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319B1 - 터미널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터미널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319B1
KR102412319B1 KR1020200140617A KR20200140617A KR102412319B1 KR 102412319 B1 KR102412319 B1 KR 102412319B1 KR 1020200140617 A KR1020200140617 A KR 1020200140617A KR 20200140617 A KR20200140617 A KR 20200140617A KR 102412319 B1 KR102412319 B1 KR 102412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pressor
cover
terminal cove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981A (ko
Inventor
구슬
민경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0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3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터미널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는, 바디, 바디에 장착되고 외부전원의 단자가 장착되는 제1단자부, 바디에 장착되고 제1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압축기에 전력입력을 위해 형성되는 제3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부, 및 바디에 장착되고 압축기의 온도측정을 위한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센서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미널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장치{TERMNAL COVER AND COMPRESS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미널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전제품에 구비되는 터미널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냉장고,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에는 작동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장치가 구비된다. 압축장치는 기계적 에너지를 압축성 유체의 압축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압축장치는 유체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로터리식, 베인식, 스크롤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에 전동기구부와 압축기구부를 함께 설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개방형 또는 밀폐형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압축장치는 밀폐된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전동기구부와 압축기구부가 함께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압축기구부가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게 된다.
압축장치에는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되어야 한다. 또한, 압축장치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압축장치의 과열에 대한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상기 압축장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압축장치의 모터와 연결되는 단자를 외부전원과 연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단자를 모두 외부로 노출시키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노출된 단자는 외부의 이물질, 그리고 단자들 사이의 배치의 결함 등으로 인해 서로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압축장치의 오작동,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압축장치의 단자와 외부전원의 연결작업은 잘못 진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압축장치의 단자와 외부전원은 서로 대응하도록 연결해야 하는데, 작업자의 착오로 다른 압축장치의 단자와 외부전원 간 설계와 다른 전선끼리 연결되는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온도측정장치를 압축장치에 장착하는 경우, 온도측정장치가 제대로 장착되지 않아 측정된 온도가 실제 압축기 표면의 온도와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단자들 사이에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구조를 가진 압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 단자와 외부전원의 연결시 혼선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압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측정장치를 압축기의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터미널커버와 이를 구비하는 압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는 압축기의 상판에 장착될 수 있고, 외부전원 단자가 삽입되고, 그 자신은 압축기에 구비되는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에는 온도센서를 장착하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에는 온도센서와 접촉하는 센서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장착부는 압축기의 상판과 밀착함으로써, 온도센서는 센서장착부를 통해 압축기 상판 표면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에 장착되는 외부전원의 단자와 압축기에 구비되는 단자는, 터미널커버에 의해 폐쇄되어 이들 단자들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단자의 외부노출로 인한 단자들 사이의 전기적인 쇼트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는, 바디, 바디에 장착되고 외부전원의 단자가 장착되는 제1단자부, 바디에 장착되고 제1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압축기에 전력입력을 위해 형성되는 제3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부, 및 바디에 장착되고 압축기의 온도측정을 위한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센서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는 3상전력을 공급받으며, 제1단자부, 제2단자부 및 제3단자부는 각각 전원연결을 위한 3개의 터미널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단자부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1터미널, 및 제1-1터미널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제2단자부와 연결되는 제1-2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단자부는, 판형으로 구비되는 제1셀, 및 제1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바디를 가압하여 제2단자부가 바디에 안착하도록 제2단자부를 지지하는 제2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는, 바디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1터미널이 장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은, 바디의 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는 제1함몰부, 제1함몰부의 폐쇄된 타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돌출부, 