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095B1 - 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095B1
KR102412095B1 KR1020210051780A KR20210051780A KR102412095B1 KR 102412095 B1 KR102412095 B1 KR 102412095B1 KR 1020210051780 A KR1020210051780 A KR 1020210051780A KR 20210051780 A KR20210051780 A KR 20210051780A KR 102412095 B1 KR102412095 B1 KR 10241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image
gender
determination uni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이건무
이도경
Original Assignee
이승우
이건무
이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이건무, 이도경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210051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06V10/443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by matching or filtering
    • G06V10/449Biologically inspired filters, e.g. difference of Gaussians [DoG] or Gabor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감시 장치는 설정 지역이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대상물의 성별을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이용해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시 장치 및 방법{Monitor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열화상을 이용해 설정 지역의 이상 상황을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는 밤과 같은 어두운 환경에서 사람을 인식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어두운 환경에서 촬영된 CCTV 영상 만으로는 각종 범죄 등의 자동 파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범죄 파악을 위한 수단으로 남녀의 성별 인식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 역시 기존 CCTV의 자동 인식 수단에서는 해결이 곤란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27538호에는 회선 신경망 기술(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한 성별을 인식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27538호
본 발명은 열화상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대상물의 성별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이상 상황을 감시하는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감시 장치는 적외선 이미지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대상물의 성별을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이용해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시 방법은 적외선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대상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물의 상체에서 의복의 차이에 기인한 밝기 온도값 차이를 이용해서 상기 대상물의 성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대상물이 출입하는 출입 영역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대상물의 성별과 상기 출입 영역을 이용해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보안 서버에 상기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시 장치 및 방법은 주변 광량, 광속에 상관없이 화장실 등의 설정 영역을 출입하는 대상물의 성별이 자동으로 판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시 장치는 인터넷 내부망 또는 외부망에 연결되어 남성이 여성 화장실에 출입하는 것과 같은 이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보안 서버에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시 장치는 밤낮에 상관없이 이상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시 장치는 여성 화장실에 남성 또는 수상한 복장을 한 사람이 출입하는 것을 자동 인식하여, 이를 관제 센터에 알려주는 기능을 하는 딥러닝 기반의 CCTV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화장실 주변 등에 설치된 일반 비상벨은 제보자의 음성 입력/버튼 입력으로 이상 상황을 보안 서버에 알리는 동작을 하지만, 원천적으로 남성/수상한 사람이 여성 화장실에 입장하는 것 자체를 막을 수 없다.
본 발명의 감시 장치는 딥러닝 기반 CCTV 모듈을 통해, 남성/여성/수상한 사람인지 인식을 하고 그 결과를 방범용 카메라 또는 보안 서버에 보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시 장치는 이상 상황 유무를 보안 서버에 유/무선으로 송신한다는 점뿐만 아니라, 어두운 밤에도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CCTV와 구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감시 장치가 포함된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감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감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적외선 조명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판단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학습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감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본 발명의 감시 장치(100) 및 감시 방법은 적외선 카메라 또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해 각종 이상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감시 장치(100)는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이상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어두운 경우 일반 CCTV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만으로는 식별 주체가 관리인인지 기계인지에 상관없이 이미지에 포함된 대상물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감시 장치(100)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얻고, 해당 이미지를 딥러닝에 학습하여, 남성/여성/수상한 사람을 판단할 수 있다. 감시 장치(100)는 판단 결과를 비상벨(20)에 전달할 수 있다. 감시 장치(100)에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모듈에 탑재되고 적외선 이미지의 선명도를 조절하는 적외선 LED(Light Emitting Diodes)가 마련될 수 있다. 적외선 LED를 통해 선명한 이미지를 얻고,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감시 장치(100)는 CCTV 모듈이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이다. 옷, 얼굴, 헤어스타일로 남/녀 구분이 어려운 경우, 남녀의 온도 분포가 다른 경향을 이용하면 남녀를 구분하는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감시 장치(100)가 포함된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감시 장치(100)는 적외선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 또는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를 이용해서, 이미지에 포함된 대상물에 대해 남녀를 구분하거나, 소지하고 있는 흉기 등을 구분할 수 있다.
