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479B1 - Non-woven fabric recycling device and recycling method - Google Patents

Non-woven fabric recycling device and recycl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479B1
KR102410479B1 KR1020200177188A KR20200177188A KR102410479B1 KR 102410479 B1 KR102410479 B1 KR 102410479B1 KR 1020200177188 A KR1020200177188 A KR 1020200177188A KR 20200177188 A KR20200177188 A KR 20200177188A KR 102410479 B1 KR102410479 B1 KR 102410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filtering
pulv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1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플러스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플러스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플러스컴텍
Priority to KR1020200177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4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4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1/00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3/00Mixing, e.g. blending, fibres; Mixing non-fibrous materials with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5/00Separating, e.g. sorting,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7/00Breaking or opening fibre bales
    • D01G7/06Details of apparatus or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74Rags; Fabric sc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부직포 재활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 재활용장치는, 폐부직포 분쇄체가 충진제와 함께 물에 분산, 혼합되어 폐부직포 혼합물이 형성되는 배합조; 상기 배합조로부터 폐부직포 혼합물을 공급받아 상기 폐부직포 혼합물 중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를 설정 사이즈를 기준으로 필터링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부; 상기 필터링부를 거친 폐부직포 혼합물에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와 상기 충진제를 응집시키는 정착제를 공급하여 원료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착제 첨가부; 및 상기 원료를 공급받아 재활용 부직포를 형성하되, 거름조 본체와, 상기 원료가 이송되는 원료공급배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거름조 본체 내부로 상기 원료를 분사하는 원료분사노즐과, 상기 원료공급배관 내로 압축공기를 제공하여 원료가 원료분사노즐을 통해 고압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구비하는 거름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부직포 분쇄체를 충진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형성한 부직포 혼합물에 정착제를 첨가한 후 거름조에 공급하여 배수 과정을 통해 부직포 재활용 부직포를 얻으므로 종래의 기술에 비해 공정이 단순하고 그에 따라 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Disclosed is a nonwoven recycling device. The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ixing tank in which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material is dispersed and mixed in water together with a filler to form a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at least one filtering unit capable of receiving the waste nonwoven mixture from the mixing tank and filtering the waste nonwoven pulverized body of the closed nonwoven mixture based on a set size; at least one fixing agent adding unit for forming a raw material by supplying a fixing agent for agglomeration of the crushed waste non-woven fabric and the filler to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ing part; And receiving the raw material to form a recycled nonwoven fabric, the filter body, and a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provided at the end of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to which the raw material is transferred and spraying the raw material into the filtering tank body, into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rainer having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that provides compressed air to enable high-pressure injection of the raw material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nonwoven fabric recycled through a drainage process is obtained through a drainage process by adding a fixative to a nonwoven fabric mixture formed by mixing a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with a filler in water, and then supplying it to a sieve, the process is simpler than in the prior art and thus can reduce costs and improve productivity.

Figure R1020200177188
Figure R1020200177188

Description

부직포 재활용장치 및 재활용방법{Non-woven fabric recycling device and recycling method}Non-woven fabric recycling device and recycling method

본 발명은 습식 공정을 통해 폐부직포를 이용하여 재활용 부직포를 생산하되 생산물인 재활용 부직포의 표면조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부직포 재활용장치 및 재활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and recycling method capable of producing a recycled nonwoven fabric using a waste nonwoven fabric through a wet process and variably controll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product.

일반적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부직포는 그 종류 또한 다양하다. 통상적으로, 이 같은 부직포는 천연, 또는 화학, 유리 등의 각종 섬유소재를 상호 간에 일정한 방향성이 없이 엉키게 하여 시트 형태의 웹을 형성한 다음 이를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결합한 후 안정화 시켜서 종이나 천과 같은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예컨대, 이와 같은 부직포는 외관, 두께, 강도, 무게 및 촉감을 다양하게 취할 수 있고, 탄력성이 충분하여 주름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음은 물론, 보온성, 흡수성, 발수성, 절연성, 전도성, 통기성이 우수하여 여러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types of nonwoven fabrics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re also diverse. In general, such a nonwoven fabric forms a sheet-shaped web by tangling various fiber materials, such as natural or chemical, glass, etc., with each other without a certain direction, and then combines them with a chemical or physical method and stabilizes the paper or cloth. It is manufactured in the same form as For example, such a nonwoven fabric can take a variety of appearance, thickness, strength, weight and feel, and has sufficient elasticity to not cause wrinkles, as well as excellent heat retention, water absorption, water repellency, insulation, conductivity, and breathability. Therefore,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es.

폐부직포를 이용하여 재활용 부직포를 생산하는 기술과 관련된 선행특허문헌으로서, 등록특허 제10-0974173호에는 폐부직포를 절단장치에서 커팅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저장수단에 절단된 폐부직포를 일시 저장해 두었다가 에러레이드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와 일정한 양으로 폐부직포를 에어를 이용하여 살포하며, 이때 별도의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저융점 섬유와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섬유가 카딩기에 의해 적층되면 니들펀칭장치를 이용하여 니들펀칭하여 고온의 온도를 갖는 가압수단으로 압력을 가하여 압착하여 재활용 부직포를 생산하는 공정이 기재되어 있다.As a prior patent document related to the technology of producing recycled nonwovens using waste nonwovens, registered patent No. 10-0974173 discloses that the waste nonwovens are cut by a cutting device and cut to a certain size, and then the cut waste nonwovens are temporarily stored in a storage means. After leav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is sprayed with air in a certain thickness and in a certain amount using an error-laid. A process for producing a recycled nonwoven fabric by applying pressure with a pressurizing means having a high temperature by using needle punching and pressing is described.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재활용 부직포 제조기술은 재활용하기 위해 절단된 섬유(Recycled Short cut fiber)로 인해 작업 환경을 악화시킬 뿐 아니라, 특히 작업자 호흡기에 들어가 건강에 해를 끼치기 때문에 작업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recycled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technology tends to be reluctant to work because it not only deteriorates the working environment due to recycled short cut fibers, but also harms the health of workers by entering the respiratory tract.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습식 공정을 통해 부직포를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된 재활용 부직포의 표면 조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다양한 사용조건에 부합할 수 있는 다양한 스펙의 재활용 부직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재활용 방식을 제안하는 바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can not only recycle the nonwoven fabric through a wet process to solve this disadvantage, but also variably control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manufactured recycled nonwoven fabric, so that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of various specifications can meet various usage conditions We propose a recycling method of a new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4173호 (2010. 08. 05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74173 (Announcement on Aug. 05, 201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습식 공정을 적용하여 부직포를 재활용함으로써 건식공정에 비해 작업 환경 오염을 저감할 수 있고, 제조된 재활용 부직포의 표면 조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사용조건에 부합할 수 있는 다양한 스펙의 재활용 부직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부직포 재활용장치 및 재활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by recycling the nonwoven fabric by applying the wet proces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llu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compared to the dry process, and by variably adjust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manufactured recycled nonwoven fabri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and a recycling method that can easily manufacture recycled nonwoven fabrics of various specifications that can meet various usage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은 폐부직포 분쇄체, 충진제, 정착제 및 물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원료를 고압으로 분사함으로써 재활용 부직포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균일한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공간 내에서 균일한 원료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활용 부직포의 제조 효율을 증대하고 불량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부직포 재활용장치 및 재활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aw material composed of a mixture of a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a filler, a fixing agent, and water is sprayed at high pressure so that a uniform spray can be made into a space where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is formed, and eventually uniform in the spac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and a recycling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y dispersing the raw material and reducing the occurrence of defect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폐부직포 분쇄체가 충진제와 함께 물에 분산, 혼합되어 폐부직포 혼합물이 형성되는 배합조; 상기 배합조로부터 폐부직포 혼합물을 공급받아 상기 폐부직포 혼합물 중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를 설정 사이즈를 기준으로 필터링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부; 상기 필터링부를 거친 폐부직포 혼합물에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와 상기 충진제를 응집시키는 정착제를 공급하여 원료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착제 첨가부; 및 상기 원료를 공급받아 재활용 부직포를 형성하되, 거름조 본체와, 상기 원료가 이송되는 원료공급배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거름조 본체 내부로 상기 원료를 분사하는 원료분사노즐과, 상기 원료공급배관 내로 압축공기를 제공하여 원료가 원료분사노즐을 통해 고압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구비하는 거름조를 포함하는 부직포 재활용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is dispersed and mixed in water together with a filler to form a blending tank to form a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at least one filtering unit capable of receiving the waste nonwoven mixture from the mixing tank and filtering the waste nonwoven pulverized body of the closed nonwoven mixture based on a set size; at least one fixing agent adding unit for forming a raw material by supplying a fixing agent for agglomeration of the crushed waste non-woven fabric and the filler to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ing part; And receiving the raw material to form a recycled nonwoven fabric, the filter body, and a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provided at the end of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to which the raw material is transferred and spraying the raw material into the filtering tank body, into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There is provided a nonwoven recycling apparatus including a sieve having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that provides compressed air to enable high-pressure injection of raw materials through a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상기 원료공급배관 상에 마련되어 상기 원료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및a flow meter provided on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raw material; and

상기 유량계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원료분사노즐 측으로의 압축공기 공급 상태를 조절 가능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flow meter to adjust the compressed air supply state to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side.

상기 거름조는, 상기 원료에서 폐부직포 분쇄체와 충진제의 응집물을 제외한 물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거름조 본체 내에 마련되는 거름망; 및 상기 거름망 상부에 잔재하는 상기 응집물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거름조 본체에 대해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응집물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eve includes: a sieve provided in the sieve body to pass water excluding the aggregate of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and the filler from the raw material; And it may include an aggregate conveying unit for laterally pressing the aggregate remaining on the upper part of the sieve and discharging to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sieve body.

