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008B1 - Chute for Sorter - Google Patents

Chute for S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008B1
KR102412008B1 KR1020150075329A KR20150075329A KR102412008B1 KR 102412008 B1 KR102412008 B1 KR 102412008B1 KR 1020150075329 A KR1020150075329 A KR 1020150075329A KR 20150075329 A KR20150075329 A KR 20150075329A KR 102412008 B1 KR102412008 B1 KR 102412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sorter
guide
storage unit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39795A (en
Inventor
김광순
Original Assignee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5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008B1/en
Publication of KR2016013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7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0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분류기용 슈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지레그(12)가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에 설치되어 물품분류기(1)의 트레이(5)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P)이 유입되는 보관부(15)와, 상기 물품분류기(1)와 인접하도록 상기 보관부(15)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물품분류기(1)의 이송경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가이드플레이트(20)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측면이 연결되는 제2가이드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물품분류기(1)의 이송경로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관부(15)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5)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P)을 상기 보관부(15)로 안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물품분류기 이송부(2)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P)이 물품분류기(1)의 일측에 구비된 슈트(10)의 가이드플레이트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하강하므로, 수송물(P)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더라도 슈트(10)와의 큰 충돌 없이 안전하게 보관부(15)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ute for an article sor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plate 11 provided with a support leg 12, and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1 and is dropped from the tray 5 of the article sorter (1). The storage unit 15 into which the transported goods P are introduced and the storage unit 15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15 so as to be adjacent to the goods sorter 1 and extend along the transport path direction of the goods sorter 1 It includes a first guide plate 20 and a second guide plate 30 having a side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20 . The second guide plate 3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storage unit 15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port path of the article sorter 1, and transports the goods P falling from the tray 5. Guide to the storage unit (15).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ort P falling from the sorter transfer unit 2 naturally descends along the guide plate inclined surface of the chute 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orter 1, so the transport P Even if it moves at a high speed, it can be safely moved to the storage unit 15 without a major collision with the chute 10 .

Description

물품분류기용 슈트{Chute for Sorter}Chute for Sorter

본 발명은 물품분류기용 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안내하여 이송물이 안전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ute for a sort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ute for a sorting machine that guides a dropping point of a transported object so that the transported object can fall safely.

컨베이어는 공장의 생산라인이나 택배와 같은 화물운송회사의 물류창고 등에 설치되어 물품이나 부품 등을 기계동력에 의해 어느 일 방향으로 자동이송하여 인력을 감소시키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계장치이다. 이러한 컨베이어 장치는 공장 자동화 설비라인에 주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Conveyor is a mechanical device that is installed in the production line of a factory or the warehouse of a freight forwarding company, such as courier, to automatically transport goods or parts in one direction by mechanical power to reduce manpower and improve work efficiency. . Such a conveyor device occupies a major role in the factory automation equipment line.

예를 들어, 컨베이어는 화물운송회사의 물류창고에서 수집된 화물을 차량에서 하역하면서 동일 구역의 목적지 끼리 화물을 분류하여 이를 각 지역 담당자가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For example, conveyors are sometimes used to sort cargoes between destinations in the same area while unloading cargoes from the warehouse of a freight forwarding company so that the person in charge of each region can deliver them.

일반적으로, 화물들은 컨베이어의 트레이 상에 안착된 상태로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다가 트레이가 회전하면 컨베이어의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 낙하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수납공간으로 유입되어 이송되거나 보관된다. In general, cargos move along a conveyor belt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a tray of a conveyor, and when the tray rotates, they fall off a movement path of the conveyor, and are finally introduced into a storage space to be transported or stored.

