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263B1 -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 Google Patents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263B1
KR102409263B1 KR1020210094381A KR20210094381A KR102409263B1 KR 102409263 B1 KR102409263 B1 KR 102409263B1 KR 1020210094381 A KR1020210094381 A KR 1020210094381A KR 20210094381 A KR20210094381 A KR 20210094381A KR 102409263 B1 KR102409263 B1 KR 102409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ing
slope
weight
soil composition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일
홍성천
김동영
Original Assignee
이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일 filed Critical 이계일
Priority to KR1020210094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2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fish or from fish-w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5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meat-wastes or from other wastes of animal origin, e.g. skins, hair, hoofs, feathers, blood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무암 섬유 및 유기질 비료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토양 경사면에 대한 결속력을 높이고 토양 조성물 자체의 응집력을 강화하며, 토양 경사면에 설치된 토목 보강재의 풍화 및 침식을 방지하고, 녹화용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여 경사면의 녹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Soil composition for slope greening and soil 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현무암 섬유 및 유기질 비료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토양 경사면에 대한 결속력을 높이고 토양 조성물 자체의 응집력을 강화하며, 토양 경사면의 풍화 및 침식을 방지하고 토양 경사면에 설치된 토목 보강재의 열화 및 파손을 방지하며, 녹화용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여 경사면의 녹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공사 및 토목 공사의 결과로 발생하는 경사면(예, 성토부 경사면, 절토부 경사면, 적층식 옹벽)을 식생으로 피복하여 토양을 보존하고 침식을 방지하며 응집력을 유지, 증진할 목적으로 녹화공법이 시행된다.
그런데, 녹화공법이 시행되는 경사면의 상당수는 암반층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식물이 생육하기에 좋지 않은 토질로 구성된다. 즉 건설 공사 및 토목 공사의 결과로 발생하는 상당수의 경사면은 토양층이 없거나 토양층의 두께가 얇아 식물의 식생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경사면은, 공사 과정에서 양분이 많은 표토와 표토 부근의 심토가 제거되고 아직 토양화되지 않은 모질물로 구성되거나 모암이 노출된 경우가 많으며, 또한 양분이 용탈되고 수분 보유 능력이 크게 저하되어 있으므로, 토사물의 침식과 붕괴의 위험을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경사면의 녹화공법 시에는 식물이 식생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토양 보존 및 침식 방지에 유리하도록 사면 부착력 및 내침식성이 우수한 인공토를 뿌려주는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경사면에 뿌려지는 인공토와 관련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07851 (2017년02월13일)은 물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증해된 볏짚 10 내지 15 중량%, 밀가루 5 내지 10 중량%, 입자크기 1㎜이하의 크기로 분쇄되고 18 내지 25%의 함수율을 갖도록 저장 및 건조된 유기질 퇴비 10 내지 15중량%, 식물성 접착제가 도포되고 물에 적셔진 코코넛껍질 3 내지 7 중량%, 황토 35 내지 60 중량%, 바실러스 3 내지 7 중량%, 액비 3 내지 7 중량% 및 테라코템 5 내지 10 중량%를 혼합한 메인혼합물을 포함하는 절토사면 녹화 및 안정화를 위한 친환경 토양혼합물을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5184 (2014년08월21일)은 인공토양 100중량부에 대하여 톱밥 10~20중량부, 유기질 비료 10~15중량부, 점토 10~15중량부, 황산알루미늄 5~10중량부, 탄산칼슘 5~10중량부, 알긴산나트륨10-15중량부, 규산나트륨 1~5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인공토양은 마사토 25~35중량%, 황토 20~30중량%, 제지슬러지 5~10중량%, 돈분 10~20중량%, 유기질 비료 15~2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녹화토를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8699 (2014년11월27일)은 세정 바텀애쉬 10~30중량%, 가축 분변 혼합제 15~25중량%, 마사토 15~30중량%, 토탄 20~25중량%, 플라이애시 5~20중량%, 볏짚 3~5중량% 및 악취제거재 1~5중량%를 포함하는 법면 녹화토를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5390 (2017년11월30일)은 토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지렁이 분변토 50~100중량부, 직경 1~2mm인 숯 알갱이 5~10중량부, 톱밥 5~10중량부, 마사토 30~50중량부 및 주박(酒粕) 20~30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박은 살균 처리되고, 수분 함량이 10~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생토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한편, 