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957B1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957B1
KR102408957B1 KR1020210191808A KR20210191808A KR102408957B1 KR 102408957 B1 KR102408957 B1 KR 102408957B1 KR 1020210191808 A KR1020210191808 A KR 1020210191808A KR 20210191808 A KR20210191808 A KR 20210191808A KR 102408957 B1 KR102408957 B1 KR 102408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er
treatment
processing
waste styro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우
Original Assignee
김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우 filed Critical 김관우
Priority to KR1020210191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55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using different melting or softening temperatures of the materials to be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6PS, i.e.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가열공간부를 갖는 처리몸체부, 상기 처리몸체부에 구비되어 용해된 폴리스틸렌을 이송시키기 위한 처리이송부, 상기 처리몸체부에 구비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이송되는 폴리스틸렌을 가열시키기 위한 극초단파발생부, 및 상기 극초단파발생부에 의해 기화된 기체를 포집하기 위한 기체포집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폐스티로폼의 처리시 에너지 소모가 적으면서, 유독성 가스 및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사용된 용제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재생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Waste styrofoam treat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본 발명은 폐스티로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스티로폼의 처리시 종래보다 에너지 소모가 적으면서, 유독성 가스 및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사용된 용제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재생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은 발포스티렌(EPS; Expanded Poly-Styrene)이라고 불리우기도 하며 폴리스티렌 수지에 펜탄 또는 부탄 등 탄화수소 가스를 주입시킨 후 이를 증기로 부풀린 발포제품으로 체적의 98%가 공기이고 나머지 2%가 수지인 합성수지 소재이다.
스티로폼은 복원성, 완충성, 단열성 등이 우수하여 전기 및 전자 제품의 포장재, 건축 단열재, 일회용 음식용기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스티로폼으로 제조되는 제품의 대부분이 일회용인 경우가 많으므로 일회 사용 후에는 쓰레기 매립지에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폐기 처분되는 폐(廢)스티로폼 제품은 그 수량과 부피가 방대하여 수집 및 운반에 엄청난 인력과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원자재 재활용 측면에서도 낭비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더욱이 매립지에 매립된 폐스티로폼은 자연분해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환경 공해 문제를 야기시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내부에 가열공간부를 갖는 처리몸체부, 상기 처리몸체부에 구비되어 용해된 폴리스틸렌을 이송시키기 위한 처리이송부, 상기 처리몸체부에 구비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이송되는 폴리스틸렌을 가열시키기 위한 극초단파발생부, 및 상기 극초단파발생부에 의해 기화된 기체를 포집하기 위한 기체포집부,를 포함하여 폐스티로폼의 처리시 에너지 소모가 적으면서, 유독성 가스 및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사용된 용제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재생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가열공간부를 갖는 처리몸체부, 상기 처리몸체부에 구비되어 용해된 폴리스틸렌을 이송시키기 위한 처리이송부, 상기 처리몸체부에 구비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이송되는 폴리스틸렌을 가열시키기 위한 극초단파발생부, 및 상기 극초단파발생부에 의해 기화된 기체를 포집하기 위한 기체포집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몸체부는, 가열공간부가 상측과 타측으로 개방되는 처리몸체, 및 상기 가열공간부의 상측을 폐쇄시키도록 상기 처리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처리덮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이송부는, 상기 처리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처리이송회전체, 상기 복수의 처리이송회전체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어 용해된 폴리스틸렌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처리이송회전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처리구동부, 및 상기 이송수단의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이송텐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리이송회전체는 처리이송롤러이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복수의 처리이송롤러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는 이송벨트, 및 가열된 폴리스틸렌이 상기 이송벨트에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이송융착방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이송회전체는 처리이송스프라켓이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복수의 처리이송스프라켓을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는 이송체인, 내부에 수납공간부를 갖고, 일정 길이로 복수 구비되되,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이송단위체, 및 가열된 폴리스틸렌이 각 이송단위체에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이송융착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각 상기 이송단위체는, 인접한 다른 이송단위체와 일부 겹치되, 누수를 방지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단위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연결부는, 어느 하나의 이송단위체의 일단부 하단부와 다른 하나의 이송단위체의 타단부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단위힌지부, 상기 어느 하나의 이송단위체의 일단부 양측단부에 돌출형성되되, 내주면이 상기 수납공간부의 내주면과 동일 면상에 형성되는 단위측단돌출부, 상기 단위측단돌출부에 대응되도록 다른 하나의 이송단위체의 타단부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단위측단홈부, 및 상기 단위측단돌출부와 단위측단홈부 사이에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단위힌지부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이송단위체가 회전될 경우, 펼쳐져 가열된 폴리스틸렌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위차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융착방지부는, 불소수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극초단파발생부는, 상기 처리덮개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한다.
