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097B1 -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097B1
KR102409097B1 KR1020210176311A KR20210176311A KR102409097B1 KR 102409097 B1 KR102409097 B1 KR 102409097B1 KR 1020210176311 A KR1020210176311 A KR 1020210176311A KR 20210176311 A KR20210176311 A KR 20210176311A KR 102409097 B1 KR102409097 B1 KR 102409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user interface
location
vehicl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동
문나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나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나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나투스
Priority to KR1020210176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097B1/ko
Priority to PCT/KR2022/017620 priority patent/WO202310665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3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a camera or code reader, e.g. for optical or magnetic c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개시서에는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용 코드로서, 상기 차량 내에 인쇄 또는 부착된, 인식용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인식용 코드를 접근 위치로 변환하며, 상기 접근 위치로부터 읽어들인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웹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접근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목적지 입력용 앱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한다.

Description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METHOD FOR INPUTTING PLACE OF DESTINATION OF A PASSENGER INTO NAVIGATOR OF VEHI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개시서에는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용 코드로서, 상기 차량 내에 인쇄 또는 부착된, 인식용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인식용 코드를 접근 위치로 변환하며, 상기 접근 위치로부터 읽어들인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웹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접근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목적지 입력용 앱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한다.
승객이 택시와 같은 차량을 호출하여 이동하고 이에 대한 서비스 요금을 지불하는 과정을 아우르는 플랫폼 서비스가 점점 일반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1923호에는 택시 기사 단말기, 택시 승객 단말기, 결제 중계 서버 및 결제 서버로 이루어진 택시 요금 결제 중계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2775호에는 복수의 추천 하차지 등 승하차 지점을 제공하는 택시 승하차 지점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그런데 앱, 웹페이지 등을 통한 예약 또는 호출 승차가 아닌 경우, 여전히 승객은 자신의 목적지를 기사에게 말로 설명해야 하고, 기사는 수동 조작을 통해 말로 들은 목적지를 검색하고 입력해 넣어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다. 승객이 외국인이어서 기사와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도 있으며, 그렇지 않아도 승객이 목적지를 기사에게 일일이 설명하기 꺼려할 수 있다. 특히, 승객 본인도 잘 모르는 생경한 곳으로 갈 때에는 더욱 설명하기 어렵다.
기사에게도 내비게이터(navigator; 항법 장치)가 안내하는 대로 따라가는 것이 편하며, 게다가 주행 중에 기사가 그 내비게이터를 직접 조작하는 경우 주의력이 산만해지는 위험도 따른다.
KR 10-2016-0051923 A KR 10-1812775 B1
따라서 본 개시서에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승객도 잘 모르고 기사도 목적지 주변의 지리에 관하여 잘 알지 못하는 경우 등에도 승객이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쉽게 목적지를 찾을 수 있고, 이를 기사가 이용하는 차량 내비게이터에 쉽게 전달하여 길 안내에 이용하게 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개시서의 일 태양에 따르면,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그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용 코드로서, 상기 차량 내에 인쇄 또는 부착된, 인식용 코드를 획득하는 인식용 코드 획득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식용 코드를 접근 위치로 변환하는 인식용 코드 변환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접근 위치로부터 읽어들인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웹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접근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목적지 입력용 앱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 또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거나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인접한 지형지물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상기 목적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가 표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접근 위치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목적지 적용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식용 코드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접근 위치는 통합 자원 식별자(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이다.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목적지 적용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타 컴퓨팅 장치인 서버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제공하도록 지원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목적지 적용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타 컴퓨팅 장치인 서버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연동하는 차량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정보가 제공되도록 지원한다.