이때, 화물들이 트레이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화물이 손상되거나 수납공간으로 정확하게 낙하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컨베이어의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더욱 쉽게 발생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process of the cargo falling downward from the tray, the cargo may be damaged or may not be accurately dropped into the storage space, which may occur more easily as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or increases.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화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수납공간으로부터 멀리 벗어나지 못하도록 컨베이어의 일측에 가이드판을 경사지게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이드판은 화물의 낙하경로를 제한하여 화물이 수납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는 있으나, 화물이 가이드판에 강하게 충돌하여 오히려 화물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으며, 가이드판이 컨베이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이드판이 차지하는 공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related art, a guide plate was installed to be inclined on one side of the conveyor to prevent the cargo from deviated far from the storage space in the process of falling. However, such a guide plate can limit the fall path of the cargo so that the cargo moves into the storage space, but the cargo strongly collides with the guide plate and the cargo is damag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guide plate increased because it was formed to be inclin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3151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2315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분류기로부터 분류되어 낙하는 수송물이 큰 충격없이 슈트를 따라 안전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afely move the transported goods that are sorted from the sorter and fall along the chute without a great impa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품분류기로부터 분류되어 낙하는 수송물을 안내하기 위한 슈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space occupied by a chute for guiding the goods that are sorted and dropped from the sorting machin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지레그가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물품분류기의 트레이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이 유입되는 보관부와, 상기 물품분류기와 인접하도록 상기 보관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물품분류기의 이송경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에 측면이 연결되고 상기 물품분류기의 이송경로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관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을 상기 보관부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plate provided with a support leg, a storage unit installed on the base plate and into which transported goods falling from a tray of an article sorter are introduced; A first guide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unit to be adjacent to the article sorter and extending along the transport path direction of the article sorter, the side surface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and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port path of the article sorter Accordingly, i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torage unit and includes a second guide plate for guiding the transported material falling from the tray to the storage unit.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second guide plate is inclined so as to increase in height as it moves away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가 상기 물품분류기의 이송경로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관부를 향해 하향경사진 각도(a)는 20°~30°이고,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 높아지는 경사각(b)은 5°~10°이다. An angle (a) at which the second guide plate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torage uni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port path of the article sorter is 20° to 30°, and one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The higher the distance from it, the higher the inclination angle (b) is 5° to 10°.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보관부를 향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The second guide plate is formed to become wider as it goes downward toward the storage unit.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수송물을 낙하시키기 위해 회전된 트레이의 일단과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guide plate is inclined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guide plate extends to a position facing the one end of the tray rotated to drop the transported material.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는 다수개가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서로 인접한 제2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소정의 이송경로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the second guide plates are install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redetermined transport path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guide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와 연결된 일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의 타단에는 가이드스커트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A guide skirt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end of the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편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A coupling piece for coupling with an adjacent base plate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base plate.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분류기용 슈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article sorter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alvag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에서는 물품분류기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이 물품분류기의 일측에 구비된 슈트의 가이드플레이트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하강하므로, 수송물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더라도 슈트와의 큰 충격 없이 안전하게 보관부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ansported material falling from the sorter naturally descends along the guide plate slope of the chut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orter, even if the transported transport moves at a high speed, it can be safely moved to the storage unit without a major impact with the chute. have.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플레이트가 물품분류기와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물품분류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하향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다시 물품분류기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수송물의 하강경로가 연속적인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송물의 하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late extends obliquely to be adjacent to the article sorter,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article sorter, and at the same tim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article sorter direction again. , the lowering of the transport can be made more stably.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가이드플레이트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서로 인접한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일종의 하강경로가 형성됨으로써, 터널 구조와 같은 밀폐된 배출구조가 없더라도 수송물이 일정한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으며, 밀폐구조가 아니므로 작업자가 외부에서 수송물이 하강하는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uide plates are installed side by side to form a kind of descending path between the adjacent guide plates, so that even if there is no sealed discharge structure such as a tunnel structure, the transported material can be stably descended without departing from a certain path. In addition, since it is not a closed structure, the operator can visually check the appearance of the transported material descending from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maintainability.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슈트의 가이드플레이트가 물품분류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치되지 않고, 물품분류기의 이동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슈트가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물품분류기 장치의 공간활용률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late of the chute is not install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rticle sorter, but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ement path of the article sorter.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분류기용 슈트의 일실시례가 적용된 물품분류기 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이용하여 수송물이 하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rticle sorter devi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article sorter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working state diagram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descending the transported goods us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설명의 편의를 위해 먼저 물품분류기(1)에 대해 설명하면, 물품분류기를 구성하는 물품분류기 이송부(2)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그 상부에 안착된 수송물(P)을 일정경로를 따라 이송시키게 되는데, 상기 물품분류기 이송부(2)의 상부에는 트레이(5)가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5)는 실질적으로 수송물(P)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구조로 구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물품분류기(1) 및 이송부(2)는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물품분류기(1)는 다양한 방식으로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rst, the article sorter 1 is described. The article sorter transfer unit 2 constituting the article sorter rotates continuously and transports the transport P seated on the upper part along a predetermined path. , a plurality of trays 5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unit 2 of the sorting machine. The tray 5 is substantially composed of a flat plate structure as shown as a portion on which the transport P is se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ticle sorter 1 and the transfer unit 2 are composed of a conveyor bel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rticle sorter 1 may be a device for sorting articles in various ways.