또한, 상기 기체포집부는, 상기 가열공간부와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처리덮개의 내부에 형성되는 포집공간부, 및 상기 포집공간부에 포집된 기체를 흡입하기 위한 기체포집펌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집공간부는, 가열공간부에서 기화된 기체 중 액체를 분리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기체필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체필터부에 의해 액체가 분리되고, 통과된 기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체포집펌프에 의해 포집된 기체를 저장시키기 위한 기체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폐스티로폼을 용해시켜 상기 처리몸체부로 공급시키기 위한 용해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용해부는, 폐스티로폼을 이송하여 폐스티로폼 용해조로 공급하는 폐스티로폼 로딩수단, 상기 폐스티로폼을 용해할 용제를 폐스티로폼 용해조로 공급하는 용제공급수단, 상기 용제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용제가 투입되며, 공급된 폐스티로폼을 상기 용제로 용해하는 폐스티로폼 용해조, 용해과정에 사용된 용제와 용해된 폴리스티렌을 상기 처리몸체부로 공급하기 위한 폴리스티렌 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리스티렌 공급부는, 용해된 폴리스티렌을 처리몸체부로 정량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체포집펌프에 의해 포집된 기체를 액화시켜 상기 용해부로 공급시키기 위한 용매순환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용매순환부는, 상기 기체포집펌프에 의해 포집된 기체를 냉각시켜 액화시키기 위한 순환냉각부, 상기 순환냉각부에서 액화된 용매를 저장하기 위한 용매순환저장부, 및 상기 용매순환저장부의 용매를 상기 용해부로 공급하기 위한 용매순환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리이송부에 의해 배출되는 고체상태의 폴리스틸렌을 분쇄처리하기 위한 분쇄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쇄부는, 외주면을 따라 분쇄날을 갖고, 상호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 이상의 분쇄롤러에 의해 고체상태의 폴리스틸렌을 분쇄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에 의하면, 폐스티로폼의 처리시 에너지 소모가 적으면서, 유독성 가스 및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사용된 용제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재생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폼 처리장치의 처리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이송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폼 처리장치에 용해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폼 처리장치의 처리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이송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폼 처리장치에 용해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2)는 처리몸체부(100)와 처리이송부(200), 극초단파발생부(300) 및 기체포집부(400)를 포함한다.
처리몸체부(100)는 내부에 가열공간부(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처리이송부(200)는 처리몸체부(100)에 구비되어 용해된 폴리스틸렌을 이송시킨다.
극초단파발생부(300)는 처리몸체부(100)에 구비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이송되는 폴리스틸렌을 가열시킨다.
또한 기체포집부(400)는 극초단파발생부(300)에 의해 기화된 기체를 포집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2)는 극초단파발생부(300)에 의해 이송되는 용해된 폴리스틸렌을 가열시켜 액체를 기화시킴에 따라, 고체화되어 배출된다.
이를 위한, 처리몸체부(100)는 처리몸체(110)와 처리덮개(120)를 포함한다.
처리몸체(110)는 내부의 가열공간부(102)가 상측과 타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처리덮개(120)는 가열공간부(102)의 상측을 폐쇄시키도록 처리몸체(110)의 상측에 구비된다.
물론, 이 처리덮개(120)는 가열공간부(102)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처리이송부(200)는 처리이송회전체(210)와 이송수단(220), 처리구동부(230) 및 이송텐션부(240)를 포함한다.
처리이송회전체(210)는 처리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복수 구비된다.
또한 이송수단(220)은 복수의 처리이송회전체(210)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어 용해된 폴리스틸렌을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처리구동부(230)는 이송수단(220)을 회전시키도록 복수의 처리이송회전체(21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이송텐션부(240)는 이송수단(220)의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일 실시 예로, 처리이송회전체(2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처리이송롤러(212)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수단(220)은 이송벨트(222)와 이송융착방지부(224)를 포함한다.
이송벨트(222)는 복수의 처리이송롤러(212)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된다.
또한 이송융착방지부(224)는 가열된 폴리스틸렌이 이송벨트(222)에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각 처리이송롤러(212)의 양단부는 처리몸체(110)의 내측면에 인입되도록 구비되며, 이송벨트(222) 역시, 처리몸체(110)의 내측면에 인입된 상태로 무한궤도 회전된다.
이에, 이송되는 용해된 폴리스틸렌이 이송벨트(222)의 양측단부를 통해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이송벨트(222)와 처리몸체(110) 사이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과공급부(250)를 더 포함한다.