토목 경사면에는 경사면의 기본 형상을 유지하고 표면에 취부된 인공토가 흘러내리지 않고 취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능형망, 와이어메쉬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한 녹화패널, 지오그리드 및 지오셀 등의 토목 보강재를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토목 보강재는 장기간의 사용 시에 계절별 온도 변화, 습기 변화 등에 따른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로나 산업시설 부근에 시공된 경사면의 경우, 토목 보강재는 차량 및 산업시설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물질에 의한 열화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산불과 같은 화재 발생 시에 급격한 고온 환경에 따른 열변형 또는 열파손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또한, 해안가 인근에 시공된 경사면의 경우, 토목 보강재에 해수에 기인하는 염분에 의해 염해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토목 보강재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열화, 변형, 파손을 고려한 구성을 제안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07851 (2017년02월1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5184 (2014년08월2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8699 (2014년11월2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5390 (2017년11월3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무암 섬유 및 유기질 비료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토양 경사면에 대한 결속력을 높이고 토양 조성물 자체의 응집력을 강화하며, 토양 경사면의 풍화 및 침식을 방지하고 토양 경사면에 설치된 토목 보강재의 열화 및 파손을 방지하며, 녹화용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여 경사면의 녹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 0.00003~30 중량부; 유기질 비료 10~15 중량부; 마사토 60~75 중량부; 및 물 5~1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은 6~21 ㎛의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은 3 ㎝ 이하의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 20~3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기질 비료는 아주까리 유박, 팜 유박, 야자박, 골분 및 어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하수 슬러지 1~3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제지 슬러지 3~7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톱밥 5~1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 유기질 비료, 마사토 및 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능형망, 와이어메쉬, 녹화패널, 지오그리드 및 지오셀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 토목 보강재를 경사면의 표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 조성물을 고정 설치된 상기 토목 보강재의 표면에 노즐로 분사하여 취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을 이용한 녹화공법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토양 조성물에 초본류(草本類)의 종자를 혼합하고 고정 설치된 상기 토목 보강재의 표면에 노즐로 분사하여 취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토양 경사면에 대한 결속력을 높이고 토양 조성물 자체의 응집력을 강화하며, 토양 경사면의 풍화 및 침식을 방지하며, 녹화용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여 경사면의 녹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주변 환경 및 재해 발생, 장기간 사용 등에 의해 토목 보강재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열화, 변형, 파손을 저감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에 사용되는 지오셀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은,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 유기질 비료, 마사토 및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요소들이 균질한 상태 내지 실질적으로 균질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상태를 갖도록 배합된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은,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 0.00003~30 중량부; 유기질 비료 10~15 중량부; 마사토 60~75 중량부; 및 물 5~1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은 0.00003~3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된다.
현무암 섬유(basalt fiber)는 현무암으로 만들어진 회갈색 섬유로서 1400℃에서 녹는다. 석회암이 때때로 첨가된다. 녹은 현무암은 원심 과정에 의해 섬유로 만들어진다. 현무암 섬유는 미세 노즐로부터 분출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일예로, 현무암 섬유는 50% 이산화규소, 12% 산화알루미늄, 11% 산화칼슘, 10% 산화마그네슘, 7% 산화철(Ⅱ), 5% 알칼리 금속 산화물 Na2O와 K2O, 3% 산화티탄(Ⅳ)와 2% 다른 산화물의 평균 화학 조성을 가지고 있다. 현무암 섬유는 절연 재료와 섬유 강화된 건축 재료에 사용된다.
현무암 섬유는 E-glass에 비해 인장강도 및 탄성율이 15~20% 높고, 내화학성이 더 좋으며, 폭넓은 사용온도와 친환경성을 갖는 섬유이다.
