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857B1 -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857B1
KR102413857B1 KR1020170173675A KR20170173675A KR102413857B1 KR 102413857 B1 KR102413857 B1 KR 102413857B1 KR 1020170173675 A KR1020170173675 A KR 1020170173675A KR 20170173675 A KR20170173675 A KR 20170173675A KR 102413857 B1 KR102413857 B1 KR 102413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coil
induction heating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semiconductor sw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547A (ko
Inventor
옥승복
오두용
문현욱
박병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643,47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19188B2/en
Priority to EP18849568.3A priority patent/EP3678452B1/en
Priority to PCT/KR2018/009294 priority patent/WO2019045323A1/ko
Publication of KR2019002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3Heating plates made out of a matrix of heating elements that can define heating areas adapted to cookware randomly placed on the heating pl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병렬 연결된 제1 워킹 코일과 제2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제1 워킹 코일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공진 전류를 인가하는 제1 인버터부, 제1 워킹 코일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기 위해 제1 워킹 코일에 연결된 제1 반도체 스위치, 제2 워킹 코일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기 위해 제2 워킹 코일에 연결된 제2 반도체 스위치,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 및 제1 인버터부와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INDUCTION HEATING AND WIRELESS POWER TRANSFERRING DEVICE COMPRISING IMPROVED CIRCUIT STRUCTURE}
본 발명은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 예컨대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저항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 물체에 전달함으로써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은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할 때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 물체(예를 들어, 조리 용기)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켜 피가열 물체 자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한편, 최근에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많은 전자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적용된 전자 장치는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충전 패드에 올려 놓는 것 만으로도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이 적용된 전자 장치는 유선 코드나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휴대성이 향상되며 크기와 무게가 종래에 비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 방식과, 공진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 그리고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전자기 유도 방식은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1차 코일과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2차 코일 간의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가열 방식은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피가열 물체를 가열한다는 점에서 전자기 유도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과 원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복수개의 대상체 각각(예를 들어, 조리 용기)을 가열하거나 복수개의 대상체 각각(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워킹 코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최근에는 하나의 대상체를 복수개의 워킹 코일로 동시에 가열하거나 하나의 대상체에 복수개의 워킹 코일을 통해 동시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즉, 존프리(ZONE FREE) 방식의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경우, 복수개의 워킹 코일이 존재하는 영역 내에서는 대상체의 크기 및 위치에 상관 없이 대상체를 유도 가열하거나 대상체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국 공개 특허(US2016/0323937A1)를 참조하면, 종래의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1은 미국 공개 특허(US2016/0323937A1)에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10a)는, 복수개의 워킹 코일(26a, 28a)을 독립적으로 구분하고 대상체 검출 작업을 위한 회로 절환을 하기 위해 복수개의 워킹 코일(26a, 28a)마다 개별 릴레이(40a, 42a; 예를 들어, 3단자 릴레이)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로 인해, 릴레이(40a, 42a)의 절환 동작시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릴레이(40a, 42a) 및 대상체 검출을 위해 구비된 대상체 검출 회로가 회로 면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바, 회로 부피가 커진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스위치를 통해 복수개의 워킹 코일을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고속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할 수 있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릴레이 없이 반도체 스위치를 통해 대상체 검출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릴레이의 절환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릴레이 및 대상체 검출 회로를 제거함으로써 회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병렬 연결된 제1 워킹 코일과 제2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제1 워킹 코일부 및 제1 및 제2 워킹 코일을 각각 턴온 또는 턴오프하기 위해 연결된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함으로써 제1 및 제2 워킹 코일을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고속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제1 및 제2 워킹 코일을 각각 턴온 또는 턴오프하기 위해 연결된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와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릴레이 없이 대상체 검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릴레이의 절환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릴레이 및 대상체 검출 회로 대신 반도체 스위치 및 제어부를 이용하여 대상체 검출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회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반도체 스위치를 통해 복수개의 워킹 코일을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고속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함으로써 대상체 검출 속도를 개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릴레이 없이 반도체 스위치를 통해 대상체 검출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릴레이의 절환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음 문제에 민감한 시간대(예를 들어, 새벽 또는 늦은 밤)에도 조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바,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릴레이 및 대상체 검출 회로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회로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전체 부피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전체 부피를 줄임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워킹 코일 배치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보조 전원과 반도체 스위치 간 연결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3의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대상체 검출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1~3)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전원부(100), 정류부(150), 제1 및 제2 인버터부(IV1, IV2), 제어부(250),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WC1~WC4),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S1~S4), 보조 전원(300), 입력 인터페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예를 들어, 인버터부, 워킹 코일, 반도체 스위치 등)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전원부(100)는 교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00)는 교류 전력을 출력하여 정류부(150)에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용 전원일 수 있다.
