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923B1 - 유산균의 내산성, 내담즙성,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킨 홍삼 식이섬유 다중 코팅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산균의 내산성, 내담즙성,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킨 홍삼 식이섬유 다중 코팅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923B1
KR102408923B1 KR1020220028147A KR20220028147A KR102408923B1 KR 102408923 B1 KR102408923 B1 KR 102408923B1 KR 1020220028147 A KR1020220028147 A KR 1020220028147A KR 20220028147 A KR20220028147 A KR 20220028147A KR 102408923 B1 KR102408923 B1 KR 102408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coating
red ginse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환
김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22002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005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after treatment of microbial biomass not covered by C12N1/02 - C12N1/08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62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6Other non-digestibl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8Vegetable protein
    • A23Y2220/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유산균에 증점 다당류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1차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1차 코팅된 유산균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2차 코팅하는 단계; 및 c) 상기 2차 코팅된 유산균에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3차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코팅제로서 증점 다당류, 염기성 아미노산,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순차적으로 유산균에 코팅함으로써 내산성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에서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 다중 코팅 유산균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코팅 유산균은 내산성이 우수하므로 섭취 후 소화기관을 통과하는 동안 생존하여 소장에 정착함으로써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중 코팅 유산균은 제조공정 및 유통과정에서의 안정성도 우수하므로 유산균의 생존율을 고려한 설비비용이 전반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산균의 내산성, 내담즙성,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킨 홍삼 식이섬유 다중 코팅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Red Ginseng Dietary Fiber Multi-coating Method With Improved Acid Resistance, Bile Resistance, And Storage St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And Preparing Method Of Multi-coated Lactic Acid Bacteri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중 코팅 유산균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유산을 대사 산물로서 많이 생성하는 세균을 총칭하는 것으로, 장내에서 각종 장내미생물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해주고, 장의 운동을 촉진하여 변비 개선, 면역력 상승 등의 생리적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산균이 이러한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려면 소화기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생존하여 소장에 정착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유산균이 위장에서 분비되는 위산과 소장에서 분비되는 담즙에 대한 내성이 높아야 이들 소화기관의 가혹한 환경에서 생존하여 소장에 도달하는 생균수가 많아지게 되고 장내 상피 세포나 점막에 흡착하여 정착할 수 있다. 따라서, 내산성 및 내담즙성 등이 우수한 유산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특허문헌 1).
본 발명자들은 유산균의 내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공정 및 유통과정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산균 가공 방법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던 중에, 유산균에 증점 다당류를 혼합하여 1차 코팅하고, 염기성 아미노산을 혼합하여 2차 코팅한 다음에,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혼합하여 3차 코팅하는 경우 유산균의 내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에서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8690호
본 발명은 유산균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정성이 향상된 다중 코팅 유산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a) 유산균에 증점 다당류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1차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1차 코팅된 유산균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2차 코팅하는 단계; 및 c) 상기 2차 코팅된 유산균에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3차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유산균; 증점 다당류; 염기성 아미노산; 및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다중 코팅 유산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코팅제로서 증점 다당류, 염기성 아미노산,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순차적으로 유산균에 코팅함으로써 내산성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 및 유통과정에서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 다중 코팅 유산균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코팅 유산균은 내산성이 우수하므로 섭취 후 소화기관을 통과하는 동안 생존하여 소장에 정착하고, 이로써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중 코팅 유산균은 제조공정 및 유통과정에서의 안정성도 우수하므로 유산균의 생존율을 고려한 설비비용 등이 전반적으로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다중 