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068B1 - 집어등 - Google Patents

집어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068B1
KR102409068B1 KR1020200032407A KR20200032407A KR102409068B1 KR 102409068 B1 KR102409068 B1 KR 102409068B1 KR 1020200032407 A KR1020200032407 A KR 1020200032407A KR 20200032407 A KR20200032407 A KR 20200032407A KR 102409068 B1 KR102409068 B1 KR 102409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ase
lighting unit
battery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943A (ko
Inventor
한철구
Original Assignee
에이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06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01K79/02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by electroc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어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중에 판매되는 배터리 하나만을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어 부피와 무게를 줄여주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어등의 내부 온도와 물속인 외부 온도와의 차이를 줄여 주어 케이스의 결합부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 함으로써, 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집어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명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승압하여 조명부로 전달하는 변압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어등{fishing lamp}
본 발명은 집어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중에 판매되는 배터리 하나만을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어 부피와 무게를 줄여주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어등의 내부 온도와 물속인 외부 온도와의 차이를 줄여 주어 케이스의 결합부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 함으로써, 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집어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사는 어종의 대부분은 주광성을 갖고 있는 것인데, 밝은 빛에 반응하는 양의 주광성을 갖는 어종으로는 갈치나 볼락, 오징어, 주꾸미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와 같은 양의 주광성을 갖는 어종을 낚시를 통해 잡기 위해서는 별도의 집어등이 사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집어등은 통상적으로 선박에 직접 설치하는 수상 집어등과 로프나 낚싯줄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수중 집어등으로 구분될 것이다.
상기의 수상 집어등은 그물을 이용하여 어종을 포획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고, 수중 집어등은 보편적으로는 낚시를 이용하여 어획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중 집어등의 경우 지나치게 부피가 크고 무거워 효과적으로 조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심해 300~400m에서 살고 있는 어종을 낚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중 집어등에 대한 방수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발광량이 부족하여 현재로서는 수중 집어등에 의한 어류 유인의 효과가 크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즉, 통상적인 개념의 수중 집어등은 매우 크고 밝은 형태로 만들어져 있어 그물을 이용한 고기의 포획 용도로 널리 쓰여지고 있는 것이 추세인데, 상기와 같은 수중 집어등은 전기한 바와 같이 매우 크고 무거운 형태를 갖고 있어 낚시를 이용한 어획에는 적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낚시를 이용하여 수중 깊은 곳의 고기 특히, 양의 주광성을 갖고 있는 어종을 잡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집어등이 매우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적용할만한 수준의 수중 집어등이 개발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4337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내부가 비어있는 일측 개방형의 체결몸체(10)와 렌즈커버체(20)가 서로 나사 체결되게 하고, 상기 렌즈커버체(20)의 내측으로는 엘이디 램프(31)를 갖는 소켓(30)이 가압 삽입되게 하며, 상기 소켓(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엘이디 램프(31)를 점등시키는 핀형 배터리(40)는 상기 체결몸체(10) 내에 수용되게 구성하되, 상기 체결몸체(10)의 선단에는 낚싯줄에 매달아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결합공(11)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4337호에 기재된 기술은 낚싯줄에 고정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빛의 발산을 좋게 하여 집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집어등으로 사용하는 엘이디 램프는 최소한 3.3V 이상의 전압을 걸어주어야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되므로,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적인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3개의 배터리를 직렬 연결하여야하므로 부피가 커지고 무게가 늘어나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배터리를 별도로 제작할 경우 배터리의 조합 및 수작업 등에 의한 비용이 높아져 소모품인 집어등에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43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의 내측에 LED 램프로 이루어지는 조명부와 조명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에는 1.5V의 배터리 전압을 3.3V 이상으로 승압시키기 위한 DC-DC 컨버터가 구비되는 변압 기판이 구비되어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 배터리를 하나만 사용하더라도 LED 램프에서 안정적인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집어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부는 LED 램프로 이루어지는 메인 램프와 보조 램프가 메인 기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빛을 사방으로 조사할 수 있어 집어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기판의 하부에 외부로 열을 발산하기 위한 방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어 조명부 및 전원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집어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명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승압하여 조명부로 전달하는 변압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변압 기판의 저면에는 상기 배터리의 일측 단자와 접하는 제1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 하단에는 배터리의 타측 단자와 접하는 제2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제2단자의 일측에는 상기 변압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핀의 상단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고정핀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핀의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는 빛을 조사하는 메인 램프와, 상기 변압 기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메인 램프를 제어하는 메인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램프는 메인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기판의 하면에는 보조 램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변압 