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766B1 - Induction with reject box - Google Patents
Induction with reject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4766B1 KR102504766B1 KR1020200150324A KR20200150324A KR102504766B1 KR 102504766 B1 KR102504766 B1 KR 102504766B1 KR 1020200150324 A KR1020200150324 A KR 1020200150324A KR 20200150324 A KR20200150324 A KR 20200150324A KR 102504766 B1 KR102504766 B1 KR 1025047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ject
- cargo
- induction
- object detection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화물이 입고되도록 입고라인과 연결되는 입고 컨베이어와, 입고된 화물이 구간 중단부에서 유입되도록 입고 컨베이어가 연결되고, 유입된 화물을 크로스벨트 소터로 적재하도록 일단이 크로스벨트 소터와 연결되는 적재 컨베이어, 그리고 크로스벨트 소터의 반대측에서 적재 컨베이어와 연결되는 리젝트 수용함을 포함하고, 적재 컨베이어 상에 리젝트 화물이 발생하여 적재 컨베이어를 역방향 구동하면 리젝트 화물이 리젝트 수용함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젝트 화물 발생시 관리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리젝트 화물을 리젝트 처리 가능하므로 인건비 절감 효과가 있으며, 리젝트 처리되는 과정에서 리젝트 화물이 낙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ion stove equipped with a reject container,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rehousing conveyor connected to a warehousing line so that cargo is warehousing, and a warehousing conveyor so that the warehousing cargo flows in from the middle of the section, and the incoming cargo A loading convey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ross-belt sorter to load the cross-belt sorter, and a reject container connected to the loading conveyo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ross-belt sorter, and the reject cargo is generated on the loading conveyor to load the conveyor. When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eject cargo is accommodated in the reject receiv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ject cargo occurs,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ject the reject cargo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 manager, thereby reducing labor costs, and preventing the reject cargo from being damaged by drop impact during the reject processing process. there is.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덕션의 소터 반대 측에 연결 배치되는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어 리젝트 화물이 발생하여 인덕션의 컨베이어를 역방향 구동하면 리젝트 화물이 리젝트 수용함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리젝트 화물 발생시 관리자의 개입 없이 발생한 리젝트 화물을 자동으로 리젝트 처리 가능하고 리젝트 처리되는 과정에서 리젝트 화물이 낙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리젝트 수용함에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을 카운트하여 리젝트 수용함별 리젝트 화물 개수를 관리자가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는 인덕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ion cooker provided with a reject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reject container is provided connected to and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a sorter of the induction cooker so that reject cargo is generated and the conveyor of the induction cooker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eject By allowing the cargo to be accommodated in the reject container,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ject the rejected cargo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manager when the reject cargo occurs, and to prevent the rejected cargo from being damaged by drop impact during the reject processing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ion cooker that enables a manager to monitor the number of reject cargoes for each reject container by counting reject cargoes accommodated in the reject container.
물류라는 용어는 물적 유통(physical distribution)의 줄임말로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제품, 재화를 효과적으로 옮겨주는 기능 또는 활동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하역, 수송, 보관 및 정보와 같은 여러 활동을 말한다.The term logistics is an abbreviation for physical distribution, and it is a generic term for functions or activities that effectively move products and goods from producers to consumers. It usually refers to several activities such as packing, unloading, transportation, storage and information.
통상적으로 제품, 재화를 수송하는 데는 포장, 보관, 집하/적재, 수송, 하역/배달, 보관 등의 여러 과정을 거친다. 어떠한 수송수단을 이용하든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는 제품, 재화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의 전체를 종합적으로 보는 것이 물적 유통(물류)인 것이다.In general, various processes such as packaging, storage, collection/loading, transportation, unloading/delivery, and storage are used to transport products and goods. No matter what means of transportation is used, it is impossible to move products and goods without going through this process. The overall view of these movements is physical distribution (logistics).
최근에는 대량생산, 대량판매, 대량소비가 시대의 추세가 되었으며, 그 사이를 잇는 물자의 흐름을 효율화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에 물류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Recently, mass production, mass sale, and mass consumption have become the trend of the times, and the importance of logistics is gradually increasing because the need to streamline the flow of goods between them has increased.
물류 창고는 일반적으로 공장 또는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료품, 음료, 의류, 가전, 잡화 및 산업용품 등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를 말한다. 이러한 물류 창고는 최근 물류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물류의 관리차원에서 벗어나 물류 창고 내 보관재고의 물품배치에서부터 효율적인 입출하는 물론 재고관리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시공되고 있다.Logistics warehouse refers to a storage warehouse for temporarily or long-term loading and storage of all items used in daily life, such as various foodstuffs, beverages, clothing, home appliances, miscellaneous goods and industrial products, generally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at factories or production sites. Due to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these logistics warehouses are being designed and constructed to promote the creation of new businesses such as inventory management as well as efficient entry and exit from the arrangement of items stored in the warehouse beyond simple logistics management. .
