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711B1 - 크기 조절 우산 - Google Patents

크기 조절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711B1
KR102412711B1 KR1020210168427A KR20210168427A KR102412711B1 KR 102412711 B1 KR102412711 B1 KR 102412711B1 KR 1020210168427 A KR1020210168427 A KR 1020210168427A KR 20210168427 A KR20210168427 A KR 20210168427A KR 102412711 B1 KR102412711 B1 KR 102412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unit
sub
main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서
이경원
박시하
Original Assignee
이경서
이경원
박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서, 이경원, 박시하 filed Critical 이경서
Priority to KR102021016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6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telescopic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2011/005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대 어셈블리,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의 상측 끝단에 방사형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제1 우산살 및 상기 제1 우산살에 덮어 씌워지는 메인 우산포를 포함하는 크기 조절 우산은, 기본 상태에서, 상기 메인 우산포의 내면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제2 우산살; 및 기본 상태에서, 상기 메인 우산포의 내면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 우산포와 겹쳐져 있도록 상기 제2 우산살에 결합된 서브 우산포;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우산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인 우산포의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상기 크기 조절 우산이 비를 막을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크기 조절 우산{SIZE ADJUSTABLE UMBRELLA}
본 발명은 비를 막을 수 있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크기 조절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우산은 펼쳐졌을 때 비를 막는 면적이 일정하다. 즉, 일반적인 우산은 필요에 따라 비를 막는 면적을 늘릴 수 없어서 2인 이상의 인원이 같이 우산을 써야하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일부는 비를 맞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산살을 굽히거나 피는 방식으로 우산포가 휜 정도를 조정하여 비를 막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우산이 개발되었으나, 이렇게 우산살을 휘는 방식은 아무리 우산살을 최대한 펴도 결국 우산에 마련된 우산포의 크기만큼만 비를 막을 수 있어서 크기 조절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우산의 우산포의 면적보다 훨씬 더 넓은 면적까지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비를 막을 수 있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크기 조절 우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비를 막는 우산포의 면적만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우산포를 변형할 수 있는 크기 조절 우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포의 크기 조절 과정에서 고일 수 있는 빗물을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는 크기 조절 우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우산대 어셈블리,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의 상측 끝단에 방사형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제1 우산살 및 상기 제1 우산살에 덮어 씌워지는 메인 우산포를 포함하는 크기 조절 우산은, 기본 상태에서, 상기 메인 우산포의 내면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제2 우산살; 및 기본 상태에서, 상기 메인 우산포의 내면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 우산포와 겹쳐져 있도록 상기 제2 우산살에 결합된 서브 우산포;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우산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인 우산포의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상기 크기 조절 우산이 비를 막을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우산살은: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로부터 전달받는 힘에 따라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크기 조절 우산이 상기 기본 상태에서 확장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메인 우산포의 가장자리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우산포는, 상기 크기 조절 우산이 기본 상태에서 확장 상태로 변경되면, 결합된 제2 우산살을 따라 상기 메인 우산포의 가장자리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는, 스틱 형상의 우산대; 상기 우산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우산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조절 손잡이; 및 상기 조절 손잡이의 상기 우산대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우산살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우산살과 상기 조절 손잡이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 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스틱은: 상기 조절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우산대의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조절 손잡이에 끝단이 연결된 제1 연결 스틱; 및 상기 제1 연결 스틱의 상기 우산대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우산살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우산살과 상기 제1 연결 스틱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조절 손잡이 및 상기 연결 스틱을 상기 우산대를 기준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장치는, 고정 상태에서, 상기 조절 손잡이 및 상기 연결 스틱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우산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우산포는,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각기 다른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 서브 우산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우산살은, 상기 복수의 단위 서브 우산포 중에서 각각 어느 하나의 단위 서브 우산포에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 제2 우산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스틱은, 복수의 상기 단위 제2 우산살 중에서 각각 어느 하나의 단위 제2 우산살에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 연결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손잡이는, 복수의 상기 단위 연결 스틱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 연결 스틱에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 조절 손잡이;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위 조절 손잡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 조절 손잡이를 상기 우산대 상에서 이동시키면 상기 복수의 단위 서브 우산포 중에서 상기 단위 조절 손잡이에 대응되는 단위 서브 우산포만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우산포는, 상기 메인 우산포의 가장자리 끝단에 마련되는 물기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기 제거부는: 상기 메인 우산포의 외부로 드러난 상기 서브 우산포의 겉면 상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서브 우산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서브 우산포의 겉면 상단에서의 상대적인 위치가 달라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크기 조절 우산이 상기 확장 상태에서 상기 기본 상태로 변경될 경우, 상기 서브 우산포의 겉면 상단에 묻은 물이 상기 물기 제거부에 의해 쓸리면서 상기 서브 우산포의 가장자리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기 제거부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서브 우산포가 상기 메인 우산포의 내면 하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서브 우산포의 겉면 상단에 묻은 물이 상기 고무 재질의 물기 제거부에 의해 쓸리면서 상기 서브 우산포의 가장자리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비를 막을 수 있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순히 비를 막는 우산포의 면적만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우산포를 변형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우산포의 크기 조절 과정에서 고일 수 있는 빗물을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 조절 우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우산포가 메인 우산포의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단위 서브 우산포 각각을 따로 조절 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 조절 우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다른 크기 조절 우산(1)이 측면에서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크기 조절 우산(1)은 우산대 어셈블리(100), 제2 우산살(200), 서브 우산포(300), 제1 우산살(400), 메인 우산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산대 어셈블리(100)는 사용자가 크기 조절 우산(1)을 이용할 때 잡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우산대(110)에 몇몇 구성들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우산살(400)은 우산대 어셈블리(100)의 상측 끝단에 방사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우산포(500)는 제1 우산살(400)에 덮어 씌워질 수 있다.