감시 장치(100)는 보안 서버(90), CCTV(10), 비상벨(2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시 장치(100)는 CCTV(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또는, 감시 장치(100)는 CCTV(10)와 별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감시 장치(100)에는 CCTV(10)와 통신하는 통신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통신부(170)는 비상벨(20)과 통신할 수 있다.
CCTV(10) 또는 비상벨(20)은 각종 유무선 통신망(50)을 통해 보안 서버(90)와 통신할 수 있다. 감시 장치(100)에서 모니터링되거나 감시된 결과는 통신망(50)을 통해 보안 서버(90)로 직접 제공되거나, CCTV(10) 또는 비상벨(20)을 거쳐 보안 서버(9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감시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감시 장치(100)는 획득부(110), 판단부(130), 생성부(150), 통신부(170), 학습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부(110)는 설정 지역이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설정 지역은 각종 범죄의 발생이 예상되는 건물, 시설, 지역,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설정 지역은 여성 화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부(110)는 설정 지역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해당 설정 지역을 촬영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획득부(110)는 적외선 카메라 또는 열화상 카메라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획득부(110)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이미지에 포함된 대상물의 성별을 구분하거나 판단할 수 있다.
생성부(150)는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를 이용해서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생성부(150)에서 경고 신호가 생성되면, 이미지에 포함된 영역을 감시하는 보안 서버(90) 또는 기설정된 단말기에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기설정 단말기는 해당 영역을 감시할 책임자가 사용하는 퍼스널 컴퓨터,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70)는 각종 유무선 통신망(50)을 통해 직접 보안 서버(90) 또는 단말기에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서버(90) 또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CCTV(10) 또는 비상벨(20)이 마련될 때, 통신부(170)는 경고 신호를 CCTV(10) 또는 비상벨(20)에 제공할 수 있다. 경고 신호를 제공받은 CCTV(10) 또는 비상벨(20)는 통신망(50)을 통해 보안 서버(90) 또는 단말기에 경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감시 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의 이미지 p는 일반 CCTV를 통해 촬영된 야간 이미지일 수 있다. 살펴보면, 이미지에 포함된 대상물의 구분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의 이미지 i는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야간 이미지일 수 있다. 살펴보면, 이미지에 포함된 대상물이 구분 가능하며, 대상물이 출입하는 출입 영역 a의 구분도 가능한 상태이다.
판단부(130)는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대상물 t가 출입하는 출입 영역 a를 파악할 수 있다. 출입 영역 a는 감시 장치(100)의 감시 대상이 되는 설정 지역의 출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출입 영역 a는 여성 화장실의 출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130)에 의해 출입 영역 a를 출입하는 대상물 t의 성별이 판단될 수 있다. 생성부(150)는 대상물 t의 성별과 해당 대상물의 출입 영역 a가 설정 조건을 만족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150)는 이미지 i의 분석을 통해 대상물 t의 성별이 제1 성별이고 대상물 t의 출입 영역이 제2 성별의 화장실이면,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성별은 남성이고, 제2 성별은 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부(150)는 남성이 여성의 화장실을 출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제1 성별이 여성이고, 제2 성별이 남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생성부(150)는 여성이 남성의 화장실을 출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성별에 상관없이 화장실에 흉기 또는 은닉 카메라를 소지하고 출입하는 대상물은 성추행, 몰래 카메라 등 특정 범죄를 실행할 가능성이 있다. 은닉 카메라는 소형의 카메라 자체, 스마트폰과 같이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흉기 또는 은닉 카메라를 소지한 경우 대상물은 성별을 불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여성이 여성 화장실에서 은닉 카메라를 악의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획득부(110)는 적외선 카메라의 이미지를 밝기 온도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밝기 온도값으로 변환된 이미지는 소위 열화상 이미지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획득부(110)는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직접 열화상 이미지를 입수할 수도 있다.
판단부(130)는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대상물이 소지한 동시에 사람의 체온과 구별되는 흉기 또는 은닉 카메라를 파악할 수 있다.