항목 basalt fiber(현무암 섬유) E-Glass Fiber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인장강도(MPa) 3,000~4,840 3,100~3,800 3,500~6,000 2,900~3,400
탄성률(GPa) 79.3~93.1 72.5~75.5 230~600 70~140
신장률(%) 3.1 4.7 1.5~2.0 2.8~3.6
필라멘트 직경(μm) 6~21 6~21 5-15 -
사용온도(°C) -260 ~ +500 -50 ~ +380 -50 ~ +700 -50 ~ +290
또한, 현무암 섬유는 콘크리트 보수 및 보강공의 재료로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증가와 마찰력 및 부착력의 확보로 균열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현무암 섬유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인장강도, 마찰력)에 의해,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은 장기간의 사용 시에도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경사면의 유실과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무암 섬유의 내화학성에 의해,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은 차량 및 산업시설로부터 유래하는 각종 유해물질, 해수에 기인하는 염분 등에 의한 토목 보강재의 열화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킨다.
또한, 현무암 섬유는 독성이 없고 폐섬유증, 발암 유발작용이 전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무암 섬유의 친환경성은 토목 경사면의 친환경 녹화토의 성분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현무암 섬유는 0.032 ~ 0.048 W/m·K 정도의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 단열재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열전도도는 코르크, 발포 고무 및 발포 폴리스티렌과 유사한 수준에 해당한다. 또한, 현무암 섬유는 보온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무암 섬유의 낮은 열전도도와 보온성에 의해,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은 계절 및 기후 변화의 반복에 따른 온도 변화 환경에서도 원 지반의 풍화와 침식을 방지하고 토목 보강재의 열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현무암 섬유는 1400℃의 융점을 가지므로 고온 조건에서도 용융하지 않고 견딜 수 있으며, 산불과 같은 급격한 고온 환경으로부터 토목 보강재를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무암 섬유를 일정 길이로 절단한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현무암 섬유 칩의 형태로 사용하며, 현무암 섬유 분말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현무암 섬유 칩만을 포함하거나, 이들 둘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에 있어서,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은 통기성, 보비력(비료 성분을 보존하는 힘), 보습력, 응집력, 마찰력,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열전도율을 저감시키기 위해 포함된다.
상기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은 0.00003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통기성, 보비력, 보습력, 응집력, 마찰력, 부착력의 향상과 열전도율의 저감 효과를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을 취부하고자 하는 경사면의 경사도가 클수록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의 밀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밀도를 높이는 경우 단가 상승이 수반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적절한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이 30 중량부의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보비력, 보습력, 응집력,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은 6~21 ㎛의 직경을 갖는다. 현무암 섬유 분말은 6~21 ㎛의 직경을 갖는 입자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은 3 ㎝ 이하의 길이를 갖는다.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의 직경이나 길이가 이보다 크게 되면 토양 조성물의 응집력 및/또는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의 직경이 이보다 작게 되면 섬유 강화 효과를 충분하게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현무암 섬유 분말의 비율이 높을 수록 토양 조성물 내에 현무암 섬유 성분이 골고루 분포되는 장점이 있으며, 현무암 섬유 칩의 비율이 높을 수록 토양 조성물 구성 요소 상호 간의 응집력을 더욱 높이는 장점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현무암 섬유 분말 또는 칩은 20~3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조건에서 보온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열전도율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기질 비료는 10~1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된다. 유기질 비료는 식물에 영양을 주거나 식물의 재배를 돕기 위해 흙에서 화학적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물질로서, 토양개량용 자재를 말한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유기질 비료는 아주까리 유박, 팜 유박, 야자박, 골분 및 어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주까리의 씨앗을 한약명으로는 피마자라고 부른다. 피마자는 공업용 기름인 피마자유의 원료이다. 피마자유를 짜고 남은 씨앗 껍질이 피마자 유박, 즉 아주까리 유박이다. 아주까리 유박은 유기질 비료의 주원료로 널리 사용된다.
