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924B1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924B1
KR102409924B1 KR1020150164269A KR20150164269A KR102409924B1 KR 102409924 B1 KR102409924 B1 KR 102409924B1 KR 1020150164269 A KR1020150164269 A KR 1020150164269A KR 20150164269 A KR20150164269 A KR 20150164269A KR 102409924 B1 KR102409924 B1 KR 102409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ensing
data driving
volt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235A (ko
Inventor
김수진
이종재
남양욱
이대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924B1/ko
Priority to US15/228,998 priority patent/US10255841B2/en
Publication of KR2017006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235A/ko
Priority to US16/293,334 priority patent/US1065072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5Reduction of instantaneous peaks of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표시 장치는 제1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데이터 구동회로 및 제1 센싱부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구동칩, 제2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데이터 구동회로 및 제2 센싱부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 구동칩, 및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칩들에 각각 공급되는 제1 및 제2 전원들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제1 전원 전류를 근거로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센싱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제2 전원 전류를 근거로 제2 전원 전류를 근거로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센싱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신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전원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전류를 센싱하여, 표시 패널의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표시장치는 복수 개의 화소전극들, 상기 복수 개의 화소전극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스위칭 소자, 및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과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여러 종류의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입력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AC/DC 변환부, 상기 변환된 직류전원을 아날로그 구동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 회로부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 구동전압은 전원 레귤레이터에서 기준전원이 소정의 레벨로 조정된 다음, 전하 펌프와 같은 승압회로(booster circuit)에서 승압시켜 생성된다.
상기 아날로그 구동전압은 상기 표시장치를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에 인가되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상기 아날로그 구동전압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고, 복수의 버퍼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구동칩에 공급되는 전원들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표시 장치는 제1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데이터 구동회로 및 제1 센싱부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구동칩, 제2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데이터 구동회로 및 제2 센싱부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 구동칩, 및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칩들에 각각 공급되는 제1 및 제2 전원들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제1 전원 전류를 근거로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센싱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제2 전원 전류를 근거로 제2 전원 전류를 근거로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센싱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신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전원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한다.
상기 제1 전원 전류는 상기 제1 데이터 구동 회로의 제1 전원 포트에 흐르는 전류이며, 상기 제1 전원 포트는 상기 전원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2 전원 전류는 상기 제2 데이터 구동 회로의 제2 전원 포트에 흐르는 전류이며, 상기 제2 전원 포트는 상기 전원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제1 전원 전류가 흐르는 제1 센싱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제2 전원 전류가 흐르는 제2 센싱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 저항의 일단은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의 제1 접지 단자와 연결되고
, 상기 제2 센싱 저항의 일단은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의 제2 접지 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제1 저항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1 센싱 전압을 수신받는 제1 입력 단자, 기준 전압을 수신받는 제1 기준 단자, 및 제1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제2 센싱 저항의 타단과 연결되어 제2 센싱 전압을 수신받는 제2 입력 단자, 상기 기준 전압을 수신받는 제2 기준 단자, 및 제2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비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교신호는 상기 제1 센싱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근거로 생성되고, 상기 제2 비교신호는 상기 제2 센싱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근거로 생성된다.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제1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상기 전원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1 출력 전극, 및 풀다운 전압 수신하는 제1 풀다운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제2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제2 입력 전극, 상기 전원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2 출력 전극, 및 상기 풀다운 전압을 수신하는 제2 풀다운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제1 풀업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제2 풀업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풀업 저항의 일단은 풀업 전압을 수신 받고, 상기 제1 풀업 저항의 타단은 상기 제1 출력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풀업 저항의 일단은 상기 풀업 전압을 수신 받고, 상기 제2 풀업 저항의 타단은 상기 제2 출력 전극과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센싱 전압들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비교신호들은 하이 전압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는 턴-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싱 전압들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비교신호들은 로우 전압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는 턴-오프된다.