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328B1 -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328B1
KR102409328B1 KR1020217026941A KR20217026941A KR102409328B1 KR 102409328 B1 KR102409328 B1 KR 102409328B1 KR 1020217026941 A KR1020217026941 A KR 1020217026941A KR 20217026941 A KR20217026941 A KR 20217026941A KR 102409328 B1 KR102409328 B1 KR 102409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communication connection
bluetooth
connec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395A (ko
Inventor
친량 장
위 주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1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04W36/035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in self-organis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통신 기술 분야에 적용되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에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되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되고,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고, 및 따라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간접적인 통신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어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통신이 통신 범위에 의해 제한받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RELEVANT DEVICE OF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 시계 또는 밴드와 같은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보통은 이동 전화와 같은 단말 디바이스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이벤트 통지 또는 정보 동기화와 같은 기능들을 구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가 착신 호를 받는 경우,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 시계가 통지를 받을 수 있고, 이후 스마트 시계는 착신 호 통지를 갖는다.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편의를 가져오므로 더 많은 장비 공급 업체로부터 관심을 끌고 있다.
가정에서,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로케이션들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는 침실에 있는 반면, 밴드는 거실에 있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다; 이 경우, 이동 전화는 밴드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블루투스의 통신 커버리지 지역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이동 전화가 밴드와 통신할 수 없으므로, 이동 전화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통신이 유지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착용가능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므로, 단말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통신이 접속 해제될 때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사용자 장비가 속한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고,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제1 정보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방법은 추가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키를 포함함 -;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제1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 제1 구성 정보는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됨-;
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 및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에 따라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모드 요청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및 모드 요청 메시지에 따라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방법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를 포함함-; 및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와 제3 통신 접속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확립하고 매핑 관계를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확립된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매핑 관계에 따라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송신되는 제1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내지 제2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임의의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가 속한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는 단계 전에, 방법은 추가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된 트리거링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 트리거링 커맨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한 후, 확인 응답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고- 확인 응답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가 제1 블루투스 접속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확립되었는지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데에 사용됨 -;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리턴되는 확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내지 제3 가능 구현 방식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의 제4 가능 구현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브리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및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이 송신 단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정보를 브리지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및 브리지 디바이스에 의해 브리지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제1 정보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내지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방법은 추가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제2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내지 제5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방법은 추가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통지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됨-;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 간의 제3 통신 접속을 접속 해제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장비가 속한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되면,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제1 정보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 또는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이 확립되었다고 결정한 경우,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방법은 추가로: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1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키를 포함함 -;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3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키를 포함함-; 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모드 요청 메시지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 모드 요청 메시지는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모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 모드 요청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내지 제2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한 후에, 방법은 추가로: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트리거링 커맨드를 송신하는 단계 - 트리거링 커맨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및/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공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공표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것을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됨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의 제4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추가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고;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간의 제3 통신 접속이 접속 해제된 후, 사용자 장비에 의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하는 단계;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후 - 제2 통지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됨 -, 사용자 장비에 의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고;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사용자 장비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할 때 및 사용자 장비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정보 상호 작용을 수행하지 않을 때,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고;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내지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제1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하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Wi-Fi(Wireless Fidelity)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1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고,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통신 확립 유닛;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정보 수신 유닛; 및
통신 확립 유닛에 의해 확립된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의 제1 가능 구현 방식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추가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 제1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키를 포함함 -; 및 제1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1 구성 정보는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송신 유닛에 의해 사용됨 - 구성된 제1 구성 유닛; 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 및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에 따라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된 제1 구성 유닛; 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 모드 요청 메시지는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 및 모드 요청 메시지에 따라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성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의 제2 가능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추가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 제2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를 포함함 -; 및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와 제3 통신 접속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확립하고 매핑 관계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2 구성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2 구성 유닛에 의해 저장된 매핑 관계에 따라,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송신되는 제1 정보로 변환하고,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게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특정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내지 제2 가능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제3 가능 구현 방식에 있어서:
통신 확립 유닛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트리거링 커맨드가 수신된 후 -트리거링 커맨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거나; 또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가 발견된 후,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거나; 또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가 발견된 후, 확인 응답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하고 - 확인 응답 요청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되는지를 결정하도록 사용자 장비에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리턴되는 확인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후,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내지 제3 가능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통신 확립 유닛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브리지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특정적으로 구성되며; 및
송신 유닛은 제1 정보를 브리지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특정적으로 구성되고; 및 브리지 디바이스는 브리지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제1 정보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내지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정보 수신 유닛은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및
송신 유닛은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제2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내지 제5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추가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 제1 통지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 간의 제3 통신 접속을 접속 해제하고;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도록 구성된 접속 해제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는 사용자 장비를 제공하며, 이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통신 결정 유닛; 및
사용자 장비가 속한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되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정보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는 추가로:
제1 구성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 제1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키를 포함함-; 및 제3 구성 정보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구성 송신 유닛 - 제3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키를 포함함-; 또는,
모드 요청 메시지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 모드 요청 메시지는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착용가능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데 사용됨-;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구성 송신 유닛 -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데에 사용됨 -; 또는,
모드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 모드 요청 메시지는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송신 유닛-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는 추가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트리거링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트리거링 유닛 - 트리거링 커맨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공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리거링 유닛 - 공표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것을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는데 사용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제1 내지 제2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는 추가로: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간의 제3 통신 접속이 접속 해제된 후,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 통지 메시지가 수신된 후 - 제2 통지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됨 -,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거나; 또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가 발견될 때, 및 사용자 장비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정보 상호 작용을 수행하지 않을 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게,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고, 및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통신 확립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정보 송신 유닛은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제1 정보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양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 제3 양태의 제1 내지 제3, 또는 제5 및 제6 가능한 구현 방식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이며; 및 사용자 장비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 방식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사용자 장비이며;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후,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6 양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디바이스는 전원 케이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별개로 연결되며, 여기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내지 제6 가능한 구현 방식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이고; 및 사용자 장비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 방식들 중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사용자 장비이고;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제1 블루투스 접속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접속된 브리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된 후, 브리지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고 또한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되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되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전술한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간접적인 통신이 구현되어서, 사용자 장비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통신 범위에 의해 제한받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또는 종래 기술에서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요구되는 첨부 도면들을 간단히 기술한다. 명백하게도, 다음의 설명에서의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단지 일부 실시예를 보여준 뿐이며, 통상이 기술자는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이들 첨부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여전히 도출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에 적용되는 또 다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또 다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또 다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각각의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간접적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도, 기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그 전부가 아니다. 창의적인 노력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특허 청구 범위 및 첨부 도면에서, "제1", "제2", "제3", "제4" 등은 (존재한다면)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지 만 반드시 특정 순서 또는 시퀀스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러한 식으로 명명된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도시되거나 기술된 순서 이외의 순서들로 구현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포함하는", "포함하는" 및 임의의 다른 변형들은 비배타적 포함을 포괄하고자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단계들 또는 유닛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디바이스는 반드시 이러한 유닛들로만 제한되지는 않으며,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았거나 또는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에 원래적인 다른 유닛들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주로 적용될 수 있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도 1a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장비, 착용가능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이동 전화, 패드(Pad) 또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스마트 밴드 또는 스마트 시계와 같은 사용자 장비(예를 들어, 도 1의 스마트 밴드)와 페어링(pairing)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가정용 Wi-Fi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기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통신 접속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접속으로 직접 확립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실행을 위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가 착신 호를 가지면,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의 착신 호를 표시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거리와 같은 이유로 인해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통신 접속이 접속 해제되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간접 통신 접속을 구현할 수 있다. 특정적으로, 프로토콜의 통신 접속이고 또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 간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는데, 예를 들어,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의 통신 접속 또는 Wi-Fi 프로토콜의 통신 접속이 확립된다.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통신 접속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확립된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간접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착용가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간의 접속에 대해서는, 도 1a의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간의 접속을 참조한다. 각각의 브리지 디바이스는 전력 케이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으며, 브리지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통신 접속이 확립될 수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블루투스 패킷으로 캡슐화하고, 전력 케이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패킷을 브리지 디바이스에 송신한 후, 브리지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패킷을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한다.
