 가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3 , in the base part 100 of the prefabricated parkl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adjusting part 110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100, and the inclination adjusting part 110 is provided. ), when the base part 100 is placed on the road surfac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ase part 100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r curvature of the road surface.

도 4에 의하면, 상기 기재부(100)는 내부 공간의 일 영역에 기재부(100)의 내부로 스며드는 빗물을 수용하는 집수부(1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집수부(120)는 상기 기재부(100)의 표면 전체로부터 스며드는 빗물이 집수정(121) 쪽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해 집수정(121) 쪽으로 하방 경사진 가이드 부재(미도시) 및 상기 가이드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집수하고, 적정 수위 이상으로 빗물이 차는 경우 연결되어 있는 외부 우수 관로를 통해 외부로 빗물을 배출하는 집수정(1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FIG. 4 , the base unit 100 is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ing unit 120 for accommodating rainwater that permeates into the base unit 100 in one region of the internal space, and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is the base material. A guide member (not shown)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ollecting well 121 in order to induce rainwater permeating from the entire surface of the part 100 to flow toward the collecting well 121, and it is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and flows in through the guide memb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llecting well 121 that collects rainwater that is used and discharges rainwater to the outside through an external rainwater pipe that is connected when rainwater fills up above an appropriate water level.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경사 조절부(110)는 봉의 둘레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11), 상기 몸체부(111)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11)의 좌우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부(111)의 수직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너트(112), 상기 몸체부(111)의 일 측 단부에 형성되어 하기 바닥 지지부(114)와 관절 결합하도록 하는 볼 조인트(113) 및 상기 볼 조인트(113)와 결합되고 하면이 노면에 닿아 기재부(100)를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114)로 구성된다. 상기 볼 조인트(113)에 의해 경사지거나 굴곡진 노면에 상기 기재부(110)가 유연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놓일 수 있게 되며, 상기 몸체부(1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공구 대응부(115)를 렌치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면 몸체부(111)가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기재부(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adjusting unit 110 includes a body portion 111 having a thread formed around the rod, and the body portion 111 is inserted to rotate the body portion 111 left and right. A nut 112 that enables the vertical position change of the body 111 by and a floor support 114 coupled to the ball joint 113 and supporting the base 100 by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all joint 113 . The base part 110 can be flexibly placed on a sloped or curved road surface by the ball joint 113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and a tool corresponding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art 111 ( When the 115) is rotated using a wrench, the height of the base part 100 can be adjusted while the body part 111 moves up and down while rotating.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부(200)는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블록 유닛(2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록 유닛(210)은 직육면체 형상이나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어 있어 적층하여 모듈부(200)를 이룰 때 내부에 식재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좌석으로 사용될 때는 상기 모듈부(200)의 상면에 커버 부재를 덮어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 블록 유닛(210)의 측 벽면의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에는 서로 대응되는 암수 연결부(21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블록 유닛(210)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였을 때 개개의 블록 유닛(210)이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module uni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lurality of block units 210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block unit 21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r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When stacked to form the module unit 200, a planting space is formed inside, and when used as a seat, a cover member is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unit 200 to be used. Male and female connection parts 211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at the upper edge and the lower edge of the side wall of the block unit 210, so that when the block units 210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each block unit 210 is It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off easily.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10 : 인도 100 : 기재부
110 : 경사조절부 111 : 몸체부
112 : 너트 113 : 볼 조인트
114 : 바닥 지지부 115 : 공구 대응부
120 : 집수부 121 : 집수정
200 : 모듈부 210 : 블록 유닛
211 : 암수 연결부 300 : LED 모듈부
400 : 차량 충돌방지 구조물
10: India 100: Ministry of Finance
110: inclination adjustment part 111: body part
112: nut 113: ball joint
114: floor support 115: tool corresponding part
120: water collecting unit 121: collecting well
200: module unit 210: block unit
211: male and female connection part 300: LED module part
400: vehicle collision prevention structure

Claims (8)

