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520B1 -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type graft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type graft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520B1
KR101997520B1 KR1020160090696A KR20160090696A KR101997520B1 KR 101997520 B1 KR101997520 B1 KR 101997520B1 KR 1020160090696 A KR1020160090696 A KR 1020160090696A KR 20160090696 A KR20160090696 A KR 20160090696A KR 101997520 B1 KR101997520 B1 KR 101997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adiene
graft
graft copolymer
shell
rubber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6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2057A (en
Inventor
이창노
김건수
이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7001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0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520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6Vinyl aromatic monomers and methacrylat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6Polymer particles coated by polymer, e.g. core shel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쉘-쉘(CSS) 구조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 및 상기 고무 중합체 코어 표면에 피복된 이중 그라프트 쉘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이중 그라프트 쉘은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로 이루어진 제1 그라프트 쉘;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제2 그라프트 쉘;을 포함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MBS) graft copolymer having a core-shell-shell (CSS) structur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And a dual graft shell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rubber polymer core, wherein the dual graft shell comprises a first graft shell consisting of surface modified nanosilica; And a second graft shell consisting of a copolymer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Description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TYPE GRAFT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TYPE GRAFT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제조 시에 사용 가능한, 충격보강제용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for an impact modifier, which can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a thermoplastic resin,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염화비닐(PVC) 수지는 염화비닐을 50 % 이상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하나로서, 반도체 또는 자동차 등의 여러 분야에서 폭 넓게 사용되는 범용의 수지이다.A vinyl chloride (PVC) resin is one of thermoplastic resins containing 50% or more of vinyl chloride and is a general-purpose resin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emiconductors or automobiles.

상기 염화비닐수지는 충격에 매우 약하고, 가공온도가 열분해 온도에 가까워 성형 가능한 온도 영역이 좁고, 또한 용융점도가 높고 유동성이 낮아 가공시 가공 기기의 표면에 점착되어 탄화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최종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Since the vinyl chloride resin is very weak to the impact, the processing temperature is close to the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the temperature range in which the resin can be formed is narrow, the melt viscosity is high and the fluidity is low, It is known to cause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quality.

이러한 염화비닐수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들이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왔다. Methods for overcoming the disadvantages of such vinyl chloride resins have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그 한 예로, 염화비닐수지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타디엔을 기질로 하는 고무 중합체에 스티렌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단량체를 그라프트시켜 제조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이하 "MBS"라 칭함)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충격보강제로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For example, in order to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a vinyl chloride resin,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hereinafter, abbreviated as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prepared by grafting a monomer such as styrene and methyl methacrylate to a rubber polymer containing butadiene as a substrate -styre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BS") based graft copolymer as an impact modifier.

다만, 상기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그라프트 되는 단량체의 함량과 중합방법 및 기질로서 사용되는 고무 중합체의 함량과 입경 등에 따라 얻어지는 염화비닐수지의 물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However, it is known that the MBS-based graft copolymer differ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vinyl chloride resin obtained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grafted monomer, the polymerization method, the content of the rubber polymer used as the substrate, the particle size, and the like.

예컨대,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기질로 사용되는 고무 중합체의 함량 및 입경 등을 증대시키는 경우, 광산란 등이 발생하여 수득된 염화비닐수지의 투명도가 오히려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염화비닐수지 입자와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입자간의 굴절률의 차이가 크고, 또한 변형시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염화비닐수지의 결합력이 약해져 공극(micro-void)이 쉽게 생성되므로, 충격강도 및 백화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유화중합의 범주에서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의 고무 중합체의 입경이 증가하거나, 고무 함량이 증가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내충격성은 향상되는 반면에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충분히 만족할 만한 투명도 및 백화 특성을 확보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rubber polymer used as the substrate of the MBS-based graft copolymer are increased in order to improve the impact strength, the transparency of the resulting vinyl chloride resin is lowered due to light scattering or the like have. In addition,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particles of the vinyl chloride resin and the MBS-based graft copolymer, and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MBS-based graft copolymer and the vinyl chloride resin is weakened at the time of deformation, , The impact strength and whitening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Therefore,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rubber polymer in the MBS-based graft copolymer is increased or the rubber content is increased in the general emulsion polymerization,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is improved, but in the applications requiring high transparency,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whiteness characteristics.

이에, 염화비닐수지 제조 시에 투명성은 유지하면서 고무 중합체 함량 증가시 문제가 되었던 내충격성 및 가공 후 제품 표면 상태를 저하를 야기하는 돌기 물성을 향상시킨 충격보강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an impact modifier that improves the impact resistance which causes a problem in increasing the rubber polymer content while maintaining the transparency in the production of vinyl chloride resin, and the property of protrusion which causes a decrease in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product after processing.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039873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98737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로 이루어진 쉘을 포함함으로써, 충격 물성이 보다 향상된 충격보강제용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MBS-based graft copolymer for impact modifier having improved impact properties by including a shell made of surface-modified nano silica.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충격보강제용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n MBS-based graft copolymer for the impact modifier.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 및Butadiene-based rubber polymer core; And

상기 고무 중합체 코어 표면에 피복된 이중 그라프트 쉘로 이루어져 있으며,A double graft shell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rubber polymer core,

상기 이중 그라프트 쉘은 The double grafted shell

표면 개질된(functionalized) 나노실리카로 이루어진 제1 그라프트 쉘; 및A first graft shell consisting of functionalized nanosilica; And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제2 그라프트 쉘;을 포함하는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A second grafted shell made of a copolymer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In the present invention,

(a) 유화중합에 의하여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a) preparing a butadiene-based rubber polymer core by emulsion polymerization;

(b)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제조하는 단계;(b) preparing surface-modified nanosilica;

(c) 상기 제조된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와, 상기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1차 유화 그라프트 중합시켜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c) preparing a copolymer of the butadiene-based rubber polymer core and the core-shell structure by first emulsion graft-polymerizing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And

(d) 상기 제조된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와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를 2차 유화 그라프트 중합시켜 코어-쉘-쉘 구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격보강제용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d) preparing a graft copolymer of a core-shell-shell structure by secondary emulsion graft-polymerizing a copolymer of the core-shell structure prepared above with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n MBS-based graft copolymer for an impact modifier.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타디엔계 고무 코어 표면에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포함하는 이중 그라프트 쉘을 포함함으로써 충격 강도 및 신율 등이 향상된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BS-based graft copolymers having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strength and elongation by including a double grafted shell containing surface-modified nano silica on the surface of a butadiene- A manufacturing method can be provided.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 염화비닐수지의 충격보강제로서 사용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 중합체 코어 및 상기 코어 표면을 감싸는 쉘로 이루어져 있으며, 염화비닐수지 제조 시에 내충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충격보강제 내의 고무함량을 증가하는 경우, 투명도 및 내백화성, 유리전이온도 저하 및 굴절률 변화 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염화비닐수지 제조 시 충격보강제로 사용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에멀젼 중합 (emulsion polymerization) 공정 시에 표면 개질된(functionalized) 나노실리카를 도입하는 경우, 고무 함량이 감소하여도, 염화비닐수지의 투명도와 충격 물성과 돌기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기존의 제조 방법보다 우수한 물성을 갖는 염화비닐수지용 충격보강제와 그 제조방법을 완성하게 되었다. The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MBS) graft copolymer,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as an impact modifier of a vinyl chloride resin, is composed of a rubber polymer core and a shell surrounding the core surface, and improves the impact resistanc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ransparency and whitening resistance, lowering of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change of refractive index occur when the rubber content in the impact modifier is increased. 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when graft copolymer used as an impact modifier in the production of vinyl chloride resin is introduced, functionalized nanosilica is introduced during the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improve transparency, impact properties and protrusion properties of vinyl chloride resin, and on the basis thereof, an impact modifier for vinyl chloride resin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over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completed.