상기 트레이(5)는 그 하부에 구비된 구동수단(7)에 의해 어느 일방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상기 트레이(5)가 회전되면 트레이(5) 상부의 수송물(P)은 자연스럽게 물품분류기 이송부(2)로부터 벗어나 측면 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7)은 유압실린더나 전기모터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ray 5 can be rotated in either direction by the driving means 7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2) and falls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driving means 7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or an electric motor.

상기 트레이(5)가 회전되어 낙하하게 되는 수송물(P)은 아래에서 설명될 슈트(10)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되고, 보관부(15)에 수납되어 최종적으로 보관 또는 이송이 이루어진다. The transport P, which is rotated and dropped by the tray 5, is guid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a chute 10 to be described below,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to be finally stored or transported.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슈트(10)는 하부에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11)가 하부를 지지하는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에는 다수개의 지지레그(1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레그(12)는 생략되거나 또는 이송이 용이하도록 바퀴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chute 10 forms a skeleton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hute 10 with a base plate 11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base plate 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 . The support leg 12 may be omitted or configured as a wheel structure for easy transport.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에는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1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편(18,19)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편(18,19)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다수개의 슈트(10)가 서로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18,19)은 용접이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2개의 슈트(10)가 서로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The base plate 11 is provided with coupling pieces 18 and 19 protruding for coupling with the adjacent base plate 11 . The coupling pieces 18 and 19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ase plate 11, respectively, so that a plurality of chutes 10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ieces 18 and 19 may be coupled by welding or fasteners. For reference, Figure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two suits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에는 보관부(15)가 구비된다. 상기 보관부(15)는 하강한 수송물(P)이 수납되는 부분으로, 도 1에서 보듯이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관부(15)는 차폐되어 박스구조(16)를 가질 수도 있다. The base plate 11 is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15 . The storage unit 15 is a portion in which the lowered transport P is accommodated, and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s shown in FIG. 1 , and the storage unit 15 may be shielded to have a box structure 16 . .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에는 측면플레이트(13)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3)에는 제1가이드플레이트(20) 및 제2가이드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와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수송물(P)이 하강하는 경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제1가이드플레이트(20) 및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모두 얇은 판상 구조를 가지며, 금속재질로 만들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이들에 대해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A side plate 13 is provided on the base plate 11 , and a first guide plate 20 and a second guide plate 30 are provided on the side plate 13 . The first guide plate 20 and the second guide plate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path for the transport P to descend. The first guide plate 20 and the second guide plate 30 are All of them have a thin plate-like structure and are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Each of these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는 상기 물품분류기 이송부(2)와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제2가이드플레이트(30)에 앞서 낙하하는 수송물(P)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상기 보관부(15)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물품분류기(1)의 이송경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First, the first guide plate 2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article sorter transfer unit 2 and is in contact with the transport P falling before the second guide plate 30, and the storage unit 15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roduct and extends along the transport path direction of the sorter (1).

