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209B1 -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reof,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reof,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209B1
KR100921209B1 KR1020070125483A KR20070125483A KR100921209B1 KR 100921209 B1 KR100921209 B1 KR 100921209B1 KR 1020070125483 A KR1020070125483 A KR 1020070125483A KR 20070125483 A KR20070125483 A KR 20070125483A KR 100921209 B1 KR100921209 B1 KR 100921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crylate
mixtures
impac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58745A (en
Inventor
정동욱
장기보
김유호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5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209B1/en
Publication of KR2009005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7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209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6Vinyl aromatic monomers and methacrylat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충격보강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디엔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1 그라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 그라프트 중합체에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투입, 중합하여 제2 그라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 그라프트 중합체에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독 또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에폭사이드 화합물의 혼합물을 투입, 중합하여 그라프트 중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충격보강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preparing a first graft polymer by graft polymerizing a diene rubber and an aromatic vinyl monomer; A second step of preparing a second graft polymer by adding and polymerizing an epoxide compound to the first graft polymer; And a third step of graft polymerization by adding and polymerizing an alkyl (meth) acrylate alone or a mixture of an alkyl (meth) acrylate and an epoxide compound to the second graft polym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충격보강용 공중합체, 에폭사이드 화합물, 결정형 수지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epoxide compound, crystalline resin

Description

충격보강용 공중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Impact Reinforcing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reof,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Impact Reinforcing Copolymer, Manufacturing Method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reof,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발명의 분야Field of invention

본 발명은 충격보강용 공중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내충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엔계 고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그라프트 중합하는 단계에 있어서,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제2단계에 도입하여 공중합시킴으로서 충격보강효과가 더욱 향상된 충격보강용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n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n the graft polymerization of the diene rubber, the aromatic vinyl monomer and the alkyl (meth) acrylate, the impact reinforcement effect is further improved by introducing the epoxide compound into the second step to copolymerize. A copolymer for and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발명의 배경Background of the Invention

폴리부타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에스테르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폴리염화비닐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내후성 및 가공성을 보강하는 기술은 잘 알려져 있다.Techniques for graft copolymerizing aromatic vinyl monomers and ester monomers on polybutadiene rubber to reinforce the impac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and workability of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polyvinyl chloride as a main component are well known.

이러한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충격보강제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이하, "MBS")계 충격보강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이하, "ABS")계 충격보강제, 할로겐화 폴리에틸렌(이하, "CPE")계 충격보강제 및 아크릴레이트계 충격보강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As an impact modifier of such polyvinyl chloride resin, a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BS") impact modifier, 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BS") impact modifier, a halogenated polyethylene ( Hereinafter, "CPE") impact modifiers and acrylate impact modifiers have been generally used.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충격보강제는 폴리염화비닐수지의 충격 보강효과에는 효과적이지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 등 다른 수지에 있어서 충격보강 효과는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However, the impact modifiers developed so far are effective for the impact reinforcement effect of polyvinyl chloride resin, but the impact reinforcement effect is satisfactory in other resins such as polycarbonate, polyethyl terephthalate, nylon and polybutyl terephthalate. There was no.

일본 특공소 제52-68706호, 제55-179501호, 제57-122445호 및 미국특허등록 제6,331,580호에서는 MBS계 충격보강제에 의해 내충격성 등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들에 의해 제조된 MBS계 충격보강제는 2∼3 단계의 다단계 유화중합에 의한 것으로, 디엔계 고무상에 방향족 비닐,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중합 단량체를 그라프트 중합시켜 쉘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언급된 MBS계 충격보강제는 폴리비닐염화수지의 충격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 등에 적용할 경우, 충격보강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s. 52-68706, 55-179501, 57-122445 and U.S. Patent No. 6,331,580 disclose methods of increasing impact resistance and the like by MBS-based impact modifiers. The MBS-based impact modifier prepared by the above patents is a two-stage multistage emulsion polymerization, and is composed of graft polymerized monomers such as aromatic vinyl and alkyl methacrylate on a diene rubber to form a shell. . However, since the MBS-based impact modifier mentioned in the patent was prepar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impact of the polyvinyl chloride resin, when applied to polycarbonate, polyethyl terephthalate, nylon and polybutyl terephthalate, the impact reinforcing effect Has the problem of falling.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0-22759호에서는 코어를 구성하는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중합한 다음, 알킬아크릴레이트를 중합하여 중간층을 형성한 후,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단량체를 중합하여 충격보강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 다. 그러나, 상기에서 제조된 충격보강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실용충격성을 높여 주는 장점이 있으나, 폴리염화비닐 이외의 수지에의 적용성은 입증되지 않았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22759 discloses a method of preparing an impact modifier by polymeriz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to rubber constituting the core, then polymerizing an alkyl acrylate to form an intermediate layer, and then polymerizing an acrylic acid alkyl ester monomer. Is doing. However, the impact modifiers prepared above have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practical impact of the polyvinyl chloride resin, the applicability to resins other than polyvinyl chloride has not been proved.