즉, 제1 우산살(400)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우산처럼 메인 우산포(500)를 지지하는 스틱이며, 메인 우산포(500)는 종래의 우산처럼 크기 조절 우산(1)이 펼쳐졌을 때 비를 막는 우산포일 수 있다.
기본 상태는 크기 조절 우산(1)이 비를 막을 수 있는 면적이 가장 작은 상태일 수 있다.
기본 상태에서, 제2 우산살(200)은 메인 우산포(500)의 내면 하단에 위치하도록 우산대 어셈블리(1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기본 상태에서는 서브 우산포(300)가 메인 우산포(500)의 하단에 위치하여 비를 막지 않고, 메인 우산포(500)만 비를 막을 수 있다.
기본 상태에서, 서브 우산포(300)는 메인 우산포(500)의 내면 하단에 위치하여 메인 우산포(500)와 겹쳐져 있도록 제2 우산살(2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우산살(200)은 서브 우산포(3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기본 상태에서, 서브 우산포(300)는 제2 우산살(200)에 걸쳐진채로 메인 우산포(500) 하단에 위치하는데, 이때 서브 우산포(300)는 살짝 접혀진 채로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서브 우산포(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의 8개 방향 중에서 하나의 방향에만 위치할 수도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서브 우산포(300)가 반드시 하나의 방향에만 위치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브 우산포(300)는 우산의 8개 방향 중에서 4개 방향을 향하는 메인 우산포(500)의 내면 하단에 위치해서 우산의 절반 방향에 대해서만 우산포의 면적 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고, 우산의 8개 방향 전부에 대해 서브 우산포(300)가 마련되어 우산의 모든 방향에 대해서 우산포의 면적 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다.
서브 우산포(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메인 우산포(500)의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크기 조절 우산(1)이 비를 막을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우산살(200)은 우산대 어셈블리(100)로부터 전달받는 힘에 따라 우산대 어셈블리(100)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확장 상태는 사용자가 크기 조절 우산(1)을 조작해서 서브 우산포(300)가 메인 우산포(500)의 외부로 드러난 상태일 수 있다.
크기 조절 우산(1)이 기본 상태에서 확장 상태로 변경되면, 제2 우산살(200)은 메인 우산포(500)의 가장자리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크기 조절 우산(1)이 기본 상태에서 확장 상태로 변경되면, 서브 우산포(300)는 결합된 제2 우산살(200)을 따라 메인 우산포(500)의 가장자리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우산대 어셈블리(100)는 스틱 형상의 우산대(110), 조절 손잡이(120), 연결 스틱 및 고정 장치을 포함할 수 있다.
우산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크기 조절 우산(1)의 형상이 변할 때, 서브 우산포(300) 및 제2 우산살(200)로 힘을 전달하는 구성들이 결합될 수 있다.