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들이 턴-온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신호들 각각은 상기 풀다운 전압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들이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신호들 각각은 상기 풀업 전압을 갖는다.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칩들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구동칩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원들 각각을 차단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센싱부들과 각각 연결되는 제1 서브 전원 제어부 및 제2 서브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1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서브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2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제1 전원 전류가 흐르는 제1 센싱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제2 전원 전류가 흐르는 제2 센싱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 저항의 일단은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의 제1 전원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센싱 저항의 일단은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의 제2 전원 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제1 저항의 타단과 연결되어 제1 센싱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입력 단자,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1 기준 단자, 및 제1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제2 센싱 저항의 타단과 연결되어 제2 센싱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단자, 상기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기준 단자, 및 제2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비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표시 장치 구동 방법은 제1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제1 전원 전류를 근거로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센싱한 결과를 근거로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2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제2 전원 전류를 근거로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센싱한 결과를 근거로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신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근거로 상기 제1 데이터 구동 회로에 제공되는 제1 전원 및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에 제공되는 제2 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 전압 및 상기 제1 전원 전류가 흐르는 제1 센싱 저항에 인가된 제1 센싱 전압을 비교 하여 제1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 전압 및 상기 제2 전원 전류가 흐르는 제2 센싱 저항에 인가된 제2 센싱 전압을 비교 하여 제2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교신호에 응답하여, 풀업 전압 또는 풀다운 전압을 상기 제1 신호로써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교신호가 하이 전압일 때, 상기 하이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풀다운 전압을 상기 제1 신호로써,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교신호가 로우 전압일 때, 상기 로우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풀업 전압을 상기 제1 신호로써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전원 전류는 상기 제1 데이터 구동 회로의 제1 전원 포트에 흐르는 전류이며, 상기 제1 전원 포트는 상기 제1 및 제2 전원들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 전류는 상기 제2 데이터 구동 회로의 제2 전원 포트에 흐르는 전류이며, 상기 제2 전원 포트는 상기 전원 제어부와 연결된다.
상기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1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2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제1 데이터 신호를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에 공급하고,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제2 데이터 신호를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 각각에 센싱 저항이 구비하여 각각의 센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 각각에 흐르는 과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과전류를 측정하는 비교부 및 스위칭부를 데이터 구동칩에 직접 실장하도록 하여, 공정상의 편의를 도모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데이터 구동회로, 제1 센싱부, 제2 데이터 구동회로, 및 제2 센싱부의 개략적인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인쇄 회로 기판(100), 연성 회로 기판(FPCB), 복수의 구동칩(DC), 전원 제어부(202), 및 표시 패널(DP)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표시 영역(DA)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각각 상기 인쇄 회로 기판(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 및 영상 데이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상기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들(GL1~GLn), 데이터 라인들(DL1~DLm), 및 서브 화소들(SPX)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GLn)은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DLm)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GLn)과 절연되게 교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DLm)은 상기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 되고, 상기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 싸는 비표시 영역(NDA)에 구비된 구동 배선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배선들은 상기 서브 화소들(SPX)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들을 전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화소들(SPX)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는 게이트 신호(미도시) 및 데이터 신호(미도시)일 수 있다.
상기 서브 화소들(SPX) 각각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GLn) 중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DLm)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다.