또한, WO 02/34806에서는 가교제인 디비닐벤젠을 사용하여 충격보강제 경질부분에 공중합시켜 폴리염화비닐의 충격보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 제조된 충격보강제는 폴리염화비닐과의 충격보강 성능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가교제로 사용된 디비닐벤젠이 그라프트되지 않은 가교 고분자의 생성을 유도시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에 적용할 경우, 충격보강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WO 02/34806 discloses a method of improving the impact reinforcement of polyvinyl chloride by copolymerizing a hard part with an impact modifier using divinylbenzene as a crosslinking agent. However, the impact modifier prepared in the patent may improve the impact reinforcement performance with polyvinyl chloride, but divinylbenzene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induces the production of an grafted crosslinked polymer, thereby making polycarbonate and polyethyl terephthalate When applied to resins such as nylon and polybutyl terephthalate, impact reinforcing performance may be degraded.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디엔계 고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그라프트 중합하는 단계에 있어서,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중간층 및 경질 부분에 공중합 시킴으로서, 화학적인 친화성을 증대시켜 폴리염화비닐의 충격보강 효과를 최대한 나타내면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및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 등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충격보강 효과가 더욱 향상된 충격보강용 공중합체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ors graft polymerized diene rubber, aromatic vinyl monomer, and alkyl (meth) acrylate, thereby copolymerizing the epoxide compound to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hard part, thereby improving chemical affinity. By increasing the impact reinforcing effect of polyvinyl chloride to the maximum,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having improved the impact reinforcing effect of other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polycarbonate, polyethyl terephthalate, polyamide and polybutyl terephthalate has been developed.

본 발명의 목적은 디엔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충격보강제의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method for producing a diene rubber-aromatic vinyl compound-alkyl (meth) acrylate-based impact modifi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염화비닐 수지뿐만 아니라,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등의 비결정형 수지나 폴리에틸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결정형 수지 등의 모든 열가소성 수지의 충격보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격보강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impact reinforcement performance of not only polyvinyl chloride resins, but also all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amorphous resins such as polycarbonate and polyamide, and crystalline resins such as polyethyl terephthalate, nylon and polybutyl terephthalate. To provide an impact modifier that can be ma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충격보강제를 적정한 함량으로 적용하여 우수한 내충격성 및 기계적 물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by applying the impact modifier in an appropriate amount.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Hereinafter,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의 충격보강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디엔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1 그라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 그라프트 중합체에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투입, 중합하여 제2 그라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 그라프트 중합체에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독 또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에폭사이드 화합물의 혼합물을 그라프트 중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70 내지 99 중량% 및 상기 충격보강용 공중합체 1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Method for producing a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of the thermoplastic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graft polymerization of a diene rubber and an aromatic vinyl monomer to prepare a first graft polymer; A second step of preparing a second graft polymer by adding and polymerizing an epoxide compound to the first graft polymer; And a third step of graft polymerizing the alkyl (meth) acrylate alone or a mixture of the alkyl (meth) acrylate and the epoxide compound to the second graft polym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sisting of 70 to 99%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and 1 to 30% by weight of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제1단계First stage

디엔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1 그라프트 중합체를 제조한다.The first graft polymer is prepared by graft polymerization of the diene rubber and the aromatic vinyl monomer.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디엔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에 유화제, 중합개시제 및 그라프트제를 투입하여 중합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ne rubber and the aromatic vinyl monomer are polymerized by adding an emulsifier,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graft agent.