브리지 디바이스의 주요 기능들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통신의 커버리지 영역을 보장하고 또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메시지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도착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은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흐름도가 도 2에 도시되고,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101: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되는지를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가 속한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되고,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간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해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되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통신 접속 및 사용자 장비에의 통신 접속을 개별적으로 확립한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 간의 통신 접속을 위해,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 간의 통신 접속이 확립된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통신 접속에 대해, 하기 경우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는 것이 트리거링될 수 있다.
(1) 사용자 장비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발견하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이 확립된 것을 발견할 때, 사용자 장비는 직접적으로 트리거링 커맨드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트리거링 커맨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트리거링 커맨드를 수신할 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으로 결정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능동적으로 확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리거링 커맨드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사용자 장비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발견할 때,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블루투스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대안으로,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되지 않았다면,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블루투스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여전히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블루투스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면, 블루투스 페이징 응답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되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블루투스 페이징 응답을 수신하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다.
(2)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한 후,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블루투스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발견할 때,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블루투스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대안으로,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되지 않았다면,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여전히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블루투스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된다면, 블루투스 페이징 응답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되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블루투스 페이징 응답을 수신한다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다.
(3)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한 후,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확인 응답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여기서 확인 응답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가 제1 블루투스 접속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확립되는지를 결정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리턴되는 확인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으로 결정하고, 이후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한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리턴되는 무 확인 응답 메세지가 수신되면, 제1 블루투스 접속은 확립되지 않을 수 있다.
두 번째 경우에,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하고 제2 블루투스 접속을 결정한 후,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한 후, 제1 블루투스 접속이 먼저 확립되고, 이후 사용자 장비는 제2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여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들의 두 가지 경우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확립된 제1 블루투스 접속은 상이하다. 도 1a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직접적인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되고;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간접적인 제1 블루투스 접속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브리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확립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후,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공표 메시지를 추가로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공표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에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것을 통지하기 위해 사용되어,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추가로 유의해야 한다.
단계 102: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1 정보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될 때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된다.
단계 103: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단계 101에서 확립된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한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후,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될 제1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먼저 송신한 다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제1 정보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콘텐츠, 지시, 데이터, 및 그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제1 정보의 포맷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제1 정보의 포맷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할 때, 제3 통신 접속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프로토콜 포맷이 사용될 수 있고;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할 때 블루투스 프로토콜 포맷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특정 동작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제3 통신 접속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프로토콜 포맷에서의 제1 정보를 블루투스 프로토콜 포맷에서의 제1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 간의 제3 통신 접속은 인터넷 프로토콜 (IP)을 지원하는 통신 접속일 수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프로토콜 형식이고 또한 IP 패킷의 페이로드에서 전달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 포맷이고 또한 IP 패킷에서 전달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위 계층 프로토콜들에는 UPnP 프로토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프로토콜; IGRS(Intelligent Grouping and Resource Sharing) 프로토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및 UDP(User Datagram Protocol)가 있는데, 이것들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 포맷에서의 제1 정보를 블루투스 프로토콜 포맷에서의 제1 정보로 변환한다.
제3 통신 접속은 추가로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접속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UPnP 프로토콜 형식이고 또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UPnP 프로토콜 포맷에서의 제1 정보를 블루투스 프로토콜 포맷에서의 제1 정보로 변환한 다음, 제1 정보를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제3 통신 접속은 추가로 Wi-Fi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접속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프로토콜 포맷이고 또한 Wi-Fi 프로토콜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있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정보를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 포맷이고 또한 Wi-Fi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위 계층 프로토콜 포맷의 제1 정보를 블루투스 프로토콜 포맷의 제1 정보로 변환하고, 및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는 UPnP 프로토콜, DLNA 프로토콜, IGRS, HTTP, TCP, UDP, 및 IP가 포함되지만, 이것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제1 정보를 송신할 때, 도 1a에 도시된 시스템에 대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직접 송신할 수 있고; 도 1b에 도시된 시스템에 대해,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통신 접속이 브리지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하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확립될 수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블루투스 패킷으로 캡슐화하고 전원 케이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패킷을 브리지 디바이스에 송신한 후, 브리지 디바이스는 브리지 디바이스의 통신 범위 내에서 블루투스 패킷을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도록 된다는 것을 추가로 유의해야 한다.
또한,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능동적으로 송신된 제2 정보에 대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2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송신되는 통지 또는 데이터,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보고되는 정보,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제2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제2 정보의 포맷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송신되는 제2 정보의 포맷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되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되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간접적 통신이 구현되어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통신 범위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
단계 101 내지 단계 103의 통신 방법에서,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속하는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간접적으로 통신한다. 한 경우에, 구체적으로, 다음 조건들 중 임의의 하나 하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되고,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직접적으로 통신한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1 통지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 간의 제3 통신 접속이 접속 해제된다.
또한, 단계 101 내지 단계 103에서의 통신 방법은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된 시스템에서의 각각의 디바이스가 구성된 후에 수행되는 통신을 가리킨다. 따라서, 단계 101 전에,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추가로 구성한다. 특정적으로, 단계 101 전에,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다음 방식들 중 임의의 하나의 구성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흐름도가 도 3에 도시되며, 이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1) 사용자 장비는 구성을 직접 수행한다.
