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332B1 -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 - Google Patents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332B1
KR102412332B1 KR1020200112178A KR20200112178A KR102412332B1 KR 102412332 B1 KR102412332 B1 KR 102412332B1 KR 1020200112178 A KR1020200112178 A KR 1020200112178A KR 20200112178 A KR20200112178 A KR 20200112178A KR 102412332 B1 KR102412332 B1 KR 10241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storage tank
liquid storage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606A (ko
Inventor
조휴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로
Priority to KR102020011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332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액체가 채워지는 단열용기; 상기 단열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단열용기의 액체와 열교환을 이루는 냉매재가 채워지는 냉매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용기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며, 상단부의 외주면에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외측면이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과 함께 단열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액체가 채워지는 내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하단과 상기 내부용기의 하단부 사이를 밀폐시켜 상기 단열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트에 따뜻함과 시원함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며, 냉수를 공급시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COOLING TANK AND MAT HAVING COOLING FUNCTION AND HEATING FUNCTION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판은 방바닥이나 침대 등에 펼쳐놓은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전기장판의 내부에 배열된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전기장판을 따뜻하게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전기장판은 비교적 저렴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국부적인 영역을 신속히 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기장판은 그 코일에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기가 사용되므로, 그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의 감전사고 및 화재의 위험이 상존하며,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다량 방출하여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자파 차폐 기능의 전기장판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지만, 유해 전자파의 차단에 한계가 있고 그 효과 역시 검증되지 않은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유체를 가열시켜 매트를 따뜻하게 하는 온수매트가 제공되고 있으며, 온수매트는 매트 내부에 열선 대신 유체가 순환하는 순환튜브를 삽입하고, 유체를 가열하여 순환튜브 내부에 순환시키는 방식이다. 즉, 온수매트는 전기 발열선을 이용하는 형태가 아니므로, 그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의 감전사고 및 화재의 위험이 없고, 유해 전자파를 발생시키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13957호(2007. 11. 29. 공개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온수탱크의 히터에서 가열되는 온수를 침대에 놓여진 매트리스의 내부에 매립된 순환파이프(순환튜브)로 순환 유동시켜 매트리스를 가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온수탱크의 히터에서 가열되는 온수를 매트리스의 내부에 매립된 순환파이프로 순환 유동시켜 침대에 놓여진 매트리스를 따뜻하게 가열하여 매트리스 사용자에게 따뜻함을 제공할 수 있으나, 여름철의 경우 매트리스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트에 따뜻함과 시원함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는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수를 공급시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액체가 채워지는 단열용기; 상기 단열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단열용기의 액체와 열교환을 이루는 냉매재가 채워지는 냉매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용기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탱크가 제공된다.
상기 단열용기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며, 상단부의 외주면에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외측면이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과 함께 단열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액체가 채워지는 내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하단과 상기 내부용기의 하단부 사이를 밀폐시켜 상기 단열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기; 상기 냉온수공급기에 연결되어 냉온수공급기의 냉수 또는 온수가 순환 유동하는 순환튜브가 내부에 배열된 매트;를 포함하며, 상기 냉온수공급기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액체저장탱크와, 상기 액체저장탱크의 액체를 펌핑하여 상기 순환튜브로 순환 유동시키는 펌핑유닛과, 상기 액체저장탱크의 액체를 가열하는 가열유닛; 상기 액체저장탱크의 액체를 냉각시키는 쿨링탱크; 상기 가열유닛과 냉각유닛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쿨링탱크는, 상기 본체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액체저장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액체저장탱크의 액체와 순환유동하는 액체가 채워지는 단열용기; 상기 단열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단열용기의 액체와 열교환을 이루는 냉매재가 채워지는 냉매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용기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매트가 제공된다.