다른 구체예에서는 디엔계 고무에 탈이온수, 유화제, 환원제, 산화제, 전해질 등의 일반적인 첨가제를 투입하고 반응 온도를 약 50∼80 ℃, 바람직하게는 60 ∼75 ℃ 승온한 후,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합개시제 및 그라프트제를 주입한 다음, 1 내지 4 시간 중합시켜 전환율 85 내지 97 % 까지 중합시킨다.In another embodiment, general additives such as deionized water, an emulsifier, a reducing agent, an oxidizing agent, an electrolyte, and the like are added to the diene rubber,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is raised to about 50 to 80 ° C, preferably 60 to 75 ° C, and then the aromatic vinyl monomer, After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the graft agent are injected, the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for 1 to 4 hours to polymerize the conversion to 85 to 97%.

상기 디엔계 고무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클로로프렌,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중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타디엔 및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이다. 상기 디엔계 고무는 평균 입자경이 0.1∼1 ㎛, 바람직하게는 0.1∼0.8 ㎛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디엔계 고무는 전체 모노머 함량중 60∼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80 중량부로 사용된다.The diene rubber may be polybutadiene, polyisoprene, polychloroprene, butadiene-styrene copolymer, butadiene-acrylonitrile copolymer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mong these are polybutadiene and butadiene-styrene copolymers. The diene rubber preferably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to 1 mu m, preferably 0.1 to 0.8 mu 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ne rubber is used in 60 to 80 parts by weight, preferably 70 to 8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content.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α-에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중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전체 모노머 함량 5∼2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5∼2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 중량부로 사용된다.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할 경우, 충격 보강 성능이나 기타 가공안정성,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하다.As the aromatic vinyl monomer, styrene, α-ethylstyrene, α-methylstyrene, or the lik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Among these, preferably styren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omatic vinyl monomer is used in an amount of 5 to 25 parts by weight, preferably 6.5 to 2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8 to 15 parts by weight. When used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impact reinforcement performance or other processing stability, productivity.

상기 유화제로는 칼륨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나트륨 도데실벤젠 설페이트, 칼륨 올레익 설페이트, 칼륨 올레이트, 로진산 염, 지방산 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화제는 충격보강용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3 중량부로 사용된다.The emulsifier may include potassium stearate, sodium dodecyl sulfate, sodium dodecylbenzene sulfate, potassium oleate sulfate, potassium oleate, rosin acid salts, fatty acid salts,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mulsifier is used in 0.5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그라프트제로는 디비닐벤젠, 트리비닐벤젠, 트리알킬이 소시아누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알릴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이 한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중합성 이중 결합이 있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그라프트제는 충격보강용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graft ag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ivinylbenzene, trivinylbenzene, trialkyl isocyanurate may be used, and two or more polymerizable doubles in one molecule such as allyl 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tc. Methacrylic monomers having a bond may be used. The graft ag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at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중합개시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벤조일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AIBN)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benzoyl 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azobisisobutylonitrile (AIBN), and the lik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환원제, 산화제, 전해질 등의 첨가제는 통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종류 및 함량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Additives such as reducing agents, oxidizing agents, electrolytes, and the like may be used in general, and the type and content may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제2단계2nd step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제1 그라프트 중합체에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투입, 중합하여 제2 그라프트 중합체를 제조한다.An epoxide compound is added to the first graft polymer prepared in the first step and polymerized to prepare a second graft polymer.

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로는 알켄에폭사이드, 사이클로디엔에폭사이드, 글리시딜알킬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Alkenepoxide, cyclodiene epoxide, glycidyl alkyl methacrylate may be used as the epoxide compound,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상기 알켄에폭사이드는 디펜텐디옥사이드, 1,2,7,8-디에폭시옥탄, 도데카트리엔디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로디엔에폭사이드는 bi-사이클로헵타디엔디에폭사이드, 비닐사이클로디옥사이드, 비닐사이클로펜타 디엔디옥사이드, 부텐사이클로펜텐디옥사이드, bi-사이클로펜타디엔디에폭사이드, bis(c,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알킬메타크릴레이트는 1,4-부탄디올디글릴시딜에테르, 비스글리시딜에테르비스페놀-A,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트리글리시딜아이소시아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alkene epoxide, dipentene dioxide, 1,2,7,8-diepoxyoctane, dodecatriene dioxide and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The cyclodiene epoxide is bi-cycloheptadiene diepoxide, vinyl cyclodioxide, vinyl cyclopenta diene dioxide, butene cyclopentene dioxide, bi-cyclopentadiene diepoxide, bis (c, 4 epoxycyclohexylmethyl) Adipates and mixtures thereof can be used. As the glycidyl alkyl methacrylate, 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bisglycidyl ether bisphenol-A, glycidyl methacrylate, triglycidyl isocyanurate and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have.