즉, 본 발명에서는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 상기 고무 중합체 코어를 감싸는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로 이루어진 제1 그라프트 쉘, 및 상기 제1 그라프트 쉘 표면을 감싸면서 피복된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제2 그라프트 쉘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코어-쉘-쉘(Core-Shell-Shell) 구조의 충격보강제용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butadiene-based rubber polymer core, a first graft shell made of surface-modified nanosilica that surrounds the rubber polymer core, and an alkyl acrylate monomer wrapped around the first graft shell surface and an ethylene- (MBS) graft copolymer for an impact modifier having a core-shell-shell structure and a second graft shell composed of a copolymer of an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s a technical feature.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코어-쉘-쉘 구조의 충격보강제용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A) MBS-based graft copolymer for impact modifier of core-shell-shell structure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Firs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 및Butadiene-based rubber polymer core; And

상기 고무 중합체 코어 표면에 피복된 이중 그라프트 쉘로 이루어져 있으며,A double graft shell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rubber polymer core,

상기 이중 그라프트 쉘은 The double grafted shell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로 이루어진 제1 그라프트 쉘; 및A first graft shell consisting of surface modified nanosilica; And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제2 그라프트 쉘;을 포함하는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A second grafted shell made of a copolymer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Specifically, the MBS-based graft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 55 내지 65 중량%; i) from 55 to 65% by weight of a butadiene-based rubber polymer core;

ii) 상기 고무 중합체 코어 표면에 피복된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로 이루어진 제1 그라프트 쉘 5 내지 15 중량%; 및 ii) 5 to 15% by weight of a first graft shell consisting of a surface modified nanosilica coated on the surface of said rubber polymer core; And

iii) 상기 제1 그라프트 쉘 표면에 피복된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제2 그라프트 쉘 2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ii) 25 to 30% by weight of a second graft shell consisting of a copolymer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graft shell.

이때, 본 발명의 코어-쉘-쉘 구조의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i)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의 함량이 5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 강도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6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돌기 특성 및 신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At this time, in the MBS-based graft copolymer of the core-shell-she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ent of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i) is less than 55% by weight, If it exceeds the weight%, the projecting property and elongation tend to be lowered, which is not preferable.

또한, 본 발명의 코어-쉘-쉘 구조의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이중 그라프트 쉘은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을 부여하고, 고무 중합체 코어의 충격강도를 잘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고무 중합체 코어가 분산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해서 쉘을 잘 피복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쉘을 너무 두껍게 피복하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을 시 코어로의 충격을 전달할 수가 없어 충격이 저하된다. In the MBS-based graft copolymer of the core-shell-she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 grafted shell imparts compatibility with the thermoplastic resin to the MBS-based graft copolymer, and the impact strength of the rubber polymer core To be able to exert a good effect.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o coat the shell well so that the rubber polymer core can be well dispersed. However, if the shell is coated too thickly, impact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core when an external impact is received.

특히, 본 발명의 코어-쉘-쉘 구조의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 표면에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쉘을 피복하기 전에 소수성으로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로 이루어진 제1 그라프트 쉘을 도입하여 이중 그라프트 쉘을 형성함으로써, 부타디엔 코어 단독으로 이루어졌을 때 저하되는 돌기 특성 및 신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2 그라프트 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염화비닐수지의 투명도와 함께 충격 물성 및 돌기 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BS-based graft copolymer of the core-shell-she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coating a graft shell comprising a copolymer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with a hydrophobic surface-modified nano- By introducing a first graft shell made of silica to form a dual graft shell, it is possible not only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and elongation of the lowered butadiene core, but also to make it easier to form a second graft shell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improving the transparency of the vinyl chloride resin, as well as the impact property and the projection property.

상기 (ii) 제1 그라프트 쉘을 이루는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는 산과 유기용매 하에서 나노실리카와 유기 실란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반응에 의해 나노실리카 표면의 전면에 그라프트 (grafted) 중합이 가능한 유기 실란 화합물이 결합되어 피복되면서, 나노실리카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된다. 그 결과, 나노실리카와 고무 중합체 간의 친화력을 향상시켜 그라프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쉘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ii) surface-modified nanosilica constituting the first graft shell may be prepared by reacting the nanosilica with an organosilane compound in an acid and an organic solvent. That is, the surface of the nanosilica is modified to be hydrophobic by coat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nanosilica with an organosilane compound capable of grafted polymerization. As a result, the graft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affinity between the nanosilica and the rubber polymer, so that the effect of easily forming a shell can be obtained.

상기 유기 실란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메타크릴옥시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을 포함할 수 있다.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organosilane compound may include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또한, 상기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에 있어서, 상기 나노실리카 : 유기 실란 화합물의 혼합비(중량비)는 1 : 0.5 내지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유기 실란 화합물의 함량비가 0.5 미만이면 표면 개질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고, 1을 초과하면 극소수성을 나타내어 중합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the mixing ratio (weight ratio) of the nanosilica: organosilane compound is preferably 1: 0.5 to 1. If the content ratio of the organosilane compound is less than 0.5,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urface modification is not easy.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 the organosilane compound shows very low water solubility and the polymerization is not easy.

상기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로 이루어진 제1 그라프트 쉘은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상기 제1 그래프트 쉘이 5 중량% 미만일 경우 돌기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미하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충격 강도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grafted shell made of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15% by weight. When the first graft shell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ojection characteristics is insignificant. %,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impact strength is lower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염화비닐수지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하여 굴절률을 상승시킬 수 있는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iii) 제2 그라프트 쉘은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함께 에틸렌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n MBS-based graft copolymer capable of raising the refractive index in order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the vinyl chloride resin is required. To this end, the second grafted shell (iii) comprises an alkyl acrylate- And a copolymer of an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이때,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함량비는 1: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함량비가 1 미만이거나, 1을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코어-쉘-쉘 구조의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염화비닐수지의 상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At this time, the content ratio of the alkyl acrylate monomer and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is preferably 1: 1 wt%. If the content ratio of the alkyl acrylate monomer or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is less than 1 or more than 1, compatibility of the prepared MBS-based graft copolymer of the core-shell-shell structure with the vinyl chloride resin becomes large The problem of degradation occurs.