상기 단열용기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며, 상단부의 외주면에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외측면이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과 함께 단열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액체가 채워지는 내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하단부와 내부용기의 하단부 사이를 밀폐시켜 상기 단열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은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부 외주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의 외경은 일정하며, 상기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용기의 내경은 아래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 내주면에 암나사산들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부에 수나사산들이 구비되어 외부용기의 암나사산들과 내부용기의 수나사산들이 서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튜브는 상기 매트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순환튜브와, 상기 내부순환튜브와 상기 냉온수공급기의 액체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연결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튜브는 액체저장탱크의 내부와 내부순환튜브의 유입측을 연결하여 액체저장탱크의 액체가 내부순환튜브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튜브와, 상기 내부순환튜브의 유출측과 상기 액체저장탱크의 내부를 연결하여 상기 내부순환튜브를 순환 유동한 액체를 액체저장탱크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유출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튜브의 단부 또는 유출튜브의 단부는 상기 쿨링탱크의 입구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액체저장탱크의 액체를 가열하여 순환튜브를 통해 순환 유동시키면서 매트를 가열하여 매트를 따뜻하게 유지하거나 액체저장탱크의 액체를 냉각시켜 순환튜브를 통해 순환 유동시키면서 매트를 시원하게 유지하는 것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겨울철에는 매트를 따뜻하게 사용하고 여름철에는 매트를 시원하게 사용하게 되어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쿨링탱크가 액체가 채워지는 단열용기와, 그 단열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단열용기의 액체와 열교환을 이루는 냉매재가 채워지는 냉매용기를 포함하되, 단열용기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공간이 구비되므로 쿨링탱크의 단열용기의 외면에 물방울이 형성되는 것(결로)을 방지하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쿨링탱크의 단열용기를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구성하여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단열용기의 제작이 간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쿨링탱크를 구비한 냉온 매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쿨링탱크를 구비한 냉온 매트를 구성하는 냉온수공급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쿨링탱크를 구비한 냉온 매트를 구성하는 쿨링탱크의 일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쿨링탱크를 구비한 냉온 매트를 구성하는 쿨링탱크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쿨링탱크를 구비한 냉온 매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쿨링탱크를 구비한 냉온 매트를 구성하는 냉온수공급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쿨링탱크를 구비한 냉온 매트의 일실시예는,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기(100)와, 그 냉온수공급기(100)에 연결되어 냉온수공급기(100)의 냉수 또는 온수가 순환 유동하는 순환튜브(200)가 내부에 배열된 매트(300)를 포함하며, 냉온수공급기(100)는, 본체케이스(110), 액체저장탱크(120), 펌핑유닛(130), 가열유닛(140), 쿨링탱크(400), 제어유닛(160)을 포함한다.
본체케이스(110)는 내부 일측에 액체저장탱크(1200가 장착되는 탱크장착부(111)가 구비되고, 외부 일측에 쿨링탱크(4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112)가 구비된다.
액체저장탱크(120)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된다. 액체저장탱크(120)는 본체케이스(1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탱크장착부(111)에 장착되며, 착탈부(112)와 연통된다. 액체저장탱크(120)의 액체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펌핑유닛(130)은 액체저장탱크(120)의 액체를 펌핑하여 순환튜브(200)로 순환 유동시킨다. 펌핑유닛(130)은 펌프(131)를 포함하며, 그 펌프(131)는 순환튜브(20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펌프(131)는 액체저장탱크(1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액체저장탱크(12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가열유닛(140)은 액체저장탱크(120)의 액체를 가열한다. 가열유닛(140)의 일예로, 가열유닛(140)은 액체저장탱크(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히터(141)와, 그 히터(141)의 단부에 연결되어 히터(14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P)을 포함한다. 