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417B1 - Method for graft copolymer and graft copolym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graft copolymer and graft copoly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417B1
KR102412417B1 KR1020180065645A KR20180065645A KR102412417B1 KR 102412417 B1 KR102412417 B1 KR 102412417B1 KR 1020180065645 A KR1020180065645 A KR 1020180065645A KR 20180065645 A KR20180065645 A KR 20180065645A KR 102412417 B1 KR102412417 B1 KR 102412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ft copolymer
weight
silica
based monomer
particl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6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3341A (en
Inventor
석재민
김영민
이진형
한수정
김유빈
정영환
허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9000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3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417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카 나노 분말,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를 투입하고 중합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열팽창 계수가 현저하게 낮은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으면서, 제조방법은 단순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graft copolymer in which silica nanopowder, 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a vinyl cyan-based monomer are added and polymerized, and a graft copolymer having a remarkably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an be prepared While possible, the manufacturing method can be simplified.

Description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METHOD FOR GRAFT COPOLYMER AND GRAFT COPOLYMER}Method for producing a graft copolymer and a graft copolymer

[관련출원과의 상호인용][Citation with related applications]

본 발명은 2017.06.30에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7-0083682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을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laims the benefit of priority based o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83682 filed on June 30, 2017, and includes all contents disclosed in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patent application as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기술분야][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리카 나노 분말을 투입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graft copolymer and a graft copolym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eparing a graft copolymer including silica nanopowder and to a graft copolymer.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부타디엔 중합체를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과 함께 용매에 녹여 괴상 중합을 하는 방법과 유화 중합으로 제조된 부타디엔 중합체 라텍스에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을 유화 중합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ABS graft copolymer can be prepared by dissolving butadiene polymer in a solvent together with acrylonitrile and styrene to perform bulk polymerization, and by emulsion 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and styrene to butadiene polymer latex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이 중 유화 중합으로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제조원가가 높기 때문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을 현탁 중합 또는 괴상 중합하여 제조된 SAN 공중합체와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형태로 사용된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SAN 공중합체의 단량체 조성 및 분자량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고 우수한 표면 광택을 지닐 수 있다. Among them, the ABS graft copolymer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has a high manufacturing cost, so it is mixed with a SAN copolymer prepared by suspension polymerization or bulk polymerization of styrene and acrylonitrile and used in the form of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to various types of products depending on the monomer composition and molecular weight of the SAN copolymer and may have excellent surface gloss.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온 및 고압 조건에서 사출 후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냉각시켜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이러한 성형 과정에서 전체 부피가 과도하게 수축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제품의 외관이 변형되고 휨(warpage)이 발생하여 치수 안정성이 저하된다. Such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be manufactured into a product by being injec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and then cooled at room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s. However, the overall volume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s excessively contracted during this molding process, and as a result,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deformed and warpage occurs, thereby reducing dimensional stability.

이에 따라, 성형 과정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수축문제를 개선하여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의 치수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Accordingly, research to improve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thermoplastic resin molded article by improving the shrinkage problem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during the molding process continues.

KR2017-0062888AKR2017-0062888A

본 발명의 목적은 열평창 계수가 낮은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으면서, 제조방법은 단순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 graft copolymer having a low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while the method for preparing a graft copolymer is simp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리카 나노 분말,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를 투입하고 중합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graft copolymer in which silica nanopowder, 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a vinyl cyan-based monomer are added and polymerized.

또한, 본 발명은 실리카;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ilic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s;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it provides a graft copolymer comprising a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고, 열팽창 계수가 200 × 10-6 K-1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graft copolymer; and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copolymer comprising a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provides a thermoplastic resin molded article having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200 × 10 -6 K -1 or less.

본 발명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실리카 나노 분말을 투입하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graft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silica nanopowder, which is easy to store and handle, is adde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열팽창 계수가 낮을 뿐만 아니라, 반사헤이즈, 충격강도 및 표면 광택 등의 기본 물성도 우수하다.In addition, the graft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not only a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but also excellent basic physical properties such as reflective haze, impact strength and surface gloss.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실리카 나노 분말의 평균입경은 동적 광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상세하게는 실리카 나노 입자 현탁액에 초음파 분쇄를 10 분 동안 실시한 후, 상온에서 Zetaplus(상품명, 제조사: Brookhaven Instruments Corporation, NY, USA)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ilica nanopowder can be measured using a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and specifically, after ultrasonic grinding is performed on the silica nanoparticle suspension for 10 minutes, Zetaplus (trade name, manufacturer) at room temperature : Brookhaven Instruments Corporation, NY, USA).

본 명세서에서 실리카 나노 분말의 평균입경은 동적 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입도분포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입경을 의미한다. 산술 평균입경은 산란강도(Intensity Distribution) 평균입경, 체적(Volume Distribution) 평균입경 및 개수(Number Distribution) 평균입경으로서 측정할 수가 있고, 이 중 산란강도 평균입경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ilica nanopowder means the arithmetic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ed by the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The arithmetic mean particle diameter can be measured a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cattering intensity (Intensity Distribu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volume (Volume Distribution),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number (Number Distribution). Of these, it is preferable to measur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cattering intensity.

본 발명에서 열팽창 계수는 일정한 압력 하에서 열에 의해 팽창한 비율을 단위 온도당으로 환산한 수치를 의미한다. 팽창 및 수축 비율은 물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고유 성질로서, 물질의 열수축 및 팽창은 온도에 따른 물질의 밀도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means a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the rate of expansion due to heat under a constant pressure per unit temperature. The rat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an intrinsic property of a material constituting an object, and thermal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a material occurs due to a difference in density of the material according to temperature.

본 발명에서 열팽창 계수는 ASTM D696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may b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96.