상기 서브 화소들(SPX)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DR1, DR2)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화소들(SPX)은 레드, 그린 및 블루와 같은 주요색(primary color)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화소들(SPX)이 표시할 수 있는 컬러는 레드, 그린 및 블루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서브 화소들(SPX)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컬러 이외에 화이트 또는 옐로우, 시안, 및 마젠타와 같은 2차 주요색(secondary primary color) 등 다양한 색을 표시 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화소들(SPX)은 화소(PX)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세 개의 상기 서브 화소들(SPX)은 하나의 상기 화소(PX)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 되지 않고, 두 개, 네 개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서브 화소들(SPX)이 하나의 상기 화소(PX)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화소(PX)는 단위 영상을 표시하는 소자이며, 상기 표시 패널(DP)(DP)에 구비된 상기 화소(PX)의 개수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DP)의 해상도가 결정 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상기 화소(PX)만을 도시하였으며 나머지 화소들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FPCB)은 상기 표시 패널(DP)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10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FPCB)은 복수의 구동칩(D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동칩(DC)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Tape Carrier Package)로 상기 연성 회로 기판(FPCB)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동칩(DC) 각각은 데이터 드라이버(미도시)를 구현한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구동칩(DC) 각각은 게이트 드라이버(미도시) 구현한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1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FPCB)에 실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FPCB)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복수의 구동칩(DC) 각각은 상기 전원 제어부(20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복수의 구동칩(DC) 각각에 형성된 회로는 상기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복수의 구동칩(DC) 각각에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를 구현한 회로가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제어부(20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구동칩(DC) 각각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복수의 구동칩(DC)의 일 예로 제1 데이터 구동칩(DC1) 및 제2 데이터 구동칩(DC2)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복수의 구동칩(DC)은 2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구동칩(DC1)은 상기 데이터 신호로써, 제1 데이터 신호(미도시)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통해서 상기 서브 화소들(SPX)에 출력하여, 상기 서브 화소들(SPX)을 구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데이터 구동칩(DC2)은 상기 데이터 신호로써, 제2 데이터 신호(미도시)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통해서 상기 서브 화소들(SPX)에 출력하여 상기 서브 화소들(SPX)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칩(DC1, DC2)은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화소들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2부터는 상기 2개의 구동칩이 상기 연성 회로 기판(FPCB)에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데이터 구동칩(DC1)에는 제1 데이터 구동회로(C1)와 제1 센싱부(SE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 요소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유사하게 상기 제2 데이터 구동칩(DC2)에는 제2 데이터 구동회로(C2)와 제2 센싱부(SE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C1)와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C2)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대응되는 회로일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C1)는 제1 전원 포트(PORT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포트(PORT1)에는 제1 전원 단자(VN1) 및 제1 접지 단자(GN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단자(VN1)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C1)는 상기 전원 제어부(202)로부터 제1 전원(V1)을 공급받고, 상기 제1 전원 단자(VN1) 및 상기 제1 접지 단자(GN1)에 상기 제1 전원(V1)에 의해 제1 전원 전류(I1)가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C1)는 상기 제1 전원(V1)을 공급받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전원 전류(I1)는 상기 제1 전원 포트(PORT1)에 흐르는 전류이며, 상기 제1 전원 포트(PORT1)는 상기 전원 제어부(20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C2)는 제2 전원 포트(PORT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포트(PORT2)에는 제2 전원 단자(VN2) 및 제2 접지 단자(GN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단자(VN2)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C2)는 상기 전원 제어부(202)로부터 제2 전원(V2)을 공급받고, 상기 제2 전원 단자(VN2) 및 상기 제2 접지 단자(GN2)에 상기 제2 전원(V2)에 의해 제2 전원 전류(I2)가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C2)는 상기 제2 전원(V2)을 공급받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전원 전류(I2)는 상기 제2 전원 포트(PORT1)에 흐르는 전류이며, 상기 제2 전원 포트(PORT1)는 상기 전원 제어부(20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C1)는 상기 제1 센싱부(S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C2)는 상기 제2 센싱부(S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부(SE1)는 제1 신호(SIG1)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상기 제1 신호(SIG1)를 수신 받아 상기 제1 전원(V1) 및 상기 제2 전원(V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부(SE2)는 제2 신호(SIG2)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상기 제2 신호(SIG2)를 수신 받아 상기 제1 전원(V1) 및 상기 제2 전원(V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할 수 있다.