본 발명에서 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은 제2단계에서 전체 모노머 함량중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 중량부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에폭사이드 화합물이 가교성을 띠기 때문에 제조된 충격보강제가 매트릭스 수지의 외관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충격보강 효과가 미미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poxide compound is preferably added to 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5 to 5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content in the second step. If it is added in excess of 10 parts by weight, since the epoxide compound is crosslinkable, the prepared impact modifier may lower the appearance of the matrix resin. In addition, when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impact reinforcing effect is insignificant.

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의 투입은 일시에 투입하거나, 10분 내지 180 분, 바람직하게는 20분 내지 60분 동안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The addition of the epoxide compound may be added at a time, or continuously for 10 minutes to 180 minutes, preferably 20 minutes to 60 minutes.

본 발명의 제2단계에서는 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과 함께 중합개시제를 투입하여 중합할 수 있다. 제2단계에서 사용되는 중합개시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상기 제1단계에서 사용된 중합개시제와 동일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second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lymerized by adding a polymerization initiator with the epoxide compound.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n the second ste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sam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n the first step may be used.

상기 제2단계에서 중합 온도는 약 50∼80 ℃, 바람직하게는 60∼75 ℃에서 진행하며, 약 10 분 내지 120 분 동안 중합시킨다.In the second step,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is performed at about 50 to 80 ° C., preferably at 60 to 75 ° C., and the polymerization is performed for about 10 to 120 minutes.

제3단계3rd step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제2 그라프트 중합체에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투입하여 그라프트 중합한다.An alkyl (meth) acrylate is added to the second graft polymer prepared in the second step to perform graft polymerization.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제2 그라프트 중합체에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개시제와 함께 투입하여 그라프트 중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lkyl (meth) acrylate may be added to the second graft polymer together with an initiator to perform graft polymerization.

본 발명의 다른 구체에에서는 상기 제2 그라프트 중합체에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과 함께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함께 투입하여 그라프트 중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미리 혼합하여 개시제와 함께 투입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graft polymer may be grafted by adding an epoxide compound together with an alkyl (meth) acrylate. In this case, the alkyl (meth) acrylate and the epoxide compound may be mixed in advance and added together with the initiator.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전체 모노머 함량중 5∼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2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0∼20 중량부로 투입한다.As the alkyl (meth) acrylat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Etc.,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as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kyl (meth) acrylate is added to 5 to 20 parts by weight, preferably 7 to 2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10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content.

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은 알켄에폭사이드, 사이클로디엔에폭사이드, 글리시딜알킬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epoxide compound may be used alkene epoxide, cyclodiene epoxide, glycidyl alkyl methacrylat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알켄에폭사이드는 디펜텐디옥사이드, 1,2,7,8-디에폭시옥탄, 도데카트리엔디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로디엔에폭사이드는 bi-사이클로헵타디엔디에폭사이드, 비닐사이클로디옥사이드, 비닐사이클로펜타디엔디옥사이드, 부텐사이클로펜텐디옥사이드, bi-사이클로펜타디엔디에폭사이드, bis(c,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알킬메타크릴레이트는 1,4-부탄디올디글릴시딜에테르, 비스글리시딜에테르비스페놀-A,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트리글리시딜아이소시아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alkene epoxide, dipentene dioxide, 1,2,7,8-diepoxyoctane, dodecatriene dioxide and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The cyclodiene epoxide is bi-cycloheptadiene diepoxide, vinyl cyclodioxide, vinyl cyclopentadiene dioxide, butene cyclopentene dioxide, bi-cyclopentadiene diepoxide, bis (c, 4 epoxycyclohexylmethyl) Adipates and mixtures thereof can be used. As the glycidyl alkyl methacrylate, 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bisglycidyl ether bisphenol-A, glycidyl methacrylate, triglycidyl isocyanurate and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have.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제3단계에서 투입되는 에폭사이드 화합물은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된 에폭사이드 화합물과 동일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poxide compound introduced in the third step may be the same as the epoxide compound used in the second step.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제3단계에서 투입되는 에폭사이드 화합물은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된 에폭사이드 화합물과 다른 것이 사용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poxide compound introduced in the third step may be different from the epoxide compound used in the second step.

