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595B1 -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595B1
KR102410595B1 KR1020200113819A KR20200113819A KR102410595B1 KR 102410595 B1 KR102410595 B1 KR 102410595B1 KR 1020200113819 A KR1020200113819 A KR 1020200113819A KR 20200113819 A KR20200113819 A KR 20200113819A KR 102410595 B1 KR102410595 B1 KR 10241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cheostomy tube
mask
extension membe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2251A (ko
Inventor
박준욱
이동현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595B1/ko
Priority to PCT/KR2021/009528 priority patent/WO2022050570A1/ko
Publication of KR20220032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251A/ko
Priority to KR1020220072306A priority patent/KR102510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5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 A61M16/047Masks, filters, surgical pads, devices for absorbing secre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5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 A61M16/0468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with valves at the proximal end limiting exhalation, e.g. during speaking or coug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32Trach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관절개술이 시술된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의 내부를 커버함으로써, 기관절개술이 시술된 환자를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MASK FOR TRACHEOSTOMY TUBE}
본 발명은 기관절개술이 시술된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의 내부를 커버함으로써, 기관절개술이 시술된 환자를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절개술은 환자의 목의 앞 부분으로부터 기관 앞부분까지 절개하여 기관절개구를 형성하고, 이러한 기관절개구에 기관절개튜브를 삽입하여, 기관 내부와 외기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관절개술은 본래 상부기도, 인두 및 후두의 협착 또는 폐색으로 인한 호흡곤란이 발생한 경우에 시술하나, 기관지 내의 분비물이 객출되지 않은 경우나, 장기간의 인공호흡이 필요한 경우에도 시술되고 있다.
최근 SARS(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나 조류 인플루엔자와 더불어 2019년 12월경 중국 우한에서 출현한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인 COVID-19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가 바이러스 감염이 퍼지는 판데믹(pandemic: 감염 폭발)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경로는 비말 감염, 공기 등이 있다. 비말 감염은 감염자의 침, 콧물 등 체액이 기침 등으로 튀어나와 다른 사람의 입이나 코로 들어가 감염되는 것이다. 공기 감염은 비말핵이라 불리는 바이러스 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하다가 사람에게 흡입되어 감염되는 것이다.
그런데, 기관절개술이 시술된 환자는 기관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를 통해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1375호(2013.10.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관절개술이 시술된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의 내부를 커버함으로써, 기관절개술이 시술된 환자를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는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기관절개튜브의 내부를 커버 또는 커버 해제하는 마스크 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기관절개튜브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기관절개튜브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연장부재가 평행을 이룰 때, 상기 마스크 필터가 상기 기관절개튜브의 내부를 커버하는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에 결합되는 지지축;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지지축은 한 쌍의 상기 연장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한 쌍의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축의 일정 부분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연장부재가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락킹부재는 함께 회전되며,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연장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연장부재가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연장부재에 기립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부재는 평면인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곡면으로 연장된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연장부재가 평행을 이룰 때, 상기 락킹부재의 상기 제1면이 상기 연장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연장부재가 평행에서 벗어날때, 상기 락킹부재의 상기 제2면이 상기 연장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의 상기 락킹부재 접촉 부위 및 상기 락킹부재의 상기 연장부재 접촉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연장부재 및 상기 락킹부재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는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재; 상기 기관절개튜브의 말단과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연장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연장부재의 말단에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기관절개튜브를 커버하는 마스크 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마스크 필터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환자의 기관 절개구를 커버하는 마스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커버의 말단을 상기 환자의 목에 접착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는 기관절개술이 시술된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를 커버함으로써, 기관절개술이 시술된 환자를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관절개튜브를 나타낸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의 마스크 필터가 분리된 상태의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a의 A 확대도 및 도 2b의 B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의 마스크 필터가 접합된 상태의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의 마스크 필터가 분리된 상태의 정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의 마스크 필터가 분리된 상태의 정면사시도 및 마스크 필터와 마스크 커버가 접합된 상태의 배면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가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가 후두전절제술이 시술된 환자의 영구기관 절개구를 커버하는 상태의 정면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가 설치되는 기존의 기관절개튜브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기관절개튜브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절개튜브(10)는 환자의 목의 기관절개구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10)의 일단을 둘러싸는 커프(20)와, 환자의 목 외부에 배치된 기관절개튜브(10)의 타단에 결합되고 환자의 목에 착용되는 착용부재(30)와, 커프(20)와 연결튜브(40)을 매개로 연통되어 커프(20)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커프(20)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벌룬부재(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환자의 목 외부에 배치된 기관절개튜브(10)의 타단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의 마스크 필터가 분리된 상태의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a의 A 확대도 및 도 2b의 B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의 마스크 필터가 접합된 상태의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는 결합부재(110a, 110b), 연장부재(120), 프레임(130) 및 마스크 필터(180)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결합부재(110a)는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10)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장부재(120)는 결합부재(110a)로부터 연장되고, 프레임(130)은 연장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마스크 필터(180)는 프레임(130)에 마련되어, 기관절개튜브(10)의 내부를 커버하거나, 또는 기관절개튜브(10)의 내부를 커버 해제한다.
