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938B1 - 건타입 어항청소장치 - Google Patents

건타입 어항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938B1
KR102409938B1 KR1020200062212A KR20200062212A KR102409938B1 KR 102409938 B1 KR102409938 B1 KR 102409938B1 KR 1020200062212 A KR1020200062212 A KR 1020200062212A KR 20200062212 A KR20200062212 A KR 20200062212A KR 102409938 B1 KR102409938 B1 KR 10240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ressure
pipe
water suction
water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398A (ko
Inventor
오성철
Original Assignee
오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철 filed Critical 오성철
Priority to KR102020006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938B1/ko
Publication of KR2021014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10Cleaning bottoms or walls of pond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건타입 어항청소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건타입 어항청소장치"는 일단이 어항에 삽입되는 물흡입관(110)과; 상기 물흡입관(1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물흡입관(110)으로 진공압을 인가하여 어항의 물이 상기 물흡입관(110)으로 흡입되게 하는 진공압형성건(130)과; 상기 물흡입관(110)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진공압형성건(130)에 결합되어 상기 물흡입관(110)으로 흡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배출호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공압형성건(130)은,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수용부(131a)와, 상기 수평수용부(131a)의 후단에 수직하게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31b)와, 상기 수평수용부(131a)와 상기 손잡이(131b) 사이에 일정길이 수평하게 형성된 트리거수용공간(131c)을 갖는 건본체(131)와; 상기 수평수용부(131a)의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물흡입관(110)과 연결되는 관연결관(132)과; 상기 손잡이(131b)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물배출호스(150)와 연결되는 호스연결관(133)과; 상기 관연결관(132)과 결합되며 압축 및 팽창되며 상기 물흡입관(110)으로 진공압을 인가하는 진공압형성부재(134)와; 상기 트리거수용공간(131c)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며 상기 진공압형성부재(134)를 압축 및 팽창시키는 트리거(137)와; 상기 호스연결관(133)과 상기 진공압형성부재(134)를 연결하는 수직연결관(139)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건타입 어항청소장치{Gun type fish bowl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건타입 어항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별도의 동력사용 없이 어항의 물만 배출시켜 어항을 청소할 수 있는 건타입 어항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고기의 모습을 관찰하고 실내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실내 인테리어를 위해 다양한 장소에서 어항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어항은 물고기기 배설하는 배설물과 물고기의 먹이가 가라 앉아 부패되므로, 어항을 깨끗하게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이 요구된다.
어항에 살고 있는 물고기는 먹이를 먹고 배설물을 배출하게 되고, 물고기에서 배출된 배설물은 어항의 바닥에 가라 앉아 독성이 있는 아질산으로 부패가 진행된다. 이 경우 어항의 물을 갈아 주어야만 물고기의 폐사를 막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어항의 물을 갈아주는 작업은 상당한 번거로움과 물고기를 이동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즉, 어항의 물을 갈아주기 위해서는 물고기를 뜰채 등을 이용해 어항 외부에 별도로 격리시키고, 어항의 물을 바가지 등을 이용해 퍼내고 깨끗한 물을 투입해야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일일이 물을 퍼내야 하므로 체력적 부담이 있었으며, 어항의 크기가 크거나 깊을 경우 팔을 깊이 내려야 하므로 물을 퍼내는 과정 자체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또한, 물을 퍼낼 때 어항 내부를 장식하기 위해 사용된 작은 돌멩이나 장식부재가 함께 배출되어 사용자가 다시 돌멩이나 장식부재를 골라 어항에 투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486155호, "어항청소도구"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370594호, "어항 청소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항 내부로 일정 길이의 관을 삽입하고 진공압을 이용해 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건타입 어항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타입으로 사용자가 트리거를 조작하는 동작에 의해 간편하게 어항을 청소할 수 있는 건타입 어항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항을 장식하는 바닥재와 장식부재를 제외하고 물만 흡입할 수 있는 건타입 어항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어항 내부로 손을 넣지 않고도 진공압형성관의 위치를 이동시키며 어항을 청소할 수 있는 건타입 어항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한 건타입 어항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타입 어항청소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타입 어항청소장치는, 일단이 어항에 삽입되는 물흡입관(110)과; 상기 물흡입관(1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물흡입관(110)으로 진공압을 인가하여 어항의 물이 상기 물흡입관(110)으로 흡입되게 하는 