상기 거름조 본체에는 상기 응집물이 측방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응집물 이송부는, 상기 응집물과 접촉 가능한 푸시플레이트와, 상기 푸시플레이트를 상기 배출구 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rainer body is provided with an outlet so that the aggregate is discharged laterally, and the aggregate transfer unit may include a push plate contactable with the aggregate, and an actuator for reciprocally moving the push plate toward the outlet.

상기 폐부직포 혼합물의 형성 과정에서 상기 배합조 내부, 배합조 주변에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generated in the mixing tank and around the mixing tank during the formation of the waste nonwoven mixture.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부는 상기 배합조와 상기 정착제 첨가부 사이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마련되며, 각각의 필터링부에서 필터링되는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의 설정 사이즈는 서로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At least two or more of the at least one filtering unit are provided between the mixing tank and the fixing agent adding unit, and the set size of the waste nonwoven pulverized body filtered by each filtering uni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an be variably adjusted. .

상기 필터링부는, 상부에 폐부직포 혼합물 공급구가 마련되는 필터링 챔버; 상기 필터링 챔버에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를 설정 사이즈에 따라 필터링하여 거르는 필터; 및 상기 필터링 챔버에 수용된 폐부직포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ing unit may include: a filtering chamber provided with a waste non-woven mixture supply port thereon; a filter provided to be replaceable in the filtering chamber and filter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according to a set size; And it may include a stirrer for stirring the waste non-woven mixture accommodated in the filtering chamb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폐부직포를 분쇄하여 폐부직포 분쇄체를 얻는 폐부직포 분쇄단계; (b)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를 충진제와 함께 배합조에서 물에 분산, 혼합하여 폐부직포 혼합물을 얻는 재료 배합단계; (c) 상기 폐부직포 혼합물 중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를 설정 사이즈를 기준으로 필터링하여 설정 사이즈 이상의 폐부직포 분쇄체와 설정 사이즈 미만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분리하는 재료 필터링단계; (d) 상기 설정 사이즈 미만의 폐부직포 분쇄체, 물 및 충진제의 폐부직포 혼합물에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와 상기 충진제를 응집시키는 정착제를 공급하여 원료를 형성하는 정착제 첨가단계; 및 (e) 상기 원료를 이용하여 재활용 부직포를 형성하되, 거름망이 구비된 거름조 본체 내부로 상기 원료를 압축공기와 같이 고압 분사한 후, 상기 물을 제외한 나머지 폐부직포 분쇄체와 충진제의 응집물이 상기 거름망 상부에 잔재한 상태에서 진공 탈수하여 재활용 부직포를 형성하는 재활용 부직포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부직포 재활용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comprising: (a) pulverizing a waste nonwoven fabric to obtain a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b) a material mixing step of dispersing and mixing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together with a filler in water in a mixing tank to obtain a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c) a material filtering step of filtering the pulverized closed nonwoven fabric of the closed nonwoven fabric mixture based on a set size to separate the pulverized closed nonwoven fabric having a size larger than a set size and a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smaller than a set size; (d) adding a fixing agent to form a raw material by supplying a fixing agent for agglomeration of the crushed waste nonwoven fabric and the filler to the waste nonwoven mixture of the waste nonwoven fabric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set size, water, and a filler; and (e) using the raw material to form a recycled nonwoven fabric, but after the raw material is sprayed at high pressure like compressed air into the main body of a sieve equipped with a sieve, the aggregate of the remaining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and filler except for the water There is provided a non-woven fabric recycling method comprising a recycled non-woven fabric forming step of vacuum dehydration in a state remaining on the sieve to form a recycled non-woven fabric.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거름조 본체로의 원료 이송경로인 원료공급배관 내의 원료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유량 측정값에 따라 상기 원료를 거름조 본체 내로 고압 분사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In step (e), the flow rate of the raw material in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which is the raw material transport path to the filter body, is measured, and the compressed air supply state for high-pressure injection of the raw material into the filter bod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flow rate measurement value. can

상기 (e)단계는, (e1) 상기 거름망 상부에 잔재하는 상기 응집물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거름조 본체에 대해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단계; (e2) 상기 거름조 본체로부터 배출된 응집물을 압축하여 탈수하는 단계; 및 (e3) 상기 (e2)단계를 거친 응집물을 고온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e) comprises the steps of: (e1) pressing the aggregate remaining on the upper part of the sieve to the side and discharging it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sieve body; (e2) dehydrating by compressing the aggregate discharged from the filter body; and (e3) drying the agglomerate that has undergone the step (e2) at a high temperature.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폐부직포 혼합물의 형성 과정에서 상기 배합조 내부, 배합조 주변에 발생하는 분진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step (b), the dust generated in the mixing tank and around the mixing tank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may be removed.

상기 (c)단계는, (c1) 상기 (b)단계의 폐부직포 혼합물 중 제1 설정 사이즈 이상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링하여 거르는 제1 재료 필터링단계; 및 (c2) 상기 (c1)단계를 거친 폐부직포 혼합물 중 제2 설정 사이즈 이상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링하여 거르는 제2 재료 필터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설정 사이즈는 제1 설정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The step (c) includes: (c1) a first material filtering step of filtering and filtering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having a size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set size amo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of step (b); and (c2) a second material filtering step of filtering and filtering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having a siz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set size amo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that has passed through step (c1), wherein the second set size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set size. hav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부직포 재활용장치 및 재활용방법에 의하면, 폐부직포 분쇄체를 충진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형성한 부직포 혼합물에 정착제를 첨가한 후 거름조에 공급하여 배수 과정을 통해 부직포 재활용 부직포를 얻으므로 종래의 기술에 비해 공정이 단순하고 그에 따라 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and recycl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fixing agent is added to a nonwoven fabric mixture formed by mixing a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with a filler in water, and then supplied to a sieve to produce a nonwoven recycled nonwoven fabric through a drainage process. Therefore, the process is simple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thus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또한, 폐부직포 혼합물을 거름조로 공급하기 전에 폐부직포 분쇄체를 설정 사이즈를 기준으로 필터링하여 설정된 입자 사이즈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이용하여 재활용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재활용 부직포의 표면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can be adjusted by filter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based on the set size before supply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to the sieve tank and manufacturing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us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having a set particle size.

또한,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최종 산물인 재활용 부직포의 설정 표면조도 변경시 이에 대응하여 필터를 교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 부직포의 표면조도를 용이하게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필터링부의 필터에 걸러진 폐부직포 분쇄체를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for filter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replaced, so when the set surface roughness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which is the final product, is changed, the filter can be replaced and used, so that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can be easily and variably adjusted. Also, since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filtered by the filter of the filtering unit can be recycled, material waste can be minimized.

또한, 폐부직포 분쇄체를 충진제가 함께 물에 분산, 혼합하는 과정과 동시에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분진 발생에 의한 작업장 오염과 작업자의 건강 악화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cess of dispersing and mix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with the filler in water and removing the dust generated at the same time as the process is mad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deterioration of the health of the workers due to dust generation as much as possible.

또한, 연료분사노즐에 압축공기를 제공하여 연료를 거름조 내로 고압 분사함으로써 결국 거름조 내에서 연료의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활용 부직포의 제조 효율을 증대시키고 불량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compressed air is provided to the fuel injection nozzle to inject the fuel into the sieve at high pressure, so that the fuel is uniformly dispersed in the sieve, thereb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and reducing the occurrence of defects.

또한, 유량계의 감지값을 기반으로 원료분사노즐 측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량, 유속을 조절함에 따라, 원료공급배관 내의 원료 유량에 관계없이 원료분사노즐을 통해 원료가 항시 일정한 분사압을 갖는 상태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are adjusted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flow meter, the raw material always has a constant injection pressure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regardless of the raw material flow rate in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can be spray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재활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재활용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재활용장치의 거름조에서 진공 탈수가 진행될 때의 거름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재활용장치의 거름조에서 진공 탈수가 이루어진 후 재활용 부직포를 측방으로 배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재활용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nonwoven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filter tank when vacuum dehydration proceeds in the filter tank of the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discharging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to the side after vacuum dehydration is made in the strainer of the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flowchart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nonwoven fabric recyc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ompletely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재활용장치 및 재활용방법은 폐부직포를 습식 재활용 공정을 이용하여 재활용 부직포를 생산하는 것으로서, 반도체 웨이퍼, 반도체 웨이퍼를 로딩, 언로딩하는 그리퍼를 포함하는 반도체 기기의 표면 파티클 제거용 세척부재로서의 재활용 부직포를 생산 가능하며, 생산물인 재활용 부직포의 표면 조도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세척 대상체에 따라 바람직한 표면 조도를 갖는 재활용 부직포를 다양하게 생산할 수 있다.A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and a recycl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 a recycled nonwoven fabric by using a wet recycling process for a waste nonwoven fabric. The surface of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semiconductor wafer and a gripper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semiconductor wafer It is possible to produce a recycled nonwoven fabric as a cleaning member for removing particles, and it is made to variably control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which is a product, so that it is possible to variously produce a recycled nonwoven fabric having a desired surface roughness according to the object to be cleaned.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재활용장치는 배합조(100), 필터링부(200), 정착제 첨가부(300) 및 거름조(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xing tank 100 , a filtering unit 200 , a fixing agent adding unit 300 and a filtering tank 400 .

먼저, 배합조(100)는 폐부직포 분쇄체가 충진제와 함께 물에 분산, 혼합되어 폐부직포 혼합물(A)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균일한 혼합을 위해 별도의 배합조 교반기(110)가 마련된다.First, in the blending tank 100,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is dispersed and mixed in water together with the filler to form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A), and a separate blending tank stirrer 110 is provided for uniform mixing.