이때, 상기 제2 그라프트 쉘은 이루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그 대표적인 예로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lkyl acrylate monomer constituting the second graft shell may be exemplified by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n-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a single substa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butyl methacrylate, benzyl methacrylate, laur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hexyl methacrylate and 2-ethylhexyl methacrylat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

또한, 상기 제2 그라프트 쉘은 이루는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는 고무 중합체의 굴절률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동일하게 함으로써 굴절률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빛의 산란을 억제, 투명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대표적인 예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3,4-디클로로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constituting the second graft shell serves to suppress the light scattering caused by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and to maintain transparency by mak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ubber polymer the same as that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may include a single substa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ethylstyrene, p-methylstyrene, vinyltoluene and 3,4-dichlorostyre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또한,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제2 그라프트 쉘은 2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함량이 25 중량% 미만일 경우 충격 강도가 저하되어 충격 보강 효과가 미미하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라프트 단량체의 감소로 인하여 그라프트 율을 충분히 증가시킬 수 없고, 고무 중합체와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 부족으로 분산성과 기계적 물성, 즉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The second grafted shell composed of the copolymer of the alkyl acrylate monomer and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25 to 30%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second graft shell is less than 25% by weight, The reinforcing effect is insignificant. When it exceeds 30% by weight, the grafting ratio can not be sufficiently increased due to the reduction of the graft monomer, and the lack of compatibility with the rubber polymer and the thermoplastic resin causes dispers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on.

이러한 본 발명의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BS-based graft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30 캜 or lower.

(B) 코어-쉘-쉘(Core-Shell-Shell) 구조의 충격보강제용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B) Method for producing MBS-based graft copolymer for impact modifier having a core-shell-shell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유화중합에 의하여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a) preparing a butadiene-based rubber polymer core by emulsion polymerization;

(b)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제조하는 단계;(b) preparing surface-modified nanosilica;

(c) 상기 제조된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와, 상기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1차 유화 그라프트 중합시켜 코어-제1 쉘 구조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c) preparing a copolymer of the core-first shell structure by primary emulsion graft-polymerizing the butadiene-based rubber polymer core and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And

(d) 상기 제조된 코어-제1 쉘 구조의 공중합체와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를 2차 유화 그라프트 중합시켜 코어-쉘-쉘 구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격보강제용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 preparing a graft copolymer of a core-shell-shell structure by secondary emulsion graft-polymerizing the copolymer of the core-first shell structure, the alkyl acrylate monomer and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Based graft copolymer for an impact modifier.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필요에 따라 상기 코어-쉘-쉘 구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후, 상기 제조된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항산화제와 교반하면서 염과 열, 산 (황산 수용액)을 가하여 중합체와 물을 분리시킨 후, 탈수,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preparing a graft copolymer of the above-mentioned core-shell-shell structure, if necessary, by mixing the prepared MBS-based graft copolymer with an antioxidant, To separate the polymer and water, and then dehydrating and drying the polymer to prepare a powder.

(a)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 제조(a) Production of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는 유화중합에 의해 에멀션으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eparing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a) is formed into an emulsion by emulsion polymerization,

(a') 부타디엔 화합물 30 내지 50 중량부, 유화제 (나트륨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0.1 내지 0.5 중량부, 중합개시제 0.1 내지 0.5 중량부,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 초산염 0.1 내지 0.3 중량부, 황산 제1철 0.1 내지 0.3 중량부 및 이온교환수 50 내지 80 중량부를 일괄 투여하고 1차 중합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 및 (a") 중합전환율 90% 시점에서 부타디엔 화합물 50 내지 70 중량부를 일괄 투여하고, 2차 중합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0.1 to 0.5 part by weight of an emulsifier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0.1 to 0.5 part by weight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0.1 to 0.3 part by weight of ethylenediaminetetra sodium acetate, 0.1 to 0.3 part by weight and 50 to 80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and performing a first polymerization reaction; And 50 to 70 parts by weight of a butadiene compound at a (a ")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io of 90%, and performing a secondary polymerization reaction.

이때, 상기 부타디엔 화합물은 일반적인 부타디엔계 화합물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며,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1,3-부타디엔을 사용할 수 있다.The butadiene compound may be any conventional butadiene compoun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specifically 1,3-butadiene may be used.

또한, 상기 유화제는 사용되는 부타디엔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소량 사용하면 중합 중 과량의 응고물이 발생하여 비생산적이며, 과다 사용하면 사출 성형시 성형품 외관에서 가스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The emulsifier preferably contains about 0.1 to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utadiene compound to be used. If the amount of the emulsifier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an excessive amount of solidification product is generated during polymerization, Gas may be generated at the appearance of the molded article at the time of molding.

상기 유화제는 그 대표적인 예로 나트륨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알킬아릴설포네이트, 알칼리메틸알킬설포네이트, 설포네이트화된 알킬에스테르, 지방산 비누, 또는 로진산의 알칼리염, 올레인산칼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emulsifier include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alkylaryl sulfonate, alkaline methyl alkyl sulfonate, sulfonated alkyl ester, fatty acid soap, and alkali salts of rosin acid, potassium oleate, and the like.

또한, 상기 중합개시제는 사용되는 부타디엔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0.5 중량부, 구체적으로 0.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TBHP),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 및 소디움포름알데히드 술폭실레이트,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초산염, 황산 제1철, 소디움파이로포스페이트, 덱스트로스 등의 산화-환원계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about 0.1 to 0.5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1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utadiene compound used. Typical examples thereof include t-butyl hydroperoxide (TBHP), cumene hydroperoxide Oxide, diisopropylbenzene hydroperoxide, and oxidation-reduction catalysts such as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ethylenediaminetetra sodium acetate, ferrous sulfate, sodium pyrophosphate, and dextrose can be used.

또한, 상기 이온교환수로는 이온 교환기를 거친 금속이온 농도가 2 ppm 이하인 순수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교환수의 사용량은 50 중량부 이상 최대 80 중량부 이하, 구체적으로 7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이온교환수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 보다 소량 사용하면 중합반응시 반응열의 조정이 힘들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과량 사용하면 슬러리 함량(Slurry content)이 낮아 공정에서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여 비합리적이다.It is preferable that pure water having a metal ion concentration of 2 ppm or less through the ion exchanger is used as the ion exchange water. The amount of the ion exchange water used is preferably 5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80 parts by weight or less, specifically 75 parts by weight. If the amount of the ion-exchanged water to be used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reaction heat dur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f the amount exceeds the above range, excessive use of the ion-exchanged water results in a low slurry content.

상기 (a)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유화 중합 공정은 약 40 내지 65℃ 범위 내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중합 반응은 40 내지 60℃, 바람직하게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7 내지 10 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중합 반응은 40 내지 60℃, 바람직하게 40 내지 55℃ 에서 12 내지 18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The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for preparing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a)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about 40 to 65 ° C. Specifically, the first polymerization reaction can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40 to 60 占 폚, preferably 50 to 60 占 폚, for 7 to 10 hours. The secondary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at 40 to 60 캜, preferably 40 to 55 캜, for 12 to 18 hours.

