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681B1 -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7681B1 KR102567681B1 KR1020200161319A KR20200161319A KR102567681B1 KR 102567681 B1 KR102567681 B1 KR 102567681B1 KR 1020200161319 A KR1020200161319 A KR 1020200161319A KR 20200161319 A KR20200161319 A KR 20200161319A KR 102567681 B1 KR102567681 B1 KR 1025676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dotracheal tube
- bag
- tube
- patient
- coupl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5—Splash shields for protection of the surgeon, e.g. splash guards connected to the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5—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6—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provision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6—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provision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 A61M39/165—Shrouds or protectors for aseptically enclosing the conn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 상기 백에 마련되어, 환자의 신체에 장착된 기관내 튜브가 고정되는 제1결합부; 상기 백에 마련되어, 상기 기관내 튜브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호흡용 공기를 제공하는 호흡기용 튜브가 삽입 또는 장착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백에 마련되어, 상기 기관내 튜브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시술 및 검사 도구가 인출입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백의 기밀을 유지하며 상기 백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자의 인공 호흡이나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동안, 의료진과 환자를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내 튜브는 기관삽관튜브와 기관절개튜브를 통칭한다.
기관삽관튜브는 기관내삽관술이 시술된 환자, 즉, 마취 등 호흡에 영향을 주는 조작이 필요한 환자에게 사용되는 것으로, 환자의 입(또는 코)을 통하여 구강-인두부-후두부-성문을 통과하여 기관 안으로 삽관되게 된다. 즉, 기관삽관튜브는 전신 마취 환자나 응급환자의 기도 유지용으로 꼭 필요한 기구이다
기관절개튜브는 기관절개술이 시술된 환자에게 사용되는 것으로, 환자의 목의 앞 부분으로부터 기관 앞부분까지 절개하여 기관절개구를 형성하고, 이러한 기관절개구에 기관절개튜브를 삽입하여, 기관 내부와 외기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관삽관튜브 및 기관절개튜브 등과 같은 기관내 튜브가 삽입된 환자의 기관에 가래와 같은 분비물이 쌓일 경우, 기도 폐색이나 폐렴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기관내 튜브를 통해 환자의 기관에 쌓인 가래를 수시로 흡입해주어야 한다.
최근 SARS(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나 조류 인플루엔자와 더불어 2019년 12월경 중국 우한에서 출현한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인 COVID-19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가 바이러스 감염이 퍼지는 판데믹(pandemic: 감염 폭발)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경로는 비말 감염, 공기 등이 있다. 비말 감염은 감염자의 침, 콧물 등 체액이 기침 등으로 튀어나와 다른 사람의 입이나 코로 들어가 감염되는 것이다. 공기 감염은 비말핵이라 불리는 바이러스 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하다가 사람에게 흡입되어 감염되는 것이다.