코팅 유산균을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코팅 단계의 차이에 따른 유산균의 내산성을 평가하기 위해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다중 코팅 유산균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코팅 단계의 차이에 따른 유산균의 동결건조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a) 유산균에 증점 다당류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1차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1차 코팅된 유산균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2차 코팅하는 단계; 및 c) 상기 2차 코팅된 유산균에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3차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유산을 대사 산물로서 많이 생성하는 세균을 총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 락토코커스 속(Lactococcus sp.), 엔테로코커스 속(Enterococcus sp.), 페디오코커스 속(Pediococcus sp.),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및 비셀라 속(Weissella s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델부르키 아종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델부르키 아종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크레모리스(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 생물형 디아세틸락티스(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biovar diacetylactis),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e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및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acillus coagulan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산균에 코팅을 수행하기 위해서 유산균 배양액에 각각의 코팅제를 첨가 및 혼합한 후 균질화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코팅제는 각각 증점 다당류, 염기성 아미노산, 식물성 단백질, 또는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용액의 형태일 수 있고, 이때 용매는 증류수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증점 다당류는 유산균과 다른 코팅제(염기성 아미노산, 식물성 단백질, 또는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함)를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예를 들어 타라검, 타마린드검, 카라야검, 젤란검, 잔탄검, 아카시아검, 구아검, 가티검, 로커스트콩검, 펙틴, 알긴산,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커드란, 히알루론산 및 그 염, 플루란, 키틴, 키토산, 한천, 갈조 엑기스, 콘드로이친황화물, 카세인, 콜라겐, 젤라틴, 알부민,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그 나트륨 등의 염,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오스, 및 결정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 제조 공정에서는 유산균 배양액에, 각각의 코팅 성분(증점 다당류, 염기성 아미노산, 식물성 단백질 및 홍삼 유래 식이섬유)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순차적으로 혼합하여 코팅을 수행하게 되고, 이후 동결건조 과정에서 배양액이나 코팅제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이 증발하면서 최종적으로 다중 코팅 유산균이 수득된다. 따라서, 아래 제조 공정에 대한 설명에서는 각 코팅 성분의 함량을 유산균 배양액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증점 다당류는 유산균 배양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5중량부, 또는 0.01~3중량부, 또는 0.05~1중량부로 첨가 및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 미만인 경우, 증점 다당류를 코팅함에 따른 유산균의 내산성 및 안정성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증점 다당류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 대비 효과가 개선되는 정도가 비례하지는 않으므로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은 아르기닌, 라이신 및 히스티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은 유산균 배양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5중량부, 또는 0.05~3중량부, 또는 0.1~0.5중량부, 또는 0.1~0.3중량부로 첨가 및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 미만인 경우, 염기성 아미노산을 코팅함에 따른 유산균의 내산성 및 안정성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제 함량이 증가하는 것 대비 효과가 개선되는 정도가 비례하지는 않으므로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홍삼 유래 식이섬유'는 홍삼으로부터 얻은 식이섬유를 말하는 것으로, 홍삼 유래 식이섬유 총 중량 대비 식이섬유의 비율은 3~90%, 또는 5~80%, 또는 7~70%, 또는 10~60%, 또는 20~50%, 또는 30~40%일 수 있다.
홍삼 유래 식이섬유는 섬유질 외에도 Rb1, Rg3, Rg1, Re 등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홍삼 유래 식이섬유는 일반 섬유질에 의한 기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진세노사이드에 의한 다양한 생리활성기능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유산균 상에 코팅함으로써 유산균의 내산성 및 안정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홍삼으로부터 식이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의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삼 추출물의 잔사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홍삼 추출물의 잔사로부터 원심분리기, 필터프레스, 벨트프레스 및 건조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이용하여 식이섬유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 공정의 경우, 80℃ 이상, 또는 90℃ 이상, 또는 100 내지 2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홍삼 추출물은 홍삼으로부터 통상의 방식으로 수득된 것일 수 있다. 홍삼은 생인삼을 쪄서 익혀 건조한 것으로 건조 과정에서 갈변 반응이 일어나 담황갈색 내지 적갈색을 띄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삼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홍삼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할 때, 추출 방법으로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 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도 포함한다.
