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722B1 -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 - Google Patents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722B1
KR102409722B1 KR1020220040837A KR20220040837A KR102409722B1 KR 102409722 B1 KR102409722 B1 KR 102409722B1 KR 1020220040837 A KR1020220040837 A KR 1020220040837A KR 20220040837 A KR20220040837 A KR 20220040837A KR 102409722 B1 KR102409722 B1 KR 102409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eparator
deoiling
unit
kio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익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유포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유포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유포리아
Priority to KR1020220040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0011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shaping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4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7Vibratory or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1Centrifugating, 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으로서, 일측에 구비된 상기 폐스크랩을 종류가 다른 파쇄기를 이용하여 1차 파쇄 및 2차 파쇄하는 단계; 상기 종류가 다른 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폐스크랩을 용융하여 혼합하는 종류가 다른 용융기를 이용하여 1차 용융 후 2차 용융한 뒤 2차 용융되어 펠렛 형태로 배출되는 단계; 상기 펠렛 형태로 배출된 후, 냉각수가 수용되어 있는 냉각장치를 통과시키며 냉각하는 단계; 용융되어 배출된 폐스크랩의 냉각이 완료된 후, 연속방식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연속방식 분리기로 투입하여 파라핀오일을 1차로 탈유하는 단계; 상기 연속방식 분리기를 통해 1차 탈유가 완료된 후 호퍼를 통해 원심분리 방식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로 이송시켜 2차로 탈유하는 단계; 2차 탈유가 완료된 제품을 기 설정된 일정 기간동안 저장고에 저장한 뒤,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분류하는 단계; 분류가 완료된 제품을 건축용 필름의 형태로 제조하는 필름성형기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필름성형기의 일측에 위치한 리와인더기로 상기 필름성형기를 통해 건축용 필름의 형태로 제조되어 배출되는 건축용 필름을 투입하여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리와인더기를 통해 권취된 건축용 필름을 포장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The construction film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한 번 쓰고 버리는 일차전지와 달리, 충전하여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전지로서, 다른 이차전지 대비 높은 출력과 우수한 충방전 성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컴퓨터 등의 모바일 IT기기 에서부터 전기 자동차용 동력원이나 풍력 또는 태양광 발전 등으로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전해액, 분리막으로 구성되며,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을 사 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와, 고체형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로 구분된다.
한편, 이차전지의 제조과정이나 또는 폐이차전지의 수거 후 재활용과정에서, 분리막 스크랩이나 폐분리막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스크랩 내지 폐분리막은 지정폐기물로 분류되어 매립이나 파쇄 또는 소각 처리되어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야기한다.
불량 분리막이나, 가공하고 남은 짜투리 등의 폐분리막은, 초고밀도 폴릴에틸렌의 재활용성이나 재사용 가능성을 고려할 때 단순히 폐기하기에는 매우 아까운 소재가 아닐 수 없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 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20-000141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용 분리막 소재를 제조공정에 순도 및 정재의 경재성으로 재활용이 어려운 소재를 기능성 필름소재로 재활용하여 옥외용 표지판, 간판 기능성 코팅필름으로 업사이클링 재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자원순환을 통한 제품화가 가능하고, 업사이클링을 통한 경제성을 가지며, 탄소 중립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적용함으로서 ESG 경영정책에 이바지할 수 있는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은, 일측에 폐스크랩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은, 일측에 구비된 상기 폐스크랩을 종류가 다른 파쇄기를 이용하여 1차 파쇄 및 2차 파쇄하는 단계; 상기 종류가 다른 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폐스크랩을 용융하여 혼합하는 종류가 다른 용융기를 이용하여 1차 용융 후 2차 용융한 뒤 2차 용융되어 펠렛 형태로 배출되는 단계; 상기 펠렛 형태로 배출된 후, 냉각수가 수용되어 있는 냉각장치를 통과시키며 냉각하는 단계; 용융되어 배출된 폐스크랩의 냉각이 완료된 후, 연속방식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연속방식 분리기로 투입하여 파라핀오일을 1차로 탈유하는 단계; 상기 연속방식 분리기를 통해 1차 탈유가 완료된 후 호퍼를 통해 원심분리 방식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로 이송시켜 2차로 탈유하는 단계; 2차 탈유가 완료된 제품을 기 설정된 일정 기간동안 저장고에 저장한 뒤,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분류하는 단계; 분류가 완료된 제품을 건축용 필름의 형태로 제조하는 필름성형기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필름성형기의 일측에 위치한 리와인더기로 상기 필름성형기를 통해 건축용 필름의 형태로 제조되어 배출되는 건축용 필름을 투입하여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리와인더기를 통해 권취된 건축용 필름을 포장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폐스크랩은, 이차전지용 제조공정에서 적용되는 