(b)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 제조(b) Preparation of surface-modified nanosilica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제조하는 단계는 (b') 반응 용매에 나노실리카 투입한 후 분산하는 단계; (b") 상기 나노실리카가 분산된 반응 용액에 유기 실란 화합물을 투입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 용액을 40℃ 내지 60℃ 범위 내에서 교반하면서 표면 개질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b) of producing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may include: (b ') adding nanosilica to the reaction solvent and dispersing the nanosilica; (b ") a step of adding an organosilane compound to the reaction solution in which the nanosilica is dispersed to prepare a mixed solution, and (b" ')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이때, 상기 반응 용매로는 유기용매와 혼합성이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용매라면 제한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톨루엔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action solvent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solvent having excellent property of mixing with an organic solvent,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toluene and the like.

상기 방법은 질소상에서 톨루엔을 투입한 후, 기계적 교반과 울트라 소니케이션을 이용하여 나노실리카를 용해하고, 여기에 에탄올에 용해시킨 유기실란을 추가로 투입하여 혼합할 수 있다.The above method can be carried out by adding toluene on nitrogen, then dissolving the nanosilica with mechanical stirring and ultrasonication, and further adding the organosilane dissolved in ethanol to the mixture.

상기 유기 실란 화합물은 메타크릴옥시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을 포함할 수 있다.The organosilane compound may include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또한, 상기 나노실리카 : 유기 실란 화합물의 혼합비는 1 : 0.5 내지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유기 실란 화합물의 함량비가 0.5 미만이면 표면 개질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고, 1을 초과하면 극소수성을 나타내어 중합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에 있다. The mixing ratio of the nano-silica: organosilane compound is preferably 1: 0.5 to 1. If the content ratio of the organosilane compound is less than 0.5,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urface modification is not easy, and when the content is more than 1, the organosilane compound exhibits very low water solubility and is not easily polymerized.

상기 표면 개질 반응 단계는 구체적으로 45℃ 내지 55℃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surface modification reaction step may be carried out by stirring at 45 캜 to 55 캜 for 1 to 2 hours.

또한, 상기 방법은 표면 개질 반응 완료 후, (b"") 상기 혼합 용액을 냉각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분리한 다음, 추출 및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oling the mixed solution (b "") after completion of the surface modification reaction, separating the mixture using a centrifuge, and then extracting and drying.

상기 추출은 90℃ 이하의 진공 상태에서 건조된 샘플을 톨루엔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다시 90℃ 이하의 진공 상태에서 건조할 수 있다.The extraction can be performed by extracting the dried sample in a vacuum state at 90 DEG C or below with toluene. Subsequently, it can be dried again in a vacuum state at 90 DEG C or lower.

(c)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 제조(c) Preparation of Copolymer of Core-Shell Structure

상기 1차 유화 그라프트 중합 공정은 상기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에 유화제,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 및 중합개시제를 투입하고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imary emulsion graft polymerization process may include the step of charging and reacting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with an emulsifier, surface modified nanosilica,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이때, 상기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 및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의 혼합비는 최종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고무 중합체 코어는 55 내지 65중량%를 첨가하고, 상기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는 5 중량% 내지 15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만으로 투입되는 경우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ixing ratio of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and the surface modified nanosilica is 55 to 65%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final graft copolymer, and the surface modified nanosilica is 5% by weight By weight to 15% by weight. That is, when the amount is exceeded or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impact resistance is lowered.

상기 유화제는 첨가되는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전체 함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0.3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무 중합체 코어를 중합할 때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유화중합 기술에서 잘 알려진 다양한 종류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소듐도데실 설페이트(SD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각 단계에서 유화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보다 소량 사용하면 과량의 응고체를 형성하여 비합리적이며, 공정에서 생산성 저하를 초래한다. The emulsifier preferably comprises about 0.1 to 0.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to be added, and is selected from various types well known in emulsion polymerization techniques, But preferably sodium dodecyl sulfate (SDS) or the like can be used. If the amount of the emulsifier used in each step is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an excessive amount of coagulated solid is formed, which is unreasonable and causes a decrease in productivity in the process.

또한, 상기 중합개시제는 상기 첨가되는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전체 함량을 기준으로 약 0.5 중량% 내지 0.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무 중합체 코어를 중합할 때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과량 사용하면 입자의 표면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쉘 반응에서는 다량 사용을 피해야 한다.In addition,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preferably includes about 0.5% by weight to 0.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added, and the same types as those used for polymerizing the rubber polymer core may be used.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exceeds the above range, if it is used in exc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particles can be changed. Especially, in the shell reaction, a larg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hould be avoided.

또한,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 제조 시에 이온교환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사용량은 부타디엔 중합체 코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50 내지 20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보다 소량 사용하면 중합반응시 반응열의 조정이 힘들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과량 사용하면 슬러리 함량(Slurry content)이 낮아 공정에서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여 비합리적이다.The amount of the ion exchanged water may be about 50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utadiene polymer core. If the amou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amount of the slurry. If the amount of the slurry exceeds the above range, the slurry content is low, which causes a reduction in productivity in the process, which is unreasonable.

상기 1차 유화 그라프트 중합 반응은 약 40 내지 65℃ 범위 내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The primary emulsion graft polymeriza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about 40 to 65 ° C, more preferably 50 to 60 ° C.

(d) 코어-쉘-쉘 구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d) Preparation of Graft Copolymer of Core-Shell-Shell Structure

상기 (d) 2차 유화 그라프트 중합 반응은 상기 (c) 단계의 코어-쉘 구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한 용액에 유화제를 투입하고,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ulsion graft polymerization reaction (d), an emulsifier is added to a solution containing the graft copolymer of the core-shell structure in the step (c), and an alkyl acrylate monome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And then reacting the resultant mixture.

이때,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는 최종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제조된 제2 그라프트 쉘의 함량이 약 25 내지 30 중량%가 되도록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함량비는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굴절률이 변경되어 투명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lkyl acrylate monomer and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are preferably contained so that the content of the second graft shell prepared based on 100 wt% of the final graft copolymer is about 25 to 30 wt% The content ratio of the alkyl acrylate monomer and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is preferably 1: 1. That is, when the refractive index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refractive index is changed and transparency is lowered.

또한, 상기 유화제는 상기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전체 함량을 기준으로 약 약 0.1 내지 0.3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무 중합체 코어를 중합할 때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유화중합 기술에서 잘 알려진 다양한 종류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소듐도데실 설페이트(SDS)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emulsifier preferably contains about 0.1 to 0.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and is the same as that used when the rubber polymer core is polymeriz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sodium dodecyl sulfate (SDS) or the like.

또한, 상기 중합개시제는 상기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전체 함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0.3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무 중합체 코어를 중합할 때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preferably contains about 0.1 to 0.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ntent of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and the same one as used for polymerizing the rubber polymer core may be used.