그런데,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기관내 튜브를 통해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동안, 기관내 튜브의 개구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경로가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기관내 튜브를 통해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동안, 환자의 기관이 자극되면서 환자의 기침에 의한 비말이나 비말핵이 분출됨에 따라, 주변 사람이나 주변 의료진이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감염원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백의 내부에서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기관내 튜브와 호흡기용 튜브의 선택적 결합이 이루어져서 인공 호흡이 실시되거나, 또는 기관내 튜브와 시술 및 검사 도구의 선택적 결합이 이루어져서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의 흡입이 이루어짐으로써, 환자의 인공 호흡이나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동안, 의료진과 환자를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는 백; 상기 백에 마련되어, 환자의 신체에 장착된 기관내 튜브가 고정되는 제1결합부; 상기 백에 마련되어, 상기 기관내 튜브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호흡용 공기를 제공하는 호흡기용 튜브가 삽입 또는 장착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백에 마련되어, 상기 기관내 튜브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시술 및 검사 도구가 인출입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백의 기밀을 유지하며 상기 백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제3결합부 각각은 상기 기관내 튜브, 상기 호흡기용 튜브 및 상기 시술 및 검사 도구가 삽입되는 삽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시술 및 검사 도구의 삽입시, 상기 백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삽입 통로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다수로 구성되고, 다수의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삽입 통로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제1탄성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밴드는, 상기 기관내 튜브가 삽입된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관내 튜브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의 일면에는 상기 기관내 튜브의 말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커플러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의 타면에는 상기 호흡기용 튜브의 말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플러홀이 형성되며, 상기 기관내 튜브와 상기 호흡기용 튜브가 상기 커플러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제2탄성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탄성밴드는, 상기 호흡기용 튜브가 삽입된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호흡기용 튜브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호흡기용 튜브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는 백의 내부에서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기관내 튜브와 호흡기용 튜브의 선택적 결합이 이루어져서 인공 호흡이 실시되거나, 또는 기관내 튜브와 시술 및 검사 도구의 선택적 결합이 이루어져서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의 흡입이 이루어짐으로써, 환자의 인공 호흡이나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동안, 의료진과 환자를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인공 호흡을 실시하는 작동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인공 호흡을 실시하는 작동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인공 호흡을 실시하는 작동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인공 호흡을 실시하는 작동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인공 호흡을 실시하는 작동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인공 호흡을 실시하는 작동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1000a)는 백(100), 제1결합부(200), 제2결합부(300) 및 제3결합부(400)를 포함한다.
백(100)은 제1결합부(200), 제2결합부(300) 및 제3결합부(400)가 마련되는 것으로,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백(100)은 비닐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백(100)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제1결합부(200), 제2결합부(300) 및 제3결합부(400)는 각각 백(100)의 내부에 기관내 튜브(10), 호흡기용 튜브(20), 시술 및 검사 도구가 삽입되는 삽입 통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결합부(200), 제2결합부(300) 및 제3결합부(400)를 통해 백(100)의 내부에 기관내 튜브(10), 호흡기용 튜브(20), 시술 및 검사 도구가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관내 튜브(10)는 환자의 입에 삽입되는 기관삽관튜브 또는 환자의 기관의 절개구에 삽입되는 기관절개튜브일 수 있다. 또한, 호흡기용 튜브(20)는 호흡용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술 및 검사 도구는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흡입 튜브(30)일 수 있다.
제1결합부(200), 제2결합부(300) 및 제3결합부(400)는 기밀을 유지하며 백(100)에 결합된다.
제1결합부(200)는 백(100)에 마련되어, 환자의 신체에 장착된 기관내 튜브(10)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200)는 환자의 신체에 장착된 기관내 튜브(10)가 삽입되는 제1탄성밴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탄성밴드(210)는 중앙에 기관내 튜브(10)가 삽입되는 삽입 통로를 형성하는 링 형상을 가지며, 제1탄성밴드(210)의 중심축을 항해 탄성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제1탄성밴드(210)의 삽입 통로는 기관내 튜브(10)의 삽입 전, 제1탄성밴드(210)의 중심축을 향해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폐쇄되어 백(100)의 기밀을 유지하거나 또는, 기관내 튜브(10)보다 작은 직경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탄성밴드(210)는 기관내 튜브(10)의 삽입 후, 제1탄성밴드(210)의 중심축을 향해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기관내 튜브(1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확경되거나, 또는 축경된다. 그 결과, 제1탄성밴드(210)는 기관내 튜브(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백(10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제2결합부(300)는 백(100)에 마련되어, 환자의 신체에 장착된 기관내 튜브(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호흡용 공기를 제공하는 호흡기용 튜브(20)가 삽입 또는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결합부(300)는 호흡기용 튜브(20)가 삽입되는 제2탄성밴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탄성밴드(310)는 중앙에 호흡기용 튜브(20)가 삽입되는 삽입 통로를 형성하는 링 형상을 가지며, 제2탄성밴드(310)의 중심축을 항해 탄성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제2탄성밴드(310)의 삽입 통로는 호흡기용 튜브(20)의 삽입 전, 제2탄성밴드(310)의 중심축을 향해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폐쇄되어 백(100)의 기밀을 유지하거나 또는 호흡기용 튜브(20)보다 작은 직경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탄성밴드(310)는 호흡기용 튜브(20)의 삽입 후, 제2탄성밴드(310)의 중심축을 향해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호흡기용 튜브(2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확경되거나, 또는 축경된다. 그 결과, 제2탄성밴드(310)는 호흡기용 튜브(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백(10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부(200)는 백(100)에 마련되어, 기관내 튜브(10)의 외주면을 감싸는 밸크로 스트랩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300)는 백(100)에 마련되어 호흡기용 튜브(20)의 외주면을 감싸는 밸크로 스트랩이 사용될 수 있다.