분리막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파라핀오일이 함유된 스크랩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쇄기, 상기 용융기, 상기 연속방식 분리기, 상기 원심분리기, 상기 저장고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제어서버를 통해 작동이 제어되며 작동 현황을 출력하는 키오스크부와 통신하여 작동 중인 상태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파쇄기, 상기 용융기, 상기 연속방식 분리기, 상기 원심분리기, 상기 저장고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작동 현황을 출력하는 스크린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린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위치 조정 및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위치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기둥부의 하부에 삽입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의 너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단지지부; 상기 기둥부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1 지지바; 및 상기 기둥부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바와 소정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지지부는, 내측 양단에 위치한 바닥면과 접촉되는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기둥부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기둥부의 양단이 수용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지지부는, 단면이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부는, 중앙에 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에는 상기 기둥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가 관통 삽입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둥은, 상기 하단지지부의 좌우 양측에 삽입 관통된 후 외측에서 고정볼트에 의해 하단지지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후 하단지지부에 결합됨으로써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하단지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부 표면 일측에 제1 지지바가 고정 결합되는 수평이동바; 상기 수평이동바의 둘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부 표면에 상기 제2 지지바가 결합되는 위치조정부; 및 상기 제2 지지바와 상기 위치조정부를 상기 수평이동바에 고정 및 고정 해제하기 위한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위치조정부와 상기 제2 지지바에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홈,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회전 결합에 의해 조여지는 너트 및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조정부를 수평이동바 상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2 지지바와 위치조정부에 각각 구비되는 관통홈과,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회전 결합에 의해 조여지는 너트 및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와 상기 위치조정부를 상기 수평이동바 상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평이동바는, 상기 하단지지부와 경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바가 하단지지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수평이동바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수평이동바를 상기 하단지지부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이동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바 고정부재는, 상기 하단지지부에 구비되는 끼움부와, 상기 수평이동바에 천공되고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어 억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핀 오일이 함유된 폐분리막 스크랩 재활용 시스템은 일측에 폐스크랩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핀 오일이 함유된 폐분리막 스크랩 재활용 시스템은, 일측에 구비된 상기 폐스크랩을 종류가 다른 파쇄기를 이용하여 1차 파쇄 및 2차 파쇄하는 단계; 상기 종류가 다른 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폐스크랩을 용융하여 혼합하는 종류가 다른 용융기를 이용하여 1차 용융 후 2차 용융한 뒤 2차 용융되어 펠렛 형태로 배출되는 단계; 상기 펠렛 형태로 배출된 후, 냉각수가 수용되어 있는 냉각장치를 통과시키며 냉각하는 단계; 용융되어 배출된 폐스크랩의 냉각이 완료된 후, 연속방식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연속방식 분리기로 투입하여 파라핀오일을 1차로 탈유하는 단계; 상기 연속방식 분리기를 통해 1차 탈유가 완료된 후 호퍼를 통해 원심분리 방식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로 이송시켜 2차로 탈유하는 단계; 2차 탈유가 완료된 제품을 기 설정된 일정 기간동안 저장고에 저장한 뒤,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분류하는 단계; 및 분류가 완료된 제품을 포장하여 출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폐스크랩은, 이차전지용 제조공정에서 적용되는 분리막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파라핀오일이 함유된 스크랩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쇄기, 상기 용융기, 상기 연속방식 분리기, 상기 원심분리기, 상기 저장고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제어서버를 통해 작동이 제어되며 작동 현황을 출력하는 키오스크부와 통신하여 작동 중인 상태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파쇄기, 상기 용융기, 상기 연속방식 분리기, 상기 원심분리기, 상기 저장고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작동 현황을 출력하는 스크린부; 상기 파쇄기, 상기 용융기, 상기 연속방식 분리기, 상기 원심분리기, 상기 저장고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작동 현황을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린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위치 조정 및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위치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기둥부의 