상기 홍삼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할 때, 물, 유기용매, 초임계 유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C1-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추출은 0℃ 내지 100℃에서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에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은 6시간 내지 36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시간 내지 14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추출은 1회 내지 8회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6회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5회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추출물은 각 추출에서 얻어진 단독 추출물 또는 각 추출에서 얻어진 추출물들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홍삼 유래 식이섬유는 유산균 배양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5~10중량부, 또는 0.1~5중량부, 또는 0.1~3중량부, 또는 0.1~1.5중량부로 첨가 및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코팅함에 따른 유산균의 내산성 및 안정성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홍삼 유래 식이섬유 함량이 증가하는 것 대비 효과가 개선되는 정도가 비례하지는 않으므로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은 상기 c) 단계 전에, 상기 2차 코팅된 유산균에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물성 단백질의 코팅 단계를 수행한 후에 홍삼 유래 식이섬유의 코팅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식물성 단백질은 다중 코팅 유산균을 분말화하기 위해 동결 및 해동을 거치는 동안 유산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식물성 단백질은 식물 유래 성분으로 저자극성 및 저칼로리이고, 노화를 지연시키며, 혈중 콜레스테롤을 개선하는 등 건강 상의 이점이 있다.
상기 식물성 단백질은 쌀 단백질, 귀리 단백질, 분리대두단백질, 및 대두단백질, 예컨대 완두콩 단백질, 병아리콩 단백질, 검은콩 단백질 및 렌틸콩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쌀 단백질 또는 완두콩 단백질을 사용한다. 특히, 쌀 단백질 또는 완두콩 단백질 등은 코셔(Kosher) 및 할랄(Halal) 등재 원료로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고, 쌀 단백질은 저자극성 식물성 단백질로서 식품위생법 식품표시기준에 따른 알러지원 표시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관련 절차 및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반면,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대두 또는 우유 유래의 단백질의 경우 식품위생법 식품표시기준에 따른 알러지원으로 표시를 해야하므로 관련 절차 및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단백질은 유산균 배양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5~10중량부, 또는 0.1~5중량부, 또는 0.1~3중량부, 또는 0.1~1.5중량부로 첨가 및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식물성 단백질을 코팅함에 따른 유산균의 내산성 및 안정성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코팅제 함량이 증가하는 것 대비 효과가 개선되는 정도가 비례하지는 않으므로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은 상기 c) 단계, 즉 홍삼 식이섬유를 코팅한 후에 부형제, 착색제, 향료 또는 비타민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비제한적으로 프럭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키틴올리고당, 이눌린,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옥수수전분, 수크로스, 글리세롤, 만니톨, 트레할로스, 무기염, 제이인산칼륨, 셀룰로스, 결정셀룰로스,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코포비돈, 마크로골,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PM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유산균 배양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99 중량부, 또는 5~95 중량부, 또는 10~90 중량부, 또는 20~85 중량부, 또는 30~80 중량부로 첨가 및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유산균의 내산성 및 안정성 개선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원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팅은 통상의 방식에 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통형의 코팅기 안에 유산균과 코팅제를 넣고 300~2000rpm, 또는 500~1500rpm, 또는 600~1000rpm으로 교반하여 균질화하는 방식에 의해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교반 속도 미만으로 교반하면 균질하게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교반 속도보다 빨리 교반하면 유산균의 내산성 또는 안정성 개선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코팅을 완료한 후에 동결건조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는 -40℃ 내지 상온으로 시간에 따라 온도를 높여주면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결건조 온도는 -40℃ 내지 30℃, 또는 -30℃ 내지 30℃, 또는 -20℃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는 1~72 시간, 또는 12~72시간, 24~72시간 또는 48~7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는 