정류부(150)는 전원부(100)로부터 공급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1 인버터부(IV1) 및 제2 인버터부(IV2)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류부(150)는 전원부(100)로부터 공급받은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정류부(150)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력은 필터부(미도시)로 제공될 수 있고, 필터부는 해당 직류 전력에 남아 있는 교류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정류부(150)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력은 직류 링크 커패시터(미도시; 평활 커패시터)로 제공될 수 있고, 직류 링크 커패시터는 해당 직류 전력의 리플(Ripple)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류부(150) 및 필터부(또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력은 제1 및 제2 인버터부(IV1, IV2)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될 수 있다.
제1 인버터부(IV1)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WC1~WC4) 중 적어도 하나에 공진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인버터부(IV1)는 제어부(250)에 의해 스위칭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 인버터부(IV1)는 제어부(250)로부터 제공받은 스위칭 신호를 토대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인버터부(IV1)에는 2개의 스위칭 소자(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고, 2개의 스위칭 소자는 제어부(250)로부터 제공받은 스위칭 신호에 의하여 교대로 턴온(turn-on) 및 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2개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의 교류 전류(즉, 공진 전류)가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고주파의 교류 전류는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 중 적어도 하나로 인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인버터부(IV2)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3, WC4) 중 적어도 하나에 공진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인버터부(IV2)는 제어부(250)에 의해 스위칭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2 인버터부(IV2)는 제어부(250)로부터 제공받은 스위칭 신호를 토대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제2 인버터부(IV2)에는 2개의 스위칭 소자(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고, 2개의 스위칭 소자는 제어부(250)로부터 제공받은 스위칭 신호에 의하여 교대로 턴온(turn-on) 및 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2개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고주파의 교류 전류(즉, 공진 전류)가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고주파의 교류 전류는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3, WC4) 중 적어도 하나로 인가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1 및 제2 인버터부(IV1, IV2)와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S1~S4)의 동작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서 제1 및 제2 인버터부(IV1, IV2)의 스위칭 동작이 제어될 수 있고, 제어부(250)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S1~S4)가 순차적으로 또는 특정 순서대로 또는 동시에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제1 인버터부(IV1)가 구동되고, 제어부(25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1 반도체 스위치(S1)가 턴온된 경우, 제1 워킹 코일(WC1)로 공진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워킹 코일(WC1)로 인가된 공진 전류에 의해 제1 워킹 코일(WC1)의 상부에 위치한 대상체가 가열되거나 상기 대상체로 전력이 무선 전송될 수 있다.
참고로, 제어부(25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기능을 통해 다양한 스위칭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에 의해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 즉, 유도 가열 모드 또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부(250)에 의해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설정되면,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WC1~WC4)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대상체(미도시)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게 된다.
반면에, 제어부(250)에 의해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로 설정되면,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WC1~WC4)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대상체(미도시)를 가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워킹 코일의 수가 결정될 수 있고, 구동되는 워킹 코일의 수에 따라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전송 전력량 또는 가열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WC1~WC4)에 흐르는 공진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 값을 토대로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WC1~WC4) 중 어느 코일에 대상체가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검출 값을 토대로 대상체가 자성체인지 또는 비자성체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상부에 안착되는 대상체가 자성체일 경우, 워킹 코일에서 대상체로 많은 와전류가 유도되면서 공진되므로 워킹 코일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진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나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상부에 안착되는 대상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비자성체일 경우, 워킹 코일이 공진되지 않으므로 워킹 