종합하면,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상기 제1 신호(SIG1) 또는 상기 제2 신호(SIG2)를 수신 받아 상기 제1 전원(V1) 및 상기 제2 전원(V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C1)에 흐르는 상기 제1 전원 전류(I1)와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C2)에 흐르는 상기 제2 전원 전류(I2)를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데이터 구동회로, 제1 센싱부, 제2 데이터 구동회로, 및 제2 센싱부의 개략적인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C1)는 제1 메인 회로(301), 제1 전원 포트(PORT1) 및 제1 센싱 저항(RS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회로(301)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기능을 구현한 회로일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회로(301)는 특정 회로에 한정됨이 없이 다양한 수동 소자, 능동 소자 및 이들을 연결하는 회로의 조합으로 구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메인 회로(301)는 테브넌 전압(Thevenin voltage)와 테브넌 저항(Thevenin resistor)이 직렬로 연결된 회로로 등가화 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저항(RS1)의 일단은 상기 제1 접지 단자(GN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저항(RS1)에는 상기 제1 전원 전류(I1)가 흐를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전류(I1)는 상기 제1 메인 회로(301)에 흐르는 전류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C2)는 제2 메인 회로(302), 제2 전원 포트(PORT2) 및 제2 센싱 저항(RS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인 회로(302)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기능을 구현한 회로일 수 있다. 상기 제2 메인 회로(302)는 특정 회로에 한정됨이 없이 다양한 수동 소자, 능동 소자 및 이들을 연결하는 회로의 조합으로 구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메인 회로(302)는 테브넌 전압(Thevenin voltage)와 테브넌 저항(Thevenin resistor)이 직렬로 연결된 회로로 등가화 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 저항(RS2)의 일단은 상기 제2 접지 단자(GN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 저항(RS2)에는 상기 제2 전원 전류(I2)가 흐를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전류(I2)는 상기 제2 메인 회로(302)에 흐르는 전류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부(SE1)는 제1 비교부(401) 및 제1 스위칭부(50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비교부(401)는 제1 입력 단자(IPN1), 제1 기준 단자(REN1), 및 제1 출력 단자(OPN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단자(REN1)에는 기 설정된 기준 전압(REF)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 단자(IPN1)에는 상기 기준 전압(REF)과 비교하고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비교부(401)에 의해서 상기 제1 입력 단자(IPN1)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REF)을 비교될 수 있다. 상기 제1 비교부(401)는 상기 제1 입력 단자(IPN1)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REF)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출력 단자(OPN1)를 통해 하이 전압 또는 로우 전압을 갖는 제1 비교신호(COMSIG1)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입력 단자(IPN1)는 상기 제1 센싱 저항(RS1)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저항(RS1)의 일단은 상기 제1 접지 단자(GN1)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센싱 저항(RS1)의 타단이 상기 제1 입력 단자(IPN1)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센싱 전압(VS1)이 상기 제1 입력 단자(IPN1)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비교부(401)는 상기 제1 센싱 전압(VS1)과 상기 기준 전압(REF)의 비교하고, 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출력 단자(OPN1)를 통해 상기 제1 비교신호(COMSIG1)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부(SE2)는 제2 비교부(402) 및 제2 스위칭부(502)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비교부(402)는 제2 입력 단자(IPN2), 제2 기준 단자(REN2), 및 제2 출력 단자(OPN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 단자(REN2)에는 상기 기준 전압(REF)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 단자(IPN2)에는 상기 기준 전압(REF)과 비교하고자 하는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비교부(402)는 상기 제2 입력 단자(IPN2)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REF)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2 비교부(402)는 상기 제2 입력 단자(IPN2)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REF)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출력 단자(OPN2)를 통해 상기 하이 전압 또는 상기 로우 전압을 갖는 제2 비교신호(COMSIG2)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입력 단자(IPN2)는 상기 제2 센싱 저항(RS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 저항(RS2)의 일단은 상기 제2 접지 단자(GN2)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센싱 저항(RS2)의 타단이 상기 제2 입력 단자(IPN2)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센싱 전압(VS2)이 상기 제2 입력 단자(IPN2)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비교부(402)는 상기 제2 센싱 전압(VS2)과 상기 기준 전압(REF)의 비교하고, 이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출력 단자(OPN2)를 통해 제2 비교신호(COMSIG2)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칭부(501)는 제1 입력 전극(IPP1), 제1 출력 전극(OPP1), 제1 풀다운 전극(PDP1), 및 제1 풀업 저항(PUR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위칭부(501)는 상기 제1 입력 전극(IPP1), 상기 제1 출력 전극(OPP1), 및 상기 제1 풀다운 전극(PDP1)을 구비하는 제1 트랜지스터(BT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 전극(IPP1)은 상기 제1 출력 단자(OPN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 전극(OPP1)은 상기 전원 제어부(20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풀다운 전극(PDP1)은 풀다운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풀다운 전극(PDP1)은 접지될 수 있고, 상기 풀다운 전압은 0[V]일 수 있다.