상기 2차 유화 그라프트 중합 반응은 약 40 내지 65℃ 범위 내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The second emulsion graft polymerization reac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within a range of about 40 to 65 ° C, more preferably at a temperature of 50 to 60 ° C.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각 단계에서 단량체의 투입방법은 일시 투입 방법과 연속식 투입 방법이 병행된다. 예컨대, 상기 고무 중합체 코어 성분을 제조하는 코어 중합단계는 단량체를 프리에멀젼으로 만들지 않고 연속식 투입 방법으로 반응시켜 가공성을 증대시키고, 쉘 중합 단계는 가공성과 그라프트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모든 단량체를 일시 투입 방법을 이용해 그라프트 반응을 유도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introducing the monomers in each step is a combination of the temporary input method and the continuous input method. For example, the core polymerization step for preparing the rubber polymer core component may be carried out by continuously reacting the monomers with a continuous feed method without making the monomers into a pre-emulsion, thereby increasing the processability. The shell polymerization step is a step in which all the monomers The grafting reaction is induced by the injection method.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중합한 결과 투입된 단량체의 합과 동일한 100 중량부의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었다.As a result of the polymeriz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BS-based graft copolymer, which is the same as the sum of the charged monomers, could be obtained.

상기 제조된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항산화제와 교반하면서 염과 열, 산을 가하여 중합체와 물을 분리시킨 후, 탈수,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The prepared MBS-based graft copolymer was stirred with an antioxidant, salt, heat and acid were added to separate the polymer and water, followed by dehydration and drying to prepare a powder

상기 이중 쉘은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고무 중합체 코어가 충격강도를 잘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코어의 고무 중합체가 분산이 잘 되기 위해서 쉘을 잘 싸는 것이 중요하지만 쉘이 너무 두껍게 싸이면 외부로부터 받은 충격을 내부 코어로 전달할 수가 없어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사용되는 고무 중합체의 함량은 55 내지 65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한데, 고무 중합체의 함량이 55 중량% 미만이면 충격 보강 효과가 미미하고, 65 중량%를 초과하면 그라프트 단량체의 감소로 인하여 그라프트 율을 충분히 증가시킬 수 없고, 매트릭스 수지 내에 분산성이 저하되어 충격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중합 종료 후 응집 및 건조 시 괴상화하기 쉽다. The double shell serves to impart compatibility with the thermoplastic resin to the graft copolymer and allows the rubber polymer core to exert its impact strength well. It is important to wrap the shell well so that the rubber polymer of the core is dispersed well. However, if the shell is too thick, the impact received from the outside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inner core, and the impact resistance is lowered. Therefore, the content of the rubber polymer use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5 to 65 wt.%. If the content of the rubber polymer is less than 55 wt%, the impact reinforcing effect is insignificant. If the content of the rubber polymer is more than 65 wt% The grafting ratio can not be sufficiently increased, the dispersibility in the matrix resin is lowered, and the impact strength is lowered. Further, after the polymerization is completed, aggregation and drying tend to result in agglomeration.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된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열가소성 수지와 압출 과정을 통해 용융 및 혼합되어 펠렛의 형태로 가공되어 최종적인 고무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SAN),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M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염화비닐(PVC)와 같은 수지들이 있을 수 있으며, 사용되는 수지에 있어서는 크게 제한을 두지 않으며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다. The MBS-based graft copolymer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is conventionally melted and mixed with a thermoplastic resin through an extrusion process, and is processed into a pellet form to be made into a final rub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SAN), acrylonitrile-styrene-methyl methacrylate (MS resin), polycarbonate (PC),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vinyl chloride Resins can be used,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resin used, and when the impact resistance is required, the resin can be used freely.

아울러, 이들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와 압출, 사출 과정을 통해 용융 성형되는 과정에 있어 활제, 열안정제 및 기타 다른 가공을 위한 첨가제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들 종류에 대해서는 크게 제한을 두지 않는다.In addition, these graft copolymers can be used additionally for thermoplastic resins and lubricants, heat stabilizers and other processing additives in the process of melt molding through extrusion and extrusion processes, I do not.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코어-쉘-쉘 구조의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와,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로 이루어진 이중 그라프트 쉘을 포함함으로써, 메타크릴산의 축합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하여, 겔 생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투명성 또한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BS-based graft copolymer of the core-shell-she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rface-modified nanosilica and a double grafted shell composed of the alkyl acrylate monomer and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The condensation reaction of methacrylic acid does not occur, gel formation can be prevented, and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특히, 상기 본원발명의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염화비닐수지 제조 시에 충격보강제로 사용하는 경우, 염화비닐수지와의 결합력(상용성)이 향상되어, 그라프트 효율 증대 및 그라프트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 상승 효과로 인하여 그라프트 중합체 내 고무함량 증가시 발생하는 응집 온도 저하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메타크릴산의 카르복실산 그룹에 따른 고분자 중합체 표면에 안정성 및 좀더 정교한 쉘 구조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염화비닐수지 제조 시에 굴절율 차이에 따른 투명성 및 가공성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충격강도 및 응집 온도의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MBS graft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n impact modifier in the production of a vinyl chloride resin, the binding force (compatibility) with the vinyl chloride resin is improved, and the grafting efficiency is increased and the graft polym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ggregation temperature drop phenomenon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rubber content in the graft polymer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transition temperature (Tg),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on the polymer polymer surface depending on the carboxylic acid group of methacrylic acid, . ≪ / RTI > Therefore, the impact strength and the coagulation temperature can be improved without impairing the transparency and processability characteristics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vinyl chloride resin.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are provi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Example

(실시예 1)(Example 1)

(a)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a) a step of producing a butadiene-based rubber polymer

교반기가 장착된 120L의 고압중합용기에 1,3-부타디엔 30 중량부, 나트륨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0.1 중량부,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1 중량부,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초산염 0.2147 중량부, 황산 제1철 0.293 중량부, 및 이온교환수 75 중량부를 일괄 투여한 다음 40℃에서 7 시간 동안 1단계로 중합 반응하였고, 1단계 중합 전환율은 90% 이었다. 1단계 중합 이후에 부타디엔 70 중량부를 일괄 투여한 후 55℃에서 12 시간 동안 2단계로 중합하여 입자 크기가 0.1 ㎛이고 겔 함량이 70 %인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를 제조하였다.To a 120 L high-pressure polymeriza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30 parts by weight of 1,3-butadiene, 0.1 part by weight of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0.11 part by weight of t-butyl hydroperoxide, 0.2147 part by weight of ethylenediaminetetra sodium acetate, 0.293 parts by weight of iron, and 75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and then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in one step at 40 ° C for 7 hours.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conversion in the first step was 90%. After the first stage polymerization, 70 parts by weight of butadiene was added, and the mixture was polymerized in two stages at 55 DEG C for 12 hours to prepare a butadiene rubber polymer having a particle size of 0.1 mu m and a gel content of 70%.

(b)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 제조하는 단계(b) Step of preparing surface-modified nanosilica

교반기가 장착된 120ml의 반응기에 나노실리카 4g을 톨루엔과 함께 교반하여 소니케이션 (sonication)을 통해 분산시켰다. In a 120 ml reactor equipped with a stirrer, 4 g of nano silica was stirred with toluene and dispersed through sonication.