전원공급유닛(P)은 펌프(131)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쿨링탱크(400)는 액체저장탱크(120)의 액체를 냉각시킨다. 쿨링탱크(400)의 일예로, 쿨링탱크(400)는, 본체케이스(110)에 장착되어 액체저장탱크(120)와 연통되며 액체저장탱크(120)의 액체와 순환유동하는 액체가 채워지는 단열용기(410)와, 그 단열용기(4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단열용기(410)의 액체와 열교환을 이루는 냉매재(421)가 채워지는 냉매용기(420);를 포함한다. 단열용기(410)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공간(430)이 구비된다. 단열용기(410)의 내부에 채워지는 액체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용기(410)의 일예로, 단열용기(410)는 외부용기(10)와, 그 외부용기(10)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며 상단부의 외주면에 외부용기(10)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외측면이 외부용기(10)의 내측면과 함께 단열공간(430)을 형성하는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10)의 하단과 내부용기(20)의 하단부 사이를 밀폐시켜 단열공간(430)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30)를 포함한다. 내부용기(20)의 내부에 액체가 채워진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용기(10)의 일예로, 외부용기(1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단이 개구된 원통부(11)와, 그 원통부(11)의 하단에 절곡 연장되어 가운데 관통구멍이 구비된 하면판부(12)와, 원통부(11)의 상단부 내주면에 구비되는 암사나산들(13)을 포함한다. 내부용기(20)의 일예로, 내부용기(2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단이 개구된 원통부(21)와, 그 원통부(21)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되 원통부(2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다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착탈부(22)와, 원통부(21)의 상단부 내주면에 구비되는 수나사산들(23)을 포함한다. 내부용기(20)가 외부용기(10)에 관통 삽입되어 내부용기(20)의 수나사산들(23)과 외부용기(10)의 암나사산들(13)이 서로 체결되어 내부용기(20)의 상단부와 외부용기(10)의 상단부가 연결되며, 이때 내부용기(20)의 착탈부(22)가 외부용기(10)의 하면판부(12)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그 관통구멍의 내주면이 내부용기(20)의 착탈부(23)의 상부 외주면에 접촉되며, 외부용기(10)의 원통부(11) 내주면과 내부용기(20)의 원통부(21) 외주면 사이에 단열공간(430)이 형성된다. 실링부재(30)는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용기(10)의 하면판부(12) 관통구멍의 테두리부분과 내부용기(20)의 착탈부(22)의 상부 외주면 사이에 결합되어 단열공간(430)을 밀폐시킨다.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에 의해 단열공간(430)이 형성되므로 내부용기(20)의 내부에 채워진 액체와 외부공기와의 열전달이 차단된다. 내부용기(20)의 상단부와 외부용기(10)의 상단부는 암나사산들(13)과 수나사산들(23)에 의해 체결되나 내부용기(20)의 상단부와 외부용기(10)의 상단부에 환형홈과 환형돌기가 각각 구비되어 환형홈과 환형돌기의 형합에 의해 결합(후술될 도 4의 상부 결합구조 참조)될 수 있으며, 이때 환형홈과 환형돌기에 오링이 삽입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용기(10')의 다른 일예로, 외부용기(1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원통부(14)와, 그 원통부(14)의 상단에 연장 절곡되는 환형링 형상의 연결부(15)를 포함한다. 외부용기(10')의 원통부(14)는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외경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용기(20')의 다른 일예로, 내부용기(2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단이 개구된 원통부(24)와, 그 원통부(24)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되 원통부(24)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다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착탈부(25)를 포함한다. 내부용기(20')의 원통부(24)는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외경이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용기(20')가 외부용기(10')에 관통 삽입되어 외부용기(10')의 연결부(15) 끝면이 내부용기(20')의 원통부(24) 상단부 외주면에 접촉되어 연결되며 외부용기(10')의 원통부(14) 내주면과 내부용기(20')의 원통부(24) 외주면 사이에 단열공간(430)이 형성된다. 외부용기(10')의 연결부(15) 끝면과 내부용기(20')의 원통부(24) 상단부는 일체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외부용기(10')의 다른 일예와 내부용기(20')의 다른 일예가 결합된 어셈블리는 금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실링부재(30')는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링부재(30')가 외부용기(10')의 하단부와 내부용기(20')의 하단부 사이에 결합되어 단열공간(430)을 밀폐시킨다. 내부용기(20')의 착탈부(25)는 다단 원통형태로 내부용기(20')의 원통부(24)와 연통된다.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에 의해 단열공간(430)이 형성되므로 내부용기(20')의 내부에 채워진 액체와 외부공기와의 열전달이 차단된다.
