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404B1 - 수면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수면유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1404B1 KR102411404B1 KR1020200103125A KR20200103125A KR102411404B1 KR 102411404 B1 KR102411404 B1 KR 102411404B1 KR 1020200103125 A KR1020200103125 A KR 1020200103125A KR 20200103125 A KR20200103125 A KR 20200103125A KR 102411404 B1 KR102411404 B1 KR 1024114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me
- sound source
- cover
- open
-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094—Isolation chambers used therewith, i.e. for isolating individuals from external stimuli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chemical or pharmacological stimu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 주변에 비접촉 방식으로 암막을 형성해 이물감을 방지함으로써 수면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특히, 암막형성공간 내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음원, 향기, 정화공기를 동시에 제공하여 사용자를 심리적으로 안정시키고 수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수면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면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에 적합한 음향, 향기, 정화공기, LED 빛을 제공해 수면을 유도하는 수면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의 과도한 업무 시간 때문에 수면 부족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제품과 사업이 등장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낮잠을 잘 수 있는 시간 및 시설을 제공하여 짧은 시간이라도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기존 수면을 보조하는 다양한 제품들은 안대, 수면 헤드폰, 이어폰이 주를 이루고 접촉식의 답답함으로 수면에 질을 떨어뜨리며 접촉으로 인한 오염으로 잦은 교체가 필요하여 불편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기존 수면 캡슐, 캡슐형 수면 체어 등은 비접촉이고 편안하나 침대 및 전용 체어 일체형으로 규모가 큰 설치형태로 판매하기 때문에 기존 시설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개선하는 비접촉이면서 간소화된 형태의 수면유도장치의 보급이 필요하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2009-0009415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는 수면을 취할 시 주변의 소음이나 빛을 차단하도록 측판, 등판 및 커튼 등으로 사용자의 머리 상부만을 가리는 수면 보조구를 제공한다. 이 선행기술은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통기성이 있는 덮개로 가리는 것으로 제공하는데 실제 사용에 있어서 공기순환이 되지 않는 환경은 수면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덮개를 착용하고 해지하는 데 사용자가 조절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공개특허 제2015-1561671호(헤어밴드형 골전도 음향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수면 시에 귀에 직접 착용하지 않고 음향을 제공하는데, 위에서 살펴본 수면시의 접촉식인 불편과 수면 음향을 전달하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 주변에 비접촉 방식으로 암막을 형성해 이물감을 방지함으로써 수면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특히, 암막형성공간 내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음원, 향기, 정화공기를 동시에 제공하여 사용자를 심리적으로 안정시키고 수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수면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아치형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되 전면이 개방 형성되는 구면의 지지돔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지지돔을 덮은 상태에서 지지돔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지지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면이 개방 형성되는 커버돔;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며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출력부; 및 상기 프레임 내부로 정화공기와 수면유도향을 동시에 공급하는 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조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챔버; 상기 챔버로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개방된 상단에 장착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흡입공 주변으로 배치되는 정화필터; 상기 챔버에 내장되는 방향제; 및 일측은 상기 챔버와 연통되어 내부로 정화공기를 공급받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향해 배치되어, 내부로 공급된 정화공기를 본체의 내부로 토출하는 배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음원출력부는, 상기 배관부재 타측의 상부로 안착되며 제1 음원출력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볼 조인트 방식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져 타단 부위에 제2 음원출력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음원출력암; 및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제1 음원출력구와 제2 음원출력구로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돔과 커버돔의 상면에는 아치 형태의 보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커버돔의 개방된 전면 하방에는 손잡이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의 머리 주변에 비접촉 방식으로 암막을 형성해 이물감을 방지함으로써 수면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특히, 암막형성공간 내로 음원, 향기, 정화공기를 동시에 제공하여 사용자를 심리적으로 안정시키고 수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지지돔과 커버돔의 상면에 아치 형태의 보강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돔과 커버돔에 강도를 부여해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면유도장치의 형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커버돔의 