이러한 물류 창고는 화물의 신속한 입출고가 생명이기 때문에 대부분 기계화 또는 자동화된 화물의 적재 및 하역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스태커 크레인, 셔틀, 리프트 등의 자동화 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외에도 다양한 화물을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크로스벨트 소터(sorter) 시스템 등이 사용되고 있다.Since these logistics warehouses are vital to the rapid arrival and departure of cargo, most of them are equipped with mechanized or automated cargo loading and unloading means, and typically, automated facilities such as stacker cranes, shuttles, and lifts are used. In addition, a cross belt sorter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classify various cargoes according to specific classification criteria set by a user is used.
일반적으로 크로스벨트 소터 시스템은 다수개의 캐리어가 루프 형태의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크로스벨트 소터, 캐리어에 화물을 적재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인덕션, 그리고 각각의 화물이 분류 배출되는 다수개의 슈트(chute)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인덕션으로부터 캐리어에 화물이 적재되면 적재된 화물을 각각의 슈터에 분류 배출함으로써 화물 분류가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cross belt sorter system consists of a cross belt sorter in which a plurality of carriers move along a loop-shaped track, a plurality of inductions formed to load cargo on the carrier, and a plurality of chutes in which each cargo is sorted and discharged. When cargo is loaded into the carrier from a plurality of induction furnaces, cargo classification is performed by sorting and discharging the loaded cargo to each shooter.
한편, 화물 이송 과정에서 물품에 부착된 운송장 바코드가 훼손되거나, 또는 운송장 바코드가 없어 스캐너를 통해 바코드를 인식할 수 없거나, 바코드를 인식하였음에도 배송 목적지가 DB(Data base)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 배송 정보를 파악할 수 없는 리젝트 화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젝트 화물은 인덕션에서 캐리어제 적재되지 않고 리젝트 처리되는데, 종래의 리젝트 처리 과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수행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cargo, the barcode of the waybill attached to the item is damaged, or the barcode cannot be recognized through the scanner because there is no barcode on the waybill, or the shipping destination is not registered in the DB (Database) even though the barcode has been recognized. There may be rejected cargoes that cannot be identified. Such a rejected cargo is rejected without being loaded with a carrier in an induction furnace, and the conventional reject processing process is largely performed through two methods.
먼저, 종래의 리젝트 처리 방법 중 하나인 수동 리젝트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리젝트 화물 발생시 인덕션이 에러를 인지하여 정지되고 경과등과 같은 알림 수단을 통해 관리자에게 리젝트 화물 발생을 알린다. 알림 수단을 통해 리젝트 화물 발생을 인지한 관리자가 리젝트 화물을 처리하고 인덕션을 수동으로 재가동시킴으로써 수동 리젝트 처리 과정이 종료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수동 리젝트 처리 과정은 관리자가 반드시 처리 과정에 개입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이 요구되며 관리자가 인지하고 리젝트 처리하기까지 해당 인덕션과 해당 인덕션에 연결된 입고라인의 가동이 정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First, looking at the manual reject processing process, which is one of the conventional reject processing methods, when a reject cargo occurs, the induction cooker recognizes an error and stops, and the manager is notified of the reject cargo generation through a notification means such as a progress lamp. The manual reject processing process ends when the manager who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the reject cargo through the notification means processes the reject cargo and manually restarts the induction oven. However, this manual rejection process requires a lot of manpower because the manager must intervene in the process, and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cooker and the warehousing line connected to the induction cooker is stopped until the manager recognizes and processes the reject. there is.
다음으로, 종래의 리젝트 처리 방법 중 하나인 자동 리젝트 처리 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리젝트 화물(r) 발생시 인덕션(i)이 에러를 인지하여 정지되면 자동으로 인덕션 컨베이어가 소정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된다. 이와 같은 역방향 구동은 인덕션 컨베이어로부터 소터(s) 반대 방향으로 리젝트 화물(r)을 이탈시키게 되며, 리젝트 화물(r)을 소터(s) 반대 방향으로 이탈시킨 인덕션(i)은 자동으로 재가동된다. 이러한 자동 리젝트 처리 방법은 관리자의 개입 없이 리젝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리젝트 처리 과정 중에 인덕션(i)으로부터 이탈한 리젝트 화물이 낙하 충격으로 인해 파손될 수 있으며, 몇 개의 화물이 리젝트 됐는지 알 수 없어 리젝트 화물이 오랜시간 방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Next, looking at the automatic reject processing process, which is one of the conventional reject processing methods, with reference to FIG. 1, when the induction (i) recognizes an error and stops when a reject cargo (r) occurs, the induction conveyor automatically moves for a predetermined time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Such reverse driving causes the reject cargo (r) to be released from the induction conveyo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orter (s), and the induction (i) that has separated the reject cargo (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orter (s) is automatically restarted. do. This automatic rejection processing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 rejection processing can be performed without the manager's intervention, but the reject cargo that has departed from the induction (i) during the reject processing process may be damaged due to the impact of falling, and several cargoes may be damag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jected cargo can be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because it is unknown whether it has been rejected.