냉매용기(420)의 일예로, 냉매용기(420)는 상단이 개구된 용기(422)와, 그 용기(422)의 상단을 개폐하며 걸림테두리부가 구비된 뚜껑(423)을 포함한다. 용기(422)에는 용기(422)의 외면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어 용기(422) 내부 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하는 관통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422)의 외주면은 원주 방향으로 파형 형상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냉매용기(420)는 단열용기(410)의 내부용기(20)(20') 내부에 삽입되어 냉매용기(420)의 용기 상단부가 단열용기(410)의 내부용기(20)(20') 상단에 결합된다.
냉매용기(420)의 용기(422)에 채워지는 냉매재(421)는 고흡수성폴리머와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쿨링탱크(400)는 단열용기(410)를 본체케이스(110)의 착탈부(112)에 결합하고 단열용기(410)의 내부용기(20)920')에 액체를 적당량 채운 다음 냉매재(421)가 채워진 냉매용기(420)를 단열용기(410)의 내부용기(20)(20')에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냉매용기(420)의 냉매재(421)가 단열용기(410)의 내부용기(20)(20')에 채워진 액체 및 본체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된 액체저장탱크(120)의 액체와 열교환되면서 단열용기(410)의 내부용기(20)(20')의 액체 및 액체저장탱크(120)의 액체를 냉각시키게 된다. 냉매용기(420)의 냉매재(421)가 액체의 열을 흡수하여 젤 상태가 되면 그 냉매용기(20)를, 냉동실에서 냉기를 흡수한 다른 냉매용기(20)로 교체한다.
제어유닛(160)은 가열유닛(140)과 쿨링탱크(4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제어유닛(160)은 본체케이스(110)의 다른 한쪽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어유닛(160)은 펌핑유닛(130)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300)의 일예로, 매트(30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매트체(310)와, 그 매트체(310)의 내부에 배열된 내부순환튜브(210)를 포함하며, 내부순환튜브(210)는 연결튜브(220)에 의해 냉온수공급기(100)의 액체저장탱크(120)와 연결된다. 연결튜브(220)와 내부순환튜브(210)는 순환튜브(200)를 구성한다. 연결튜브(220)는 유입튜브(221)와 유출튜브(222)를 포함하며, 유입튜브(221)는 한쪽 단부가 액체저장탱크(120)의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 단부가 내부순환튜브(210)의 유입측에 연결되고, 유출튜브(222)는 한쪽 단부가 액체저장탱크(120)의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 단부가 내부순환튜브(210)의 유출측에 연결되고, 펌핑유닛(130)은 유입튜브(221)에 연결된다. 펌핑유닛(130)의 작동에 의해 액체저장탱크(120)의 액체를 펌핑하게 되면 액체저장탱크(120)의 액체가 유입튜브(221) - 내부순환튜브(210) - 유출튜브(222) - 액체저장탱크(120)를 순환유동하면서 액체저장탱크(120)의 온수의 온기 또는 냉수의 냉기를 매트체(310)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유출튜브(222)의 단부는 본체케이스(110)의 착탈부(112)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다. 이와 같은 경우 쿨링탱크(400)가 본체케이스(110)의 착탈부(112)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출튜브(222)의 단부가 쿨링탱크(400)의 입구에 위치하게 되어 유출튜브(222)로 유출되는 액체가 쿨링탱크(400)로 유입되도록 유도하여 쿨링탱크(400)에서 냉각되는 액체가 유입튜브(221)측으로 유입되도록 촉진시켜 매트체의 쿨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유입튜브(221)의 단부가 본체케이스(110)의 착탈부(112)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쿨링탱크(400)에서 냉각되는 액체가 유입튜브(221)로 바로 유입되어 매트체의 쿨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쿨링탱크를 구비한 냉온 매트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매트(300)를 따뜻하게 가열할 경우 쿨링탱크(400)를 본체케이스(110)에서 배제시킨 상태에서 가열유닛(140)과 펌핑유닛(130)을 작동시킨다. 