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402B1 -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402B1
KR102410402B1 KR1020197003301A KR20197003301A KR102410402B1 KR 102410402 B1 KR102410402 B1 KR 102410402B1 KR 1020197003301 A KR1020197003301 A KR 1020197003301A KR 20197003301 A KR20197003301 A KR 20197003301A KR 102410402 B1 KR102410402 B1 KR 102410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outdoor unit
corners
housing
max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342A (ko
Inventor
신지 고토
히로아키 쿠리하라
스구루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7/01287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93115A1/ko
Publication of KR20190073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0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outlet air in upwar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하우징의 코너부에 있어서 발생하는 프로펠러 팬의 흡입 손실을 저감하고, 송풍의 고효율화 및 저소음화를 실현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용 실외기를 개시한다.
송풍 장치는, 토출구가 형성된 벽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서 토출구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프로펠러 팬과, 프로펠러 팬의 전방에 배치되고, 토출구를 형성하는 디퓨저부를 구비한다. 디퓨저부는 프로펠러 팬의 회전축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프로펠러 팬의 회전축과 경사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디퓨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
본 발명은, 송풍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로서, 도 10 및 도 1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취(橫吹)형 실외기가 있다.
횡취형 실외기는, 하우징의 전방 벽부에 형성된 취출구(吹出口)에 대향하여 프로펠러 팬이 설치되어 있고, 프로펠러 팬의 취출구측에 디퓨저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내에서, 하우징의 후방 벽부 및 좌, 우측벽부의 한 쪽을 따라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횡취형 실외기는, 그 구조상, 디퓨저부를 설치할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고, 디퓨저부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나 취출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에 제약이 있다. 일반적으로, 디퓨저부는 취출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가 큰 쪽이 효율이 좋고, 프로펠러 팬과의 관계에서, 그 경사 각도(개방 각도)기 큰 쪽에 최적값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실외기에 있어서는 각종 부품의 배치 관점에서, 흡입구를 실외기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하우징의 코너부에서 유체 저항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커서 프로펠러 팬의 흡입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하류측에 설치된 팬 가드에 의한 압력 손실도 크기 때문에, 실외기의 고효율화 및 저소음화를 실현하는 것이 어려워 질 수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 에는, 프로펠러 팬의 하류측의 벨 마우스의 개구부(디퓨저부에 대응)에 있어서, 송풍기실 및 기계실의 구획판에 가까운 부분의 곡률 반경과, 실외 열교환기에 가까운 부분의 곡률 반경을, 그들로부터 먼 부분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서는, 벨 마우스의 개구부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벨 마우스의 개구부 중 구획판이나 실외 열교환기에 가까운 부분에 있어서의 공기 흐름의 악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얻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하우징의 코너부의 유체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 손실을 저감할 수 없기 때문에, 여전히 송풍의 고효율화 및 저소음화를 실현하기 어렵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일본특허 공개2013-96622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의 흡입구와 프로펠러 팬의 위치 관계에 의해 발생하는 프로펠러 팬의 흡입 손실을 저감하고, 송풍의 고효율화 및 저소음화를 실현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송풍 장치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는, 토출구가 형성된 벽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토출구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프로펠러 팬과, 상기 프로펠러 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디퓨저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퓨저부는, 상기 프로펠러 팬의 회전축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 팬의 회전축과 상기 경사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디퓨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한다.