본 발명에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의 중량평균분자량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 1 g을 아세톤 50 g에 24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녹인 후, 20,000rpm, -20 ℃로 설정된 원심분리기에 투입하고 상등액을 분리한 후 침전물을 50℃ 열풍 오븐에 건조한 후, THF 용액에 녹여 용액(농도: 0.1 중량%)을 제조하고, 이를 0.1㎛ 필터를 통해 걸려낸 후 최종적으로 GPC 기기(제조사: waters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hell of the graft copolymer is dissolved 1 g of the graft copolymer powder in 50 g of acetone while stirring for 24 hours, then put into a centrifuge set at 20,000 rpm and -20 ° C., and the supernatant is separated After drying the precipitate in a hot air oven at 50° C., it is dissolved in a THF solution to prepare a solution (concentration: 0.1 wt %), and after filtering it through a 0.1 μm filter, finally using a GPC device (manufacturer: waters) can be measured

본 발명에서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입자의 평균입경은 동적 광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상세하게는 Nicomp 380 장비(제품명, 제조사: PSS)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using a dynamic light scattering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specifically, Nicomp 380 equipment (product name, manufacturer: PSS) can be measured using.

본 명세서에서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평균입경은 동적 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입도분포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입경을 의미한다. 산술 평균입경은 산란강도(Intensity Distribution) 평균입경, 체적(Volume Distribution) 평균입경 및 개수(Number Distribution) 평균입경으로서 측정할 수가 있고, 이 중 산란강도 평균입경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means the arithmetic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ed by the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The arithmetic mean particle diameter can be measured a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cattering intensity (Intensity Distribu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volume (Volume Distribution),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number (Number Distribution). Of these, it is preferable to measur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cattering intensity.

1. One. 그라프트graft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eparing copolym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실리카 나노 분말,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를 투입하고 중합한다.The graft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lymerized by adding silica nanopowder, 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a vinyl cyan-based monomer.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의 열팽창 계수는 1 × 10-8 내지 100 × 10-8 K-1이고,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열팽창 계수는 300 × 10-6 내지 400 × 10-6 K-1이다. 이에,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공정 중에 실리카 나노 분말이 투입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실리카 나노 분말이 포함될 뿐만 아니라,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열팽창 계수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silica nanopowder is 1 × 10 -8 to 100 × 10 -8 K -1 , and a graft copolymer including 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is 300 × 10 -6 to 400 × 10 -6 K -1 . Accordingly, when silica nanopowder is add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graft copolymer, the silica nanopowder is not only included in the graft copolymer, but also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thereby significantly lowering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graft copolymer. .

종래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온 및 고압 조건에서 사출 후 상온 및 상압에서 냉각하는 성형 과정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내 사슬 분자들이 가지는 에너지가 저하되어 사슬 분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밀도가 증가되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밀도 증가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의 전체 부피가 수축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the conventional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graft copolymer, the energy of the chain molecules in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s lowered during the molding process of cooling at room temperature and pressure after injection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thereby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hain molecules. The density of the resin composition was increased. As the density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rease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volume of the thermoplastic resin molded article is contracted has occurred.

하지만, 실리카 나노 분말이 포함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성형 과정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내 사슬 분자 간의 거리가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밀도 변화가 최소화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의 외관 변형 및 휨 발생이 감소되어 치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However,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graft copolymer containing silica nanopowder minimizes the decrease in the distance between chain molecules in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during the molding process, so that the density change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an be minimized, and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and warpage of the thermoplastic resin molded article may be reduced, and thus dimensional stability may be improved.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은 규소와 산소의 격자 구조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이산화규소(SiO2), 실리카겔, 또는 이산화규소(SiO2) 매트릭스 내에 규소가 분포한 규소산화물(SiOx, 0<x<2)이 나노 분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The silica nanopowder is a compound having a lattice structure of silicon and oxygen, silicon dioxide (SiO 2 ), silica gel, or silicon oxide (SiO x , 0<x<2) in which silicon is distributed in a silicon dioxide (SiO 2 ) matrix. It may exist in the form of this nanopowder.

상기 이산화규소는 결정성, 무정형 또는 유리 상태일 수 있다.The silicon dioxide may be in a crystalline, amorphous or free state.

상기 규소산화물은 SiOx(0<x≤1)일 수 있고, 예를 들어 SiO일 수 있다. 상기 규소산화물(SiOx, 0<x<2) 내 규소는 무정형 또는 결정성일 수 있다. 상기 규소산화물(SiOx, 0<x<2) 내 규소가 결정성일 경우, 결정의 크기는 0초과 30nm 미만 일 수 있다.The silicon oxide may be SiO x (0<x≤1), for example, SiO. Silicon in the silicon oxide (SiO x , 0<x<2) may be amorphous or crystalline. When silicon in the silicon oxide (SiO x , 0<x<2) is crystalline, the size of the crystal may b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30 nm.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은 스토버 방법(Stober method)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은 NH3 촉매 하에 테트라에틸 오소실리케이트(TEOS)를 물 및 알코올과 반응시켜 균일한 나노 크기를 가지는 구형의 실리카를 포함하는 콜로이달 실리카를 수득한 후,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제조될 수 있다.The silica nanopowder may be prepared by the Stober method. Specifically, the silica nanopowder is obtained by reacting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with water and alcohol under a NH 3 catalyst to obtain colloidal silica containing spherical silica having a uniform nano size, followed by drying to obtain a solvent. It can be prepared after removal.

한편, 콜로이달 실리카는 물이나 유기용매와 같은 액체에 고형의 실리카 입자가 침전되거나 응집되지 않은 상태로 분산된 것으로서, 콜로이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pH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적절한 pH가 유지되지 않는다면, 분산력의 저하로 콜로이달 실리카가 침전되거나 응집되므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열팽창 계수를 낮출 수 없고, 표면 광택 특성도 저하시킨다.On the other hand, colloidal silica is dispersed in a state in which solid silica particles are not precipitated or aggregated in a liquid such as water or an organic solvent, and in order to maintain the colloidal stat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n appropriate pH. However, if an appropriate pH is not maintained, colloidal silica is precipitated or aggregated due to a decrease in dispersing power, so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graft copolymer cannot be lowered, and the surface gloss property is also reduced.

그러나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은 고체이므로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시 간단하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콜로이달 실리카를 투입하는 경우보다, 실리카 나노 분말을 투입하는 것이 최종 생산품인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의 열팽창 계수, 반사헤이즈, 충격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silica nanopowder is a solid, it is easy to store and handle, and can be simply added when preparing the graft copolymer. In addition,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reflection haze, and impact strength of a thermoplastic resin molded article, which is a final product, may be superior to that in the case of injecting colloidal silica by injecting silica nanopowder.