코일에는 상대적으로 큰 공진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50)는 워킹 코일에 흐르는 공진 전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보다 작은 경우 구동 대상 물체가 자성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워킹 코일에 흐르는 공진 전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어부(250)는 대상체가 비자성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워킹 코일에 흐르는 공진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검출부가 전술한 대상체 검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50)가 대상체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은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은 서로 병렬 연결되고, 제1 인버터부(IV1)로부터 공진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즉,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인 경우, 제1 인버터부(IV1)에서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 중 적어도 하나로 인가되는 고주파의 교류 전류에 의해 해당 워킹 코일과 대상체 사이에 와전류가 발생되어 대상체가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인 경우, 제1 인버터부(IV1)에서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 중 적어도 하나로 인가되는 고주파의 교류 전류에 의해 해당 워킹 코일에서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해당 워킹 코일에 대응되는 대상체 내부의 코일에도 전류가 흐르게 되고, 대상체 내부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대상체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워킹 코일(WC1)은 제1 반도체 스위치(S1)에 연결되고, 제2 워킹 코일(WC2)은 제2 반도체 스위치(S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워킹 코일은 대응되는 반도체 스위치에 의해 고속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3, WC4)은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3, WC4)은 서로 병렬 연결되고, 제2 인버터부(IV2)로부터 공진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즉,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인 경우, 제2 인버터부(IV2)에서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3, WC4) 중 적어도 하나로 인가되는 고주파의 교류 전류에 의해 해당 워킹 코일과 대상체 사이에 와전류가 발생되어 대상체가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인 경우, 제2 인버터부(IV2)에서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3, WC4) 중 적어도 하나로 인가되는 고주파의 교류 전류에 의해 해당 워킹 코일에서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해당 워킹 코일에 대응되는 대상체 내부의 코일에도 전류가 흐르게 되고, 대상체 내부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대상체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제3 워킹 코일(WC3)은 제3 반도체 스위치(S3)에 연결되고, 제4 워킹 코일(WC4)은 제4 반도체 스위치(S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워킹 코일은 대응되는 반도체 스위치에 의해 고속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참고로, 반도체 스위치에 의해 워킹 코일이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는 의미는 인버터부로부터 워킹 코일로 인가되는 공진 전류의 흐름이 반도체 스위치에 의해 차단 해제 또는 차단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S1~S4)는 각각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WC1~WC4)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기 위해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WC1~WC4)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보조 전원(3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반도체 스위치(S1)는 제1 워킹 코일(WC1)에 연결되어 제1 워킹 코일(WC1)을 턴온 또는 턴오프할 수 있고, 제2 반도체 스위치(S2)는 제2 워킹 코일(WC2)에 연결되어 제2 워킹 코일(WC2)을 턴온 또는 턴오프할 수 있다. 또한 제3 반도체 스위치(S3)는 제3 워킹 코일(WC3)에 연결되어 제3 워킹 코일(WC3)을 턴온 또는 턴오프할 수 있고, 제4 반도체 스위치(S4)는 제4 워킹 코일(WC4)에 연결되어 제4 워킹 코일(WC4)을 턴온 또는 턴오프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S1, S2)는 제어부(250)에 의해 제1 인버터부(IV1)와 보조를 맞추어 구동됨으로써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 위에 대상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거나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의 출력을 제어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S3, S4)는 제어부(250)에 의해 제2 인버터부(IV2)와 보조를 맞추어 구동됨으로써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3, WC4) 위에 대상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거나 제3 및 제4 워킹 코일(WC3, WC4)의 출력을 제어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S1~S4)는 예를 들어, 스태틱 스위치(static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S1~S4)에는 예를 들어,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가 적용될 수 있다.
보조 전원(300)은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S1~S4)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전원(300)은 단일 출력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전원(300)은 단일 출력으로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S1~S4)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전원(300)은 다른 다중 출력 구조와 비교하였을 때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S1~S4)와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핀(pin) 수를 줄일 수 있다.
