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961B1 -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및 라미네이터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및 라미네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961B1
KR102412961B1 KR1020150128677A KR20150128677A KR102412961B1 KR 102412961 B1 KR102412961 B1 KR 102412961B1 KR 1020150128677 A KR1020150128677 A KR 1020150128677A KR 20150128677 A KR20150128677 A KR 20150128677A KR 102412961 B1 KR102412961 B1 KR 102412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member
extension
members
lami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329A (ko
Inventor
김용현
김성배
박창균
신현교
이정균
조규정
홍용규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50128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9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체가 놓여지는 곡면 형상의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에 놓여진 피처리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및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및 라미네이터{Supporting Apparatus for Laminator and Laminator}
본 발명은 피처리체를 합착하는데 이용되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및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라미네이터(Laminator)는 디스플레이장치, 태양전지 등과 같은 전자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피처리체를 합착(Lamination)하는데 이용되는 설비이다. 예컨대, 피처리체는 복수개의 기판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라미네이터는 복수개의 기판을 합착하는 합착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00)는 상기 피처리체(1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110)는 상기 피처리체(1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피처리체(10)를 가열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00)는 상기 피처리체(10)를 합착하는 합착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110)는 상기 피처리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111)이 평면(平面)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처리체(10)가 복수개의 곡면 기판이 적층된 것이면, 상기 피처리체(10)는 외측 부분이 상기 지지면(111)으로부터 이격되고 중앙 부분이 상기 지지면(111)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지지면(111)에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110)는 상기 피처리체(10)의 외측 부분에 비해 중앙 부분에 더 많은 열을 전달되게 되므로, 상기 피처리체(10)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00)는 상기 피처리체(10)에 대해 왜곡 발생, 기포 발생, 크랙 발생 등과 같은 불량을 유발함에 따라 합착공정이 완료된 피처리체(10)에 대한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피처리체(10)는 전자제품의 종류, 성능 등과 같은 사양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00)는 상기 피처리체(10)가 더 큰 크기로 제조된 것으로 변경된 경우, 변경된 피처리체(10)의 크기에 맞게 상기 가열부(110)가 새롭게 제작되어야 하므로, 공정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피처리체에 전달되는 열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및 라미네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처리체의 크기 변경에 따른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및 라미네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는 곡면을 이루는 피처리체를 지지하기 위해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체에 대한 합착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피처리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지지면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가열부에 결합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피처리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재, 및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면의 크기를 확장시키기 위해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확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는 곡면을 이루는 피처리체를 지지하기 위해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체에 대한 합착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피처리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지지면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가열부에 결합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피처리체를 지지하기 위한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는 상기 지지면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M개(M은 0보다 큰 정수)의 확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는 곡면을 이루는 피처리체에 대한 합착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피처리체를 가열하는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M개(M은 0보다 큰 정수)의 확장부재; 및 상기 N개의 지지부재 및 상기 M개의 확장부재 상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재들로부터 제공되는 열을 상기 피처리체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는 상기 피처리체에 접촉되는 전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면은 상기 피처리체가 이루는 곡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는 피처리체를 합착하는 라미네이터로서, 상기 피처리체가 놓여지는 곡면 형상의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면에 놓여진 피처리체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처리체에 전달되는 열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피처리체에 발생하는 온도 편차에 기인한 왜곡 발생, 기포 발생, 크랙 발생 등과 같은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합착공정이 완료된 피처리체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종류, 성능 등과 같은 사양에 따라 피처리체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피처리체의 크기 변경에 따른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합착공정에 대한 공정 비용을 절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피처리체(10, 도 3에 도시됨)에 대한 합착공정을 수행하는 라미네이터(미도시)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라미네이터에서 상기 피처리체(10)가 합착되도록 상기 피처리체(10)를 가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피처리체(10)는 디스플레이장치, 태양전지 등과 같은 전자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피처리체(10)는 복수개의 기판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복수개의 기판이 합착되도록 상기 피처리체(10)를 가열한다. 