도 1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도입경사부(25)를 갖는다. 상기 도입경사부(25)는 상기 수송물(P)을 낙하시키기 위해 회전된 트레이(5)의 일단과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도입경사부(25)에 의해 수송물(P)이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중심방향(도 3의 화살표①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안내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입경사부(25)의 경사진 모습을 잘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3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guide plate 20 has an inclined introduction inclined portion 25 . The introduction inclined portion 25 is provided to be inclined on the first guide plate 20 so as to extend to a position facing one end of the tray 5 rotated to drop the transport P. The transport P can be naturally guide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plate 30 (the arrow ① direction in FIG. 3 ) by the introduction inclined part 25 . In FIG. 3 , the inclined state of the introductory inclined unit 25 can be seen well.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는 제2가이드플레이트(30)가 연결된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연결되어 제1가이드플레이트(20)를 따라 하강한 수송물(P)을 자연스럽게 보관부(15)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그 일측이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측면이 연결되고 상기 물품분류기(1)의 이송경로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관부(15)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A second guide plate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20 . The second guide plate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20 and naturally guides the transported material P descending along the first guide plate 20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15, th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first guide plate 20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torage unit 15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port path of the article sorter 1 .

즉,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그 일측면이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연결되고, 상기 물품분류기(1)의 이송경로(도1의 화살표 A방향)을 따라 점점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보관부(15)를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트레이(5)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P)을 상기 보관부(15)로 안내할 수 있다. 도면부호 31은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메인경사부를 나타낸다. That is, as shown in FIG. 1, one side of the second guide plate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20, and the transport path of the article sorter 1 (direction of arrow A in FIG. 1) is shown. Accordingly, the height is gradually lowered, so that the lower end faces the storage unit 15 . Accordingly, the second guide plate 30 may guide the transport P falling from the tray 5 to the storage unit 15 . Reference numeral 31 denotes a main inclined portion of the second guide plate 30 .

이처럼,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물품분류기(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치되지 않고, 물품분류기 이송부(2)의 이동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슈트(10)가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As such, the second guide plate 30 is not install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rticle sorter 1, but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ement path of the article sorter transfer unit 2, so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chute 10 is relatively reduced. do.

한편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3을 기준으로 하면,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타단(우측단)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와 연결된 일단(좌측단) 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틀어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연결된 일단보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타단이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낙하하는 수송물(P)이 물품분류기 이송부(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가까워지는 방향(도 3의 화살표③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 the second guide plate 30 is inclined so as to increase in height as it moves away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20 . Referring to FIG. 3 , the other end (right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30 is formed higher than one end (left end)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20 . That is, the second guide plate 30 is installed so as to be twisted about an imaginary axis of rota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plate 30 ,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20 .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relatively far from the first guide plate 20 is formed to be higher. Accordingly, the falling transport P may be guided in a direction (arrow ③ direction in FIG. 3 ) closer to the first guide plate 20 without depart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orter transfer unit 2 .