물론, 단일 출력 용량이 너무 큰 경우(즉, 미리 설정된 기준 용량을 크게 벗어난 경우), 보조 전원(300)은 이중 출력 구조(각각의 출력단이 단일 출력 용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 용량 이하의 용량으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참고로, 보조 전원(300)은 예를 들어,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인터페이스(3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아 제어부(250)로 해당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인터페이스(350)는 사용자가 원하는 가열 강도나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시간 등을 입력하기 위한 모듈로서, 물리적인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350)에는 예를 들어, 전원 버튼, 잠금 버튼, 파워 레벨 조절 버튼(+, -), 타이머 조절 버튼(+, -), 충전 모드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인터페이스(350)는 제공받은 입력 정보를 제어부(250)로 제공할 수 있고, 제어부(250)는 입력 인터페이스(350)로부터 제공받은 입력 정보를 토대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다양하게 구동시킬 수 있는바,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350)에 구비된 전원 버튼을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할 경우,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이 시작될 수 있다. 반대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할 경우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이 종료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잠금 버튼을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할 경우 다른 모든 버튼의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잠금 버튼을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할 경우 다른 모든 버튼의 조작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워 레벨 조절 버튼(+, -)을 터치할 경우,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현재 파워 레벨이 입력 인터페이스(350) 상에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파워 레벨 조절 버튼(+, -)의 터치에 의해 제어부(250)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입력된 파워 레벨에 대응되도록 제1 및 제2 인버터부(IV1, IV2)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타이머 조절 버튼(+, -)을 터치하여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사용자가 설정한 구동 시간이 경과할 경우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타이머 조절 버튼(+, -)에 의하여 설정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시간은 대상체의 가열 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타이머 조절 버튼(+, -)에 의하여 설정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시간은 대상체의 충전 시간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충전 모드 버튼을 터치할 경우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50)는 구동 영역(즉, 워킹 코일 상부)에 안착된 대상체와의 통신을 통해 해당 대상체에 대한 장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대상체로부터 전송되는 장치 정보는 예를 들어, 대상체의 종류, 충전 모드, 요구 전력량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종류를 판단하고, 대상체의 충전 모드를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대상체의 충전 모드는 일반 충전 모드 및 고속 충전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50)는 확인된 충전 모드에 따라서 제1 및 제2 인버터부(IV1, IV2)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고속 충전 모드인 경우 제어부(250)는 인버터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보다 큰 공진 전류가 워킹 코일에 인가되도록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대상체의 충전 모드는 입력 인터페이스(35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3)는 전술한 특징 및 구성을 공통적으로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특징 및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대해 도 2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워킹 코일 배치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보조 전원과 반도체 스위치 간 연결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2의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대상체 검출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와 동일한 구성 및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의 개수 및 명칭을 변경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는 전체 영역(존프리 영역)의 절반을 구성하는 워킹 코일만이 도시되어 있는바, 나머지 절반을 구성하기 위해 도 3은 추가 인버터부, 워킹 코일부, 워킹 코일, 검출 그룹, 검출부, 반도체 스위치부, 반도체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의 인버터부, 워킹 코일부, 워킹 코일, 검출 그룹, 검출부, 반도체 스위치부, 반도체 스위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는 전원부(100), 정류부(150),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 제1 내지 제3 인버터부(IV1~IV3), 제1 내지 제3 워킹 코일부(AWC, BWC, CWC), 제1 내지 제3 반도체 스위치부(AS, BS, CS), 제어부(250), 보조 전원(300), 입력 인터페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인버터부, 워킹 코일부, 워킹 코일, 반도체 스위치부, 반도체 스위치의 수는 도 3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워킹 코일부(AWC), 제2 워킹 코일부(BWC), 제3 워킹 코일부(CWC)가 각각 6개, 4개, 6개의 워킹 코일을 포함하고, 제1 반도체 스위치부(AS), 제2 반도체 스위치부(BS), 제3 반도체 스위치부(CS)가 각각 6개, 4개, 6개의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의 최적 예시(best mode)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 워킹 코일부가 2개의 워킹 코일을 포함하고, 각 반도체 스위치부도 2개의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00)는 교류 전력을 출력하여 정류부(150)에 제공할 수 있고, 정류부(150)는 전원부(100)로부터 공급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는 정류부(150)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는 정류부(150)와 병렬 연결되어 정류부(150)로부터 직류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는 예를 들어, 평활 커패시터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공받은 직류 전압의 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참고로,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경우, 정류부(150)로부터 직류 전압을 제공받는바, 일단에는 직류 전압이 인가되고, 타단은 일단과의 전위차에 의해 접지될 수 있다.