및 제1돌출부의 길이방향으로 제1돌출부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1-1터미널이 장착되는 제2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전원의 단자는 제2함몰부에 삽입되어 제1-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1-2터미널 중 적어도 일부는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는, 바디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압축기와 결합을 위한 결합핀이 삽입되는 체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는, 바디의 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체결홀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센서장착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3함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는, 제3함몰부가 배치되는 부위에 바디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3함몰부가 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장착부는, 제3함몰부에 제3함몰부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피스, 제1피스의 단부에 구비되고 체결홀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체결홀과 대응하는 형상의 제1통공이 구비되는 제2피스, 및 제1피스와 연결되고, 제3함몰부의 내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제1피스와 함께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제2통공을 형성하는 제3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장치는, 작동유체(working fluid)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압축기의 상단에 구비되고, 압축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자가 구비되는 터미널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커버에서는, 외부전원의 단자는 하우징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압축기의 제2터미널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전원의 단자와 제2터미널의 노출로 인하여 외부의 이물질, 그리고 단자들 사이의 배치의 결함 등에 기인하여 각 단자들 사이에 서로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커버에서는, 터미널커버에 구비되는 하우징에 외부전원의 단자가 구비되는 커넥터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외부전원과 압축기의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이러한 연결작업시 각각의 전선이 잘못 연결되는 혼선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커버에서, 센서장착부는 압축기의 상판 표면에 밀착하고, 상기 센서장착부에 장착되는 온도센서는 상판에 밀착한 센서장착부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압축기의 온도를 측정하므로,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와 실제 압축기 표면의 온도와 오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는 더욱 정확한 압축기 표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온도센서를 탈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를 압축기의 상판으로부터 탈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를 도 4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를 구성하는 제1단자부 및 제2단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를 구성하는 센서장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를 도 6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방향", "상측방향", "하측방향"과 "측방향", "양측방향", "전후방향은"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온도센서(30)를 탈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10)를 압축기(20)의 상판(24)으로부터 탈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압축장치는 예를 들어,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장치는 작동유체(working fluid)를 압축할 수 있다. 작동유체는 예를 들어 냉장고에 사용되는 냉매일 수 있다.
상기 압축장치는 압축기(20), 어큐뮬레이터(40)(accumulator), 터미널커버(10) 및 온도센서(3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20)는, 예를 들어, 기체상태의 냉매를 효율적으로 압축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크고, 다른 형태에 비에 부피가 작은 스크롤 타입의 압축기(20)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축기(20)는 본체, 지지대(23), 상판(24)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에서는 유입되는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지지대(23)는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대(23)는 예를 들어 냉장고 하부에 구비되는 기계실 내부에 장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압축장치는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판(24)은 압축기(20)의 상부에 구비되고, 압축기(20)를 폐쇄할 수 있다. 압축기(20)의 상판(24)에는 터미널커버(10)가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터미널커버(10)에 대해서는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축기(20)는 제3단자부(21), 토출배관(22) 및 결합핀(2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단자부(21)는 압축기(20)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단자부(21)는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판(24)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터미널(21a)을 구비할 수 있다.
제2터미널(21a)에는 터미널커버(10)가 장착되고, 터미널커버(10)에는 외부전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압축기(20)에 구비되는 모터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토출배관(22)은 상판(24)을 관통하여 압축기(20)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20) 내부에서 압축된 작동유체는 상기 토출배관(22)으로부터 토출되어 예를 들어 냉장고에 구비되는 컨덴서로 유입될 수 있다.