이때,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가 상기 물품분류기(1)의 이송경로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관부(15)를 향해 하향경사진 각도(도 1의 a)는 20°~30°이고,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각(도 3의 b)은 5°~10°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과도하게 급격한 경사는 수송물(P)의 하강속도를 높이게 되고, 일정 이하 각도로 완만한 경사는 수송물(P)의 하강속도를 줄이게 되어 적절한 각도의 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a각도는 25°이고, b각도는 8°이다. At this time, the angle (a in FIG. 1) at which the second guide plate 3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torage unit 15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port path of the article sorter 1 is 20° to 30°, ,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b of FIG. 3) at which the height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30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20 is 5° to 10°. This is because an excessively abrupt inclination increases the descending speed of the transport P, and a gentle inclination at an angle less than a certain level reduces the descending velocity of the transport P, so an appropriate angle setting is required. 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the angle a is 25°, and the angle b is 8°.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보관부(15)를 향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송물(P)이 낙하할 때 관성에 의해 물품분류기 이송부(2)로 멀어지는 방향, 즉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 외측으로 벗어나는 방향의 힘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폭을 넓힘으로써 수송물(P)이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가이드스커트(37)와 강한 힘으로 충돌하거나 이탈하지 않고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부호 36은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하단의 폭이 넓어지는 확장경사부를 나타낸다. As shown in FIG. 3 , the second guide plate 30 is preferably formed to become wider as it goes downward toward the storage unit 15 . This has a for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orter transfer unit 2 due to inertia when the transport P is falling, that is, in the direction outward of the second guide plate 30, so by naturally widening the width in that direction. This is to allow the transport P to descend naturally and stably without colliding with or leaving the guide skirt 37 of the second guide plate 30 with a strong force. Reference numeral 36 denotes an extended inclined portion in which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30 is widened.

이때 상기 가이드스커트(37)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와 연결된 일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타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가이드스커트(37)는 수송물(P)이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t this time, the guide skirt 37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30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end of the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plate 20 . It extends along and protrudes upward. Due to this structure, the guide skirt 37 serves to prevent the transport P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guide plate 30 .

한편,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다수개가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서로 인접한 제2가이드플레이트(30) 사이에 소정의 이송경로가 형성된다. 즉, 서로 인접한 제2가이드플레이트(30) 사이로 수송물(P)이 하강하게 되는 것인데, 따라서 터널 구조와 같은 밀폐된 배출구조가 없더라도 수송물(P)이 일정한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밀폐구조가 아니므로 작업자가 외부에서 수송물(P)이 하강하는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이상유무를 바로 확인할 수도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 , a plurality of the second guide plates 30 are install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a predetermined transport path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guide plates 30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the transport P is lowered between the adjacent second guide plates 30. Therefore, even if there is no sealed discharge structure such as a tunnel structure, the transport P can be stably descended without departing from a certain path. have. In addition, since it is not a sealed structure, the operator can visually check the state of the transport P descending from the outside, so that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상부에는 연결경사부(35)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경사부(35)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제1가이드플레이트(20)의 도입경사부(25)와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상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도입경사부(25)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와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도입경사부(25), 연결경사부(35), 메인경사부(31)로 이어지는 수송물(P)의 하강경로가 연속적인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송물(P)의 하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connection inclined part 35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guide plate 30 .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connecting inclined portion 35 is formed to protrude to be biased toward the first guide plate 20 , and the introduction inclined portion 25 of the first guide plate 20 and It corresponds to a port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introduction inclined portion 25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guide plate 30 can be connected. Accordingly, the first guide plate 20 and the second guide plate 30 have a descending path of the transport P leading to the introduction slope 25 , the connection slope 35 , and the main slope 31 . By being formed as a continuous inclined surface, the lowering of the transport material P can be made more stab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분류기용 슈트를 통해 수송물이 하강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a transported material descends through a chute for an article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수송물(P)은 물품분류기 이송부(2)의 트레이(5)를 따라 이동하고, 이동 중에 수송물(P)이 낙하되어야 할 지점을 지나게 되면 상기 트레이(5)가 회전하여 수송물(P)을 물품분류기 이송부(2) 외측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5)가 회전된 모습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First, the transport P moves along the tray 5 of the sorter transfer unit 2, and when the transport P passes a point to be dropped during the movement, the tray 5 rotates and the transport P ) is dropped to the outside of the sorter transfer unit (2). A state in which the tray 5 is rotated in this way is shown in FIG. 4 .

이렇게 되면 상기 수송물(P)은 상기 트레이(5)로부터 미끌어져 하강하게 되고, 하강 과정에서 먼저 제1가이드플레이트(20)의 도입경사부(25)를 지나게 된다. 상기 수송물(P)은 상기 도입경사부(25)를 따라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중심부, 즉 메인경사부(3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메인경사부(31)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도 3의 화살표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transported material P slides down from the tray 5 and passes through the introduction slope 25 of the first guide plate 20 in the descending process. The transport P moves along the inclination portion 25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guide plate 30 ,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slope 31 , and moves downward along the slope of the main slope 31 .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② in FIG. 3).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5 .