폐부직포 분쇄체들은 부직포 제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직포 스크랩(scrap) 또는 부직포 폐기물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분쇄하여 얻은 것으로서, 성상이 동일한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폐부직포 분쇄체는 10mm 이하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제로는 폐부직포 분쇄체들의 결합 및 물성 조절을 위한 수지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성 충진제가 이용된다. 배합조(100)에서는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폐부직포 분쇄체와 충진제가 공급되고, 물에 공급된 폐부직포 분쇄체와 충진제는 배합조 교반기(110)에 의해 물에 고르게 분산되고 혼합된다.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is obtained by finely pulverizing non-woven fabric scrap or non-woven fabric waste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non-woven fabric product using a pulverizer. It is desirable to have a length. As the filler, various functional fillers including a resin material for bonding and controll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s are used. In the mixing tank 100 ,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and the filler are supplied in a state of being filled with water, and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and the filler supplied to the water are uniformly dispersed and mixed in the water by the blending tank stirrer 110 .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합조(10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합조 물공급부(120)는 지하수를 흡입하는 지하수 펌프(121), 지하수 펌프로부터 제공받은 지하수를 저장하는 지하수 탱크(122), 지하수 탱크(122)와 배합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지하수 공급배관(123) 상에 마련되는 밸브(12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mixing tank water supply unit 120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mixing tank 100 includes a groundwater pump 121 that sucks groundwater, and a groundwater tank 122 that stores groundwater provided from the groundwater pump. ), and a valve 124 provided on the groundwater supply pipe 123 connecting between the groundwater tank 122 and the mixing tank 100 .

배합조(100)에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레벨센서(미도시)가 마련되며, 제어부는 수위레벨센서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밸브(124)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다.The mixing tank 100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stored water,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ning of the valve 124 by receiving the detected value of the water level level sensor.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배합조(100)에서는 미세한 입자 사이즈의 폐부직포 분쇄체가 충진제와 함께 물에 분산, 혼합되어 폐부직포 혼합물(A)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mixing tank 100 as described above,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having a fine particle size is dispersed and mixed in water together with the filler to generate dust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A).

이러한 분진은 배합조(100) 내부, 배합조 주변에 발생하게 되며, 분진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작업장의 오염 발생과 더불어 작업자의 호흡에 의한 흡입에 의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Such dust is generated inside the mixing tank 100 and around the mixing tank, and if the dust is not removed, it adversely affects the health by inhalation by the worker's breathing as well as the generation of contamination in the workplac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집진기(130)가 마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dust collector 130 for removing dust is provided as shown in FIG. 1 to prevent such a problem from occurring.

관련 도면에서, 집진기(130)는 배합조(100)의 상측 개구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합조(100)는 그 자체로 상측이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집진기(130)는 배합조(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미세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In the related drawings, the dust collector 130 is shown as being provided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mixing tank 100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ixing tank 100 itself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ide is closed. The dust collector 130 may be installed in a structure capable of sucking and removing fine dust generated inside the mixing tank 100 .

다음, 필터링부(200)는 배합조(100)로부터 폐부직포 혼합물(A)을 공급받아 폐부직포 혼합물 중 폐부직포 분쇄체를 설정 사이즈를 기준으로 필터링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된다. 배합조(100)와 필터링부(200)는 배관(210)을 통해 연결되며, 이러한 배관(210)에는 폐부직포 혼합물(A)의 공급을 위해 별도의 이송펌프 및 유동 제어를 위한 밸브가 마련된다.Next, at least one filtering unit 200 is provided to receive the waste nonwoven mixture (A) from the mixing tank 100 and filter the waste nonwoven pulverized body among the closed nonwoven mixtures based on a set size. The mixing tank 100 and the filtering unit 200 are connected through a pipe 210, and a separate transfer pump and a valve for flow control are provided in this pipe 210 for supply of the waste nonwoven mixture (A). .

한편, 상기 '설정 사이즈를 기준으로 필터링'하는 것은 후술하는 거름조(400)에서 형성되는 재활용 부직포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활용 부직포는 반도체 기기의 표면 파티클 제거용 세척부재로서 활용되는바 이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사이즈 이하의 폐부직포 분쇄체만 후공정으로 이동하도록 필터링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ing based on the set size' is for adjust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formed in the sieving tank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is the semiconductor device. It is used as a cleaning member for removing surface particles, and only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of the size set to correspond to this is filtered to move to the post-process.

최종적으로 생산하고자 하는 재활용 부직포(B)의 표면 조도에 따라 필터링부(200)에서 필터링되는 폐부직포 분쇄체의 설정 사이즈는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며, 이에 따라 원하는 재활용 부직포의 표면조도를 다양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가변적인 조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The set size of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filtered by the filtering unit 200 can be varia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to be finally produced, and thus the desired surface roughness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can be varied and easily adjusted. can be chang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variable regul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필터링부(200)는 배합조(100)와 후술하는 정착제 첨가부(300) 사이에 적어도 1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지만,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filtering unit 2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ixing tank 100 and the fixing agent addit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bu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t least two or more. .

부연하자면,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재활용 부직포(B)의 표면 조도가 일정이상 작은 경우, 이에 대응하여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링하고자 하는 설정 사이즈가 작게 설정되는 바 1회의 필터링으로 이러한 폐부직포 분쇄체를 효율적으로 필터링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필터링되어야 하지만 주변의 상대적으로 큰 입자 사이즈의 폐부직포 분쇄체에 의해 필터링이 방해되어 필터링되지 못하는 입자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어도 2회의 필터링 과정을 거쳐 원하는 입자 사이즈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신속하면서 효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whe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finally produced recycled nonwoven fabric (B) is smaller than a certain level, the set size for filter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is set to be small in response to this, and the waste nonwoven fabric can be efficiently removed by one filtering. There may be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filter by . That is, although filtering is required, since filtering may be disturbed by the surrounding pulverized non-woven fabric of a relatively large particle size, and thus particles that cannot be filtered may occur,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of the desired particle size can be quickly produced through at least two filtering processes. It is desirable to enable efficient filterin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링부(200)가 배합조(100)와 후술하는 정착제 첨가부(300) 사이에 제1 필터링부(220)와 제2 필터링부(230)를 포함하여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필터링부에서 필터링되는 폐부직포 분쇄체의 설정 사이즈는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폐부직포 혼합물의 공급 경로상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제2 필터링부(230)는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제1 필터링부(22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 사이즈(설정 사이즈)를 갖는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설명 및 도시의 편의를 위해 필터링부(200)가 일 예로 2개로 마련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 , the filtering unit 200 includes at least a first filtering unit 220 and a second filtering unit 230 between the mixing tank 100 and a fixing agent add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ase of providing two or 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 sizes of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s filtered by each filtering uni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second filtering unit 230 located at the relatively rear side on the supply path of the closed non-woven fabric mixture has a relatively smaller particle size (set size) than the first filtering unit 220 located at the relatively front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ste non-woven fabric is made to be able to filter the pulverized body.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 case in which two filtering units 200 are provided as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필터링부(220)는 배합조(100)로부터 공급되는 폐부직포 혼합물 중 제1 설정 사이즈 이상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링하여 거르고 상기 제1 설정 사이즈 미만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포함하는 폐부직포 혼합물을 후공정으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필터링 챔버(221), 필터(224) 및 교반기(225)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ltering unit 220 filters and filters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having a size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set size amo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supplied from the mixing tank 100, and pulverizes the waste nonwoven fabric smaller than the first set size. As a post-process to provide a waste nonwoven mixture including a sieve, it includes a filtering chamber 221 , a filter 224 , and a stirrer 225 .

먼저, 필터링 챔버(221)는 배합조(100)로부터 배관을 통해 폐부직포 혼합물을 공급받아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폐부직포 혼합물 공급구(222)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폐부직포 혼합물 배출구(223)가 마련된다.First, the filtering chamber 221 has an internal space to receive and accommodate the waste nonwoven mixture supplied from the mixing tank 100 through the pipe, the waste nonwoven mixture supply port 222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and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outlet port ( 223) is provided.

관련 도면에는 필터링 챔버(221)의 상측이 개구된 구조로 도시되어 개구부가 폐부직포 혼합물 공급구(222)로 기능하지만, 도시된 형상과 다르게 필터링 챔버(221)의 상측 개구는 커버에 의해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폐부직포 혼합물 공급구(222)는 상기 커버에 마련될 수 있다.In the related drawings, the upper side of the filtering chamber 221 is shown as an open structure, so that the opening functions as the closed nonwoven mixture supply port 222. However, unlike the illustrated shape, the upper opening of the filtering chamber 221 is closed by a cover. In this case,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supply port 222 may be provided in the cover.

다음, 필터(224)는 필터링 챔버(221) 내에 마련되어 폐부직포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폐부직포 분쇄체를 실질적으로 설정 사이즈를 기준으로 필터링하여 거르는 것으로서, 필터링 챔버(221)에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Next, the filter 224 is provided in the filtering chamber 221 to filter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included in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substantially based on a set size, and is provided to be replaceable in the filtering chamber 221 .

예를 들어, 필터링 챔버(221) 내면에는 필터(224)를 상측으로부터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필터링 챔버(221)에는 필터(224)를 측방으로 이동시켜 필터를 측방으로 슬라이드 삽입/분리할 수 있는 별도의 개방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a seating protrusion (not shown) capable of seating the filter 224 from the upper sid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ing chamber 221 , and the filter 224 is moved laterally in the filtering chamber 221 to filter the filter A separate opening (not shown) for inserting/separating the slide laterally may be provided.

필터(224)는 일 예로 스테인레스 메쉬망으로서, 이와 같이 필터링 챔버에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필터링하고자 하는 폐부직포 분쇄체의 설정 사이즈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거름조(400)에서 형성되는 재활용 부직포(B)의 표면 조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사용자는 다양한 망목 사이즈를 갖는 필터 중 적절한 사이즈의 망목을 갖는 필터를 선택하여 필터링 챔버(221)에 교체 장착하여 원하는 표면 조도를 구현할 수 있다.The filter 224 is, for example, a stainless mesh mesh,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replaceable in the filtering chamber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user can variably adjust the set size of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to be filtered and finally recycle formed in the sieve 400 .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nonwoven fabric (B) can be easily adjusted. In other words, a user may select a filter having an appropriate size from among filters having various mesh sizes and replace and install the filter in the filtering chamber 221 to achieve a desired surface roughness.