단계 104: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1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위한 키를 포함하고, 및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 관계와 같은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제1 구성 정보를 저장하고, 여기서 제1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구성 정보가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어떤 페어링 관계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 관계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서 정보가 송신될 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고,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구성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고, 제2 구성 정보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특성 정보 또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커맨드와 같은,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와 제3 통신 접속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확립하고, 매핑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할 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매핑 관계에 따라,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송신되는 제1 정보로 변환하고, 제1 정보를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매핑 관계를 확립할 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주로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에서의 각각의 정보 피스와 제3 통신 접속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에서의 각각의 정보 피스 간의 대응 관계를 확립하는데, 예를 들어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의 커맨드 또는 메시지와 제3 통신 접속에 의해 지원되는 프로토콜의 커맨드 또는 메시지 간의 대응 관계를 확립할 수 있다.
(2)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구성한다.
단계 105: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기 위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요청하는데 사용되며;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에 따라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한다. 즉,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을 능동적으로 송신한다. 페어링이 성공할 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키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 관계를 발생한다.
(3)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구성한다.
단계 106: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모드 요청 메시지는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데 사용되고;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모드 요청 메시지에 따라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한 기간 내에 또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의해 검색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고, 페어링 요청을 수용할 수 있다. 페어링이 성공할 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키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 관계를 발생한다.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 관계의 기능은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제1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먼저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페어링 관계에 따라 제1 정보를 대응하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또 다른 통신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 실시예의 방법은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다. 흐름도가 도 4에 도시되는데,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201: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통신 접속은 블루투스 통신 접속이다. 사용자 장비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어떤 블루투스 신호도 검출하지 못하거나, 또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검출된 블루투스 신호의 강도가 임계치보다 낮으면,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이 판정된다. 대안적으로, 또 다른 경우에, 사용자 장비가 속한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이 확립된 것을 결정할 때,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능동적으로 접속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간에 제3 통신 접속이 확립될 때,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이 결정된다.
사용자 장비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발견한 후,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되면, 사용자 장비는 단계 202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능동적으로 트리거링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트리거링 커맨드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트리거링 커맨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여,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이용된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것으로 간주하고, 후속 단계 202를 수행한다. 또 다른 경우에,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는 것은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한 후,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공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공표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에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것을 통지하여, 사용자 장비가 공표 메시지에 따라 후속 단계 202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이용된다.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능동적으로 트리거링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할 때, 사용자 장비가 트리거링 커맨드를 송신한 후,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리턴되는 공표 메시지를 추가로 수신하고, 이후 사용자 장비는 후속 단계 202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202: 사용자 장비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될 정보를 포함할 때,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속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 간의 제3 통신 접속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접속을 지원할 수 있어서, 사용자 장비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프로토콜 포맷의 제1 정보는 IP 패킷의 페이로드에서 전달되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되고; 또는 사용자 장비는 IP 패킷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 프로토콜 포맷에서의 제1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UPnP 프로토콜, DLNA 프로토콜, IGRS, HTTP, 및 TCP를 포함하나, 이것들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3 통신 접속은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접속일 수 있고, 사용자 장비는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1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UPnP 프로토콜 포맷의 제1 정보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된다. 대안적으로, 제3 통신 접속은 Wi-Fi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접속일 수 있고, 사용자 장비는 Wi-Fi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1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프로토콜 포맷의 제1 정보는 Wi-Fi 프로토콜의 MAC 프레임의 페이로드에서 전달되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되거나; 또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 포맷에서의 제1 정보는 Wi-Fi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되고, 상위 계층 프로토콜들은 UPnP 프로토콜, DLNA 프로토콜, IGRS, HTTP, TCP, UDP, 및 IP를 포함하지만, 이것들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는 콘텐츠, 명령어, 데이터,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그와 유사한 것일 수 있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제1 정보의 포맷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제1 정보의 포맷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할 때, 제3 통신 접속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프로토콜 포맷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할 때, 블루투스 프로토콜 포맷이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특정 동작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제3 통신 접속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프로토콜 포맷의 제1 정보를 블루투스 프로토콜 포맷의 제1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특정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 실시예에서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하라. 세부 사항은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송신되는 통지 또는 데이터,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보고되는 정보,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제2 정보를 송신한다.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제2 정보의 포맷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송신되는 제2 정보의 포맷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조건들 중 임의의 하나가 일어날 때,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할 수 있고, 사용자 장비는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한다.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에 도달하는 것을 발견한다.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간의 제3 통신 접속이 접속 해제된 후,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한다.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후 -여기서 제2 통지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됨-,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한다.
사용자 장비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할 때, 및 미리 설정된 시간에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정보 상호 작용을 수행하지 않을 때,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라는 요청을 송신한다.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경우, 사용자 장비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장비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발견하면,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간접적 통신이 구현되어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통신 범위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서 통신할 수 있도록 된다.
단계들 201 및 202에서의 통신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들이 구성된 후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단계 201 전에, 사용자 장비는 구체적으로 하기 방식으로 착용가능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개별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
(1)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대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및 개별적으로 구성한다.
사용자 장비는 제1 구성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키를 포함하고, 및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 관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제1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3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키와 같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2 구성 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와 제3 통신 접속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확립하고, 매핑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2)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과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및 개별적으로 구성하여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능동적으로 개시할 수 있고, 또한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수동적으로 페어링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모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여기서 모드 요청 메시지는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되고; 즉,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한 기간 내에 또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의해 검색 가능한 상태에 확립되고, 페어링 요청을 수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여기서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요청하는 데에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만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여기서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기 위해 모드 요청 메시지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대신에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미리 설정되는데, 즉, 또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의해 검색 가능한 상태에 미리 설정되고, 및 페어링 요청을 수용할 수 있다. 페어링 절차에서,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수용할지를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사용자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수용한다고 결정한 후,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수용한다.
(3)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및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능동적으로 시작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수동적으로 페어링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장비는 모드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여기서 모드 요청 메시지는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요청하는데 사용되며; 즉,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한 기간 내에 또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의해 검색 가능한 상태에 설정되고, 페어링 요청을 수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여기서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응용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된 이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는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및 사용자 장비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이 실시예에서:
1.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를 구성한다. 흐름도가 도 5a에 도시되며, 다음을 포함한다:
(1)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BD_ADDR1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BD_ADDR2를 획득하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키 Link_Key를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상에 설치된 웹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BD_ADDR1을 웹 서버, 즉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로부터 얻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장비는 제어 포인트로서 역할하고,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UPnP 디바이스로 사용)로부터 블루투스 어드레스 BD_ADDR1을 판독한다.
(2)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BD_ADDR1 및 키 Link_Key와 같은 정보를 저장을 위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3)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BD_ADDR2 및 키 Link_Key와 같은 정보를 저장을 위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 관계와 같은 정보를 저장을 위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어떠한 페어링 관계도 수신하지 못하면,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 관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4) 사용자 장비는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를 착용가능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고,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와 UPnP 프로토콜의 서비스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확립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UPnP 루트 디바이스에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UPnP 프로토콜의 구성 관리 서비스(CMS: Configuration Management Service) 정보와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트 레이트 서비스(HEART RATE SERVICE)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확립하는데, 구체적으로 이하와 같다:
A.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UPnP 루트 디바이스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에 매핑한다.
