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772B1 -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772B1
KR102411772B1 KR1020170027503A KR20170027503A KR102411772B1 KR 102411772 B1 KR102411772 B1 KR 102411772B1 KR 1020170027503 A KR1020170027503 A KR 1020170027503A KR 20170027503 A KR20170027503 A KR 20170027503A KR 102411772 B1 KR102411772 B1 KR 102411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unit
extrac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0950A (ko
Inventor
경미연
전정재
박응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7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77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수처리 장치는,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를 구비하는 용기부; 및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처리 장치에 의하면,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물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음용 가능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수기 등과 같이 음용 가능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탄산수기 등과 같이 기능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정수기로 통칭되는 음용용 수처리 장치는 필터를 통하여 여과된 물을 내부에 수용된 물을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물탱크)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저장부에 수용된 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고 물때나 이물질의 생성으로 인하여 위생상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부에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가 취수를 원하는 경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곧바로 추출부에서 추출되도록 하는 직수식 정수기(수처리 장치)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와 같이 추출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정량의 정수를 취수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직수 방식을 채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처리 장치는 여과된 물을 저장부 등에 수용시키는 경우 필터부에서 여과된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어 사용자가 오랜 시간이 경과한 물을 음용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용기에 수용된 물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위생성이 향상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복수 개의 용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를 구비하는 용기부; 및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에 따라 표시방법이 달라지는 표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유닛은 물의 저장경과시간에 따라 조명 색상과 점멸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는 복수의 상기 추출부에 연결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는 각각의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상기 필터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공급밸브; 및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상기 추출부에 용기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용기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용기에 수용된 물의 만수 여부를 감지하는 만수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감지부 및 상기 만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만수감지부는 용기에 수용된 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 용기에 공급된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및 용기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감지부 및 상기 만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추출부를 통해 복수 개의 용기에 순차적으로 여과된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상기 추출부는 여과된 물을 용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추출밸브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만수위가 된 용기에 연결된 추출밸브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용기의 청결상태나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오염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상기 필터부에 구비되는 필터의 교체감지시기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필터교체시기 알림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은 저장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추출부를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경우, 상기 본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추출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지지대를 통하여 연결되어 복수 개의 용기가 놓여지는 받침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는 상기 추출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벽면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대를 구비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대를 분리한 후 상기 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경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몸체의 중앙부와 상기 받침대의 중앙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는 상기 받침대에 연결된 물공급원과 상기 몸체에 구비된 상기 필터부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여과된 물에 기능성 첨가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능수 생성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경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필터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복수 개의 상기 추출부가 설치되며 복수 개의 용기가 놓여지는 받침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는 상기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 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보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를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필터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는 복수의 상기 추출부에 연결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부를 통해 복수 개의 용기에 여과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용기에 수용된 물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된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한 물을 사용자가 음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수처리 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에 저장하지 않고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직접 공급하는 직수 방식을 채택할 수 있어 위생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의 외부에 복수 개의 용기를 설치하고 여과된 물을 용기에 저장함으로써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구비하는 여과방식에서도 사용자에게 직접 정수를 공급하는 직수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본체부의 부피가 최소화됨으로써 컴팩트한 구조의 수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에 다양한 물맛을 낼 수 있는 캡슐을 장착하거나 탄산과 같은 기능성 첨가물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음용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투명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청결상태나 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오염상태 등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용기를 청결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개의 용기에 만수위까지 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복수 개의 용기를 다양한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서 용기를 분리한 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a)는 용기가 장착되기 전의 단면도이고, (b)는 용기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서 용기를 분리한 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9는 도 1 또는 도 6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용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용기에서 용기캡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유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수배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서 용기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서 용기를 분리한 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서 용기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서 받침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서 용기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서 필터부 덮개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체부의 내부 및 후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도 18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 용기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 설명도로서, (a)는 용기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추출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c)는 용기로 추출부의 눌림부를 누른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d)는 용기를 추출부에 완전히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에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본체부(110)와,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120)와, 상기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130)와, 상기 추출부(130)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B1, B2, B3)를 구비하는 용기부(150)와,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필터부(120)를 내부에 수용하며, 추출부(130)가 구비된다.