상기 벽부는 복수의 코너를 가지는 다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경사각은 상기 벽부의 복수의 코너 중 적어도 하나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최대값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벽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방 벽부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후방 벽부와, 상기 후방 벽부의 양 측에 위치하는 좌 측벽부 및 우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벽부 및 상기 좌, 우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흡입구를 따라 형성되는 열교환기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방 벽부를 형성하는 전방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부는 상기 전방 패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그 경사각이 최대가 되는 최대 경사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최대 경사부는 상기 경사면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벽부는 복수의 코너를 가지는 다각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최대 경사부는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복수의 코너 중 서로 인접한 코너들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벽부는 복수의 코너를 가지는 다각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최대 경사부는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복수의 코너 중 서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는 코너들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그 경사각이 최대가 되는 최대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경사부는 상기 좌 측벽부 및 우 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와 가장 인접한 코너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송풍 장치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프로펠러 팬;과, 상기 프로펠러 팬의 전방에 배치되고, 개구를 가지는 디퓨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 팬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디퓨저의 개구 단부의 반경은 상기 디퓨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한다.
상기 디퓨저의 개구 단부는 그 반경이 최대가 되는 최대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대 경사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부분이 아닌 부분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최대 경사부는 상기 제1 위치와 대향하는 제2 위치에 마련 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의 개구 단부는 그 반경이 최소가 되는 최소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에 마련된 최대 경사부로부터 상기 최소 경사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 위치에 마련된 최대 경사부로부터 상기 최소 경사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전방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벽부는 복수의 코너를 가지는 다각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최대 경사부는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복수의 코너 중 서로 인접한 코너들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전방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벽부는 복수의 코너를 가지는 다각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최대 경사부는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복수의 코너 중 서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는 코너들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전방 벽부와, 상기 전방 벽부의 양 측에 위치하는 좌 측벽부 및 우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경사부는 상기 좌 측벽부 및 우 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와 가장 인접한 코너에 대응되도록 배치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퓨저부가 프로펠러 팬의 흡입 손실이 상대적으로 큰 위치에 최대 경사부를 가지므로, 하우징의 흡입구와 프로펠러 팬의 위치 관계에 의해 발생하는 프로펠러 팬의 흡입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송풍의 고효율화 및 저소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에서 토출구 및 송풍기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의 전방면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 및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의 코너부 및 최대 경사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의 전방면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및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송풍 장치를 사용한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100)는, 횡취형의 실외기로써,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2)과, 하우징(2)에 수용된 실외 열교환기(3)와, 하우징(2)에 수용되어 실외 열교환기(3)로 외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4)를 구비한다.
하우징(2)은, 구획판(21)에 의해 좌우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한 쪽 공간(좌측 공간)(S1)은 실외 열교환기(3) 및 송풍기(4)가 수용되는 송풍실 이고, 다른 쪽 공간(우측 공간)(S2)은 압축기 등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이나 기타 전장 기기가 수용되는 기계실이다.
또한, 하우징(2)의 전방 벽부(2a)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전방 벽부(2a)의 상, 하 두 군데에 토출구(2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벽부(2a)에 있어서, 토출구(2H)가 형성되는 부분은, 송풍실(S1)을 형성하는 부분에 대응된다. 토출구(2H)의 외측에는, 팬 가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의 한 쪽 측벽부(도 2에서는 좌측벽부(2b)) 및 후방 벽부(2c)에는, 하우징(2)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2)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흡입구(2J)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 벽부(2c)에 있어서 흡입구(2J)가 형성되는 부분은, 송풍실(S1)을 형성하는 부분에 대응된다.
실외 열교환기(3)는 하우징(2)의 좌측벽부(2b) 및 후방 벽부(2c)를 따라 대략 L자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3)는 좌측벽부(2b)를 따라 설치된 어느 하나의 열교환 요소와, 후방 벽부(2c)를 따라 설치된 다른 하나의 열교환 요소로 분할된 구조일 수도 있다.
송풍기(4)는 상기 두 개의 토출구(2H)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4)에 의해, 하우징(2)의 좌측벽부(2b) 및 후방 벽부(2c)의 흡입구(2J)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하우징(2)의 전방 벽부(2a)의 토출구(2H)를 통해 공기가 토출된다.
구체적으로 각 송풍기(4)는 토출구(2H)에 대향하여 설치된 프로펠러 팬(축류팬)(41)과, 프로펠러 팬(41)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42)와, 프로펠러 팬(4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벨 마우스부(43)와, 벨 마우스부(43)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디퓨저부(44)를 구비한다.