기판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 기판과 일정거리 이격시키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 기판의 하부에는 방열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메인 기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외측면이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위치하는 방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압 기판의 가장자리는 상기 케이스의 중심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보조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보조 공간에 위치한 변압 기판의 가장자리 상면에는 보조 램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의 내측에 LED 램프로 이루어지는 조명부와 조명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에는 1.5V의 배터리 전압을 3.3V 이상으로 승압시키기 위한 DC-DC 컨버터가 구비되는 변압 기판이 구비되어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 배터리를 하나만 사용하더라도 LED 램프에서 안정적인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부는 LED 램프로 이루어지는 메인 램프와 보조 램프가 메인 기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빛을 사방으로 조사할 수 있어 집어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기판의 하부에 외부로 열을 발산하기 위한 방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어 조명부 및 전원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은 하나의 AA형 배터리만을 사용하더라도 변압 기판을 통하여 조명부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배터리의 용량이 완전히 소진될 때까지 조명부의 밝기를 유지할 수 있어 배터리가 소진될 때까지 집어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어등이 설치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집어등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어등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어등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 실시 예에 따른 집어등의 방열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어등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어등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 실시 예에 따른 집어등의 방열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집어등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조명부(2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조명부(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명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로 이루어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상부 케이스(110)의 하단에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상단에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124)가 형성되어 나사 결합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에는 오링 형태의 패킹(118)이 구비되어 낚싯줄이나 그물에 연결되어 물속에 위치하더라도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300)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40)와 상기 배터리(340)의 전압을 승압하여 조명부(100)로 전달하는 변압 기판(31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100)는 LED 램프로 이루어지는데, LED 램프는 조명의 색 및 조도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전압이 달라지며, 집어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약 3.3V 이상의 전압을 입력하여야 적절한 조도와 색의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시중에 판매되는 배터리(340)는 1.5V로 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3개의 배터리(340)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집어등의 부피가 커질뿐만 아니라 무게 역시 늘어나서 실제로 낚싯줄이나 그물에 연결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변압 기판(310)에 배터리(34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승압시키기 위한 DC-DC 컨버터를 구비하고, 조명부(200)로 공급되는 전류가 과도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항을 구비하여 적절한 전압과 전류를 공급할 수 있어 조명부(200)에서 조사하는 빛을 최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집어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상의 배터리(340)는 용량의 소모에 따라 전압의 강하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변압 기판(310)을 통하여 배터리(34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적절한 전압으로 승압시켜 공급하기 때문에 일정 수치 전압이 강하되더라도 적절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어 배터리(340)가 완전히 방전될 때까지 조명부(200)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기판(210)은 상부 케이스(110)의 하부 내측에 형성되는 상부 단턱(부호 미도시)과 하부 케이스(12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는 하부 단턱(부호 미도시)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나사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변압 기판(310)의 저면에는 상기 배터리(340)의 일측 단자와 접하는 제1단자(33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내측 하단에는 배터리(340)의 타측 단자와 접하는 제2단자(3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단자(350)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삽입된 배터리(340)를 상부로 탄성 지지하여 제1단자(330) 및 제2단자(350)와 배터리(340)의 양 단자가 안정적으로 접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단자(350)의 일측에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연결핀(36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360)의 단부는 상기 변압 기판(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핀(360)의 상단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고정핀(37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상부에는 고정홈(128)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370)의 단부가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2단자(330,350)와 연결핀(360)을 통하여 배터리(340)의 전원을 변압 기판(310)으로 공급하고, 변압 기판(310)은 공급받은 전원을 조명부(200)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공급하게 되어 조명부(200)가 안정적으로 최적의 조도로 빛을 조사할 수 있어 집어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200)는 빛을 조사하는 메인 램프(220)와 상기 전원부(300)를 구성하는 변압 기판(3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메인 램프(220)를 제어하는 메인 기판(21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 램프(220)는 다수의 LED 램프로 이루어지는데, LED 램프는 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상방을 향하는 LED 램프와 측방을 향하는 LED 램프가 메인 기판(210)의 상면에 교대로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사방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집어 효율을 높이게 된다.