일 예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는 추출부(130)가 구비되는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에 지지대(113)를 통하여 연결되어 용기(B1, B2, B3)가 놓여지는 받침대(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1)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필터부(1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필터부(120)를 덮기 위한 필터커버(112)를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의 몸체(111)에는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필터부(120)로 공급하기 위하여 필터부(120)와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유입구(PP1)와, 필터부(120)에서 여과되지 않은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필터부(120)와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드레인 포트(PP2)와, 표시부(140)나 각종 밸브나 센서, 제어부(C) 등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연결구(PC)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1)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B1, B2, B3)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1)의 하면과 받침대(115)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100)는 바닥면에 받침대(115)가 놓여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벽면 거치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100)에서 지지대(113)와 받침대(115)를 분리한 후 몸체(111)에 벽면 거치를 위한 거치대(116)를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대(113)와 받침대(115)를 분리하고 벽면 거치를 위한 거치대(116)를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설치가 가능하여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거치형의 수처리 장치(100)는 용기(B1, B2, B3)를 분리하면 본체부(110) 부분만이 남게 되어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컴팩트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받침대(115)에는 용기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하여 열전소자와 같은 온도변화부재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터부(120)는 물을 여과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필터(F1, F2, F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120)는 제1 필터(F1), 제2 필터(F2), 제3 필터(F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필터부(120)에 구비되는 필터의 개수 및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처리 장치(100)에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상기 필터부(120)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필터(F1, F2, F3)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필터(F1)는 프리필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리필터는 세디먼트 필터와 프리카본 필터의 복합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세디먼트 필터는 5미크론 정도의 미세한 필터를 통해 먼지, 찌꺼기, 각종 부유 물질을 제거하며, 프리카본 필터는 활성탄의 흡착방식을 이용하여 발암물질(THM),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잔류염소 등을 제거한다.
또한, 제2 필터(F2)는 미세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메인필터로서 기능하며, 통상적으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 중공사막 필터, 나노트랩(nano fiber) 필터 등 여과력이 높은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역삼투막 멤브레인 필터(RO 필터)는 미세한 기공을 갖는 역삼투막으로 이루어져 납,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물론 나트륨, 각종 병원균 등을 걸러줄 수 있으며, 중공사막 필터(한외여과 필터, UF 필터)는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nm) 크기의 기공을 가진 기공성 필터로서, 막 표면에 분포하는 무수히 많은 미세기공을 통해 물속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나노트랩 필터는 박테리아, 미세 바이러스 및 유해물질을 정전기력으로 흡착시켜 제거하는 필터이다. 다만, 제2 필터(F2)에 사용되는 필터는 전술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 중공사막 필터, 나노트랩 필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세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면 다양한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필터(F3)는 후처리 필터로서 제2 필터(F2)를 통과한 물에 포함된 불쾌한 맛과 냄새, 색소 등을 제거하는 포스트 카본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필터부(120)는 항균 필터나 각종 기능성 필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필터부(120)에 구비되는 각각의 필터(F1, F2, F3)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연결부(121, 122)에 의해 이웃하는 필터와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에 형성된 입수구(PP1)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필터부(120)를 거친 후 추출부(1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필터(F1, F2, F3)의 내부에는 입수구(PP1), 인접한 다른 필터 또는 추출부(130)와 연결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물공급원으로부터 입수구(PP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1 필터(F1), 제2 필터(F2), 제3 필터(F3)를 통해 순차적으로 여과된 후 추출부(1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필터(F2)에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제3 필터(F3)로 공급되고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하지 못한 생활용수가 본체부(110)의 드레인 포트(PP2)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제2 필터(F2)는 제3 필터(F3) 및 드레인 포트(PP2)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필터(F1, F2, F3)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필터부(12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일체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교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20)를 일체로 교체하기 위하여 각각의 필터(F1, F2, F3)의 용량은 수명이 서로 비슷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부(130)는 본체부(110)에 구비되며, 필터부(120)의 제3 필터(F3)와 유로로 연결되어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도록 용기(B1, B2, B3)와 연결되는 출수단(131)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추출부(130)는 필터부(120)가 구비되는 몸체(11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추출부(130)의 위치는 용기(B1, B2, B3)의 형상이나 본체부(110)의 유로 구조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130)는 용기(B1, B2, B3)의 상단에 구비된 용기입구(155)에 대응하도록 몸체(111)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물이 추출되는 출수단(13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단(131)이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11)에는 출수단(131)이 설치된 영역의 개구(135a)를 덮도록 추출구 커버(135)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추출구 커버(135)는 용기(B1, B2, B3)가 장착됨에 따라 힌지축(135')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추출구 커버(135)가 회전할 때 몸체(111)와 간섭되지 않도록 본체부(110)의 몸체(111)에는 함몰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용기부(150)에 대해 살펴본다.