한편, 부직포 재활용을 위한 전체적인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필터(224)의 상부에는 필터의 망목 사이즈보다 큰 입자 사이즈를 갖는 폐부직포 분쇄체들이 적층되며, 전체적인 하나의 공정 사이클(배합조부터 거름조까지 이루어지는 일련의 공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필터(224)를 필터링 챔버(221)로부터 분리한 후 필터(224)에 걸러진 폐부직포 분쇄체를 배합조(100)로 피드백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여 폐부직포 재활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entire process for recycling non-woven fabrics,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s having a particle size larger than the mesh size of the filter are stack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224, and the entire process cycle (from mixing tank to filter tank) is stacked. After a series of processes) is completed, the user may separate the filter 224 from the filtering chamber 221 and feed back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filtered through the filter 224 to the mixing tank 100 for reu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recycling efficiency of the waste nonwoven fabric by minimizing the waste of materials.

덧붙이자면, 사용자는 필터(224)를 필터링 챔버(221)로부터 분리하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지 못하고 걸러진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로부터 제거하여 별도의 재활용 용기에 수납한 후 배합조(100)로 재공급할 수 있으며, 분리된 필터는 세척 과정을 거친후 다음 공정 사이클 진행을 위해 필터링 챔버(221)에 재장착하여 사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user separates the filter 224 from the filtering chamber 221, removes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that has not been filtered by the filter from the filter, stores it in a separate recycling container, and then re-supplys it to the mixing tank 100. In addition, the separated filter may be re-mounted in the filtering chamber 221 to proceed with the next process cycle after the washing process.

다음, 교반기(225)는 상기 배합조 교반기(110)와 유사하게 필터링 챔버(221)에 수용된 폐부직포 분쇄체와 충진제와 물을 고르게 분산, 혼합시키는 것으로서, 폐부직포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폐부직포 분쇄체를 설정 사이즈에 따라 필터링함으로써 필터링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한층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Next, the stirrer 225 evenly disperses and mixes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accommodated in the filtering chamber 221, the filler, and water, similar to the mixing tank agitator 110, while stirr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rk time required for filtering can be further shortened by filtering according to the set size.

한편, 필터링 챔버(221) 내에서 폐부직포 혼합물의 교반이 이루어지면서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링할 때, 필터링 챔버(221) 내에 수용되는 물의 양이 일정이상 부족하다면 교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터링 효율 또한 저감할 수 밖에 없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is filtered while the agitation of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is performed in the filtering chamber 221 , if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filtering chamber 221 is insufficient for a certain amount, not only the stirring is not performed properly but also the filtering Efficiency can also be reduced.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제1 필터링부(220)의 필터링 챔버(221)로 추가적인 급수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수 탱크(122)에 저장된 지하수를 필터링 챔버(221)로 제공하기 위한 필터링 챔버 급수배관(226)이 마련되며, 필터링 챔버 급수배관(226)에는 지하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228)가 마련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disadvantage, additional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ering chamber 221 of the first filtering unit 220 .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 a filtering chamber water supply pipe 226 for providing the groundwater stored in the groundwater tank 122 to the filtering chamber 221 is provided, and the filtering chamber water supply pipe 226 is supplied with groundwater. A valve 228 is provided for regulating the

한편, 필터링 챔버(221)에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레벨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제어부는 상기 수위레벨센서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밸브(228)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ing chamber 221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stored water,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detection value of the water level level sensor to control the opening of the valve 228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필터링부(230)는 제1 필터링부(220)로부터 공급되는 폐부직포 혼합물 중 제2 설정 사이즈 이상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링하여 거르고 상기 제2 설정 사이즈 미만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포함하는 폐부직포 혼합물을 후공정으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필터링 챔버(221), 필터(224) 및 교반기(225)를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iltering unit 230 filters and filters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of the second set size or more amo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supplied from the first filtering unit 220 and filters the waste less than the second set size. As a post-process to provide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it also includes a filtering chamber 221 , a filter 224 , and a stirrer 225 .

제2 필터링부(230)는 제1 필터링부(220)의 폐부직포 혼합물 배출구(223)로부터 배출된 폐부직포 혼합물을 배관을 통해 공급받으며, 이러한 배관에는 마찬가지로 별도의 이송펌프 및 유동 제어를 위한 밸브가 마련된다. The second filtering unit 230 receives the waste nonwoven mixture discharged from the waste nonwoven mixture outlet 223 of the first filtering unit 220 through a pipe, and in this pipe, a separate transfer pump and a valve for flow control are similarly provided. is prepared

또한, 제2 필터링부(230)의 폐부직포 혼합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부직포 혼합물은 배관을 통해 후술하는 거름조(400)로 공급되고, 이러한 배관에도 마찬가지로 별도의 이송펌프 및 유동 제어를 위한 밸브가 마련된다. 여기서, 필터링 챔버 및 교반기는 제1 필터링부와 실질적으로 동일/유사하므로 이하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discharged through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outlet of the second filtering unit 230 is supplied to a sieving tank 40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 pipe, and also in this pipe, a separate transfer pump and a valve for flow control is prepared Here, since the filtering chamber and the stirrer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similar to the first filtering unit, repeated descriptions below will be omitted.

제2 필터링부(230)의 필터(224)는 필터링 챔버 내에 마련되어 폐부직포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폐부직포 분쇄체를 설정 사이즈를 기준으로 필터링하여 거르는 것으로서, 필터링 챔버(221)에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제1 필터링부(220)의 필터(224)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 사이즈(설정 사이즈)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링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 이외에는 전체적으로 제1 필터링부의 필터와 유사하다.The filter 224 of the second filtering unit 230 is provided in the filtering chamber and filters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included in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based on a set size, and is provided to be replaceable in the filtering chamber 221 . , It is generally similar to the filter of the first filtering unit, except that it is provided to filter the pulverized non-woven fabric having a relatively smaller particle size (set size) than the filter 224 of the first filtering unit 220 .

마찬가지로, 제2 필터링부(230)의 필터(224)는 필터링 챔버에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필터링하고자 하는 폐부직포 분쇄체의 설정 사이즈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거름조(400)에서 형성되는 재활용 부직포(B)의 표면 조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Similarly, the filter 224 of the second filtering unit 230 is provided to be replaceable in the filtering chamber, so that the user variably adjusts the set size of the crushed waste non-woven fabric to be filtered to be finally formed in the filtering tank 400 .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can be easily adjusted.

즉, 본 발명은 2회에 걸쳐 폐부직포 분쇄체의 필터링이 이루어짐에 따라 최종 생산물인 재활용 부직포(B)의 표면 조도를 일정 이하로 구현하는데 있어 용이한 이점을 갖고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링부(200)는 적어도 1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는바 재활용 부직포의 표면 조도와 필터링 효율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를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asily implement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which is the final product, to a certain level or less as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is filtered twice, and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ing unit At least one bar 200 may be provided, and an appropriate number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surface roughness and filtering efficiency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다음, 정착제 첨가부(300)는 필터링부(200)를 거친 폐부직포 혼합물에 폐부직포 분쇄체와 충진제를 응집시키는 정착제를 공급하여 원료를 형성하는 것이다.Next, the fixing agent adding unit 300 supplies a fixing agent that aggregates the waste nonwoven pulverized body and the filler to the waste nonwoven mixtur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ing unit 200 to form a raw material.

정착제 첨가부(300)는 필터링부(200)와 거름조(40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정착제를 공급하여 상기 배관 내에 유동하는 폐부직포 혼합물(A)에 정착제를 첨가한다. 정착제 첨가부(300)를 통해 폐부직포 혼합물(A)에 첨가되는 정착제에 의해 폐부직포 혼합물(A)에 포함된 폐부직포 분쇄체들이 구조적으로 응집되어서 서로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agent adding unit 300 supplies the fixing agent to a pipe connecting the filtering unit 200 and the sieving tank 400 to add the fixing agent to the waste nonwoven mixture A flowing in the pipe.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included in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A may be structurally aggregated and fixed to each other by the fixer added to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A through the fixer adding unit 300 .

정착제로는 초산비닐수지(polyvinyl acetate resin), 티오황산나트륜(sodium thiosulfate)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정착제 첨가부(300)는 정착제가 저장되는 정착제 저장조(310) 및 정착제 저장조(310)와 상기 배관을 연결하고 정착제 저장조에 저장된 정착제를 배관으로 공급하는 정착제 공급관(320)을 구비한다. The fixing agent may be a commonly used one, such as polyvinyl acetate resin or sodium thiosulfate. The fixer adding unit 300 connects the fixing agent storage tank 310 and the fixing agent storage tank 310 and the pipe in which the fixing agent is stored, and a fixing agent supply pipe 320 for supplying the fixing agent stored in the fixing agent storage tank to the pipe. be prepared

정착제 공급관(320)에는 정착제 저장조(310)에 저장된 정착제를 배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이송 펌프와 정착제 공급관(320)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가 더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폐부직포 혼합물(A)에 정착제가 첨가된 것을 '원료'라 명칭한다.The fixing agent supply pipe 3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transfer pump for supplying the fixing agent stored in the fixing agent storage tank 310 to the pipe and an opening/closing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xing agent supply pipe 320 .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a material in which a fixing agent is added to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A) is referred to as a 'raw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착제 첨가부(300)는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고, 도 1에는 일 예로 3개로 마련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fixing agent adding unit 300 may be provided, and FIG. 1 shows a case in which three are provided as an example.

각각의 정착제 저장조(310)에는 서로 다른 정착제(정착제 A,B,C)가 저장되어 있으며, 저장되어 있는 정착제가 일정이상 응집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별도의 정착제 교반기(33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In each fixer storage tank 310, different fixers (fixing agents A, B, and C) are stored, and a separate fixer agitator 330 is provided to minimize the aggregation of the stored fixer over a certain level. have.