진공압형성건(130)과; 상기 물흡입관(110)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진공압형성건(130)에 결합되어 상기 물흡입관(110)으로 흡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배출호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공압형성건(130)은,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수용부(131a)와, 상기 수평수용부(131a)의 후단에 수직하게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31b)와, 상기 수평수용부(131a)와 상기 손잡이(131b) 사이에 일정길이 수평하게 형성된 트리거수용공간(131c)을 갖는 건본체(131)와; 상기 수평수용부(131a)의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물흡입관(110)과 연결되는 관연결관(132)과; 상기 손잡이(131b)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물배출호스(150)와 연결되는 호스연결관(133)과; 상기 관연결관(132)과 결합되며 압축 및 팽창되며 상기 물흡입관(110)으로 진공압을 인가하는 진공압형성부재(134)와; 상기 트리거수용공간(131c)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며 상기 진공압형성부재(134)를 압축 및 팽창시키는 트리거(137)와; 상기 호스연결관(133)과 상기 진공압형성부재(134)를 연결하는 수직연결관(139)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어항 속에 바가지 등을 넣어 물을 퍼내지 않고 어항 내부로 일정 길이의 관을 삽입한 후 진공압을 이용해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체력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건타입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트리거를 반복 조작하는 동작만으로 물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므로 간편하게 어항을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흡입관과 진공압형성건의 연결부위에 필터캡이 구비되어 물과 함께 흡입되는 돌멩이를 비롯한 어항 속 바닥부재 또는 장식부재 등을 걸러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분해 및 조립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분해 후 청소가 용이하며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건타입 어항청소장치는 어항이 깊어 사용자가 진공압형성건으로 위치 조절이 어려울 경우 자력을 이용해 물흡입관의 위치를 어항 밖에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손을 넣지 않고도 청소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의 진공압형성건의 내부구조와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의 필터캡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를 이용해 어항을 청소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건타입 어항청소장치(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건타입 어항청소장치(100)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100)는 어항(A) 내부로 삽입되어 진공압에 의해 물을 흡입하는 물흡입관(110)과, 물흡입관(11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물흡입관(110)에 진공압이 인가되게 하는 진공압형성건(130)과, 진공압형성건(130)의 전방에 구비되어 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캡(140)과, 물흡입관(110)의 후단에 결합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배출호스(150)와, 물배출호스(150)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는 배출량조절밸브(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진공압형성건(130)을 잡은 상태로 트리거(137)를 가압하는 조작에 의해 어항(A) 내부로 삽입된 물흡입관(110)에 진공압이 인가되어 물(W)이 물흡입관(110)으로 흡입된 후 진공압형성건(130)과 물배출호스(15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필터캡(140)을 통해 물을 제외한 장식부재나 바닥재와 같은 이물질이 걸러져 어항(A)의 물만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종래 사용자가 물을 퍼내던 번거로운 과정 없이 손으로 진공압형성건(130)을 잡은 상태로 손가락을 이용해 트리거(137)를 조작하는 동작만으로 어항을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흡입관(1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항(A)의 내부로 선단이 삽입되고 진공압형성건(130)에서 형성된 진공압을 물(W)로 인가하여 어항(A)의 물(W)이 흡입되게 한다. 물흡입관(110)은 일정길이를 갖는 투명관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물흡입관(110)을 통해 물이 흡입되는 과정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물흡입관(110)의 선단에는 진공압인가헤드(120)가 결합되고, 물흡입관(110)의 후단은 진공압형성건(130)의 관연결관(132)과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흡입관(110)의 외경은 관연결관(132)의 내경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관연결관(132) 내부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된다.
물흡입관(110)에는 어항(A)의 깊이에 따라 확장관(110a)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흡입관(110)과 확장관(110a)은 연결관(111)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물흡입관(110)과 확장관(110a)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연결관(111)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물흡입관(110)과 확장관(110a)이 결합되는 경우 확장관(110a)의 후단이 관연결관(132)에 결합된다.
진공압인가헤드(120)는 물흡입관(1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어항(A) 내부로 진공압을 인가하고 물이 흡입되게 한다. 진공압인가헤드(120)는 물흡입관(110)이 원형인데 반해 세로폭보다 가로폭이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진공압이 보다 강하게 물로 인가되게 한다.