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용기부(15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물을 수용하는 용기몸체(151)와, 상기 용기몸체(151)를 덮는 용기캡(15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용기캡(152)은 추출부(130)와 연결되는 연결구(15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구(153)에는 추출부(130)의 출수단(131)과 연결되는 용기입구(1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153)는 걸림부(153a)를 구비하여, 추출부(130)에 형성된 개구(135a)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거치형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B1, B2, B3)가 개구(135a)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추출부(130)에 형성된 개구(135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B1, B2, B3)의 연결구(153)를 초기 삽입할 때 용기(B1, B2, B3)가 접촉하는 양측부(133b)와, 상기 양측부(133b)보다 좁은 폭을 가져 용기(B1, B2, B3)의 걸림부(153a)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133a)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B1, B2, B3)는 용기입구(155)를 탄성부재(156)에 의해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캡 커버(154)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50)를 추출부(130)에 결합하면 출수단(131)이 캡 커버(154)를 후퇴시켜 출수단(131)으로부터 용기입구(155) 측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 구비되는 용기(B1, B2, B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B1, B2, B3)의 내부, 예를 들어 용기캡(152) 부분에 캡슐(159)의 장착을 위한 캡슐 장착부(158)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캡슐(159)은 캡슐 장착부(158)에 구비된 돌기(158a)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캡슐(159)이 설치된 경우 용기입구(155)를 통해 유입된 정수는 유입구(157)를 통해 캡슐(159) 내부를 거친 후 용기몸체(151)에 수용된다.
이때, 캡슐(159)의 내부에는 각종 차(tea), 커피, 비타민 제재 등 맛이나 향을 첨가한 다양한 물질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정수의 음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용기(B1, B2, B3)에 물이 수용된 경우, 사용자는 용기(B1, B2, B3)를 분리하여 냉장고에 보관하거나, 용기(B1, B2, B3)의 물을 컵에 따라 음용한 후 추출부(130)에 다시 장착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외출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소용량의 휴대용기(미도시)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휴대용기는 전술한 용기캡(152)의 호환이 가능한 용기몸체와 밀폐용 뚜껑을 갖도록 구성되어, 용기캡(152)을 이용하여 추출부(130)로부터 정수를 제공받은 후 외출시 용기캡(152) 대신에 밀폐용 뚜껑을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B1, B2, B3)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처리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물탱크)와는 달리 사용자가 용기(B1, B2, B3)의 청결상태나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이 오염상태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의 구성을 통하여, 추출부(130)에 장착된 용기(B1, B2, B3)에 물이 채워진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신선도가 높은 물을 음용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장시간이 경과하여 세균 번식 등의 가능성이 있는 물을 버리고 재정수하도록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 안내를 위하여, 상기 표시부(140)는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에 따라 표시방법이 달라지는 표시유닛(D1, D2, D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유닛(D1, D2, D3)은 본체부(110)의 몸체(111)에 구비될 수 있으나, 받침대(115) 등 다른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유닛(D1, D2, D3)은 물의 저장경과시간에 따라 조명 색상과 점멸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표시유닛(D1, D2, D3)은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이 지남에 따라 파란색, 노란색, 빨간색 등으로 색상이 변화하는 조명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유닛에 빨간색이 점등된 경우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이 크므로 사용자가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을 음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외에도,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이 큰 경우 표시유닛(D1, D2, D3)이 점멸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도 3, 도 6,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복수의 추출부(13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추출부(130)에 각각 용기(B1, B2, B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40)는 추출부(130)에 장착된 각각의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도록 각각의 용기(B1, B2, B3)에 대응하는 표시유닛(D1, D2, D3)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추출부(130)에 3개의 용기(B1, B2, B3)가 설치된 경우 3개의 용기(B1, B2, B3)에 물이 순차적으로 물이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40)는 각각의 용기(B1, B2, B3)에 물이 채워진 이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표시하기 위하여 3개의 표시유닛(D1, D2, D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40)는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상기 표시유닛(D1, D2, D3) 이외에, 전원공급의 여부나 작동상태 등을 별도의 표시유닛(D0)을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11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100)의 유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수배관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100)는 제2 필터(F2)로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가 설치되고 추출부(130)에 3개의 용기(B1, B2, B3)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체에 구비된 입수구(PP1)를 통해 유입된 물은 필터부(120)로 공급되어 여과된다. 