결합부재(110a)는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10)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들면, 결합부재(110a)는 기관절개튜브(10)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는 후크 형상으로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결합부재(110a)는 기관절개튜브(10)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결합부재(110a)를 기관절개튜브(10)의 옆에 끼워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제3자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연장부재(120)는 결합부재(110a)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후술할 프레임(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연장부재(120)는 결합부재(110a)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재(120)는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130)은 연장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프레임(130)은 연장부재(120)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프레임(130)은 지지축(140)과 회전부재(150)를 통해 연장부재(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축(140)은 연장부재(120)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고, 회전부재(150)는 프레임(130)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지축(140)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130)은 프레임(130)으로부터 연장되어 연장부재(120)에 결합되는 지지축(140)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150)를 통해 연장부재(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130)의 내부는 관통 형성된다.
프레임(130)의 일면에는 마스크 필터(180)와의 접착을 위한 접착판(131)이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접착판(131)은 프레임(130)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판(131)에는 접착부재(190)를 매개로 마스크 필터(180)가 접합될 수 있다. 접착부재(190)는 양면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마스크 필터(180)는 프레임(130)에 마련되며, 프레임(1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기관절개튜브(10)의 내부를 커버하거나, 또는 기관절개튜브(10)의 내부를 커버 해제한다.
예를들면, 도 2a와 도 3a를 참조하면, 프레임(130)와 연장부재(120)가 평행을 이룰 때, 마스크 필터(180)는 기관절개튜브(10)의 내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2b와 도 3b를 참조하면, 연장부재(120)와 프레임(130)가 평행에서 벗어날 때, 마스크 필터(180)는 기관절개튜브(10)를 커버 해재 할 수 있다.