B. CMS 서비스 및 GATT에서의 기능(작용) 및 이벤트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의 특성(CHARACTERISTIC) 커맨드 간의 매핑 관계를 확립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CMS 서비스에서의 값 설정 기능(SetValues)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의 기입 요청(Write Request)에 대응하고; CMS 서비스에서의 값 획득 기능(GetValues)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의 판독 요청(Read Request)에 대응하고; CMS 서비스에서의 보고 이벤트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의 값 처리 통지(Handle Value Notification)에 대응하고, 기타 등등으로 된다.
C.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의 특성(CHARACTERISTIC)과 CMS 서비스의 데이터 모델에서의 파라미터 간의 매핑 관계를 확립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심박수 측정(Heart Rate Measurement), 심박수 측정 클라이언트 구성 기술자(Heart Rate Measurement Client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descriptor), 신체 센서 로케이션(Body Sensor Location), 심장 박동 제어 포인트(Heart Rate Control Point) 등을 포함하여,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의 특성들이 CMS 서비스의 데이터 모델에서의 파라미터들로서 간주된다.
D.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의 통지(Notify) 속성을 가진 특성과 CMS 서비스에서의 상태 변수 간의 매핑 관계를 확립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특성 값을 보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의 심박수 측정(Heart Rate Measurement)은 UPnP 프로토콜의 상태 변수에 대응하고 있다.
2.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간접적으로 통신한다. 흐름도가 도 5b에 도시되는데, 다음을 포함한다:
(1)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에서,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한 기간 내에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블루투스 심박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 간의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으로 결정된다. 이 경우,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블루투스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는지를 계속해서 결정한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블루투스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블루투스 통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페이징 응답을 리턴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도 5b에서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가 한 기간 내에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블루투스 심박 응답 메시지가 수신하지 못하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이 결정되고, 사용자 장비는 UPn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트리거링 커맨드를 송신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블루투스 통신 접속을 확립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트리거링하게 된다.
(2)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블루투스 통신 접속이 확립된 후에, 공표 메시지가 사용자 장비에 송신되며, 여기서 공표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에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것을, 또는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온라인 상태에 있는 것을 통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공표 메시지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UPnP 루트 디바이스가 온라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 장비에 알리기 위해 사용되며, 공표 메시지는 특정적으로는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 alive 공표 메시지이다.
(3)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SSDP :: alive 공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사용자 장비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제1 정보를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제1 정보로 변환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게 제1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제1 정보는 파라미터 값 판독이다. 사용자 장비는 UPnP 프로토콜의 GetValues () 커맨드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GetValues () 커맨드를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Read Request ()로 변환하고, Read Request ()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송신할 때,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2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제2 정보를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제2 정보로 변환하고, 제2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송신되는 제2 정보는 심박수 보고이다.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Handle Value Notification () 메시지를 사용하여 심박수 측정(Heart Rate Measurement) 파라미터 값을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심박수 측정 파라미터 값을 UPnP 프로토콜의 통지 이벤트로 변환하고, 심박수 측정 파라미터 값을 사용자 장비에 보고한다.
(4) 사용자 장비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에 도달한 것을 발견할 때,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게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사용자 장비는 직접 통신 접속을 확립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또 다른 하기 특정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b에 도시된 이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서,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도 1a에 대응하는 응용 실시예의 방법과 유사하다.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브리지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여기서 브리지 디바이스는 전력 케이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브리지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또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블루투스 메시지를 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더 제공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Wi-Fi 라우터와 같은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고,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통신 확립 유닛(11) - 여기서:
구체적으로, 통신 확립 유닛(11)은 구체적으로 다음을 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된 트리거링 커맨드가 수신된 후 - 트리거링 커맨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거나; 또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가 발견된 후,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으로 결정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거나; 또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가 발견된 후에, 확인 응답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고 -여기서 확인 응답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되는지를 결정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사용자 장비에 의해 리턴되는 확인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후,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함-;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정보 수신 유닛(12); 및
통신 확립 유닛(11)에 의해 확립되는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정보 수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정보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13).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할 때, 통신 확립 유닛(11)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브리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할 수 있고; 및 송신 유닛(13)은 제1 정보를 브리지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브리지 디바이스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정보 수신 유닛(12)은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및 송신 유닛(13)은 또한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제2 정보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경우,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은 통신 확립 유닛(11)을 사용하여 확립되고; 정보 수신 유닛(12)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할 때, 송신 유닛(13)은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간접적 통신이 구현되어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통신 범위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구조에 부가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제1 구성 유닛(14), 제2 구성 유닛(15), 및 접속 해제 유닛(16)을 포함한다.
제1 구성 유닛(14)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 제1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키를 포함함-; 및 제1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 제1 구성 정보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 관계와 같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제1 구성 정보는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송신 유닛에 의해 제1 정보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는데 사용됨 -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제1 구성 유닛(14)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기 위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및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에 따라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제1 구성 유닛(14)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 모드 요청 메시지는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용하기 위해서 모드 요청 메시지에 따라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된다. 제1 구성 유닛(14)은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 관계를 확립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구성 유닛(15)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 제2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를 포함함- ; 및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와 제3 통신 접속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확립하고 매핑 관계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유닛(13)은 구체적으로: 제2 구성 유닛(15)에 의해 저장된 매핑 관계에 따라,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송신되는 제1 정보로 변환하고,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제1 정보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접속 해제 유닛(16)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 제1 통지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됨-,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 간의 제3 통신 접속을 접속 해제하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를 더 제공한다. 사용자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도가 도 8에 도시되며,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통신 결정 유닛(20) - 통신 결정 유닛(20)은 구체적으로: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될 때, 또는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결정한 경우,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도록 구성됨 -; 및
통신 결정 유닛(10)이 제1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한 후, 사용자 장비가 속한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되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송신 유닛(21).
또한, 사용자 장비는 구성 송신 유닛(22), 트리거링 유닛(23), 및 통신 확립 유닛(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8에서, 파선은 사용자 장비에 더 포함되는 구조들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성 송신 유닛(22)은 제1 구성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1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키를 포함하고, 또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 관계와 같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및 구성 송신 유닛(22)은 제3 구성 정보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여기서 제3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키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구성 송신 유닛(22)은 모드 요청 메시지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 모드 요청 메시지는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기 위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데에 사용됨 -;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기 위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데에 사용됨 -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구성 송신 유닛(22)은 모드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 모드 요청 메시지는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데에 사용됨 -;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요청하는 데에 사용됨 - 구성된다.