한편,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은 평균입경이 10 내지 150 ㎚, 10 내지 100 ㎚ 또는 10 내지 50 ㎚일 수 있고, 이 중 10 내지 50 ㎚가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silica nanopowder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150 nm, 10 to 100 nm, or 10 to 50 nm, of which 10 to 50 nm is preferable.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실리카 나노 분말이 균일하게 분포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열팽창 계수가 낮아지면서, 기본 물성, 즉, 반사헤이즈, 충격강도 및 표면광택의 저하는 방지할 수 있다.If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are satisfied, a graft copolymer in which silica nanopowder is uniformly distributed can be prepared, thereby lowering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graft copolymer, and basic physical properties, that is, reflective haze, impact strength and surface The deterioration of gloss can be prevented.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은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 0.05 내지 1 중량부 또는 0.1 내지 0.5 중량부로 투입될 수 있고, 이 중 0.1 내지 0.5 중량부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lica nanopowde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01 to 2 parts by weight, 0.05 to 1 part by weight, or 0.1 to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 Among them, 0.1 to 0.5 parts by weight is preferably added.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실리카 나노 분말이 균일하게 분포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열팽창 계수가 낮아지면서, 기본 물성, 즉, 반사헤이즈, 충격강도 및 표면광택의 저하는 방지할 수 있다.If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are satisfied, a graft copolymer in which silica nanopowder is uniformly distributed can be prepared, thereby lowering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graft copolymer, and basic physical properties, that is, reflective haze, impact strength and surface The deterioration of gloss can be prevented.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은 분산성, 기계적 특성, 내수성 및 보강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 개질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은 히드록시기(OH),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표면 개질될 수 있다. The silica nanopowder may be surface-modified to improve dispersibility, mechanical properties, water resistance and reinforcing properties. The silica nanopowder may be surface-modified wi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l group (OH), a polystyrene-based resin, and a polyethylene-based resin.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는 공액 디엔계 중합체; 공액 디엔계 단량체 유래 단위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는 라텍스 형태일 수 있고, 유화 중합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is 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 copolymer comprising a unit derived from a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and a unit derived from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or a mixture there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may be in the form of a latex, and may be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및 피퍼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래 단위일 수 있고, 이 중 1,3-부타디엔의 유래 단위가 바람직하다.The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one or more derived uni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3-butadiene, isoprene, chloroprene and piperylene, among which, 1,3-butadiene-derived units are preferred.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α-에틸 스티렌 및 p-메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래 단위일 수 있고, 이 중 스티렌의 유래 단위가 바람직하다.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at least one derived uni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α-methyl styrene, α-ethyl styrene, and p-methyl styrene, and among these, styrene-derived units are preferable.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가 혼합물일 경우,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와 공액 디엔계 단량체 유래 단위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30:70 내지 50:50 또는 30:70 내지 40:60일 수 있고, 이 중 30:70 내지 40:60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is a mixture, the weight ratio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to a copolymer including a unit derived from a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and a unit derived from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is 30:70 to 50:50 or 30:70 to 40 : 60, preferably 30:70 to 40:60.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는 평균입경이 0.2 내지 0.6 ㎛, 0.2 내지 0.5 ㎛, 또는 0.2 내지 0.35 ㎛일 수 있고, 이 중 0.2 내지 0.35 ㎛가 바람직하다.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2 to 0.6 μm, 0.2 to 0.5 μm, or 0.2 to 0.35 μm, of which 0.2 to 0.35 μm is preferable.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표면 광택, 색상 및 기계적 특성이 모두 우수할 수 있다. When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the surface gloss, col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graft copolymer may all be excellent.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겔 함량은 60 내지 98%, 구체적으로는 65 내지 90%, 보다 구체적으로는 70 내지 85%일 수 있다. The gel content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may be 60 to 98%, specifically 65 to 90%, and more specifically 70 to 85%.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는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70 중량%, 45 내지 65 중량% 또는 50 내지 60 중량%로 투입될 수 있고, 이 중 50 내지 60 중량%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40 to 70% by weight, 45 to 65% by weight, or 50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 Among them, it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50 to 60% by weight.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표면 광택 및 기계적 특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the surface glo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graft copolymer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다.The type of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 25 내지 35 중량% 또는 30 내지 35 중량%로 투입될 수 있고, 이 중 30 내지 35 중량%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20 to 40% by weight, 25 to 35% by weight, or 30 to 3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 Among them, it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30 to 35% by weight.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강성, 내충격성 및 가공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the rigidity, impact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of the graft copolymer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및 α-시아노에틸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 중 아크릴로니트릴이 바람직하다.The vinyl cyan-based mon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ethacrylonitrile, phenylacrylonitrile, α-chloronitrile, α-chloroacrylonitrile and α-cyanoethylacrylonitrile and may be one or more of them, and among them, acrylonitrile is preferable.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는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5 내지 25 중량% 또는 5 내지 15 중량%로 투입될 수 있고, 이 중 5 내지 15 중량%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nyl cyan-based monome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 to 30 wt%, 5 to 25 wt%, or 5 to 1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 Among them, it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5 to 15% by weight.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내화학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If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the chemical resistance of the graft copolymer may be further improv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을 일정한 속도로 연속 투입하면서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graft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olymerize while continuously injecting the silica nanopowder at a constant rate.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을 연속 투입하면서 중합되면,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이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에 보다 균일하게 분포되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전 영역에서 균일한 물성이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silica nanopowder is continuously added and polymerized, the silica nanopowder is more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graft copolymer, so that uniform physical properties can be realized in the entire region of the graft copolymer.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을 연속 투입 시,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를 일정한 속도로 연속 투입하면서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ilica nanopowder is continuously added, it is preferable to polymerize while continuously adding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 at a constant r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유화 중합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화 중합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제조되면, 표면 광택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이 모두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eparing the graft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emulsion polymerization, and when the graft copolymer is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a graft copolymer having excellent surface gloss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can be prepared. ca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개시제, 산화환원계 촉매, 유화제, 분자량 조절제 및 이온교환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graft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ad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initiator, a redox catalyst, an emulsifier, a molecular weight regulator, and ion-exchanged water.