한편, 상기 변압 기판(310)과 메인 기판(2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변압 기판(310)에 의해 승압된 전압을 메인 기판(210)에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변압 기판(310)의 상면 중심부에는 메인 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부재(320)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부재(320)의 내부에는 메인 기판(210)과 변압 기판(3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체가 구비되고, 상기 도체의 외측에는 합성 수지 등의 경질 재질로 이루어지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변압 기판(310)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기판(210)을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메인 램프(220)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기판(210)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하부에 위치하는 변압 기판(310)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메인 기판(210)과 메인 기판(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램프(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기판(220)의 하면에는 보조 램프(23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램프(230)는 칩형태의 LED 램프로 이루어지는데, 보조 램프(230)는 메인 기판(210)과 변압 기판(310) 사이에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메인 램프(220)처럼 다리를 형성하지 않고 메인 기판(210)에 직접 접하도록 설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램프(230)는 빛을 조사할 때, 최대한 측방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조사되는 빛이 하부에 위치하는 변압 기판(310)에 반사되어 측방으로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빛이 조사되는 방향을 넓게 형성하여 집어 효과를 높여 준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300)를 구성하는 변압 기판(310)의 하부에는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방열부재(400)가 더 구비되어 전원부(20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부재(400)는 상기 변압 기판(310)의 하면에 부착되는 접촉부(410)와 상기 접촉부(410)의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열부(42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접촉부(410)는 변압 기판(3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중심부에는 배터리(340)의 단자가 변압 기판(310)의 제1단자(330)과 접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변압 기판(310)의 하면 가장자리에 부착설치된다.
이때, 상기 방열부(420)는 접촉부(410)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제2단자(350)와 변압 기판(3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핀(360)이 접촉부(4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방열부(420)의 측면은 하부 케이스(12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위치한다.
그래서, 상기 변압 기판(31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접촉부(410)와 방열부(420)을 통하여 케이스(100)로 전달되고, 케이스(100)는 물 속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신속하게 외부로 열기를 발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명부(200)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발산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100)의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어, 케이스(100)의 내부 온도와 외부 온도의 차이를 줄여 주어, 내부와 외부의 온도의 차이에 의해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결합부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 효과를 높여 주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메인 기판(210)과 메인 기판(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램프(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기판(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변압 기판(31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보조 램프(24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램프(240)는 칩형태의 LED 램프로 이루어지는데, 보조 램프(240)는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보조 공간(부호 미도시)의 내측에 위치하여 측방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빛이 조사되는 방향을 넓게 형성하여 집어 효과를 높여 준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에는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보조 링(13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보조 링(13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부(132)와 링 형상의 수직부(134)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결합부를 두면에서 밀폐하도록 함으로써, 밀폐력을 높여주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있다.