예컨대, 상기 피처리체(10)는 기판, 필름 등이 적층된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기판, 필름 등이 합착되도록 상기 피처리체(10)를 가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피처리체(1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2), 및 상기 가열부(2)에 결합되는 확장부(3)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2)는 상기 피처리체(10)를 지지하기 위해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 지지면(2a, 도 2에 도시됨), 및 복수개의 지지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부(3)는 상기 가열부(2)에 결합되는 확장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부재(30)는 상기 지지부재(20)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확장부(3)는 상기 가열부(2)의 크기를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지지면(2a)이 곡면을 이루며 형성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상기 지지면(2a)이 평면을 이루며 형성된 것과 대비할 때 곡면을 이루는 피처리체(10)가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면(2a)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피처리체(10)에 전달되는 열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피처리체(10)에 발생하는 온도 편차에 기인한 왜곡 발생, 기포 발생, 크랙 발생 등과 같은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합착공정이 완료된 피처리체(10)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확장부재(30)를 통해 상기 가열부(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전자제품의 종류, 성능 등과 같은 사양에 따라 피처리체(10)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피처리체(1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피처리체(10)의 크기 변경에 따른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합착공정에 대한 공정 비용을 절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열부(2) 및 상기 확장부(3)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가열부(2)는 상기 피처리체(10)를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열부(2)는 전기 등을 이용하여 발열하는 핫 플레이트(Hot plat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는 내부에서 유동하는 가열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피처리체(10)를 가열할 수도 있다. 상기 가열부(2)는 열 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피처리체(10)를 가열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열부(2)는 상기 지지면(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2a)은 상기 가열부(2)의 상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지지면(2a)은 상기 피처리체(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면(2a)은 곡면을 이루는 피처리체(10)를 지지하기 위해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부(2)는 상기 지지면(2a)이 평면을 이루며 형성된 것과 대비할 때, 곡면을 이루는 피처리체(10)가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면(2a)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2)는 상기 피처리체(10)에 발생하는 온도 편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피처리체(10)에 발생하는 온도 편차에 기인한 왜곡 발생, 기포 발생, 크랙 발생 등과 같은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면(2a)은 상기 피처리체(10)가 곡면을 이루도록 휘어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휘어진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가 가열 가능한 피처리체(10) 중에서 상기 지지면(2a)과 동일한 곡률로 휘어진 피처리체(10)는, 전면(全面)이 상기 지지면(2a)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면(2a)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가 가열 가능한 피처리체(10) 중에서 상기 지지면(2a)과 상이한 곡률로 휘어진 피처리체(10)는,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면(2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면(2a)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피처리체(10)는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 지지면(2a)에 지지되므로, 평면을 이루며 형성된 지지면(2a)에 지지된 것과 대비할 때 상기 지지면(2a)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이격되는 거리가 감소된다. 상기 지지면(2a)은 상기 가열부(2)의 상면이 오목하게 구현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는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지지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들은 상기 확장부재(3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들은 상기 확장부재(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확장부(3)는 상기 가열부(2)에 결합된다. 상기 확장부(3)는 열 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3) 및 상기 가열부(2)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확장부(3) 및 상기 가열부(2) 간에 온도 편차를 줄임으로써, 상기 피처리체(10)에 전달되는 열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확장부(3)는 상기 가열부(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2a)은 상기 확장부(3) 및 상기 가열부(2)가 결합됨에 따라 구현되는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2a)은 상기 확장부(3) 및 상기 가열부(2)가 결합됨에 따라 구현되는 상면의 일부에 해당할 수도 있다. 상기 확장부(3)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가열부(2)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확장부(3)는 M개(M은 0보다 큰 정수)의 확장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재(30)는 상기 지지부재(20)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지지면(2a)을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면(2a)은, 상기 지지부재(20)들 및 상기 확장부재(30)가 결합됨에 따라 구현되는 상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재(30), 및 상기 지지부재(20)들은 볼팅, 용접, 점착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3)가 상기 확장부재(30)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확장부재(30)들은 상기 지지부재(20)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는, 상기 확장부재(30)들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재(30)들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는 증가한다. 상기 확장부재(30)들의 개수가 감소할수록,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는 감소한다. 이에 따라, 상기 확장부(3)는 상기 피처리체(1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지지부재(20) 및 상기 확장부재(30) 각각의 개수 및 배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는 제1지지부재(21, 도 4에 도시됨) 및 제2지지부재(22,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21)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22)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처리체(10, 도 3에 도시됨)이 직사각형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長邊)에 대해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피처리체(10)가 직사각형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변(短邊)에 대해 평행한 방향일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21)는 상기 피처리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면(211,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211)은 상기 제1지지부재(21)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211)은 상기 지지면(2a, 도 2에 도시됨)의 일부에 해당한다. 