하단 둘레에 커튼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걸침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걸림턱에 커튼부재가 고정되어 수면유도장치의 폐쇄상태시 커버돔 하부로 개방된 프레임의 개방부위를 완전히 차단시켜 본체 내부를 완전한 암막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넷째, 챔버가 본체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는 구조가 되므로, 본체를 하방이동시킬 필요 없이 침대 위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져 침대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유도장치의 개방상태에 따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유도장치의 폐쇄상태에 따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면유도장치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면유도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면유도장치의 평면을 기준으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수면유도장치의 상단 일부분의 단면구성을 기준으로 회전축이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커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공조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체의 후방에 챔버가 배치된 수면유도장치가 침대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조절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음원출력부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유도장치의 폐쇄상태에 따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면유도장치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면유도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면유도장치의 평면을 기준으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수면유도장치의 상단 일부분의 단면구성을 기준으로 회전축이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커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공조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체의 후방에 챔버가 배치된 수면유도장치가 침대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조절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음원출력부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발명의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y), 좌우(x), 전후(z)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방향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유도장치는 크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프레임(11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되 전면이 개방 형성되는 구면의 지지돔(120)을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지지돔(120)을 덮은 상태에서 지지돔(120)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지지돔(12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면이 개방 형성되는 커버돔(200), 상기 프레임(110) 내부에 배치되며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출력부(400) 및 상기 프레임(110) 내부로 정화공기와 수면유도향을 동시에 공급하는 공조부(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돔(200)이 지지돔(120)의 후면으로 회전되어 지지돔(120)의 개방된 전면을 완전 개방한 상태를 개방상태라 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돔(200)이 지지돔(120)의 전면으로 회전되어 지지돔(120)의 개방된 전면을 완전 폐쇄한 상태를 수면유도장치의 폐쇄상태라 한다.
먼저, 본체(100)는 프레임(110)과 지지돔(120)이 일체로 형성되며, 수면유도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한다.
본체(100)는 전면이 개방된 상태일 수 있으며, 개방된 전면을 커버돔(200) 작동하여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로는 음원출력부(400) 및 공조부(300)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으며, 수면유도장치의 사용상태시 사용자의 머리가 수용될 수 있다.
본체(100), 커버돔(200), 음원출력부(400) 및 공조부(300)는 본체(100) 내부로 수용된 사용자의 머리에 일절 접점을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수면유도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구성한다.
다시, 본체(100)의 지지돔(120) 상단에는 제1 회전결합구(121)가 상, 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돔(120)의 상면에는 제1 회전결합구(121) 주변으로 아치 형태의 보강부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22)는 지지돔(120)에 강도를 부여해 지지돔(120)이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지지돔(120) 내부로 사용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만큼, 지지돔(120)의 강도향상에 대한 부분은 재차 강조하여도 부족함이 없다.
프레임(110)과 지지돔(120)의 일체구성에 있어 프레임(110)과 지지돔(120)의 연결지점에는 수평으로 단턱(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130)은 커버돔(200)의 하단이 지지되는 부분으로, 커버돔(200)의 회전시 커버돔(200)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커버돔(200)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 역할을 한다.
커버돔(200)의 하단을 적절하게 지지하지 않게 되면 커버돔(200) 자체의 중량에 의해 커버돔(200)이 하부로 쳐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커버돔(200)은 상단부분만 지지돔(120) 상에 결합되어 있고 하단 둘레는 자유단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자유단인 하단을 적절히 지지하지 못하게 되면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단턱(130)이 커버돔(200)을 하방에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돔(200)이 지지돔(120)의 상부에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버돔(200)은 지지돔(120)과 상보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본체(100)의 내부에 암막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돔(120)의 개방된 전면을 향해 회전작동한다.