그 다음, 메타크릴옥시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2g (나노실리카:유기실란의 중량비 1:0.5)을 에탄올 10ml에 용해시킨 후, 나노실리카가 들어있는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50℃에서 1 시간 동안 반응한 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Subsequently, 2 g of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nano silica: organosilane weight ratio 1: 0.5) was dissolved in 10 ml of ethanol, and the solution was introduced into a flask containing nano silica, and reacted at 50 ° C. for 1 hour Then, it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이어서,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을 분리한 후, 90℃로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톨루엔을 사용하여 혼합물을 추출한 다음, 90℃로 진공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Then, the phases were separated using a centrifugal separator, and then dried at 90 DEG C under vacuum. The mixture was extracted with toluene and then dried at 90 DEG C under vacuum for 24 hours.

(c) 1차 그라프트 중합 공정(c) primary graft polymerization process

교반기와, 온도계, 질소투입구, 순환 콘덴서를 창작한 4구 플라스크의 반응기를 주입하고, 이온교환수 (deinonized water, DDI water) 120 중량부,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65중량%를 밀폐된 중합 반응기에 투입하여 질소로 충진한 후, 유화제 (SDS) 0.3 중량%를 투입하고, 이어서 45℃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5 중량%를 투입한 다음, 질소를 20분간 주입하였다.A stirrer, a thermometer, a nitrogen inlet, and a circulating condenser, was charged with 120 parts by weight of deionized water (DDI water), 120 parts by weight of a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prepared in the step (a) 65 wt% of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was charged into a closed polymerization reactor and charged with nitrogen. Then, 0.3 wt% of an emulsifier (SDS) was added thereto, and then, in step (b) 5% by weight of the prepared surface-modified nanosilica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was added and then nitrogen was injected for 20 minutes.

상기 반응액에 중합개시제인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중량%를 투입하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0.1% by weight of t-butyl hydroperoxid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added to the reaction solution, and the reaction was allowed to proceed for 2 hours.

(d) 2차 그라프트 중합 공정(d) Second graft polymerization process

상기 (c) 단계에서 제조된 1차 그라프트 중합체 용액에 유화제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초산염) 0.2 중량%를 투입한 후, 20분간 질소를 주입하고, 50℃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 및 스티렌 단량체 (SM)를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각각 15%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액에 중합개시제인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중량%를 투입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0.2 wt% of an emulsifier (ethylenediaminetetra sodium acetate) was added to the primary graft polymer solution prepared in the step (c), nitrogen was injected for 20 minutes, and methyl methacrylate (MMA) and styrene The monomer (SM) was added in an amount of 15%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Subsequently, 0.1 wt% of t-butyl hydroperoxid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added to the reaction solution, and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for 3 hours.

(e)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 제조 단계(e) Preparation of graft copolymer powder

상기 (d) 단계에서 제조된 고무 상태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산화방지제 (Irganox-245)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황산 수용액을 가하여 응집시킨 다음, 70℃에서 공중합체와 물을 분리시킨 후 탈수 건조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그라프트 고무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35℃였다.0.5 parts by weight of an antioxidant (Irganox-245)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rubbery graft copolymer prepared in the step (d), and the mixture was agitated with an aqueous sulfuric acid solution while stirring. Followed by dehydration and drying to obtain a graft copolymer powd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graft copolymer powder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At this tim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graft rubber polymer was -35 占 폚.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c) 1차 그라프트 중합 공정 단계에서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룰 55 중량%,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15 중량%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그라프트 고무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35℃였다.(C) 55% by weight of a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surface modified nanosilica in the first graft polymerization step, The graft copolymer powd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5 wt% of the final graft copolymer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was add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graft copolymer powder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At this tim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graft rubber polymer was -35 占 폚.

[실시예 3][Example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c) 1차 그라프트 중합 공정 단계에서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를 60 중량%,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10 중량%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그라프트 고무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35 ℃였다.(C) 60% by weight of a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5% by weight of surface modified nanosilica in the first graft polymerization step, Graft copolymer powd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0 weight% of the final graft copolymer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was add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graft copolymer powder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At this tim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graft rubber polymer was -35 占 폚.

[실시예 4][Example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b)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 제조 단계에서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 제조 시 메타크릴옥시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4g을 사용하여 나노실리카: 유기실란의 비가 1:1이 되도록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그라프트 고무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35 ℃였다.The procedure of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4 g of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was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in the step (b) of preparing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and the ratio of the nanosilica: organosilane was 1: 1, a graft copolymer powd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 tb > < TABLE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graft copolymer powder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At this tim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graft rubber polymer was -35 占 폚.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c) 1차 그라프트 중합 공정 단계에서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를 79 중량%,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1 중량%를 투입 (나노실리카: 유기실란의 중량비 0.5:1)하고, (d) 2차 그라프트 중합 공정 단계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 및 스티렌 단량체 (SM)를 각각 10 중량%를 투입하는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C) 79% by weight of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in the first graft polymerization step,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of 1 wt% (nano silica: organosilane weight ratio 0.5: 1), (d) methyl methacrylate (MMA) in the second graft polymerization step, And styrene monomer (SM) were added in an amount of 10 wt%, respectively, to obtain a graft copolymer powd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graft copolymer powder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포함하지 않고 ((c) 1차 그라프트 중합 단계 삭제), (d) 2차 그라프트 중합 공정 단계에서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를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70 중량%를 투입하는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어-쉘 구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procedure of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was not included ((c) the first graft polymerization step was omitted), (d)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was added to the second graft polymerization step Graft copolymer was added in an amount of 70% by weight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to obtain a graft copolymer powd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graft copolymer powder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c) 1차 그라프트 중합 공정 단계에서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를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20 중량%를 투입하는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C) 50% by weight of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in the first graft polymerization step,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was added in an amount of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graft copolym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graft copolymer powder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c) 1차 그라프트 중합 공정 단계에서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를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35 중량%,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35 중량%를 투입하는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C) 35% by weight of a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a surface modified nanosilica in the first graft polymerization step,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was added in an amount of 3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graft copolym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graft copolymer powder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c) 1차 그라프트 중합 공정 단계에서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를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40 중량%를 투입하고, (d) 2차 그라프트 중합 공정 단계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 및 스티렌 단량체 (SM)를 각각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C) 40% by weight of a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a surface modified nanosilica in the first graft polymerization step, (MMA) and styrene monomer (SM) were added in an amount of 10% by weight in the second graft polymerization step, (d) 40%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based on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content) The graft copolymer powd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graft copolymer powder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c) 1차 그라프트 중합 공정 단계에서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를 최종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을 기준으로 79 중량%,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 (나노실리카: 유기실란의 중량비 1:1.2)를 5 중량% 투입하고, (d) 2차 그라프트 중합 공정 단계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 및 스티렌 단량체 (SM)를 각각 10 중량%를 투입하는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c) In the first graft polymerization step,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was mixed with 79 wt% of the final MBS-based graft copolymer, 5 wt% of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nano silica: organosilane weight ratio 1: 1.2) Except that 10 wt% of methyl methacrylate (MMA) and styrene monomer (SM) were added in the second graft polymerization step (d), respectively,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Copolymer powder was obtain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graft copolymer powder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One

염화비닐수지 100 중량부, 열안정제(Sn 스테아레이트) 1.5 중량부, 내부활제(스테아린산 칼슘) 1.0 중량부, 외부활제(파라핀 왁스) 0.5 중량부, 가공조제(LG화학, PA-910) 0.5 중량부 및 안료 0.3 중량부를 고속 교반기를 이용하여 130℃의 온도에서 충분히 혼합하여, 염화비닐수지 마스터 배치를 제조한 다음, 상기 염화비닐수지 마스터 배치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각각의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 7 중량부를 투입하고, 200℃ 온도 조건에서 사출하여 물성 평가를 위한 샘플을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한 물성을 각각 표 1에 나타내었다., 0.5 parts by weight of an external lubricant (paraffin wax), 0.5 parts by weight of a processing aid (LG Chem, PA-910), 0.5 parts by weight of an antioxidant, And 0.3 parts by weight of a pigment were thoroughly mixed at a temperature of 130 캜 using a high-speed stirrer to prepare a masterbatch of vinyl chloride resin masterbatch. Then, in the above vinyl chloride resin masterbatch, 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7 parts by weight of each of the prepared MBS-based graft copolymer powder was injected and injected at a temperature of 200 ° C to prepare a sample for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were shown in Table 1.