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인덕션의 소터 반대 측에 연결 배치되는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어 리젝트 화물이 발생하여 인덕션의 컨베이어를 역방향 구동하면 리젝트 화물이 리젝트 수용함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리젝트 화물 발생시 관리자의 개입 없이 리젝트 화물을 자동으로 리젝트 처리 가능하고 리젝트 처리되는 과정에서 리젝트 화물이 낙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덕션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reject container connected to and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duction sorter, so that reject cargo is generated and the conveyor of the induction By driving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eject cargo is accommodated in the reject receiving box, so that when a reject cargo occurs, the reject cargo can be automatically rejected without the manager's intervention, and the reject cargo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drop impact during the reject processing process. It is to provide induction tha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리젝트 수용함에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을 카운트하여 리젝트 수용함별 리젝트 화물 개수를 관리자가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고, 리젝트 수용함에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의 수용 개수에 따라 구별되는 알림을 수행하여 관리자가 리젝트 수용함별 리젝트 화물의 수용 개수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unt the number of reject cargoes accommodated in the reject container so that the manager can monitor the number of reject cargoes for each reject container, and It is to provide an induction cooker equipped with a reject container that enables a manager to take an appropriate a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ject cargoes for each reject container by performing a notification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obje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리젝트 수용함의 전체 공간 중 리젝트 화물이 차지한 차지 공간을 판단하여 리젝트 수용함별 차지 공간을 관리자가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고, 리젝트 수용함의 차지 공간 정도에 따라 구별되는 알림을 수행하여 관리자가 리젝트 수용함별 리젝트 화물의 차지 공간 정도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occupied space of the reject cargo out of the total space of the reject container so that the manager can monitor the occupied space of each reject container, a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occupied space of the reject container It is to provide an induction cooker equipped with a reject container that enables a manager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occupied space of each reject container by performing a distinct not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은, 화물이 입고되도록 입고라인과 연결되는 입고 컨베이어와, 입고된 화물이 구간 중단부에서 유입되도록 입고 컨베이어가 연결되고, 유입된 화물을 크로스벨트 소터로 적재하도록 일단이 크로스벨트 소터와 연결되는 적재 컨베이어, 그리고 크로스벨트 소터의 반대측에서 적재 컨베이어와 연결되는 리젝트 수용함을 포함하고, 적재 컨베이어 상에 리젝트 화물이 발생하여 적재 컨베이어를 역방향 구동하면 리젝트 화물이 리젝트 수용함에 수용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cooker equipped with a reject receiving box is connected to a warehousing conveyor connected to a warehousing line so that cargo is warehousing, and a warehousing conveyor so that the warehousing cargo flows in from the middle of the section, and the incoming cargo A loading convey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ross-belt sorter to load the cross-belt sorter, and a reject container connected to the loading conveyo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ross-belt sorter, and the reject cargo is generated on the loading conveyor to load the conveyor. When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eject cargo is accommodated in the reject receiving box.
이때, 리젝트 수용함은 적재 컨베이어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게 경사지어 형성되는 바닥면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ject receiving box may be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that is inclined to be lower as it moves away from the loading conveyor.
또한, 리젝트 수용함은 수용된 리젝트 화물이 이탈하지 않도록 적재 컨베이어와 연결되지 않는 둘레 구간에 가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ard may b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section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loading conveyor so that the rejected cargo does not escape from the reject container.
또한, 리젝트 수용함은 적재 컨베이어와 인접한 구간 바닥면에 하나 이상의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r more rollers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tion adjacent to the loading conveyor in the reject container.
또한, 적재 컨베이어의, 입고 컨베이어와 리젝트 수용함의 연결부 사이 구간에서 객체를 감지하는 제1 객체 감지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detection unit including a first objec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bject in a s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unit of the warehousing conveyor and the reject container of the loading conveyor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제1 객체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리젝트 수용함으로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가 구비되는 제어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may further include a counting unit configured to count the number of reject cargoes accommodated in the reject container based on a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object detection sensor.
또한, 인덕션은 리젝트 수용함의 화물 수용 개수를 알리는 알림 수단을 더 포함하고,In addition, the induction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number of cargo accommodations in the reject accommodation box,
제어반은 리젝트 수용함에 수용된 리젝트 화물의 개수에 따라 알림 수단에서 구별되는 알림을 수행하도록, 카운트한 리젝트 화물 개수에 따라 상이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different notification signals according to the counted number of reject cargoes so that the notification means performs a notification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ject cargoes accommodated in the reject container.
또한, 리젝트 수용함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되어 객체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제2 객체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or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reject container to detect objects.
또한, 다수개의 제2 객체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리젝트 수용함의 전체 공간 중 리젝트 화물이 차지한 차지 공간을 판단하는 차지 공간 판단부가 구비되는 제어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panel having an occupied space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occupied space occupied by the reject cargo among the entire space of the reject container based on detection signal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s.
또한, 차지 공간 판단부는 객체가 감지되고 있는 제2 객체 감지 센서의 개수에 기초하여 차지 공간을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occupied spac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occupied space based on the number of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s from which objects are sensed.