상판(24)에 장착되는 터미널커버(10)는 상기 토출배관(22)을 회피할 수 있는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커버(10)는 상판(24)에서 상기 토출배관(22)과 이격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제2터미널(21a)도, 터미널커버(10)와 마찬가지로, 상판(24)에서 상기 토출배관(22)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결합핀(25)은 상판(24)에 터미널커버(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25)은 압축기(20)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터미널커버(10)는 상기 결합핀(25)에 체결되어 압축기(20)의 상판(24)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핀(25)에는 너트(26)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커버(10)를 상기 결합핀(25)에 삽입한 후, 터미널커버(10)의 상부에 너트(26)가 체결되면 상기 터미널커버(10)는 압축기(20)의 상판(24)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40)는 상기 압축기(20)와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압축기(20)와 연결되고, 타단이 어큐뮬레이터(40)와 연결되는 배관이 구비되고, 어큐뮬레이터(40)와 압축기(20)는 상기 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40)는 냉장고의 작동시 압축기(20)의 부하변동을 대비하기 위해 소정량의 냉매를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40)는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가 포함하는 일부 액체상태의 냉매를 걸러서 상기 압축기(2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압축기(20)와 어큐뮬레이터(40)는 외부로부터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외부에 단열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냉장고의 기계실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터미널커버(10)는 압축기(20)의 상판(24)에 장착되어 외부전원과 압축기(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커버의 하부에는 온도센서(30)가 장착되는 부위가 구비될 수 있다. 터미널커버(10)에 대해서는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온도센서(30)는 터미널커버(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30)는 터미널커버(10)에 구비되는 센서장착부(400)에 장착되고, 센서장착부(400)는 상판(24)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30)는 압축기(20) 상판(24)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에 구비되는 제어부는 온도센서(30)가 측정하는 압축기(20) 상판(24)의 온도를 전송받을 수 있고, 전송받은 온도로부터 압축기(20)의 과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10)를 도 4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10)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10)를 구성하는 제1단자부(200) 및 제2단자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제1단자부(200)와 제2단자부(300)는 서로 접촉하도록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단자부(200)와 제2단자부(300)는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각각 서로 별도로 형성되고, 서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압축기(20)에는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되어야 한다. 또한, 압축기(20)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압축기(20)의 과열에 대한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압축기(20)의 표면에는 상기 압축기(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압축기(20)의 모터와 연결되는 단자를 외부전원과 연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단자를 모두 외부로 노출시키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노출된 단자는 외부의 이물질, 그리고 단자들 사이의 배치의 결함 등으로 인해 서로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압축기(20)의 오작동,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20)의 단자와 외부전원의 연결작업은 번거로와 지거나, 잘못 진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20)의 단자와 외부전원은 서로 대응하도록 연결해야 하는데, 작업자의 착오로 다른 압축기(20)의 단자와 외부전원 간 설계와 다른 전선끼리 연결되는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온도측정장치를 압축기(20) 표면에 장착하는 경우, 온도측정장치가 압축기(20) 표면에 밀착하지 않아, 측정된 온도가 실제 압축기(20) 표면의 온도와 오차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압축기(20)의 단자들 사이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압축기(20) 단자와 외부전원의 연결시 혼선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온도측정장치를 압축기(20)의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터미널커버(10)와 이를 구비하는 압축장치를 제안한다.
터미널커버(10)는 압축기(20) 구체적으로 압축기(20)의 상판(24)에 장착되고, 바디(100), 제1단자부(200), 제2단자부(300) 및 센서장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20)는 3상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전원은 3개의 전력선이 구비되어 제1단자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20)에 3상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단자부(200), 상기 제2단자부(300) 및 상기 제3단자부(21)는 각각 전원연결을 위한 3개의 터미널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100)는 터미널커버(10)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제1단자부(200), 상기 제2단자부(300) 및 상기 센서장착부(400)가 장착될 수 있다.
바디(100)는 각각 복수로 구비되는 제1단자부(200)가 서로 쇼트되지 않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복수로 구비되는 제2단자부(300)가 서로 쇼트되지 않도록 전기적인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바디(100)는 복수의 함몰부위를 구비한 비교적 복잡한 형상을 가지므로, 용이한 제작을 위해 사출성형이 우수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상기 바디(10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합성수지, 폴리머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자부(200)는 상기 바디(100)에 장착되고 외부전원의 단자가 장착될 수 있다. 