가열유닛(140)의 작동에 의해 액체저장탱크(120)의 액체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고 펌핑유닛(130)의 작동에 의해 액체저장탱크(120)에서 가열되는 온수는 순환튜브(200)를 통해 순환 유동하면서 순환튜브(200)의 열이 매트(300)로 전달되면서 매트(300)를 따뜻하게 유지시킨다. 한편, 매트(300)를 시원하게 냉각시킬 경우 가열유닛(140)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쿨링탱크(400)를 본체케이스(110)의 착탈부(112)에 장착하고 펌핑유닛(130)을 작동시킨다. 쿨링탱크(400)의 냉매용기(420)의 냉매재(421)가 단열용기(410)의 액체를 통해 액체저장탱크(120)의 액체와 열교환되면서 액체저장탱크(120)의 액체를 냉각시키게 펌핑유닛(130)의 작동에 의해 액체저장탱크(120)에서 냉각되는 냉각된 액체가 순환튜브(200)를 통해 순환 유동하면서 순환튜브(200)의 냉기가 매트(300)로 전달되면서 매트(300)를 시원하게 유지시킨다. 냉매용기(420)의 냉매재(421)가 열교환이 모두 이루어지게 되면 그 냉매용기(420)를, 냉매재(421)가 냉각된 새로운 냉매용기(420)로 교체하게 된다. 한편, 쿨링탱크(400)의 냉매용기 냉매재(421)가 단열용기(410) 내부의 액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액체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냉각된 액체와 외부공기와의 온도차 및 습기에 의해 단열용기(410)의 외면에 결로가 발생될 수 있으나, 단열용기(410)의 내부에 구비된 단열공간(430)에 의해 단열용기(410) 내부의 냉각된 액체와 외부공기와의 열전달이 차단되어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액체저장탱크(120)의 액체를 가열하여 순환튜브(200)를 통해 순환 유동시키면서 매트(300)를 가열하여 매트(300)를 따뜻하게 유지하거나 액체저장탱크(120)의 액체를 냉각시켜 순환튜브(200)를 통해 순환 유동시키면서 매트(300)를 시원하게 유지하는 것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겨울철에는 매트(300)를 따뜻하게 사용하고 여름철에는 매트(300)를 시원하게 사용하게 되어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쿨링탱크(400)가 액체가 채워지는 단열용기(410)와, 그 단열용기(4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단열용기(410)의 액체와 열교환을 이루는 냉매재(421)가 채워지는 냉매용기(420)를 포함하되, 단열용기(410)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공간(430)이 구비되므로 쿨링탱크(400)의 단열용기(410)의 외면에 물방울이 형성되는 것(결로)을 방지하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쿨링탱크(400)의 단열용기(410)를 내부용기(20)(20')와 외부용기(10)(10')를 구성하여 내부용기(20)(20')와 외부용기(10)(10') 사이에 단열공간(430)을 형성하게 되므로 단열용기(410)의 제작이 간단하게 된다.
100; 냉온수공급기 110; 본체케이스
120; 액체저장탱크 130; 펌핑유닛
140; 가열유닛 160; 제어유닛
200; 순환튜브 300; 매트
400; 쿨링탱크 410; 단열용기
420; 냉매용기 430; 단열공간

Claims (7)

  1. 내부에 액체가 채워지는 단열용기;
    상기 단열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단열용기의 액체와 열교환을 이루는 냉매재가 채워지는 냉매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용기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며, 상단부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외측면이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과 함께 단열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냉매용기가 삽입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하단과 상기 내부용기의 하단부 사이를 밀폐시켜 상기 단열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부는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부 외주면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의 외경은 일정하며, 상기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용기의 내경은 아래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탱크.