또한, 인덕션은 리젝트 수용함의 화물 차지 공간의 정도를 알리는 알림 수단을 더 포함하고, 제어반은 리젝트 수용함에 수용된 리젝트 화물의 차지 공간의 정도에 따라 알림 수단에서 구별되는 알림을 수행하도록, 판단한 차지 공간의 정도에 따라 상이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uction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degree of space occupied by the cargo in the reject container, and the control panel determines that the notification means performs a distinct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pace occupied by the reject cargo accommodated in the reject container. A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different notification signal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occupied spac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의하면, 인덕션의 소터 반대 측에 연결 배치되는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어 리젝트 화물이 발생하여 인덕션의 컨베이어를 역방향 구동하면 리젝트 화물이 리젝트 수용함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리젝트 화물 발생시 관리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리젝트 화물을 리젝트 처리 가능하므로 인건비 절감 효과가 있으며, 리젝트 처리되는 과정에서 리젝트 화물이 낙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ject receiving box connected to and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duction sorter is provided so that when a reject cargo is generated and the conveyor of the induction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eject cargo is accommodated in the reject receiving box, so that the manager when the reject cargo is generated Since reject cargoes can be automatically rejected without intervention, labor costs can be reduced, and reject cargoe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drop impact during the process of reject processing.
또한, 본 발명은 리젝트 수용함에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을 카운트하여 리젝트 수용함별 리젝트 화물 개수를 관리자가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고, 리젝트 수용함에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의 수용 개수에 따라 구별되는 알림을 수행하여 관리자가 리젝트 수용함별 리젝트 화물의 수용 개수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수행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리젝트 처리된 리젝트 화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리젝트 화물의 방치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unts the reject cargo accommodated in the reject container to enable the manager to monitor the number of reject cargoes for each reject container, and a notification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ject cargo accommodated in the reject container , so that the manager can take appropriate ac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jected cargoes for each reject container, so that the manager can effectively process the rejected cargo and minimize the neglect time of the rejected cargo.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리젝트 수용함의 전체 공간 중 리젝트 화물이 차지한 차지 공간을 판단하여 리젝트 수용함별 차지 공간을 관리자가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고 리젝트 수용함의 차지 공간 정도에 따라 구별되는 알림을 수행하여 관리자가 리젝트 수용함별 리젝트 화물의 차지 공간 정도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수행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리젝트 수용함에 상대적으로 큰 리젝트 화물이 수용되어 적은 개수의 리젝트 화물이 수용되었음에도 수용 공간이 부족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반대로 상대적으로 작은 리젝트 화물이 수용되어 많은 개수의 리젝트 화물이 수용되었지만 리젝트 수용함의 수용 공간에 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급하게 처리하도록 하는 경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nother object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occupied space occupied by the reject cargo out of the total space of the reject container, to enable the manager to monitor the occupied space of each reject container, and to discriminate according to the degree of occupied space of the reject container. Even though a relatively large reject cargo is accommodated in the reject container and a small number of reject cargoes are accommodated, Problems caused by lack of storage space can be prevented, and on the contrary, relatively small reject cargoes are accommodated, and a large number of reject cargoes are accommodated, but a warning that promptly handles them even though there is plenty of space in the reject container. can prevent this from happening.
도 1은 종래의 인덕션에서 자동으로 리젝트 처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이 정상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이 역방향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의 리젝트 수용함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트 수용함으로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을 감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트 화물이 차지한 차지 공간 감지 및 차지 공간에 따라 구별된 알림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utomatic rejection process in the conventional induc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ew from above of an induction stove equipped with a reject receiv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induction cooker provided with a reject receiv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induction cooker equipped with a reject receiv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other angle.