그리고, 상기 개시제 등은 상술한 실리카 나노 분말 등과 함께 일정한 속도로 연속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제 등을 연속 투입하면, 발열을 제어하기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itiator and the like be continuously added at a constant rate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silica nanopowder. When the initiator or the like is continuously added, it may be easy to control heat generation.

상기 개시제는 수용성 중합개시제 및 지용성 중합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The initiato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water-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fat-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상기 수용성 중합개시제는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및 과황산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The water-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tassium persulfate, sodium persulfate and ammonium persulfate.

상기 지용성 중합개시제는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 벤젠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아조비스 이소부틸니트릴,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파라메탄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및 벤조일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중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가 바람직하다.The fat-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mene hydroperoxide, diisopropyl benzene hydroperoxide, azobis isobutylnitrile, t-butyl hydroperoxide, paramethane hydroperoxide and benzoyl peroxide. and among them, t-butyl hydroperoxide is preferred.

상기 개시제는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0.5 중량부 또는 0.1 내지 0.3 중량부로 투입될 수 있고, 이 중 0.1 내지 0.3 중량부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itiato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0.1 to 0.5 parts by weight, or 0.1 to 0.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 of which It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0.1 to 0.3 parts by weight.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중합이 용이하게 개시되고, 중합시간이 증가하지 않아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합전환율이 증가할 수 있다. When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polymerization is easily initiated, and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the graft copolymer may be increased even if the polymerization time is not increased.

상기 산화환원계 촉매는 나트륨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나트륨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황산제1철, 덱스트로즈, 피로인산나트륨, 무수 피로인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중 황산제1철, 덱스트로즈 및 피로인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redox catalys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ferrous sulfate, dextrose, sodium pyrophosphate, anhydrous sodium pyrophosphate and sodium sulfate, It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errous sulfate, dextrose and sodium pyrophosphate.

상기 산화환원계 촉매는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5 중량부 또는 0.03 내지 1.0 중량부로 투입될 수 있고, 이 중 0.03 내지 1.0 중량부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dox catalys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01 to 1.5 parts by weight or 0.03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 of which 0.03 to 1.0 It is preferably added in parts by weight.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중합을 용이하게 개시할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polymerization can be easily initiat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상기 유화제는 알릴 아릴 설포네이트, 알칼리 금속 알킬 설페이트, 설포네이트화된 알킬 에스테르, C6-C22 지방산, 로진산 알칼리 금속염, 나트륨 라우릴 설포네이트, 올레인산 칼륨, 나트륨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나트륨 도데실 알릴 술포숙시네이트, C16-18 알케닐 숙신산 디-포타슘염, 나트륨 아크릴아미도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암모늄 설페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에스테르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중 C6-C22 지방산이 바람직하다.The emulsifier is allyl aryl sulfonate, alkali metal alkyl sulfate, sulfonated alkyl ester, C6-C22 fatty acid, alkali metal rosin acid salt, sodium lauryl sulfonate, potassium oleate, sodium alkylbenzene sulfonate, polyoxyethylene alkylphenyl ether, sodium dodecyl allyl sulfosuccinate, C16-18 alkenyl succinic acid di-potassium salt, sodium acrylamidostearate, polyoxyethylene alkylphenylether ammonium sulfate and polyoxyethylene alkylether ester ammonium salt and may be one or more, among which C6-C22 fatty acids are preferred.

상기 유화제는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또는 0.2 내지 2 중량부로 투입될 수 있고, 이 중 0.2 내지 2 중량부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mulsifie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01 to 10 parts by weight, 0.1 to 5 parts by weight, or 0.2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 It is preferably added in 0.2 to 2 parts by weight.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중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표면 광택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해질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the polymerization may be stably performed, and the surface glo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graft copolymer may be improved.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α-메틸 스티렌 다이머, t-도데실 머캅탄, n-도데실 머캅탄, 옥틸 머캅탄, 사염화탄소, 염화메틸렌, 브롬화메틸렌, 테트라 에틸 티우람 다이 설파이드, 디펜타메틸렌 티우람 다이 설파이드, 및 디이소프로필키산토겐 다이 설파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중 t-도데실 머캅탄이 바람직하다.The molecular weight modifier is α-methyl styrene dimer, t-dodecyl mercaptan, n-dodecyl mercaptan, octyl mercaptan, carbon tetrachloride, methylene chloride, methylene bromide, tetraethyl thiuram di sulfide, dipentamethylene thiuram di sulfide. , a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isopropyl xantogen disulfide, of which t-dodecyl mercaptan is preferable.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0.8 중량부 또는 0.1 내지 0.5 중량부로 투입될 수 있고, 이 중 0.1 내지 0.5 중량부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lecular weight modifie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0.1 to 0.8 parts by weight, or 0.1 to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 It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0.1 to 0.5 parts by weight.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hell of the graft copolymer can be properly maintained, and the residual amount in the graft copolymer can be minimized.

상기 중합은 60 내지 80 ℃ 또는 65 내지 75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중 65 내지 75 ℃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합은 일정한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at 60 to 80 ℃ or 65 to 75 ℃, of which it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65 to 75 ℃. In addition, the polymeriza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a constant temperature.

상술한 온도를 만족하면, 발열을 조절하기 용이하며 기계적 물성이 최적화될 수 있다.If the above-described temperature is satisfied, heat generation can be easily controlled and mechanical properties can be optimized.

한편, 상기 중합 시, 중합이 용이하도록 첨가제, 구체적으로는 킬레이트제, 분산제, pH 조절제, 탈산소제, 노화방지제, 전해질 및 산소포착제(oxygen scaveng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더 투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polymerization, additives, specifical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helating agent, a dispersing agent, a pH adjusting agent, an oxygen scavenger, an anti-aging agent, an electrolyte, and an oxygen scavenger, are added to facilitate polymerization can b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graft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ging.