본 개시서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그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웹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목적지 입력용 앱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 또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거나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인접한 지형지물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상기 목적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가 표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용 코드로서, 상기 차량 내에 인쇄 또는 부착된, 인식용 코드를 획득하는 인식용 코드 획득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식용 코드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인식용 코드 변환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목적지 적용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식용 코드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이다.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목적지 적용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타 컴퓨팅 장치인 서버에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제공하도록 지원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목적지 적용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타 컴퓨팅 장치인 서버에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연동하는 차량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정보가 제공되도록 지원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예를 들어,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에 따르면,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되는바, 그 사용자 단말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용 코드로서, 상기 차량 내에 인쇄 또는 부착된, 인식용 코드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인식용 코드를 접근 위치로 변환하는 인식용 코드 변환 프로세스, 상기 접근 위치로부터 읽어들인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웹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접근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목적지 입력용 앱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로서,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 또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거나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인접한 지형지물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상기 목적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가 표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세스, 및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접근 위치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목적지 적용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태양에 따르면,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되는바, 그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웹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목적지 입력용 앱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통신부; 및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 또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거나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인접한 지형지물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상기 목적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가 표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게 하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세스,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용 코드로서, 상기 차량 내에 인쇄 또는 부착된, 인식용 코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획득하는 인식용 코드 획득 프로세스, 상기 인식용 코드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인식용 코드 변환 프로세스,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목적지 적용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서의 발명에 의하면, 호출하지 않고 배회하다가 택시 등 차량에 승객이 탑승한 경우에도, 승객이 기사에게 목적지를 말로 설명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자신의 목적지를 정확하게 기사, 차량 단말이나 내비게이터에 전달할 수 있어 승객과 기사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함)은 별개의 발명에 이를 정도의 노력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서에 따라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이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이라 함)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서에 따른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인 사용자 단말(200) 등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서에 따른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에 이용되는 차량 내 인쇄 또는 부착된 인식용 코드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에서 인식용 코드 획득 모듈로 하여금 인식용 코드를 획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된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표시되는 내용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서에 따른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하는바, 어떠한 순서도 시사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서에서 '목적지'는 사용자(즉, 차량의 승객)가 원하는 운송 서비스의 종료 지점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도착지'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개시서에 표시된 실시 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서에 따른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미도시)와 직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팅 장치(100)는, 전형적인 컴퓨터 하드웨어(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storage),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network-attached storage)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 storage area network)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는 하드 디스크,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와 같은 기억 장치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연결 기반의 저장 장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통신부(110)는 연동되는 타 컴퓨팅 장치, 예컨대 전용의 저장소, 예컨대,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과의 사이에서 요청과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는바, 일 예시로서 그러한 요청과 응답은 동일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세션(session)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바, 예컨대 UDP(User Datagram Protocol) 데이터그램(datagram)으로서 송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인터페이스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데이터 버스(data bus)와 같은 여러 버스,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이와 같이 적합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 컴퓨팅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덧붙여, 넓은 의미에서 상기 통신부(110)는 명령어 또는 지시 등을 전달받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기타 외부 입력 장치, 인쇄 장치, 디스플레이, 기타 외부 출력 장치를 포함하거나 이들과 연동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 예컨대, 휴대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이나 서버의 사용자에게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컴퓨팅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내장하거나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그러한 디스플레이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120)는 캐시 메모리(cache memory)와 같은 내부 메모리 및/또는 외부 메모리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MPU(micro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또는 TPU(tensor processing unit)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 임베디드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컴퓨터,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2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개시서에 따른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을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서에 따른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인 사용자 단말(200) 등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서에 따른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제1 실시 예는,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인 사용자 단말(200)에 의하여 구현되는 인식용 코드 획득 모듈(210)이,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촬영 장치(예컨대, 카메라)(205a)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 연동하는 촬영 장치(205b) 또는 타 장치에 포함된 촬영 장치(205c)로부터 인식용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인식용 코드 획득 단계; S100)를 포함한다. 