  2. 삭제
  3.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기;
    상기 냉온수공급기에 연결되어 냉온수공급기의 냉수 또는 온수가 순환 유동하는 순환튜브가 내부에 배열된 매트;를 포함하며,
    상기 냉온수공급기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액체저장탱크와,
    상기 액체저장탱크의 액체를 펌핑하여 상기 순환튜브로 순환 유동시키는 펌핑유닛과,
    상기 액체저장탱크의 액체를 가열하는 가열유닛;
    상기 액체저장탱크의 액체를 냉각시키는 쿨링탱크;
    상기 가열유닛과 냉각유닛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쿨링탱크는,
    상기 본체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액체저장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액체저장탱크의 액체와 순환유동하는 액체가 채워지는 단열용기;
    상기 단열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단열용기의 액체와 열교환을 이루는 냉매재가 채워지는 냉매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용기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며, 상단부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외측면이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과 함께 단열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냉매용기가 삽입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하단과 상기 내부용기의 하단부 사이를 밀폐시켜 상기 단열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부는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부 외주면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의 외경은 일정하며, 상기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용기의 내경은 아래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매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튜브는 상기 매트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순환튜브와, 상기 내부순환튜브와 상기 냉온수공급기의 액체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연결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튜브는 액체저장탱크의 내부와 내부순환튜브의 유입측을 연결하여 액체저장탱크의 액체가 내부순환튜브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튜브와, 상기 내부순환튜브의 유출측과 상기 액체저장탱크의 내부를 연결하여 상기 내부순환튜브를 순환 유동한 액체를 액체저장탱크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유출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튜브의 단부 또는 유출튜브의 단부는 상기 쿨링탱크의 입구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매트.
KR1020200112178A 2020-09-03 2020-09-03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 KR102412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178A KR102412332B1 (ko) 2020-09-03 2020-09-03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178A KR102412332B1 (ko) 2020-09-03 2020-09-03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606A KR20220030606A (ko) 2022-03-11
KR102412332B1 true KR102412332B1 (ko) 2022-06-23

Family

ID=8081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178A KR102412332B1 (ko) 2020-09-03 2020-09-03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3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50B1 (ko) * 2007-03-16 2007-06-04 박연홍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JP2019111111A (ja) * 2017-12-22 2019-07-11 石川樹脂工業株式会社 保冷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127B1 (ko) * 2013-02-06 2015-02-26 이재운 냉온수 공급장치
KR20180010566A (ko) * 2016-07-21 2018-01-31 박사언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50B1 (ko) * 2007-03-16 2007-06-04 박연홍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JP2019111111A (ja) * 2017-12-22 2019-07-11 石川樹脂工業株式会社 保冷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606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23660A1 (en) Electrical cooker including heating and cooling functionality
KR100695176B1 (ko) 가열 및 냉각 겸용 믹싱 탱크
KR20100114151A (ko) 이동식 라디에이터
KR101446643B1 (ko) 가습기능을 가진 방열기
KR102412332B1 (ko)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
KR200380248Y1 (ko) 오일을 이용한 온열매트
KR101649297B1 (ko) 족욕기용 가열시스템 및 온수 매트 장치
KR101197371B1 (ko)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KR101676226B1 (ko) 온풍기능을 구비한 온수매트 보일러 시스템
JP6566321B2 (ja) 給湯機
KR101552345B1 (ko) 발열체를 이용한 축열식 무동력 유체순환장치
KR200476255Y1 (ko)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매트 장치
KR100312643B1 (ko) 액체순환식난방장치
CN209235779U (zh) 冷热一体装置
KR20130122184A (ko) 엘이디발열체가 구비된 냉난방용 매트리스
CN106524284A (zh) 热能水循环系统
KR200184404Y1 (ko) 매트의 난방장치
KR20120013816A (ko) 보일러
CN106196249B (zh) 一种散热片
KR20200136355A (ko) 냉온 매트
KR20200121399A (ko) 냉온 매트
CN110173901A (zh) 一种恒温冷暖水垫及其控温方法
KR20080102105A (ko) 전기 가열기
KR200231695Y1 (ko) 온열매트 가열기
CN105066227A (zh) 热能水循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