제3결합부(400)는 백(100)에 마련되어, 기관내 튜브(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시술 및 검사 도구를 인출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시술 및 검사 도구는 환자의 기관에 쌓인 가래와 같은 분비물을 흡입하는 흡입 튜브(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결합부(400)는 본체(410) 및 차단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10)는 백(100)에 마련되고 차단부재(42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통로를 형성한다. 백(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본체(410)의 일면에는 예컨대, 차단부재(420)의 일측에는 덮개(411)가 개폐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 튜브(30)가 차단부재(420)로 삽입되지 않을 경우 차단부재(420)를 덮개(411)로 폐쇄함으로써, 백(100)에 수용된 공기가 차단부재(420)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차단부재(420)는 본체(410)의 삽입 통로에 시술 및 검사 도구가 삽입되는 경우 백(100)에 수용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단부재(420)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차단부재(420)는 본체(410)의 삽입 통로를 덮는 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재(420)에 시술 및 검사 도구가 관통되는 경우, 차단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차단부재(420)가 시술 및 검사 도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차단부재(420)는 시술 및 검사 도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백(10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단부재(420)는 막 형태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절개부(421)에 의해 차단부재(420)는 다수의 단위부재(422)로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차단부재(420)에 시술 및 검사 도구가 관통되는 경우, 다수의 단위부재(422)는 시술 및 검사 도구가 관통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술 및 검사 도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그 결과, 본체(410)의 삽입 통로에 시술 및 검사 도구가 인출입하여도, 다수의 단위부재(422)에 의해 백(10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차단부재(420)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차단부재(420)는 본체(410)의 출입 통로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410)의 출입 통로가 다수의 차단부재(420)에 의해 다중으로 차단됨에 따라, 본체(410)의 출입 통로에 대한 백(100)의 기밀을 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1000a)의 작동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작동예는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이송 장치에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의료진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인공 호흡을 실시하는 작동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1000a)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인공 호흡을 실시하는 작동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제1탄성밴드(210)를 통해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기관내 튜브(10)를 백(10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여기서, 제1탄성밴드(210)는 기관내 튜브(10)가 삽입되는 동안, 탄성력에 의해 기관내 튜브(1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확경되거나, 또는 축경되어, 백(10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제2탄성밴드(310)를 통해 호흡기용 튜브(20)를 백(10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여기서, 제2탄성밴드(310)는 기관내 튜브(10)가 삽입되는 동안, 탄성력에 의해 기관내 튜브(1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확경되거나, 또는 축경된다. 그 결과, 백(100)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백(100)을 오므려서 기관내 튜브(10)를 파지한 후, 기관내 튜브(10)를 호흡기용 튜브(20)에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호흡기용 튜브(20)가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기관내 튜브(10)로 인공 호흡용 공기를 공급한다.