상기 숙성하는 단계는 반응기를 승온시킨 후 수행되거나, 중합물에 개시제 및 산화환원계 촉매를 더 투입하고 반응기를 승온시킨 후 수행될 수 있다.The aging may be performed afte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or may be performed after adding an initiator and a redox catalyst to the polymer and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상기 숙성은 중합 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70 내지 90 ℃ 또는 75 내지 85 ℃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중 75 내지 85 ℃에서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aging may be performed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polymerization, preferably at 70 to 90 °C or 75 to 85 °C, more preferably at 75 to 85 °C.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중합 시 투입된 단량체 및 첨가제들 사이의 응집 현상이 감소하여 중합물의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aggregation phenomenon between the monomers and additives added during polymerization is reduced,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polymer can be improved.

상기 숙성이 완료된 후, 응집 및 건조를 더 수행할 수 있다.After the aging is completed, agglomeration and drying may be further performed.

상기 응집은 중합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를 응집하기 위하여,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에 산 또는 무기염 수용액을 투입하여 응집하는 공정일 수 있다.The agglomeration may be a process of agglomeration by adding an acid or inorganic salt aqueous solution to the graft copolymer latex in order to aggregate the polymerized graft copolymer latex.

상기 응집은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로부터 불순물(잔류 유화제 등)을 제거하고 분말 형태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수득하기 위한 공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을 산 또는 무기염 수용액에 첨가하여 응집한 후, 건조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agglomeration may be a process for removing impurities (residual emulsifier, etc.) from the graft copolymer latex and obtaining a graft copolymer in powder form. Specifically, it can be carried out by adding the graft copolymer latex to an acid or an aqueous inorganic salt solution and agglomeration, followed by drying.

이때, 상기 응집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상기 응집은 상기 산 또는 무기염 수용액을 50 내지 60 ℃로 가열한 후,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를 첨가하고 10분 내지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ggreg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in the art, but specifically, the agglomeration is performed by heating the acid or inorganic salt aqueous solution to 50 to 60° C., and then the graft copolymer latex. It can be carried out by adding and stirring for 10 minutes to 1 hour.

상기 산은 황산일 수 있고, 상기 무기염은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망간, 염화칼슘, 황산마그네슘 및 황산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중 염화칼슘이 바람직하다.The acid may be sulfuric acid, and the inorganic sal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tassium chloride, sodium chloride, manganese chloride, calcium chloride, magnesium sulfate and aluminum sulfate, of which calcium chloride is preferable.

상기 건조는 응집된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100 내지 140 ℃ 또는 100 내지 120 ℃에서 수행될 수 있고, 이 중 100 내지 120 ℃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ying is to remove moisture remaining in the agglomerated graft copolymer, and may be performed at 100 to 140 °C or 100 to 120 °C, of which it is preferably performed at 100 to 120 °C.

상술한 온도를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충분히 건조되면서 열변형은 방지할 수 있다. If the above-described temperature is satisfied, thermal deformation can be prevented while the graft copolymer is sufficiently dried.

2. 2. 그라프트graft 공중합체 copolymer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실리카;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한다.The graft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lic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s;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상기 실리카는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고,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열팽창 계수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The silica is derived from the silica nanopowder,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graft copolymer, and can significantly lower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graft copolymer.

상기 실리카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5 중량%, 0.09 내지 1.0 중량% 또는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중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lica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1 to 1.5 wt%, 0.09 to 1.0 wt%, or 0.1 to 1.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graft copolymer, of which 0.1 to 1.0 wt% is preferable.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열팽창 계수를 현저하게 낮추면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기본 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If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graft copolymer is significantly lowered, and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of the graft copolymer are not negatively affected.

상기 실리카는 평균입경은 10 내지 150 ㎚, 10 내지 100 ㎚ 또는 10 내지 50 ㎚일 수 있고, 이 중 10 내지 50 ㎚가 바람직하다. The silica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150 nm, 10 to 100 nm, or 10 to 50 nm, of which 10 to 50 nm is preferable.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실리카가 균일하게 분포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열팽창 계수가 낮아지면서, 기본 물성, 죽, 반사헤이즈, 충격강도 및 표면광택의 저하는 방지할 수 있다.If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are satisfied, a graft copolymer in which silica is uniformly distributed can be prepared, which lowers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graft copolymer, and improves basic physical properties, porridge, reflective haze, impact strength, and surface gloss. degradation can be prevented.

이 외, 상기 실리카에 대한 설명은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실리카 나노 분말에 대한 설명에 기재한 바와 같다.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the silica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ilica nanopowder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ft copolymer.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70 중량%, 45 내지 65 중량% 또는 5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중 5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40 to 70% by weight, 45 to 65% by weight, or 50 to 60% by weight, of which 50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graft copolymer. desirable.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표면 광택 및 기계적 특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the surface glo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graft copolymer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 25 내지 35 중량% 또는 30 내지 35 중량%로 투입될 수 있고, 이 중 30 내지 35 중량%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20 to 40% by weight, 25 to 35% by weight, or 30 to 35% by weight, of which 30 to 3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graft copolymer. It is preferable to input.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강성, 내충격성 및 가공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the rigidity, impact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of the graft copolymer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5 내지 25 중량% 또는 5 내지 15 중량%로 투입될 수 있고, 이 중 5 내지 15 중량%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 to 30% by weight, 5 to 25% by weight, or 5 to 15% by weight, of which 5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graft copolymer. It is preferable to input.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내화학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If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the chemical resistance of the graft copolymer may be further improved.

이 외,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에 대한 설명은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서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에 대한 설명에 기재한 바와 같다.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is for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 in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graft copolymer.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또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쉘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400,000 g/mol 60,000 내지 200,000 g/mol, 또는 70,000 내지 100,000 g/mol 일 수 있고, 이 중 70,000 내지 100,000 g/mol 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graft copolymer may have a shell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 to 400,000 g/mol, 60,000 to 200,000 g/mol, or 70,000 to 100,000 g/mol, of which 70,000 to 100,000 g/mol is preferable.