하부에 삽입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의 너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단지지부; 상기 기둥부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1 지지바; 및 상기 기둥부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바와 소정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지지부는, 내측 양단에 위치한 바닥면과 접촉되는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기둥부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기둥부의 양단이 수용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지지부는, 단면이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부는, 중앙에 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에는 상기 기둥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가 관통 삽입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둥은, 상기 하단지지부의 좌우 양측에 삽입 관통된 후 외측에서 고정볼트에 의해 하단지지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후 하단지지부에 결합됨으로써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하단지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부 표면 일측에 제1 지지바가 고정 결합되는 수평이동바; 상기 수평이동바의 둘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부 표면에 상기 제2 지지바가 결합되는 위치조정부; 및 상기 제2 지지바와 상기 위치조정부를 상기 수평이동바에 고정 및 고정 해제하기 위한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위치조정부와 상기 제2 지지바에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홈,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회전 결합에 의해 조여지는 너트 및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조정부를 수평이동바 상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2 지지바와 위치조정부에 각각 구비되는 관통홈과,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회전 결합에 의해 조여지는 너트 및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와 상기 위치조정부를 상기 수평이동바 상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평이동바는, 상기 하단지지부와 경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바가 하단지지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수평이동바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수평이동바를 상기 하단지지부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이동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바 고정부재는, 상기 하단지지부에 구비되는 끼움부와, 상기 수평이동바에 천공되고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어 억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은 단순 재사용하기 어려운 파라핀함유 PE펠릿 소재를 업사이클링 재활용 공정으로 기능성 필름으로 건축용 및 기능성필름으로 내구성,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분야의 기능성 필름으로 진화할 수 있다.
이차전지용 분리막 소재를 제조공정에 순도 및 정재의 경재성으로 재활용이 어려운 소재를 기능성 필름소재로 재활용하여 옥외용 표지판, 간판 기능성 코팅필름으로 업사이클링 재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자원순환을 통한 제품화가 가능하고, 업사이클링을 통한 경제성을 가지며, 탄소 중립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적용함으로서 ESG 경영정책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장치의 구동 현황을 기반으로 하여 각 장치를 제어하는 서버를 구비하고 있어 장치의 오류로 인한 펠렛의 불량품 제조 또는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장치의 구동 현황을 출력하는 키오스크부 하단의 기둥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기둥부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키오스크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는 키오스크의 위치를 보다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고정되어 있는 키오스크의 높이를 변경하지 않아도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는 키오스크부에 충격이 가해져 키오스크 위치지지부재에도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완충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 개의 완충재의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가 수축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키오스크로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만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의 순서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의 키오스크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미만,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의 순서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은 일측에 입고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폐스크랩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S3000).
폐스크랩을 종류가 다른 파쇄기를 이용하여 1차 파쇄 및 2차 파쇄할 수 있다(S3100).
종류가 다른 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폐스크랩을 용융하여 혼합하는 종류가 다른 용융기를 이용하여 1차 용융 후 2차 용융한 뒤 2차 용융되어 펠렛 형태로 배출할 수 있고, 펠렛 형태로 배출된 후, 냉각수가 수용되어 있는 냉각장치를 통과시키며 냉각할 수 있다(S3300).
용융되어 배출된 폐스크랩의 냉각이 완료된 후, 연속방식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연속방식 분리기로 투입하여 파라핀오일을 1차로 탈유할 수 있고, 연속방식 분리기를 통해 1차 탈유가 완료된 후 호퍼를 통해 원심분리 방식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로 이송시켜 2차로 탈유할 수 있다(S3500).