제1단자부(200)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등 전기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자부(200)는 예를 들어 인서트 사출공정을 통해 바디(10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자부(200)는 제1-1터미널(210) 및 제1-2터미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자부(2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제1-1터미널(210) 및 제1-2터미널(220)도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1터미널(210)은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1터미널(210)은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제2함몰부(113)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전원의 단자가 상기 제2함몰부(113)에 삽입되면 외부전원의 단자와 제1-1터미널(21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2터미널(220)은 상기 제1-1터미널(210)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상기 제1-2터미널(220) 중 적어도 일부는 절곡부(22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2터미널(220)은 제1-1터미널(210)과 제2단자부(300)의 제1셀(3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제1-1터미널(210)과 제1셀(310)은 그 형상, 배치위치 및 배치방향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제1-2터미널(220)은 제1-1터미널(210)과 제1셀(31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3차원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2터미널(220)은 절곡부(221)를 가져 3차원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2터미널(220)에 형성되는 절곡부(221)는 각각의 제1-2터미널(220)의 배치위치, 제1셀(310)의 배치위치, 제1-2터미널(220)과 제1셀(3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그 개수도 각각 다르고, 절곡각도도 다르고, 그 길이도 각각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제2단자부(300)는 상기 바디(100)에 장착되고 상기 제1단자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20)에 전력입력을 위해 형성되는 제3단자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단자부(200)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등 전기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단자부(300)는 제1셀(310)과 제2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셀(310)은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셀(310)은 바디(100)에 형성되는 장착홈(150)에 장착되면, 그 일단이 상기 제1-2터미널(220)의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단자부(200)와 제2단자부(3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셀(320)은 상기 제1셀(3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셀(320)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일부가 라운딩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단자부(300)가 상기 장착홈(150)에 삽입되면, 제2셀(320)은 상기 바디(100)를 가압하여 상기 제2단자부(300)가 상기 바디(100)에 안착하도록 상기 제2단자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단자부(300)가 바디(100)에 형성되는 장착홈(150)에 삽입되면, 제2셀(320)의 라운딩 형상의 부위는 탄성변형하여 장착홈(150)의 내벽에 접촉하고 상기 내벽을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2단자부(300)는 상기 장착홈(15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터미널커버(10)가 압축기(20)의 상판(24)에 장착되면, 제3단자부(21)의 제2터미널(21a)은 상기 제2단자부(300)와 접촉하여, 제3단자부(21)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터미널(21a)은 단면이 납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터미널(21a)은 제1셀(310)의 내측면과 제1셀(310)의 라운딩 형상의 부위의 단부 사이에 장착이 됨으로써, 제2단자부(300)와 접촉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장착부(400)는 상기 바디(100)에 장착되고 상기 압축기(20)의 온도측정을 위한 온도센서(30)가 장착될 수 있다. 센서장착부(400)는 압축기(20)의 상판(24)에 접촉하고 또한 온도센서(30)에 접촉하고, 압축기(20)의 상판(24)에서 발생하는 열은 전도에 의해 온도센서(3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장착부(400)는 열전달 특성이 우수한 금속, 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디(100)는 하우징(1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바디(10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1터미널(21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외부전원의 단자가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므로, 외부전원의 단자 장착작업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하우징(110)은 바디(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10)은 제1함몰부(111), 제1돌출부(112) 및 제2함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함몰부(111)는 상기 바디(100)의 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제1함몰부(111)에 외부전원의 단자가 구비되는 소켓 형태의 커넥터가 삽입되어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함몰부(111)의 깊이가 설계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1돌출부(112)는 상기 제1함몰부(111)의 폐쇄된 타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112)는 제1-1터미널(210)이 장착되는 제2함몰부(113)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1터미널(210)이 외부전원의 단자와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함몰부(113)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적절하고,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제1돌출부(112)의 길이가 설계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2함몰부(113)는 상기 제1돌출부(11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돌출부(112)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1터미널(21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함몰부(113)의 길이방향이 상기 제1돌출부(112)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외부전원의 단자는 상기 제2함몰부(113)에 삽입되어 상기 제1-1터미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함몰부(113)의 일부에는 상기 제1-1터미널(210)이 장착되고, 제2함몰부(113)의 나머지 부분에는 외부전원의 단자가 장착될 수 있다. 제1-1터미널(210)은 바(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외부전원의 단자도 제1-1터미널(2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1터미널(210)과 외부전원의 단자가 안정적으로 접촉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함몰부(113)의 단면적은 적절한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외부전원의 단자는 소켓 형태의 커넥터에 장착되고,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110)의 제1함몰부(111)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외부전원의 단자는 터미널커버(1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전원의 커넥터는 돌출부위를 구비하고 단자는 상기 돌출부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돌출부위는 상기 제1함몰부(111)에 끼워지고, 외부전원의 단자는 제2함몰부(113)에 삽입될 수 있다.