상기 제1 풀업 저항(PUR1)의 일단은 풀업 전압(VL)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풀업 저항(PUR1)의 타단은 상기 제1 출력 전극(OPP1)과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대로, 상기 제1 비교부(401)는 상기 하이 전압 또는 상기 로우 전압을 상기 제1 출력 단자(OPN1)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하이 전압 또는 상기 로우 전압에 의해서, 상기 제1 스위칭부(501)는 턴-온(Turn-On)되거나 턴-오프(Turn-Off)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센싱 전압(VS1)이 상기 기준 전압(REF)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비교신호(COMSIG1)는 상기 하이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전압(REF)이 4[V]이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BT1)가 턴-온되기 위한 전압이 5[V]이며, 상기 하이 전압은 5[V]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스위칭부(501)는 턴-온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칭부(501)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SIG1)는 상기 풀다운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스위칭부(501)가 턴-온 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501) 상기 제1 출력 전극(OPP1)을 통해 상기 풀다운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센싱 전압(VS1)이 상기 기준 전압(REF)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비교신호(COMSIG1)는 상기 로우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우 전압은 0[V]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스위칭부(501)는 턴-오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칭부(501)가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SIG1)는 상기 풀업 전압(VL)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스위칭부(501)가 턴-오프되면, 상기 제1 풀다운 전극(PDP1)과 상기 제1 출력 전극(OPP1)은 전기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제어부(2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 풀업 저항(PUR1)을 통해 상기 제1 스위칭부(501)는 상기 제1 출력 전극(OPP1)을 통해 상기 풀업 전압(VL)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칭부(502)는 제2 입력 전극(IPP2), 제2 출력 전극(OPP2), 제2 풀다운 전극(PDP2), 및 제2 풀업 저항(PUR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스위칭부(502)는 상기 제2 입력 전극(IPP2), 상기 제2 출력 전극(OPP2), 및 상기 제2 풀다운 전극(PDP2)을 구비하는 제2 트랜지스터(BT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 전극(IPP2)은 상기 제2 출력 단자(OPN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출력 전극(OPP2)은 상기 전원 제어부(20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풀다운 전극(PDP2)은 풀다운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풀다운 전극(PDP2)은 접지될 수 있고, 상기 풀다운 전압은 0[V]일 수 있다.
상기 제2 풀업 저항(PUR2)의 일단은 상기 풀업 전압(VL)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풀업 저항(PUR2)의 타단은 상기 제2 출력 전극(OPP2)과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대로, 상기 제2 비교부(402)는 상기 하이 전압 또는 상기 로우 전압을 상기 제2 출력 단자(OPN2)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하이 전압 또는 상기 로우 전압에 의해서, 상기 제2 스위칭부(502)는 턴-온(Turn-On)되거나 턴-오프(Turn-Off)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센싱 전압(VS2)이 상기 기준 전압(REF)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비교신호(COMSIG2)는 상기 하이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전압(REF)이 4[V]이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BT2)가 턴-온되기 위한 전압이 5[V]이며, 상기 하이 전압은 5[V]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2 스위칭부(502)는 턴-온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칭부(502)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제2 신호(SIG2)는 상기 풀다운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스위칭부(502)가 턴-온 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502) 상기 제2 출력 전극(OPP2)을 통해 상기 풀다운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 센싱 전압(VS2)이 상기 기준 전압(REF)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비교신호(COMSIG2)는 상기 로우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우 전압은 0[V]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2 스위칭부(502)는 턴-오프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칭부(502)가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2 신호(SIG2)는 상기 풀업 전압(VL)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스위칭부(502)가 턴-오프되면, 상기 제2 풀다운 전극(PDP2)과 상기 제2 출력 전극(OPP1)은 전기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제어부(2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풀업 저항(PUR2)을 통해 상기 제2 스위칭부(502)는 상기 제2 출력 전극(OPP2)을 통해 상기 풀업 전압(VL)을 출력할 수 있다.
종합하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502)들이 턴-온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신호(SIG1, SIG2)들 각각은 오프 신호로써, 상기 풀다운 전압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502)들이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신호(SIG1, SIG2)들 각각은 온 신호로써, 상기 풀업 전압(VL)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상기 제1 및 제2 신호(SIG2)를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칩(DC1, DC2)들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구동칩에 과전류가 흐르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신호(SIG1)가 상기 풀다운 전압을 가지는 경우 또는 상기 제2 신호(SIG2)가 상기 풀다운 전압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상기 제1 데이터 구동칩(DC1) 및 상기 제2 데이터 구동칩(DC2)들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구동칩에 과전류가 흐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상기 제1 및 제2 전원(V1, V2)을 각각 차단할 수 있다.