Figure 5 (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rmally driven, Figure 5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it is a drawin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ew from above of an induction rejec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reject cargo received in a reject container is det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b), and (c) are diagrams illustrating detection of occupied space occupied by reject carg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ification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occupied spa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이 정상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이 역방향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ew from above of an induction cooker provided with a rejec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n induction cooker provided with a rejec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n induction cooker equipped with a reject receiv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And Figure 5 (a) is a view show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in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b) is a reverse drive of the in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llustrated draw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이하, '인덕션'이라 한다.)은 화물 이송 과정에서 물품에 부착된 운송장 바코드가 훼손되었거나 운송장 바코드가 없어 스캐너를 통해 바코드를 인식할 수 없거나,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배송 목적지가 DB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 배송 정보를 파악할 수 없는 리젝트 화물 발생시, 관리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리젝트 처리하고 동시에 리젝터 처리 과정에서 리젝트 화물의 파손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The induction ov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duction') equipped with a rejec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barcode through a scanner because the waybill barcode attached to the item is damaged or there is no waybill barcode during the cargo transfer process. In the case of reject shipments where delivery information cannot be identified because the delivery destination is not registered in the DB despite barcode recognition, it is automatically rejected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manager, and at the same time, the reject shipment is The goal is to prevent breakage from occurring.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10)은 입고 컨베이어(100), 적재 컨베이어(200), 리젝트 수용함(300), 감지부(400), 알림 수단(500) 및 제어반(6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도 2를 참조하면, 입고 컨베이어(100)는 화물이 입고되도록 입고라인과 연결되며, 적재 컨베이어(200)는 입고 컨베이어(100)를 통해 입고된 화물이 구간 중단부에서 유입되도록 입고 컨베이어(100)와 연결되고 유입된 화물을 크로스벨트 소터(s)로 적재하도록 일단이 크로스벨트 소터(s)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리젝트 수용함(300)은 크로스벨트 소터(s)의 반대측에서 적재 컨베이어(200)와 연결된다. 이러한 인덕션(10)은 정상 구동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고 라인을 통해 이송된 화물(g)이 입고 컨베이어(100)를 통해 적재 컨베이어(200)에 유입되고 유입된 화물(g)은 크로스벨트 소터(s)를 향해 이송되어 적재된다.Referring to FIG. 2, the
도 3을 참조하면, 인덕션의 감지부(400)는 리젝트 수용함(300)에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을 감지하거나 또는 리젝트 수용함(300)에 수용된 리젝트 화물이 리젝트 수용함(300)에서 차지하는 차지 공간을 감지할 수 있고, 제어반(600)은 감지부(400)에서 감지한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리젝트 수용함(300)에 수용된 리젝트 화물의 개수를 판단하거나 또는 차지 공간을 판단하며, 판단한 리젝트 화물의 개수 또는 차지 공간에 기초하여 알림 수단(50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알림 수단(500)는 빛 또는 소리를 출력하여 리젝트 수용함(300)에 리젝트 화물이 수용된 수량 또는 차지 공간 정도를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관리자가 리젝트 화물을 처리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감지부(400), 알림 수단(500) 및 제어반(600)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9의 (c)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적재 컨베이어(200)에는 리젝트 화물 감지부(210)가 구비되어 리젝트 화물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젝트 화물 감지부(210)는 적재 컨베이어(200)를 통해 크로스벨트 소터(s)를 향해 이송되는 화물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구비되고, 바코드가 스캔되지 않거나 또는 스캔된 바코드의 배송 목적지가 DB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 배송 정보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 해당 화물을 리젝트 화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리젝트 화물 감지부(210)는 적재 컨베이어(200)를 통해 크로스벨트 소터(s)를 향해 이송되는 화물의 체적을 스캔하고 스캔한 체적에 기초하여 스캔한 화물 체적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면 리젝트 화물로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 the
이와 같이 리젝트 화물 감지부(210)가 적재 컨베이어(200) 상에서 이송되는 화물을 리젝트 화물(r)로 판단하면 적재 컨베이어(200)는 역방향 구동된다. 이때, 리젝트 화물(r)이 발생하여 적재 컨베이어(200)가 역방향 구동되면 리젝트 화물(r)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젝트 수용함(300)에 수용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10)은 리젝트 화물 발생시 관리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리젝트 화물을 리젝트 처리 가능하므로 인건비 절감 효과가 있으며, 리젝트 처리되는 과정에서 리젝트 화물이 인덕션(10)에서 낙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한편, 리젝트 수용함(300)에는 동력을 이용한 이송장치(예를 들면 컨베이어)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도 적재 컨베이어(200)로부터 이탈된 리젝트 화물이 리젝트 수용함(300)의 적재 컨베이어 반대측 끝단부터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젝트 수용함(300)은 적재 컨베이어(200)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게 경사지어 형성되는 바닥면(310)이 구비되며, 적재 컨베이어(200)로부터 이탈된 리젝트 화물이 미끄럼 이동을 통해 리젝트 수용함(300)에서 적재 컨베이어(200) 반대측 끝단부터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바람직하게, 리젝트 수용함(300)은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r)이 미끄럼 이동 중에 이탈하지 않도록 적재 컨베이어(200)와 연결되지 않는 둘레 구간에 가드(320)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바람직하게, 바닥면(310)과 화물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리젝트 화물의 미끄럼 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리젝트 수용함(300)은 적재 컨베이어(200)와 인접한 구간 바닥면(310)에 다수개의 롤러(330)가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의 리젝트 