커버돔(200)의 상면에는 지지돔(120)의 제1 회전결합구(121)와 연통되는 제2 회전결합구(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결합구(121)와 제2 회전결합구(210)를 상호 관통하도록 회전축(22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20)은 커버돔(200)의 회전기준이 되며 일례로, 원판의 헤드부(221)의 하방으로 복수 개의 탄성편(222)이 원형으로 배열 형성되고, 인접한 탄성편(222) 사이에는 유격공간(223)을 가지며,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탄성편(222) 중심에는 중공홈(224)이 형성되며, 각각의 탄성편(222) 하단에는 외측으로 걸림턱(225)이 돌출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축(220)이 결합됨에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20)을 개방된 제2 회전결합구(210)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면, 제2 회전결합구(210) 또는 제1 회전결합구(121) 내벽면에 걸림턱(225)이 접촉되면서 탄성편(222)들이 탄성변형되며 중공홈(224)으로 오므라들었다가 회전축(220)이 완전 삽입됨에 따라 걸림턱(225)이 제1 회전결합구(121)의 개방된 하단으로 노출되면, 탄성편(222)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복원되면서 걸림턱(225)이 제1 회전결합구(121)의 개방된 하단 주변에 걸림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이와 동시에, 중공홈(224)의 하단으로 잠금키(226)가 끼움 결합되면 탄성편(222)들이 중공홈(224)을 향해 오므라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회전축(220)의 분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축(220)과 잠금키(226)의 조합에 의해 커버돔(200)을 지지돔(12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선에서 커버돔(200)과 지지돔(120)의 강한 결속을 보장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커버돔(200)의 상면 제2 회전결합구(210) 주변에는 전술한 지지돔(120)의 보강부재(122)와 동일한 보강부재(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돔(200)의 개방된 전면 하방에는 손잡이(230)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30)를 잡고 커버돔(200)을 회전조작할 수 있다.
커버돔(200)의 하단 둘레에는 커튼부재(26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걸침턱(2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침턱(240)에 커튼부재(260)가 고정되어 수면유도장치의 폐쇄상태시 커버돔(200) 하부로 개방된 프레임(110)의 개방부위를 완전히 차단시켜 본체(100) 내부를 완전한 암막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커튼부재(260)는 수면유도장치의 사용상태시 사용자의 경부 주변을 유연하게 감쌀 수 있는 암막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공조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챔버(310), 상기 챔버(310)로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팬(320), 복수의 흡입공(331)이 형성되며 상기 챔버(310)의 개방된 상단에 장착되는 상부커버(330), 상기 상부커버(330)의 흡입공(331) 주변으로 배치되는 정화필터(340), 상기 챔버(310)에 내장되는 방향제(350) 및 일측은 상기 챔버(310)와 연통되어 내부로 정화공기를 공급받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를 향해 배치되어, 내부로 공급된 정화공기를 본체(100)의 내부로 토출하는 배관부재(36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챔버(310)는 본체(100)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챔버(310) 내부에서 구동되는 흡입팬(320)의 팬소음이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특히, 챔버(310)는 본체(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도록 해 수면유도장치가 침대에 설치되었을 때 침대헤드(H)와의 간섭을 줄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10)가 본체(100)의 외측 후방에 배치된 실시예에서 수면유도장치가 침대에 설치되면, 침대헤드(H) 바로 아래에 챔버(310)가 배치되고, 그 아래에 본체(100)가 배치될 수밖에 없으므로, 사용자가 침대에 눕게 되면 사용자의 위치가 전체적으로 침대의 아래쪽으로 내려갈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침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키가 큰 사용자의 경우 다리가 침대 밖으로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챔버(310)가 본체(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는 구조가 되므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100)를 하방이동시킬 필요 없이 침대 위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져 침대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챔버(310)는 하부로 갈수록 내공간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흡입된 외기의 유속을 상승시키는 구조를 갖춘다. 이에, 챔버(310) 내부로 흡입된 외기는 유속이 상승된 채 배관부재(360)를 타고 배관부재(360)의 타단까지 전달되어 본체(10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흡입팬(320)은 팬소음이 35dB 이하를 만족하는 선에서 마련되며, 외기를 상기 챔버(310)로 흡입하고, 흡입된 외기는 배관부재(360)를 거쳐 본체(100) 내부로 토출된다.
예컨대, 흡입팬(320)은 저소음 팬이 본체(100) 밖의 외기를 본체(100) 내부로 순환시키고 저소음을 만족하는 BLDC 팬을 선정하고 자연풍과 같은 선선한 바람을 재현하여 은은한 내부 공기 순환을 만족해야 한다.
상부커버(330)는 개방된 챔버(310)의 상단을 폐쇄하되, 흡입공(331)을 통해 외기를 통과시킨다.