진공압인가헤드(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흡입관(110)에 끼워지는 결합관(121)과, 결합관(121)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볼베어링(122)과, 볼베어링(122)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결합부재(125)와, 베어링결합부재(125)에 일체로 형성되며 물이 흡입되는 물흡입노즐(123)을 포함한다.
진공압인가헤드(120)는 물 속으로 보다 강한 진공압이 인가되도록 하고, 크기가 큰 이물질을 1차로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물흡입노즐(123)은 폭이 좁은 직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물흡입노즐(123) 보다 큰 크기의 이물질은 물흡입관(110)으로 흡입되지 못하게 된다.
볼베어링(122)과 베어링결합부재(125)는 물흡입노즐(123)이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물을 흡입할 수 있게 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물흡입관(110)을 어항(A) 바닥의 바닥재(C) 내부로 삽입한 상태로 이동시키며 물(W)을 흡입하며 바닥재(C) 사이사이에 잔류하는 분비물들을 흡입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물흡입노즐(123)의 방향이 자유롭게 조절되며 다양한 장식물을 피해 물을 흡입할 수 있게 한다.
진공압형성건(13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흡입관(110)으로 진공압을 인가하여 물흡입관(110)을 통해 어항(A)의 물이 흡입되게 한다. 도 4의 (a)와 (b)는 진공압형성건(13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압형성건(130)은 건본체(131)와, 건본체(131)의 선단에 구비되어 물흡입관(110)과 연결되는 관연결관(132)과, 건본체(131)의 후단에 구비되어 물배출호스(150)와 연결되는 호스연결관(133)과, 관연결관(132)에 결합되어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압형성부재(134)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전후로 조작되며 진공압형성부재(134)가 진공압을 형성하게 하는 트리거(137)와, 진공압형성부재(134)의 후단에 구비되는 절곡부재(138)와, 절곡부재(138)와 호스연결관(133)을 연결하는 수직연결관(139)을 포함한다.
건본체(131)는 좌우 한 쌍의 케이싱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건본체(131)는 수평수용부(131a)과, 수평수용부(131a)의 후단에 수직하게 형성된 손잡이(131b)와, 수평수용부(131a)과 손잡이(131b)의 연결영역에 구비된 트리거수용공간(131c)과, 트리거수용공간(131c)의 상부에 수평수용부(131a)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안내축수용공간(131e)을 포함한다.
건본체(131)는 전체적으로 총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31b)를 손으로 잡아 진공압형성건(130)에 결합된 물흡입관(110)까지 조작할 수 있게 구비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본체(131)의 손잡이(131b)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물흡입관(110)을 어항(A)에 넣고 건본체(131)의 위치를 이동시켜 물흡입관(11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수평수용부(131a)의 선단에는 관연결관(132)이 배치되고, 후단에는 절곡부재(138)가 배치된다. 손잡이(131b)의 하부에는 호스연결관(133)이 배치된다. 관연결관(132)과 절곡부재(138) 사이에 진공압형성부재(134)가 배치되고, 절곡부재(138)와 호스연결관(133) 사이에 수직연결관(139)이 배치된다. 이에 의해 물흡입관(110)을 통해 흡입된 물이 관연결관(132)과 진공압형성부재(134), 절곡부재(138), 수직연결관(139), 호스연결관(133)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물배출호스(150)로 이동하게 된다.
관연결관(132), 진공압형성부재(134), 절곡부재(138), 수직연결관(139) 및 호스연결관(133)은 모두 내부에 물이 이동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트리거수용공간(131c)에는 트리거(137)가 트리거수용공간(131c)의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되게 배치된다. 트리거수용공간(131c)의 내벽면에는 트리거(137)가 전후로 직선 이동되도록 트리거(137)의 이동을 안내하는 트리거안내레일(131d)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안내축수용공간(131e)에는 브릿지안내축(137c)이 배치되어, 트리거브릿지(137b)의 직선이동을 안내한다.