2차 탈유가 완료된 제품을 기 설정된 일정 기간동안 저장고에 저장한 뒤,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분류할 수 있다(S3700).
분류가 완료된 제품을 건축용 필름의 형태로 제조하는 필름성형기로 투입하라 수 있다(S3800).
필름성형기의 일측에 위치한 리와인더기로 필름성형기를 통해 건축용 필름의 형태로 제조되어 배출되는 건축용 필름을 투입하여 권취할 수 있고(S3900), 리와인더기를 통해 권취된 건축용 필름을 포장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이차전지용 분리막 소재를 제조공정에 순도 및 정재의 경재성으로 재활용이 어려운 소재를 기능성 필름소재로 재활용하여 옥외용 표지판, 간판 기능성 코팅필름으로 업사이클링 재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자원순환을 통한 제품화가 가능하고, 업사이클링을 통한 경제성을 가지며, 탄소 중립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적용함으로서 ESG 경영정책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라핀 오일이 함유된 폐분리막 스크랩 재활용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라핀 오일이 함유된 폐분리막 스크랩 재활용 시스템은 제어서버(100), 관리자 단말기(300) 및 키오스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서버(100)는 파쇄기, 용융기, 연속방식 분리기, 원심분리기, 저장고 및 바이브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되, 작동 현황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서버(100)는 파라핀 오일이 함유된 폐분리막 스크랩을 재활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각 장치의 구동 현황에 맞추어 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서버(100)는 용융기, 연속방식 분리기, 원심분리기, 저장고 및 바이브레이터가 장시간 구동되고 있는 경우 파쇄기를 일정 시간 중지하여 구동되고 있는 장치에 과부화가 걸리지 않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키오스크부(500)와 통신하여 파라핀 오일이 함유된 폐분리막 스크랩을 재활용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각 장치들의 구동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장치의 작동 오류 등의 상황을 현장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키오스크부(500)는 스크린부(510), 통신부(550) 및 기둥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부(510)는 파쇄기, 용융기, 연속방식 분리기, 원심분리기, 저장고 및 바이브레이터의 작동 현황을 출력할 수 있다.
키오스크부(500)의 스크린부(510)를 통해 출력되는 작동 현황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서버(100)의 구동에 맡기는 것이 아닌 관리자가 직접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통신부(550)는 파쇄기, 용융기, 연속방식 분리기, 원심분리기, 저장고 및 바이브레이터의 작동 현황을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기둥부(590)는 스크린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스크린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라핀 오일이 함유된 폐분리막 스크랩 재활용 시스템은 일측에 입고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폐스크랩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S1000).
폐스크랩을 종류가 다른 파쇄기를 이용하여 1차 파쇄 및 2차 파쇄할 수 있다(S1100).
종류가 다른 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폐스크랩을 용융하여 혼합하는 종류가 다른 용융기를 이용하여 1차 용융 후 2차 용융한 뒤 2차 용융되어 펠렛 형태로 배출할 수 있고, 펠렛 형태로 배출된 후, 냉각수가 수용되어 있는 냉각장치를 통과시키며 냉각할 수 있다(S1300).
용융되어 배출된 폐스크랩의 냉각이 완료된 후, 연속방식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연속방식 분리기로 투입하여 파라핀오일을 1차로 탈유할 수 있고, 연속방식 분리기를 통해 1차 탈유가 완료된 후 호퍼를 통해 원심분리 방식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로 이송시켜 2차로 탈유할 수 있다(S1500).