또한, 구성 송신 유닛(22)은 제2 구성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데, 여기서 제2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와 제3 통신 접속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확립하고 매핑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트리거링 유닛(23)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트리거링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트리거링 커맨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및/또는 트리거링 유닛(23)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공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공표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것을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 장비에서, 통신 결정 유닛(20)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한 후, 정보 송신 유닛(21)은 제1 정보를 직접적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통신 결정 유닛(20)은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한 후, 트리거링 유닛(23)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먼저 트리거링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거나, 또는 트리거링 유닛(23)이 공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정보 송신 유닛(21)은 제1 정보를 송신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통신 확립 유닛(24)은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간의 제3 통신 접속이 접속 해제된 후에,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 통지 메시지가 수신된 후에 - 제2 통지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됨 -,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거나; 또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가 발견될 때, 및 사용자 장비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정보 상호 작용을 수행하지 않을 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정보 송신 유닛(21)은 통신 확립 유닛(24)에 의해 확립된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통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되면, 사용자 장비가 속한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장비에서의 통신 결정 유닛(20)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발견할 때, 정보 송신 유닛(21)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간접적 통신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되어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가 통신 범위에 제한받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 다른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추가로 제공하는데, 여기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Wi-Fi 라우터와 같은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데, 버스에 접속된 프로세서(30), 메모리(31), 통신 유닛(32), 및 전원(33)을 포함하고, 통신 유닛(32)은 송신기(321) 및 수신기(32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0)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각종 기능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고, 메모리(31)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31)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의해 요구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사용 등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 방식에서, 메모리(30)는 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상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PRAM: Phase Change RAM) 또는 자기 저항 랜덤 액세스 메모리(MRAM: Magnetoresistive RAM)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및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또는 NAND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와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 휘발성 메모리는 프로세서(30)에 의해 실행되는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및 프로세서(30)는 비 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실행중인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드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다수의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한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디바이스 제어 또는 전력 관리,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컴포넌트들 및/또는 드라이브들인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메모리(31)의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도 2 및 도 3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의 통신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세부 사항은 여기에 설명되지 않는다.
전원(33)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다양한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여 이들을 계속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전원(33)은 내장 배터리, 예를 들어 공통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니켈-수소 배터리일 수 있고; 및 예를 들어 AC 어댑터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전력을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외부 전원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원(33)은 더 넓은 정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시스템, 충전 시스템, 정전 검출 회로, 전력 변환기 또는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기(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것), 및 발전, 관리, 및 전자 디바이스의 분포에 관계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들 및 라인들을 사용하여 전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각각의 부분에 접속된다. 프로세서(30)는 메모리(31)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실행함으로써 및 메모리(31)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거나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프로세서(30)는 집적 회로(IC: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일 패키징된 IC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기능 또는 다른 기능을 갖는 다중 패키징된 IC를 접속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는 중앙 처리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G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및 통신 유닛에서의 제어 칩(예를 들어, 기저 대역 칩)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 방식에서, CPU는 단일 컴퓨팅 코어일 수 있거나 다중 컴퓨팅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0)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할 수 있고, 도 2 및 도 3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의 통신 방법을 수행한다. 세부 사항은 여기에 설명되지 않는다.
통신 유닛(32)은 통신 채널을 확립하도록 구성되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 유닛(32)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짧게는 무선 LAN) 모듈, 블루투스 모듈, 및 기저대역(Base Band) 모듈, 및 이런 통신 모듈들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회로들과 같은 통신 모듈들(도 9에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어서, 무선 LAN 통신, 블루투스 통신 및/또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및/또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와 같은 셀 방식 통신 시스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통신 모듈들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서의 모든 컴포넌트들 간의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직접 메모리 액세스(Direct Memory Access)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방식에서, 통신 유닛(32)에서의 각각의 통신 모듈은 일반적으로 집적 회로 칩(Integrated Circuit Chip)의 형태로 나타나며, 통신 모듈들은 모든 통신 모듈들 및 대응하는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하는 대신에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32)은 셀 방식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기능을 제공하도록 기저 대역 칩, 무선 주파수 칩, 및 대응하는 안테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유닛(32)에 의해 확립되는 무선 통신 접속, 예를 들어 무선 근거리 통신망 액세스 또는 WCDMA 액세스를 통해 셀 방식 네트워크(Cellular Network) 또는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선택적 구현 방식에서, 통신 유닛(32)에서의 통신 모듈, 예를 들어 기저 대역 모듈은 통상적으로 퀄컴(Qualcomm)이 제공하는 APQ+MDM 플랫폼들과 같은 프로세서(30)에 통합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회로는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하거나 호 동안에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회로는 안테나 시스템, 송신기(321) 및 수신기(322)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것들에만 제한되지는 않는, 이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지된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주파수 회로는 무선 통신에 의해 네트워크 및 또 다른 디바이스와 추가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GSM(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technology), 및 LTE(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하지만 이것들에만 제한되지는 않는 임의의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서의 프로세서(30)는 메모리(3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다음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30)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고, 통신 유닛(32)과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게 구성된다.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간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할 때, 통신 유닛(32)에서의 수신기(322)는 통신 유닛(32)에서의 송신기(321)에게, 확립된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간접적인 통신이 구현되어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통신 범위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수신기(322)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트리거링 커맨드를 수신할 때 -여기서 트리거링 커맨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는 데에 사용됨 -, 프로세서(31)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거나; 또는 통신 유닛(32)이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한 후, 예를 들어 송신기(321)가 블루투스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수신기(322)가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블루투스 페이징 응답을 수신할 때, 프로세서(30)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고, 통신 유닛(32)과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통신 유닛(32)이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한 후에, 송신기(321)는 사용자 장비에 확인 응답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 확인 응답 요청 메시지는 제1 블루투스 접속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확립되는지를 결정하도록 사용자 장비에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및 수신기(322)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리턴되는 확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프로세서(30)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고, 이후 프로세서(30)는 통신 유닛(32)과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할 것을 지시한다.