제3단계에 에폭사이드 화합물은 전체 모노머 함량중 2 중량부 이하로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7 중량부 이하로 투입된다. In the third step, the epoxide compound is added in 2 parts by weight or less of the total monomer content, preferably 1 part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0.7 parts by weight or less.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제3단계에 에폭사이드 화합물은 전체 모노머 함량중 0.1∼2 중량부로 투입된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은 전체 모노머 함량중 0.3∼1 중량부로 투입된다. 만일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에폭사이드 화합물이 가교성을 띠기 때문에 제조된 충격보강제가 매트릭스 수지의 외관을 저하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poxide compound is added at 0.1 to 2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content in the third step. In another embodiment, the epoxide compound is added at 0.3 to 1 part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content. If it is added in excess of 2 parts by weight, the impact modifier prepared may reduce the appearance of the matrix resin because the epoxide compound is crosslinkable.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폭사이드 화합물과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은 일시에 투입하거나, 30분 내지 180분, 바람직하게는 70분 내지 150분 동안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The alkyl (meth) acrylate or the mixture of the epoxide compound and the alkyl (meth) acrylate may be added at a time, or continuously for 30 minutes to 180 minutes, preferably 70 minutes to 150 minutes.

본 발명의 제3단계에서는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과 함께 중합개시제를 투입하여 중합할 수 있다. 제3단계에서 사용되는 중합개시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 며, 상기 제1 및 제2단계에서 사용된 중합개시제와 동일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third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lymerized by adding a polymerization initiator with the alkyl (meth) acrylate.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n the third ste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sam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n the first and second steps may be used.

상기 제3단계에서 중합 온도는 약 50∼80 ℃, 바람직하게는 60∼75 ℃에서 진행하며, 약 30 분 내지 120 분 동안 중합시킨다.In the third step,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is performed at about 50 to 80 ° C., preferably 60 to 75 ° C., and the polymerization is performed for about 30 to 120 minutes.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단계에서 얻은 공중합체를 응고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제3단계에서 얻은 공중합체에 산화방지제를 첨가한 후, 응고시킬 수 있다. 상기 응고 및 건조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olidifying and drying the copolymer obtained in the third step. In addition, after the antioxidant is added to the copolymer obtained in the third step, if necessary, it can be solidified. The solidification and drying method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응고 및 건조 단계를 거친 최종 생성물은 백색을 띈 분말형태이다.The final product passed through the solidification and drying steps is in the form of a white powder.

본 발명은 상기로부터 제조된 충격보강용 공중합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충격보강용 공중합체를 포함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충격보강 효과를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prepared above.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xcellent impact reinforcing effect.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로부터 제조된 충격보강용 공중합체를 통상의 방법으로 블렌드하여 제조된다.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s prepared by blending a thermoplastic resin and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prepared above in a conventional manner.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열가소성 수지 70 내지 99 중량% 및 (B) 상기 충격보강용 공중합체 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 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충격보강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충격보강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본래의 열가소성 수지의 특성이 없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es (A) 70 to 99 wt% of the thermoplastic resin and (B) 1 to 30 wt% of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When used in less than 1% by weight, the impact reinforcing effect may be insignificant. If it exceeds 30% by weight, the impact reinforcing effect may be lower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thermoplastic resin may be lost.

본 발명에서 매트릭스로 사용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A)는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염화비닐수지, 폴리아미드 등 을 포함하는 모든 열가소성 수지에 적용될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resin (A) which can be used as a matrix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thermoplastic resins including polybutyl terephthalate, polyethyl terephthalate, polycarbonate, vinyl chloride resin, polyamide and the like. These thermoplastic resin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본 발명의 충격보강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구성 성분 외에도 각각의 용도에 따라 난연보조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보강제 등의 일반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general additives such as flame retardant aids, lubricants, mold release agents, nucleating agents, antistatic agents, stabilizers, reinforcing agent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The invention can be better understood by the following examples, which are intend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protec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제1단계First stage