2차 탈유가 완료된 제품을 기 설정된 일정 기간동안 저장고에 저장한 뒤,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분류할 수 있고(S1700), 분류가 완료된 제품을 포장하여 출고할 수 있다(S1900).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 재사용하기 어려운 파라핀함유 PE펠릿 소재를 업사이클링 재활용 공정으로 기능성 필름으로 건축용 및 기능성필름으로 내구성,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분야의 기능성 필름으로 진화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의 키오스크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의 키오스크부는 키오스크의 기둥부(590)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키오스크 위치지지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크 위치지지부재(600)는 하단지지부(601), 제1 지지바(610) 그리고 제2 지지바(620)를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크 위치지지부재(600)는 기둥부(590)의 하부에 삽입 장착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하단지지부(601)는 단면이 대체로 '∏'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단에 위치할 기둥부(59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단지지부(601)는 기둥부(590)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볼트 등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고, 하단지지부(601)는 기둥부(590)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키오스크부(500)를 거치할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단지지부(601)의 내측 양단에는 기둥부(590)가 상단에 위치한 채 바닥면과 접촉되는 완충부(616)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616)의 중앙에는 기둥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기둥(미도시)에는 완충부(616)의 기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부(미도시)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즉, 완충부(616)는 중앙에 위치한 기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부(미도시)를 통하여 바닥면과 접촉되더라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616)는 하단지지부(601)의 양단 내측에 삽입 관통된 후 외측에서 고정볼트(619)에 의해 하단지지부(60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616)에 의해, 하단지지부(601)가 기둥부(590)가 상단에 위치한 상대에서 바닥면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 하게 될 수 있다.
하단지지부(601)의 상부 표면에는 거치되는 기둥부(590)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제1 지지바(610)와 제2 지지바(620)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바(610)와 제2 지지바(620)는 하단지지부(601) 상부 표면에 용접되거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바(610)와 제2 지지바(620)는 상단부에 거치되는 기둥부(590)의 너비에 따라 수용 공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지지바(610)와 제2 지지바(620) 중 최소한 어느 하나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단지지부(601)는 수평이동바(630), 위치조정부(640), 위치고정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이동바(630)는 제2 지지바(620)의 수평 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단지지부(601)의 상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 되어 용접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하단지지부(601)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하단지지부(601)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이동바(630)의 둘레에는 수평이동바(6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위치조정부(64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위치조정부(640)는 내측에 수평이동바(630)가 삽입되는 관통홈이 구비된 납작한 블록 형상이거나, 수평이동바(630)의 둘레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금속 판 또는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치조정부(640)는 수평이동바(630)를 둘러싸고, 수평이동바(630)와 하단지지부(601)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이동바(63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위치조정부(640)의 상부 표면에는 제2 지지바(6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바(620)는 하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위치조정부(640)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간격 조절 후 위치가 정해지면 해당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위치고정부(650)에 의해 위치조정부(640)과 함께 수평이동바(630)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650)는 제2 지지바(620)와 위치조정부(64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너트 및 볼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조정부(640)와 제2 지지바(620)의 하부 수평 절곡 부분에 각각 위치고정부(650)가 관통 가능한 관통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각 관통홈(미도시)에 위치고정부(650)가 관통하여 너트 및 볼트가 서로 맞물려 조여져, 제2 지지바(620)와 위치조정부(640)가 수평이동바(630) 상에 일체로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 지지바(620)의 이동시에는 고정볼트(154)를 약간 풀어 위치조정부(640)과 수평이동바(630)가 서로 분리되도록 한 후 위치조정부(640)을 밀어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동후에는 다시 고정볼트(154)를 조 여 위치조정부(640) 및 제2 지지바(620)를 수평이동바(630)에 고정할 수 있다.