제2함몰부(113)에 삽입되는 외부전원의 단자는 상기 제2함몰부(113)에 장착된 상기 제1-1터미널(210)과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전원의 단자는 제1-1터미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따라서, 외부전원과 제2터미널(21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압축기(20)에 구비되는 모터는 외부전원으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터미널커버(10)에 구비되는 하우징(110)에 외부전원의 단자가 구비되는 커넥터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외부전원과 압축기(20)의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이러한 연결작업시 각각의 전선이 잘못 연결되는 혼선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바디(100)는 상기 압축기(20)와 결합을 위한 결합핀(25)이 삽입되는 체결홀(120)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홀(120)은 상기 바디(10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25)은 상판(24)에 상기 체결홀(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25)은 압축기(20)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120)에 삽입됨으로써, 터미널커버(10)는 상기 결합핀(25)에 체결되어 압축기(20)의 상판(24)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커버(10)를 상기 결합핀(25)에 삽입한 후, 터미널커버(10)의 상부에 상기 결합핀(25)에 구비되는 너트(26)가 체결되면 상기 터미널커버(10)는 압축기(20)의 상판(24)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바디(100)는 제3함몰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함몰부(130)는 바디(100)의 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120)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서장착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3함몰부(130)에 삽입되는 센서장착부(400)의 일단부는 상기 체결홀(120)과 상하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함몰부(130)의 길이방향 연장선이 상기 체결홀(120)의 하단부와 만나도록 바디(100)의 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3함몰부(130)는 상기 체결홀(120)과 연통되지 않고, 따라서, 상기 체결홀(120)의 내부 측면과 상기 제3함몰부(130)의 끝단은 서로 만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함몰부(130)의 깊이는 온도센서(30)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온도센서(30)의 삽입깊이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센서장착부(400)에 온도센서(30)가 삽입되고 상기 온도센서(30)는 비교적 큰 부피를 가지므로, 마찬가지로 상기 센서장착부(400)가 삽입되는 제3함몰부(130)도 비교적 큰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큰 부피를 가지는 제3함몰부(130)를 형성하기 위해, 바디(100)에는 상기 제3함몰부(130)가 형성되는 부피를 제공하기 위해, 제2돌출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돌출부(140)는 상기 제3함몰부(130)가 배치되는 부위에 상기 바디(10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함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0)는 제2돌출부(140)를 구비하고, 상기 제2돌출부(140)에 제3함몰부(130)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바디(100)는 제2돌출부(140)에 의해 비교적 큰 부피를 차지하는 제3함몰부(130)가 형성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바디(100)의 일부에만 돌출부위가 형성되므로 터미널커버(10) 전체의 부피와 질량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바디(100)는 장착홈(1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150)은 바디(100)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바디(100)의 하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150)에는 제2단자부(300)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홈(150)은 제2단자부(300)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압축기(20)에 3상전력이 공급되고, 따라서 제2단자부(300)와 장착홈(150)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터미널커버(10)가 압축기(20)에 장착되는 경우, 압축기(20)에 구비되는 제2터미널(21a)은 상기 장착홈(150)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장착홈(150)의 배치형상은 제2터미널(21a)의 배치형상과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2터미널(21a)이 서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므로, 3개의 장착홈(150)도 서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장착홈(150)에 끼워진 제2터미널(21a)은 상기 장착홈(150)에 삽입된 제2단자부(300)와 접촉하고, 따라서 제2단자부(300)와 제2터미널(21a)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장착홈(150)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2단자부(300)가 삽입되고, 삽입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형상의 제2단자부(300)가 장착홈(150)에 삽입되어 장착홈(150) 외부로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장착홈(150)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슬릿(slit)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부전원의 단자는 하우징(110)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압축기(20)의 제2터미널(21a)은 상기 장착홈(150)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전원의 단자와 제2터미널(21a)의 노출로 인하여 외부의 이물질, 그리고 단자들 사이의 배치의 결함 등에 기인하여 각 단자들 사이에 서로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10)를 구성하는 센서장착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커버(10)를 도 6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온도센서(30)는 케이블(1000)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1000)은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는 온도센서(30)가 감지한 압축기(20)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센서(30)는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온도센서(30)는 넓은 범위에서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구조가 비교적 간단한, 예를 들어 열전대(thermo couple)로 구비될 수 있다.
센서장착부(400)는 상기 온도센서(30)가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고, 제1피스(410), 제2피스(420) 및 제3피스(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피스(410), 제2피스(420) 및 제3피스(43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미널커버(10)가 압축기(20)의 상판(24)에 장착되면 센서장착부(400)는 상판(24)에 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장착부(400)가 장착되는 제3함몰부(130)는 센서장착부(400)와 상판(24)의 밀착 접촉을 위해, 그 하단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함몰부(130)는, 온도센서(30)의 장착을 위해, 그 전단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피스(410)는 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함몰부(130)에 상기 제3함몰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피스(410)는 제3피스(430)와 함께 상기 온도센서(30)가 장착되는 제2통공(431)을 형성할 수 있다.