상기 인식용 코드는 상기 차량 내에 인쇄 또는 부착되며,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인식용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바코드일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에 이용되는 차량 내 인쇄 또는 부착된 인식용 코드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에서 인식용 코드 획득 모듈로 하여금 인식용 코드를 획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인식용 코드인 QR 코드(410)가 인쇄된 스티커(420)가 차량 내 소정의 위치(430)에 부착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그 위치(430)는 머리 받침대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4b를 참조하면, 단계(S100)에서 사용자는 촬영 장치(205a, 205b 또는 205c)로 하여금 촬영 대상인 인식용 코드(410)를 지향하게 한 후, 촬영 버튼(440)을 누르는 조작으로써 그 촬영 장치가 인식용 코드(410)를 촬영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하여금 그 인식용 코드(410)를 획득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가 도 4b에 예시된 것이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4b에 예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앱(app; application), 예컨대, 카메라 앱, 코드 인식용 앱, 전용 차량 운송 서비스 앱 등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앱은 사용자 단말(200)에 기본적으로{빌트인(built-in)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 것일 수도 있다. 즉, 인식용 코드의 획득(S100) 및 후술하는 인식용 코드의 변환(S200)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제1 실시 예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하여 구현되는 인식용 코드 변환 모듈(220)이, 상기 인식용 코드를 접근 위치로 변환하는 단계(인식용 코드 변환 단계; S200)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접근 위치는 통합 자원 식별자(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일 수 있으며, 그 일 형태인 URL와 함께 잘 알려져 있다. 통합 자원 식별자는 URC, URN, RUL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4a의 인식용 코드는, 예컨대, "https://a.co/t.cgi?v_no=12na3456"와 같은 통합 자원 식별자로 변환될 수 있으며, 이는 "12나3456"의 차량 번호를 상기 식별 정보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인식용 코드 변환 단계(S200)는 인식용 코드가 획득(S100)되는 즉시 수행될 수 있으므로, 그 변환 결과가 도 4b에 예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소정의 방식으로 바로 표시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제1 실시 예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목적지 위치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230)이, 상기 접근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 S30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계(S300)에서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접근 위치, 예컨대, 통합 자원 식별자가 가리키는 인터넷 자원에서 읽어들인 웹페이지를 표시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는바, 이 경우 그 웹페이지 상에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대안으로서, 단계(S300)에서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접근 위치, 예컨대, 통합 자원 식별자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기타 접근 방식(access method)을 통하여 목적지 입력용 앱(app; application)을 구동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는바, 이 경우 그 앱 상에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된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500a)에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 또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거나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인접한 지형지물(landmark)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510a)가 포함될 수 있다.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500a)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인 텍스트 필드(510a)에 대한 입력을 완료하고 주소 또는 지형지물을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검색 버튼(580a), 상기 입력을 취소할 수 있게 하는 취소 또는 뒤로 가기 버튼(590a)도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500b)에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 또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거나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인접한 지형지물(landmark)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510b) 및 상기 목적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가 표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520)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5a의 예시와 마찬가지로,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500b)에도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인 텍스트 필드(510b)에 대한 입력을 완료하고 주소 또는 지형지물을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검색 버튼(580b), 상기 입력을 취소할 수 있게 하는 취소 또는 뒤로 가기 버튼(590b)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b의 예시에서는, 사용자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510b)에 '송파구청'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580b)을 누르면, 송파구청에 관한, 예를 들어 '송파구청'을 포함하는 주소 또는 지형지물의 목록(530)이 출력되며, 사용자는 목록(530) 내의 버튼(532)을 눌러 여러 주소 또는 지형지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510a, 510b)를 이용하여 주소 또는 지형지물을 입력하면, 도 5c의 예시(500c)에서와 같이, 입력된 주소 또는 지형지물의 위치(540)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520) 상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해당 위치(540)를 목적지로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된 버튼(550)을 누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에 관한 방안은 자동차 내비게이터에 관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관한 지나친 세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의 목적지 설정을 재차 확인하기 위하여, 도 5d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목적지 설정을 승인하기 위한 '도착지 전달하기' 버튼(56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0d)가 더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와 함께 목적지 설정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버튼(570)이 더 제공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제1 실시 예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목적지 적용 모듈(240)이,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목적지 정보(예컨대, "송파구청")를 사용자 단말(200)에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 예컨대, 서버(320)에 송신함으로써 그 컴퓨팅 장치(320)로 하여금 상기 접근 위치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예컨대, "12나3456" 차량)의 내비게이터(360)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목적지 적용 단계; S400)를 더 포함한다.