제2 지지바(62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 제1 지지바(610)는 수평이동바(630)에 용접 기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할 수도 있고, 제2 지지바(620)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지지바(610) 및 제2 지지바(620)는 기둥부(590)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장착되어 기둥부(590)의 양단을 수용한 채로 키오스크(500)를 거치하며, 하단지지부(601) 하부에 구비된 완충부(616)에 의해 하단지지부(601) 자체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위치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 지지바(620)가 수평이동바(63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기둥부(590)의 너비에 따라 수용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수평이동바(630)를 하단지지부(601)와 고정 결합하지 않고, 수평이동바(630)가 하단지지부(60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수평이동바(630)와 하단지지부(601)를 경첩으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평이동바(630)를 하단지지부(601) 상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수평이동바(6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동바 고정부재(6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바 고정부재(660)는 하단지지부(601)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비된 끼움부(662)와, 수평이동바(630)에 천공된 끼움홈(66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이동바(630)를 하단지지부(601) 상에 장착하는 경우에 끼움부(662)가 끼움홈(663)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할 수 있고, 수평이동바(630)를 회동시켜 하단지지부(601)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끼움부(662)를 끼움홈(663)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를 위하여, 끼움부(662)는 끼움홈(663)에 억지 끼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되, 끼움홈(66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키오스크(500)의 위치 조정 및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키오스크(50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키오스크(500) 거치가 필요 하지 않은 경우 이동바 고정부재(660)를 회동시킴으로써 키오스크(500)의 기둥부(590)를 키오스크 위치지지부재(6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동바 고정부재(660)로 끼움부 결합 수단을 예로 들었으나, 수평이동바(630)를 고정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채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는 완충부(800)의 내측면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다수 개의 완충재(810, 820, 830, 840, 850, 860), 상부지지대(880) 및 하부지지대(870)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재(810, 820, 830, 840, 850, 860)는 둥근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완충부(800)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완충재(810, 820, 830, 840, 850, 860)와 완충재(810, 820, 830, 840, 850, 860)의 사이에는 각각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스펀지 등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다수 개의 완충재(810, 820, 830, 840, 850, 860)의 내부에는 각각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외부의 충격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하며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500)에 충격이 가해져 키오스크 위치지지부재(600)에도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완충부(8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 개의 완충재(810, 820, 830, 840, 850, 860)의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가 수축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키오스크(500)로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수 개의 완충재(810, 820, 830, 840, 850, 860)의 사이마다 마련되어 있는 스펀지 등의 장치가 완충부(800)에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시킬 수 있다.
완충재(810, 820, 830, 840, 850, 86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는 개별로 각각 수축 또는 이완할 수 있으나, 하나의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가 수축 또는 이완하는 경우 구비되어 있는 모든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가 함께 수축 또는 이완할 수 있다.
여기서, 완충재(810, 820, 830, 840, 850, 86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장치로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를 예로 들었으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흡수하기 위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부지지대(880) 및 하부지지대(870)는 다수 개의 완충재(810, 820, 830, 840, 850, 860)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며 완충재(810, 820, 830, 840, 850, 860)를 보호하기 위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일측에 구비된 폐스크랩을 종류가 다른 파쇄기를 이용하여 1차 파쇄 및 2차 파쇄하는 단계;
    상기 종류가 다른 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폐스크랩을 용융하여 혼합하는 종류가 다른 용융기를 이용하여 1차 용융 후 2차 용융한 뒤 2차 용융되어 펠렛 형태로 배출되는 단계;
    상기 펠렛 형태로 배출된 후, 냉각수가 수용되어 있는 냉각장치를 통과시키며 냉각하는 단계;
    용융되어 배출된 폐스크랩의 냉각이 완료된 후, 연속방식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연속방식 분리기로 투입하여 파라핀오일을 1차로 탈유하는 단계;
    상기 연속방식 분리기를 통해 1차 탈유가 완료된 후 호퍼를 통해 원심분리 방식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로 이송시켜 2차로 탈유하는 단계;
    2차 탈유가 완료된 제품을 기 설정된 일정 기간동안 저장고에 저장한 뒤,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분류하는 단계;
    분류가 완료된 제품을 건축용 필름의 형태로 제조하는 필름성형기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필름성형기의 일측에 위치한 리와인더기로 상기 필름성형기를 통해 건축용 필름의 형태로 제조되어 배출되는 건축용 필름을 투입하여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리와인더기를 통해 권취된 건축용 필름을 포장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필름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스크랩은,
    이차전지용 제조공정에서 적용되는 분리막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파라핀오일이 함유된 스크랩을 의미하고,
    상기 파쇄기, 상기 용융기, 상기 연속방식 분리기, 상기 원심분리기, 상기 저장고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제어서버를 통해 작동이 제어되며 작동 현황을 출력하는 키오스크부와 통신하여 작동 중인 상태를 송신하고,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파쇄기, 상기 용융기, 상기 연속방식 분리기, 상기 원심분리기, 상기 저장고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작동 현황을 출력하는 스크린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린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필름 제조 방법.