또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90 내지 130 ℃, 90 내지 120 ℃, 또는 90 내지 115 ℃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aft copolymer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90 to 130 °C, 90 to 120 °C, or 90 to 115 °C.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내열성이 우수해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 시 공정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When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heat resistance of the graft copolymer may be improved, and process efficiency may be increased during molding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graft copolymer.

3.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3. Thermoplastic resin molded product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으로 제조되고, 열팽창 계수가 200 × 10-6 K-1 이하이다.A thermoplastic resin molded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aft copoly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polymer including a unit derived from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a unit derived from a vinyl cyan-based monomer, and has a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200 × 10 -6 K -1 or less.

상기 열팽창 계수는 170 × 10-6 내지 200Х10-6 K-1가 바람직하다.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is preferably 170 × 10 -6 to 200Х10 -6 K -1 .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의 치수 안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When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thermoplastic resin molded article may be further improved.

상기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와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80:20 내지 65:35 또는 75:25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이 중 75:25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polymer may include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in a weight ratio of 80:20 to 65:35 or 75:25 to 70:30, of which 75:25 to 70:3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it in a weight ratio of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기계적 특성, 가공성 및 내열성의 균형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a balance of mechanical properties, processability, and heat resistance may be well achieved.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와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에 대한 설명은 단량체 유래 단위인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비닐 시안계 단량체의 설명에 상술한 바와 같다.The description of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 except that the unit is a monomer-derived unit.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20:80 내지 35 내지 65 또는 25:75 내지 30:70일 수 있고, 이 중 25:75 내지 30:7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weight ratio of the graft copolymer to the copolymer may be 20:80 to 35 to 65 or 25:75 to 30:70, of which 25:75 to 30:70 is preferable.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의 열팽창 계수, 기계적 특성 및 표면 특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mechanical properties, and surface properties of the molded article made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be further improved.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 그라프트graft 공중합체의 제조> Preparation of Copolymer>

실시예Example 1 One

70 ℃로 설정된 질소 치환된 중합 반응기에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 나노 분말 0.05 중량부 중량부, 부타디엔 중합체(평균입경: 0.3 ㎛) 60 중량부, 스티렌 3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10 중량부, 이온교환수 125 중량부, 개시제로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2 중량부, 유화제로 C18 지방산 0.7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로 t-도데실머캅탄 0.35 중량부, 산화환원계 촉매로 덱스트로스 0.054 중량부, 황산제1철 0.002 중량부 및 피로인산나트륨 0.004 중량부를 3시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연속 투입하면서 중합하였다.0.05 parts by weight of silica nano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60 parts by weight of butadiene polymer (average particle diameter: 0.3 μm), 30 parts by weight of styrene, 10 parts by weight of acrylonitrile, 125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0.12 parts by weight of t-butyl hydroperoxide as an initiator, 0.7 parts by weight of C18 fatty acid as an emulsifier, 0.35 parts by weight of t-dodecylmercaptan as a molecular weight regulator, 0.054 parts by weight of dextrose as a redox catalyst,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while continuously adding 0.002 parts by weight of ferrous sulfate and 0.004 parts by weight of sodium pyrophosphate at a constant rate for 3 hours.

이어서, 상기 중합반응기에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05 중량부, 덱스트로스 0.05 중량부, 피로인산나트륨 0.03 중량부 및 황산제1철 0.001 중량부를 일괄 투입한 후, 1 시간에 걸쳐 80 ℃로 승온시키면서 중합한 후, 반응을 종결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이때 중합전환율은 95%였다. Then, 0.05 parts by weight of t-butyl hydroperoxide, 0.05 parts by weight of dextrose, 0.03 parts by weight of sodium pyrophosphate, and 0.001 parts by weight of ferrous sulfate were put into the polymerization reactor at once, and then, while raising the temperature to 80 ° C. over 1 hour After polymerization, the reaction was terminated to prepare a graft copolymer latex. At this time,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was 95%.

이어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를 황산 수용액으로 응집시킨 후, 숙성, 세척 및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Then, the graft copolymer latex was aggregated with an aqueous sulfuric acid solution, and then aged, washed and dried to prepare a powdery graft copolymer.

실시예Example 2 2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 나노 분말을 0.10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중합전환율: 95%)를 제조하였다. A graft copolymer (polymerization conversion: 9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10 parts by weight of silica nano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was added.

실시예Example 3 3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 나노 분말을 1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중합전환율: 95%)를 제조하였다. A graft copolymer (polymerization conversion: 9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 part by weight of silica nano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was added.

실시예Example 4 4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 나노 분말 대신 평균입경이 10 ㎚인 실리카 나노 분말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중합전환율: 95%)를 제조하였다.A graft copolymer (polymerization conversion: 9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nm were added instead of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실시예Example 5 5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 나노 분말 대신 평균입경이 30 ㎚인 실리카 나노 분말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중합전환율: 95%)를 제조하였다.A graft copolymer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9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0 nm were added instead of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실시예Example 6 6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 나노 분말 대신 평균입경이 50 ㎚인 실리카 나노 분말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중합전환율: 95%)를 제조하였다.A graft copolymer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9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0 nm were added instead of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실시예Example 7 7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 나노 분말 대신 평균입경이 70 ㎚인 실리카 나노 분말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중합전환율: 95%)를 제조하였다.A graft copolymer (polymerization conversion: 9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70 nm were added instead of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실시예Example 8 8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 나노 분말 대신 평균입경이 100 ㎚인 실리카 나노 분말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중합전환율: 95%)를 제조하였다.A graft copolymer (polymerization conversion: 9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0 nm were added instead of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실시예Example 9 9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 나노 분말 대신 평균입경이 150 ㎚인 실리카 나노 분말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중합전환율: 95%)를 제조하였다.A graft copolymer (polymerization conversion: 9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50 nm were added instead of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실시예Example 10 10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 나노 분말 대신 평균입경이 200 ㎚인 실리카 나노 분말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A graft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0 nm were added instead of silica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실시예Example 11 11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 나노 분말을 0.10 중량부로 일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중합전환율: 94%)를 제조하였다. A graft copolymer (polymerization conversion: 94%)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10 parts by weight of silica nano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was collectively add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실리카 나노 분말을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중합전환율: 95%)를 제조하였다.A graft copolymer (polymerization conversion: 9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silica nanopowder was not add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 나노 분말 대신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를 포함하는 콜로이달 실리카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중합전환율: 94%)를 제조하였다.A graft copolymer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94%)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colloidal silica containing silica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was added instead of silica nano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di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 나노 분말 대신 평균입경이 20 ㎚인 실리카를 포함하는 콜로이달 실리카를 일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와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중합전환율: 94%)를 제조하였다.A graft copolymer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94%)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colloidal silica containing silica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was batch-injected instead of silica nano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 nm. prepared.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투입된 실리카의 종류, 평균입경, 투입방법 및 투입량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기재하였다.Hereinafter, the type, average particle diameter, input method and input amount of silica input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ummarized and described in Table 1 below.