졍리하면, 백(100)의 내부에서 기관내 튜브(10)와 호흡기용 튜브(20)가 결합되어 환자의 인공 호흡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관내 튜브(10)의 내부로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이 침투되거나, 기관내 튜브(10)의 외부로 환자의 기침에 의한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1000a)를 이용하여,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작동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제1탄성밴드(210)를 통해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기관내 튜브(10)를 백(10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여기서, 제1탄성밴드(210)는 기관내 튜브(10)가 삽입되는 동안, 탄성력에 의해 기관내 튜브(1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확경되거나, 또는 축경되어, 백(10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차단부재(420)를 통해 시술 및 검사 도구, 즉, 흡입 튜브(30)를 백(10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여기서, 차단부재(420)는 시술 및 검사 도구가 관통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술 및 검사 도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그 결과, 백(100)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백(100)을 오므려서 흡입 튜브(30)를 파지한 후, 흡입 튜브(30)를 기관내 튜브(10)로 삽입시킨다.
마지막으로, 흡입 튜브(30)가 기관내 튜브(10)를 통해 환자의 기관에 쌓인 가래와 같은 분비물을 흡입한다.
정리하면, 백(100)의 내부에서 흡입 튜브(30)가 기관내 튜브(10)로 삽입되어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의 흡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관내 튜브(10)의 내부로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이 침투되거나, 기관내 튜브(10)의 외부로 환자의 기침에 의한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1000a)는 기관내 튜브(10)가 제1결합부(200)에 장착되고, 호흡기용 튜브(20)가 제2결합부(200)에 장착되며, 흡입 튜브(30)가 제3결합부(400)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관내 튜브(10)에 호흡기용 튜브(20) 또는 흡입 튜브(3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1000b)는 백(100), 제1결합부(200), 제2결합부(300) 및 제3결합부(400)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백(100), 제2결합부(300), 제3결합부(400)와 동일하나, 제1실시예와 달리, 제1결합부(200)가 커플러(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200)는 환자의 신체에 장착된 기관내 튜브(10)가 고정되는 커플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러(220)는 기관내 튜브(10)와 호흡기용 튜브(20)를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커플러(220)의 일면은 백(100)의 외부에 배치되고, 커플러(220)의 타면은 백(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백(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커플러(220)의 일면에는 기관내 튜브(10)의 말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커플러홀(221)이 형성된다. 백(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플러(220)의 타면에는 호흡기용 튜브(20)의 말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플러홀(222)이 형성된다. 따라서, 기관내 튜브(10)와 호흡기용 튜브(20)는 커플러(220)의 제1커플러홀(221)과 제2커플러홀(222)를 통해 백(100)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제1커플러홀(221)은 기관내 튜브(10)의 말단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제2커플러홀(222)은 호흡기용 튜브(20)의 말단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커플러홀(221)에 기관내 튜브(10)의 말단이 쉽게 결합될 수 있고, 제2커플러홀(222)에 호흡기용 튜브(20)의 말단이 쉽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커플러홀(221)과 제2커플러홀(222)을 갖는 커플러(22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거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커플러홀(221)에는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1000b)의 작동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작동예는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이송 장치에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의료진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인공 호흡을 실시하는 작동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1000b)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인공 호흡을 실시하는 작동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기관내 튜브(10)를 커플러(220)의 제1커플러홀(221)에 결합시킨다. 그 결과, 커플러(220)의 제1커플러홀(221)에 기관내 튜브(10)가 결합됨과 동시에, 백(100)의 기밀이 유지된다.
다음으로,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제2탄성밴드(310)를 통해 호흡기용 튜브(20)를 백(10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여기서, 제2탄성밴드(310)는 기관내 튜브(10)가 삽입되는 동안, 탄성력에 의해 기관내 튜브(1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확경되거나, 또는 축경된다. 그 결과, 백(100)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백(100)을 오므려서 호흡기용 튜브(20)를 파지한 후, 호흡기용 튜브(20)를 커플러(220)의 제2커플러홀(222)에 결합시킨다. 그 결과, 기관내 튜브(10)와 호흡기용 튜브(20)는 커플러(220)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호흡기용 튜브(20)가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기관내 튜브(10)로 인공 호흡용 공기를 공급한다.