또한, 정류부(150)에 의해 정류되고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에 의해 리플이 감소된 직류 전력(또는 직류 전압)은 제1 내지 제3 인버터부(IV1~IV3)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1 인버터부(IV1)는 2개의 스위칭 소자(SV1, SV1')를 포함하고, 제2 인버터부(IV2)는 2개의 스위칭 소자(SV2, SV2')를 포함하며, 제3 인버터부(IV3)는 2개의 스위칭 소자(SV3, SV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인버터부(IV1~IV3)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은 제어부(250)로부터 제공받은 스위칭 신호에 의해 교대로 턴온 및 턴오프되어 직류 전력을 고주파의 교류 전류(즉, 공진 전류)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고주파의 교류 전류는 워킹 코일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버터부(IV1)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변환된 공진 전류는 제1 워킹 코일부(AWC)로 제공될 수 있고, 제2 인버터부(IV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변환된 공진 전류는 제2 워킹 코일부(BWC)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3 인버터부(IV3)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변환된 공진 전류는 제3 워킹 코일부(CWC)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제1 인버터부(IV1)에 의해 생성된 공진 전류는 제1 워킹 코일부(AWC) 내에 포함된 워킹 코일(WC1, WC2) 중 적어도 하나로 인가될 수 있고, 제2 인버터부(IV2)에 의해 생성된 공진 전류는 제2 워킹 코일부(BWC) 내에 포함된 워킹 코일(WC3, WC4) 중 적어도 하나로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제3 인버터부(IV3)에 의해 생성된 공진 전류는 제3 워킹 코일부(CWC) 내에 포함된 워킹 코일(WC5, WC6) 중 적어도 하나로 인가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워킹 코일부(AWC) 내에 포함된 워킹 코일(WC1, WC2)은 서로 병렬 연결되어 있고, 제2 워킹 코일부(BWC) 내에 포함된 워킹 코일(WC3, WC4)도 서로 병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3 워킹 코일부(CWC) 내에 포함된 워킹 코일(WC5, WC6)도 서로 병렬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워킹 코일부(AWC) 내에 포함된 워킹 코일(WC1, WC2)은 A 영역(AR)에 그룹화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2 워킹 코일부(BWC) 내에 포함된 워킹 코일(WC3, WC4)은 B 영역(BR)에 그룹화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워킹 코일부(CWC) 내에 포함된 워킹 코일(WC5, WC6)은 C 영역(CR)에 그룹화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나머지 빈 공간에도 워킹 코일이 배치될 수 있으며, 입력 인터페이스(350) 역시 도 4에 도시된 위치 외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반도체 스위치부(AS)는 제1 워킹 코일부(AWC)에 연결되고, 제2 반도체 스위치부(BS)는 제2 워킹 코일부(BWC)에 연결되며, 제3 반도체 스위치부(CS)는 제3 워킹 코일부(CWC)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반도체 스위치부(AS)는 2개의 반도체 스위치(S1, S2)를 포함하고, 2개의 반도체 스위치(S1, S2) 각각은 제1 워킹 코일부(AWC)에 포함된 2개의 워킹 코일(WC1, WC2)에 각각 연결되어 2개의 워킹 코일(WC1, WC2)을 각각 턴온 또는 턴오프할 수 있다.
여기에서, 2개의 반도체 스위치(S1, S2) 각각의 일단은 2개의 워킹 코일(WC1, WC2)에 각각 연결되고, 2개의 반도체 스위치(S1, S2) 각각의 타단은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타단(즉, 접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반도체 스위치부(BS)는 2개의 반도체 스위치(S3, S4)를 포함하고, 2개의 반도체 스위치(S3, S4) 각각은 제2 워킹 코일부(BWC)에 포함된 2개의 워킹 코일(WC3, WC4)에 각각 연결되어 2개의 워킹 코일(WC3, WC4)을 각각 턴온 또는 턴오프할 수 있다.
여기에서, 2개의 반도체 스위치(S3, S4) 각각의 일단은 2개의 워킹 코일(WC3, WC4)에 각각 연결되고, 2개의 반도체 스위치(S3, S4) 각각의 타단은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타단(즉, 접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반도체 스위치부(CS)는 2개의 반도체 스위치(S5, S6)를 포함하고, 2개의 반도체 스위치(S5, S6) 각각은 제3 워킹 코일부(CWC)에 포함된 2개의 워킹 코일(WC5, WC6)에 각각 연결되어 2개의 워킹 코일(WC5, WC6)을 각각 턴온 또는 턴오프할 수 있다.