하기 모듈부를 상면에 적재할 수 있고, 내부에 격자 구조를 가지는 금속재 프레임 구조물이 내장되어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의 기재부;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이 수직으로 적재되어 식재 공간 또는 좌석을 형성하는 모듈부; 및
상기 기재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차량 충돌방지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블록 유닛은 측 벽면을 제외한 상·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수직 방향으로 적재 시 개개의 블록 유닛이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 벽면의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에 서로 대응되는 암수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 벽면은 두께가 25 내지 35mm이고,
상기 기재부는 기재부의 하면의 가장자리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기재부가 노면에 놓일 때 노면의 경사나 굴곡에 따라 상기 기재부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경사 조절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기재부의 상면 중 상기 모듈부가 안착되는 부위에는 상기 모듈부가 보다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모듈부를 구성하는 최 하부 블록 유닛의 하부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암수 연결부에 대응하는 연결부가 구비된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량 충돌방지 구조물은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충격으로 인해 상기 차량 충돌방지 구조물이 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조립식 파크렛의 이용자에게 날아가 부딪히더라도 상기 이용자가 입는 부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의 충격이 가해지는 순간 자동으로 작동하는 에어백 시스템을 구비하는 조립식 파크렛.
The following module can be loaded on the upper surface, the metal frame structure having a lattice structure therein is built-in, the plate-shaped base uni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module unit in which one or more block units are vertically stacked to form a planting space or seat; and
Including a; vehicle anti-collision structu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uni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block unit has open top and bottom surfaces except for the side wall, and male and female connection par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corners of the side wall to prevent the individual block units from easily detaching when loa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ide wall has a thickness of 25 to 35 mm,
The base unit is provided on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unit, and when the base unit is placed on the road surface, an inclination adjusting unit is provided that enables the base unit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r curvature of the road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In the portion where the module part is seated, a seating part provided with a connection part corresponding to the male and female connection part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lowermost block unit constituting the module part is formed so that the module part can be more firmly seated. there is,
The vehicle anti-collision structure is a vehicle impact prevention structure that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due to the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and flies to the user of the prefabricated parklet to minimize injuries to the user even if the vehicle impact is applied. Prefabricated parklets with instantaneous automatic airbag system.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유닛은 상기 모듈부가 식재 공간으로 사용되는 경우 내부 측면부에 방수용 시트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크렛.
The method of claim 1,
The block unit is a prefabricated parklet,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odule part is used as a planting space, a waterproofing sheet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par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부는 봉의 둘레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기재부의 금속재 프레임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좌우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수직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너트; 상기 몸체부의 일 측 단부에 형성되어 하기 바닥 지지부와 관절 결합하도록 하는 볼 조인트; 및 상기 볼 조인트와 결합되고 하면이 노면에 닿아 상기 기재부를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크렛.
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ation control unit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thread formed around the rod; a nut fixed to the metal frame structure of the base part and inserted into the body part so tha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body part can be changed by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body part; a ball joint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jointly coupled to the bottom support; and a floor support part coupled to the ball joint and supporting the base part by contacting a lower surface of the ball joi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는 집수부가 구비되되,
상기 집수부는 상기 기재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기재부의 표면 전체로부터 스며드는 빗물이 하기 집수정 쪽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해 하기 집수정 쪽으로 하방 경사진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집수하고, 적정 수위 이상으로 빗물이 차는 경우 연결되어 있는 외부 우수 관로를 통해 외부로 빗물을 배출하는 집수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크렛.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unit is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ing unit,
The water collecting part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art, and a guide member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ollecting well to guide rainwater that permeates from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part to the lower collecting well; and
It is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and collects rainwater flowing in through the guide member, and when the rainwater fills above an appropriate water level, a collecting well for discharging rainwat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ed external rainwater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fabricated parkle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는 측면부에 LED 모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크렛.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art is a prefabricated park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module part is formed on the side part.
삭제delete
KR1020200173801A 2020-12-11 2020-12-11 Prefab Parklet KR1024141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801A KR102414111B1 (en) 2020-12-11 2020-12-11 Prefab Park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801A KR102414111B1 (en) 2020-12-11 2020-12-11 Prefab Park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496A KR20220083496A (en) 2022-06-20
KR102414111B1 true KR102414111B1 (en) 2022-06-29

Family

ID=8225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801A KR102414111B1 (en) 2020-12-11 2020-12-11 Prefab Park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11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881B1 (en) * 2006-04-24 2006-12-28 (주)경동기술공사 Safety establishment structure of road
KR101217358B1 (en) * 2012-07-25 2012-12-31 한장희 Supporter device for floor
KR101686022B1 (en) * 2014-03-31 2016-12-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purpose rainwater storage using apparatus utilizing solar energ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881B1 (en) * 2006-04-24 2006-12-28 (주)경동기술공사 Safety establishment structure of road
KR101217358B1 (en) * 2012-07-25 2012-12-31 한장희 Supporter device for floor
KR101686022B1 (en) * 2014-03-31 2016-12-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purpose rainwater storage using apparatus utilizing solar ener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496A (en)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210B1 (en) A Mesh Fence
US5345741A (en) Silt blockage for catch basins
KR102233633B1 (en) Rainwater infiltration device for flower beds
KR102155782B1 (en) A Deck Road
KR100839566B1 (en) Upper panel for landscaping or waterproofing, and structure of double floor and structure of roof using the same
KR102414111B1 (en) Prefab Parklet
KR100840780B1 (en) Bus platform
KR101348920B1 (en) Fence coupling device
KR102135147B1 (en) A Safety Railing
JP3012551B2 (en) Overhanging sidewalk structure
KR102154399B1 (en) Drainage system
KR200482083Y1 (en) Deck road connecting F-shaped frame for preventing deformation and deck road system
KR101124388B1 (en) The height adjustable steel grating
US8662478B1 (en) Perimeter boundary for campground area
KR102280517B1 (en) Regulating bar
KR101729175B1 (en) Wood fence structure including wood support having rigidity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0875951B1 (en) A rain water leading device for asphalt
KR100872038B1 (en) Potted central divider
KR101064535B1 (en) Block for protecting lawn
KR200482005Y1 (en) Deck road reinforcing cross-shaped frame and deck road system
KR102451047B1 (en) Permeable load balancing grating
KR102186454B1 (en) Guard fence
KR20200102851A (en) Prefabricated Pergola
EP1331315B1 (en) Floor drain for a tiled floor
CN210767120U (en) Sinking type green land of sponge r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