기존에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의 각각에 흐르는 전류를 합하고, 상기 합한 전류가 과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데이터 구동칩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였다. 하지만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 중 어느 하나의 구동칩에 흐르는 전류가 과전류인데도 불구하고,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 각각에 흐르는 전류를 합한 값이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원 제어부가 전원을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 각각에 센싱 저항이 구비하여 각각의 센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 각각에 흐르는 과전류를 측정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이다. 나아가, 과전류를 측정하는 비교부 및 스위칭부를 데이터 구동칩에 직접 실장하도록 하여, 공정상의 편의를 도모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앞에서 설명하였던, 상기 전원 제어부(202)가 상기 제1 전원(V1) 또는 상기 제2 전원(V2)을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간에 따른 그래프를 도시하였다.
도 4에서는 상기 설명한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칩(DC1, DC2) 중 제1 데이터 구동칩(DC1)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앞으로 설명할 내용은 상기 제2 데이터 구동칩(DC2)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타임(TIME1) 전까지는 상기 제1 데이터 구동칩(DC1)에는 과전류가 흐르지 않고, 상기 제1 타임(TIME1)이 되면 상기 데이터 구동칩에 과전류가 흐른다고 가정하였다.
상기 제1 타임(TIME1) 전까지는 상기 제1 비교부(401)는 상기 제1 출력 단자(OPN1)를 통하여, 상기 로우 전압을 갖는 상기 제1 비교신호(COMSIG1)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로우 전압을 출력하게 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501)는 턴-오프되어 상기 제1 신호(SIG1)는 상기 풀업 전압(VL)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상기 풀업 전압(VL)을 갖는 상기 제1 신호(SIG1)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칩(DC)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칩(DC1, DC2)에 계속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전원(V1, V2)을 공급한다.
상기 제1 타임(TIME1)이 경과되어 상기 제1 데이터 구동칩(DC1)의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C1)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제1 비교부(401)는 상기 제1 출력 단자(OPN1)를 통하여 상기 하이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하이 전압을 출력하게 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501)는 턴-온되어 상기 제1 신호(SIG1)는 상기 풀다운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상기 풀다운 전압을 갖는 상기 제1 신호(SIG1)를 수신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상기 복수의 구동칩(DC)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다고 판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전원(V1, V2)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V1)이 차단되게 되면,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C1)에는 더 이상 과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이 차단되게 시점을 제2 타임(TIME2)이라고 가정한다.
상기 제2 타임(TIME2)이 경과되면, 상기 제1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제1 비교부(401)는 다시 상기 제1 출력 단자(OPN1)를 통하여, 상기 로우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우 전압이 출력됨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501)는 턴-오프되어 상기 제1 신호(SIG1)는 다시 상기 풀업 전압(VL)을 가질 수 있고 다시 상기 제1 데이터 구동칩(DC1)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 제어부(202)는 제1 서브 전원 제어부(202_1) 및 제2 서브 전원 제어부(202_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전원 제어부(202_1)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제1 신호(SIG1)를 근거로 상기 제1 데이터 구동칩(DC1)에 과전류가 흐르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서브 전원 제어부(202_1)는 상기 제1 신호(SIG1)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전원(V1)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신호(SIG1)가 상기 풀다운 전압인 경우 상기 제1 서브 전원 제어부(202_1)는 상기 풀다운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전원(V1)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전원 제어부(202_2)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제2 신호(SIG2)를 근거로 상기 제2 데이터 구동칩(DC2)에 과전류가 흐르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서브 전원 제어부(202_2)는 상기 제2 신호(SIG2)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전원(V2)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신호(SIG2)가 상기 풀다운 전압인 경우 상기 제2 서브 전원 제어부(202_2)는 상기 풀다운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전원(V2)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제1 서브 전원 제어부(202_1) 및 상기 제2 서브 전원 제어부(202_2)를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칩(DC1, DC2) 각각에 연결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에 흐르는 복수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도 3과 달리, 상기 제1 센싱 저항(RS1')의 일단은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C1)의 제1 전원 단자(VN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센싱 저항(RS1')의 타단은 상기 제1 입력 단자(IPN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싱 전압(VS1')이 상기 제1 입력 단자(IPN1')에 인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센싱 저항(RS2')의 일단은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C2)의 제2 전원 단자(VN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센싱 저항(RS2')의 타단은 상기 제2 입력 단자(IPN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센싱 전압(VS2')이 상기 제2 입력 단자(IPN2')에 인가될 수 있다.