관연결관(132)은 물흡입관(110)과 연결되어, 물흡입관(110)을 통해 흡입된 물이 진공압형성건(1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관연결관(132)의 선단에는 필터캡(140)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 5는 필터캡(14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캡(140)은 관연결관(132)이 선단에 구비되어 물흡입관(110)을 통해 흡입된 물 속의 이물질이 관연결관(132)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필터캡(140)은 가운데 영역에 형성된 원판 형상의 돌출판(141)과, 돌출판(141)의 외주연과 관연결관(132)의 내벽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복수개의 경사연결부재(144)를 포함한다. 돌출판(141)의 판면에는 복수개의 제1물유입공(142)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경사연결부재(144) 사이에는 제2물유입공(145)이 형성된다.
돌출판(141)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경사연결부재(144)가 경사지게 관연결관(132)의 내벽면을 연결하므로 관연결관(132)의 내벽면과 경사연결부재(144)에는 함몰된 사이드회피홈(143)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돌출판(141)의 제1물유입공(142)에 막혀 이동이 차단된 돌멩이와 같은 이물질이 돌출판(141)으로부터 밀려 사이드회피홈(143)에 수용되어 물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제1물유입공(142)은 어항(A)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재가 유입되지 못하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제2물유입공(145)은 경사면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배설물 등이 제2물유입공(14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진공압형성부재(134)는 트리거(137)의 전후 이동에 연동하여 체적이 압축 또는 팽창되며 진공압을 형성한다. 진공압형성부재(134)는 전방자바라(134a)와 후방자바라(134b)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전방자바라(134a)와 후방자바라(134b)는 자바라연결부재(134c)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전방자바라(134a)와 후방자바라(134b)는 도 4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과 팽창이 서로 교번적으로 일어나게 구비된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137)가 가압되기 전 상태에서는 전방자바라(134a)가 압축되고 후방자바라(134b)는 팽창된 상태로 위치된다(ℓ1<ℓ2). 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137)가 가압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면, 전방자바라(134a)는 팽창되고 후방자바라(134b)는 압축된다(ℓ3>ℓ4).
이렇게 한 쌍의 자바라(134a,134b)가 서로 교번적으로 팽창 및 압축되며 사용자가 트리거(137)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는 두 동작 모두에 물흡입관(110)으로 진공압이 인가될 수 있다.
트리거(137)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어 전후로 이동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137)는 전방이 건본체(131)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노출된 트리거(137)를 가압하게 된다.
트리거(137)의 상부에는 트리거브릿지(137b)가 수평하게 형성된다. 트리거브릿지(137b)는 트리거(137)가 반복적으로 전후로 이동될 수 있게 트리거(137)의 이동을 안내한다. 트리거브릿지(137b)는 중공관 형태로 구비되고, 내부에 브릿지안내축(137c)이 수용된다. 브릿지안내축(137c)과 트리거브릿지(137b)는 트리거수용공간(131c)에 수용된다.
브릿지안내축(137c)의 후단에는 복귀스프링(137d)이 구비된다. 복귀스프링(137d)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 트리거(137)가 다시 전방으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한다.
브릿지안내축(137c)의 상부에는 자바라연결부재(134c)와 결합되는 자바라결합부재(137e)가 구비된다. 자바라결합부재(137e)는 트리거브릿지(137b)와 일체로 고정결합되어 트리거브릿지(137b)의 전후이동을 자바라연결부재(134c)로 전달한다. 이에 의해 전방자바라(134a)와 후방자바라(134b)가 압축 및 팽창될 수 있다.
물배출호스(150)는 호스연결관(133)에 결합되며, 진공압형성건(130)을 경유한 물을 폐수저장조(B)로 배출하거나 외부로 배출한다. 물배출호스(150)는 투명한 호스로 구비된다.
물배출호스(150)의 일단은 호스연결관(133)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타영역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물배출호스(150)의 경로 상에는 호스고정클램프(160)가 결합될 수 있다. 호스고정클램프(160)는 연질재질의 물배출호스(150)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타물품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호스고정클램프(160)는 물배출호스(150)의 길이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물배출호스(150)의 경로 상에는 물배출호스(15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량조절밸브(170)가 구비된다. 배출량조절밸브(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재질로 형성된다. 배출량조절밸브(170)의 측면에는 물배출호스(150)가 삽입되는 호스삽입홈(171)이 물배출호스(150)의 외경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다. 호스삽입홈(171)의 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배출량조절슬릿(173)이 일정 길이 형성된다.