졍리하면, 백(100)의 내부에서 커플러(220)를 통해 기관내 튜브(10)와 호흡기용 튜브(20)가 결합되어 환자의 인공 호흡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관내 튜브(10)의 내부로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이 침투되거나, 기관내 튜브(10)의 외부로 환자의 기침에 의한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1000b)를 이용하여,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작동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기관내 튜브(10)를 커플러(220)의 제1커플러홀(221)에 결합시킨다. 그 결과, 커플러(220)의 제1커플러홀(221)에 기관내 튜브(10)가 결합됨과 동시에, 백(100)의 기밀이 유지된다.
다음으로,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차단부재(420)를 통해 시술 및 검사 도구, 즉, 흡입 튜브(30)를 백(10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여기서, 차단부재(420)는 시술 및 검사 도구가 관통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술 및 검사 도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그 결과, 백(100)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백(100)을 오므려서 흡입 튜브(30)를 파지한 후, 흡입 튜브(30)를 커플러(220)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다시, 흡입 튜브(30)를 기관내 튜브(10)로 삽입시킨다.
마지막으로, 흡입 튜브(30)가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기관내 튜브(10)를 통해 환자의 기관에 쌓인 가래와 같은 분비물을 흡입한다.
정리하면, 백(100)의 내부에서 흡입 튜브(30)가 기관내 튜브(10)로 삽입되어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의 흡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관내 튜브(10)의 내부로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이 침투되거나, 기관내 튜브(10)의 외부로 환자의 기침에 의한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1000c)는 백(100), 제1결합부(200), 제2결합부(300) 및 제3결합부(400)를 포함한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의 백(100), 제1결합부(200) 및 제3결합부(400)와 동일하나, 제2실시예와 달리, 제2결합부(300)가 커넥터(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결합부(300)는 호흡기용 튜브(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320)는 호흡기용 튜브(20)의 말단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다.
나아가, 커넥터(320)의 일면은 백(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커넥터(320)의 타면은 백(100)의 외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백(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커넥터(320)의 타면에는 호흡기용 튜브(20)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인공 호흡이 필요한 경우에는 백(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넥터(320)의 일면을 커플러(220)의 제2커플러홀(222)에 결합시켜서, 환자의 인공 호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 작동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1000c)의 작동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작동예는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이송 장치에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의료진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인공 호흡을 실시하는 작동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1000c)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인공 호흡을 실시하는 작동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기관내 튜브(10)를 커플러(220)의 제1커플러홀(221)에 결합시킨다. 그 결과, 커플러(220)의 제1커플러홀(221)에 기관내 튜브(10)가 결합됨과 동시에, 백(100)의 기밀이 유지된다.
다음으로,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호흡기용 튜브(20)를 백(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커넥터(320)의 타면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백(100)을 오므려서 커넥터(320)를 파지한 후, 백(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넥터(320)의 일면을 커플러(220)의 제2커플러홀(222)에 결합시킨다. 그 결과, 기관내 튜브(10)와 호흡기용 튜브(20)는 커넥터(320)와 커플러(220)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호흡기용 튜브(20)가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기관내 튜브(10)로 인공 호흡용 공기를 공급한다.
졍리하면, 백(100)의 내부에서 커넥터(320)와 커플러(220)를 통해 기관내 튜브(10)와 호흡기용 튜브(20)가 결합되어 환자의 인공 호흡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관내 튜브(10)의 내부로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이 침투되거나, 기관내 튜브(10)의 외부로 환자의 기침에 의한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1000c)를 이용하여,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을 흡입하는 작동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기관내 튜브(10)를 커플러(220)의 제1커플러홀(221)에 결합시킨다. 그 결과, 커플러(220)의 제1커플러홀(221)에 기관내 튜브(10)가 결합됨과 동시에, 백(100)의 기밀이 유지된다.