팜 유박은 야자류의 종자로부터 야자유를 짜고 남은 찌꺼기를 말한다.
야자박은 코코야자 열매의 과육(果肉)을 건조한 코프라(copra)에서 기름을 뽑을 때 얻어지는 깻묵으로서, 코프라밀(copra meal) 또는 코코넛밀(coconut meal)이라고도 한다.
골분은 소, 돼지와 양 따위의 뼈를 부수어 끓이거나 쪄서 지방과 젤라틴을 제거하고 말려 가루로 만든 것을 말한다. 보통 기압에서 처리한 것을 조 골분(crude bone dust), 2기압에서 처리한 것을 증제 골분, 4기압에서 처리한 것을 탈교 골분(degelatinized bone dust)이라고 한다. 뼈를 그대로 말려 가루로 한 것은 생골분이라고 한다. 식물 비료로 사용되는 경우 인산염의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어분은 생선을 전체 또는 일부를 증기로 찌고 압착하여 액즙을 제거하고 고형부분을 건조하여 분쇄한 것을 말한다. 거친 덩어리로 되어 있는 것을 어박(魚粕), 이것을 가루로 만든 것을 어분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60 % 내외의 단백질을 포함하며 칼슘 ·인 ·비타민 B의 함량이 많다.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에 있어서, 유기질 비료는 식물 성장을 위한 영양분 제공, 보습력 제공을 위해 포함된다.
상기 유기질 비료는 10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식물 성장을 위한 영양분을 충분히 제공하고, 비료 성분의 발효를 위한 적절한 보습력을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기질 비료가 15 중량부의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수분을 과다하게 흡수하여 비료 성분의 발효 조건이 저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사토는 60~7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며,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의 기본 요소를 이룬다.
마사토는 지름이 0.002mm 이하 점토분이 12.5%이하인 입자로된 토양으로서, 화강암이 풍화한 흙이다.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에 있어서, 마사토는 식물 성장을 위한 영양분 제공, 통기성 제공을 위해 포함된다. 마사토는 토목/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현장발생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마사토는 60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식물 성장을 위한 영양분과 통기성을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사토가 75 중량부의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마찰력 및 열전도율 저감 등의 현무암 섬유 첨가 효과를 저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은 5~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된다.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에 있어서, 물은 상기 각 조성물 성분의 원활한 혼합 상태 유지 및 응집력 제공을 위해 포함된다.
상기 물이 5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각 조성물 성분의 원활한 혼합 상태 유지 및 응집력 제공 효과를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물이 10 중량부의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과다한 수분 조건에 의해 비료 성분의 발효 조건이 저해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은 하수 슬러지 1~3 중량부를 더욱 포함한다.
하수 슬러지는 하수 처리장의 유입수 내 부유 물질이 침전 시설에서 응집제와 반응하거나, 활성화된 미생물에 의하여 침강하여 농축된 슬러지를 말한다.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에 있어서, 하수 슬러지는 보비력, 보습력, 응집력, 부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되며, 특히 응집력,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포함된다.
상기 하수 슬러지는 1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보비력, 보습력, 응집력, 부착력 향상의 효과를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수 슬러지가 3 중량부의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통기성이 저하되고 마찰력 및 열전도율 저감 등의 현무암 섬유 첨가 효과를 저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은 제지 슬러지 3~7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지는 식물성 섬유인 펄프를 주재료로 하여 충전제 등의 부가 원료를 추가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제지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제지 슬러지라고 하며 섬유질과 무기질을 주로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에 있어서, 제지 슬러지는 보비력, 보습력, 응집력, 부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되며, 특히 응집력,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포함된다.
상기 제지 슬러지는 3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보비력, 보습력, 응집력, 부착력 향상의 효과를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지 슬러지가 7 중량부의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통기성이 저하되고 마찰력 및 열전도율 저감 등의 현무암 섬유 첨가 효과를 저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은 톱밥 5~1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톱밥은 절단, 연마, 사포질 등 목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고운 목재 입자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에 있어서, 톱밥은 보비력 및 통기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된다.