프로펠러 팬(41) 및 모터(42)는, 하우징(2)의 내부에 고정된 모터 브래킷(지지구)(5)에 의해 토출구(2H)에 대향하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도 2 참조).
디퓨저부(44)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 마우스부(43)의 토출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벨마우스부(43)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전방 벽부(2a)를 구성하는 전방면 패널(2P)과도 일체로 형성된다. 즉, 벨 마우스부(43), 디퓨저부(44) 및 전방면 패널(2P)은 일체 성형품이며, 디퓨저부(44)의 토출측 개구는 토출구(2H)와 동일한 구성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전방면 패널(2P)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두 개의 토출구(2H)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의 실외기(100)에서는, 전방 벽부(2a)의 상, 하 두 군데에 토출구(2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디퓨저부(4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동시에, 프로펠러 팬(41)의 회전축(41x)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44a)를 포함한다. 경사면(44a)과 프로펠러 팬(41)의 회전축(41x)이 이루는 경사 각도(θ)는 디퓨저부(44)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한다.
또한 디퓨저부(44)의 토출측 개구의 개방 치수(D), 즉 디퓨저부(44)의 토출측 개구 단부의 반경은 디퓨저부(44)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한다. 여기서 개방 치수(D)란, 디퓨저부(44)의 반경 방향으로, 토출측 개구의 단부와 프로펠러 팬(41)의 회전축(41x)과의 거리이다. 또한, 디퓨저부(44)의 흡입측 개구는 벨 마우스부(43)와 마찬가지로 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경사면(44a)은 그 단면이 직선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만곡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디퓨저부(44)는, 회전축(41x)의 축방향으로부터 볼 때 그 반경 방향 외측으로 흡입구(2J)가 없는 제1 위치에, 경사 각도(θ) 또는 개방 치수(D)가 최대가 되는 최대 경사부(44M)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디퓨저부(44)는, 전방면 패널(2P)의 4개의 코너부(E1 내지 E4) 중 적어도 구획판(21)측에 있는 코너부(E1, E4)에 인접하는 위치에, 경사 각도(θ) 또는 개방 치수(D)가 최대가 되는 최대 경사부(44M)를 갖는다. 최대 경사부(44M)는 디뷰저부(44)의 경사면(44a)의 일 단부에 형성된다.
이 최대 경사부(44M)는, 프로펠러 팬(41)의 흡입 손실이 그 원주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큰 부분의 유로 저항을 작게 함으로써, 프로펠러 팬(41)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흡입을 균일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코너부(E1)는 상벽부(2e)와 구획판(21)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이고, 제1 코너부(E1)에는 흡입구(2J)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2 코너부(E2)는 상벽부(2e)와 좌벽부(2b)의 상부(흡입구(2J)가 없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이며, 제2 코너부(E2)에는 흡입구(2J)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3 코너부(E3)는, 하벽부(2f)와 좌벽부(2b)의 하부(흡입구(2J)가 없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이고, 제3 코너부(E3)에는 흡입구(2J)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4 코너부(E4)는 하벽부(2f)와 구획판(21)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이고, 제4 코너부(E4)에는 흡입구(2J)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측의 디퓨저부(44)는, 4개의 코너부(E1 내지 E4) 중 3개의 코너부(E1, E2, E4)에 인접하는 위치에 최대 경사부(44M)를 갖는다. 상측의 디퓨저부(44)에 있어서, 3개의 코너부(E1, E2, E4)에 인접하는 위치가, 회전축(41x)의 축방향으로부터 볼 때 반경 방향 외측에 흡입구(2J)가 없는 제1 위치가 된다. 또한, 상측의 디퓨저부(44)에 있어서, 제1 코너부(E1)에 인접하는 부분(제1 위치)에 대향하는 제3 코너부(E3)에 인접하는 부분(제2 위치)에는, 최대 경사부(44M)가 마련되지 않는다.