이때, 필터부(120)는 일 예로서 제1 필터(F1), 제2 필터(F2) 및 제3 필터(F3)를 포함하는 3개의 필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3개의 필터를 거쳐 순차적으로 여과된 물은 추출부(130)를 통해 용기부(150)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필터(F2)로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가 사용되는 경우 제2 필터(F2)를 통과하지 못한 생활용수가 배출되도록 제2 필터(F2)는 드레인 포트(PP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120)와 연결된 유로 상에는 필터부(12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공급밸브(V)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밸브(V)는 입수구(PP1)에 구비될 수 있으나, 필터부(120)로 물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면 그 설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공급밸브(V)는 추출부(130)에 용기(B1, B2, B3)가 장착되고 용기(B1, B2, B3)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예를 들어, 만수)가 되지 않은 경우 추출부(130)에 장착된 용기(B1, B2, B3)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어부(C)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부(130)에 용기(B1, B2, B3)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용기감지부(S1, S2, S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용기감지부(S1, S2, S3)는 용기(B1, B2, B3)가 추출부(130)에 장착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용기(B1, B2, B3)와 접촉하는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식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용기감지부(S1, S2, S3)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B1, B2, B3)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다면 공지의 다양한 센서나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C)는 용기감지부(S1, S2, S3)의 감지 신호에 따라 용기(B1, B2, B3)가 장착된 추출구(P1, P2, P3)에 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밸브(V)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용기(B1, B2, B3)에 정수가 공급됨에 따라 용기(B1, B2, B3)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며, 용기(B1, B2, B3)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예를 들어, 만수)가 되는 경우 용기(B1, B2, B3)에 정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만수 여부를 감지하는 만수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C)는 용기감지부(S1, S2, S3) 및 만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공급밸브(V)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C)는 용기감지부(S1, S2, S3)에 의해 용기(B1, B2, B3)가 추출부(130)에 장착되는 것이 감지되면 공급밸브(V)가 개방되도록 하여 추출부(130)의 추출구(P1, P2, P3)를 통하여 용기(B1, B2, B3)에 정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용기(B1, B2, B3)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만수위)가 되면 공급밸브(V)를 차단하여 추가적인 정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만수감지부는 일 예로서,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WS1, WS2, WS3), 용기(B1, B2, B3)에 공급된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FS), 및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센서(WS1, WS2, WS3)는 용기(B1, B2, B3)의 중량과 물이 수용되는 부피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중량이 감지되면 용기(B1, B2, B3)의 만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센서(WS1, WS2, WS3)는 받침대(115)에 설치될 수 있으나,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벽면 거치형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추출부(13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유량센서(FS)는 추출부(130)를 통하여 추출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며, 제어부는 용기(B1, B2, B3)의 부피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부피에 해당하는 물이 흐르는 것을 감지하면 용기(B1, B2, B3)의 만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위센서(미도시)는 용기(B1, B2, B3)에 플로트를 설치하고 플로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본체부(110)에 설치하여 용기(B1, B2, B3) 수위의 상승에 따라 상승하는 플로트가 일정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플로트 방식이나, 용기(B1, B2, B3)에 빛을 투사하고 수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면의 높이를 감지하는 광학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만수감지부는 전술한 센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는 중량센서(WS1, WS2, WS3)와 유량센서(FS)가 모두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어느 하나만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유량센서(FS)와 수위센서가 사용되는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도 11에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130)에 3개의 추출구(P1, P2, P3)가 구비되고, 이러한 추출구(P1, P2, P3)에 각각 용기(B1, B2, B3)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부(130)에 여러 개의 용기(B1, B2, B3)가 장착된 경우에는 각각의 용기(B1, B2, B3)에 정수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정수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추출밸브(VA1, VA2, VA3)가 각각의 추출구(P1, P2, P3)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추출구(P1)와 제2 추출구(P2)에 각각 제1 용기(B1)와 제2 용기(B2)가 순차적으로 장착된 경우, 제어부(C)는 제1 용기감지부(S1)에 의해 제1 용기(B1)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고, 공급밸브(V)와 제1 추출밸브(VA1)를 개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용기(B1)에 정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수위감지부에 의해 제1 용기(B1)의 만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제1 추출밸브(VA1)를 차단하게 된다.