조절 손잡이(120)는 우산대(110)에 결합된 상태로 우산대(110)를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연결 스틱은 조절 손잡이(120)의 우산대(1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제2 우산살(20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제2 우산살(200)과 조절 손잡이(12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스틱은 일부 구성이 우산대(110) 내부에 위치하고, 일부 구성이 우산대(110)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일부 구성이 우산대(110) 내부에 위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모든 구성이 우산대(110) 외부에 위치하도록 우산대(1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고정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 손잡이(120) 및 연결 스틱을 우산대(110)를 기준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장치가 조절 손잡이(120) 및 연결 스틱을 우산대(110)에 고정하는 방식은 나사를 이용하거나 홈에 걸리는 걸쇠를 이용하는 방식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고정 장치를 조작하여 크기 조절 우산(1)의 상태를 크기 조절 우산(1)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 고정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고정 상태에서, 고정 장치는 조절 손잡이(120) 및 연결 스틱 중 적어도 하나가 우산대(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브 우산포(300)가 전부 끝까지 나온 상태 뿐 아니라 중간만큼만 나온 사이즈로 우산포 크기를 늘릴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고정 장치를 이용해서 서브 우산포(300)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우산포가 메인 우산포의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본 상태였던 크기 조절 우산(1)이 확장 상태로 변경되는 과정이 크기 조절 우산(1)의 측면과 상단에서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서브 우산포(300)가 크기 조절 우산(1)의 8개 방향 중에서 3개 방향에 대해서만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서브 우산포(300)가 반드시 이렇게 3개 방향에 대해서 마련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 스틱은 제1 연결 스틱(131) 및 제2 연결 스틱(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스틱(131)과 제2 연결 스틱(132)은 서로 끝단에 마련된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연결 스틱(131)과 제2 연결 스틱(132)은 서로에 대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스틱(131)은 조절 손잡이(120)의 위치에 따라 우산대(110)의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 손잡이(120)에 끝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스틱(131)은 우산대(110) 내부에 마련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제2 연결 스틱(132)은 제1 연결 스틱(131)의 우산대(1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제2 우산살(20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제2 우산살(200)과 제1 연결 스틱(13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스틱(132)과 제2 우산살(200)은 서로 끝단에 마련된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연결 스틱(132)과 제2 우산살(200)은 서로에 대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본 상태에서는 제1 연결 스틱(131)과 제2 연결 스틱(132)은 서로 수평으로 연결되어 1자의 형태로 우산대(1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상태에서는 제2 연결 스틱(132)과 제2 우산살(200)이 서로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꺾여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조절 손잡이(120)를 우산대(110) 상단의 방향으로 밀면, 조절 손잡이(120)에 연결된 제1 연결 스틱(131)도 상단으로 이동하고, 제2 연결 스틱(132)은 연결된 제1 연결 스틱(131)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 스틱(131)과 제2 연결 스틱(132) 간의 각도 및 제2 연결 스틱(132)과 제2 우산살(200) 간의 각도가 계속 변할 수 있다.
제2 연결 스틱(132)은 기본 상태에서는 우산대(110) 내부에 위치하다가 확장 상태에서 우산대(110) 외부로 나오면서 연결된 제2 우산살(200)을 우산대(110) 중심의 방사형 방향으로 밀 수 있다.
서브 우산포(300)까지 이용해서 비를 막은 후, 사용자는 다시 조절 손잡이(120)를 조작하여 기본 상태로 크기 조절 우산(1)을 되돌릴 수 있다. 이때, 서브 우산포(300)의 상단에는 빗물이 묻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빗물이 상단에 묻은 채로 서브 우산포(300)가 다시 메인 우산포(500)의 하단으로 들어오면 메인 우산포(500) 하단과 서브 우산포(300) 상단에 빗물이 고여서 증발하지 못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만약 이 상태에서 다시 확장 상태로 변경되면 메인 우산포(500) 밑에 묻은 물이 사용자에게 떨어지는 등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물기가 메인 우산포(500) 및 서브 우산포(300) 사이에서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계속 유지되면 크기 조절 우산(1)에서 냄새가 나거나 녹이 쓰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메인 우산포(500)는 물기 제거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물기 제거부(510)는 메인 우산포(500)의 가장자리 끝단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기 제거부(510)는 메인 우산포(500)의 외부로 드러난 서브 우산포(300)의 겉면 상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기 제거부(510)는 서브 우산포(300)의 이동에 따라 서브 우산포(300)의 겉면 상단에서의 상대적인 위치가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크기 조절 우산(1)이 확장 상태에서 기본 상태로 변경될 경우, 서브 우산포(300)의 겉면 상단에 묻은 빗물은 메인 우산포(5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물기 제거부(510)에 의해 쓸리면서 서브 우산포(300)의 가장자리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기 제거부(510)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서브 우산포(300)가 메인 우산포(500)의 내면 하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서브 우산포(300)의 겉면 상단에 묻은 물이 고무 재질의 물기 제거부(510)에 의해 쓸리면서 서브 우산포(300)의 가장자리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단위 서브 우산포 각각을 따로 조절 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크기 조절 우산(1)의 비를 막는 면적만 단순하게 조절 