다음으로,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차단부재(420)를 통해 시술 및 검사 도구, 즉, 흡입 튜브(30)를 백(10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여기서, 차단부재(420)는 시술 및 검사 도구가 관통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술 및 검사 도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그 결과, 백(100)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진이나 이송 장치가 백(100)을 오므려서 흡입 튜브(30)를 파지한 후, 흡입 튜브(30)를 커플러(220)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다시, 흡입 튜브(30)를 기관내 튜브(10)로 삽입시킨다.
마지막으로, 흡입 튜브(30)가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기관내 튜브(10)를 통해 환자의 기관에 쌓인 가래와 같은 분비물을 흡입한다.
정리하면, 백(100)의 내부에서 흡입 튜브(30)가 기관내 튜브(10)로 삽입되어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의 흡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관내 튜브(10)의 내부로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이 침투되거나, 기관내 튜브(10)의 외부로 환자의 기침에 의한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는 백(100)의 내부에서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기관내 튜브(10)와 호흡기용 튜브(20)의 선택적 결합이 이루어져서 인공 호흡이 실시되거나, 또는 기관내 튜브(10)와 시술 및 검사 도구의 선택적 결합이 이루어져서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의 흡입이 이루어짐으로써, 환자의 인공 호흡이나 환자의 기관에 쌓인 분비물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동안, 의료진과 환자를 비말이나 비말핵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기관내 튜브
20 : 호흡기용 튜브
30 : 흡입 튜브
1000a, 1000b, 1000c :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100 : 백
200 : 제1결합부
210 : 제1탄성밴드
220 : 커플러
221 : 제1커플러홀
222 : 제2커플러홀
300 : 제2결합부
310 : 제2탄성밴드
320 : 커넥터
400 : 제3결합부
410 : 본체
411 : 덮개
420 : 차단부재
421 : 절개부
20 : 호흡기용 튜브
30 : 흡입 튜브
1000a, 1000b, 1000c :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100 : 백
200 : 제1결합부
210 : 제1탄성밴드
220 : 커플러
221 : 제1커플러홀
222 : 제2커플러홀
300 : 제2결합부
310 : 제2탄성밴드
320 : 커넥터
400 : 제3결합부
410 : 본체
411 : 덮개
420 : 차단부재
421 : 절개부
Claims (10)
- 백;
상기 백에 마련되어, 환자의 신체에 장착된 기관내 튜브가 고정되는 제1결합부;
상기 백에 마련되어, 상기 기관내 튜브에 결합되어 호흡용 공기를 제공하는 호흡기용 튜브가 삽입 또는 장착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백에 마련되어, 상기 기관내 튜브에 결합되는 시술 및 검사 도구가 인출입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백의 기밀을 유지하며 상기 백에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제3결합부 각각은 상기 기관내 튜브, 상기 호흡기용 튜브, 상기 시술 및 검사 도구가 삽입되는 삽입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삽입 통로의 중심축을 향해 탄성력이 발생하는 제1탄성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삽입 통로의 중심축을 향해 탄성력이 발생하는 제2탄성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삽입 통로를 막 형태로 덮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시술 및 검사 도구의 삽입시, 상기 백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삽입 통로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다수로 구성되고,
다수의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삽입 통로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밴드는,
상기 기관내 튜브가 삽입된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관내 튜브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밴드는,
상기 호흡기용 튜브가 삽입된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호흡기용 튜브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1319A KR102567681B1 (ko) | 2020-11-26 | 2020-11-26 |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PCT/KR2021/009529 WO2022114443A1 (ko) | 2020-11-26 | 2021-07-23 |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KR1020230103914A KR102681277B1 (ko) | 2020-11-26 | 2023-08-09 |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1319A KR102567681B1 (ko) | 2020-11-26 | 2020-11-26 |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03914A Division KR102681277B1 (ko) | 2020-11-26 | 2023-08-09 |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3336A KR20220073336A (ko) | 2022-06-03 |