여기에서, 2개의 반도체 스위치(S5, S6) 각각의 일단은 2개의 워킹 코일(WC5, WC6)에 각각 연결되고, 2개의 반도체 스위치(S5, S6) 각각의 타단은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타단(즉, 접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반도체 스위치부(AS, BS, CS)의 모든 반도체 스위치들의 타단은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타단(즉, 접지단)에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조 전원(300)은 하나의 출력단을 통해 모든 반도체 스위치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참고로, 반도체 스위치가 인버터부와 워킹 코일부 사이에 연결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반도체 스위치의 이미터(emitter)가 서로 플로팅(floating)되어 반도체 스위치의 개수만큼 보조 전원(300)의 출력단 수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로 인해, 보조 전원(300)의 핀수도 증가하게 되어 회로 부피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과 같이, 반도체 스위치가 모두 접지단(즉,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타단)에 연결된 경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반도체 스위치의 이미터가 플로팅되지 않고 모두 공통(common)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전원(300)은 하나의 출력단을 통해 모든 반도체 스위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전원(300)의 핀수가 도 5 대비 저감될 수 있고, 나아가 회로 부피도 저감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제1 내지 제3 인버터부(IV1~IV3)와 제1 내지 제3 반도체 스위치부(AS, BS, CS)의 동작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1 내지 제3 워킹 코일부(AWC, BWC, CWC)에 포함된 워킹 코일(WC1~WC6) 중 적어도 하나에 흐르는 공진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 값을 토대로 어느 워킹 코일에 대상체가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대상체를 검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워킹 코일부(AWC)가 배치된 A 영역(도 4의 AR)에서의 대상체 검출 과정을 예로 들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250)는 대상체 검출을 위해 일정한 주기로 제1 인버터부(IV1)에 N개 펄스를 제공(여기에서, N은 1, 2, 3 중 어느 하나이고, N이 1인 경우, 원 펄스 샷(One Pulse Shot)을 제1 인버터부(IV1)에 스위칭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인버터부(IV1)는 제어부(250)로부터 N개 펄스를 제공받을 때마다 이에 맞추어 턴온 및 턴오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워킹 코일부(AWC)가 포함된 회로에 자유 공진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250)가 N개 펄스가 아닌 연속적인 펄스(즉, 4개 이상의 펄스)를 제공하는 경우, 대기 전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제어부(250)는 N개 펄스를 주기적으로 제1 인버터부(IV1)에 제공하는 것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N개 펄스가 1개 펄스(즉, 단일 펄스)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각각의 단일 펄스에 맞추어 제어부(250)는 순차적으로 2개의 반도체 스위치(S1, S2)를 턴온 및 턴오프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가 제1 반도체 스위치(S1)를 턴온한 후 제1 인버터부(IV1)에 단일 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제1 워킹 코일(WC1)에만 공진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제어부(250)는 제1 워킹 코일(WC1)에 흐르는 공진 전류의 감쇄 정도를 검출하여, 제1 워킹 코일(WC1) 위에 대상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부연 설명을 하자면, 제1 워킹 코일(WC1) 위에 대상체가 위치하는 경우, 대상체의 저항으로 인해 전체 저항이 증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 워킹 코일(WC1)을 흐르는 공진 전류의 감쇄 정도가 커질 수 있다.
제어부(250)는 이와 같이 제1 워킹 코일(WC1)에 흐르는 공진 전류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 값을 토대로 제1 워킹 코일(WC1) 위에 대상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참고로, 제어부(250)는 단일 펄스를 제공하는 시점의 전후로 일정 시간의 딜레이(delay)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제1 반도체 스위치(S1)를 턴온한 후 일정 시간 동안의 딜레이(즉, 제1 딜레이)가 경과되면, 단일 펄스를 제1 인버터부(IV1)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딜레이 경과 시간을 가지는 이유는 제1 반도체 스위치(S1)가 턴온 후 안정화되는데 일정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단일 펄스가 제1 인버터부(IV1)에 제공된 후, 다시 일정 시간 동안의 제2 딜레이가 경과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딜레이 경과 시간을 가지는 이유는 제1 인버터부(IV1)에 제공된 단일 펄스에 대한 신호 처리 및 대상체에 대한 감지 작업에 일정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50)는 제2 워킹 코일(WC2)에 대해서도 대상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대상체 검출 작업은 제1 워킹 코일부(AWC) 뿐만 아니라 제2 및 제3 워킹 코일부(BWC, CWC)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는 워킹 코일과 반도체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공진 커패시터(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진 커패시터(C)의 경우, 인버터부(예를 들어, 제1 인버터부(IV1))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압이 인가되면, 공진을 시작하게 된다. 또한 공진 커패시터(C)가 공진하게 되면, 해당 공진 커패시터(C)와 연결된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1)에 흐르는 전류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해당 공진 커패시터(C)에 연결된 워킹 코일 상부에 배치된 대상체에 와전류가 유도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는 반도체 스위치를 통해 복수개의 워킹 코일을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고속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함으로써 대상체 검출 속도를 개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는 릴레이 없이 반도체 스위치를 통해 대상체 검출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릴레이의 절환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음 문제에 민감한 시간대(예를 들어, 새벽 또는 늦은 밤)에도 조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바,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는 릴레이 및 대상체 검출 회로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회로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전체 부피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전체 부피를 줄임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참고로, 도 8에 도시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2)는 도 3에 도시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와 구성 및 효과가 상당 부분 동일한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2)는 도 3의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와 반도체 스위치의 연결 위치가 다를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도체 스위치부(AS)의 2개의 반도체 스위치(S1, S2) 각각의 타단은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타단이 아닌 일단(즉, 직류 전압이 인가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반도체 스위치부(BS)의 2개의 반도체 스위치(S3, S4) 각각의 타단도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일단(즉, 직류 전압이 인가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3 반도체 스위치부(CS)의 2개의 반도체 스위치(S5, S6) 각각의 타단도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일단(즉, 직류 전압이 인가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반도체 스위치부(AS, BS, CS)의 모든 반도체 스위치들의 타단은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일단(즉, 직류 전압이 인가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3과 같이, 도 8의 보조 전원(300)은 하나의 출력단을 통해 모든 반도체 스위치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참고로, 도 9에 도시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3)는 도 3에 도시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와 구성 및 효과가 상당 부분 동일한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3)는 도 3의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와 반도체 스위치의 연결 위치가 일부 다를 수 있다.