상기 제1지지면(211)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21)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22)는 상기 피처리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면(221,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221)은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221)은 상기 지지면(2a)의 일부에 해당한다. 상기 제2지지면(221)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22) 및 상기 제1지지부재(21)는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22)는 상기 제1지지부재(21)와 결합되어 곡면 형상의 지지면(2a)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22) 및 상기 제1지지부재(21)의 사이에는 상기 확장부(3)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3)는 상기 제2지지부재(22) 및 상기 제1지지부재(21)와 결합되어서 곡면 형상의 지지면(2a)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22)는 상기 제2지지면(221)과 상기 제1지지면(211)이 직접 연결되면 하나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제2지지부재(22) 및 상기 제1지지부재(21)가 상기 확장부재(30, 도 2에 도시됨) 없이 직접 연결되도록 결합된 경우, 상기 제2지지면(221)과 상기 제1지지면(211)을 통해 하나의 곡면을 이루는 지지면(2a)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제2지지부재(22) 및 상기 제1지지부재(21) 사이에 상기 확장부재(30)가 배치되면, 상기 제2지지면(221) 및 상기 제1지지면(211)이 상기 확장부재(3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피처리체(10)가 상기 지지면(2a)에 지지되면, 곡면을 이루는 피처리체(10)가 상기 제2지지면(221) 및 상기 제1지지면(211) 각각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이격되는 거리 간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곡면을 이루는 피처리체(10)에 전달되는 열에 대한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221) 및 상기 제1지지면(211)은 서로 대칭되는 형태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22) 및 상기 제1지지부재(2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길이(22L, 21L)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제2지지부재(22) 및 상기 제1지지부재(21) 사이에 상기 확장부재(30)가 배치되면, 상기 지지면(2a)이 상기 확장부재(30)를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확장부재(30)의 개수를 변경하여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3)는 제1확장부재(31,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부재(31)는 상기 제1지지부재(21) 및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이 장변에 대해 평행한 방향인 경우, 상기 제1확장부재(31)는 상기 지지면(2a)의 장변 길이가 증가하도록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이 단변에 대해 평행한 방향인 경우, 상기 제1확장부재(31)는 상기 지지면(2a)의 단변 길이가 증가하도록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부재(3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비해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서로 수직한 축방향이다.
상기 제1확장부재(31)는 상기 피처리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제1확장면(311,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면(311)은 상기 제1확장부재(31)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면(311)은 상기 지지면(2a, 도 2에 도시됨)의 일부에 해당한다.
상기 제1확장면(311)은 평면(平面)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확장부(3)가 상기 제1확장부재(31)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확장부재(31)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결합되더라도 상기 제1확장면(311)들이 서로 연결된 부분에서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복수개의 제1확장부재(31)들을 통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더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면(2a)에서 상기 제1확장면(311)들에 의해 구현되는 부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피처리체(10)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제1확장면(311)들이 서로 연결된 부분에서 단차가 발생함에 따라 피처리체(10)가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합착공정이 완료된 피처리체(10)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는 2개의 제1확장부재(31)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3개 이상의 제1확장부재(31)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확장부재(31)는 상기 제1지지부재(21)를 향하는 방향 쪽에 위치하는 제1연결면(312, 도 6에 도시됨), 및 상기 제2지지부재(22)를 향하는 방향 쪽에 위치하는 제2연결면(313,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면(312) 및 상기 제2연결면(31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확장부재(31)의 양 측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면(312)은 상기 제1지지부재(21)의 제1분할면(212, 도 6에 도시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면(212)은 상기 제1지지부재(21)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22)를 향하는 방향 쪽에 위치한 제1지지부재(21)의면(面)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제1확장부재(31)가 상기 제1지지부재(21) 및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제1확장면(311) 및 상기 제1지지면(211)이 연결된 부분에서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피처리체(10)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피처리체(10)가 단차에 의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합착공정이 완료된 피처리체(10)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면(313)은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제2분할면(222, 도 6에 도시됨)과 동일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분할면(222)은 상기 제2지지부재(22)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21)를 향하는 방향 쪽에 위치한 제2지지부재(22)의 면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제1확장부재(31)가 상기 제1지지부재(21) 및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제1확장면(311) 및 상기 제2지지면(221)이 연결된 부분에서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피처리체(10)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피처리체(10)가 단차에 의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합착공정이 완료된 피처리체(10)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면(313) 및 상기 제1연결면(312)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확장부(3)가 상기 