가능한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우산포의 형태를 원하는 모양으로 변경하고자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방향으로는 서브 우산포(300)를 확장하고, 어떤 방향으로는 확장하지 않기를 바랄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서브 우산포(300) 중 하나의 서브 우산포(300)는 메인 우산포(500) 하단에 위치하고, 다른 서브 우산포(300)는 메인 우산포(500) 하단에서 완전히 나왔고, 또다른 서브 우산포(300)는 중간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브 우산포(300)는 복수의 단위 서브 우산포(30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서브 우산포(301)는 우산대 어셈블리(100)를 중심으로 각기 다른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우산살(200)은 복수의 단위 제2 우산살(20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제2 우산살(201)은 복수의 단위 서브 우산포(301) 중에서 각각 어느 하나의 단위 서브 우산포(301)에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스틱은 복수의 단위 연결 스틱(13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연결 스틱(133)은 복수의 단위 제2 우산살(201) 중에서 각각 어느 하나의 단위 제2 우산살(201)에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절 손잡이(120)는 복수의 단위 조절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조절 손잡이는 복수의 단위 연결 스틱(133)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 연결 스틱(133)에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단위 조절 손잡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 조절 손잡이를 우산대(110) 상에서 이동시키면 복수의 단위 서브 우산포(301) 중에서 단위 조절 손잡이에 대응되는 단위 서브 우산포(301)만이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작을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단위 서브 우산포(301)만 조작하고 나머지 서브 우산포(300)는 계속 동일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단위 조절 손잡이를 우산대(110) 상에서 상단 또는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단위 조절 손잡이에 연결된 단위 연결 스틱(133)의 제1 연결 스틱(131)이 상단 또는 하단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해당 단위 연결 스틱(133)의 제2 연결 스틱(132)은 연결되어 있는 단위 제2 우산살(201)과 이에 대응되는 단위 서브 우산포(3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방향에 위치한 단위 서브 우산포(301)만 조작하여 크기 조절 우산(1)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크기 조절 우산
100: 우산대 어셈블리
110: 우산대
120: 조절 손잡이
130: 연결 스틱
131: 제1 연결 스틱
132: 제2 연결 스틱
133: 단위 연결 스틱
200: 제2 우산살
201: 단위 제2 우산살
300: 서브 우산포
301: 단위 서브 우산포
400: 제1 우산살
500: 메인 우산포
510: 물기 제거부

Claims (12)

  1. 우산대 어셈블리,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의 상측 끝단에 방사형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제1 우산살 및 상기 제1 우산살에 덮어 씌워지는 메인 우산포를 포함하는 크기 조절 우산에 있어서,
    기본 상태에서, 상기 메인 우산포의 내면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제2 우산살; 및
    기본 상태에서, 상기 메인 우산포의 내면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 우산포와 겹쳐져 있도록 상기 제2 우산살에 결합된 서브 우산포;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우산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인 우산포의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상기 크기 조절 우산이 비를 막을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우산살은: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로부터 전달받는 힘에 따라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크기 조절 우산이 상기 기본 상태에서 확장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메인 우산포의 가장자리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 우산포는,
    상기 메인 우산포의 가장자리 끝단에 마련되는 물기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기 제거부는:
    상기 메인 우산포의 외부로 드러난 상기 서브 우산포의 겉면 상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서브 우산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서브 우산포의 겉면 상단에서의 상대적인 위치가 달라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크기 조절 우산이 상기 확장 상태에서 상기 기본 상태로 변경될 경우, 상기 서브 우산포의 겉면 상단에 묻은 물이 상기 물기 제거부에 의해 쓸리면서 상기 서브 우산포의 가장자리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크기 조절 우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우산포는,
    상기 크기 조절 우산이 기본 상태에서 확장 상태로 변경되면, 결합된 제2 우산살을 따라 상기 메인 우산포의 가장자리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크기 조절 우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는,
    스틱 형상의 우산대;
    상기 우산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우산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조절 손잡이; 및
    상기 조절 손잡이의 상기 우산대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우산살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우산살과 상기 조절 손잡이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 스틱;을 포함하는, 크기 조절 우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틱은:
    상기 조절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우산대의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조절 손잡이에 끝단이 연결된 제1 연결 스틱; 및
    상기 제1 연결 스틱의 상기 우산대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우산살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우산살과 상기 제1 연결 스틱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스틱;을 포함하는, 크기 조절 우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조절 손잡이 및 상기 연결 스틱을 상기 우산대를 기준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크기 조절 우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고정 상태에서, 상기 조절 손잡이 및 상기 연결 스틱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우산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크기 조절 우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우산포는,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각기 다른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 서브 우산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우산살은,