즉, 제1 반도체 스위치부(AS)의 2개의 반도체 스위치(S1, S2) 각각의 타단은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타단(즉, 접지단)에 연결되고, 제2 반도체 스위치부(BS)의 2개의 반도체 스위치(S3, S4) 각각의 타단도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타단(즉, 접지단)에 연결된다는 점은 도 3과 동일하다.
다만 제3 반도체 스위치부(CS)의 2개의 반도체 스위치(S5, S6) 각각의 타단은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일단(즉, 직류 전압이 인가된 부분)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도 3과 다르다.
즉,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부(AS, BS)의 반도체 스위치들의 타단은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타단(즉, 접지단)에 연결되고, 제3 반도체 스위치부(CS)의 반도체 스위치들의 타단은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일단(즉, 직류 전압이 인가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보조 전원(300)은 도 3과 달리, 2개의 출력단을 통해 모든 반도체 스위치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보조 전원(300)이 2개의 출력단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이유는, 보조 전원(300)의 단일 출력 용량이 너무 큰 경우(즉, 미리 설정된 기준 용량을 크게 벗어난 경우), 회로 및 전체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보조 전원(300)의 단일 출력 용량이 너무 큰 경우, 보조 전원(300)의 출력단을 도 9와 같이, 2개로 나누어 설계함으로써 각 출력단을 통해 적정 용량(즉, 미리 설정된 기준 용량 이하의 용량)의 전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각 반도체 스위치부의 연결 관계는 도 9에 도시된 연결 관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내지 제3 반도체 스위치부(AS, BS, CS) 중 일부 반도체 스위치부에 포함된 반도체 스위치들의 타단은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타단(즉, 접지단)에 연결되고, 나머지 반도체 스위치부에 포함된 반도체 스위치들의 타단은 직류 링크 커패시터(200)의 일단(즉, 직류 전압이 인가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전원부 150: 정류부
200: 직류 링크 커패시터 250: 제어부
300: 보조 전원 350: 입력 인터페이스

Claims (12)

  1. 병렬 연결된 제1 워킹 코일과 제2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제1 워킹 코일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공진 전류를 인가하는 제1 인버터부;
    상기 제1 워킹 코일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기 위해 상기 제1 워킹 코일에 연결된 제1 반도체 스위치;
    상기 제2 워킹 코일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기 위해 상기 제2 워킹 코일에 연결된 제2 반도체 스위치;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 각각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로 공급하는 보조 전원; 및
    상기 제1 인버터부와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부로부터 공급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인버터부에 공급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와 병렬 연결되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인버터부는 상기 정류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직류 전력을 상기 공진 전류로 변환하고,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일단에는 상기 직류 전력에 의한 직류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타단은 접지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워킹 코일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 각각의 타단은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워킹 코일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 각각의 타단은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병렬 연결된 제3 워킹 코일과 제4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제2 워킹 코일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3 워킹 코일 및 상기 제4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공진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제1 인버터부와 병렬 연결되는 제2 인버터부;
    상기 제3 워킹 코일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기 위해 상기 제3 워킹 코일에 연결된 제3 반도체 스위치;
    상기 제4 워킹 코일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기 위해 상기 제4 워킹 코일에 연결된 제4 반도체 스위치;
    전원부로부터 공급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인버터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와 병렬 연결되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일단에는 상기 직류 전력에 의한 직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타단은 접지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은 상기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버터부와 상기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 각각의 타단은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 각각의 타단은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은 하나의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 중 일부 반도체 스위치의 타단은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고, 나머지 반도체 스위치의 타단은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은,
    제1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 중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된 반도체 스위치로 전력을 공급하고,
    제2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 중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된 반도체 스위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흐르는 공진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공진 전류를 토대로 상기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 중 어느 워킹 코일의 상부에 대상체가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0170173675A 2017-08-31 2017-12-15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41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43,474 US11419188B2 (en) 2017-08-31 2018-08-13 Induction heating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circuit structure