다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름조(400)는 정착제가 포함된 폐부직포 혼합물, 즉 원료를 공급받아 재활용 부직포(B)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원료가 이송되는 원료공급배관(410)을 통해 원료를 공급받아 재활용 부직포를 제조한다. 관련 도면에는 원료공급배관(410)과 하나의 거름조(400)가 연결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료공급배관을 적어도 2개 이상 분기시킨 후 각각의 분기 배관을 통해 복수의 거름조로 원료를 공급할 수도 있다.Next, as shown in FIG. 1 , the sieving tank 400 forms a recycled nonwoven fabric (B) by receiving a waste nonwoven mixture containing a fixer, that is, a raw material, and a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is transported. It receives raw materials through the process and manufactures recycled non-woven fabrics. Although the related drawings show a structure in which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and one strainer 400 are connected,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fter branching at least two raw material supply pipes, a plurality of manure through each branch pipe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raw materials in crude oil.

거름조(400)는 폐부직포 혼합물에 정착제가 첨가되어서 형성된 원료를 이용하여 재활용 부직포를 제조한다. 거름조(400)는 거름조 본체(420), 원료공급배관(410)의 단부에 마련되는 원료분사노즐(430), 원료공급배관(410) 내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공기 공급부(440), 거름조 본체(4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거름망(461), 거름조 본체(420)의 내부에 설치되어 거름망(461)을 지지하는 망 지지체(462)를 포함한다.The filter tank 400 manufactures a recycled nonwoven fabric using a raw material formed by adding a fixative to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The filter tank 400 is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440 for providing compressed air into the filtering tank body 420,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430 provided at the end of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and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It includes a sieve 461 installed inside the sieve body 420, and a sieve 462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sieve body 420 to support the sieve 461.

먼저, 거름조 본체(420)는 배수구(421)가 마련되는 바닥(422)과 바닥(422)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벽(423)을 구비한다. 측벽(423)은 상하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측벽(424) 및 바닥(422)과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측벽(425)을 포함한다. 상부 측벽(424)과 하부 측벽(425)의 사이에 거름망(461)과 망 지지체(462)가 설치된다. 즉, 거름조 본체(420)의 내부 공간은 거름망(461) 및 망 지지체(462)에 의해 상부 공간(427)과 하부 공간(428)으로 분리된다.First, the strainer body 420 includes a bottom 422 provided with a drain 421 and a side wall 423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422 . The side wall 423 includes an upper side wall 424 that is vertically separably coupled and a lower side wall 425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422 . A strainer 461 and a mesh support 462 ar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idewall 424 and the lower sidewall 425 . That is, the internal space of the sieve body 420 is divided into an upper space 427 and a lower space 428 by the sieve 461 and the net support 462 .

다음,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분사노즐(430)은 원료가 이송되는 원료공급배관(410)의 단부에 마련되어 거름조 본체(420) 내부로 원료를 분사한다.Next,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43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to which the raw material is transferred and injects the raw material into the strainer body 420 .

원료분사노즐(430)은 내부 공간을 갖고 거름조 본체(420)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는 복수의 원료 분사구(431)가 형성된다. 복수의 원료 분사구(431)는 볼록하게 라운드진 원료 배출면(432)에 균일하게 마련되어 원료를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복수의 원료 분사구(431)를 통해 원료가 거름조 본체(420)를 향해 균일하게 분사되면서 결국 거름조 본체 내에서 원료의 균일한 분산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430 has an inner space and is convexly rounded toward the strainer body 420 , and a plurality of raw material injection holes 431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 plurality of raw material injection holes 431 may be uniformly provided on the convexly rounded raw material discharge surface 432 to uniformly spray the raw material. As the raw material is uniformly sprayed toward the sieve body 420 through the plurality of raw material injection holes 431 , a uniform dispersion state of the raw material may be achieved in the sieve body 420 .

다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공기 공급부(440)는 원료공급배관(410) 내로 압축공기를 제공하여 원료가 원료분사노즐(430)을 통해 고압 분사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거름조 본체 내로 분사된 원료는 더욱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2 , 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440 provides compressed air into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so that the raw material can be injected at high pressure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430 , and accordingly As shown, the raw material injected into the strainer body can be more uniformly dispersed.

압축공기 공급부(440)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압축기(441), 공기압축기(441)와 원료공급배관(410) 사이를 연통하여 압축공기가 원료공급배관(410) 내로 유동하도록 압축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압축공기 배관(442), 압축공기 배관(442)에 마련되는 공기밸브(443)를 포함한다.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440 communicates between the air compressor 441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the air compressor 441 and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so that the compressed air flows into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It includes a compressed air pipe 442 to form, and an air valve 443 provided in the compressed air pipe 442 .

여기서, 압축공기 배관(442)은 원료공급배관(410)과의 사이에 일정 이상의 경사각을 갖도록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원료공급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원료가 원료분사노즐(430) 측으로 한층 효율적으로 가압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원료분사노즐(430)을 통한 균일한 분사와 거름조 본체(420) 내에서의 균일한 분산을 구현하는데 있어 도움을 제공한다.Here, the compressed air pipe 442 is preferably connected to be inclined to have a predetermined or mor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and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It can be efficiently supplied in a pressurized state, and as a result, it provides help in realizing uniform injection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430 and uniform dispersion in the sieve body 420 as described above.

즉, 본 발명은 폐부직포 분쇄체, 충진제, 정착제 및 물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원료를 고압으로 분사함으로써 재활용 부직포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거름조(400) 내부로 균일한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결국 거름조(400) 내에서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활용 부직포의 제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aw material composed of a mixture of a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a filler, a fixer, and water is sprayed at high pressure so that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is formed uniformly into the sieve 400, which eventually sieve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y making it uniformly dispersed in the tank 400 .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재활용장치는 원료공급배관(410) 상에 마련되어 원료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450)와, 유량계(450)의 측정값에 따라 압축공기 공급부(440)의 구동을 제어하여 원료분사노즐(430) 측으로의 압축공기 공급상태를 조절하는 제어부(451)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2, the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and compress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flow meter 450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raw material, and the flow meter 450 and a control unit 45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440 to adjust the compressed air supply state to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430 side.

예를 들어, 제어부(451)는 유량계(450)의 감지 유량값이 설정기준 이상인 경우, 공기밸브(443)의 개방도를 적절하게 감소하거나 공기압축기(441)의 구동을 제어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감소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451)는 유량계(450)의 감지 유량값이 설정기준 미만인 경우, 공기밸브(443)의 개방도를 적절하게 증가하거나 공기압축기(441)의 구동을 제어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증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tected flow rate value of the flow meter 45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451 may appropriately reduce the opening degree of the air valve 443 or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ompressor 441 to supply compressed air. pressure can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cted flow rate value of the flow meter 450 is less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451 appropriately increases the opening degree of the air valve 443 o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compressor 441 of the supplied compressed air. pressure can be increased.

즉, 본 발명은 유량계(450)의 감지값을 기반으로 원료분사노즐(430) 측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량, 유속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료공급배관(410) 내의 원료 유량에 관계없이 원료분사노즐(430)을 통해 원료가 항시 일정한 분사압을 갖는 상태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430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flow meter 450 , and accordingly, the raw material regardless of the raw material flow rate in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430, the raw material can be always injected in a state having a constant injection pressure.

다음, 거름망(461)은 거름조 본체(420)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상부 측벽(424)과 하부 측벽(425)의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거름망(461)은 원료에서 폐부직포 분쇄체들과 충진제의 응집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인 물을 통과시킨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름망(461)에 의해 물은 아래로 빠지고 위에 폐부직포 분쇄체와 충진제의 응집물로 이루어진 재활용 부직포(B)가 남게 된다. Next, the sieve 461 is installed to be horizontally disposed inside the sieve body 420 , and specifically, is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upper sidewall 424 and the lower sidewall 425 . The sieve 461 passes water, which is a component other than the aggregate of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ies and the filler, from the raw material. 1 and 3, water is drained down by the sieve 461, leaving a recycled nonwoven fabric (B) consisting of a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and agglomerates of the filler thereon.

다음, 망 지지체(462)는 거름조 본체(42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거름망(461)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망 지지체(462)는 상부 측벽(424)과 하부 측벽(425)의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거름망(461)의 아래에 위치하여 거름망을 구조적으로 지지한다.Next, the net support 462 is installed inside the sieve body 420 to support the sieve 461 . Specifically, the mesh support 462 is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upper sidewall 424 and the lower sidewall 425 and is located under the strainer 461 to structurally support the strainer.

다음, 배수관(470)은 거름조 본체(420)의 바닥(422)에 형성된 배수구(421)로부터 연장된다. 배수관(470)을 통해 거름조 본체(420)의 내부 공간에서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관(470)에는 배수관을 개폐하는 배수 밸브(472)가 설치된다. 이러한 배수관(470)에는 물의 신속한 배출을 위해 배수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Next, the drain pipe 470 extends from the drain hole 421 formed in the bottom 422 of the strainer body 420 .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strainer body 420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470 . A drain valve 47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pipe is installed in the drain pipe 470 . A drain pump may be installed in the drain pipe 470 to quickly discharge water.

또한, 배수관(470)에는 진공 형성부(480)가 연결된다. 진공 형성부(480)는 배수관(470)을 통해 거름조(4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거름조(400)의 하부 공간(428)에 진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진공 펌프(481), 진공 펌프(481)와 배수관(470)을 연결하는 연결관(482)을 포함한다. 연결관(482)과 배수관(470)이 연결되는 부분은 배수 밸브(472)보다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진공 펌프(481)가 구동하여 거름조(400)의 하부 공간(428)에 진공 상태가 형성됨으로써, 거름망(461)의 위에 형성된 재활용 부직포(B)에서 수분이 저감된다.In addition, a vacuum forming unit 480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470 . The vacuum forming unit 480 forms a vacuum in the lower space 428 of the filtering tank 400 by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filtering tank 400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470, a vacuum pump 481, It includes a connection pipe 482 connecting the vacuum pump 481 and the drain pipe 470 . A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pipe 482 and the drain pipe 470 are connected may be located upstream of the drain valve 472 . By driving the vacuum pump 481 to form a vacuum state in the lower space 428 of the sieve 400 , moisture is reduced in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formed on the sieve 461 .