이때, 상기 수평부(132)의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돌부(133)가 더 구비되어 밀폐력을 보다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집어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중에 판매되는 배터리 하나만을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어 부피와 무게를 줄여주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어등의 내부 온도와 물속인 외부 온도와의 차이를 줄여 주어 케이스의 결합부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 함으로써, 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집어등에 관한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상부 케이스
120 : 하부 케이스 130 : 보조 링
200 : 조명부
210 : 메인 기판 220 : 메인 램프
230,240 : 보조 램프 300 : 전원부
310 : 변압 기판 320 : 연결부재
330 : 제1단자 340 : 배터리
350 : 제2단자 360 : 연결핀
370 : 고정핀 400 : 방열 부재
410 : 접촉부 420 : 방열부
430 : 지지턱

Claims (8)

  1.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명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승압하여 조명부로 전달하는 변압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압 기판의 저면에는 상기 배터리의 일측 단자와 접하는 제1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 하단에는 배터리의 타측 단자와 접하는 제2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제2단자의 일측에는 상기 변압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핀의 상단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고정핀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핀의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빛을 조사하는 메인 램프와,
    상기 변압 기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메인 램프를 제어하는 메인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램프는 메인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기판의 하면에는 보조 램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 기판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 기판과 일정거리 이격시키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판의 하부에는 방열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변압 기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외측면이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위치하는 방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 기판의 가장자리는 상기 케이스의 중심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보조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보조 공간에 위치한 변압 기판의 가장자리 상면에는 보조 램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KR1020200032407A 2020-03-17 2020-03-17 집어등 KR102409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407A KR102409068B1 (ko) 2020-03-17 2020-03-17 집어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407A KR102409068B1 (ko) 2020-03-17 2020-03-17 집어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943A KR20210115943A (ko) 2021-09-27
KR102409068B1 true KR102409068B1 (ko) 2022-06-16

Family

ID=7792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407A KR102409068B1 (ko) 2020-03-17 2020-03-17 집어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984Y1 (ko) * 2023-01-25 2023-06-26 오영남 낚시용 집어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7947A (ja) * 2012-06-01 2013-12-12 Susumu Kogure 集魚灯用点灯装置およびこの点灯装置を用いた集魚灯
KR101416555B1 (ko) 2014-01-14 2014-08-13 종 학 한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조사부를 갖는 집어등
KR101591868B1 (ko) * 2015-10-19 2016-02-04 한기석 집어등
KR101744852B1 (ko) 2016-09-26 2017-06-08 한기석 높은 주광성 효과를 유도하는 집어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3573U (ja) * 1982-05-15 1983-04-12 佐藤 義則 燈りつき釣竿
KR20120014337A (ko) 2010-08-09 2012-02-17 서정태 바다 낚시용 집어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7947A (ja) * 2012-06-01 2013-12-12 Susumu Kogure 集魚灯用点灯装置およびこの点灯装置を用いた集魚灯
KR101416555B1 (ko) 2014-01-14 2014-08-13 종 학 한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조사부를 갖는 집어등
KR101591868B1 (ko) * 2015-10-19 2016-02-04 한기석 집어등
KR101744852B1 (ko) 2016-09-26 2017-06-08 한기석 높은 주광성 효과를 유도하는 집어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943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0352B2 (en) Integral LED light fixture
JP6399444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591868B1 (ko) 집어등
US20140192536A1 (en) Modular lighting device
US20180192631A1 (en) Fishing Light
KR102409068B1 (ko) 집어등
KR200453761Y1 (ko) 나사결합식 led 조명등
US20170122536A1 (en) Fishing Light
KR102147467B1 (ko) 집어등용 노출단자의 절연구조
JP2002199837A (ja) 照明装置
KR20090001303A (ko) 어업용 집어등
KR200391613Y1 (ko) 휴대용 랜턴
KR20100049750A (ko) 다중접속용 커넥터를 갖는 led 조명등
US20160363298A1 (en) Fixture and led system with same
US20090079356A1 (en) Ac/dc lamp holder
KR200439140Y1 (ko) 전기적 접촉성능과 발광기능을 향상시킨 낚시찌
KR20190035083A (ko) 엘이디 작업등
KR100621188B1 (ko) 전원장치를 이용한 엘이디 전구
KR200496984Y1 (ko) 낚시용 집어등
KR200240958Y1 (ko) 입체구조를갖는고밀도반도체전구
KR101444830B1 (ko) 휴대용 엘이디 작업등
KR200454343Y1 (ko) 낚시용 발광 찌
JP6384787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KR20110010760U (ko) 집어등 장치
CN215569831U (zh) 带有插头的led灯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