  3. 삭제
KR1020220040837A 2022-03-31 2022-03-31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 KR102409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837A KR102409722B1 (ko) 2022-03-31 2022-03-31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837A KR102409722B1 (ko) 2022-03-31 2022-03-31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722B1 true KR102409722B1 (ko) 2022-06-17

Family

ID=8226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837A KR102409722B1 (ko) 2022-03-31 2022-03-31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812B1 (ko) * 2022-09-01 2023-03-23 주식회사 유진유포리아 이차전지 분리막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파라핀 오일이 함유된 폐분리막 스크랩을 재활용한 건축용 방수시트 제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31B1 (ko) * 2014-03-26 2014-09-17 정태문 이차전지 폐분리막으로부터 폴리올레핀과 파라핀을 재생하는 방법
KR101558215B1 (ko) * 2014-05-22 2015-10-07 주식회사 모아 오일함유 폐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한 고분자 폴리에틸렌 모노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모노필라멘트
KR20160099677A (ko) * 2013-12-19 2016-08-22 토레이 필름즈 유럽 코팅 폴리머 필름용 조성물, 코팅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복합체
KR20200001419A (ko) 2018-06-27 2020-01-06 원정식 이차전지 폐분리막 재활용방법
KR102372605B1 (ko) * 2021-10-25 2022-03-10 주식회사 유진유포리아 재생 파라핀유 재활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677A (ko) * 2013-12-19 2016-08-22 토레이 필름즈 유럽 코팅 폴리머 필름용 조성물, 코팅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복합체
KR101441031B1 (ko) * 2014-03-26 2014-09-17 정태문 이차전지 폐분리막으로부터 폴리올레핀과 파라핀을 재생하는 방법
KR101558215B1 (ko) * 2014-05-22 2015-10-07 주식회사 모아 오일함유 폐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한 고분자 폴리에틸렌 모노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모노필라멘트
KR20200001419A (ko) 2018-06-27 2020-01-06 원정식 이차전지 폐분리막 재활용방법
KR102372605B1 (ko) * 2021-10-25 2022-03-10 주식회사 유진유포리아 재생 파라핀유 재활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812B1 (ko) * 2022-09-01 2023-03-23 주식회사 유진유포리아 이차전지 분리막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파라핀 오일이 함유된 폐분리막 스크랩을 재활용한 건축용 방수시트 제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722B1 (ko) 건축용 필름 제조 공정
KR102453607B1 (ko) 파라핀 오일이 함유된 폐분리막 스크랩 재활용 시스템
US10971778B2 (en) Battery pack
KR101741193B1 (ko) 배터리 팩
JP5336536B2 (ja) 電池モジュール
CN102593389A (zh) 车辆电池包装
KR102037209B1 (ko) 이차 전지용 배터리 팩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조립 방법
DE112009002264T5 (de) Lithium-Ionen-Batterie
US10938012B2 (en) Battery module
KR10179956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CN102544417A (zh) 具有可变孔隙率的蓄电池隔板
KR102456993B1 (ko) 전지 모듈, 그 제조 방법 및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CN107636862A (zh) 用于携带型多单元电能储存装置的电连接器
KR102267588B1 (ko) 전지팩용 전류차단 부재 벤딩 장치
EP3361553A1 (en) Battery pack
KR102259378B1 (ko)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KR102106872B1 (ko) 코일 스프링의 압축량 조정 특성이 향상된 지그 장치
KR20170016065A (ko) 이차 전지
KR101684321B1 (ko) 열가소성 수지가 주입된 전지셀의 제조 방법
JP7034415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これを含む自動車
KR101464820B1 (ko) 전지 이송용 트레이
JP2024506173A (ja) 分離膜カッティング装置
JP5492231B2 (ja) 電極材のリサイクル装置及び方法
CN209792007U (zh) 一种分离废弃锂离子电池隔膜和正负极材料的装置
KR102080294B1 (ko) 일체형으로 연결된 지지부들을 가진 상부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