제1확장부재(31)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확장부재(31)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결합되더라도 상기 제1확장면(311)들이 서로 연결된 부분에서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더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피처리체(10)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합착공정이 완료된 피처리체(10)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 도 4에 도시됨)는 상기 제1지지부재(21, 도 8에 도시됨) 및 상기 제2지지부재(22, 도 8에 도시됨)에 추가로 제3지지부재(23, 도 8에 도시됨) 및 제4지지부재(24,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21) 및 상기 제2지지부재(22)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서 설명한 바와 대략 일치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지지부재(2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21)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3지지부재(2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4지지부재(24)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처리체(10, 도 3에 도시됨)이 직사각형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장변 또는 단변에 대해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이 상기 피처리체(10)의 장변에 대해 평행한 방향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이 상기 피처리체(10)의 단면에 대해 평행한 경우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상기 제3지지부재(23)는 상기 피처리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제3지지면(231, 도 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면(231)은 상기 제3지지부재(23)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면(231)은 상기 지지면(2a, 도 2에 도시됨)의 일부에 해당한다. 상기 제3지지면(231)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지지면(231)은 상기 제1지지면(211)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재(23) 및 상기 제1지지부재(2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제3지지부재(23) 및 상기 제1지지부재(21) 사이에 상기 확장부재(30, 도 2에 도시됨)가 배치되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면(2a)이 상기 확장부재(30)를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확장부재(30)의 개수를 변경하여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부재(2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22)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부재(2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3지지부재(23)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부재(24)는 상기 피처리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제4지지면(241,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면(241)은 상기 제4지지부재(24)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면(241)은 상기 지지면(2a)의 일부에 해당한다. 상기 제4지지면(241)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4지지면(241)은 상기 제2지지면(221)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면(241), 상기 제3지지면(231), 상기 제2지지면(221), 및 상기 제1지지면(211)은 서로 직접 연결되면 하나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부재(24) 및 상기 제3지지부재(2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제4지지부재(24) 및 상기 제3지지부재(23) 사이에 상기 확장부재(30)가 배치되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면(2a)이 상기 확장부재(30)를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확장부재(30)의 개수를 변경하여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부재(24) 및 상기 제2지지부재(2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제4지지부재(24) 및 상기 제2지지부재(22) 사이에 상기 확장부재(30)가 배치되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면(2a)이 상기 확장부재(30)를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확장부재(30)의 개수를 변경하여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부재(24) 및 상기 제3지지부재(2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3, 도 4에 도시됨)는 상기 제1확장부재(31, 도 8에 도시됨)에 추가로 제2확장부재(32,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3)는 상기 제2확장부재(3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확장부재들(32, 32')(도 8에 도시됨)은 상기 제1지지부재(21)와 상기 제3지지부재(23)의 사이, 및 상기 제2지지부재(22)와 상기 제4지지부재(24)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확장부재(3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모두에 대해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피처리체(10)의 크기 변경에 따른 대응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합착공정에 대한 공정 비용을 절감하는 것에 대한 기여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확장부재들(32, 3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확장부재들(32, 3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2확장부재(32)는 상기 제1지지부재(21)와 상기 제3지지부재(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확장부재들(32, 32') 중에서 다른 하나의 제2확장부재(32')는 상기 제2지지부재(22)와 상기 제4지지부재(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확장부재들(32, 32')은 각각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확장부재들(32, 32')은 각각 상기 피처리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제2확장면들(321, 321')(도 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확장면들(321, 321')은 각각 상기 제2확장부재들(32, 32')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확장면들(321, 321')은 상기 지지면(2a, 도 2에 도시됨)의 일부에 해당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21) 및 상기 제3지지부재(23)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확장부재(32)는, 상기 제1지지면(211) 및 상기 제3지지면(231)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1확장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22) 및 상기 제4지지부재(24)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확장부재(32')는, 상기 제2지지면(221) 및 상기 제4지지면(241)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1확장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확장부(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확장부재(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더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확장부재(31)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서 설명한 바와 대략 일치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이 있는 부분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제1확장부재(31)는 