이 과공급부(250)는 이송벨트(222)와 처리몸체(110) 사이 간격을 따라 전체적으로 기체를 공급하도록 슬릿형의 노즐이 형성되어 기화된 기체를 기체포집부(400)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과공급부(250)는 질소를 분사시킴이 바람직하며, 화재 위험성이 없는 기체라면 사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그리고 이송융착방지부(224)는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일 실시 예로, 테프론으로, 폴리스틸렌이 닿는 이송벨트(222)에 형성되거나 표면에 코팅된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이송회전체(210')는 복수의 처리이송스프라켓(212')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수단(220')은 이송체인(222')과 이송단위체(224') 및 이송융착방지부(226')를 포함한다.
이송체인(222')은 복수의 처리이송스프라켓(212')을 따라 무한궤도 회전된다.
또한 이송단위체(224')는 내부에 수납공간부(224a')를 갖고, 일정 길이로 복수 구비되되,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송융착방지부(226')는 가열된 폴리스틸렌이 각 이송단위체(224')에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각 이송단위체(224')는 단위연결부(228')를 더 포함한다.
이 단위연결부(228')는 인접한 다른 이송단위체와 일부 겹치되, 누수를 방지하도록 연결시킨다.
이러한 단위연결부(228')는 단위힌지부(2282')와 단위측단돌출부(2284'), 단위측단홈부(2286') 및 단위차폐부(2288')를 포함한다.
단위힌지부(2282')는 어느 하나의 이송단위체(224')의 일단부 하단부와 다른 하나의 이송단위체의 타단부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그리고 단위측단돌출부(2284')는 어느 하나의 이송단위체(224')의 일단부 양측단부에 돌출형성되되, 내주면이 수납공간부(224a')의 내주면과 동일 면상에 형성된다.
단위측단홈부(2286')는 단위측단돌출부(2284')에 대응되도록 다른 하나의 이송단위체(224')의 타단부 양측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단위차폐부(2288')는 단위측단돌출부(2284')와 단위측단홈부(2286') 사이에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단위힌지부(2282')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이송단위체(224')가 회전될 경우, 펼쳐져 가열된 폴리스틸렌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송융착방지부(226')는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일 실시 예로, 테프론으로, 폴리스틸렌이 닿는 이송단위체(224')에 형성되거나 표면에 코팅된다.
그리고 이송단위체(224')와 처리몸체(110) 사이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과공급부(250')를 더 포함한다.
이 과공급부(250')는 이송단위체(224')와 처리몸체(110) 사이 간격을 따라 전체적으로 기체를 공급하도록 슬릿형의 노즐이 형성되어 기화된 기체를 기체포집부(400)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과공급부(250')는 질소를 분사시킴이 바람직하며, 화재 위험성이 없는 기체라면 사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그리고 극초단파발생부(300)는 처리덮개(12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한다.
또한 기체포집부(400)는 포집공간부(410)와 기체포집펌프(420)를 포함한다.
포집공간부(410)는 가열공간부(102)와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처리덮개(120)의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기체포집펌프(420)는 포집공간부(410)에 포집된 기체를 흡입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기화된 기체를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기체포집부(400)는 기체필터부(430)를 더 포함한다.
이 기체필터부(430)는 포집공간부(410)에 위치되도록 처리덮개(120)에 구비되며, 가열공간부(102)에서 기화된 기체 중 액체를 분리하여 통과시킨다.
이러한 기체필터부(430)에 의해 액체가 분리되고, 통과된 기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포집부(400)는 기체저장부(440)를 더 포함한다.
이 기체저장부(440)는 기체포집펌프(420)에 의해 포집된 기체를 저장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해부(3)를 더 포함한다.
이 용해부(3)는 폐스티로폼을 용해시켜 처리몸체부(100)로 공급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용해부(3)는 폐스티로폼(1)을 이송하여 폐스티로폼 용해조로 공급하는 폐스티로폼 로딩수단(10), 폐스티로폼을 용해할 용제를 폐스티로폼 용해조로 공급하는 용제공급수단(20), 용제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되는 용제가 투입되며, 공급된 폐스티로폼을 용제로 용해하는 폐스티로폼 용해조(30), 및 용해과정에 사용된 용제와 용해된 폴리스티렌을 처리몸체부(100)로 공급하기 위한 폴리스티렌 공급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폐스티로폼 로딩수단(10)은 폐스티로폼을 폐스티로폼 용해조(30)에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미분쇄 혹은 분쇄된 폐스티로폼을 컨베이어 혹은 이송스크류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폐스티로폼 로딩수단(10)의 전단에 분쇄기(미도시)를 설치하여 폐스티로폼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폐스티로폼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다.