정화필터(340)와 방향제(350)는 교체사용이 가능한 선에서 챔버(310) 또는 상부커버(3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정화필터(340)는 공지의 부직포 필터, 헤파 필터, 카본 필터 등으로 이루어지며, 방향제(350)는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선에서, 아로마, 피톤치드, 허브 등의 향을 가지는 방향제(350)가 이용될 수 있다.
챔버(310) 내부로 흡입된 외기는 정화필터(340)에 의해 정화되고, 이어서 방향제(350)를 통과해 방향제(350)의 향기와 혼합된 뒤 본체(10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 정화공기는 방향제(350)의 향기가 포함된 상태를 의미한다.
배관부재(360)는 내부로 정화공기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본체(100) 외부에 배치된 챔버(310)에서부터 본체(100)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부재(360)의 일측 상면에는 챔버(310)가 접속되는 접속구(36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 전면에는 정화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6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362)에는 정화공기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36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363)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토출슬릿(363a)이 관통되고, 토출슬릿(363a)의 하단에는 조작돌기(363b)가 돌출되며 토출슬릿(363a)과 마주보는 후면은 개방 형성되고 좌, 우측면에는 조절부재(363)의 회전기준이 되며 토출구(362) 좌, 우측에 형성된 회전대(362a)에 축결합되는 축부재(363c)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362) 주변으로 이동된 정화공기는 조절부재(363)의 개방된 후면을 통과해 토출슬릿(363a)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돌기(363b)를 손으로 들어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는 조작을 통해 조절부재(363)를 회전시켜 토출슬릿(363a)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조절부재(363)를 상부로 회전시킬 경우 토출슬릿(363a) 상부가 배관부재(360)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토출슬릿(363a)의 개도량이 줄어들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조절부재(363)의 회전조작만으로 정화공기의 토출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음원출력부(400)는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비접촉 방식으로 입체 음향을 제공한다.
통상, 수면유도를 위해, 귀에 이어폰, 헤드셋 등을 장착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와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간접적으로 음원을 제공하여 이물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음원출력부(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부재(360) 타측의 상부로 안착되며 제1 음원출력구(411)가 형성되는 케이스(410), 일단은 상기 케이스(410)의 양 측면에 볼 조인트 방식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져 타단 부위에 제2 음원출력구(421)가 형성되는 한 쌍의 음원출력암(420) 및 상기 케이스(410)에 내장되며 상기 제1 음원출력구(411)와 제2 음원출력구(421)로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본체(100)에 머리를 위치시키게 되면 사용자의 양쪽 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제2 음원출력구(421)가 위치하게 되고, 정수리부근에 제1 음원출력구(411)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음원출력구(411)와 제2 음원출력구(421)에서 동시에 출력되는 음원을 통해 사용자는 입체 음향 효과를 볼 수 있다.
제1 음원출력구(411)와 제2 음원출력구(421)는 스피커로 이해될 수 있으며, 스피커모듈은 음원신호를 출력하는 음원발생부. 상기 음원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음원출력구(411)와 제2 음원출력구(421)에서는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전기적 음원신호를 청취 가능한 음파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음원출력구(411)와 제2 음원출력구(421)는 각각 스피커모듈과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마다 귀의 위치가 각기 다르고, 선호하는 음향의 세기도 각기 다르기 때문에, 한 쌍의 음원출력암(420)을 케이스(410) 상에 볼 조인트 방식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마련하여 음원출력암(420)의 회전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 또는 취향에 맞게 귀에서 제2 음원출력구(421)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음원출력암(420)의 일단에는 볼 조인트(4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410)의 좌, 우 양 측면에는 상기 음원출력암(420)의 볼 조인트(422)와 상보적인 조인트결합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볼 조인트(422)와 조인트결합부(412)의 결합구조는 피벗, 틸트, 스위벨 등의 회전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케이스(410)의 상면에는 LED 무드등(4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빛에 의한 알람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스피커모듈은 별도의 컨트롤러 없이 스마트폰 앱을 구동하여 음향 컨텐츠를 송출할 수 있고, 흡입팬(320) 또한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LED 무드등(430)의 색 또는 밝기 조절 등의 다양한 기능도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다.