상기 톱밥은 5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보비력 및 통기성 향상의 효과를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톱밥은 10 중량부의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응집력,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에 사용되는 지오셀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녹화공법에 따르면, 능형망, 와이어메쉬, 녹화패널, 지오그리드 및 지오셀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 토목 보강재를 경사면의 표면에 고정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토양 조성물을 고정 설치된 상기 토목 보강재의 표면에 노즐로 분사하여 취부한다.
일예로, 토양 조성물은 2~12cm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분사 및 취부될 수 있다.
이후, 경사면에 취부된 토양 조성물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상기 토양 조성물에 초본류(草本類)의 종자를 혼합하고 노즐로 분사하여 취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종자의 발아 및 성장에 따라 자연스럽게 식물이 식생할 수 있다.
도 1은 깍기 비탈면 또는 전면 벽체에 녹화패널(BFRP, FRP, CRP)을 시공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녹화패널을 깍기 비탈면에 보강공(네일 및 락볼트)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을 노즐로 분사하여 취부한다.
도 2는 깍기 비탈면 또는 전면 벽체에 지오그리드를 시공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지오그리드를 철근 삽입 공법을 이용하여 깍기 비탈면에 고정 설치하고,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을 노즐로 분사하여 취부한다.
도 4는 깍기 비탈면에 지오셀을 시공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지오셀은 도 3과같은 구조를 갖는다. 지오셀의 각각의 셀을 펼친 상태로 깍기 비탈면에 보강공(네일 및 락볼트)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고,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을 노즐로 분사하여 취부한다. 지오셀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통바, M클립 및 착지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부직포(또는 지오매트)를 지오셀과 깍기 비탈면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깍기 비탈면(절토부), 성토부 또는 중력식 지오셀 옹벽을 설치하고 그 전면 벽체에 토양 조성물을 시공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지오셀 옹벽의 전면부에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고 지오그리드를 설치하며 착지핀으로 고정한다. 지오그리드의 상부측에 본 실시예의 토양 조성물을 노즐로 분사하여 취부한다.

Claims (11)

  1. 현무암 섬유 칩 0.00003~30 중량부;
    유기질 비료 10~15 중량부;
    마사토 60~75 중량부; 및
    물 5~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무암 섬유 칩은 6~21 ㎛의 직경을 갖는 현무암 섬유를 3 ㎝ 이하의 길이로 절단한 섬유 칩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현무암 섬유 칩 20~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질 비료는 아주까리 유박, 팜 유박, 야자박, 골분 및 어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하수 슬러지 1~3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제지 슬러지 3~7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8.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톱밥 5~1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9. 능형망, 와이어메쉬, 녹화패널, 지오그리드 및 지오셀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 토목 보강재를 경사면의 표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토양 조성물을 고정 설치된 상기 토목 보강재의 표면에 노즐로 분사하여 취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을 이용한 녹화공법.
  10. 능형망, 와이어메쉬, 녹화패널, 지오그리드 및 지오셀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 토목 보강재를 경사면의 표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8항에 의한 토양 조성물을 고정 설치된 상기 토목 보강재의 표면에 노즐로 분사하여 취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을 이용한 녹화공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조성물에 초본류(草本類)의 종자를 혼합하고 고정 설치된 상기 토목 보강재의 표면에 노즐로 분사하여 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을 이용한 녹화공법.