* Izod 충격 강도의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6 에서 제조한 시트를 잘라 두께 0.5 mm, 10cm x 14cm의 시편을 제작 (ASTM D-256 규격)하여 25℃에서 2시간 숙성 후 원형 톱날을 회전시키며 15 mm/초의 속도로 톱날에 가했을 때 시편이 50% 깨지는 rpm을 측정한 다음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Evaluation of Izod Impact Strength: The sheets prepared 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were cut to prepare specimens having a thickness of 0.5 mm and 10 cm x 14 cm (ASTM D-256 standard) and aged at 25 ° C for 2 hours After rotating the circular saw blade, the rpm was measured at 50% cracking of the specimen when it was applied to the saw blade at a speed of 15 mm / sec.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 돌기 특성: 170도 롤-밀 (roll-mill) 가공 후 일정 면적에 있는 돌기 개수를 세어 비교 평가하였다 (5점 만점). 이때, 돌기 개수가 낮아 표면 상태가 우수한 경우를 5로 표기하였으며, 표면 상태가 나빠질수록 1에 가까운 것으로 표기하였다.* Projection characteristics: After 170-degree roll-mill processing, the projections counted on a certain area were compared and evaluated (out of 5 points). In this case,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projections is low and the surface state is excellent is represented by 5, and the closer to 1 the surface condition is, the closer it is to 1.

* 신율 평가: 돌기 평가 층정을 위해 가공한 샘플을 압출기를 이용하여 신율 평가용 샘플로 제조한 후 인장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측정 기기 내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수치상으로 표현되며 기존 시편 길이보다 늘어난 길이의 비율로 수치를 나타낸다. 이때, 수치값이 높을수록 물성이 우수하다.* Elongation Evaluation: The samples processed for the dendritic layering were prepared as elongation evaluation samples using an extruder and evaluated using a tensile machine. Due to the program in the measuring device, it is represented numerically and the numerical value is expressed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he existing specimen. At this time, the higher the numerical value, the better the physical properties.

Figure 112016069266774-pat00001
Figure 112016069266774-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타디엔계 충격보강제의 조성 및 구조를 변화시킬 경우 염화비닐 수지의 물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따른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쉘을 포함하는 충격보강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충격 강도는 모두 11 이상이고, 신율은 모두 220 이상으로 고르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돌기 특성 (5점 만점)은 5로 표면 상태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butadiene impact modifier were chang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vinyl chloride resin were improved.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impact modifiers (Examples 1 to 4) including the graft shell made of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act strength was all 11 or more and the elongation was evenly improved to 220 or more I could.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protruding property (5 out of 5 points) is 5 and the surface state is excellent.

이에 반해,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 함량이 5 중량% 이하인 동시에, 제2 쉘을 이루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함량이 20 중량% 이하인 비교예 1의 경우, 충격 강도는 10 이고, 신율은 205 및 돌기 특성이 3으로 물성이 모두 낮은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content of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is 5 wt% or less and the content of the alkyl acrylate monomer and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constituting the second shell is 20 wt% or less, the impact strength is 10, The elongation was 205 and the projection property was 3, indicating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all low.

또한,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와,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 함량이 35 중량% 이상으로 높은 비교예 4의 경우, 충격 강도, 신율 및 돌기 특성이 모두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in Comparative Example 2, which does not include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and Comparative Example 4, in which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content is higher than 35% by weight, the impact strength, elongation, and projection characteristics are all lower.

또한, 비교예 3의 경우, 신율은 증가하였지만, 돌기 특성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돌기 특성은 가공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즉, 신율이 높아도 돌기 특성이 낮으면, 최종 사용자의 가공 샘플의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it was confirmed that the elongation was increased, but the projection characteristic was low. The protrusion characteristic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workability. That is, if the elongation is high but the projection characteristic is low,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cessed sample of the end user may be affected.

또한,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 함량이 40 중량% 이상이고, 제2 쉘의 함량이 20 중량% 이하로 감소된 비교예 5의 경우, 염화비닐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 특성이 가장 많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5 in which the content of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was 40% by weight or more and the content of the second shell was reduced to 20% by weight or less, the compatibility with the vinyl chloride resin was lowered and the impact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characteristics Which is the most deteriorated.

한편, 비교예 6의 경우,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 중 유기 실란 화합물의 함량비가 1을 초과하면서 극소수성을 나타내어 쉘을 형성하기 위한 중합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신율과 돌기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6, since the content ratio of the organosilane compound in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exceeded 1 and showed extremely low water solubility, the polymerization for forming the shell was not easy, there was.