또한, 하측의 디퓨저부(44)는, 4개의 코너부(E1 내지 E4) 중 3개의 코너부(E1, E3, E4)에 인접하는 위치에 최대 경사부(44M)를 갖는다. 하측의 디퓨저부(44)에 있어서, 3개의 코너부(E1, E3, E4)에 인접하는 위치는, 회전축(41x)의 축방향으로부터 볼 때 반경 방향 외측에 흡입구(2J)가 없는 제1 위치가 된다. 또한, 하측의 디퓨저부(44)에 있어서, 제4 코너부(E4)에 인접하는 부분(제1 위치)에 대향하는 제2 코너부(E2)에 인접하는 부분(제2 위치)에는, 최대 경사부(44M)가 마련되지 않는다.
또한, 상측의 디퓨저부(44)에 있어서, 제3 코너부(E3)에 인접하는 위치에 최대 경사부(44M)를 마련되고, 하측의 디퓨저부(44)에 있어서, 제2 코너부(E2)에 인접하는 위치에 최대 경사부(44M)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이렇게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100)에 의하면, 디퓨저부(44)가, 프로펠러 팬(41)의 흡입 손실이 상대적으로 큰 위치, 즉 전방 벽부(2a)의 코너부(E1 내지 E4)에 인접하는 위치에, 최대 경사부(44M)를 가지므로, 흡입구(2J)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하우징(2)의 코너부(E1 내지 E4)에 있어서 발생하는 프로펠러 팬(41)의 흡입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송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퓨저부(44)의 토출구 측의 유로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팬 가드로의 유입 속도 분포를 가급적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실외기(100)에 있어서의 송풍기(4)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실외기(100)의 고성능화 및 저소음화가 가능하게 된다. 기타, 디퓨저부(44)에 의한 동압(動
Figure 112019011577106-pct00001
) 회수도 기대할 수 있으므로 프로펠러 팬(41)의 실속 내력의 향상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두 군데에 프로펠러 팬(41)(송풍기4)을 설치하고 있으나, 하나의 프로펠러 팬(송풍기)을 갖는 구조일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프로펠러 팬(송풍기)을 갖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방면 패널(2P)에는, 프로펠러 팬의 수와 동일한 수의 토출구 및 디퓨저부가 형성된다.
디퓨저부(44)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두 개의 코너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최대 경사부가 마련될 수 있고(도 7(a) 참조), 어느 하나의 코너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최대 경사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도 7(b) 참조).
특히, 도 7(a)의 경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디퓨저부(44)는 회전축(41x)의 축방향으로부터 볼 때 그 반경 방향 외측에 흡입구(2J)가 없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위치에 대향하는 제2 위치에 최대 경사부(44M)를 가진다. 제1 위치는 제2 코너부(E2)에 인접하는 위치이며, 제2 위치는 제4 코너부(E4)에 인접하는 위치이다.
또한, 디퓨저부(44)에 있어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제3 위치 및 제4 위치에는 최대 경사부(44M)가 마련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3 위치는 제1 코너부(E1)에 인접하는 부위이며, 제4 위치는 제3 코너부(E3)에 인접하는 부위이다.