마스크 필터(180)의 재질은 부직포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을 필터링할 수 있는 다른 재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연장부재(120)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연장부재(120)는 결합부재(110a)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지지축(140)은 한 쌍의 연장부재(120)를 관통할 수 있으며, 회전부재(150)는 한 쌍의 연장부재(120)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축(140)의 일정 부분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재(150)의 길이방향 폭은 한 쌍의 연장부재(120)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축(140)의 길이방향 폭에 대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회전부재(150)가 지지축(140)을 따라 이동하는 범위가 제한되고, 회전부재(150)와 결합된 프레임(130)의 길이방향 이동 범위도 제한된다. 따라서 프레임(130)의 회전시, 프레임(130)의 길이방향 흔들림이 저감될 수 있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락킹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락킹부재(160)는 프레임(130)에 마련되며, 프레임(130)과 연장부재(120)가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락킹부재(160)는 프레임(130)으로부터 연장부재(120)를 향하여 연장되고 연장부재(120)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락킹부재(160)와 프레임(130)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재(160)와 프레임(130)이 연장부재(120)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프레임(130)과 연장부재(120)가 평행을 이룰때, 락킹부재(160)가 연장부재(120)에 밀착하면서 기립 배치된다. 그 결과, 락킹부재(160)에 일정 수준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프레임(13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으며, 프레임(130)에 마련된 마스크 필터(180)는 기관절개튜브(10)의 내부를 커버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재(160)와 프레임(130)이 연장부재(120)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프레임(130)과 연장부재(120)가 평행에서 벗어날 때, 락킹부재(160)가 연장부재(120)에서 밀착 해제된다. 그 결과, 락킹부재(160)는 프레임(130)의 회전을 제한하진 않으며, 프레임(130)에 마련되는 마스크 필터(180)는 기관절개튜브(10)의 내부를 커버 해제 한다. 이 때, 시술자는 마스크 필터(180)로부터 커버 해제된 기관절개튜브(10)의 내부를 통해 이물질 석션 등의 의료 시술을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락킹부재(160)는 평면인 제1면(161)과, 제1면(161)으로부터 곡면으로 연장된 제2면(16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락킹부재(160)와 프레임(130)이 연장부재(120)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프레임(130)과 연장부재(120)가 평행을 이룰때, 락킹부재(160)의 제1면(161)이 연장부재(120)와 밀착하면서 프레임(13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그 결과, 락킹부재(160)에 일정 수준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프레임(13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으며, 프레임(130)에 마련된 마스크 필터(180)는 기관절개튜브(10)의 내부를 커버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락킹부재(160)와 프레임(130)이 연장부재(120)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프레임(130)과 연장부재(120)가 평행에서 벗어날 때, 락킹부재(160)의 제2면(162)이 연장부재(120)에 접촉되어 락킹부재(160)가 연장부재(120)에 기립되지 않는다. 그 결과, 락킹부재(160)는 프레임(130)의 회전을 제한하진 않으며, 프레임(130)에 마련되는 마스크 필터(180)는 기관절개튜브(10)의 내부를 커버 해제 한다.
한편, 락킹부재(160)가 연장부재(120)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락킹부재(160)의 제1면(161)의 기립이 해제된 후, 락킹부재(160)의 제2면(162)이 연장부재(120)에 접촉되는 순간, 락킹부재(160) 및 연장부재(120) 간에는 큰 충격이 가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락킹부재(160)의 제1면(161)과 제2면(162) 사이에는 락킹부재(160)의 내측으로 만곡된 제3면(16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재(120)의 락킹부재(160) 접촉 부위 및 락킹부재(160)의 상기 연장부재(120) 접촉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연장부재(120) 및 락킹부재(160)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탄성패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킹부재(160)의 제1면(161)이 연장부재(120)에 기립 배치된 상태에서, 락킹부재(160)가 연장부재(120)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락킹부재(160)의 제1면(161)이 접촉 해제된 후, 락킹부재(160)의 제2면(162)이 연장부재(120)에 접촉되는 순간, 락킹부재(160) 및 연장부재(120) 간에는 큰 충격이 가해지는데, 탄성패드(170)는 이러한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락킹부재(160)와 연장부재(12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패드(170)의 재질은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의 마스크 필터가 분리된 상태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는 제1실시예와 달리, 결합부재(110b)가 기관절개튜브(10)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110b)는 기관절개튜브(1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관통 결합되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결합부재(110b)에 기관절개튜브(1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부재(110b)를 기관절개튜브(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결합부재(110b)가 기관절개튜브(1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관통 결합됨에 따라, 결합부재(110b)가 기관절개튜브(10)에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의 마스크 필터가 분리된 상태의 정면사시도 및 마스크 필터와 마스크 커버가 접합된 상태의 배면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가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는 결합부재(210), 연장부재(220), 프레임(230), 마스크 필터(240) 및 마스크 커버(250)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결합부재(210)는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10)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장부재(220)는 결합부재(210)로부터 연장되고, 프레임(230)은 결합부재(210)와 연장부재(220)를 수용하고 연장부재(220)의 말단에 결합되며, 마스크 필터(240)는 기관절개튜브(10)와 프레임(230)을 커버한다.