이때, 상기 메인경사부(31)의 경사면은 상기 수송물(P)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므로, 수송물(P)이 이송되던 방향으로 가지는 관성력에 의해 슈트(10)의 어느 일측에 강하게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며,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ain inclined part 31 is inclined downward along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ransport P, any A strong collision with one side is prevented, and it can be guided naturally downward.

또한, 수송물(P)은 트레이(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도 3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관성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감쇄하기 위하여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이를 상쇄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transport P has an inertial for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tray 5, that is,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3 , and in order to attenuate this, the second guide plate 30 is the first guide plate 20 )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height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one end connected to it increases, thereby offsetting this.

이에 더하여,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에는 확장경사부(36)가 형성되어 수송물(P)이 확장경사부(36) 방향으로 미끌어지는 과정에서 트레이(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줄어들고 수송물(P)의 이탈이 방지된다. 물론 가이드스커트(37)에 의해 수송물(P)의 이탈이 방지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plate 30 is provided with an extended inclined portion 36 so that the inertia for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tray 5 in the process of sliding the transport P in the direction of the extended inclined portion 36 is generated. is reduced and the departure of the transport P is prevented. Of course, the departure of the transport material P may be prevented by the guide skirt 37 .

마지막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송물(P)은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하부에 구비된 보관부(15)으로 낙하하여 수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인접한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일종의 하강경로가 형성됨으로써, 터널 구조와 같은 밀폐된 배출구조가 없더라도 수송물(P)이 일정한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Finally, as shown in FIG. 6 , the transported goods P are accommodated by falling into the storage unit 15 provided under the second guide plate 30 . And, such a process is made continuous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kind of descending path is formed between the guide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even if there is no closed discharge structure such as a tunnel structure, the transport P does not deviate from a certain path and is stably can descen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in combination or combined into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pecifi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물품분류기 2: 이송부
5: 트레이 10: 슈트
11: 베이스플레이트 15: 보관부
20: 제1가이드플레이트 25: 도입경사부
30: 제2가이드플레이트 31: 메인경사부
35: 연결경사부 37: 가이드스커트
1: Sorter 2: Transfer unit
5: Tray 10: Suit
11: base plate 15: storage
20: first guide plate 25: introduction inclined part
30: second guide plate 31: main inclined part
35: connected inclined portion 37: guide skirt

Claims (8)

지지레그가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물품분류기의 트레이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이 유입되는 보관부와,
상기 물품분류기와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보관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물품분류기의 이송경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에 측면이 연결되고 상기 물품분류기의 이송경로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관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을 상기 보관부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와 연결된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의 일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의 타단에는 가이드스커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의 도입경사부와 상기 가이드스커트 사이에 형성된 이송경로는 상기 트레이로부터 측방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일한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의 말단부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스커트에 의해 이송경로의 폭이 상기 트레이로부터 측방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플레트의 말단부 타측은 상기 도입경사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물품분류기의 이송경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A base plate provided with support legs, and
a storage part installed on the base plate and into which the transported goods falling from the tray of the article sorter are introduced;
a first guide plate install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storage uni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article sorter and extending along a transfer path direction of the article sorter;
A second guide plate having a side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an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torage uni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port path of the article sorter to guide the transported material falling from the tray to the storage unit. become,
A guide skir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end of one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The transport path formed between the introductory slope of the first guide plate and the guide skirt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ray with the same width,
On one side of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an extended inclined portion is formed in which the width of the transport path is exten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ray laterally by the guide skir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is bent at the introduction slope and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fer path of the sor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2] The suit for sorting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guide plate is inclined to increase in height as it goes away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가 상기 물품분류기의 이송경로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관부를 향해 하향경사진 각도(a)는 20°~30°이고,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각(b)은 5°~10°임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econd guide plate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torage uni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port path of the article sorter (a) is 20 ° ~ 30 °, the second guide plate is the second guide plate 1 A suit for sorting good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angle (b), which increases in height as it goes away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guide plate, is 5° to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보관부를 향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The chu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guide plate is formed to become wider as it goes downward toward the storage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수송물을 낙하시키기 위해 회전된 트레이의 일단과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The sor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guide plate is inclined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guide plate extends to a position facing the one end of the tray rotated to drop the transported goods. suit.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언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는 다수개가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서로 인접한 제2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소정의 이송경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6] The chu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 plurality of the second guide plates are install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redetermined transport path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second guide plates. .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편이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2] The chu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upling piece for coupling with an adjacent base plate protrudes from the base plate.