디퓨저부(44)는, 경사 각도(θ)가 최소가 되거나 또는 개방 치수(D)가 최소가 되는 최소 경사부(44N)를 갖는다. 최소 경사부(44N)는 2개의 최대 경사부(44M) 사이에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제1 위치의 최대 경사부(44M)로부터 최소 경사부(44N)까지의 거리(L1)와, 제2 위치의 최대 경사부(44M)로부터 최소 경사부(44N)까지의 거리(L2)는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상기 실시 형태는 횡취형 실외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취(縱吹)형 실외기에 적용해도 좋다. 즉, 토출구(2H)가 하우징 상벽부(2e)에 형성되어 있고, 토출구(2H)에 대향하여 프로펠러 팬(41)이 배치되고, 하우징(2)의 측벽(2b 내지 2d)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2) 상벽부(2e)에 형성된 토출구(2H)로부터 공기를 토출하는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9에 하나의 프로펠러 팬을 갖는 상취(上吹)형 실외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실외기에서는, 하우징(2)의 측벽(2b~2d)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하우징(2)의 상벽부(2e)의 토출구(2H)를 통해 토출된다. 실외기의 하우징(2)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3)는, 하우징(2)의 좌벽부(2b), 후방벽부(2c) 및 우벽부(2d)를 따라 설치되며, 상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역 ㄷ자 형상을 이룬다. 열교환기(3)의 두 개의 종단부(3x)의 한쪽은, 좌벽부(2b)에 있어서의 전방벽부측에 위치하고 있고, 다른 쪽은, 우벽부(2d)에 있어서의 전방벽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디퓨저부(44)는, 상벽부(2e)의 4개의 코너부(E5~E8) 중, 열교환기(3)의 종단부(3x)가 위치하는 코너부(E5, E8)와 인접하는 위치에, 경사 각도(θ) 또는 개방 치수(D)가 최대가 되는 최대 경사부(44M)를 갖는다.
상기 실시형태들에서는, 디퓨저부(44)에 있어서, 회전축(41x)의 축방향으로부터 볼 때 그 반경 방향 외측에 흡입구(2J)가 없는 위치에 최대 경사부(44M)가 마련되어 있으나, 회전축(41x)의 축방향으로부터 볼 때 프로펠러 팬(41)으로부터 흡입구(2J)가 먼 위치에 최대 경사부(44M)가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구획판(21)이 없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펠러 팬(41)으로부터 흡입구(2J)가 먼 제1 위치란, 프로펠러 팬(41)과 흡입구(2J) 사이에 열교환기(3) 이외의 예를 들면 압축기 등의 기계 부품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로써, 프로펠러 팬(41)과 흡입구(2J) 사이에 상기 기계 부품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보다도 유로가 긴 위치를 의미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 벽부, 후방 벽부, 상기 후방 벽부의 양 측에 위치하는 좌측 벽부 및 우측 벽부, 그리고 상기 전방 벽부에 형성되는 토출구와, 상기 후방 벽부, 상기 좌측 벽부, 및 우측 벽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토출구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프로펠러 팬과,
    상기 프로펠러 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디퓨저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퓨저부는, 상기 프로펠러 팬의 회전축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 팬의 회전축과 상기 경사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디퓨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하며,
    상기 경사면의 상기 경사각은 상기 흡입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 최대가 되고 상기 흡입구에 인접한 영역에서 최소가 되는 최대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경사부는 상기 좌측 벽부 및 상기 우측 벽부 중 적어도 하나와 가장 인접한 코너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방 벽부는 복수의 코너를 가지는 다각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경사각은 상기 전방 벽부의 복수의 코너 중 적어도 하나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최대값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방 벽부를 형성하는 전방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부는 상기 전방 패널과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경사부는 상기 경사면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부는 복수의 코너를 가지는 다각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최대 경사부는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복수의 코너 중 서로 인접한 코너들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부는 복수의 코너를 가지는 다각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최대 경사부는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복수의 코너 중 서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는 코너들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흡입구를 따라 형성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12.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 벽부, 후방 벽부, 상기 후방 벽부의 양 측에 위치하는 좌측 벽부 및 우측 벽부, 그리고 상기 전방 벽부에 형성되는 토출구와, 상기 후방 벽부, 상기 좌측 벽부, 및 우측 벽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프로펠러 팬;과,
    상기 프로펠러 팬의 전방에 배치되고, 개구를 가지는 디퓨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 팬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디퓨저의 개구 단부의 반경은 상기 디퓨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하며,