KR102567681B1 true KR102567681B1 (ko) | 2023-08-16 |
Family
ID=817546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1319A KR102567681B1 (ko) | 2020-11-26 | 2020-11-26 |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KR1020230103914A KR102681277B1 (ko) | 2020-11-26 | 2023-08-09 |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03914A KR102681277B1 (ko) | 2020-11-26 | 2023-08-09 |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2567681B1 (ko) |
WO (1) | WO2022114443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530210A (ja) | 2004-03-31 | 2007-11-01 | フィッシャー アンド ペイケル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 患者の換気/吸引システム |
JP2010000140A (ja) | 2008-06-18 | 2010-01-07 | Tokunaga Soki Kenkyusho:Kk | 吸引用気管内チューブ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6827Y2 (ja) * | 1990-05-31 | 1994-09-28 | 株式会社メディス | 点滴装置用汚染防止袋 |
KR101202489B1 (ko) * | 2011-07-15 | 2012-11-16 | 김동호 | 적출물의 분쇄가 용이한 엔도백 |
KR101341353B1 (ko) * | 2012-01-30 | 2013-12-18 | 전덕규 |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 |
DE102012006396A1 (de) | 2012-03-29 | 2013-10-02 | Willy Rüsch GmbH | Tracheostomietubus |
KR101554812B1 (ko) * | 2014-02-12 | 2015-10-07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감염성 물질 제거 장치 |
US20150352303A1 (en) * | 2014-06-05 | 2015-12-10 | Grant Godwin | Device having manual resuscitation and suction capabilities |
JP3229195U (ja) * | 2020-06-11 | 2020-12-03 | 茨城県 | 内視鏡用飛沫エアロゾル飛散防止装置 |
-
2020
- 2020-11-26 KR KR1020200161319A patent/KR10256768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7-23 WO PCT/KR2021/009529 patent/WO202211444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
- 2023-08-09 KR KR1020230103914A patent/KR102681277B1/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530210A (ja) | 2004-03-31 | 2007-11-01 | フィッシャー アンド ペイケル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 患者の換気/吸引システム |
JP2010000140A (ja) | 2008-06-18 | 2010-01-07 | Tokunaga Soki Kenkyusho:Kk | 吸引用気管内チューブ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3229195 U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1277B1 (ko) | 2024-07-02 |
KR20230121977A (ko) | 2023-08-22 |
KR20220073336A (ko) | 2022-06-03 |
WO2022114443A1 (ko) | 2022-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57725B2 (en) | Patient ventilating and aspirating system | |
EP1478424B1 (en) | Heat and moisture exchanger adapter for closed suction catheter assembly and system having improved catheter cleaning | |
US5333606A (en) | Method for using a respirator accessory access port and adaptor therefore | |
US5628306A (en) | Respiratory manifold with accessory access port | |
US8535265B2 (en) | Tracheal catheter with suction lumen port in close proximity to the cuff | |
JP2008520290A (ja) | 分泌物を除去する換気用カテーテルおよび気道確保システム | |
MX2015003803A (es) | Mecanismo de tolerancia para sonda traqueal de colocacion automatica que utiliza recortes. | |
US20150352303A1 (en) | Device having manual resuscitation and suction capabilities | |
CN104010687B (zh) | 用于呼吸道入口的离合制动组件 | |
KR102567681B1 (ko) |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 |
JP2023528044A (ja) | 医療用換気マスク | |
GB2446577A (en) | Airway access valve | |
JP7078957B2 (ja) | 側孔が開閉自由な気管切開チューブ | |
CN212118730U (zh) | 一次性气管插管防护头套 | |
US20220040429A1 (en) | Airway management system with selectively pressurized val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