KR1020150075329A 2015-05-28 2015-05-28 Chute for Sorter KR1024120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329A KR102412008B1 (en) 2015-05-28 2015-05-28 Chute for So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329A KR102412008B1 (en) 2015-05-28 2015-05-28 Chute for So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795A KR20160139795A (en) 2016-12-07
KR102412008B1 true KR102412008B1 (en) 2022-06-22

Family

ID=5757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329A KR102412008B1 (en) 2015-05-28 2015-05-28 Chute for S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0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909B1 (en) * 2018-02-20 2020-04-27 씨제이대한통운 (주) An automaticclassification system of goods with ball board and Classification method thereof
KR102248689B1 (en) 2020-09-01 2021-05-06 우양정공주식회사 Package Sorter For Ununiformed Freight
KR102504766B1 (en) * 2020-11-11 2023-03-02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Induction with reject box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604B2 (en) * 1995-03-10 2001-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ombustion control device
US20040140412A1 (en) * 2003-01-22 2004-07-22 Hendzel Louis J. Modular substructure for material handl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6425A (en) * 1975-05-13 1977-05-31 Fairchild Industries Inc. Article collection apparatus
KR101223151B1 (en) 2010-07-22 2013-01-17 박홍주 Apparatus for detecting metallic foreign matter having dual conveyor and packing system using the same
JP3191604U (en) * 2014-04-10 2014-07-03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ィ "Shooter for conveying go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604B2 (en) * 1995-03-10 2001-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ombustion control device
US20040140412A1 (en) * 2003-01-22 2004-07-22 Hendzel Louis J. Modular substructure for material hand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795A (en)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7042B2 (en) Storage system with robot device
US9212013B2 (en) Overhead-conveying transport bag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unloading the transport bag
KR101987163B1 (en) Elevating transfer device
KR102412008B1 (en) Chute for Sorter
US20170121127A1 (en) Transporting element for a distributing conveyor of a sorter of a sorting installation
JP2015037992A (en) Commodity case automatic stacking system
JPS61263525A (en) Machine transporting box and similar vessel
CN112495832A (en) Mineral product sorting machine and mineral product sorting method
CN210438034U (en) Article separating device
CN111891681B (en) Commodity circulation sorting device
JP2016172638A (en) Sorting boxing device
JP6005009B2 (en) Sorting system and loading method
CN109928123A (en) Article container equipment
EP4129866A1 (en) Sorting device
JP6366511B2 (en) Sorting system, sorting method and guide unit
CN108349665B (en) Cargo lift for a cargo transfer device of an automated cargo storage system
KR101522082B1 (en) Breaking device of tripper car
CN1845802B (en) System and method for item handling
KR20090003766U (en) Apparatus for loading cargo
CN210675993U (en) Sorting device
CN112642720A (en) Cross belt sorting machin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CN219546039U (en) Material box bearing device of backstop sorting machine and cargo sorting machine
CN220092159U (en) Sorting platform and sorting system
JPH0312012B2 (en)
CN219850864U (en) Automatic sorting platform of intelligent manufacturing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