결합부재(210)는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10)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들면, 결합부재(210)는 기관절개튜브(10)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결합부재(210)에 기관절개튜브(1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부재(210)를 기관절개튜브(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결합부재(210)가 기관절개튜브(10)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며 결합함에 따라, 결합부재(210)가 기관절개튜브(10)에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연장부재(220)는 결합부재(110a)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후술할 프레임(230)과 일체로 결합된다. 예를 들면, 연장부재(220)는 결합부재(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재(220)는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230)은 기관절개튜브(10)의 말단과 결합부재(210)와 연장부재(220)를 수용하고 연장부재(220)의 말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30)이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은 원형, 타원 또는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프레임(230)의 일면에는 마스크 필터(240)와의 접착을 위한 접착판(231)이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접착판(231)은 프레임(230)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판(231)에는 접착부재(260)를 매개로 마스크 필터(240)가 접합될 수 있다. 접착부재(260)는 양면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마스크 필터(240)는 프레임(230)에 마련되고 기관절개튜브(10)를 커버한다. 마스크 필터(2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부재(260)를 매개로 프레임(20)의 내부를 덮을 수 있다.
마스크 커버(250)는 프레임(230) 또는 마스크 필터(240)로부터 연장되어 환자의 기관절개구를 커버한다. 다시 말해, 마스크 커버(250)는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10)와 환자의 목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커버한다. 따라서 마스크 커버(250)는 환자의 기관절개구에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커버(250)의 말단은 접착부재(260)를 매개로 환자의 목의 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부재(260)는 양면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는 기관절개술이 시술된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를 마스크 필터로 커버함으로써, 기관절개술이 시술된 환자를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가 후두전절제술이 시술된 환자의 영구기관 절개구를 커버하는 상태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의 마스크 필터(240)와 접착부재(260)로 후두전절제술이 시술된 환자의 영구기관 절개구를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크 필터(240)는 후두전절제술이 시술된 환자의 영구기관 절개구를 커버한다.
그리고 마스크 필터(240)의 테두리 및 환자의 목 사이에는 접착부재(260)가 설치됨으로써, 마스크 필터(240)가 환자의 목에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재(260)는 양면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기관절개튜브
20 : 커프
30 : 착용부재
40 : 연결튜브
50 : 벌룬부재
110a, 110b : 결합부재
120 : 연장부재
130 : 프레임
131 : 접착판
140 : 지지축
150 : 회전부재
160 : 락킹부재
161 : 제1면
162 : 제2면
163 : 제3면
170 : 탄성패드
180 : 마스크 필터
190 : 접착부재
210 : 결합부재
220 : 연장부재
230 : 프레임
231 : 접착판
240 : 마스크 필터
250 : 마스크 커버
260 : 접착부재

Claims (13)

  1. 환자의 목에 삽입된 기관절개튜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기관절개튜브의 내부를 커버 또는 커버 해제하는 마스크 필터;
    상기 연장부재에 결합되는 지지축;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기관절개튜브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는 후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기관절개튜브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는 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연장부재가 평행을 이룰 때, 상기 마스크 필터가 상기 기관절개튜브의 내부를 커버하는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지지축은 한 쌍의 상기 연장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한 쌍의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축의 일정 부분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연장부재가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락킹부재는 함께 회전되며,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연장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연장부재가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연장부재에 기립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는 평면인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곡면으로 연장된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연장부재가 평행을 이룰 때, 상기 락킹부재의 상기 제1면이 상기 연장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연장부재가 평행에서 벗어날때, 상기 락킹부재의 상기 제2면이 상기 연장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의 상기 락킹부재 접촉 부위 및 상기 락킹부재의 상기 연장부재 접촉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연장부재 및 상기 락킹부재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00113819A 