이 단계(S40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된 버튼(550 또는 560)을 조작하는, 예컨대, 누르는 방식 등으로 촉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웹으로 제공된 경우에 버튼(550 또는 560)의 조작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서버(320)에 정보를 전달하는 HTTP 상의 GET 또는 POST 요청으로 귀결될 수 있다. 다만,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앱으로 제공된 경우, 정보 전달에 HTTP를 이용하는 방식 외에 다양한 전송 프로토콜 또는 전송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S400)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목적지 적용 모듈(240)은, 서버(320)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송신(S420)함으로써 서버(320)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특정되는 차량의 내비게이터(360)에 제공(S460)하게 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단계(S400)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목적지 적용 모듈(240)이, 서버(320)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송신(S420)함으로써 서버(320)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터(360)에 연동하는 차량 단말(340)에 송신(S440)하여 상기 차량 단말(340)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터(360)에 상기 목적지 정보가 제공(S460)되게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의 내비게이터(360)에 표시되는 내용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처럼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에 따르면, 승객이 택시 등 차량을 호출하지 않고 배회하다가 탑승한 경우에도, 승객이 기사에게 목적지를 말로 설명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자신의 목적지를 정확하게 기사, 차량 단말이나 내비게이터에 전달할 수 있어 승객과 기사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제2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개시서에 따른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제2 실시 예는, 먼저,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구현되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230)이,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웹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목적지 입력용 앱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700;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700)에서, 사용자는 처음부터 배회 차량에 탑승하려는 의도 없이 차량 호출을 위해, 앞서 제1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앱 또는 웹페이지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차량 호출 중에는 도 8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 호출 중임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00a)가 제공될 수 있는바, 여기에는 단순 변심 등으로 차량 호출을 취소할 수 있도록 취소 버튼(810)도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호출한 차량이 아닌 배회 차량에 먼저 탑승한 경우에 종래와 같이 단순히 취소를 가능하게 하는 취소 버튼(810) 외에 배회 차량에 탑승했음을 선택하는 버튼(820)이 더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차량 호출을 위하여 이미 입력한 목적지 정보를 배회 차량에 대해서도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도 7 및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제2 실시 예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하여 구현되는 인식용 코드 획득 모듈(210)이,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촬영 장치(예컨대, 카메라)(205a)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 연동하는 촬영 장치(205b) 또는 타 장치에 포함된 촬영 장치(205c)로부터 인식용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인식용 코드 획득 단계; S800), 및 사용자 단말(200)에 의하여 구현되는 인식용 코드 변환 모듈(220)이, 상기 인식용 코드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인식용 코드 변환 단계; S9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식용 코드는 상기 차량 내에 인쇄 또는 부착되며,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포함하는바, 제1 실시 예에 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다.
예컨대, 단계(S700)에서 사용자가 목적지를 입력하고 배회 차량에 탑승하고 나서, 도 8b의 예시에서와 같이 배회 차량에 탑승했음을 선택하는 버튼(820)을 누름으로써 단계(S800)가 촉발될 수 있다. 배회 차량에 부착된 인식용 코드와 이를 획득(S800)하여 인식(S900)하게 하는 과정은,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수행을 위한 전용 차량 운송 서비스 앱에 의하여 수행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면, 도 7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개시서의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목적지 적용 모듈(240)이, 사용자 단말(200)에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 예컨대, 서버(320)에 송신함으로써 그 컴퓨팅 장치(320)로 하여금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예컨대, "12나3456" 차량)의 내비게이터(360)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목적지 적용 단계; S10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목적지 정보(예컨대, "송파구청")는 이미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S700)에서 이미 서버(320)에 제공되었을 것이므로, 단계(S1000)에서는 그 목적지 정보가 상기 식별 정보와 함께 다시 서버(320)에 송신될 수도 있고, 상기 식별 정보만이 다시 서버(320)에 송신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이미 서버(320)에서 이미 획득하고 있는 목적지 정보와 단계(S1000)에서 새로 전달되는 상기 식별 정보 사이의 매칭을 위하여, 서버(320) - 사용자 단말(200) 간 동일 세션(session)을 유지하는 등의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S1000)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의 목적지 적용 모듈(240)이, 서버(320)에 상기 식별 정보(혹은 추가적으로 목적지 정보)를 송신(S1020)함으로써, 서버(320)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의 내비게이터(360)에 제공(S1060)하게 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단계(S1000)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목적지 적용 모듈(240)이, 서버(320)에 상기 식별 정보(혹은 추가적으로 목적지 정보)를 송신(S1020)함으로써 서버(320)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의 내비게이터(360)에 연동하는 차량 단말(340)에 송신(S1040)하여 상기 차량 단말(340)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터(360)에 상기 목적지 정보가 제공(S1060)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런 제2 실시 예에는 승객이 이미 차량 호출 시에 입력했던 목적지를 배회 차량의 기사에게 재차 말로 설명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자신의 목적지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 승객과 기사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서에 개시된 방법은 1회 수행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요구 또는 필요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개시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관한 설명에 기초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들, 그리고 그 단계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특정 용례에 적합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서를 읽은 오늘날의 통상의 기술자는 컴퓨팅 장치, 특히 사용자의 휴대 단말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익숙한바, 본 개시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이루는 개별 단계들에서 언급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의 유무에도 불구하고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서의 방법에서 필요한, 사용자의 여러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쉽게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범용 컴퓨터 및/또는 전용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특별한 모습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들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ROM/RAM 등과 같은 메모리와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술된 바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혹은 대안으로서, 상기 프로세스들은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programmable gate array), 예컨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혹은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Programmable Array Logic; PAL) 또는 기타 