한편, 제1 용기(B1)를 장착한 후에 제2 용기(B2)의 장착이 이루어지면 제어부(C)는 제1 용기(B1)와 제2 용기(B2)가 장착된 것을 감지하고, 먼저 장착된 제1 용기(B1)에 정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제1 추출밸브(VA1)를 차단하고, 제2 추출밸브(VA2)를 개방하여 제2 용기(B2)에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추출구(P1, P2, P3)에 추출밸브(VA1, VA2, VA3)를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용기(B1, B2, B3)에 순차적으로 정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3 추출구(P3)에 제3 용기(B3)가 장착된 경우에도 제어부(C)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공급밸브(V)와 제3 추출밸브(VA3)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추출밸브(VA1, VA2, VA3)의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용기가 만수가 된 후 다음 용기에 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가 장착된 추출구(P1, P2, P3)에 구비된 추출밸브(VA1, VA2, VA3)를 동시에 개방하여 여러 개의 용기(B1, B2, B3)에 동시에 정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용기(B1, B2, B3)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WS1, WS2, WS3)를 이용하면, 여러 개의 용기(B1, B2, B3)에 동시에 정수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용기(B1, B2, B3)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용기를 분리하여 정수를 사용한 후 용기를 다시 추출부(130)에 결합하는 경우와 같이 초기 수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용기의 만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용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중량센서(WS1, WS2, WS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용기에 정수가 공급되는 상황에서 용기가 분리될 때, 추출부(130)를 통한 물의 공급을 즉시 중단할 수 있도록 추출구(P1, P2, P3) 또는 추출밸브(VA1, VA2, VA3)에는 용기가 장착될 때에만 개방되는 기계식 액츄에이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부(130)에 장착된 복수 개의 용기(B1, B2, B3)에 정수의 저장이 완료되면, 제어부(C)는 표시부(140)를 통하여 각각의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유닛(140)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게 된다.
즉, 각각의 용기(B1, B2, B3)에 일정 수준의 물이 수용되면, 시간측정부(T)는 각각의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카운트하고, 제어부(C)는 시간측정부(T)의 측정시간에 따라 표시부(140)를 통하여 각각의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용기에 대응하는 표시유닛(D1, D2, D3)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용기에 수용된 물이 어느 정도의 신선도를 갖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장치 내부에 저장부(물탱크)를 구비하지 않으며, 따라서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물은 별도의 저장부를 거치지 않고 추출부(130)를 통하여 추출되어 용기(B1, B2, B3)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투명 재질 용기(B1, B2, B3)의 청결상태나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이 오염상태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용기(B1, B2, B3)의 수위가 일정 수준이 될 때까지 용기에 정수를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용기에 저장된 정수를 음용하게 되므로 여과 유량이 작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한 경우에도 직수 방식과 유사하게 장치 내부의 저장부(물탱크) 없이도 사용자가 정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복수 개의 용기(B1, B2, B3)를 사용함으로써 대용량의 정수 저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 저장이 완료된 용기(B1, B2, B3)를 냉장고 등에 별도 보관함으로써 용기(B1, B2, B3)에 저장된 물의 세균번식 등을 방지하여 위생적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필터부(130)에 구비되는 필터(F1, F2, F3)의 교체감지시기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필터교체시기 알림부(F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교체시기는 필터부(130)를 통과한 물의 양(통수량), 필터부(130)의 사용시간 등 공지의 방법을 통하여 제어부(C)에서 판단될 수 있으며, 제어부(C)는 필터교체시기가 된 경우 필터교체시기 알림부(FD)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필터교체시기를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교체시기 알림부(FD)는 전술한 표시부(140)와 같이, 조명유닛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게 필터교체시기 도래를 안내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필터교환 주문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안내하거나 스마트폰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안내하는 통신수단(예를 들어, NFC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필터교체시기가 된 경우 사용자의 빠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200)에 대해 살펴 본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200)의 경우에도, 본체부(210)와,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220)와, 상기 필터부(220)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230)와, 상기 추출부(230)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B1, B2, B3, B4)를 구비하는 용기부(250)와, 용기(B1, B2, B3, B4)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200)는 본체부(210)의 구체적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200번대의 숫자로 표기하고,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200)에서 본체부(210)는 필터부(220)를 내부에 수용하며, 본체부(210)에 추출부(230)가 구비된다.