수용함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트 수용함으로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을 감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트 화물이 차지한 차지 공간 감지 및 차지 공간에 따라 구별된 알림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ew from above of an induction reject receiv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detecting reject cargo accommodated in a rejec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b), and (c) are diagrams illustrating detection of occupied space occupied by reject carg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ification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occupied sp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은 감지부(400), 알림 수단(500) 및 제어반(600)이 구비되어 리젝트 수용함(300)에 수용된 리젝트 화물의 개수 또는 차지 공간에 기초하여 알림 수단(500)에서 알림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도 6을 참조하여 감지부(4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감지부(400)는 적재 컨베이어(200)의, 입고 컨베이어(100)와 리젝트 수용함(300)의 연결부 사이 구간에서 객체를 감지하는 제1 객체 감지 센서(410)와, 리젝트 수용함 바닥면(310)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되어 객체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제2 객체 감지 센서(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객체 감지 센서(410) 및 제2 객체 감지 센서(420)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발광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가 쌍을 이뤄 구비될 수 있으며 수광부에서 빛이 수광되지 않는 동안 객체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Looking at the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반(600)은 제1 객체 감지 센서(410)에서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리젝트 수용함(300)으로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610)와, 카운트부(610)에서 카운트한 리젝트 화물 개수에 기초하여 알림 수단(500)을 구동 제어하기 위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620), 그리고 카운트부(610)의 카운트 개수를 초기화시키는 초기화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도 8을 참조하여 카운트부(610)의 카운트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적재 컨베이어(200)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리젝트 수용함(300)으로 적재되는 리젝트 화물(r)은 제1 객체 감지 센서(410)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통과하게 되며, 이와 같이 리젝트 화물(r)이 제1 객체 감지 센서(410)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는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이 리젝트 화물(r)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부에서 수광되지 않으므로 제1 객체 감지 센서(410)는 객체 감지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카운트부(610)는 제1 객체 감지 센서(410)에서 생성한 객체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제1 객체 감지 센서(410)에서 객체 감지 신호를 생성한 횟수에 기초하여 리젝트 수용함(300)에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r)의 개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Looking at the counting process of the
바람직하게, 신호 생성부(620)는 리젝트 수용함(300)에 수용된 리젝트 화물의 개수에 따라 알림 수단(500)에서 구별되는 알림을 수행하도록, 카운트한 리젝트 화물 개수에 따라 상이한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알림 수단(500)이 다양한 색의 빛을 출력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LED 모듈이라 가정하였을 때, 신호 생성부(620)는 카운트부(610)에서 카운트한 리젝트 화물 개수가 5개 이상인 경우 붉은색 빛을 출력하도록 알림 수단(500)을 구동 제어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카운트부(610)에서 카운트한 리젝트 화물 개수가 3개 이상 5개 미만인 경우 노란색 빛을 출력하도록 알림 수단(500)을 구동 제어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며, 카운트부(610)에서 카운트한 리젝트 화물 개수가 1개 이상 3개 미만인 경우 녹색 빛을 출력하도록 알림 수단(500)을 구동 제어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의 알림 수단(500)은 리젝트 수용함(300)에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의 수용 개수에 따라 구별되는 알림을 수행하여 관리자가 알림을 통해 리젝트 수용함별 리젝트 화물의 수용 개수를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리젝트 화물이 더 많이 수용된 리젝트 수용함(300)의 리젝트 화물을 우선 처리하는 등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induction notification mean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a notification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ject cargoes accommodated in the
이때, 관리자는 리젝트 수용함(300)의 리젝트 화물을 처리할 때 별도로 구비되는 초기화 버튼을 입력 조작할 수 있으며, 초기화 버튼이 입력 조작되면 초기화부(630)는 카운트부(610)의 리젝트 화물 카운트 개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nager may input and operate an initialization button provided separately when processing the reject cargo in the
한편, 리젝트 수용함(300)에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r)의 크기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리젝트 수용함(300)에 수용된 리젝트 화물(r)의 개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리젝트 수용함(300)의 전체 공간 중 리젝트 화물이 차지한 차지 공간의 비율이 매우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반대로 리젝트 수용함(300)에 수용된 리젝트 화물(r)의 개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리젝트 수용함(300)의 차지 공간의 비율이 적게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ize of the reject cargo r accommodated in the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의 제어반(600)에는 리젝트 수용함(300)의 차지 공간 정도를 판단하는 차지 공간 판단부(640)가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the
이때, 차지 공간 판단부(640)는 객체가 감지되고 있는 제2 객체 감지 센서(420)의 개수에 기초하여 차지 공간을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ccupied
도 9의 (a), (b), (c)를 예로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2 객체 감지 센서(420)는 리젝트 수용함 바닥면(310)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되는데, 도 9의 (a)와 같이 적재 컨베이어(20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첫 번째 제2 객체 감지 센서(420-1)에서만 객체 감지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차지 공간 판단부(640)는 리젝트 수용함(300)에 리젝트 화물(r)이 수용되어 있지만 차지 공간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도 9의 (b)와 같이 첫 번째 제2 객체 감지 센서(420-1)와 두 번째 제2 객체 감지 센서(420-2)에서 객체 감지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차지 공간 판단부(640)는 리젝트 수용함(300)에 리젝트 화물(r)의 차지 공간이 비교적 많으나 리젝트 수용함(300)에 리젝트 화물(r)을 수용 가능한 공간이 아직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도 9의 (c)와 같이 모든 제2 객체 감지 센서(420-1, 420-2, 420-3)에서 객체 감지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차지 공간 판단부(640)는 리젝트 수용함(300)이 가득 찬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 (b), and (c) as examples, the plurality of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s 420, as described above, are inclined on the