명령어(instruction)를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전자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또는 장치들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외부 장치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전술된 바와 같은 통신부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인스트럭션),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에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기계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의 대상물 또는 선행 기술들에 기여하는 부분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기계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Blu-ray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전술한 장치들 중 어느 하나뿐만 아니라 프로세서, 프로세서 아키텍처 또는 상이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들의 이종 조합, 또는 다른 어떤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기계 상에서 실행되기 위하여 저장 및 컴파일 또는 인터프리트될 수 있는, C와 같은 구조적 프로그래밍 언어, C++ 같은 객체지향적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고급 또는 저급 프로그래밍 언어(어셈블리어, 하드웨어 기술 언어들 및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언어 및 기술들)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바, 기계어 코드, 바이트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태양에서는, 앞서 설명된 방법 및 그 조합들이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때, 그 방법 및 방법의 조합들이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실행 가능한 코드로서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일 태양에서는,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는 시스템들로서 실시될 수 있고, 방법들은 장치들에 걸쳐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산되거나 모든 기능들이 하나의 전용, 독립형 장치 또는 다른 하드웨어에 통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태양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스들과 연관된 단계들을 수행하는 수단들은 앞서 설명한 임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모든 순차 결합 및 조합들은 본 개시서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들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그 실시 예들의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그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또는 대체물을 비롯하여 본 개시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이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이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것에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논리적으로 동치(logically equivalent)인 방법이 포함될 것인 바,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는 전술한 예시들에 의하여 제한되어서는 아니되며, 법률에 의하여 허용 가능한 가장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navigator)에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용 코드로서, 상기 차량 내에 인쇄 또는 부착된, 인식용 코드를 획득하는 인식용 코드 획득 단계;
    상기 인식용 코드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식용 코드를 접근 위치로 변환하는 인식용 코드 변환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식용 코드로부터 변환된 상기 접근 위치로부터 읽어들인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웹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접근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목적지 입력용 앱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 또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거나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인접한 지형지물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상기 목적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가 표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 및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접근 위치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목적지 적용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 적용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인 서버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접근 위치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 단말에 제공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하여 상기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정보가 제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용 코드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인,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위치는 통합 자원 식별자(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인,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
  4. 삭제
  5. 삭제
  6.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navigator)에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웹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목적지 입력용 앱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 또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거나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인접한 지형지물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상기 목적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가 표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용 코드로서, 상기 차량 내에 인쇄 또는 부착된, 인식용 코드를 획득하는 인식용 코드 획득 단계;
    상기 인식용 코드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식용 코드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인식용 코드 변환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획득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목적지 적용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 적용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인 서버에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 단말에 제공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하여 상기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정보가 제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용 코드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인, 목적지 위치 입력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서 수행하도록 구현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navigator)에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용 코드로서, 상기 차량 내에 인쇄 또는 부착된, 인식용 코드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인식용 코드가 획득되면 상기 인식용 코드를 접근 위치로 변환하는 인식용 코드 변환 프로세스, 상기 인식용 코드로부터 변환된 상기 접근 위치로부터 읽어들인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웹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접근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목적지 입력용 앱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로서,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 또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거나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인접한 지형지물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상기 목적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가 표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세스, 및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접근 위치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목적지 적용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 적용 프로세스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인 서버에 상기 목적지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접근 위치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 단말에 제공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하여 상기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정보가 제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위치 입력 단말.