구분division 실리카silica 형태shape 평균입경(㎚)Average particle diameter (nm) 투입방법Input method 투입량(중량부)Input amount (parts by weight) 실시예 1Example 1 실리카 나노 분말Silica Nanopowder 2020 연속 투입continuous input 0.050.05 실시예 2Example 2 실리카 나노 분말Silica Nanopowder 2020 연속 투입continuous input 0.100.10 실시예 3Example 3 실리카 나노 분말Silica Nanopowder 2020 연속 투입continuous input 1.001.00 실시예 4Example 4 실리카 나노 분말Silica Nanopowder 1010 연속 투입continuous input 0.100.10 실시예 5Example 5 실리카 나노 분말Silica Nanopowder 3030 연속 투입continuous input 0.100.10 실시예 6Example 6 실리카 나노 분말Silica Nanopowder 5050 연속 투입continuous input 0.100.10 실시예 7Example 7 실리카 나노 분말Silica Nanopowder 7070 연속 투입continuous input 0.100.10 실시예 8Example 8 실리카 나노 분말Silica Nanopowder 100100 연속 투입continuous input 0.100.10 실시예 9Example 9 실리카 나노 분말Silica Nanopowder 150150 연속 투입continuous input 0.100.10 실시예 10Example 10 실리카 나노 분말Silica Nanopowder 200200 연속 투입continuous input 0.100.10 실시예 11Example 11 실리카 나노 분말Silica Nanopowder 2020 일괄 투입batch input 0.100.1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 -- -- --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 2020 연속 투입continuous input 0.100.10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 2020 일괄 투입batch input 0.100.10

※콜로이달 실리카: 실리카(SiO2) 50중량%(엘지화학 제조)※Colloidal silica: silica (SiO 2 ) 50% by weight (manufactured by LG Chem)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실시예 및 비교예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27.5 중량부와 SAN 공중합체(상품명: 92HR, 제조사: 주식회사 엘지화학) 72.5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여 펠렛화한 후, 270℃에서 사출하여 열가소성 수지 시편을 제조하였다.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by uniformly mixing 27.5 parts by weight of the graft copolymer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72.5 parts by weight of the SAN copolymer (trade name: 92HR, manufacturer: LG Chem). After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as extruded and pelletized, a thermoplastic resin specimen was prepared by injection at 270°C.

상기 열가소성 수지 시편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specimen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① 열팽창 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K-1): ASTM D69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하기 식 1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①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K -1 ):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96 , and calculated by substituting into Equation 1 below.

<식 1><Equation 1>

Figure 112018056028981-pat00001
Figure 112018056028981-pat00001

σ = 평균 열팽창 계수σ = averag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L0 = 시편 초기 길이L0 = initial length of the specimen

△L = 시편 길이 변화ΔL = change in specimen length

△T = 시편 온도 편화ΔT = specimen temperature bias

② 반사헤이즈(Reflection Haze): Rhopoint IQ 장치를 이용하여 14°에서 27°까지의 큰 원호안의 반사광을 프로파일링하는 직선으로 배열된 512개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0°각도에서 하기 식 2에 의해 계산하였다.② Reflection Haze: Measured using 512 diode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profiling the reflected light in a large arc from 14° to 27° using the Rhopoint IQ device. It was calculated by Equation 2 below at an angle of 20°.

<식 2><Equation 2>

Figure 112018056028981-pat00002
Figure 112018056028981-pat00002

③ 충격강도(kg·㎝/㎝, 1/4 in):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③ Impact strength (kg·cm/cm, 1/4 in):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④ 표면광택(%): 45°에서 ASTM D52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④ Surface gloss (%): It was measured at 45° according to ASTM D528.

구분division CTE (K-1)CTE (K -1 ) 반사헤이즈reflection haze 충격강도
(kg·cm/cm)
impact strength
(kg cm/cm)
표면광택(%)Surface gloss (%)
실시예 1Example 1 197×10-6 197×10 -6 5.25.2 3232 89.489.4 실시예 2Example 2 192×10-6 192×10 -6 5.55.5 3131 89.189.1 실시예 3Example 3 190×10-6 190×10 -6 6.46.4 2727 85.285.2 실시예 4Example 4 195×10-6 195×10 -6 5.25.2 2929 89.489.4 실시예 5Example 5 193×10-6 193×10 -6 5.75.7 3131 88.988.9 실시예 6Example 6 192×10-6 192×10 -6 5.95.9 3030 88.588.5 실시예 7Example 7 192×10-6 192×10 -6 6.46.4 2929 88.188.1 실시예 8Example 8 193×10-6 193×10 -6 6.66.6 2929 87.687.6 실시예 9Example 9 193×10-6 193×10 -6 6.86.8 2929 86.286.2 실시예 10Example 10 192×10-6 192×10 -6 7.27.2 2424 82.182.1 실시예 11Example 11 203×10-6 203×10 -6 7.17.1 2525 83.483.4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345×10-6 345×10 -6 5.05.0 2929 89.489.4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220×10-6 220×10 -6 5.75.7 3030 89.289.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262×10-6 262×10 -6 7.27.2 2626 84.184.1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리카 나노 분말을 투입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은 실리카 나노 분말을 투입하지 않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열팽창 계수가 현저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2, in Examples 1 to 11 in which silica nanoparticles were add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was remarkably improved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silica nanoparticles were not added.