프로세서(30)가 통신 유닛(32)과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할 것을 지시할 때, 구체적으로,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브리지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확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는 송신기(321)에게 제1 정보를 브리지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브리지 디바이스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프로세서(30)는, 수신기(322)가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할 때,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제2 정보를 송신하도록 송신기(321)에게 지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0)는, 수신기(322)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할 때 - 제1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키를 포함함-, 제1 구성 정보를 메모리(31)에 저장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구성 정보는 송신 유닛에 의해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1 구성 정보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 관계와 같은 정보를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30)는, 수신기(322)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요청하는데에 사용됨 -,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에 따라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30)는, 수신기(322)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 모드 요청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게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 모드 요청 메시지에 따라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30)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 관계를 확립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30)는, 수신기(322)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할 때 - 제2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를 포함함-,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와 제3 통신 접속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확립하고, 및 메모리(31)에 매핑 관계를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및 프로세서(30)는, 매핑 관계에 따라, 송신기(321)에게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송신되는 제1 정보로 변환하고, 및 제1 정보를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지시하게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0)는, 수신기(322)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통지 메시지를 수신할 때 - 제1 통지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게 네트워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도록 지시하는데에 사용됨- ;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통신 접속을 접속 해제시키거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 간의 제3 통신 접속을 접속 해제시키고;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 다른 사용자 장비를 추가로 제공한다. 사용자 장비의 구조는 도 9에 도시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구조와 유사할 수 있고, 버스, 메모리, 통신 유닛 및 전원에 접속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통신 유닛은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다음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고; 및 사용자 장비가 속한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되면, 송신기에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여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가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간접적인 통신이 구현되어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통신 범위에 의해 제한받지 않도록 된다. 프로세서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검출하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3 통신 접속을 확립할 것을 결정할 때,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고,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결정하도록 특정적으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송신기에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 제1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키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 관계와 같은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 및 송신기에게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도록 - 제3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키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모드 요청 메시지를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송신기에게 지시하고 - 모드 요청 메시지는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데에 이용됨 -; 및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데에 사용됨 - 추가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모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송신기에게 지시하고 - 모드 요청 메시지는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데에 사용됨- ;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 프로시저 요청 메시지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프로시저를 인에이블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는 송신기에게 제2 구성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송신하게 지시하도록 - 제2 구성 정보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블루투스 서비스 정보와 제3 통신 접속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 정보 간의 매핑 관계를 확립하고, 매핑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트리거링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송신기에게 지시하도록 - 트리거링 커맨드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됨 - 추가로 구성되고; 및/또는 수신기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공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공표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것을 사용자 장비에게 통지하는데 사용된다.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이 결정된 후에, 프로세서는 송신기에게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직접 지시할 수 있거나; 또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이 결정된 후에,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트리거링하도록 송신기에게 지시하거나; 또는 수신기가 공표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송신기에게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사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추가로 발견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간의 제3 통신 접속이 접속 해제된 후,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통지 메시지가 수신된 후 - 제2 통지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것을 사용자 장비에게 통지하기 위해 사용됨 -,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발견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거나; 또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가 발견될 때 및 미리 설정된 시간에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착용가능 디바이스와 정보 상호 작용을 수행하지 않을 때,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게 제1 블루투스 접속을 접속 해제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고, 착용가능 디바이스에의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한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확립된 제2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송신기에게 지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도 1a에 도시된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구조는 도 6, 도 7, 또는 도 9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구조와 유사할 수 있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는 주로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 장비의 구조는 도 8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장비의 구조와 유사할 수 있고,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 기술되지 않는다.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의 제1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후,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및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 다른 통신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도 1b에 도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디바이스는 전력 케이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및 브리지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에 제2 통신 프로토콜의 메시지만을 포워딩하고,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통신 범위를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구조는 도 6, 도 7, 또는 도 9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의 구조와 유사할 수 있고, 사용자 장비와 착용가능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접속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사용자 장비의 구조는 도 8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장비의 구조와 유사할 수 있고,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 기술되지 않는다.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접속된 브리지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1 블루투스 접속이 수행된 후, 브리지 디바이스에 의해 포워딩되고 또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실시예들의 방법들의 모든 단계 또는 일부 단계가 관련 하드웨어에게 지시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가 앞에서 상세히 기술되었다. 본 발명의 원리 및 구현은 구체적인 예들을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되었다.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방법 및 핵심 사상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특정 구현들 및 적용 범위들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명세서의 내용을 본 발명의 제한으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40)

  1. 통신 시스템으로서,
    착용가능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제1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1 디바이스와의 제2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1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제3 통신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경우 상기 제2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상기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접속 해제된 후에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BLUETOOTH)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제2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상기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경우 상기 제3 통신 접속을 접속 해제하고;
    상기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구성 정보를 구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기 제3 통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의 강도가 임계치와 동일하거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검출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상기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제3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상기 제3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통신 시스템.
  7.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접속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접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접속은 WI-FI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접속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8.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제1 착신 호의 표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9. 착용가능 디바이스로서,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 -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하여금:
    전자 디바이스와 제1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제2 통신 접속을 통해 제1 디바이스에 접속됨 -;
    상기 제1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제3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해제되고 상기 제2 통신 접속 및 상기 제3 통신 접속이 유지된 경우 상기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해제된 후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경우 상기 제3 통신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정보를 수신하게 하는, 착용가능 디바이스.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기 제3 통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키를 포함하는, 착용가능 디바이스.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제3 정보를 송신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된, 착용가능 디바이스.
  13.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접속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접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접속은 WI-FI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접속을 포함하는, 착용가능 디바이스.
  14.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제1 착신 호의 표시를 포함하는, 착용가능 디바이스.
  15. 전자 디바이스로서,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 -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제1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1 디바이스와의 제2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1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해제되고,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해제된 후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제3 통신 접속이 확립된 경우 상기 제2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제1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경우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블루투스 접속과 제2 통신 접속이 유지되고, 상기 블루투스 접속이 확립된 이후 상기 제3 통신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제2 정보를 송신하게 하는 전자 디바이스.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구성 정보를 구성하도록 더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기 제3 통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키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제1 착신 호의 표시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0.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의 강도가 임계치와 동일하거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검출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1. 통신 시스템으로서,
    착용가능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제1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1 디바이스와의 제2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1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제3 통신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통신 접속, 상기 제2 통신 접속, 및 상기 제3 통신 접속이 유지된 경우 상기 제1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해제되고, 상기 제2 통신 접속 및 상기 제3 통신 접속이 유지된 경우 상기 제2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제2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상기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제3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상기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상기 제3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의 강도가 임계치와 동일하거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검출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상기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제4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상기 제4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25. 삭제
  26.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기 제3 통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8.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접속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접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접속은 WI-FI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접속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9.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해제되었다는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
  30.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착신 호의 표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31. 전자 디바이스로서,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 -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제1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1 디바이스와의 제2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1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제3 통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1 통신 접속, 상기 제2 통신 접속,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제3 통신 접속이 유지된 경우 상기 제1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제1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해제되고, 상기 제2 통신 접속 및 상기 제3 통신 접속이 유지된 경우 상기 제2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제2 정보를 송신하게 하는, 전자 디바이스.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해제된 후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2 통신 접속 및 상기 제3 통신 접속이 유지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제3 정보를 송신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의 강도가 임계치와 동일하거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검출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
  34. 삭제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
  36.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착신 호의 표시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37. 착용가능 디바이스로서,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 -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하여금:
    전자 디바이스와 제1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제2 통신 접속을 통해 제1 디바이스에 접속됨 -;
    상기 제1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제3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1 통신 접속, 상기 제2 통신 접속, 및 상기 제3 통신 접속이 유지된 경우 상기 제1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해제되고, 상기 제2 통신 접속 및 상기 제3 통신 접속이 유지된 경우 상기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정보를 수신하게 하는, 착용가능 디바이스.
  38. 삭제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기 제3 통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키를 포함하는, 착용가능 디바이스.
  40. 제37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가능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통신 접속이 해제되고, 상기 제2 통신 접속 및 상기 제3 통신 접속이 유지된 경우 상기 제3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제3 정보를 송신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된, 착용가능 디바이스.