나머지 구동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1: 제1 데이터 구동회로 C2: 제2 데이터 구동회로
202: 전원 제어부 SIG1: 제1 신호
SIG2: 제2 신호 DC: 데이터 구동칩

Claims (20)

  1. 제1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데이터 구동회로 및 제1 센싱부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구동칩;
    제2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데이터 구동회로 및 제2 센싱부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 구동칩; 및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칩들에 각각 공급되는 제1 및 제2 전원들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제1 전원 전류를 근거로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센싱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제2 전원 전류를 근거로 제2 전원 전류를 근거로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센싱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신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전원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전류는 상기 제1 데이터 구동 회로의 제1 전원 포트에 흐르는 전류이며,
    상기 제1 전원 포트는 상기 전원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2 전원 전류는 상기 제2 데이터 구동 회로의 제2 전원 포트에 흐르는 전류이며,
    상기 제2 전원 포트는 상기 전원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제1 전원 전류가 흐르는 제1 센싱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제2 전원 전류가 흐르는 제2 센싱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 저항의 일단은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의 제1 접지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센싱 저항의 일단은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의 제2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제1 센싱 저항의 타단과 연결되어 제1 센싱 전압을 수신받는 제1 입력 단자, 기준 전압을 수신받는 제1 기준 단자, 및 제1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제2 센싱 저항의 타단과 연결되어 제2 센싱 전압을 수신받는 제2 입력 단자, 상기 기준 전압을 수신받는 제2 기준 단자, 및 제2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비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교신호는 상기 제1 센싱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근거로 생성되고,
    상기 제2 비교신호는 상기 제2 센싱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근거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제1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상기 전원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1 출력 전극, 및 풀다운 전압 수신하는 제1 풀다운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제2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제2 입력 전극, 상기 전원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2 출력 전극, 및 상기 풀다운 전압을 수신하는 제2 풀다운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제1 풀업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제2 풀업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풀업 저항의 일단은 풀업 전압을 수신 받고, 상기 제1 풀업 저항의 타단은 상기 제1 출력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풀업 저항의 일단은 상기 풀업 전압을 수신 받고, 상기 제2 풀업 저항의 타단은 상기 제2 출력 전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싱 전압들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비교신호들은 하이 전압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는 턴-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싱 전압들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비교신호들은 로우 전압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는 턴-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들이 턴-온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신호들 각각은 상기 풀다운 전압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들이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신호들 각각은 상기 풀업 전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칩들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구동칩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원들 각각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센싱부들과 각각 연결되는 제1 서브 전원 제어부 및 제2 서브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1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서브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2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제1 전원 전류가 흐르는 제1 센싱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제2 전원 전류가 흐르는 제2 센싱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 저항의 일단은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의 제1 전원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센싱 저항의 일단은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의 제2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제1 센싱 저항의 타단과 연결되어 제1 센싱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입력 단자,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1 기준 단자, 및 제1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제2 센싱 저항의 타단과 연결되어 제2 센싱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단자, 상기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기준 단자, 및 제2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제1 전원 전류를 근거로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센싱한 결과를 근거로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2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제2 전원 전류를 근거로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센싱한 결과를 근거로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신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근거로 상기 제1 데이터 구동 회로에 제공되는 제1 전원 및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에 제공되는 제2 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구동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 전압 및 상기 제1 전원 전류가 흐르는 제1 센싱 저항에 인가된 제1 센싱 전압을 비교 하여 제1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 전압 및 상기 제2 전원 전류가 흐르는 제2 센싱 저항에 인가된 제2 센싱 전압을 비교 하여 제2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교신호에 응답하여, 풀업 전압 또는 풀다운 전압을 상기 제1 신호로써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교신호가 하이 전압일 때, 상기 하이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풀다운 전압을 상기 제1 신호로써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교신호가 로우 전압일 때, 상기 로우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풀업 전압을 상기 제1 신호로써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방법.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전류는 상기 제1 데이터 구동 회로의 제1 전원 포트에 흐르는 전류이며, 상기 제1 전원 포트는 상기 제1 및 제2 전원들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 전류는 상기 제2 데이터 구동 회로의 제2 전원 포트에 흐르는 전류이며, 상기 제2 전원 포트는 상기 전원 제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방법.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1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2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방법.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제1 데이터 신호를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에 공급하고,
    상기 제2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제2 데이터 신호를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방법.