실시에 1 내지 실시예 3을 비교하면, 투입한 실리카 나노 분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열팽창 계수가 감소되므로 열팽창 특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Comparing Examples 1 to 3,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rmal expansion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because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decreased as the amount of the added silica nanopowder was increased.

실시예 2,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10을 비교하면, 투입한 실리카 나노 분말의 평균입경이 증가하여도 열팽창 계수는 동등 수준을 구현하므로, 실리카 나노 분말의 평균입경은 열팽창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실리카 나노 분말의 평균입경이 30 ㎚ 이상일 경우, 평균입경이 증가할 수록 반사헤이즈는 높아지고, 표면광택은 낮아졌다. 또한 실리카 나노 분말의 평균입경이 50 ㎚ 이상일 경우, 평균입경이 증가할 수록 충격강도가 저하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실리카 나노 분말의 평균입경은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의 기본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Comparing Examples 2 and 4 to 10, even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jected silica nanoparticles increases,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realizes the same level, so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ilica nanoparticles does not affect the thermal expansion characteristics could confirm that However,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ilica nanopowder was 30 nm or more, the higher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the higher the reflection haze and the lower the surface gloss. In addition,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ilica nanopowder was 50 nm or more, the impact strength decreased a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ncreased.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ilica nanopowder affects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molded article.

실시예 1과 실시예 11을 비교하면, 실리카 나노 분말을 연속 투입하면, 열팽창 계수 및 반사헤이즈는 낮아지고, 충격강도 및 표면광택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mparing Example 1 and Example 11, it was confirmed that when silica nanopowder was continuously added,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nd reflection haze were lowered, and impact strength and surface gloss were improved.

한편, 실시예 1과 비교예 2는 실리카의 투입 형태만 다르나, 실시예 1이 비교예 2 대비 열팽창 계수, 반사헤이즈, 충격강도 및 표면광택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1과 비교예 3도 실리카의 투입 형태만 다르나, 실시예 11이 비교예 3 대비 열팽창 계수와 표면광택은 우수하고, 반사헤이즈 및 충격강도는 동등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나노 분말 형태가 콜로이달 형태 대비 보관,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열가소성 수지의 전반적인 물성 개선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were different only in the form of silica input, but it was confirmed that Example 1 was superior to Comparative Example 2 in terms of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reflection haze, impact strength and surface gloss. Example 11 and Comparative Example 3 also differ only in the form of silica input, but Example 11 was superior to Comparative Example 3 i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nd surface glos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flective haze and impact strength were at the same level.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the nanopowder form not only facilitates storage and handling compared to the colloidal form, but also significantly affects the improvement of the overall physical properti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Claims (10)

실리카 나노 분말,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를 연속 투입하면서 중합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graft copolymer in which silica nanopowder, 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a vinyl cyan-based monomer are continuously added and polymeriz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은 평균입경이 10 내지 150 ㎚인 것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lica nanopowder is a method for producing a graft copolym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150 n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나노 분말은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의 합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부로 투입되는 것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lica nanopowder is a method of producing a graft copolymer that is added in an amount of 0.01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 40 내지 70 중량%;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20 내지 40 중량%; 및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로 투입하는 것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
40 to 70% by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20 to 40 wt% of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a graft copolymer that is added in 1 to 30% by weight of the vinyl cyanide-based monom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합은 유화 중합인 것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merization is an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for producing a graft copolym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65645A 2017-06-30 2018-06-07 Method for graft copolymer and graft copolymer KR10241241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83682 2017-06-30
KR1020170083682 2017-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341A KR20190003341A (en) 2019-01-09
KR102412417B1 true KR102412417B1 (en) 2022-06-24

Family

ID=6501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645A KR102412417B1 (en) 2017-06-30 2018-06-07 Method for graft copolymer and graft copoly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41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1248A (en) * 2014-12-05 2017-01-1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Heat resistant res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158B1 (en) * 2007-12-28 2012-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ing nano inorganic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362611B1 (en) * 2012-02-03 2014-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A method for preparing ABS based graft copolymer with heat resistance and high thermal stability
KR101997520B1 (en) * 2015-07-23 2019-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type graft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007976B1 (en) 2015-11-30 2019-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ing thermoplastic resin, thermoplastic resin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resin
KR102057253B1 (en) * 2015-12-16 2020-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1248A (en) * 2014-12-05 2017-01-1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Heat resistant res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341A (en)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106B1 (en) Acrylic impact modifier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acrylic resin comprising thereof
KR20130082429A (en) Thermalstabilizer fre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KR20120134832A (en) Impact modifier for polymethylmetacrylate resi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transparenc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426402B1 (en) Method for preparing large particle sized rubber latex, and method for preparing abs graft copolymer
KR101497766B1 (en) Composition comprising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form forming property-reinforced PVC obtained from thereof
KR101787205B1 (en) Heat resistance res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resin
KR102412417B1 (en) Method for graft copolymer and graft copolymer
KR102210031B1 (en) Matrix copolymer,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0513658B1 (en) Perparation of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power properties
KR101633173B1 (en) Method for Preparing Rubber-Reinforced Graft Copolymer and Rubber-Reinforced Graft Copolymer Prepared Therefrom
KR102196967B1 (en) Abs based graft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00044570A (en) Method for preparing graft copolymer powder
KR100507412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Good Transparency and Impact Strength and Wet-proof Proper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10037565A (en) Method for Preparing Conjugated Diene Based Polymer
KR102146369B1 (en) Method for preparing graft copolymer,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article
KR20050067838A (en) Method of preparing abs resin composition with good heat resistance, transparence and natural color
KR102183656B1 (en) Impact modifier for epoxy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epoxy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009313B1 (en) Graft copolymer, method for preparing the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polymer
KR100429062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Good Transparent and Impact Strength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420799B1 (en) Method for preparing graft copolymer and graft copolymer
KR102586515B1 (en) Copolymer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080032891A (en) Method for preparing acrylic copolymer resin powder
KR20130082221A (en)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465134B1 (en) Method for preparing graft copolymer
KR20210041502A (en) Core-shell copolymer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core-shell copolymer composition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re-shell copoly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