    상기 복수의 단위 서브 우산포 중에서 각각 어느 하나의 단위 서브 우산포에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 제2 우산살;을 포함하는, 크기 조절 우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틱은,
    복수의 상기 단위 제2 우산살 중에서 각각 어느 하나의 단위 제2 우산살에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 연결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손잡이는,
    복수의 상기 단위 연결 스틱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 연결 스틱에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 조절 손잡이;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위 조절 손잡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 조절 손잡이를 상기 우산대 상에서 이동시키면 상기 복수의 단위 서브 우산포 중에서 상기 단위 조절 손잡이에 대응되는 단위 서브 우산포만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크기 조절 우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기 제거부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서브 우산포가 상기 메인 우산포의 내면 하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서브 우산포의 겉면 상단에 묻은 물이 상기 고무 재질의 물기 제거부에 의해 쓸리면서 상기 서브 우산포의 가장자리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크기 조절 우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우산포는:
    상기 우산대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각기 다른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 서브 우산포;를 포함하고,
    상기 크기 조절 우산이 기본 상태에서 확장 상태로 변경되면, 결합된 제2 우산살을 따라 상기 메인 우산포의 가장자리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우산살은,
    상기 복수의 단위 서브 우산포 중에서 각각 어느 하나의 단위 서브 우산포에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 제2 우산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틱은,
    복수의 상기 제2 우산살 중에서 각각 어느 하나의 제2 우산살에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 연결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손잡이는,
    복수의 상기 단위 연결 스틱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 연결 스틱에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 조절 손잡이;를 포함하는 크기 조절 우산.
KR1020210168427A 2021-11-30 2021-11-30 크기 조절 우산 KR102412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427A KR102412711B1 (ko) 2021-11-30 2021-11-30 크기 조절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427A KR102412711B1 (ko) 2021-11-30 2021-11-30 크기 조절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711B1 true KR102412711B1 (ko) 2022-06-24

Family

ID=8221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427A KR102412711B1 (ko) 2021-11-30 2021-11-30 크기 조절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7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8710A (en) * 1992-08-29 1995-03-21 Steiner; Walter Apparatus for stationary screening
KR200448498Y1 (ko) * 2009-08-31 2010-04-21 박준형 우산
US9538819B1 (en) * 2016-04-19 2017-01-10 Candice Hayes Umbrella having an expandable canopy
KR101911064B1 (ko) * 2017-07-07 2018-10-24 조재홍 물기제거우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8710A (en) * 1992-08-29 1995-03-21 Steiner; Walter Apparatus for stationary screening
KR200448498Y1 (ko) * 2009-08-31 2010-04-21 박준형 우산
US9538819B1 (en) * 2016-04-19 2017-01-10 Candice Hayes Umbrella having an expandable canopy
KR101911064B1 (ko) * 2017-07-07 2018-10-24 조재홍 물기제거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5182B2 (en) Tiltable and rotatable canopy frame for a sunshade
US20060151019A1 (en) Electric spreading device for a parasol
EP2066196B1 (en) Hubs for shade structures
EP3930530B1 (en) Wind-lift-eliminating umbrella
US6478037B2 (en) Foldable sunshade with a tiltable canopy
EP1285597B1 (en) Tiltable and rotatable canopy frame for a sunshade
JP4417436B2 (ja) 補強されたリブ構造を有する折り畳み傘
US6082383A (en) Umbrella with actuator sleeve for manual and automatic operation
KR20010051485A (ko) 프리 암 차양막
US8469044B1 (en) Umbrella with multiple canopy structure
AU2002223147A1 (en) Canopy tent with automatic umbrella-type collapsible frame
KR102412711B1 (ko) 크기 조절 우산
EP3878305B1 (en) Sunshade capable of rotating to left and to right
WO2007064114A1 (en) Structure controlling hight of tent roof
US6848459B2 (en) Umbrella canopy orientating device
US20130333735A1 (en) Umbrella
US20070137682A1 (en) Ventilated umbrella
CN207666140U (zh) 伞形结构组件装配装置
WO2001035786A1 (en) An umbrella mechanism
JP3085793U (ja) 傘の構造
US20190274401A1 (en) Extendable Umbrella
WO2008023209A1 (en) Umbrella for protection from sunshine or rain
KR200440741Y1 (ko) 편심 파라솔
US7401616B2 (en) Umbrella with a foldable stem
KR102498235B1 (ko) 우산 형상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