수면유도장치는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스마트폰 앱을 통해 음원 볼륨 조절, 공기순환 조절, LED 조도 등의 조절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면유도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주변에 비접촉 방식으로 암막을 형성해 이물감을 방지함으로써 수면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특히, 암막형성공간 내로 음원, 향기, 정화공기를 동시에 제공하여 사용자를 심리적으로 안정시키고 수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지지돔(120)과 커버돔(200)의 상면에 아치 형태의 보강부재(122,250)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돔(120)과 커버돔(200)에 강도를 부여해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면유도장치의 형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커버돔(200)의 하단 둘레에 커튼부재(26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걸침턱(24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걸림턱(225)에 커튼부재(260)가 고정되어 수면유도장치의 폐쇄상태시 커버돔(200) 하부로 개방된 프레임(110)의 개방부위를 완전히 차단시켜 본체(100) 내부를 완전한 암막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챔버(310)가 본체(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는 구조가 되므로, 본체(100)를 하방이동시킬 필요 없이 침대 위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져 침대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본체
200: 커버돔
300: 공조부
400: 음원출력부
110: 프레임
120: 지지돔
310: 챔버
320: 흡입팬
330: 상부커버
340: 정화필터
350: 방향제
360: 배관부재
200: 커버돔
300: 공조부
400: 음원출력부
110: 프레임
120: 지지돔
310: 챔버
320: 흡입팬
330: 상부커버
340: 정화필터
350: 방향제
360: 배관부재
Claims (5)
- 아치형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되 전면이 개방 형성되는 구면의 지지돔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지지돔을 덮은 상태에서 지지돔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지지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면이 개방 형성되는 커버돔;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며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출력부; 및
상기 프레임 내부로 정화공기와 수면유도향을 동시에 공급하는 공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챔버;
상기 챔버로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개방된 상단에 장착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흡입공 주변으로 배치되는 정화필터;
상기 챔버에 내장되는 방향제; 및
일측은 상기 챔버와 연통되어 내부로 정화공기를 공급받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향해 배치되어, 내부로 공급된 정화공기를 본체의 내부로 토출하는 배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음원출력부는,
상기 배관부재 타측의 상부로 안착되며 제1 음원출력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볼 조인트 방식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져 타단 부위에 제2 음원출력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음원출력암; 및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제1 음원출력구와 제2 음원출력구로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돔과 커버돔의 상면에는 보강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돔의 개방된 전면 하방에는 손잡이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과 지지돔의 연결지점에는 커버돔의 하단이 지지하여 커버돔의 회전시 커버돔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커버돔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도록 수평으로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지지돔 상단에는 제1 회전결합구가 상, 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커버돔의 상면에는 지지돔의 제1 회전결합구와 연통되는 제2 회전결합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결합구와 제2 회전결합구를 상호 관통하도록 회전축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은 원판의 헤드부의 하방으로 복수 개의 탄성편이 원형으로 배열 형성되고, 인접한 탄성편 사이에는 유격공간을 가지며,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탄성편 중심에는 중공홈이 형성되며, 각각의 탄성편 하단에는 외측으로 걸림턱이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을 개방된 제2 회전결합구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면 제1 회전결합구 내벽면에 걸림턱이 접촉되면서 탄성편들이 탄성변형되며 중공홈으로 오므라들었다가 회전축이 완전 삽입됨에 따라 걸림턱이 제1 회전결합구의 개방된 하단으로 노출되면, 탄성편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복원되면서 걸림턱이 제1 회전결합구의 개방된 하단 주변에 걸림되고, 이 상태에서, 중공홈의 하단으로 잠금키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커버돔의 하단 둘레에는 걸침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침턱에 커튼부재가 고정되어 커버돔 하부로 개방된 프레임의 개방부위를 차단하며,