최종 수득되는 다중 코팅 유산균 내 수분 함량이 10% 이하, 또는 7% 이하, 또는 5% 이하, 또는 3% 이하 범위로 제어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는 통상의 동결건조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FDT-12012(OPERON) 등의 장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유산균; 증점 다당류; 염기성 아미노산; 및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다중 코팅 유산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다중 코팅 유산균은, 예를 들어, 유산균; 상기 유산균 상에 1차 코팅된 증점 다당류; 상기 유산균 및/또는 증점 다당류 상에 2차 코팅된 염기성 아미노산; 및 상기 유산균, 증점 다당류 및/또는 염기성 아미노산 상에 3차 코팅된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유산균 상에 3중 코팅(증점 다당류, 염기성 아미노산, 홍삼 유래 식이섬유)을 형성함으로써 내산성, 제조공정(동결건조) 안정성, 내담즙성 및 유통과정에서의 안정성이 모두 안정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 코팅 유산균은, 상기 홍삼 유래 식이섬유가 코팅되기 전에, 상기 유산균, 증점 다당류 및/또는 염기성 아미노산 상에 3차 코팅된 식물성 단백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산균, 증점 다당류, 염기성 아미노산 및/또는 식물성 단백질 상에 홍삼 유래 식이섬유가 4차 코팅된다. 이로써 제조되는 4중 코팅 유산균은 3중 코팅에 비해 내산성 및 제조공정과 유통과정에서의 안정성, 특히 동결건조 안정성이 더욱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중 코팅 유산균은 유산균을 다중 코팅 유산균 총 중량을 기준으로 3~50 중량%, 또는 5~45 중량%, 또는 7~40 중량%, 또는 10~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유산균의 내산성 및 안정성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중 코팅 유산균은 증점 다당류를 다중 코팅 유산균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또는 0.01~3 중량%, 또는 0.01~1.5 중량%, 또는 0.01~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유산균의 내산성 및 안정성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중 코팅 유산균은 염기성 아미노산을 다중 코팅 유산균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또는 0.01~3 중량%, 또는 0.01~1.5 중량%, 또는 0.01~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유산균의 내산성 및 안정성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중 코팅 유산균은 식물성 단백질을 다중 코팅 유산균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10 중량%, 또는 0.1~7 중량%, 또는 0.1~4 중량%, 또는 0.1~3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유산균의 내산성 및 안정성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중 코팅 유산균은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다중 코팅 유산균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10 중량%, 또는 0.1~7 중량%, 또는 0.1~4 중량%, 또는 0.1~3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유산균의 내산성 및 안정성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중 코팅 유산균은 첨가제를 다중 코팅 유산균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95 중량%, 또는 40~90 중량%, 또는 50~85 중량%, 또는 60~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유산균의 내산성 및 안정성 개선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원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증점 다당류, 염기성 아미노산, 식물성 단백질, 홍삼 유래 식이섬유, 및 첨가제에 대해서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 다중 코팅 유산균
1-1. 타라검 코팅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를 MRS 배지에서 37℃에서 12시간 동안 전배양을 완료하고, 37℃에서 18~24시간 본배양하였다.
멸균 증류수에 타라검(제조사: EXANDL S.A.C. 제품명: Tara Gum Powder H.V, food grade)을 0.1g 투입하여 용액(100㎖)을 제조한 후 3000rpm에서 10~30분 동안 교반하여 균질화하고 20~30℃ 정도로 냉각시켜 타라검 코팅제를 준비하였다.
상기 타라검 코팅제를 상기 균주 배양액 100g과 혼합하여 3000~4000rpm에서 20~3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균질화하여 코팅을 수행하였다.
1-2. 염기성 아미노산 코팅
멸균 증류수에 L-아르기닌(제조사: Ajinomoto, 제품명: L-arginine HF) 0.1g, L-라이신 염산염(제조사: Ajinomoto, 제품명: L-Lysine HCL) 0.1g, L-히스티닌(제조사: Ajinomoto, 제품명: L-Histidine) 0.1g을 투입하여 용액(100㎖)을 제조한 후 3000rpm에서 10~30분 동안 교반하여 균질화하고 20~30℃ 정도로 냉각시켜 염기성 아미노산 코팅제를 준비하였다.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 코팅제를 상기 1차 코팅된 유산균과 혼합하여 3000~4000rpm에서 20~3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균질화하여 코팅을 수행하였다.
1-3. 쌀 단백질 코팅
멸균 증류수에 쌀단백질 분말(제조사: Pevesa biotech S.A, 제품명: 프로디엠 라이스 5020 / PRODIEM RICE 5020) 1.0g을 투입하여 용액(100㎖)을 제조한 후 3000rpm에서 10~30분 동안 교반하여 균질화하고 20~30℃ 정도로 냉각시켜 쌀단백질 코팅제를 준비하였다.
상기 쌀단백질 코팅제를 상기 2차 코팅된 유산균과 혼합하여 3000~4000rpm에서 20~3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균질화하여 코팅을 수행하였다.