구체적으로, 진공 형성에 의한 탈수 과정은 배수 밸브(472)가 닫힌 상태에서, 진공 펌프(481)가 작동함으로써 수행된다. 거름조(400)의 하부 공간(428)은 거름망(461)의 위에 적층된 재활용 부직포(B)에 의해 밀폐되며 진공 펌프(481)에 의해 하부 공간(428)의 공기가 배수관(4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하부 공간(428)은 진공 상태를 형성한다. Specifically, the dehydration process by vacuum formation is performed by operating the vacuum pump 481 while the drain valve 472 is closed. The lower space 428 of the sieve 400 is sealed by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laminated on the sieve 461 , and the air in the lower space 428 is discharged by the vacuum pump 481 through the drain pipe 470 . By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lower space 428 forms a vacuum state.

이에 따라, 재활용 부직포(B)에 함유된 수분이 추가로 제거되어 대략 재활용 부직포(B)의 수분 함량은 재활용 부직포 대비 약 70% 수준으로 낮아질 수 있다.Accordingly, moisture contained in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is additionally removed, so that approximately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can be lowered to about 70% compared to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전술한 바와 같이 거름조(400) 내에서 진공 탈수과정을 거친 재활용 부직포(B)는 거름조(400)에서 배출된 후, 압축 탈수, 건조 등의 후공정을 거쳐 추가적으로 수분 제거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거름조(400) 내에서 진공 탈수된 재활용 부직포(B)를 거름조(400)에서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조를 제시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which has undergone the vacuum dehydration process in the sieve 400, is discharged from the sieve 400, and then undergoes post-processes such as compression dehydration and drying to additionally remove moistu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dditional structure for efficiently discharging the vacuum dewatered recycled nonwoven fabric (B) from the filter tank (400) in the filter tank (40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재활용장치는 거름망(461) 상부에 잔재하는 응집물, 즉 재활용 부직포(B)를 측방으로 가압하여 거름조 본체(420)에 대해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응집물 이송부(49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ses the aggregate remaining on the upper part of the sieve 461, that is,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laterally, to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sieve body 420. It includes an aggregate conveying unit 490 for discharging.

구체적으로, 거름조 본체(420)에는 응집물(재활용 부직포)이 측방 배출되도록 배출구(429)가 외부에 개방되게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sieve body 420 is provided with an outlet 429 open to the outside so that the aggregate (recycled nonwoven fabric) is discharged laterally.

또한, 응집물 이송부(490)는, 응집물과 접촉 가능한 푸시플레이트(491), 푸시플레이트(491)를 배출구(429) 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492)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492)는 실린더, 볼 스크루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ggregate transfer unit 490 includes a push plate 491 tha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aggregate, and an actuator 492 for reciprocating the push plate 491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429 . The actuator 492 may be applied as a cylinder, a ball screw, or the like.

거름조 본체(420)에는 배출구(429)를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별도의 도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제어부는 도어와 연결된 도어 구동부(미도시)를 작동시켜 배출구를 개방한 후, 액츄에이터(492)를 동작시켜 재활용 부직포를 배출시킬 수 있다.A separate door (not shown) for opening or closing the outlet 429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in the strainer body 420, 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a door driving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door to open the outlet. After that, the actuator 492 may be operated to discharge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이와 같이, 거름조 본체(420)의 측방으로 배출된 재활용 부직포(B)는 별도의 지지대(495) 상부에 안착된 후 압축 탈수, 건조 등의 후공정을 위해 작업장소로 이송 가능하다.In this way,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sieve body 420 can be transferred to the work place for post-processes such as compression dehydration and drying after being seated on a separate support 495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재활용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nonwoven fabric recyc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재활용방법은 폐부직포 분쇄단계(S100), 재료 배합단계(S200), 재료 필터링단계(S300), 정착제 첨가단계(S400) 및 재활용 부직포 형성단계(S500)를 포함한다.5 and 6, the nonwoven recyc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ation step (S100), a material mixing step (S200), a material filtering step (S300), and a fixing agent addition step (S400). ) and a recycled nonwoven fabric forming step (S500).

먼저, 폐부직포를 분쇄하여 폐부직포 분쇄체를 얻으며, 구체적으로 부직포 제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직포 스크랩 또는 부직포 폐기물이 분쇄기에 분쇄되어서 폐부직포 분쇄체들이 형성된다(S100). 여기서, 분쇄된 폐부직포 분쇄체는 10mm 이하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waste nonwoven fabric is pulverized to obtain a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and specifically, nonwoven scrap or nonwoven wast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nonwoven product is pulverized in a pulverizer to form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s (S100). Here,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preferably has a length of 10 mm or less.

다음, 폐부직포 분쇄 단계(S100)를 통해 얻은 폐부직포 분쇄체를 충진제와 함께 배합조에서 물에 분산, 혼합하여 폐부직포 혼합물을 얻는다(S200). 이러한 재료 배합단계는 배합조(100)에서 수행되며, 배합조(100)에서는 폐부직포 분쇄체들이 충진제와 함께 물이 분산, 혼합되어 폐부직포 혼합물(A)이 형성된다. Next,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obtained through the waste nonwoven milling step (S100) is dispersed and mixed with a filler in water in a mixing tank to obtain a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S200). This material blending step is performed in the blending tank 100, in which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ies are dispersed and mixed with water together with the filler to form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A).

S200 단계에서는 폐부직포 혼합물의 형성 과정에서 배합조(100) 내부, 배합조(100) 주변에 발생하는 분진의 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분진 제거는 배합조(100)의 상측 개구를 전체적으로 커버하거나 배합조(100) 내의 분진을 흡입할 수 있는 구조의 집진기(130)를 통해 이루어진다.In step S200, dust generated in the mixing tank 100 and around the mixing tank 100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may be removed at the same time, and this dust removal completely covers the upper opening of the mixing tank 100 Or made through the dust collector 130 of the structure that can suck the dust in the mixing tank (100).

다음, 재료 배합단계(S200)를 통해 얻은 폐부직포 혼합물 중 폐부직포 분쇄체를 설정 사이즈를 기준으로 필터링하여 설정 사이즈 이상의 폐부직포 분쇄체와 설정 사이즈 미만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분리한다(S300).Next,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amo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obtained through the material mixing step (S200) is filtered based on a set size to separate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larger than the set size and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smaller than the set size (S300).

S300 단계는 S200 단계의 폐부직포 혼합물 중 제1 설정 사이즈 이상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링하여 거르는 제1 재료 필터링단계(S310)와, S310 단계를 거친 폐부직포 혼합물 중 제2 설정 사이즈 이상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링하여 거르는 제2 재료 필터링단계(S320)를 포함한다.Step S300 includes a first material filtering step (S310) of filtering and filtering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of the first set size or more amo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of step S200, and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of the second set size or more amo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that has undergone step S310 and a second material filtering step (S320) of filtering and filtering.

여기서, 제2 설정 사이즈는 제1 설정 사이즈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S310, S320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좀 더 작은 입자 사이즈를 갖는 폐부직포 분쇄체를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획득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set size is smaller than the first set size, and accordingly,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having a smaller particle size can be efficiently separated and obtained by sequentially passing steps S310 and S320.

이상에서는 S300 단계가 2회의 필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최종적으로 획득하고자 하는 즉 거름조(400)로 투입시키고자 하는 폐부직포 분쇄체의 입자 사이즈에 따라 필터링 단계의 횟수는 증감 가능하며, 필터링 단계 횟수의 증감을 통해 결국 재활용 부직포(B)의 표면 조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step S300 includes two filtering steps, but the number of filtering steps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to be finally obtained, that is, to be put into the sieve 400, Ultimately,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through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number of filtering steps.

S310 단계 및 S320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링 챔버(221)에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된 필터(224)를 통해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재활용 부직포 형성단계(S500) 완료 후, 필터(224)를 필터링 챔버(221)로부터 분리하고 이어서 필터에 걸러진 폐부직포 분쇄체를 S200 단계로 피드백하는 폐부직포 분쇄체 피드백 단계(S600)를 더 포함한다.Steps S310 and S320 are made through the filter 224 installed so as to be replaceable in the filtering chamber 221 as described above,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forming step (S500) is completed, the filter 224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feedback step (S600) of separating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from the filtering chamber 221 and then feeding back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filtered through the filter to step S200.

덧붙이자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필터(224)를 필터링 챔버(221)로부터 분리하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지 못하고 걸러진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로부터 제거하여 별도의 재활용 용기에 수납한 후 배합조(100)로 재공급할 수 있다(S600).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the user separates the filter 224 from the filtering chamber 221 , removes the waste nonwoven pulverized material filtered by the filter and removes it from the filter, and stores it in a separate recycling container. It may be re-supplied to the mixing tank 100 (S600).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S600 단계를 통해 필터에 의해 걸러진 폐부직포 분쇄체가 제거되고 세척 과정을 거친 필터(224)를 다음 공정 사이클 진행을 위해 필터링 챔버(221)에 재장착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filtered by the filter is removed through step S600 and the filter 224 that has undergone a washing process is placed in the filtering chamber 221 for the next process cycle to proceed. 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mounting (S700).