용제공급수단(20)은 폐스티로폼 용해조(30)에 폐스티로폼을 용해할 용제를 공급한다. 용제는 폐스티로폼을 용해할 수 있는 용제, 바람직하게는 비극성 용제로 디클로로메탄 혹은 디브로모메탄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폐스티로폼과 용제가 중량비로 1:1 ~ 1:10의 비율로 투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폐스티로폼 용해조(30)에 폐스티로폼을 먼저 투입하고, 상부덮개(33)로 밀봉한다. 이후, 용제공급수단(20)을 이용하여 폐스티로폼이 투입된 용해조(30)에 용제가 공급된다. 용제가 투입됨과 동시에 폐스티로폼의 용해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이 폐스티로폼 용해조(30)에 함유된 용제의 상층부에 극성용매를 공급하는 극성용매 공급수단(60)을 더 포함한다. 이때, 극성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증점제가 첨가되어진다.
그리고 증점제의 예로, 설탕을 포함하는 당류, 검류(잔탄검, 아라비아 검 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용매로 극성용매를 사용하는 이유는 비극성 용제의 상층으로 극성용매층을 두어 폐스티로폼에 함유된 극성 불순물이 녹아 후공정을 통해 회수되는 폴리스티렌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증점제가 첨가될 경우 용제 내부에서 폐스티로폼의 용해시 발생하는 가스성 물질의 용해조(30) 내 급속한 확산으로 인한 압력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점제의 함량은 용제의 중량대비 1~10중량%이다.
폐스티로폼 용해조(30)는 상기 용제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되는 용제가 투입되며, 공급된 폐스티로폼을 상기 용제로 용해한다. 상기 용해조(30) 내에는 용해를 촉진하고 용해액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교반기(31)가 장착되어진다.
폐스티로폼 용해조(30)의 하단에 용해액 배출구(32)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용해액은 폴리스티렌 공급부(40)에 의해 처리몸체부(100)로 공급된다.
이러한 폴리스티렌 공급부(40)는 용해된 폴리스티렌을 처리몸체부로 일정량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정량공급부(42)를 포함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2)는 용매순환부(500)를 더 포함한다.
이 용매순환부(500)는 기체포집펌프(420)에 의해 포집된 기체를 액화시켜 용해부(3)로 공급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용매순환부(500)는 순환냉각부(510)와 용매순환저장부(520) 및 용매순환펌프(530)를 포함한다.
순환냉각부(510)는 기체포집펌프(420)에 의해 포집된 기체를 냉각시켜 액화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용매순환저장부(520)는 순환냉각부(510)에서 액화된 용매를 저장하기 위해 구비된다.
용매순환펌프(530)는 용매순환저장부(520)의 용매를 용해부(3)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다시 말해, 용매순환부(500)에 의해 저장된 용매를 극성용매 공급수단(60)으로 공급하여 극성용매로 사용된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2)는 분쇄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 분쇄부(600)는 처리이송부(200)에 의해 배출되는 고체상태의 폴리스틸렌을 분쇄처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분쇄부(600)는 외주면을 따라 분쇄날을 갖고, 상호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 이상의 분쇄롤러에 의해 고체상태의 폴리스틸렌을 분쇄시킨다.