생성부(150)는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대상물의 출입 영역 a가 화장실이면, 대상물의 성별에 상관없이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150)는 대상물 t가 흉기 또는 은닉 카메라를 소지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출입 영역 a에 입장하지 않으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성별 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에 포함된 대상물 t의 외부 윤곽 및 내부 윤곽이 뚜렷한 것이 좋다. 다시 말해, 이미지에 포함된 대상물 t의 선명도가 성별의 구분이 가능한 정도로 높을 필요가 있다. 이미지 i에 포함된 대상물 t의 선명도 개선을 위해 감시 장치(100)에는 적외선 조명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적외선 조명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설정 영역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또는 열화상 카메라가 마련될 때, 적외선 조명은 판단부(130)에 의해 이미지에서 대상물 t의 구분이 가능한 선명도가 유지되도록 주변 광량에 따라 조명의 광량을 자동 조절할 수 있다.
획득부(110)는 적외선 조명에 의해 조명되는 영역을 촬영한 카메라로부터 이미지 i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의 제1 이미지 i1은 적외선 조명이 지나치게 밝은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주변과 대상물 t의 구분이 가능하나 빛번짐 등으로 인해 대상물 t의 내부 윤곽이 파악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도 4의 제2 이미지 i2는 적외선 조명이 주변 광량에 맞춰 설정 범위를 만족하는 광량을 투사하고 있는 상태에서 촬영된 적외선 이미지일 수 있다.
살펴보면, 대상물 t의 밝기 자체는 제1 이미지 i1보다 낮지만, 빛 번짐이 억제된 관계로 대상물 t의 외부 윤곽 및 내부 윤곽이 선명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판단부(130)는 선명하게 표시된 대상물 t의 내부 윤곽을 이용해 대상물 t의 성별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판단부(13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판단부(130)는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i를 밝기 온도값을 변환할 수 있다. 또는, 판단부(130)는 밝기 온도값으로 표시되는 이미지, 소위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부(110)를 통해 입수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의복의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남성의 온도 분포와 여성의 온도 분포의 차이를 이용해서 이미지에 포함된 대상물의 성별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판단부(130)는 밝기 온도값을 이용해서 대상물 t의 상체를 추출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대상물 t의 상체에 착용된 브래지어(Brassiere)로 인해 발생되는 남녀 간의 상체 밝기 온도값의 차이를 이용해서 대상물 t의 성별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대상물의 머리 아래에 위치하는 상체의 윗부분에 최고 밝기 온도값으로 둘러싸이는 폐곡선 영역 m이 존재하고, 폐곡선 영역 m의 내부가 최고 밝기 온도값보다 설정 차이값 이상 낮은 온도 밝기값을 가지면, 해당 대상물을 여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상체의 윗부분에 폐곡선 영역 m이 미존재하면, 대상물을 남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의 제1 대상물 t1은 가슴에 착용한 브래지어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신축 밴드 등으로 인해 폐곡선 영역 m이 나타나므로, 여성으로 판별될 수 있다.
반면, 제2 대상물 t2는 브래지어의 미착용으로 인해 상체에 폐곡선 영역 m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남성으로 판별될 수 있다.