겔 함유율 80 %이고 평균 입경 0.3 ㎛인 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혼합물 75 중량부(이하 중량부는 모두 고형분 기준), 탈이온수 150 중량부, 유화제로 스테아릴산 칼륨 0.3 중량부, 나프탈렌 설폰산 나트륨과 전해질인 수산화칼륨 0.02 중량부, 킬레이트 피로인산나트륨 0.2 중량부와 개시 촉진제 황산제일철 0.01 중량부, 환원제 글루코스 0.3 중량부를 반응기에 주입하고 온도를 70℃로 승온시켰다. 중합개시제 큐멘하이드로 퍼옥사이드 0.17 중량부, 스티렌 10.5 중량부 및 아릴메타크릴레이트 0.19 중량부를 30분 동안 반응기를 교반시키면서 주입하고, 이 온도 에서 2 시간 동안 중합을 진행시켜 전환율 96 %에 도달하였다.75 parts by weight of a butadiene rubbery polymer latex mixture having a gel content of 80% and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3 μm (hereinafter, all parts by weight are based on solids), 150 parts by weight of deionized water, 0.3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stearylate as an emulsifier, sodium naphthalene sulfonate and electrolyte 0.02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hydroxide, 0.2 parts by weight of sodium chelated pyrophosphate, 0.01 parts by weight of ferrous sulfate initiator, and 0.3 parts by weight of reducing agent glucose were introduced into the reactor,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70 ° C. 0.17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cumenehydroperoxide, 10.5 parts by weight of styrene and 0.19 parts by weight of arylmethacrylate were injected with stirring the reactor for 30 minutes, and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at this temperature for 2 hours to reach a conversion rate of 96%.

제2단계2nd step

상기 제1 단계의 중합이 완료된 후, 70 ℃에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05 중량부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 중량부를 30분 동안 투입한 후 30분간 유지시킨다.After the polymerization in the first step is completed, 0.05 parts by weight of cumene hydroperoxide and 2 parts by weight of glycidyl methacrylate are added for 30 minutes at 70 ° C. and maintained for 30 minutes.

제3단계3rd step

상기 제2 단계의 중합이 완료된 후, 70 ℃에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2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2 중량부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0.5 중량부의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연속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중합을 완결하여 전환율 99 %인 중합체 라텍스를 얻었다.After the completion of the polymerization in the second step, a mixture of 0.2 parts by weight of cumene hydroperoxide, 12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and 0.5 parts by weight of glycidyl methacrylate at 70 ° C. was continuously added for 2 hours and aged for 1 hour. After the polymerization was completed, a polymer latex having a conversion rate of 99% was obtained.

상기 제3 단계의 중합체 라텍스 100 중량부에 산화방지제로 부틸화된 메틸페놀 0.5 중량부와 칼슘클로라이드 2% 수용액 150 중량부에 65℃에서 투입하여 응고시킨 다음 세척하고 건조시켜 MBS 백색 분말을 수득하였다.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latex of the third step, 0.5 parts by weight of methyl butylated methylphenol and 15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hloride 2% aqueous solution were added to solidify at 65 ° C., washed and dried to obtain MBS white powder. .

실시예 2∼6Examples 2-6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구성성분의 조성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As described in Table 1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changing the composition of each component.

비교실시예 1Comparative Example 1

제1단계에서 스티렌 11.5 중량부를 투입하고, 제2단계를 실시하지 않았으며, 제3단계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3.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11.5 parts by weight of styrene was added in the first step, the second step was not performed, and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13.5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was used in the third step.

비교실시예Comparative Example 2 2

제2 및 제3단계에서 에폭사이드 화합물 대신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butyl acrylate was added instead of the epoxide compound in the second and third steps.

[표 1]TABLE 1

Figure 112007087554785-pat00001
Figure 112007087554785-pat00001

상기와 같이 제조된 MBS 분말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측정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BS powder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ere evaluated in the following manner, and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1) 아이조드 충격강도(kgf·cm/cm)1) Izod impact strength (kgfcm / cm)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에 상기 제조된 충격보강제 5 중량부, 다이부틸말레이드 3.0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부틸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압출 및 사출하여 1/8" 아이조드 충격시편을 제조하였다. 23 ℃와 -30℃에서 ASTM D256 방법에 의해 충격강도를 측정하였고, 제작된 동일 시편에 대하여 20 ℃와 60 ℃에서 각각 1 시간씩 유지하는 방법으로 5회 반복한 후 수지의 주변온도 변화에 따른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5 parts by weight of the above-mentioned impact modifier, 3.0 parts by weight of dibutyl maleade and 1.0 parts by weight of butyl stearate we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polybutyl terephthalate to extrude and inject to prepare an 1/8 "IZOD impact specimen. The impact strength was measured by ASTM D256 method at -30 ° C, and repeated 5 times in a method of maintaining the same specimen for 1 hour at 20 ° C and 60 ° C respectively, and then the impact strength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resin was measured. Measured.