KR1020210094381A 2021-07-19 2021-07-19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2409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381A KR102409263B1 (ko) 2021-07-19 2021-07-19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381A KR102409263B1 (ko) 2021-07-19 2021-07-19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263B1 true KR102409263B1 (ko) 2022-06-15

Family

ID=8198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381A KR102409263B1 (ko) 2021-07-19 2021-07-19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26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391A (ko) * 1999-05-12 1999-09-06 홍영기 법면녹화토조성물및그를이용한녹화공법
KR20060013092A (ko) * 2004-08-06 2006-02-09 이영주 절개지 복원용 상토 및 그 시공방법
JP2013220048A (ja) * 2012-04-13 2013-10-28 Komatsu Seiren Co Ltd 緑化材およびその使用方法、緑化構造体
KR101435184B1 (ko) 2013-12-10 2014-08-29 김정애 건식과 습식 병행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공법
JP2014209855A (ja) * 2013-04-17 2014-11-13 株式会社カネカ 植物生育基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土壌およびそれを用いた緑地およびそれを用いた緑化方法
KR101468699B1 (ko) 2014-04-17 2014-12-10 트윈이엔지 주식회사 법면 녹화토 및 이를 이용하는 녹화공법
KR101707851B1 (ko) 2015-02-16 2017-02-17 주식회사 성민건설 절토사면 녹화 및 안정화를 위한 친환경 토양혼합물을 이용한 녹화공법
KR101805390B1 (ko) 2017-04-18 2017-12-07 지문규 절개지의 생태 복원을 위한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복원 공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391A (ko) * 1999-05-12 1999-09-06 홍영기 법면녹화토조성물및그를이용한녹화공법
KR20060013092A (ko) * 2004-08-06 2006-02-09 이영주 절개지 복원용 상토 및 그 시공방법
JP2013220048A (ja) * 2012-04-13 2013-10-28 Komatsu Seiren Co Ltd 緑化材およびその使用方法、緑化構造体
JP2014209855A (ja) * 2013-04-17 2014-11-13 株式会社カネカ 植物生育基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土壌およびそれを用いた緑地およびそれを用いた緑化方法
KR101435184B1 (ko) 2013-12-10 2014-08-29 김정애 건식과 습식 병행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공법
KR101468699B1 (ko) 2014-04-17 2014-12-10 트윈이엔지 주식회사 법면 녹화토 및 이를 이용하는 녹화공법
KR101707851B1 (ko) 2015-02-16 2017-02-17 주식회사 성민건설 절토사면 녹화 및 안정화를 위한 친환경 토양혼합물을 이용한 녹화공법
KR101805390B1 (ko) 2017-04-18 2017-12-07 지문규 절개지의 생태 복원을 위한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복원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632B1 (ko) 친환경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19494B1 (ko) 비탈면보호 식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CN107384415A (zh) 盐碱化土壤改良剂的制备方法
KR101780349B1 (ko) 사면의 녹화 및 토양안정화 공법 및 사면의 녹화 및 토양안정화용 조성물
KR101579806B1 (ko) 인공 지반의 녹화를 위한 인공토양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666096A (zh) 一种高速公路边坡生态防护方法
JP2003052241A (ja) 植性用培地基材、植生用培地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植生用培地成形体ブロックを用いる緑化方法。
CN108967120A (zh) 一种用于公路边坡生态防护的客土喷播基材混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294244B1 (ko) 식물 섬유를 이용한 녹화재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녹화시공방법
KR102272679B1 (ko) 녹생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KR100634569B1 (ko) 법면 조경용 식생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9263B1 (ko) 경사면 녹화를 위한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200417955Y1 (ko) 법면 조경용 식생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6035B1 (ko)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
KR101283612B1 (ko) 비탈면 식생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1572110B1 (ko) 친환경 법면녹화용 식생토
KR100831938B1 (ko) 절개지 법면용 토양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1305475B1 (ko) 죽초액을 포함하는 식생토 및 그 제조방법
KR100852358B1 (ko) 임목 폐기물 등의 식물 발생재를 재활용한 식물 생육보조재조성물
KR101231817B1 (ko) 비탈면을 안정화하기 위한 녹화토양조성물.
KR102109303B1 (ko) 식생블럭을 이용한 식생방법
KR100329382B1 (ko) 녹정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12934B1 (ko) 자연배합토 조성물을 이용한 훼손지 생태복원 녹화방법
KR100612767B1 (ko) 폐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
KR101729643B1 (ko) 유기성 칼륨을 이용한 지속가능형 친환경 비탈면 녹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