Claims (21)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
상기 고무 중합체 코어 표면에 피복된 이중 그라프트 쉘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이중 그라프트 쉘은
상기 고무 중합체 코어 표면에 피복되고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로 이루어진 제1 그라프트 쉘; 및
상기 제1 그라프트 쉘 표면에 피복되고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제2 그라프트 쉘;을 포함하는 것인 충격보강제용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로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 55 내지 65 중량%;
상기 제1 그라프트 쉘 5 내지 15 중량%; 및
상기 제2 그라프트 쉘 25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utadiene-based rubber polymer core;
A double graft shell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rubber polymer core,
The double grafted shell
A first graft shell consisting of nanosilica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rubber polymer core and surface modified; And
A second grafted shell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graft shell and consisting of a copolymer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and a second grafted shell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grafted shell and comprising a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for an impact modifier As a copolymer,
The graft copolymer
55 to 65 wt% of the butadiene-based rubber polymer core;
5 to 15% by weight of the first graft shell; And
And 25 to 30% by weight of the second graft shell; and a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는 나노실리카 표면 전면에 그라프트 중합이 가능한 유기 실란 화합물이 결합되어 있는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is an organosilane compound graft-polymerizable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nanosilic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 표면은 소수성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wherein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surface is hydrophobic.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는 산과 유기용매 하에서 나노실리카와 유기 실란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된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is prepared by reacting nanosilica with an organosilane compound in an acid and an organic solven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기 실란 화합물은 메타크릴옥시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을 포함하는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The method of claim 5,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wherein the organosilane compound comprises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나노실리카 : 유기 실란 화합물의 중량비는 1 : 0.5 내지 1인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nano-silica to the organosilane compound is 1: 0.5 to 1. 2. The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라프트 쉘에서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중량비는 1:1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alkyl acrylate monomer and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in the second graft shell is 1: 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lkyl acrylate mon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n-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Butadiene-styrene-based graft copolymer, which is a single substa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laur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hexyl methacrylate and 2-ethylhexyl methacrylat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Copolym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3,4-디클로로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is a single substa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ethylstyrene, p-methylstyrene, vinyltoluene and 3,4-dichlorostyre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 styrene-based graft copolym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30℃ 이하인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0 占 폚 or lower.
(a) 유화중합에 의하여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b)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조된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코어와, 상기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1차 유화 그라프트 중합시켜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조된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와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를 2차 유화 그라프트 중합시켜 코어-쉘-쉘 구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청구항 1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a) preparing a butadiene-based rubber polymer core by emulsion polymerization;
(b) preparing surface-modified nanosilica;
(c) preparing a copolymer of the butadiene-based rubber polymer core and the core-shell structure by first emulsion graft-polymerizing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And
(d) preparing a graft copolymer of a core-shell-shell structure by secondary emulsion graft-polymerizing a copolymer of the core-shell structure prepared above with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romatic monomer,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graft copolyme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a)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는
(a') 부타디엔 화합물, 유화제, 중합개시제,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 초산염, 황산 제1철 및 이온교환수를 일괄 투여하여 1차 중합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 및
(a") 중합전환율 90% 시점에 부타디엔 화합물 추가 투여하고, 2차 중합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a) preparing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comprises
(a ') conducting a first polymerization reaction by collectively administering a butadiene compound, an emulsifier, a polymerization initiator, ethylenediaminetetra sodium acetate, ferrous sulfate, and ion exchange water; And
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wherein the step (a ") further comprises adding a butadiene compound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90% to carry out a secondary polymerization reaction.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부타디엔 화합물은 1,3-부타디엔인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butadiene compound is 1,3-butadiene. 2. A process for producing a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tadiene compound is 1,3-butadien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a)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유화 중합 공정은 40℃ 내지 65℃ 범위 내에서 실시하는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core (a)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40 占 폚 to 65 占 폚.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b) 표면 개질된 나노실리카를 제조하는 단계는
(b') 반응 용매에 나노실리카 투입한 후 분산하는 단계;
(b") 상기 나노실리카가 분산된 반응 용액에 유기 실란 화합물을 투입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 용액을 40℃ 내지 60℃ 범위 내에서 교반하면서 표면 개질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b) of producing the surface-modified nanosilica comprises
(b ') adding nanosilica to the reaction solvent and dispersing the mixture;
(b ") adding an organosilane compound to the reaction solution in which the nanosilica is dispersed to prepare a mixed solution; and
(b "') a step of performing the surface modification reaction while stirring the mixed solution at 40 ° C to 60 ° C.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유기 실란 화합물은 메타크릴옥시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을 포함하는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organosilane compound comprises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ganosilane compound is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나노실리카 : 유기 실란 화합물의 중량비는 1 : 0.5 내지 1인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nano-silica to the organosilane compound is 1: 0.5 to 1.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표면 개질 반응 완료 후, (b"") 상기 혼합 용액을 냉각한 다음, 분리하여 추출 및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Said method further comprising, after completion of the surface modification reaction, (b ") cooling said mixed solution and then separating, extracting and drying said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G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1차 유화 그라프트 중합 반응은 40℃ 내지 65℃ 범위 내에서 실시하는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rimary emulsion graft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40 占 폚 to 65 占 폚.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2차 유화 그라프트 중합 반응은 40℃ 내지 65℃ 범위 내에서 실시하는 것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emulsion graft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40 占 폚 to 65 占 폚.
KR1020160090696A 2015-07-23 2016-07-18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type graft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99752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269 2015-07-23
KR20150104269 2015-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057A KR20170012057A (en) 2017-02-02
KR101997520B1 true KR101997520B1 (en) 2019-07-09

Family

ID=5815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696A KR101997520B1 (en) 2015-07-23 2016-07-18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type graft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52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417B1 (en) * 2017-06-30 2022-06-24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graft copolymer and graft copolymer
KR102165697B1 (en) * 2017-10-27 2020-10-14 주식회사 엘지화학 Graft copolymer,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thermoplastic resin
KR102247351B1 (en) 2017-12-18 2021-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ing core-shell copolymer, core-shell co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polymer
KR102470968B1 (en) * 2018-12-21 2022-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ing graft copolymer powd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21181T2 (en) * 1989-12-18 1996-01-25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Thermoplastic and manufacturing process.
KR100398737B1 (en) 1998-02-05 2003-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Preparation method of vinyl chloride-based resin with excellent impact resistance
KR101135749B1 (en) * 2006-12-27 2012-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Graft copolymer for impact modifier of polyvinylchloride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921209B1 (en) * 2007-12-05 2009-10-13 제일모직주식회사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reof,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101233503B1 (en) * 2009-12-29 2013-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ing the Methylmethacrylate-Butadien-Styrene Impact Modifi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Resistance Under Low Temperature and Wet heat Conditions
KR101391048B1 (en) * 2010-09-06 2014-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MBS Graft Copolym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PV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1714841B1 (en) * 2013-11-18 2017-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impact reinforcing agent comprising alkoxy silane compou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thermoplastic resin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057A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520B1 (en)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type graft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0180714B1 (en) Process for making encapsulated micro-agglomerated core/shell additives for pvc blends
KR101692106B1 (en) Acrylic impact modifier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acrylic resin comprising thereof
JP6230174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KR20120067316A (en) Impact modified thermoplastic composition with hydrolytic sensitivity to obtain higher fluidity while keeping high impact strength
CN107531912B (en) Thermoplastic graft copolymer resi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1189384B1 (en) Graft Copolymer Improving Impact And Adhesion Resistanc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PV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2011140668A (en) Impact resistance reinforcing agent for pvc res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5112606B2 (en) Impact modifier,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1566073B1 (en) Impact reinforce agent for PVC,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2024138B1 (en) Impact strength modifiers,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polylactic acid/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6754818B2 (en) Method for producing core-shell copolymer, core-shell co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6348615B2 (en) Acrylic processing aid and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0548626B1 (en) Rubber Latex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32256B1 (en) Thermoplastic resin, method for preparing the resin,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CN112940204B (en) Preparation method of polybutadiene latex for agglomeration and prepared ABS resin
JP2002053729A (en) Impact modifier improved in blocking resistance
KR102316287B1 (en) Core-shell copolymer, method for preparing the co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polymer
KR20190130507A (en) Matrix copolymer,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1620134B1 (en) Graft copolymer using water-soluble comonom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poly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copolymer
KR101540542B1 (en)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impact modifier an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0454023B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graft copolymer of methylmethacrylate -butadiene-styrene havng superior anti-stress whitening property
KR101777922B1 (en) Graft copolymer,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CN113135999B (en) Toughening modifier for preparing polyvinyl chloride, polyvinyl chloride composition and application
JP7205985B2 (en) CORE-SHELL CO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