2) Elongation(%) : 상기 아이조드 측정 시편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폭 3.2 mm, 길이 13 mm의 시편을 제조하여 Instron으로 측정하였다.2) Elongation (%): A specimen of 3.2 mm in width and 13 mm in lengt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Izod measurement specimen preparation method and measured by Instron.

[표 2]TABLE 2

Figure 112007087554785-pat00002
Figure 112007087554785-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제2단계에서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투입한 실시예 1∼7의 경우, 제2단계에서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투입하지 않은 비교실시예 1∼2에 비하여 우수한 충격강도 향상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From the results of Table 2,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7 where the epoxide compound was added in the second step,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s 1 to 2 without adding the epoxide compound in the second step, an excellent impact strength improvement effect It can be seen that.

본 발명은 비결정형 또는 결정형 열가소성 수지에 사용될 수 있는 우수한 충격강도 향상효과를 나타내는 충격보강용 공중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충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exhibiting an excellent impact strength improving effect that can be used in amorphous or crystalline thermoplastic resins,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n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ll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seen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디엔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1 그라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제1단계;Graft polymerization of a diene rubber and an aromatic vinyl monomer to prepare a first graft polymer; 상기 제1 그라프트 중합체에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투입, 중합하여 제2 그라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 및A second step of preparing a second graft polymer by adding and polymerizing an epoxide compound to the first graft polymer; And 상기 제2 그라프트 중합체에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투입, 중합하는 제3단계;A third step of adding and polymerizing an alkyl (meth) acrylate to the second graft polymer;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강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프트 중합체는 디엔계 고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에 유화제, 중합개시제 및 그라프트제를 투입하여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강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graft polymer is polymerized by adding an emulsifier,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graft agent to a diene rubber and an aromatic vinyl monom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칼륨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나트륨 도데실벤젠 설페이트, 칼륨 올레익 설페이트, 칼륨 올레이트, 로진산 염, 지방산 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중합개시 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그라프트제는 디비닐벤젠, 트리비닐벤젠, 트리알킬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강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mulsifi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tassium stearate, sodium dodecyl sulfate, sodium dodecylbenzene sulfate, potassium oleate sulfate, potassium oleate, rosin acid salts, fatty acid salts and mixtures there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nzoyl 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azobisisobutylonitrile and mixtures thereof; The graft agent of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vinylbenzene, trivinylbenzene, trialkyl isocyanurate, allyl 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mixtures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엔계 고무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클로로프렌,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α-에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강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ene rubb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butadiene, polyisoprene, polychloroprene, butadiene-styrene copolymers, butadiene-acrylonitrile copolymers and mixtures thereof; The aromatic vinyl mon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α-ethylstyrene, α-methylstyrene and mixtures thereof; The alkyl (meth) acrylate i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ixtur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은 알켄에폭사이드, 사이클로디엔에폭사이드, 글리시딜알킬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강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poxide compound is prepar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ene epoxide, cyclodiene epoxide, glycidyl alkyl methacrylate and mixtures thereof. Wa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켄에폭사이드는 디펜텐디옥사이드, 1,2,7,8-디에폭시옥탄, 도데카트리엔디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이고; 사이클로디엔에폭사이드는 bi-사이클로헵타디엔디에폭사이드, 비닐사이클로디옥사이드, 비닐사이클로펜타디엔디옥사이드, 부텐사이클로펜텐디옥사이드, bi-사이클로펜타디엔디에폭사이드, bis(c,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고; 글리시딜알킬메타크릴레이트는 1,4-부탄디올디글릴시딜에테르, 비스글리시딜에테르비스페놀-A,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트리글리시딜아이소시아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강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6. The compound of claim 5, wherein the alkene epoxide is dipentene dioxide, 1,2,7,8-diepoxyoctane, dodecatrioxide, and mixtures thereof; Cyclodiene epoxides are bi-cycloheptadiene diepoxide, vinyl cyclodioxide, vinylcyclopentadiene dioxide, butenecyclopentene dioxide, bi-cyclopentadiene diepoxide, bis (c, 4 epoxycyclohexylmethyl) adiene Pates and mixtures thereof; Glycidylalkyl methacrylate is 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bisglycidyl ether bisphenol-A, glycidyl methacrylate, triglycidyl isocyanurate and mixtures thereof Method of producing an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과 함께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투입하여 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강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Claim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third step, an epoxide compound is added together with an alkyl (meth) acrylate to polymerize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엔계 고무는 60∼80 중량부,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5∼25 중량부,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5∼20 중량부를 투입하고, 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은 제2단계에 1∼10 중량부로 투입하고, 제3단계에 0.1∼2 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강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ene rubber is 60 to 80 parts by weight, the aromatic vinyl monomer is 5 to 25 parts by weight, the alkyl (meth) acrylate 5 to 20 parts by weight, the epoxide compound is 1 to 10 parts by weight in the second step, 0.1 to 2 parts by weight in the third step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및 제3단계에서 에폭사이드 화합물과 함께 중합개시제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강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dded with the epoxide compound in the second and third ste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얻은 공중합체를 응고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강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olidifying and drying the copolymer obtained in the third step.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며,It is prepar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0, 디엔계 고무 60~80 중량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5~25 중량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5~20 중량부, 및 에폭사이드 화합물 1~12 중량부를 포함하는 충격보강용 공중합체.An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comprising 60 to 80 parts by weight of a diene rubber, 5 to 25 parts by weight of an aromatic vinyl monomer, 5 to 2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meth) acrylate, and 1 to 12 parts by weight of an epoxide compound. (A) 열가소성 수지 70 내지 99 중량%; 및 (A) 70 to 99%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And (B) 제11항의 충격보강용 공중합체 1 내지 30 중량%;(B) 1 to 30% by weight of the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of claim 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A)는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 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염화비닐수지,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thermoplastic resin (A)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butyl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vinyl chloride resin, polyamide, and mixtures thereof. .
KR1020070125483A 2007-12-05 2007-12-05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reof,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1009212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483A KR100921209B1 (en) 2007-12-05 2007-12-05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reof,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483A KR100921209B1 (en) 2007-12-05 2007-12-05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reof,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745A KR20090058745A (en) 2009-06-10
KR100921209B1 true KR100921209B1 (en) 2009-10-13