이 때, 배출량조절슬릿(173)의 폭은 호스삽입홈(171)으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물배출호스(150)를 배출량조절슬릿(173)에 삽입하는 위치에 따라 물배출호스(150)의 면적이 좁아져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된 상태의 건타입 어항청소장치(100)의 각 구성들을 서로 조립한다. 이를 위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압형성건(130)의 선단의 관연결관(132)의 내부로 물흡입관(110)을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물흡입관(110)의 선단에 진공압인가헤드(120)를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진공압형성건(130)의 손잡이(131b) 하부로 일정길이 노출된 호스연결관(133)에 물흡입관(110)의 상단을 끼워 위치를 고정한다.
사용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배출호스(150)의 경로 상에 배출량조절밸브(170)를 끼우고, 배출량조절밸브(170)의 배출량조절슬릿(173)에 물배출호스(150)가 배치되는 위치를 조절한다. 배출량조절슬릿(173)의 상단에 위치될수록 배출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건타입 어항청소장치(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흡입관(110)의 선단을 어항(A) 내부로 삽입한다. 그리고, 진공압인가헤드(120)를 바닥 측에 배치하고 트리거(137)를 가압 및 가압해제한다. 트리거(137)의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반복 동작에 의해 전방자바라(134a)과 후방자바라(134b)가 교번적으로 압축 및 팽창되며 물흡입관(110)으로 진공압을 인가하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항(A)의 물(W)이 진공압인가헤드(120)로 흡입된다.
이 과정에서 어항(A)의 물(W)에 어항(A)의 바닥재(C)를 비롯한 장식물품들이 함께 흡입되고, 진공압인가헤드(120)에서 1차로 걸러진 후, 필터캡(140)에서 2차로 걸러진다.
물(W)은 물흡입관(110), 관연결관(132), 진공압형성부재(134), 절곡부재(138), 수직연결관(139), 호스연결관(133) 및 물배출호스(150)를 경유하며 폐수저장조(B)로 배출된다.
사용자는 진공압형성건(130)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어항(A)의 외측에서 위치를 이동하여 어항(A) 내부 구석구석을 청소하며 물을 흡입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물을 직접 퍼내지 않고 진공압을 이용해 어항(A)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어항을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어항의 크기가 크고 깊이가 깊을 경우 물흡입관(110)의 선단 위치를 고정한 상태로 물을 흡입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건타입 어항청소장치(100a)가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건타입 어항청소장치(100a)는 물흡입관(110)의 외측에 물흡입관고정부재(180)가 결합될 수 있다.
물흡입관고정부재(180)는 어항(A)의 내벽면에 진공압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물흡입관고정부재(180)는 물흡입관(110)에 흡입관결합링(181)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물흡입관(110)의 위치를 어항(A) 하부 내벽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트리거(137)만 반복 조작하여 어항(A) 내부의 청소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어항의 깊이가 깊을 경우, 물흡입관(110)에 확장관(110a)을 연장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진공압형성건(130)을 이용해 길이가 긴 물흡입관(110)과 확장관(110a)을 물속에서 이동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즉, 깊이가 깊을 경우 물의 저항에 의해 물흡입관(110)과 확장관(110a)을 이동시키는데 힘이 들게 된다.