일 예로서,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10)는 추출부(230)가 구비되는 몸체(211)와, 상기 몸체(211)에 지지대(213)를 통하여 연결되어 용기(B1, B2, B3)가 놓여지는 받침대(2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213)는 몸체(211)의 중앙부와 받침대(215)의 중앙부를 연결하게 된다.
또한, 본체부(210)의 받침대(215)에는 필터부(2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의 물공급원과 연결되는 유입구(PP1)와, 필터부(220)에서 여과되지 않은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필터부(220)와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드레인 포트(PP2)와, 표시부(240)나 각종 밸브나 센서, 제어부(C) 등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연결구(PC)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213)의 내부에는 받침대(215)에 구비된 유입구(PP1) 및 드레인 포트(PP2)를 몸체(211)에 구비된 필터부(220)에 연결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0)에서 몸체(211)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본체부(210)에는 버튼(211b) 및 버튼 노출구멍(211a)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211)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필터부(2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필터부(220)를 덮는 필터커버(2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몸체(211)의 하면에는 필터부(220)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B1, B2, B3, B4)는 도 12,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1)의 하면과 받침대(215)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추출부(230)의 출수단(231)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용기(B1, B2, B3, B4)는 추출부(230) 및 출수단(231)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200)는 바닥면에 받침대(215)가 놓여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200)는 용기부(250)에 4개의 용기(B1, B2, B3, B4)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용기(B1, B2, B3, B4)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기 위하여 위하여 표시부(240)는 4개의 표시유닛(D1, D2, D3, D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200)는 본체부(210)의 몸체(211) 내부에 필터부(220)에서 여과된 물에 기능성 첨가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능수 생성부(2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수 생성부(270)는 탄산수 생성을 위한 탄산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고, 산소수 생성을 위한 산소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종 기능수 생성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전술한 구성상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200)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의 구성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배관의 구조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도 18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300)의 경우에도, 본체부(310)와,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320)와, 상기 필터부(320)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330)와, 상기 추출부(330)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B1, B2, B3)를 구비하는 용기부(350)와,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300)는 본체부(310), 추출부(330), 용기부(350)의 구체적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300번대의 숫자로 표기하고,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300)에서 본체부(310)는 필터부(320)를 내부에 수용하며, 본체부(310)에 추출부(330)가 구비된다.