EP18849568.3A EP3678452B1 (en) 2017-08-31 2018-08-13 Induction heating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circuit structure
PCT/KR2018/009294 WO2019045323A1 (ko) 2017-08-31 2018-08-13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469 2017-08-31
KR20170111469 2017-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547A KR20190024547A (ko) 2019-03-08
KR102413857B1 true KR102413857B1 (ko) 2022-06-28

Family

ID=6580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675A KR102413857B1 (ko) 2017-08-31 2017-12-15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19188B2 (ko)
EP (1) EP3678452B1 (ko)
KR (1) KR102413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322A1 (ko) * 2017-08-31 2019-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알고리즘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WO2020124582A1 (zh) * 2018-12-21 2020-06-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接收装置和无线充电方法
EP4079103A1 (de) * 2019-12-17 2022-10-26 BSH Hausgeräte GmbH Induktionsenergieübertragungssystem
KR102306813B1 (ko) * 2020-04-01 202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4932A1 (ja) * 2012-10-24 2014-05-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3262B2 (en) 2001-10-17 2004-02-17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hob with discrete distributed heating elements
KR101535145B1 (ko) * 2009-05-04 2015-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KR101659001B1 (ko) * 2009-07-22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일 인버터를 구비한 유도가열 전기조리기
JP5658692B2 (ja) * 2010-01-20 2015-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KR101729020B1 (ko) 2010-02-08 2017-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 조리기기
EP2787791B1 (en) * 2011-12-02 2016-12-14 Panasonic Corporation Induction heating device
WO2013084386A1 (ja) * 2011-12-06 2013-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EP2973922B1 (en) * 2013-03-15 2019-03-27 Heraeus Noblelight America LLC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dual magnetrons using a dual power supply
ES2538605B1 (es) * 2013-12-20 2016-04-15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Dispositivo de campo de cocción
JP6326324B2 (ja) 2014-08-18 2018-05-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磁誘導加熱装置および電磁誘導加熱装置の被加熱物判定方法
JP6013532B2 (ja) 2015-02-23 2016-10-25 株式会社ダイヘン インバータ装置、このインバータ装置を備えた誘導加熱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給電装置
KR101727744B1 (ko) 2016-02-26 2017-04-17 (주)그린파워 인덕션 쿠커와 무선전력 전송 기기를 겸용하는 전원공급 장치의 동작제어를 위한 부하 인식 방법
KR102016219B1 (ko) * 2017-09-29 2019-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상체 검출 알고리즘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EP3474630A1 (en) * 2017-10-19 2019-04-24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target object detection accuracy and induction he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EP3474629B1 (en) * 2017-10-19 2020-12-02 LG Electronics Inc. -1- Induction heating and wireless power transferring device having improved resonant current detection accuracy
KR102034798B1 (ko) * 2018-01-08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알고리즘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4932A1 (ja) * 2012-10-24 2014-05-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8452A1 (en) 2020-07-08
US11419188B2 (en) 2022-08-16
US20200367323A1 (en) 2020-11-19
EP3678452B1 (en) 2022-01-05
EP3678452A4 (en) 2021-05-12
KR20190024547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219B1 (ko) 대상체 검출 알고리즘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413858B1 (ko) 제어 알고리즘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413857B1 (ko)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EP3474629B1 (en) Induction heating and wireless power transferring device having improved resonant current detection accuracy
US11064575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target object detection accuracy and induction he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71957B1 (ko) 제어 알고리즘 및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082507B1 (ko) 제어 알고리즘 및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034798B1 (ko) 제어 알고리즘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101898B1 (ko) 제어 알고리즘 및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401359B1 (ko) 공진 전류 검출 정확도가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436144B1 (ko) 대상체 검출 정확도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시스템
KR102626705B1 (ko) 스위치 스트레스 저감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20230253834A1 (en) Induction heating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control algorithm
KR20230123740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