상기 제2확장부재들(32, 32')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확장부재들(32, 3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제1확장부재(31)의 서로 다른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부재(31)는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재(21)와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사이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제3지지부재(23)와 상기 제4지지부재(2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확장부재(3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21)의 길이, 상기 제2확장부재(32)의 길이, 및 상기 제3지지부재(23)의 길이를 모두 합한 길이와 대략 일치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9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 도 4에 도시됨)는 상기 제1지지부재(21, 도 9에 도시됨), 상기 제2지지부재(22, 도 9에 도시됨), 상기 제3지지부재(23, 도 9에 도시됨), 및 제4지지부재(24,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21), 상기 제2지지부재(22), 상기 제3지지부재(23), 및 상기 제4지지부재(24)는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서 설명한 바와 대략 일치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3, 도 4에 도시됨)는 상기 제1확장부재(31, 도 9에 도시됨), 상기 제2확장부재(32, 도 9에 도시됨)에 추가로 제3확장부재(33,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부재(31) 및 상기 제2확장부재(32)는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서 설명한 바와 대략 일치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이 있는 부분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확장부(3)는 상기 제1확장부재(31)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부재들(31, 31')(도 9에 도시됨)은 각각 상기 제1지지부재(21)와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사이, 및 상기 제3지지부재(23)와 상기 제4지지부재(24)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확장부재들(32, 32')(도 9에 도시됨)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모두에 대해 상기 지지면(2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피처리체(10)의 크기 변경에 따른 대응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합착공정에 대한 공정 비용을 절감하는 것에 대한 기여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부재들(31, 31')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확장부재들(31, 3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확장부재(31)는 상기 제1지지부재(21)와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부재들(31, 31') 중에서 다른 하나의 제1확장부재(31')는 상기 제3지지부재(23)와 상기 제4지지부재(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부재들(31, 31')은 각각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부재들(31, 31')은 각각 상기 피처리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제1확장면들(311, 311')(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면들(311, 311')은 각각 상기 제1확장부재들(31, 31')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면들(311, 311')은 상기 지지면(2a, 도 2에 도시됨)의 일부에 해당한다. 상기 제1확장면들(311, 311')은 각각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서 설명한 제1확장면(311)과 대략 일치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확장부재(3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확장부재들(32, 32')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확장부재들(32, 3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제3확장부재(33)의 서로 다른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확장부재(3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확장부재들(32, 32') 각각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확장부재(3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확장부재들(31, 31')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부재들(31, 31')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제3확장부재(33)의 서로 다른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확장부재(3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확장부재들(31, 31') 각각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확장부(3)는 상기 제3확장부재(33)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확장부(3)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확장부재(31)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확장부(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3확장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3)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확장부재(3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확장부(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3확장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전달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4)는 상기 N개의 지지부재(20) 및 상기 M개의 확장부재(30) 상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전달부(4)는 상기 피처리체(10) 및 상기 지지면(2a)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달부(4)는 상기 피처리체(1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지지부재(20) 및 상기 M개의 확장부재(30)는 상기 전달부(4)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전달부(4)를 통해 상기 피처리체(1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4)는 열 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4), 상기 지지부재(20) 및 상기 확장부재(3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전달부(4)에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온도 편차를 줄임으로써, 상기 피처리체(10)에 전달되는 열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달부(4)는 상기 피처리체(10)에 접촉되는 전달면(41)을 포함한다. 