판단부(130)는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된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대상물 t의 성별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판단 모델은 학습부(19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학습부(190)는 기계 학습을 통해 사람의 성별을 구별하는 판단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학습부(190)는 적외선 촬영 결과물이 물리적인 밝기 온도값으로 변환된 히트맵(heat map)과 가시광선 이미지의 합성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 세트로 기계 학습해서 판단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학습부(19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학습부(190)는 열화상 이미지에 해당하는 히트맵과 가시광선 이미지 x를 합치거나 합성한 학습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고,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방식으로 해당 학습 데이터 세트를 기계 학습하여 판단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학습부(190)는 이미지에 포함된 대상물의 성별을 분류하는 동시에 오브젝트 디텍션(object detection) 기능을 이용해 대상물 t가 출입하는 영역(위치)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판단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해당 판단 모델은 판단부(130)에 탑재되고, 판단부(130)는 판단 모델을 이용해 대상물의 성별, 대상물의 출입 영역을 판단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판단부(130)는 대상물의 성별을 판단하고, 대상물이 소지한 흉기나 은닉 카메라를 구분하고, 대상물의 출입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생성부(150)는 판단부(130)에 의해 출입 영역에 대한 반대 성별의 출입, 흉기 소지, 은닉 카메라 소지 중 어느 하나라도 인식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경고 신호는 보안 서버(90)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되고, 관리자는 해당 상황에 대해 현장에 출동하거나 경찰에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감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의 감시 방법은 도 1의 감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감시 방법은 획득 단계(S 510), 추출 단계(S 520), 파악 단계(S 530), 판단 단계(S 540), 생성 단계(S 550), 전송 단계(S 560)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 단계(S 510)는 적외선 또는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 단계(S 510)는 획득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획득부(110)는 적외선 이미지를 밝기 온도값으로 변환해서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획득부(110)는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열화상 이미지를 입수할 수 있다.
추출 단계(S 520)는 이미지에 포함된 대상물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 단계(S 520)는 판단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판단 단계(S 540)는 대상물의 상체에서 의복의 차이에 기인한 밝기 온도값 차이를 이용해서 대상물의 성별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 단계(S 540)는 판단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파악 단계(S 530)는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대상물이 출입하는 출입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파악 단계(S 530)는 판단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판단 단계(S 540)와 파악 단계(S 530)의 실행 순서는 도 7과 같이 뒤바뀌어도 무방하다.
생성 단계(S 550)는 대상물의 성별과 출입 영역을 이용해서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 단계(S 550)는 생성부(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생성부(150)는 남성이 여성 화장실에 입장하는 상황이 파악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 단계(S 560)는 보안 서버(90)에 상기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 단계(S 560)는 통신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CCTV 20...비상벨
50...통신망 90...보안 서버
100...감시 장치 110...획득부
130...판단부 150...생성부
170...통신부 190...학습부

Claims (11)

  1. 설정 지역이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의 성별을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이용해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이미지를 밝기 온도값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밝기 온도값으로 표시되는 상기 이미지를 입수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밝기 온도값을 이용해서 상기 사람의 상체를 추출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람의 상체에 착용된 브래지어(Brassiere)로 인해 발생되는 남녀 간의 상체 밝기 온도값의 차이를 이용해서 상기 사람의 성별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람의 머리 아래에 위치하는 상체의 윗부분에 최고 밝기 온도값에 의해 둘러싸이는 폐곡선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폐곡선 영역의 내부가 상기 최고 밝기 온도값보다 설정 차이값 이상 낮은 온도 밝기값을 가지면, 상기 사람을 여성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상체의 윗부분에 상기 폐곡선 영역이 미존재하면, 상기 사람을 남성으로 판단하며,
    상기 생성부는 상기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사람의 성별이 제1 성별이고 상기 사람의 출입 영역이 제2 성별의 화장실이면, 상기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감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설정 영역을 촬영하는 적외선 또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적외선으로 조명하는 적외선 조명이 마련되고,
    상기 적외선 조명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사람의 구분이 가능한 선명도가 유지되도록 주변 광량에 따라 조명의 광량을 자동 조절하며,
    상기 획득부는 상기 적외선 조명에 의해 조명되는 영역을 촬영한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획득하는 감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기계 학습을 통해 사람의 성별을 구별하는 판단 모델을 생성하는 학습부가 마련되고,
    상기 학습부는 적외선 촬영 결과물이 물리적인 밝기 온도값으로 변환된 히트맵(heat map)과 가시광선 이미지의 합성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 세트로 기계 학습해서 상기 판단 모델을 생성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판단 모델을 이용해서 상기 사람의 성별을 판단하는 감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에서 상기 경고 신호가 생성되면, 이미지에 포함된 영역을 감시하는 보안 서버 또는 기설정된 단말기에 상기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가 마련된 감시 장치.