2020-09-07 2020-09-07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KR102410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819A KR102410595B1 (ko) 2020-09-07 2020-09-07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PCT/KR2021/009528 WO2022050570A1 (ko) 2020-09-07 2021-07-23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KR1020220072306A KR102510074B1 (ko) 2020-09-07 2022-06-14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프레임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819A KR102410595B1 (ko) 2020-09-07 2020-09-07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306A Division KR102510074B1 (ko) 2020-09-07 2022-06-14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프레임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251A KR20220032251A (ko) 2022-03-15
KR102410595B1 true KR102410595B1 (ko) 2022-06-16

Family

ID=804912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819A KR102410595B1 (ko) 2020-09-07 2020-09-07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KR1020220072306A KR102510074B1 (ko) 2020-09-07 2022-06-14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프레임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306A KR102510074B1 (ko) 2020-09-07 2022-06-14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프레임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10595B1 (ko)
WO (1) WO202205057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52239A1 (en) 2010-12-16 2012-06-21 Shikani Medical, LLC d/b/a The Airway Company Low profile heat and moisture exchanger device for tracheotomy and speaking valv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7680B1 (fr) * 1989-06-05 1996-03-08 Huchon Jean Michel Valve d'oxygeno-phonation et embout de canule de tracheotomie comportant ladite valve d'oxygeno-phonation
GB0229870D0 (en) * 2002-12-21 2003-01-29 Intersurgical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closure devices
US8800565B1 (en) * 2010-05-19 2014-08-12 David H. Root Breath intake valve for a tracheostomy tube
DE102012006396A1 (de) 2012-03-29 2013-10-02 Willy Rüsch GmbH Tracheostomietubus
KR101409236B1 (ko) * 2012-09-20 2014-06-18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기관절개술 튜브용 폐색구
CN206587252U (zh) * 2016-12-16 2017-10-27 中国医科大学附属盛京医院 气管切开术后防痰液喷溅防护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52239A1 (en) 2010-12-16 2012-06-21 Shikani Medical, LLC d/b/a The Airway Company Low profile heat and moisture exchanger device for tracheotomy and speaking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074B1 (ko) 2023-03-14
KR20220032251A (ko) 2022-03-15
WO2022050570A1 (ko) 2022-03-10
KR20220086539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8427B1 (en) Heat and moisture exchanger adapter to closed suction catheter assembly and system having improved catheter cleaning
KR100799028B1 (ko) 개선된 밀폐식 석션 카테터 조립체 어댑터 및 이를 내장한시스템
US7506647B2 (en) Tracheostoma cannula mounting
KR102410595B1 (ko) 기관절개튜브용 마스크
KR102540159B1 (ko) 유도벽을 형성한 비강 카테터
CN111317901A (zh) 口含密闭式雾化吸入装置
US20220226589A1 (en) Vacuum shield assembly for attachment to medical masks
KR102012029B1 (ko) 후두 전적출 환자용 기능성 인공 코 대체기구
RU2130790C1 (ru) Прибор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дыхания человека
US20220072245A1 (en) Vacuum shield assembly for attachment to medical masks
CA3190846A1 (en) Vacuum shield assembly for attachment to medical masks and intubation assembly to protect from airborne illnesses
CN112190344A (zh) 一种防新冠病毒喷溅负压装置
CN210492747U (zh) 一种用于气管插管患者的防护专用口罩
CN210250819U (zh) 一种用于气管切开套管的防护罩
KR102567681B1 (ko)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CN217286629U (zh) 一种防喷溅的吸痰管防护罩
US20240066250A1 (en) Novel face mask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CN212789376U (zh) 一种一次性内窥镜检查隔离面罩
CN213465602U (zh) 一种咽拭子采集防感染面部护具
CN213697242U (zh) 一种防新冠病毒喷溅负压装置
CN212308607U (zh) 新冠病毒气管插管专用防毒外溢的口鼻负压抽气装置
US20230381443A1 (en) Exhalation Filtration Device with Aerosol Separator, Collection Reservoir, and Non-Rebreather Option
CN209900470U (zh) 一种感染科用隔离防护面罩
CN213760056U (zh) 一种用于气管插管患者专用防护口罩
US20230181398A1 (en) Device for limiting 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