상기 전달면(41)은 상기 피처리체(10)가 이루는 곡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전달면(41) 및 상기 피처리체(10)는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전달면(41) 및 상기 피처리체(10)가 부분적으로 서로 이격된 부분 없이 밀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피처리체(10)에 전달되는 열에 대한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피처리체(10)에 발생하는 온도 편차에 기인한 왜곡 발생, 기포 발생, 크랙 발생 등과 같은 불량을 더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합착공정이 완료된 피처리체(10)에 대한 품질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달부(4)는 상기 지지면(2a)에 접촉되는 결합면(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면(42)은 상기 지지면(2a)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결합면(42) 및 상기 지지면(2a)이 부분적으로 서로 이격된 부분 없이 밀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전달부(4)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피처리체(10)에 전달되는 열에 대한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에는 상기 가열부(2) 및 상기 확장부(3)가 각각 제1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는 상기 가열부(2) 및 상기 확장부(3)가 각각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300, 도 11에 도시됨)는 상기 피처리체(10)를 합착하는 합착공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300)는 상기 피처리체(10)가 놓여지는 곡면 형상의 지지면(2a), 및 상기 지지면(2a)에 놓여진 피처리체(10)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300)는 곡면 형상의 지지면(2a)을 포함하도록 구현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상기 지지면(2a)이 평면을 이루며 형성된 것과 대비할 때 곡면을 이루는 피처리체(10)가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면(2a)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300)는 상기 피처리체(10)에 전달되는 열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피처리체(10)에 발생하는 온도 편차에 기인한 왜곡 발생, 기포 발생, 크랙 발생 등과 같은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300)는 상기 합착공정이 완료된 피처리체(10)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면(2a)은 상기 피처리체(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면(2a)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열부(2)는 상기 피처리체(10)를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열부(2)는 상기 지지면(2a)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2)는 상기 지지면(2a)에 놓여진 피처리체(10)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가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열부(2)는 핫 플레이트로 구현되어서 상기 피처리체(10)를 직접 가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열부(2)는 상기 전달부(4, 도 10에 도시됨)를 통해 상기 피처리체(10)를 간접 가열할 수도 있다. 상기 가열부(2)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300)는 상기 확장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3)는 상기 가열부(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3)는 상기 가열부(2)가 갖는 제1지지부재(21) 및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3)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300)는 제1챔버(310), 제2챔버(320), 및 가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310) 및 상기 제2챔버(320)의 내부에서는 상기 합착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제1챔버(310)는 상기 제2챔버(3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320)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1)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부(2)는 상기 지지면(2a)이 상기 제2챔버(32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챔버(3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310) 및 상기 제2챔버(320)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챔버(31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챔버(310)는 상기 제2챔버(320)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피처리체(10)를 상기 지지면(2a)에 놓는 로딩공정, 및 상기 합착공정이 완료된 피처리체(10)를 상기 지지면(2a)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언로딩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챔버(310)가 상기 제2챔버(320)에 접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합착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320)에는 배출부(3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340)는 상기 제2챔버(320) 및 상기 제1챔버(310)의 내부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제2챔버(320) 및 상기 제1챔버(3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부(330)는 상기 피처리체(10)를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압부(330)는 상기 제1챔버(3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30)는 상기 가열부(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피처리체(10)는 상기 가열부(2)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가압부(33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합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압부(330)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챔버(310)에는 공급부(3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350)는 상기 제1챔버(310) 및 상기 가압부(330) 사이로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가압부(330)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330)는 상기 피처리체(10)를 가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2 : 가열부
3 : 확장부 4 : 전달부
10 : 피처리체 21 : 제1지지부재
22 : 제2지지부재 23 : 제3지지부재
24 : 제4지지부재 31 : 제1확장부재
32 : 제2확장부재 33 : 제3확장부재
41 : 전달면 42 : 결합면
300 : 라미네이터

Claims (15)

  1. 피처리체를 합착하는 라미네이터로서,
    상기 피처리체가 놓여지는 곡면 형상의 지지면;
    상기 지지면을 포함하며, 피처리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결합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피처리체를 지지하기 위한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부재들 중에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가열부의 크기를 확장시키며,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확장부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곡면 형상의 지지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4. 피처리체를 지지하기 위해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결합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피처리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재, 및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확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확장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열부의 크기를 확장시키며,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1확장부재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피처리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피처리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이 하나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확장부재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제1확장부재들은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8.