일 예로서,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10)는 필터부(320)를 수용하는 몸체(311)와, 복수 개의 추출부(330)가 설치되며 복수 개의 용기(B1, B2, B3)가 놓여지는 받침대(3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210)의 몸체(311)에는 필터부(3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의 물공급원과 연결되는 유입구(PP1)와, 필터부(320)에서 여과되지 않은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필터부(320)와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드레인 포트(PP2)와, 표시부(340)나 각종 밸브나 센서, 제어부(C) 등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연결구(PC)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32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 덮개(317)에 장착되어 필터부 덮개(317)를 여는 경우 외부로 노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315)에는 필터부(320)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3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받침대(315)의 내부에는 필터부(320)와 추출부(330)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315)에는 각각의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유닛(D1, D2, D3)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B1, B2, B3)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15)의 추출부(330)에 장착되어 출수단(331)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게 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용기부(350)에 구비되는 각각의 용기(B1, B2, B3)는 용기몸체(351)의 하부에 구비된 탈착부(357)에 출수단(331)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용기입구(355)가 구비된다. 이러한 용기입구(355)는 출수단(331)과 결합된 상태에서만 개방되고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폐쇄되는 밸브 또는 기계식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용기부(350)에 구비되는 각각의 용기(B1, B2, B3)는 추출부(33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부(330)로부터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추출부(33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가지므로 사용자가 용기(B1, B2, B3)를 분리하더라도 용기 내부의 물이 용기입구(355)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누설방지의 용기 구조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 2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부(350)에 구비되는 용기(B1, B2, B3)는 하부에 용기입구(355)가 형성되므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몸체(351)의 상부에는 밀폐형의 용기캡(35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추출부(330)는 용기가 장착되었을 때 탄성적으로 눌려져 출수단(331)의 개구(331a)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눌림부(33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3(a)에 도시된 용기몸체(351)의 하부에 형성된 탈착부(357)로 도 23(b)에 도시된 추출부(330)의 눌림부(335)를 도 23(c)와 같이 누르면 추출부(330)의 개구(331a)가 노출되어 용기몸체(351)의 용기입구(355)와 결합되며, 이 상태에서 도 23(d)와 같이 용기몸체(351)를 회전시키면 용기몸체(351) 하면에 형성된 걸림부(356)가 눌림부(335) 측면에 형성된 부분에 끼워져 용기의 이탈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안정적인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3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받침대(315)가 놓여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315)는 용기(B1, B2, B3)를 분리한 상태에서 몸체(311)에 힌지부(312)를 기준으로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311) 측으로 접혀져 도 18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300)는 용기(B1, B2, B3)를 분리하면 받침대(315)가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보관시 부피가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받침대(315)의 용이한 회전을 위하여 받침대(315)에는 손잡이(315a)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상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300)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의 구성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배관의 구조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200, 300... 수처리 장치
110, 210, 310... 본체부 111, 211, 311... 몸체
112, 212... 필터커버 113, 213... 지지대
115, 215, 315... 받침대 116... 거치대
120, 220, 320... 필터부 121, 122... 필터 연결부
130, 230, 330... 추출부 131, 231, 331... 출수단
133a... 지지부 133b... 양측부
135... 추출구커버 135a... 개구
136... 함몰부 140, 240, 340... 표시부
150, 250, 350... 용기부 151... 용기몸체
152... 용기캡 153... 연결구
153a... 걸림부 154... 캡 커버
155, 355... 용기입구 156... 탄성부재
157... 유입구 158... 캡슐 장착부
158a... 돌기 159... 캡슐
270... 기능수 생성부 312... 힌지부
317... 필터부 덮개 331a... 개구
335... 눌림부 355... 용기입구
356... 걸림부 357... 탈착부
B1, B2, B3, B4... 용기 C... 제어부
D0, D1, D2, D3, D4... 표시유닛 F1, F2, F3... 필터
FD... 필터교체시기 알림부 FS... 유량센서
P1, P2, P3... 추출구 PC... 전원연결구
PP1... 입수구 PP2... 드레인 포트
S1, S2, S3... 용기감지부 T... 시간측정부
V... 공급밸브 VA1, VA2, VA3... 추출밸브
WS1, WS2, WS3... 중량센서

Claims (28)

  1.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를 구비하는 용기부; 및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추출부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는 복수의 상기 추출부에 연결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는 각각의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수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에 따라 표시방법이 달라지는 표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유닛은 물의 저장경과시간에 따라 조명 색상과 점멸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처리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공급밸브; 및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에 용기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용기감지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용기에 수용된 물의 만수 여부를 감지하는 만수감지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감지부 및 상기 만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만수감지부는 용기에 수용된 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 용기에 공급된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및 용기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처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감지부 및 상기 만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추출부를 통해 복수 개의 용기에 순차적으로 여과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수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추출부는 여과된 물을 용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추출밸브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만수위가 된 용기에 연결된 추출밸브를 폐쇄하는 수처리 장치.