KR1020150164269A 2015-11-23 2015-11-23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409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269A KR102409924B1 (ko) 2015-11-23 2015-11-23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5/228,998 US10255841B2 (en) 2015-11-23 2016-08-04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6/293,334 US10650724B2 (en) 2015-11-23 2019-03-05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269A KR102409924B1 (ko) 2015-11-23 2015-11-23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235A KR20170060235A (ko) 2017-06-01
KR102409924B1 true KR102409924B1 (ko) 2022-06-20

Family

ID=5872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269A KR102409924B1 (ko) 2015-11-23 2015-11-23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255841B2 (ko)
KR (1) KR1024099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625A (ko) 2018-12-27 2020-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4822402B (zh) * 2022-06-30 2022-09-20 惠科股份有限公司 驱动电路、显示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1498A1 (en) 2012-10-23 2014-04-24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power controlle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150002970A1 (en) 2013-06-28 2015-01-01 Samsung Display Co., Ltd. Protection circuit, circuit pro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20150229117A1 (en) 2014-02-13 2015-08-13 Samsung Display Co., Ltd. Burning protection circui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tecting a display device from burn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376Y1 (ko) 1987-06-30 1992-08-08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유동식 래치
KR101500000B1 (ko) 2009-09-29 2015-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과전류 감지 회로
KR20120049554A (ko) 2010-11-09 2012-05-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 원통형 대향 타겟 스퍼터링 시스템
US9604842B2 (en) * 2014-05-27 2017-03-28 Stmicroelectronics S.R.L. System for driving an array of MEMS structures and corresponding driving method
KR102364010B1 (ko) * 2014-12-24 2022-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과전류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JP6233330B2 (ja) * 2015-02-12 2017-1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1498A1 (en) 2012-10-23 2014-04-24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power controlle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150002970A1 (en) 2013-06-28 2015-01-01 Samsung Display Co., Ltd. Protection circuit, circuit pro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20150229117A1 (en) 2014-02-13 2015-08-13 Samsung Display Co., Ltd. Burning protection circui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tecting a display device from bu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50724B2 (en) 2020-05-12
KR20170060235A (ko) 2017-06-01
US20170148375A1 (en) 2017-05-25
US20190197940A1 (en) 2019-06-27
US10255841B2 (en)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010B1 (ko) 과전류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0297200B2 (en) Display device, panel defect detection system, and panel defect detection method
KR102249807B1 (ko) 표시장치 및 전원제어장치
US20140084792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565299B1 (ko) 데이터 구동 회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7808645B (zh) 显示装置和电力监测电路
KR20180072922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80014328A (ko) 표시장치, 게이트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 방법
US961356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1130883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riving voltage thereof
KR20160027534A (ko) 과전류 보호 회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0992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5426015B (zh) 阵列基板、显示面板以及用于显示面板的检测修复方法
KR20170064177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신호 라인 결함 감지 방법
US20160203746A1 (en) Display device
KR20170064170A (ko) 표시장치
KR20170081046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샘플 홀드 회로
US10726780B2 (en) Ag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80039804A (ko) 컨트롤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8973B1 (ko) 표시장치용 구동집적회로
CN110910818B (zh) 逆向电流检测电路及具有逆向电流检测电路的显示装置
KR20180043914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92817B1 (ko) 감마 회로, 데이터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의 구동 방법
KR102176178B1 (ko) 표시장치, 데이터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
KR20170079701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