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장부재는 상기 피처리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확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확장면은 평면(平面)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재를 향하는 방향 쪽에 위치하는 제1분할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를 향하는 방향 쪽에 위치하는 제2분할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확장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를 향하는 방향 쪽에 위치하는 제1연결면 및 상기 제2지지부재를 향하는 방향 쪽에 위치하는 제2연결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면이 상기 제1분할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제2연결면이 상기 제2분할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지지부재, 및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4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면의 크기를 확장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2확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확장부재들은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3지지부재의 사이, 및 상기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4지지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장부재는 상기 제2확장부재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사이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제3지지부재와 상기 제4지지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확장부재들은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확장부재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제3확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확장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사이 및 상기 제3지지부재와 상기 제4지지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되며,
    상기 제3확장부재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확장부재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피처리체를 지지하기 위해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결합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피처리체를 지지하기 위한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지지면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M개(M은 0보다 큰 정수)의 확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M개의 확장부재 중에서 제1확장부재는 상기 N개의 지지부재 중에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가열부의 크기를 확장시키며,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1확장부재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15. 피처리체를 가열하는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가열부;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M개(M은 0보다 큰 정수)의 확장부재; 및
    상기 N개의 지지부재 및 상기 M개의 확장부재 상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재들로부터 제공되는 열을 상기 피처리체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피처리체에 접촉되는 전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달면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M개의 확장부재 중에서 제1확장부재는 상기 N개의 지지부재 중에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가열부의 크기를 확장시키며,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1확장부재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KR1020150128677A 2015-09-11 2015-09-11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및 라미네이터 KR102412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677A KR102412961B1 (ko) 2015-09-11 2015-09-11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및 라미네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677A KR102412961B1 (ko) 2015-09-11 2015-09-11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및 라미네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329A KR20170031329A (ko) 2017-03-21
KR102412961B1 true KR102412961B1 (ko) 2022-06-24

Family

ID=5850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677A KR102412961B1 (ko) 2015-09-11 2015-09-11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및 라미네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978B1 (ko) 2019-02-22 2019-06-20 주식회사 제이아이티 곡면 시트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0327A (ja) * 2013-11-19 2015-07-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ラミネー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4715B2 (ja) * 2007-09-07 2013-12-25 日本電熱株式会社 ラミネート装置、ラミネート装置用の熱板及びラミネート装置用の熱板の製造方法
KR102118873B1 (ko) * 2013-11-22 2020-06-05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곡면 커버 부재의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0327A (ja) * 2013-11-19 2015-07-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ラミネー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329A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24017B (zh) 基板加热单元和包含该基板加热单元的基板处理装置
KR101299845B1 (ko) 접합 장치
US10683228B2 (en) Apparatus for molding glass substrate
JP5886291B2 (ja) ガラス基板を成形する装置及び方法
JP5992375B2 (ja) 静電チャック、載置プレート支持台及び静電チャックの製造方法
JP2000101117A (ja) 太陽電池におけるラミネート装置
CN104377151A (zh) 加压装置及控制方法
TW201529491A (zh) 板玻璃的成形方法及成形模具
TW201803732A (zh) 積層裝置、積層方法及太陽電池模組之製造方法
KR102412961B1 (ko) 라미네이터용 지지장치 및 라미네이터
JP3175999U (ja) 複合シート材の圧入装置
US2007025192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 exchanger
JP201002348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ラミネータ
US9962915B2 (en) Bonding method and bonding apparatus
JP5922461B2 (ja) ラミネート装置
JP2016184642A (ja) 半導体製造装置用部材
JP2013010330A (ja) ラミネート装置用の熱板
US20160059509A1 (en) High-speed electric-heating temperature-control single corrugating machine
JP2011222633A5 (ja) 基板貼り合わせ装置、積層半導体の製造方法、積層半導体及び基板貼り合わせ方法
JP2011096426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搬送装置
JP5731838B2 (ja) トレイ式基板搬送システム、成膜方法及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CN107533997B (zh) 工件固持加热设备
JP2019134515A (ja) 支持台、基板処理装置、基板処理システム、及び支持体を製造する方法
JP5558117B2 (ja) ラミネート装置
JP2016009723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製造装置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