KR1020217026941A 2014-09-15 2014-09-15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KR102409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86492 WO2016041112A1 (zh) 2014-09-15 2014-09-15 可穿戴式设备的通信方法、通信系统及相关设备
KR1020207026232A KR102295516B1 (ko) 2014-09-15 2014-09-15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232A Division KR102295516B1 (ko) 2014-09-15 2014-09-15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395A KR20210110395A (ko) 2021-09-07
KR102409328B1 true KR102409328B1 (ko) 2022-06-16

Family

ID=5553240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435A KR102156862B1 (ko) 2014-09-15 2014-09-15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KR1020207026232A KR102295516B1 (ko) 2014-09-15 2014-09-15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KR1020177009379A KR102083349B1 (ko) 2014-09-15 2014-09-15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KR1020217026941A KR102409328B1 (ko) 2014-09-15 2014-09-15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435A KR102156862B1 (ko) 2014-09-15 2014-09-15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KR1020207026232A KR102295516B1 (ko) 2014-09-15 2014-09-15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KR1020177009379A KR102083349B1 (ko) 2014-09-15 2014-09-15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5) US10285214B2 (ko)
EP (3) EP3883333B1 (ko)
JP (1) JP6523437B2 (ko)
KR (4) KR102156862B1 (ko)
CN (5) CN113365258A (ko)
AU (2) AU2014406395B2 (ko)
BR (1) BR112017005052A2 (ko)
RU (1) RU2658863C9 (ko)
WO (1) WO20160411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4088B2 (en) * 2014-04-16 2019-06-04 Belkin International, Inc. Associating devices and users with a local area network using network identifiers
US10560975B2 (en) 2014-04-16 2020-02-11 Belkin International, Inc. Discovery of connected devices to determine control capabilities and meta-information
KR102156862B1 (ko) 2014-09-15 2020-09-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CN108370409B (zh) * 2015-12-22 2021-06-18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成像装置、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及计算机可读介质
EP3491879B1 (en) * 2016-07-26 2021-08-25 IPCom GmbH & Co. KG Connection of wearable devices
US11089608B2 (en) * 2016-09-01 2021-08-10 Ikabit,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6634996B2 (ja) * 2016-09-30 2020-01-22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監視装置、画面共有方法および画面共有プログラム
US11451946B2 (en) 2017-06-30 2022-09-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device
CN107426828B (zh) * 2017-07-03 2021-01-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7317606B (zh) * 2017-07-03 2020-05-19 飞天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蓝牙防追踪的方法及设备
KR102411691B1 (ko) 2018-01-03 202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데이터 송수신 방법
CN108199905A (zh) * 2018-02-01 2018-06-22 乐鑫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Mesh网络及其mesh设备和配网方法
KR102401383B1 (ko) * 2018-02-27 2022-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서의 무결절성 멀티 전자 기기 연결 방법 및 장치
WO2019202698A1 (ja) * 2018-04-19 2019-10-2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着信通知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US10939286B2 (en) * 2018-08-06 2021-03-02 Koninklijke Philips N.V. Link status-aware medical devices and gateways
US11363953B2 (en) * 2018-09-13 2022-06-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medical anomalies
US11233888B2 (en) * 2019-06-19 2022-01-25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Communicating with a short-range wireless device over a local area network
JP2021193512A (ja) * 2020-06-08 2021-12-23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2035105A (ja) * 2020-08-20 2022-03-0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CN114339710A (zh) * 2020-10-09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连接的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WO2022120545A1 (zh) * 2020-12-07 2022-06-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设备桥接映射的方法和桥接设备
CN112866969A (zh) * 2021-03-09 2021-05-28 浙江一通电子科技有限公司 塔机多变频控制的蓝牙联接方法及联接系统
CN113853031B (zh) * 2021-09-18 2024-04-02 雅迪科技集团有限公司 头盔的连接方式切换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0820A1 (en) * 2001-04-30 2002-10-31 Thomas Winkler Enhance mobility of a bluetooth headset beyond the reach supported by bluetooth

Family Cites Families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0505B2 (ja) * 2000-04-28 2004-12-15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RU2287851C2 (ru) 2000-12-08 2006-11-20 Мацусита Электрик Индастриал Ко., Лтд.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 также программа и способ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них
US7565108B2 (en) * 2002-03-26 2009-07-21 Nokia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discovery for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with reader device having transponder functionality
US20050037818A1 (en) 2003-05-28 2005-02-17 Nambirajan Seshadri Providing a universal wireless headset
WO2004109992A1 (en) 2003-06-06 2004-12-16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Method of controll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by switching between short-range and long-range radio technologies
US7174187B1 (en) * 2004-03-09 2007-02-06 Sprint Spectrum L.P. Multimod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user selection of transceiver mode via dialing string
US7848704B2 (en) * 2005-03-04 2010-12-07 Broadcom Corporation Location system for bluetooth enabled devices
JP4506658B2 (ja) * 2005-11-30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設定情報提供方法,設定情報取得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790155B1 (ko) * 2006-03-22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76425A1 (en) 2006-09-22 2008-03-27 Amit Khetawat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management
US9386269B2 (en) * 2006-09-07 2016-07-05 Rateze Remote Mgmt Llc Presentation of data on multiple display devices using a wireless hub
US8875193B2 (en) * 2007-05-14 2014-10-28 Sigma Group, Inc. Wireless multimedia system
US8554271B2 (en) * 2007-06-30 2013-10-08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eighbor scans on a wide area network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perating a personal area network
US9060288B2 (en) * 2013-03-15 2015-06-16 Koss Corporation Configuring wireless devices for a wireless infrastructure network
JP4220575B1 (ja) * 2008-09-12 2009-02-04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JP5168042B2 (ja) * 2008-09-17 2013-03-21 株式会社リコー 近距離無線通信の遠隔通信設定方法、接続支援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149735B2 (en) * 2009-02-06 2012-04-03 Broadcom Corporation Utilizing ad-hoc network pathway support via communication devices
US9439071B2 (en) * 2009-03-03 2016-09-06 Mobilitie, Llc Billing engine and method of use
US8744351B2 (en) * 2009-07-24 2014-06-0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burden on a bluetooth low power end-point device
KR101586089B1 (ko) * 2009-08-14 2016-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장치
EP2505028B1 (en) * 2009-11-27 2020-07-0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JP2011155589A (ja) * 2010-01-28 2011-08-11 Hitachi Ltd ハイブリッド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99005B1 (ko) * 2010-03-16 2011-12-28 한국과학기술원 적외선 모듈을 통하여 동조과정을 가시화하는 동조중계기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통신 동조중계장치 및 동조중계방법