바람직하게, 신호 생성부(620)는 리젝트 수용함(300)에 수용된 리젝트 화물의 차지 공간에 따라 알림 수단(500)에서 구별되는 알림을 수행하도록, 판단한 차지 공간의 정도에 따라 상이한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신호 생성부(620)는 차지 공간 판단부(640)에서 판단한 차지 공간이 비교적 적은 경우 녹색 빛을 출력하도록 알림 수단(500)을 구동 제어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치지 공간 판단부(640)에서 판단한 차지 공간이 비교적 크지만 리젝트 수용함(300)이 가득 차진 않은 경우 노란색 빛을 출력하도록 알림 수단(500)을 구동 제어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며, 차지 공간 판단부(640)에서 판단한 차지 공간이 리젝트 수용함(300)을 가득 채울 경우 붉은색 빛을 출력하도록 알림 수단(500)을 구동 제어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이로 인해 리젝트 수용함(300)에 상대적으로 큰 리젝트 화물이 수용되어 적은 개수의 리젝트 화물이 수용되었음에도 수용 공간이 부족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반대로 상대적으로 작은 리젝트 화물이 수용되어 많은 개수의 리젝트 화물이 수용되었지만 리젝트 수용함(300)의 수용 공간에 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급하게 처리하도록 하는 경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a relatively large reject cargo is accommodated in the
한편, 초기화부(630)는 제2 객체 감지 센서(42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관리자의 초기화 버튼 조작이 없어도 리젝트 수용함(300)에 수용되었던 리젝트 화물이 처리되었음을 판단하고 초기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구체적으로, 제2 객체 감지 센서(420) 중 적재 컨베이어(20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첫 번째 제2 객체 감지 센서(420-1)는 적재 컨베이어(200) 반대측에 배치되는 가드(320)와 근접 배치되고, 초기화부(630)는 하나 이상의 제2 객체 감지 센서(420)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다 어떠한 제2 객체 감지 센서(420)로부터도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수용되었던 리젝트 화물이 처리된 것으로 판단하고 초기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 420-1 farthest from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인덕션
100: 입고 컨베이어
200: 적재 컨베이어
210: 리젝트 화물 감지부
300: 리젝트 수용함
310: 바닥면
320: 가드
330: 롤러
400: 감지부
410: 제1 객체 감지 센서
420: 제2 객체 감지 센서
500: 알림 수단
600: 제어반
610: 카운트부
620: 신호 생성부
630: 초기화부
640: 차지 공간 판단부10: Induction
100: receiving conveyor
200: loading conveyor
210: reject cargo detection unit
300: reject receiving box
310: bottom surface
320: guard
330: roller
400: sensing unit
410: first object detection sensor
420: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
500 Notification means
600: control panel
610: count unit
620: signal generator
630: initialization unit
640: occupied space determination unit
Claims (11)
입고된 상기 화물이 구간 중단부에서 유입되도록 상기 입고 컨베이어가 연결되고, 유입된 상기 화물을 크로스벨트 소터로 적재하도록 일단이 상기 크로스벨트 소터와 연결되는 적재 컨베이어;
상기 적재 컨베이어 상에 리젝트 화물이 발생하여 상기 적재 컨베이어를 역방향 구동하면 상기 리젝트 화물이 수용되도록 상기 크로스벨트 소터의 반대측에서 상기 적재 컨베이어와 연결되는 리젝트 수용함;
제1 객체 감지 센서와 제2 객체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감지부; 및
상기 제1 객체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리젝트 수용함으로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와, 상기 제2 객체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리젝트 수용함의 전체 공간 중 리젝트 화물이 차지한 차지 공간을 판단하는 차지 공간 판단부, 그리고 상기 카운트부의 카운트 개수를 초기화시키도록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는 초기화부를 구비하는 제어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 감지 센서는 상기 리젝트 수용함으로 수용되는 리젝트 화물을 감지하도록 상기 입고 컨베이어와 상기 리젝트 수용함의 연결부 사이 구간에 배치되어 객체를 감지하며,
상기 제2 객체 감지 센서는 다수개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제2 객체 감지 센서는 상기 리젝트 수용함의 수용 진행 방향을 따라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되어 객체를 감지하고,
상기 초기화부는 다수개의 상기 제2 객체 감지 센서 중 상기 적재 컨베이어로부터 가장 멀게 배치된 제2 객체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다, 모든 제2 객체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A warehousing conveyor connected to the warehousing line so that cargo is warehousing;
A loading conveyor connected to the warehousing conveyor so that the received cargo is introduced at an intermediate section,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crossbelt sorter so as to load the introduced cargo into the crossbelt sorter;
a reject receiving box connected to the loading conveyor at the opposite side of the cross belt sorter so that the reject cargo is accommodated when reject cargo is generated on the loading conveyor and the loading conveyor is driven in a reverse direction;
a sensing unit including a first object detection sensor and a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 and
a counting unit counting the number of reject cargoes accommodated in the reject container based on a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object detection sensor; and receiving the reject based on a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 A control panel including an occupied spac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space occupied by reject cargo among the entire space of the box, and an initialization unit for generating an initialization signal to initialize the count number of the counting unit;
The first object detection sensor is disposed in a section between the warehousing conveyor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reject container to detect a reject cargo received in the reject container and detects an object;
The plurality of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s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eceiving direction of the reject container to detect an object;
The initialization unit generates the initialization signal when a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a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 disposed farthest from the loading conveyor among a plurality of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s, and detection signals are not received from all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s. Induction characterized by doing.