이 경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100b)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100b)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흡입관이동수단(190)이 결합될 수 있다. 물흡입관이동수단(190)은 물흡입관(110)에 결합되는 흡입관결합링(191)과, 흡입관결합링(181)에 고정결합되는 내부자석(193)과, 어항(A)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자석(195)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외부자석(195)을 내부자석(193)이 위치된 어항(A)의 바깥 쪽 표면에 배치하고 외부자석(195)을 손잡이(131b)를 이용해 청소를 희망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물흡입관(110)이 자력에 의해 이동되며 어항(A) 바닥을 청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어항 안으로 손을 넣지 않고 외부에서 물흡입관(110)의 위치를 조절하며 어항 청소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어항 속에 바가지 등을 넣어 물을 퍼내지 않고 어항 내부로 일정 길이의 관을 삽입한 후 진공압을 이용해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체력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건타입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트리거를 반복 조작하는 동작만으로 물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므로 간편하게 어항을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흡입관과 진공압형성건의 연결부위에 필터캡이 구비되어 물과 함께 흡입되는 돌멩이를 비롯한 어항 속 바닥부재 또는 장식부재 등을 걸러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어항청소장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분해 및 조립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분해 후 청소가 용이하며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건타입 어항청소장치는 어항이 깊어 사용자가 진공압형성건으로 위치 조절이 어려울 경우 자력을 이용해 물흡입관의 위치를 어항 밖에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손을 넣지 않고도 청소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건타입 어항청소장치 110 : 물흡입관
110a : 확장관 111 : 연결관
120 : 진공압인가헤드 121 : 결합관
122 : 볼베어링 123 : 물흡입노즐
125 : 베어링결합부재 130 : 진공압형성건
131 : 건본체 131a : 수평수용공간
131b : 손잡이 131c : 트리거수용공간
131d : 트리거안내레일 131e : 안내축수용공간
132 : 관연결관 133 : 호스연결관
134 : 진공압형성부재 134a : 전방자바라
134b : 후방자바라 134c : 자바라연결부재
137 : 트리거 137b : 트리거브릿지
137c : 브릿지안내축 137d : 복귀스프링
137e: 자바라결합부재 138 : 절곡부재
139 : 수직연결관 140 : 필터캡
141 : 돌출판 142 : 제1물유입공
143 : 사이드회피홈 144 : 경사연결부재
145 : 제2물유입공 150 : 물배출호스
160 : 호스고정클램프 170 : 배출량조절밸브
171 : 호스삽입홈 173 : 배출량조절슬릿
180 : 물흡입관고정부재 181 : 흡입관결합링
190 : 물흡입관이동수단 191 : 흡입관결합링
193 : 내부자석 195 : 외부자석
196 : 손잡이
A : 어항
B : 폐수저장조
C : 바닥재
W : 물

Claims (5)

  1. 일단이 어항에 삽입되는 물흡입관(110)과;
    상기 물흡입관(1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물흡입관(110)으로 진공압을 인가하여 어항의 물이 상기 물흡입관(110)으로 흡입되게 하는 진공압형성건(130)과;
    상기 물흡입관(110)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진공압형성건(130)에 결합되어 상기 물흡입관(110)으로 흡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배출호스(150)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압형성건(130)은,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수용부(131a)와, 상기 수평수용부(131a)의 후단에 수직하게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31b)와, 상기 수평수용부(131a)와 상기 손잡이(131b) 사이에 일정길이 수평하게 형성된 트리거수용공간(131c)을 갖는 건본체(131)와;
    상기 수평수용부(131a)의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물흡입관(110)과 연결되는 관연결관(132)과;
    상기 손잡이(131b)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물배출호스(150)와 연결되는 호스연결관(133)과;
    상기 관연결관(132)과 결합되며 압축 및 팽창되며 상기 물흡입관(110)으로 진공압을 인가하는 진공압형성부재(134)와;
    상기 트리거수용공간(131c)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며 상기 진공압형성부재(134)를 압축 및 팽창시키는 트리거(137)와;
    상기 호스연결관(133)과 상기 진공압형성부재(134)를 연결하는 수직연결관(1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타입 어항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압형성부재(134)는 상기 관연결관(132)과 결합되는 전방자바라(134a)와, 상기 수직연결관(139)과 결합되는 후방자바라(134b)와, 상기 전방자바라(134a)와 상기 후방자바라(134b)를 서로 연결하는 자바라연결부재(134c)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137)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브릿지안내축(137c)과;
    상기 브릿지안내축(137c)에 결합되며 하부가 상기 트리거(137)와 고정결합되어 상기 트리거(137)의 전후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브릿지안내축(137c)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트리거브릿지(137b)와;
    상기 트리거브릿지(137b)와 상기 자바라연결부재(134c)를 연결하여 상기 트리거(137)의 전후이동을 상기 진공압형성부재(134)로 전달하는 자바라결합부재(137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타입 어항청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어항의 깊이에 따라 상기 물흡입관(110)과 상기 관연결관(132)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장관(110a)과;
    상기 물흡입관(1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어항 내부로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압인가헤드(120)와;
    상기 관연결관(132)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어항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캡(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압인가헤드(120)는,
    상기 물흡입관(110)에 결합되는 결합관(121)과;
    상기 결합관(121)의 선단에 구비된 볼베어링(122)과;
    상기 볼베어링(122)에 결합되는 베어링결합부재(125)와;
    상기 베어링결합부재(125)에 결합되어 물이 흡입되는 물흡입노즐(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타입 어항청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캡(140)은,
    판면에 제1물유입공(142)이 복수개 형성된 원형 돌출판(141)과;
    상기 원형 돌출판(141)의 외주연을 따라 경사지게 상기 관연결관(132)의 선단 내벽면을 연결하며 제2물유입공(145)이 형성된 경사연결부재(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타입 어항청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흡입관(110)의 경로 상에 구비되며 상기 어항의 내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물흡입관(110)을 어항 내부에 고정하는 물흡입관고정부재(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타입 어항청소장치.