  12.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navigator)에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웹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목적지 입력용 앱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통신부; 및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 또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해당하거나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인접한 지형지물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상기 목적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가 표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게 하는,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세스,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후에, 상기 차량의 운전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용 코드로서, 상기 차량 내에 인쇄 또는 부착된, 인식용 코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획득하는 인식용 코드 획득 프로세스, 상기 인식용 코드가 획득되면 상기 인식용 코드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인식용 코드 변환 프로세스, 및 상기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목적지 적용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 적용 프로세스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하는 타 컴퓨팅 장치인 서버에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차량 단말에 제공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하여 상기 내비게이터에 상기 목적지 정보가 제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위치 입력 단말.
KR1020210176311A 2021-12-10 2021-12-10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409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11A KR102409097B1 (ko) 2021-12-10 2021-12-10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CT/KR2022/017620 WO2023106654A1 (ko) 2021-12-10 2022-11-10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11A KR102409097B1 (ko) 2021-12-10 2021-12-10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097B1 true KR102409097B1 (ko) 2022-06-15

Family

ID=8198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311A KR102409097B1 (ko) 2021-12-10 2021-12-10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9097B1 (ko)
WO (1) WO202310665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654A1 (ko) * 2021-12-10 2023-06-15 주식회사 코나투스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97209B1 (ko) * 2022-05-17 2023-11-06 주식회사 주소엔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867A (ko) * 2008-12-18 2010-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단말기, 이동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
KR20130117948A (ko) * 2012-04-19 2013-10-29 (주)메트로이플로직스 큐알코드를 활용한 교통서비스 시스템
KR20160051923A (ko) 2014-10-29 2016-05-12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택시 요금 결제 중계 방법 및 결제 중계 서버
KR101812775B1 (ko) 2016-06-29 2018-01-30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승하차 지점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7196B2 (ja) * 2001-11-01 2006-07-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データサーバ、経路設定方法及びデータサーバの情報提供方法
KR101077054B1 (ko) * 2011-05-13 2011-10-26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길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98071B1 (ko) * 2013-03-08 2013-08-20 이태우 목적지 경로안내방법 및 시스템
KR102409097B1 (ko) * 2021-12-10 2022-06-15 주식회사 코나투스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867A (ko) * 2008-12-18 2010-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단말기, 이동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
KR20130117948A (ko) * 2012-04-19 2013-10-29 (주)메트로이플로직스 큐알코드를 활용한 교통서비스 시스템
KR20160051923A (ko) 2014-10-29 2016-05-12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택시 요금 결제 중계 방법 및 결제 중계 서버
KR101812775B1 (ko) 2016-06-29 2018-01-30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승하차 지점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654A1 (ko) * 2021-12-10 2023-06-15 주식회사 코나투스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97209B1 (ko) * 2022-05-17 2023-11-06 주식회사 주소엔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654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097B1 (ko)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차량의 내비게이터에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10003929B2 (en) Location based assisting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s
KR101957032B1 (ko)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는 사용기반보험용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EP30352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xt-related point-of-interest recommendations
JP2019509532A (ja) ユニファイド・コネクテッド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U2012304946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locating one or more peers
KR102451360B1 (ko) 승객의 목적지 위치를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200072017A (ko)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281398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roaches to provide for combining contexts related to items of interest and navigation
KR20170017906A (ko) 적어도 하나의 수송 차량 유닛을 요구하는 여행 계획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들
CN105593783A (zh) 用于将导航数据提供至车辆的系统和方法
US20210181736A1 (en) On demand autonomous vehicle application and service
JP2018537739A (ja) 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9004468A1 (ja) 車両制御システム、サーバ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207944A1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086801B1 (ko) 차량 운송 서비스의 공동 이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들
EP3646125A1 (en) Autonomous/semi-autonomous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trusted data collection, retention and/or sharing
EP4019904A2 (en) Just-in-time conveyance delivery
CN113395673B (zh) 系统、车载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
JP704347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Bilius et al. Exploring application opportunities for smart vehicles in the continuous interaction space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CN113395678B (zh) 系统、车载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
KR102455543B1 (ko) 획득 가능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249082B1 (ko) 승객의 포인트 적립을 지원하는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들
CN110659791A (zh)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存储有程序的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