제2피스(420)는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피스(420)는 상기 제1피스(410)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홀(120)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피스(420)는 상기 체결홀(120)과 대응하는 형상의 제1통공(421)이 구비될 수 있다. 제2피스(420)는 적어도 일부가 제3함몰부(130)에 배치되지 않고 바디(1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장착부(400)가 바디(100)에 장착되면 제1통공(421)과 체결홀(120)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센서장착부(400)가 바디(100)에 장착된 후, 터미널커버(10)를 결합핀(25)을 이용하여 압축기(20)의 상판(24)에 결합시키는 경우에, 상기 결합핀(25)은 제1통공(421)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2피스(420)를 포함하는 센서장착부(400)는 결합핀(25)에 의해 압축기(20)의 상판(24)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결합핀(25)에 의해 터미널커버(10)가 상판(24)에 장착되면, 제2피스(420)는 제1통공(421)을 제외한 부위가 바디(100)의 제3함몰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하면에 의해 가압되고, 이로인해 제2피스(420)는 상판(24)의 표면 즉,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3피스(430)는 상기 제1피스(410)와 연결되고, 상기 제3함몰부(130)의 내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피스(430)는 상기 제1피스(410)와 함께 상기 온도센서(30)가 장착되는 제2통공(43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431)에는 온도센서(30)가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피스(430)는 제1피스(410)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2개의 측벽과, 상기 측벽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벽을 연결하고 상기 제1피스(4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천정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터미널커버(10)가 결합핀(25)에 의해 상판(24)에 장착되면, 제3피스(430)의 천정벽은 바디(100)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천정벽은 측벽을 다시 가압하고, 상기 측벽은 제1피스(41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피스(410)는 상기 압축기(20)의 상판(24)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로 인해, 터미널커버(10)가 결합핀(25)에 의해 압축기(20)의 상판(24)에 장착되면, 센서장착부(400)의 제1피스(410)와 제2피스(420)는 상판(24)의 표면에 밀착할 수 있다. 이로써, 센서장착부(400)는 압축기(20)의 상판(24) 표면에 밀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장착부(400)는 압축기(20)의 상판(24) 표면에 밀착하고, 상기 센서장착부(400)에 장착되는 온도센서(30)는 상판(24)에 밀착한 센서장착부(40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압축기(20)의 온도를 측정하므로, 온도센서(30)에서 측정된 온도와 실제 압축기(20) 표면의 온도와 오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30)는 더욱 정확한 압축기(20) 표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터미널커버 20: 압축기
21: 제3단자부 21a: 제2터미널
22: 토출배관 23: 지지대
24: 상판 25: 결합핀
26: 너트 30: 온도센서
40: 어큐뮬레이터 100: 바디
110: 하우징 111: 제1함몰부
112: 제1돌출부 113: 제2함몰부
120: 체결홀 130: 제3함몰부
140: 제2돌출부 150: 장착홈
200: 제1단자부 210: 제1-1터미널
220: 제1-2터미널 221: 절곡부
300: 제2단자부 310: 제1셀
320: 제2셀 400: 센서장착부
410: 제1피스 420: 제2피스
421: 제1통공 430: 제3피스
431: 제2통공 1000: 케이블

Claims (16)

  1. 압축기에 장착되는 터미널커버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커버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외부전원의 단자가 장착되는 제1단자부;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에 전력입력을 위해 형성되는 제3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부; 및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압축기의 온도측정을 위한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센서장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자부는,
    판형으로 구비되는 제1셀; 및
    상기 제1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바디를 가압하여 상기 제2단자부가 상기 바디에 안착하도록 상기 제2단자부를 지지하는 제2셀
    을 포함하는,
    터미널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3상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1단자부, 상기 제2단자부 및 상기 제3단자부는 각각 전원연결을 위한 3개의 터미널을 구비하는,
    터미널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부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1터미널; 및
    상기 제1-1터미널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부와 연결되는 제1-2터미널
    을 포함하는,
    터미널커버.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1터미널이 장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터미널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디의 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는 제1함몰부;
    상기 제1함몰부의 폐쇄된 타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돌출부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1터미널이 장착되는 제2함몰부
    를 포함하는,
    터미널커버.