US20120020348A1 (en) * 2010-07-21 2012-01-26 Qualcomm Incorporated Coexistence interface and arbitration for multiple radios sharing an antenna
US9246603B2 (en) * 2010-08-12 2016-01-26 Mediatek Inc. Method of in-device interference mitigation for cellular, bluetooth, WiFi, and satellite systems coexistence
JP2012129834A (ja) 2010-12-16 2012-07-05 Casio Comput Co Ltd 携帯電話システム、携帯電話機および装着型端末
CN201887794U (zh) 2010-12-17 2011-06-29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物联网关
RU111940U1 (ru) * 2011-07-19 2011-12-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Московск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Компас" Система навигации, регистрации, мониторинга, охраны и контроля стационарных и мобильных объектов
US8892088B2 (en) * 2011-12-16 2014-11-18 Ht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incoming calls on a media device
US9386069B2 (en) * 2011-12-28 2016-07-0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dia exposure data collection and security
RU123542U1 (ru) 2012-01-23 2012-12-27 Даниял Зиявудинович Магомедов Система локаль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и коммуникации людей
US8515407B1 (en) * 2012-03-21 2013-08-20 Google Inc. Redirecting incoming phone calls
CN102651915B (zh) * 2012-05-11 2015-06-03 卢泳 一种无线智能路由器及无线通信系统
JP2014003379A (ja) * 2012-06-15 2014-01-09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003237A1 (en) * 2012-06-29 2014-01-02 Thomas J. Kenney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wireless devices in dynamic frequency selection (dfs) bands
JP5954024B2 (ja) 2012-07-27 2016-07-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US9065924B2 (en) * 2012-08-29 2015-06-23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external component to conduct wireless communications
US9445267B2 (en) * 2012-08-31 2016-09-13 Apple Inc. Bump or close proximity triggered wireless technology
US10158391B2 (en) * 2012-10-15 2018-12-1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area network enabled mobile device accessory
KR20140052690A (ko) * 2012-10-25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시스템의 제어방법
US9100989B2 (en) * 2012-12-31 2015-08-0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d-hoc content sharing
US20150189425A1 (en) * 2013-01-01 2015-07-02 Aliphcom Mobile device speaker control
CN103135440B (zh) * 2013-02-25 2015-04-22 无锡威峰科技有限公司 蓝牙智能手表
KR20140132917A (ko) * 2013-05-09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와 연결 가능한 부가 장치를 통한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022666B1 (ko) * 2013-05-16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TWI545979B (zh) * 2013-06-09 2016-08-11 蘋果公司 藍芽警報通知服務
GB201314080D0 (en) * 2013-08-06 2013-09-18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of operation
KR102083322B1 (ko) * 2013-08-22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립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9100944B2 (en) * 2013-08-28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nnecting mobile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US9451100B2 (en) * 2013-08-28 2016-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028309B2 (en) * 2013-10-02 2018-07-17 Apple Inc. Cloud phone notifications
US9572171B2 (en) * 2013-10-31 2017-02-14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fficient device-to-device channel contention
WO2015077280A2 (en) * 2013-11-20 2015-05-28 Evernote Corporation Distributed application functionality and user interface for multiple connected mobile devices
US9317155B2 (en) * 2013-12-27 2016-04-19 Intel Corporation Ruggedized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3647587B (zh) * 2013-12-30 2016-08-17 华为终端有限公司 为移动终端解锁的方法、系统、移动终端及穿戴电子设备
WO2015114420A1 (en) * 2014-02-02 2015-08-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ssion and service control for wireless devices using common subscriber information
CN103840860B (zh) * 2014-02-27 2016-08-17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蓝牙通信方法和装置
CN114578948A (zh) * 2014-03-06 2022-06-03 博能电子公司 腕表装置、方法以及计算机程序产品
US10176428B2 (en) * 2014-03-13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Behavioral analysis for securing peripheral devices
US9510083B2 (en) * 2014-03-14 2016-11-29 Apple Inc. Managing connections of a user device
US9886710B2 (en) * 2014-03-25 2018-02-06 Ebay Inc. Data mesh visualization
US9641969B2 (en) * 2014-07-25 2017-05-02 General Electric Company Wireless bridge hardware system for active RFID identification and location tracking
US20160066124A1 (en) * 2014-09-02 2016-03-03 Apple Inc. Alert manager
CN106688258B (zh) * 2014-09-04 2020-05-08 Lg电子株式会社 用于nan的无线资源调度方法和装置
KR102156862B1 (ko) * 2014-09-15 2020-09-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KR102302686B1 (ko) * 2014-12-05 202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0820A1 (en) * 2001-04-30 2002-10-31 Thomas Winkler Enhance mobility of a bluetooth headset beyond the reach supported by bluetoo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07731A (zh) 2021-10-15
RU2658863C9 (ru) 2018-12-25
CN109982305A (zh) 2019-07-05
EP3185640A1 (en) 2017-06-28
CN113596937B (zh) 2023-03-28
US20200337105A1 (en) 2020-10-22
CN113596937A (zh) 2021-11-02
KR102295516B1 (ko) 2021-08-31
CN105612805B (zh) 2021-05-04
EP4102928A1 (en) 2022-12-14
AU2019201810A1 (en) 2019-04-04
BR112017005052A2 (pt) 2017-12-05
US20190239274A1 (en) 2019-08-01
EP3883333B1 (en) 2024-03-06
CN105612805A (zh) 2016-05-25
CN113507731B (zh) 2022-07-22
KR102083349B1 (ko) 2020-03-03
US10285214B2 (en) 2019-05-07
WO2016041112A1 (zh) 2016-03-24
KR102156862B1 (ko) 2020-09-16
KR20210110395A (ko) 2021-09-07
US10764954B2 (en) 2020-09-01
US20170280495A1 (en) 2017-09-28
CN109982305B (zh) 2021-04-20
AU2019201810B2 (en) 2021-01-21
RU2658863C1 (ru) 2018-06-25
KR20200108506A (ko) 2020-09-18
US20210259035A1 (en) 2021-08-19
JP2017532863A (ja) 2017-11-02
EP3185640B1 (en) 2021-02-17
JP6523437B2 (ja) 2019-05-29
US11729853B2 (en) 2023-08-15
CN113365258A (zh) 2021-09-07
AU2014406395B2 (en) 2018-12-20
EP3185640A4 (en) 2018-05-02
US10959280B2 (en) 2021-03-23
US20230092443A1 (en) 2023-03-23
KR20200023517A (ko) 2020-03-04
US11445566B2 (en) 2022-09-13
AU2014406395A1 (en) 2017-04-13
EP3883333A1 (en) 2021-09-22
KR20170049579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328B1 (ko) 착용가능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RU2677643C1 (ru) Способ связи носим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7292461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の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関連機器
JP6696027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の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関連機器
JP7110273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の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関連機器
RU2750814C1 (ru) Способ связи носим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RU2772779C1 (ru) Способ связи носим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RU2728544C1 (ru) Способ связи носим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RU2702223C1 (ru) Способ связи носим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