다시 S300 단계 이후로 돌아가면, 설정 사이즈 미만의 폐부직포 분쇄체, 물 및 충진제의 폐부직포 혼합물에 폐부직포 분쇄체와 충진제를 응집시키기 위한 정착제를 공급하여 원료를 형성한다(S400).Returning back to step S300, a fixing agent for agglomeration of the crushed waste nonwoven fabric and the filler is supplied to the waste nonwoven mixture of the waste nonwoven fabric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set size, water, and a filler to form a raw material (S4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착제 첨가부(300)를 통해 폐부직포 혼합물(A)에 첨가되는 정착제에 의해 폐부직포 혼합물에 포함된 폐부직포 분쇄체들이 구조적으로 응집되어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정착제로는 초산비닐수지(polyvinyl acetate resin), 티오황산나트륜(sodium thiosulfate)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included in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may be structurally aggregated and fixed to each other by the fixer added to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A through the fixer adding unit 300 . The fixing agent may be a commonly used one, such as polyvinyl acetate resin or sodium thiosulfate.

다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활용 부직포 형성단계(S500)는 정착제가 첨가된 폐부직포 혼합물을 이용하여 재활용 부직포(B)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원료 투입 단계(S510), 배수 단계(S520), 진공 탈수 단계(S530), 재활용 부직포(응집물) 측방 배출단계(S540), 압축 탈수 단계(S550), 건조 단계(S560)를 포함한다.Next, as shown in FIG. 5,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forming step (S500) is to form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us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to which the fixer is added, and the raw material input step (S510), the drainage step (S520) , a vacuum dehydration step (S530), a recycled nonwoven fabric (aggregate) side discharge step (S540), a compression dewatering step (S550), and a drying step (S560).

먼저, 원료 투입 단계(S510)에서는 정착제 첨가단계(S400)를 통해 준비된 원료가 거름조에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거름조(400)에 물이 거름망(461)보다 높게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원료분사노즐(430)로부터 원료가 배출되어 거름조(400)의 상부 공간(427)으로 적정량이 공급된다. 거름조(400)에 투입된 원료는 거름망(461)에 의해 상부 공간(427)에만 존재하게 된다. First, in the raw material input step (S510), the raw material prepared through the fixing agent addition step (S400) is put into the strainer. Specifically, the raw material is discharged from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430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filled in the sieve 400 higher than the sieve 461 , and an appropriate amount is supplied to the upper space 427 of the sieve 400 . The raw material input to the sieve 400 exists only in the upper space 427 by the sieve 461 .

부연하자면, S510 단계에서 원료는 원료분사노즐(430)을 통해 거름조 본체(420) 내부로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균일한 분사를 더욱 확실하게 실시하도록 원료공급배관(410) 내로의 압축공기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S510단계에서 원료는 원료분사노즐(430)을 통해 고압 분사될 수 있으며, 거름조 본체(420) 내부의 원료는 한층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step S510, the raw material may be uniformly sprayed into the strainer body 420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430, and compressed into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to more reliably perform this uniform injection. The air supply takes place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in step S510, the raw material may be injected at high pressure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430, and the raw material inside the strainer body 420 may be more uniformly dispersed.

또한, S510 단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름조 본체(420)로의 원료 이송경로인 원료공급배관(410) 내의 원료 유량을 측정하고, 유량 측정값에 따라 원료를 거름조 본체(420) 내로 고압 분사하기 위한 압축공기의 공급압을 조절한다.In addition, in step S510, as described above, the raw material flow rate in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which is the raw material transfer path to the sieve tank body 420, is measured, and the raw material is injected at high pressure into the sieve tank body 420 according to the flow rate measurement value. Adjust the supply pressure of compressed air for

즉, 원료의 유량값 감지를 기반으로 원료분사노즐(430) 측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량, 유속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료공급배관(410) 내의 원료 유량에 관계없이 원료분사노즐(430)을 통해 원료가 항시 일정한 분사압을 갖는 상태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430 side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flow rate value of the raw material, and accordingly,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430 regardless of the raw material flow rate in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410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raw material is always sprayed with a constant spray pressure.

다음, 배수 단계(S520)에서는 거름조(400)에서 물이 배수구(421)를 통해 배수된다. 구체적으로, 배수관(470)에 설치된 배수 밸브(472)가 개방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며, 거름조(400)의 물이 완전히 배수된 후 거름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름망(461) 위에 응집물만 남아 재활용 부직포(B)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배수 단계를 거친 재활용 부직포(B)는 상당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대략 재활용 부직포(B) 대비 약 120%의 수분을 함유한다.Next, in the drainage step ( S520 ), water is drained from the strainer 400 through the drain hole ( 421 ). Specifically, the drain valve 472 installed in the drain pipe 470 is opened to perform drainage, and after the water in the strainer 400 is completely drained, the strainer is placed on the strainer 461 as shown in FIG. 3 . Only the agglomerates remain to form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which has undergone such a drainage step, contains a significant amount of moisture, and contains approximately 120% of moisture compared to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다음, 진공 탈수 단계(S530)에서는 거름조(400)에 진공을 형성하여 재활용 부직포(B)의 수분을 더욱 저감시키며,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배수 밸브(472)가 닫힌 상태에서 진공 펌프(481)가 작동함으로써 수행된다. 거름조(400)의 하부 공간(428)은 거름망(461)의 위에 적층된 재활용 부직포(B)에 의해 밀폐되며 진공 펌프(481)에 의해 하부 공간(428)의 공기가 배수관(4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하부 공간(428)은 진공 상태를 형성하게 되며, 그에 따라 재활용 부직포(B)에 함유된 수분이 추가로 제거된다. 진공 탈수 단계(S530)에 의해 재활용 부직포(B)의 수분 함량은 재활용 부직포 대비 약 70% 수준으로 낮아진다.Next, in the vacuum dehydration step (S530), a vacuum is formed in the strainer 400 to further reduce the moisture in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and specifically, the vacuum pump ( 481) works. The lower space 428 of the sieve 400 is sealed by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laminated on the sieve 461 , and the air in the lower space 428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470 by the vacuum pump 481 . By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lower space 428 forms a vacuum state, and accordingly, moisture contained in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is further removed. By the vacuum dehydration step (S530),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is lowered to about 70% compared to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다음, 재활용 부직포(응집물) 측방 배출단계(S540)에서는 거름망(461) 상부에 잔재하는 재활용 부직포(응집물)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거름조 본체(420)에 대해 측방으로 배출한다.Next, in the side discharge step (S540)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aggregate),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aggregate) remaining on the upper part of the sieve 461 is pressed laterally and discharged to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sieve body 420 .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름조 본체(420)의 배출구(429)를 외부에 개방시킨 후 액츄에이터(492)를 동작시켜 재활용 부직포(B)를 배출구(429)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after opening the outlet 429 of the strainer body 420 to the outside, the actuator 492 is operated to discharge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429. can do it

다음, 압축 탈수 단계(S550)에서는 S540 단계를 거친 재활용 부직포(B)를 별도의 프레스 기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압축함으로써 추가적으로 탈수가 이루어진다.Next, in the compression dewatering step (S550),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which has undergone the step S540, is compressed by using a separate press machine (not shown), whereby dehydration is additionally performed.

다음, 건조 단계(S560)에서는 압축 탈수 단계(S560)를 거친 재활용 부직포(B)를 고온에서 가열 처리하여 건조시킨다. 건조 단계(S560)에 의해 재활용 부직포(B)의 수분 함량은 재활용 부직포 대비 약 3% 수준으로 낮아진다. 한편, 압축 탈수 단계와 건조 단계 사이에는 재활용 부직포를 원하는 형상으로 타발하는 블랭킹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Next, in the drying step (S560),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which has undergone the compression dehydration step (S560), is dried by heat treatment at a high temperature. By the drying step (S560),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B) is lowered to about 3% compared to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Meanwhile, between the compression dewatering step and the drying step, a blanking step of punching the recycled nonwoven fabric into a desired shape may be further perform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Rath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 폐부직포 혼합물 B: 재활용 부직포
100: 배합조 110: 배합조 교반기
120: 배합조 물공급부 130: 집진기
200: 필터링부 220: 제1 필터링부
221: 필터링 챔버 224: 필터
225: 교반기 226: 필터링 챔버 급수배관
230: 제2 필터링부 300: 정착제 첨가부
400: 거름조 429: 배출구
430: 원료분사노즐 431: 원료 분사구
440: 압축공기 공급부 450: 유량계
451: 제어부 461: 거름망
462: 망 지지체 470: 배수관
480: 진공 형성부 481: 진공 펌프
490: 응집물 이송부 491: 푸시플레이트
492: 액츄에이터
A: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B: Recycled non-woven fabric
100: mixing tank 110: mixing tank stirrer
120: mixing tank water supply unit 130: dust collector
200: filtering unit 220: first filtering unit
221: filtering chamber 224: filter
225: agitator 226: filtering chamber water supply pipe
230: second filtering unit 300: fixing agent addition unit
400: strainer 429: outlet
430: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431: raw material injection port
440: compressed air supply 450: flow meter
451: control unit 461: strainer
462: mesh support 470: drain pipe
480: vacuum forming unit 481: vacuum pump
490: aggregate transfer unit 491: push plate
492: actuator

Claims (12)