상기 지지돔의 상면에 형성된 보강부재는 제1 회전결합구 주변에 아치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커버돔의 상면에 형성된 보강부재는 제2 회전결합구 주변에 아치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챔버는 하부로 갈수록 내공간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관부재의 일측 상면에는 챔버가 접속되는 접속구가 형성되고, 타측 전면에는 정화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에는 정화공기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부재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토출슬릿이 관통되고, 토출슬릿의 하단에는 조작돌기가 돌출되며 토출슬릿과 마주보는 후면은 개방 형성되고 좌, 우측면에는 조절부재의 회전기준이 되며 토출구 좌, 우측에 형성된 회전대에 축결합되는 축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 주변으로 이동된 정화공기는 조절부재의 개방된 후면을 통과해 토출슬릿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며,
상기 조절부재를 상부로 회전시킬 경우 토출슬릿 상부가 배관부재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토출슬릿의 개도량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3125A KR102411404B1 (ko) | 2020-08-18 | 2020-08-18 | 수면유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3125A KR102411404B1 (ko) | 2020-08-18 | 2020-08-18 | 수면유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2217A KR20220022217A (ko) | 2022-02-25 |
KR102411404B1 true KR102411404B1 (ko) | 2022-06-22 |
Family
ID=8049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3125A KR102411404B1 (ko) | 2020-08-18 | 2020-08-18 | 수면유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140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7913B1 (ko) | 2022-10-26 | 2023-08-21 | 강웅재 | 수면도구 |
KR102620558B1 (ko) | 2023-02-21 | 2024-01-03 | 강웅재 | 수면 촉진 도구 |
KR102664029B1 (ko) | 2023-12-27 | 2024-05-08 | 강웅재 | 수면 유도 도구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6022B1 (ko) * | 2012-08-24 | 2014-03-21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영유아용 스마트 침대장치 |
KR101689235B1 (ko) * | 2015-04-07 | 2016-12-23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캡슐형 힐링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1973B1 (ko) | 2007-07-20 | 2009-06-08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 |
KR20200093127A (ko) * | 2019-01-27 | 2020-08-05 | 이선의 | 수면유도장치 |
-
2020
- 2020-08-18 KR KR1020200103125A patent/KR1024114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6022B1 (ko) * | 2012-08-24 | 2014-03-21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영유아용 스마트 침대장치 |
KR101689235B1 (ko) * | 2015-04-07 | 2016-12-23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캡슐형 힐링 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7913B1 (ko) | 2022-10-26 | 2023-08-21 | 강웅재 | 수면도구 |
KR102620558B1 (ko) | 2023-02-21 | 2024-01-03 | 강웅재 | 수면 촉진 도구 |
KR102664029B1 (ko) | 2023-12-27 | 2024-05-08 | 강웅재 | 수면 유도 도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2217A (ko) | 2022-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1404B1 (ko) | 수면유도장치 | |
JP6356289B2 (ja) | 呼吸療法の提供 | |
KR20200093127A (ko) | 수면유도장치 | |
CN205758113U (zh) | 一种便于工作者休息的睡眠装置 | |
KR200453280Y1 (ko) | 산소발생 안마의자 | |
US10820103B1 (en) | Sound system | |
AU2016200226A1 (en) | Detachable and transportable CPAP hose holder | |
US11653130B1 (en) | Sound system | |
KR102435009B1 (ko) | 수면유도형 수면 캡슐 | |
JP6782053B1 (ja) | マスク用の送風装置 | |
CN112120484A (zh) | 一种助于睡眠修养的趣味性儿科医用摇床 | |
CN213852006U (zh) | 一种艾灸盒 | |
CN214260315U (zh) | 一种神经内科用助眠装置 | |
WO2021206061A1 (ja) | 制御ユニット、マスクおよびシールド | |
KR101812518B1 (ko) | 공기공급기능을 구비한 마스크 | |
US20050015851A1 (en) | Sleeping strap | |
CN110089850B (zh) | 一种多功能睡眠床桌 | |
KR102503977B1 (ko) |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 | |
CN210276359U (zh) | 一种多功能睡眠床桌 | |
US7472436B1 (en) | Animal-shaped sleeping area for children | |
KR20230056392A (ko) | 가상현실 명상 기능을 제공하는 필로우 마운트 디스플레이 PMD(Pillow Mount Display) | |
CN220236123U (zh) | 一种多功能医用防护服 | |
CN216908950U (zh) | 口罩固定架、口罩及呼吸过滤装置 | |
CN213852616U (zh) | 一种具有音频刺激的心理性疾病给氧康复仪 | |
CN211326292U (zh) | 一种防噪声助眠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