  11. 감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감시 방법에 있어서,
    적외선 또는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람의 상체에서 의복의 차이에 기인한 밝기 온도값 차이를 이용해서 상기 사람의 성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사람이 출입하는 출입 영역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사람의 성별과 상기 출입 영역을 이용해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보안 서버에 상기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람의 성별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밝기 온도값을 이용해서 상기 사람의 상체를 추출하며,
    상기 사람의 상체에 착용된 브래지어(Brassiere)로 인해 발생되는 남녀 간의 상체 밝기 온도값의 차이를 이용해서 상기 사람의 성별을 판단하고,
    상기 사람의 머리 아래에 위치하는 상체의 윗부분에 최고 밝기 온도값에 의해 둘러싸이는 폐곡선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폐곡선 영역의 내부가 상기 최고 밝기 온도값보다 설정 차이값 이상 낮은 온도 밝기값을 가지면, 상기 사람을 여성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체의 윗부분에 상기 폐곡선 영역이 미존재하면, 상기 사람을 남성으로 판단하며,
    상기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사람의 성별이 제1 성별이고 상기 사람의 출입 영역이 제2 성별의 화장실이면, 상기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감시 방법.
KR1020210051780A 2021-04-21 2021-04-21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412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780A KR102412095B1 (ko) 2021-04-21 2021-04-21 감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780A KR102412095B1 (ko) 2021-04-21 2021-04-21 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095B1 true KR102412095B1 (ko) 2022-06-22

Family

ID=8221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780A KR102412095B1 (ko) 2021-04-21 2021-04-21 감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0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7662A (ko) *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에디텍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 및 영상감시 방법
KR20110057083A (ko) * 2009-11-13 2011-05-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적외선 센서 및 이를 이용한 감지 방법
KR101827538B1 (ko) 2016-12-28 2018-02-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성별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90072986A (ko) * 2017-12-18 2019-06-26 (주)에프엑스기어 열 영상을 이용한 신체 특징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10007672A (ko) * 2019-07-12 2021-01-20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위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7662A (ko) *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에디텍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 및 영상감시 방법
KR20110057083A (ko) * 2009-11-13 2011-05-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적외선 센서 및 이를 이용한 감지 방법
KR101827538B1 (ko) 2016-12-28 2018-02-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성별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90072986A (ko) * 2017-12-18 2019-06-26 (주)에프엑스기어 열 영상을 이용한 신체 특징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10007672A (ko) * 2019-07-12 2021-01-20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위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948B1 (ko) 신체정보 및 얼굴인식에 기반한 감시 시스템의 영상정보 마스킹 방법
CN106204815B (zh) 一种基于人脸检测和识别的门禁系统
EP3270354B1 (en) Living body detection device, living body dete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740210B2 (ja) 顔画像検索システム、及び顔画像検索方法
CN208433010U (zh) 基于人脸识别的警用ar显示系统
CN107133564B (zh) 一种工装工帽检测方法
KR20120140184A (ko) 얼굴 화상 검색 시스템 및 얼굴 화상 검색 방법
JP2011220612A (ja) 空気調和機
CN111739248B (zh) 一种人工智能物联网安防系统及控制方法
KR101754152B1 (ko) 복수 대역 카메라를 이용한 발열환자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열환자 감시 방법
KR101084914B1 (ko) 차량번호 및 사람 이미지의 인덱싱 관리시스템
KR101092472B1 (ko) 감시카메라를 활용한 비디오 색인 시스템 및 그 색인 방법
CN106599879A (zh) 基于云端的安防控制方法及终端
JP4862518B2 (ja) 顔登録装置、顔認証装置および顔登録方法
WO2019239159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recognising a human face
KR102412095B1 (ko)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350882B1 (ko) 영상 분석 서버
JP2014154129A (ja) 装備認識システム
JP2012212217A (ja) 画像監視装置
JP5444103B2 (ja) 通報装置
JP2012212216A (ja) 画像監視装置
GB2589080A (en) Surveillance system
CN108022411B (zh) 基于图像处理的监控系统
KR102012719B1 (ko) 전방위 영상 기반 화상회의 발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JP5520675B2 (ja) 通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