    상기 디퓨저의 개구 단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부분이 아닌 부분에 대응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위치와 대향하는 제2위치에 마련되는 최대 경사부와, 그 반경이 최소가 되는 최소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에 마련된 최대 경사부로부터 상기 최소 경사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위치에 마련된 최대 경사부로부터 상기 최소 경사부까지의 거리는 서로 다른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경사부는 상기 디퓨저의 개구 단부 반경이 최대가 되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전방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벽부는 복수의 코너를 가지는 다각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최대 경사부는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복수의 코너 중 서로 인접한 코너들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전방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벽부는 복수의 코너를 가지는 다각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최대 경사부는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복수의 코너 중 서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는 코너들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전방 벽부와, 상기 전방 벽부의 양 측에 위치하는 좌측 벽부 및 우측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경사부는 상기 좌측 벽부 및 우측 벽부 중 적어도 하나와 가장 인접한 코너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20197003301A 2016-11-15 2017-11-14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 KR102410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2199 2016-11-15
JP2016222199 2016-11-15
JP2017213284A JP2018084232A (ja) 2016-11-15 2017-11-02 送風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用室外機
JPJP-P-2017-213284 2017-11-02
PCT/KR2017/012871 WO2018093115A1 (ko) 2016-11-15 2017-11-14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342A KR20190073342A (ko) 2019-06-26
KR102410402B1 true KR102410402B1 (ko) 2022-06-20

Family

ID=6223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301A KR102410402B1 (ko) 2016-11-15 2017-11-14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85654B2 (ko)
JP (1) JP2018084232A (ko)
KR (1) KR102410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26150B1 (en) * 2017-12-13 2023-09-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 unit and air conditioning device having same mounted therein
JP7023380B2 (ja) * 2018-10-03 2022-02-21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11639810B2 (en) 2021-09-29 2023-05-02 Mitsubishi Electric Us, Inc. Air handling system and method with angled air diffus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3980A (ja) * 2008-01-31 2009-09-10 Daikin Ind Ltd 送風機、室外機、空気調和装置及び送風機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328A (ko) 2001-10-31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TW200609715A (en) 2004-09-01 2006-03-16 Delta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fan thereof
KR20090076031A (ko) 2008-01-07 2009-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13096622A (ja) 2011-10-31 2013-05-20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5562374B2 (ja) 2012-04-16 2014-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装置
KR101742965B1 (ko) * 2013-12-02 2017-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6385752B2 (ja) * 2013-12-02 2018-09-05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送風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用室外機
WO2017077576A1 (ja) * 2015-11-02 2017-05-1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3980A (ja) * 2008-01-31 2009-09-10 Daikin Ind Ltd 送風機、室外機、空気調和装置及び送風機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84232A (ja) 2018-05-31
KR20190073342A (ko) 2019-06-26
US20190316790A1 (en) 2019-10-17
US11085654B2 (en)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3942B1 (en) Blower and air conditioner
KR102410402B1 (ko)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
KR10171734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595973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US11162693B2 (en) Fan unit,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fan unit
US9863651B2 (en)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08005159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7850318B (zh) 空调机的室内机
JP6139669B2 (ja) 空気調和機
KR200466110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20210123611A1 (en) Diffuser, diffuser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JP2013249994A (ja) 天井埋込ダクト型室内ユニット
JP6095372B2 (ja) 冷凍空調装置
JP7034341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180070253A (ko)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
JP2012017941A (ja) 空気調和機
WO2012133392A1 (ja) 熱源ユニット
WO2018029878A1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6038312A (ja) 空気調和機用室外機ユニット
WO2021255882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0216750A (ja) 空気調和機
KR100762514B1 (ko) 상하 유동분포 차이를 감소시킨 대형 에어컨용 실외기
WO2023002956A1 (ja) 空気調和機
WO2018093115A1 (ko)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
KR20090080749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