  7. 제6항에 있어서,
    외부전원의 단자는 상기 제2함몰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커버.
  8.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2터미널 중 적어도 일부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터미널커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와 결합을 위한 결합핀이 삽입되는 체결홀을 구비하는,
    터미널커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서장착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3함몰부를 구비하는,
    터미널커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제3함몰부가 배치되는 부위에 상기 바디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함몰부가 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구비하는,
    터미널커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착부는,
    상기 제3함몰부에 상기 제3함몰부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피스;
    상기 제1피스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홀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체결홀과 대응하는 형상의 제1통공이 구비되는 제2피스; 및
    상기 제1피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3함몰부의 내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피스와 함께 상기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제2통공을 형성하는 제3피스
    를 포함하는,
    터미널커버.
  13. 작동유체(working fluid)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자가 구비되는 터미널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커버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외부전원의 단자가 장착되는 제1단자부;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에 전력입력을 위해 형성되는 제3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부; 및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압축기의 온도측정을 위한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센서장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자부는,
    판형으로 구비되는 제1셀; 및
    상기 제1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바디를 가압하여 상기 제2단자부를 상기 바디에 안착하도록 지지하는 제2셀
    을 포함하는,
    압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와 배관으로 연결되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를 더 포함하는,
    압축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부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1터미널; 및
    상기 제1-1터미널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부와 연결되는 제1-2터미널
    을 포함하는,
    압축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와 결합을 위한 결합핀이 삽입되는 체결홀; 및
    상기 바디의 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서장착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3함몰부
    를 구비하는,
    압축장치.
KR1020200140617A 2020-10-27 2020-10-27 터미널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장치 KR102412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617A KR102412319B1 (ko) 2020-10-27 2020-10-27 터미널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617A KR102412319B1 (ko) 2020-10-27 2020-10-27 터미널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981A KR20220055981A (ko) 2022-05-04
KR102412319B1 true KR102412319B1 (ko) 2022-06-22

Family

ID=8158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617A KR102412319B1 (ko) 2020-10-27 2020-10-27 터미널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3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1480A (ja) * 2006-11-10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室外ユニット空気調和機のターミナルカバーの筐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556Y1 (ko) * 1997-06-28 1999-09-01 전주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1480A (ja) * 2006-11-10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室外ユニット空気調和機のターミナルカバーの筐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981A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4552B (zh) 卡用连接器
US20070049066A1 (en) Electric connector
US8162541B2 (en) Two-terminal temperature sensor with electrically isolated housing
WO2020055947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wire harness assembly with compression contacts
KR102412319B1 (ko) 터미널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장치
JP4832398B2 (ja) 圧縮機
CN116207535B (zh) 一种应用于电流传感器中的电路板连接装置及方法
CN101923991B (zh) 插入端子装置以及开关器
CN201359337Y (zh) 空调机的室内机
CN106787345B (zh) 定子组件和具有其的压缩机
CN207116749U (zh) 连接器
KR102493783B1 (ko) 전동 압축기용 매그메이트 터미널
CN115296096B (zh) 一种快速插拔小型化大电流连接器
CN106654665B (zh) 用于电动压缩机的连接组件及具有其的电动压缩机
CN206895038U (zh) 一种压缩机启动电容器
US6496339B2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and equipment using thereof
EP4343151A1 (en) Electrical device including an integrated temperature sensor
CN220191264U (zh) 带有电脑板限位结构的电器箱
CN215989502U (zh) 应用于压缩机的接地结构
KR100629594B1 (ko)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CN205752993U (zh) 一种电气配件的安装结构以及应用该安装结构的配电柜
CN102208788B (zh) 电连接盒
KR101060422B1 (ko) 근접 센서 서포트, 컴프레서, 밸브 플레이트 및 쿨러
CN211260693U (zh) 弹片式灯座结构
CN110040081A (zh) 用于车辆电气控制器的电源输入结构及车辆电气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