분쇄된 폴리스틸렌은 포집 후, 재활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3 : 용해부
10 : 폐스티로폼 로딩수단 20 : 용제공급수단
30 : 폐스티로폼 용해조 40 : 폴리스티렌 공급부
60 : 극성용매 공급수단
100 : 처리몸체부 200 : 처리이송부
300 : 극초단파발생부 400 : 기체포집부
500 : 용매순환부 600 : 분쇄부

Claims (10)

  1. 내부에 가열공간부를 갖는 처리몸체부;
    상기 처리몸체부에 구비되어 용해된 폴리스틸렌을 이송시키기 위한 처리이송부;
    상기 처리몸체부에 구비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이송되는 폴리스틸렌을 가열시키기 위한 극초단파발생부; 및
    상기 극초단파발생부에 의해 기화된 기체를 포집하기 위한 기체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몸체부는,
    가열공간부가 상측과 타측으로 개방되는 처리몸체; 및
    상기 가열공간부의 상측을 폐쇄시키도록 상기 처리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처리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이송부는,
    상기 처리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처리이송회전체;
    상기 복수의 처리이송회전체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어 용해된 폴리스틸렌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처리이송회전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처리구동부; 및
    상기 이송수단의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이송텐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이송회전체는 처리이송롤러이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복수의 처리이송롤러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는 이송벨트; 및
    가열된 폴리스틸렌이 상기 이송벨트에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이송융착방지부;를 포함하며,
    각 상기 처리이송롤러의 양단부는 처리몸체의 내측면에 인입되도록 구비되고, 이송벨트 역시, 처리몸체의 내측면에 인입된 상태로 무한궤도 회전되며,
    상기 이송벨트와 처리몸체 사이로 기체를 공급하여 이송되는 용해된 폴리스틸렌이 이송벨트의 양측단부를 통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융착방지부는,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포집부는,
    상기 가열공간부와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처리덮개의 내부에 형성되는 포집공간부; 및
    상기 포집공간부에 포집된 기체를 흡입하기 위한 기체포집펌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폐스티로폼을 용해시켜 상기 처리몸체부로 공급시키기 위한 용해부;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포집펌프에 의해 포집된 기체를 액화시켜 상기 용해부로 공급시키기 위한 용매순환부;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이송부에 의해 배출되는 고체상태의 폴리스틸렌을 분쇄처리하기 위한 분쇄부;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KR1020210191808A 2021-12-29 2021-12-29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KR102408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808A KR102408957B1 (ko) 2021-12-29 2021-12-29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808A KR102408957B1 (ko) 2021-12-29 2021-12-29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957B1 true KR102408957B1 (ko) 2022-06-14

Family

ID=8198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808A KR102408957B1 (ko) 2021-12-29 2021-12-29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9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854A (ja) * 1993-03-31 1994-10-11 Hisao Sato 発泡スチロール処理装置
KR20030070297A (ko) * 2002-02-23 2003-08-30 윤혁중 폐스티로폼 감융 재생방법 및 그 재생장치
JP2005179466A (ja) * 2003-12-18 2005-07-07 Miike Iron Works Co Ltd 発泡スチロールのリサイクル装置
KR100645803B1 (ko) * 2005-10-19 2006-11-14 한국전기연구원 단계화된 잔류물 이송수단을 이용한 고효율의 열분해반응기와 폐타이어 재활용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83759A (ko) * 2011-01-18 2012-07-26 신범수 가연성 폐기물을 활용한 폐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854A (ja) * 1993-03-31 1994-10-11 Hisao Sato 発泡スチロール処理装置
KR20030070297A (ko) * 2002-02-23 2003-08-30 윤혁중 폐스티로폼 감융 재생방법 및 그 재생장치
JP2005179466A (ja) * 2003-12-18 2005-07-07 Miike Iron Works Co Ltd 発泡スチロールのリサイクル装置
KR100645803B1 (ko) * 2005-10-19 2006-11-14 한국전기연구원 단계화된 잔류물 이송수단을 이용한 고효율의 열분해반응기와 폐타이어 재활용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83759A (ko) * 2011-01-18 2012-07-26 신범수 가연성 폐기물을 활용한 폐수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793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hazardous waste or other hydrocarbonaceous material
JP3653111B2 (ja) 廃棄プラスチックの連続油化方法及び連続油化装置
KR102331020B1 (ko)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KR102408957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KR102387903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WO2009156761A2 (en) Processing of waste
CA212528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scrap tires
JP4068675B2 (ja) 廃棄物処理装置及び廃棄物回収システム
KR101210376B1 (ko) 하수슬러지 또는 음식물류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모듈형 건조장치
KR20210050266A (ko) 농산물 쓰레기 건조장치
US8349139B2 (en) Pyrolysis apparatus and methods using same
US11111439B1 (en) Microwave apparatus for pyrolyzing carbonaceous material and related method
KR20060056295A (ko)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246042B1 (ko) 난연성 스티로폼의 재활용을 위한 폴리스틸렌 추출시스템
US20160368184A1 (en) Belt confined continuous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861573B1 (ko) 폐플라스틱의 오일 환원 장치에 장착되는 가열탱크
KR20140003135A (ko) 유·무기성 슬러지 건조를 위한 난류접촉식 슬러지 건조 시스템
AU2004324107A2 (en) Rotary bearing support
KR200490503Y1 (ko) 소형화 가능한 폐합성수지 융해장치
KR20030069008A (ko) 발포폴리스티렌 폐기물의 재활용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TW200403285A (en) Method for recycling expanded styrol resin
JP6883830B1 (ja) 有機廃棄物の資源化処理装置、及びその資源化処理方法
US6013685A (en) Process for recycling packings
US5958310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ubstantially homogeneous mixtures
KR100581066B1 (ko)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가스 재활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