폐부직포 분쇄체가 충진제와 함께 물에 분산, 혼합되어 폐부직포 혼합물이 형성되는 배합조;
상기 배합조로부터 폐부직포 혼합물을 공급받아 상기 폐부직포 혼합물 중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를 설정 사이즈를 기준으로 필터링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부;
상기 필터링부를 거친 폐부직포 혼합물에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와 상기 충진제를 응집시키는 정착제를 공급하여 원료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착제 첨가부; 및
상기 원료를 공급받아 재활용 부직포를 형성하되, 거름조 본체와, 상기 원료가 이송되는 원료공급배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거름조 본체 내부로 상기 원료를 분사하는 원료분사노즐과, 상기 원료공급배관 내로 압축공기를 제공하여 원료가 원료분사노즐을 통해 고압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구비하는 거름조를 포함하되,
상기 거름조는,
상기 원료에서 폐부직포 분쇄체와 충진제의 응집물을 제외한 물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거름조 본체 내에 마련되는 거름망; 및
상기 거름망 상부에 잔재하는 상기 응집물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거름조 본체에 대해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응집물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재활용장치.
a mixing tank in which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is dispersed and mixed in water together with a filler to form a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at least one filtering unit capable of receiving the waste nonwoven mixture from the mixing tank and filtering the waste nonwoven pulverized body of the closed nonwoven mixture based on a set size;
at least one fixing agent adding unit for forming a raw material by supplying a fixing agent for agglomeration of the crushed waste non-woven fabric and the filler to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ing part; and
A recycled nonwoven fabric is formed by receiving the raw material, a filter body, a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provided at an end of a raw material supply pipe to which the raw material is transferred, and spraying the raw material into the filter body body, and compressed into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Including a filter tank having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that provides air to enable high-pressure injection of the raw material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The manure tank,
a sieve provided in the sieve body to pass water excluding the aggregate of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and the filler from the raw material; and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ggregate conveying unit for laterally pressing the aggregate remaining on the upper part of the sieve with respect to the sieve body to the side of the sie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배관 상에 마련되어 상기 원료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및
상기 유량계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원료분사노즐 측으로의 압축공기 공급 상태를 조절 가능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재활용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low meter provided on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raw material; and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flow meter to adjust the compressed air supply state to the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s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조 본체에는 상기 응집물이 측방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응집물 이송부는, 상기 응집물과 접촉 가능한 푸시플레이트와, 상기 푸시플레이트를 상기 배출구 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재활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rainer body is provided with an outlet so that the aggregate is discharged laterally,
The agglomerate transfer unit, a nonwoven recycling apparatus comprising a push plate contactable with the agglomerate, and an actuator for reciprocating the push plate toward the outle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부직포 혼합물의 형성 과정에서 상기 배합조 내부, 배합조 주변에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재활용장치.
According to claim 1,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the dust generated inside the mixing tank and around the mixing tank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부는 상기 배합조와 상기 정착제 첨가부 사이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마련되며,
각각의 필터링부에서 필터링되는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의 설정 사이즈는 서로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재활용장치.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two or more of the at least one filtering unit are provided between the mixing tank and the fixing agent adding unit,
The set size of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filtered by each filtering uni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well as variably adjustab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상부에 폐부직포 혼합물 공급구가 마련되는 필터링 챔버;
상기 필터링 챔버에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를 설정 사이즈에 따라 필터링하여 거르는 필터; 및
상기 필터링 챔버에 수용된 폐부직포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재활용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ltering unit,
a filtering chamber provided with a waste non-woven mixture supply port on the upper portion;
a filter provided to be replaceable in the filtering chamber and filter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according to a set size; and
Non-woven fabric recycling apparatus comprising a stirrer for stirring the waste non-woven mixture accommodated in the filtering chamber.
(a) 폐부직포를 분쇄하여 폐부직포 분쇄체를 얻는 폐부직포 분쇄단계;
(b)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를 충진제와 함께 배합조에서 물에 분산, 혼합하여 폐부직포 혼합물을 얻는 재료 배합단계;
(c) 상기 폐부직포 혼합물 중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를 설정 사이즈를 기준으로 필터링하여 설정 사이즈 이상의 폐부직포 분쇄체와 설정 사이즈 미만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분리하는 재료 필터링단계;
(d) 상기 설정 사이즈 미만의 폐부직포 분쇄체, 물 및 충진제의 폐부직포 혼합물에 상기 폐부직포 분쇄체와 상기 충진제를 응집시키는 정착제를 공급하여 원료를 형성하는 정착제 첨가단계; 및
(e) 상기 원료를 이용하여 재활용 부직포를 형성하되, 거름망이 구비된 거름조 본체 내부로 상기 원료를 압축공기와 같이 고압 분사한 후, 상기 물을 제외한 나머지 폐부직포 분쇄체와 충진제의 응집물이 상기 거름망 상부에 잔재한 상태에서 진공 탈수하여 재활용 부직포를 형성하는 재활용 부직포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단계는,
(e1) 상기 거름망 상부에 잔재하는 상기 응집물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거름조 본체에 대해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단계;
(e2) 상기 거름조 본체로부터 배출된 응집물을 압축하여 탈수하는 단계; 및
(e3) 상기 (e2)단계를 거친 응집물을 고온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재활용방법.
(a) pulveriz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to obtain a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b) a material mixing step of dispersing and mixing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together with a filler in water in a mixing tank to obtain a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c) a material filtering step of filtering the pulverized closed nonwoven fabric of the closed nonwoven fabric mixture based on a set size to separate the pulverized closed nonwoven fabric having a size larger than a set size and a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smaller than a set size;
(d) adding a fixing agent to form a raw material by supplying a fixing agent for agglomeration of the crushed waste nonwoven fabric and the filler to the waste nonwoven mixture of the waste nonwoven fabric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set size, water, and a filler; and
(e) a recycled nonwoven fabric is formed using the raw material, but after the raw material is sprayed at high pressure like compressed air into the main body of a sieve equipped with a sieve, the aggregate of the remaining waste non-woven fabric pulverized body and the filler excluding the water is A recycled nonwoven fabric forming step of forming a recycled nonwoven fabric by vacuum dehydration in a state remaining on the sieve,
Step (e) is,
(e1) sidewardly pressing the aggregate remaining on the upper part of the sieve and discharging it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sieve body;
(e2) dehydrating by compressing the aggregate discharged from the filter body; and
(e3) Nonwoven recycl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rying the agglomerate that has undergone the step (e2) at a high temperatu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거름조 본체로의 원료 이송경로인 원료공급배관 내의 원료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유량 측정값에 따라 상기 원료를 거름조 본체 내로 고압 분사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 상태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재활용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step (e),
Non-woven fabric recyc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rate of the raw material in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which is the raw material transport path to the filter body, is measured, and the compressed air supply state for high-pressure injection of the raw material into the filter bod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flow rate measurement value. Way.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폐부직포 혼합물의 형성 과정에서 상기 배합조 내부, 배합조 주변에 발생하는 분진의 제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재활용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tep (b), the nonwoven recycl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l of dust generated in the mixing tank and around the mixing tank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b)단계의 폐부직포 혼합물 중 제1 설정 사이즈 이상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링하여 거르는 제1 재료 필터링단계; 및
(c2) 상기 (c1)단계를 거친 폐부직포 혼합물 중 제2 설정 사이즈 이상의 폐부직포 분쇄체를 필터링하여 거르는 제2 재료 필터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설정 사이즈는 제1 설정 사이즈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재활용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Step (c) is,
(c1) a first material filtering step of filtering the pulverized closed nonwoven fabric having a size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set size amo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of step (b); and
(c2) a second material filtering step of filtering and filtering the pulverized waste nonwoven fabric having a siz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set size among the waste nonwoven fabric mixture that has undergone step (c1),
The second set size is a nonwoven recycl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smaller than the first set size.
KR1020200177188A 2020-12-17 2020-12-17 Non-woven fabric recycling device and recycling method KR1024104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88A KR102410479B1 (en) 2020-12-17 2020-12-17 Non-woven fabric recycling device and recycl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88A KR102410479B1 (en) 2020-12-17 2020-12-17 Non-woven fabric recycling device and recycl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479B1 true KR102410479B1 (en) 2022-06-20

Family

ID=8225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188A KR102410479B1 (en) 2020-12-17 2020-12-17 Non-woven fabric recycling device and recycl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47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6800A (en) * 1996-05-28 1997-12-09 Broadway Holdings Pte Ltd Formation of pulp and apparatus therefor
JP2004091977A (en) * 2002-08-30 2004-03-25 Daio Paper Corp Impurity-removing method in production of waste paper pulp, method for producing waste paper pulp and printing paper
KR100974173B1 (en) 2009-12-10 2010-08-05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Opening device for recycling a compressed waste nonwoven fabric
KR102073899B1 (en) * 2019-01-11 2020-02-05 신동수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non-woven fabric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6800A (en) * 1996-05-28 1997-12-09 Broadway Holdings Pte Ltd Formation of pulp and apparatus therefor
JP2004091977A (en) * 2002-08-30 2004-03-25 Daio Paper Corp Impurity-removing method in production of waste paper pulp, method for producing waste paper pulp and printing paper
KR100974173B1 (en) 2009-12-10 2010-08-05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Opening device for recycling a compressed waste nonwoven fabric
KR102073899B1 (en) * 2019-01-11 2020-02-05 신동수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non-woven fabri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26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non-woven fabric
KR1020738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non-woven fabric
CN106039855B (en) Japanning unit and the method for running japanning unit
US20220010464A1 (en) Method for recycling nonwoven fabric
CN105849328B (en) Sheet production apparatus
JP5160881B2 (en) Rotary blade stirrer and raw material drying method using rotary blade stirrer
CN106390623B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aramid fiber superfine fibre needle thorn filter bag
KR102410210B1 (en) Non-woven fabric recycling device and recycling method
KR102410479B1 (en) Non-woven fabric recycling device and recycling method
KR102458701B1 (en) Method for recycling non-woven fabric
CN206187726U (en) Powder conveying system
CN207287571U (en) A kind of fine grinding comminutor
CN111254584A (en) Fiber stacking device and sheet manufacturing device
KR100831074B1 (en) Suction of water rate reform recycling aggregate creative apparatus
CN210177264U (en) Waste paper recycling machine
CN209379172U (en) A kind of converted starch grinding device
CN104520503A (en) Constant part for security paper
CN208320976U (en) Lucid ganoderma crushing device
RU2814436C1 (en) Cellulose and cellulose-based materials fluffing device
US20210077938A1 (en) Powder collector
US9579773B2 (en) Control loop for abrasive recycling system
CN109879577A (en) Sludge dewatering system
CN218854508U (en) Metal alloy smelting waste residue recovery processing equipment
US10654149B2 (en) Abrasive recycling system
CN211678141U (en) V-type air selecting and drawing device of energy-saving roller p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