상기 리젝트 수용함은 상기 적재 컨베이어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게 경사지어 형성되는 바닥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According to claim 1,
In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ject receiving box is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that is inclined lower as it moves away from the loading conveyor.
상기 리젝트 수용함은 수용된 상기 리젝트 화물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적재 컨베이어와 연결되지 않는 둘레 구간에 가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According to claim 2,
In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ject receiving box is formed with a guard in a peripheral section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loading conveyor so that the received reject cargo does not escape.
상기 리젝트 수용함은 상기 적재 컨베이어와 인접한 구간 바닥면에 하나 이상의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According to claim 1,
In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ject receiving box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roller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tion adjacent to the loading conveyor.
상기 인덕션은 상기 리젝트 수용함의 화물 수용 개수를 알리는 알림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리젝트 수용함에 수용된 상기 리젝트 화물의 개수에 따라 상기 알림 수단에서 구별되는 알림을 수행하도록, 카운트한 상기 리젝트 화물 개수에 따라 상이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According to claim 1,
The induction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number of cargoes in the reject box,
The control panel further includes a signal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different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counted number of reject cargoes so that the notification unit performs a notification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ject cargoes accommodated in the reject container. Characterized by induction.
상기 차지 공간 판단부는 객체가 감지되고 있는 상기 제2 객체 감지 센서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차지 공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According to claim 1,
The indu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ccupied spac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occupied space based on the number of the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s from which an object is detected.
상기 인덕션은 상기 차지 공간의 정도를 알리는 알림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차지 공간의 정도에 따라 상기 알림 수단에서 구별되는 알림을 수행하도록, 판단한 상기 차지 공간의 정도에 따라 상이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According to claim 10,
The induction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degree of the occupied space,
The control panel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different notification signal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gree of the occupied space so that the notification unit performs a differentiated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occupied sp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0324A KR102504766B1 (en) | 2020-11-11 | 2020-11-11 | Induction with reject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0324A KR102504766B1 (en) | 2020-11-11 | 2020-11-11 | Induction with reject box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4137A KR20220064137A (en) | 2022-05-18 |
KR102504766B1 true KR102504766B1 (en) | 2023-03-02 |
Family
ID=8180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0324A KR102504766B1 (en) | 2020-11-11 | 2020-11-11 | Induction with reject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4766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2328B1 (en) * | 2015-11-24 | 2016-04-14 | 주식회사 바올테크 | Return logistics and returns processing system recognizes the device using the same |
KR102080445B1 (en) * | 2019-08-05 | 2020-02-24 | (주)태성시스템 | Diverter control method with bidirectional pivot wheel |
KR102170704B1 (en) * | 2019-10-17 | 2020-10-27 |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 Control method of loading goods in sorter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3279B1 (en) * | 2008-05-28 | 2010-12-2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nveyor |
KR102412008B1 (en) * | 2015-05-28 | 2022-06-22 |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 Chute for Sorter |
KR102063932B1 (en) | 2018-06-27 | 2020-02-11 | 씨제이대한통운(주) | Reject goods handling system |
-
2020
- 2020-11-11 KR KR1020200150324A patent/KR10250476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2328B1 (en) * | 2015-11-24 | 2016-04-14 | 주식회사 바올테크 | Return logistics and returns processing system recognizes the device using the same |
KR102080445B1 (en) * | 2019-08-05 | 2020-02-24 | (주)태성시스템 | Diverter control method with bidirectional pivot wheel |
KR102170704B1 (en) * | 2019-10-17 | 2020-10-27 |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 Control method of loading goods in sorter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4137A (en) | 2022-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2678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ingulation of objects for processing using object movement redistribution | |
US1209989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induction of objects to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 |
KR102645971B1 (en) | Material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and manual sorting of items using a dynamically configurable sorting array | |
US2024005430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a vacuum roller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 |
US1087505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or the processing of objects in vehicles | |
US1120505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conveyor transfer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 |
US2023034257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induction of objects to a plurality of object processing systems | |
US1188449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bjects provided in vehicles | |
US1120039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drop conveyors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 |
CA3126258C (en) |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induction of objects to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 |
KR102170705B1 (en) | Automatic goods classification system | |
KR102163483B1 (en) | Automatic goods classification system | |
KR102504766B1 (en) | Induction with reject box | |
KR102474139B1 (en) | Cargo transfer loading system between sorters | |
KR102474138B1 (en) | Balanced cargo supply system between inductions | |
JP5003041B2 (en) | Product sorting system | |
KR20230127635A (en) | Freight sor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