KR1020200062212A 2020-05-25 2020-05-25 건타입 어항청소장치 KR10240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212A KR102409938B1 (ko) 2020-05-25 2020-05-25 건타입 어항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212A KR102409938B1 (ko) 2020-05-25 2020-05-25 건타입 어항청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398A KR20210145398A (ko) 2021-12-02
KR102409938B1 true KR102409938B1 (ko) 2022-06-15

Family

ID=7886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212A KR102409938B1 (ko) 2020-05-25 2020-05-25 건타입 어항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9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54371B (zh) * 2024-03-07 2024-05-03 山东建筑大学 一种自动清洁的城市规划布局展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737B2 (ja) 1999-08-05 2000-07-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
JP2001157804A (ja) 1999-12-03 2001-06-12 Yoshihiro Inagaki 浄化装置つき還流型水槽電動掃除機
JP2016119907A (ja) 2016-02-26 2016-07-07 三晃海洋開発株式会社 水槽底掃除システム
KR101968939B1 (ko) 2017-04-28 2019-04-15 씨엠코리아주식회사 어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식 피쉬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56U (ja) * 1983-07-09 1985-02-01 北野 一幸 水槽ごみとり器
JP3069737U (ja) * 1999-12-17 2000-06-30 昭雄 酒井 魚の水槽
KR200370594Y1 (ko) 2004-08-23 2004-12-17 유귀식 어항 청소기
KR200486155Y1 (ko) 2017-06-07 2018-04-09 정현욱 어항청소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737B2 (ja) 1999-08-05 2000-07-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
JP2001157804A (ja) 1999-12-03 2001-06-12 Yoshihiro Inagaki 浄化装置つき還流型水槽電動掃除機
JP2016119907A (ja) 2016-02-26 2016-07-07 三晃海洋開発株式会社 水槽底掃除システム
KR101968939B1 (ko) 2017-04-28 2019-04-15 씨엠코리아주식회사 어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식 피쉬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398A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467790B (zh) 用于清洁的系统
KR102409938B1 (ko) 건타입 어항청소장치
EP2611345B1 (en) Surface cleaning machine
JP2019130532A (ja) 器具ヘッド清掃システム
CN108348125A (zh) 提取器清洁机
USD496512S1 (en) Handle for use with disposable cleaning head
JP2013509915A (ja) エアウォーターバキュームシリンジ及び使用方法
US20130090665A1 (en) Tonsil Debris Removal
US7004663B1 (en) Bathroom cleaning device
KR102348032B1 (ko)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DE602005022091D1 (de) Teichfilter
JP2011109950A (ja) 濾過装置
KR20210068026A (ko) 흡입 및 압력 기능이 있는 다기능 샤워헤드 부착 장치
USD495386S1 (en) Game ball
KR100751472B1 (ko) 진공청소기
KR100775548B1 (ko) 사용이 편리한 양면 유리창 청소기.
US2927338A (en) Apparatus for cleaning a dust mop
JP7466608B2 (ja) 流体材料磁性不純物分離機、合体設備および分離法
CN216058843U (zh) 一种循环生态养鱼装置
CN217886263U (zh) 冲牙器及其喷嘴
CN216419942U (zh) 一种椅背喷胶装置
CN209482728U (zh) 一种模板沟槽清理工具
KR200188049Y1 (ko) 공기주입용 펌프
CN206062744U (zh) 一种新型花瓶底座
KR200363993Y1 (ko) 양식어장의 오니 제거용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