  11. 삭제
  12.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를 구비하는 용기부; 및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는 내부에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 장착부가 구비되는 수처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수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은 저장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추출부를 통하여 추출되는 수처리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 구비되는 필터의 교체감지시기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필터교체시기 알림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추출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지지대를 통하여 연결되어 복수 개의 용기가 놓여지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추출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벽면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대를 구비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대를 분리한 후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수처리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몸체의 중앙부와 상기 받침대의 중앙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는 상기 받침대에 연결된 물공급원과 상기 몸체에 구비된 상기 필터부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가 구비되는 수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여과된 물에 기능성 첨가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능수 생성부가 구비되는 수처리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필터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복수 개의 상기 추출부가 설치되며 복수 개의 용기가 놓여지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 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보관 가능한 수처리 장치.
  23.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를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필터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는 복수의 상기 추출부에 연결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부를 통해 복수 개의 용기에 여과된 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필터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공급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부를 통해 복수 개의 용기에 순차적으로 여과된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복수 개의 용기가 모두 만수위가 되도록 하는 수처리 장치.
  24. 삭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에 용기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용기감지부; 및
    용기에 수용된 물의 만수 여부를 감지하는 만수감지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감지부 및 상기 만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처리 장치.
  26. 삭제
  27. 제23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추출부는 여과된 물을 용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추출밸브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만수위가 된 용기에 연결된 추출밸브를 폐쇄하는 수처리 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추출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부로부터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추출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부와 연결되는 용기 입구를 통하여 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수처리 장치.
KR1020170027503A 2017-03-03 2017-03-03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KR102411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503A KR102411772B1 (ko) 2017-03-03 2017-03-03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503A KR102411772B1 (ko) 2017-03-03 2017-03-03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950A KR20180100950A (ko) 2018-09-12
KR102411772B1 true KR102411772B1 (ko) 2022-06-23

Family

ID=6359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503A KR102411772B1 (ko) 2017-03-03 2017-03-03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7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8875A (ja) * 2002-12-12 2004-07-08 Max Co Ltd コンクリートドリル用の冷却水濾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674A (ko) * 1996-03-27 1997-10-13 이영서 정수기의 정수 저장시간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513113B1 (ko) * 2013-08-14 2015-04-17 주식회사 에스피아이 누출 방지용 용기뚜껑
KR102374212B1 (ko) * 2014-12-22 2022-03-17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8875A (ja) * 2002-12-12 2004-07-08 Max Co Ltd コンクリートドリル用の冷却水濾過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950A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6808B2 (en) Pitchers, filtration units, and filtration systems and methods
AU2010300906B2 (en) Water treatment cartridge
US20120132573A1 (en) Point-of-use water treatment system
AU2009257732B2 (en) Fluid treating and dispensing device,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1471864B1 (ko) 정수용기 분리형 정수기
AU2010300496A1 (en) Bottle for water treatment device
CN110040861B (zh) 净水器
US10238233B2 (en) Filtration and liquid level control system
CA2873407C (en) Pitchers, filtration units, and filtration systems and methods
ES2308269T3 (es) Jarra filtrante de cartucho reemplazable.
KR102411772B1 (ko)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JP2000233175A (ja) 沸騰ジャグを有する水濾過装置
CA2022401A1 (en) Gravity feed batch filter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having multiple beds
US9963337B2 (en) Tank with an integral filter and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comprising such a tank
AU2010300490B2 (en) Water treatment device for producing bottled water
KR101825089B1 (ko) 휴대용 정수기
CN110894104A (zh) 一种净水器
KR200472378Y1 (ko) 스마트형 파우셋
KR20190000115A (ko) 무동력 휴대용 간이정수장치
JP2019122924A (ja) 水浄化装置用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水浄化装置
KR102401191B1 (ko) 물배출장치
RU45297U1 (ru) Устройство бытовое настольное для очистки и обработки воды
TW201617013A (zh) 分離式飲水裝置
CN105615651A (zh) 分离式饮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