Family

ID=4098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483A KR100921209B1 (en) 2007-12-05 2007-12-05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reof,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2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520B1 (en) * 2015-07-23 2019-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type graft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144A (en) * 1992-08-04 1994-02-2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graft 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0448027B1 (en) 2001-10-15 2004-09-10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copolymer and method for good powder property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144A (en) * 1992-08-04 1994-02-2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graft 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0448027B1 (en) 2001-10-15 2004-09-10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copolymer and method for good powder property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745A (en)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3603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 multistage polymer, its method of preparation and its use
JP5905115B2 (en) Alkyl acrylate-aromatic vinyl compound-vinyl cyanide compound copolymer having improved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and polycarbonat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1690381B1 (en) Method for preparing of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an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thermoplastic resin comprising the same
KR20140147655A (en) Multilayer core-shell rubbery polymer latex,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comprising the same
KR20120006839A (en) Styreni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2171738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product comprising the resin composition
KR20160081497A (en)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3396240B2 (en)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JP2019108534A (en) Method for producing core-shell copolymer, core-shell co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KR100921209B1 (en) Impact Reinforcing Copolymer, Method of Preparing Thereof,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20190084549A (en) Core-shell copolymer, method for preparing the co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polymer
KR100736597B1 (en) Acrylic impact-reinforcing agent for improving impact resistance and good powder property and vinyl chloride resin using the same
KR20140046755A (en) Method of preparing alkyl acrylate-vinyl aromatic compound-vinylcyan compound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JP2699945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2508192B2 (en) Process for producing N-arylmaleimide copolymer
KR20100113841A (en) Impact strength modifiers for thermoplastic polyest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2009313B1 (en) Graft copolymer, method for preparing the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polymer
KR10055867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impact modifier for transparent acrylic resin
WO2015008945A1 (en) (meth)acrylate-based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KR100236773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romatic vinyl-vinyl cyanide copolymer resin
JPH0481443A (en) Poly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KR10082349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ermoplastic resin with enhanced impact property and weatherablility
KR960000570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for impact reinforcing agent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KR100539373B1 (en) Thermoplastic resin for impact reinforcing with good powder property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KR101868800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crylic graft copolymer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coloring properties and weather re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