1-4. 홍삼 유래 식이섬유 코팅
멸균 증류수에 홍삼 유래 식이섬유(제조사: KGC인삼공사, 제품명: 홍삼식이섬유분말) 1.0g을 투입하여 용액(100㎖)을 제조한 후 3000rpm에서 10~30분 동안 교반하여 균질화하고 20~30℃ 정도로 냉각시켜 홍삼 유래 식이섬유 코팅제를 준비하였다.
상기 홍삼 유래 식이섬유 코팅제를 상기 3차 코팅된 유산균과 혼합하여 3000~4000rpm에서 20~3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균질화하여 코팅을 수행하였다.
상기 홍삼 유래 식이섬유가 코팅된 유산균에 부형제(말토덱스트린, 옥수수전분,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제이인산칼륨) 및 비타민 C의 혼합물 77.6g을 혼합하고 3000~4000rpm에서 20~3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균질화하였다.
이후, 초저온 냉동고에 -80℃에 12시간 보관 후 동결된 샘플을 동결건조기(오페론 동결건조기 FDT-12012)를 24~72시간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분말화된 다중 코팅 유산균을 수득하였다. 동결건조 과정에서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상기 분말화된 다중 코팅 유산균에 함유된 각 성분의 함량은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구분 함량(%)
유산균 20.0
부형제(말토덱스트린, 옥수수전분,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제이인산칼륨), 비타민 C 77.6
홍삼식이섬유 1.0
타라검 0.1
L-히스티닌 0.1
L-라이신염산염 0.1
L-아르기닌 0.1
쌀단백질분말 1.0
합계 100.0
실험예 1 - 내산성
유산균에 각 단계의 코팅을 수행함에 따른 유산균의 내산성 향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를 달리하여 코팅처리한 유산균을 PBS 버퍼를 활용하여 만든 pH 2.5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4시간 후의 생균수를 측정해 생존율을 분석하여 표 2 및 도 1에 나타낸다.
표 2 내지 표 7에서, 코팅을 위해 투입된 각 성분의 백분율(%)은 균주 배양액을 100중량%로 하여 계산한 값이다.
구분 구성 L.reuteri L.casei L.plantarum L.rhamnosus
대조군 균주+PBS 5㎖ 44.90% 35.1% 41.6% 30.3%
1 타라검0.1%+PBS 5㎖ 65.59% 56.2% 44.5% 33.5%
2-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 44.70% 35.4% 47.2% 60.9%
2-2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 50.00% 40.8% 54.8% 59.5%
3-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 52.22% 42.2% 53.6% 55.6%
3-2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 46.06% 36.1% 53.1% 54.7%
4-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홍삼식이 1% 78.85% 78.9% 66.7% 65.4%
4-2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홍삼식이 0.5% 73.49% 75.6% 69.1% 62.8%
4-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홍삼식이 1% 77.73% 72.1% 67.8% 68.5%
4-4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홍삼식이 0.5% 82.19% 67.9% 66.9% 66.3%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81.24% 76.5% 76.5% 77.1%
5-2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0.5% 86.56% 78.2% 75.6% 75.6%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89.13% 79.3% 78.2% 75.4%
5-4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0.5% 88.22% 79.0% 79.0% 72.6%
상기 표 2 및 도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유산균 다중 코팅을 수행한 4-1 내지 4-4 및 5-1 내지 5-4의 경우 4종 유산균의 생존율이 모두 60% 이상으로 유산균 종류에 관계없이 내산성 향상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유산균 상에 4중 코팅(증점 다당류, 염기성 아미노산, 식물성 단백질, 홍삼 유래 식이섬유)을 수행한 5-1 내지 5-4의 경우 유산균의 생존율이 모두 60% 이상으로 내산성이 더욱 더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동결건조 안정성
상기 다중 코팅 유산균에 대해 코팅 단계를 수행함에 따라서, 제조공정에서 동결건조시 유산균의 안정성이 개선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를 달리하여 코팅처리한 유산균에 대해 동결건조 전 샘플과 동결건조 후 샘플를 비교하여 각 조건별 균수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표 3 및 도 2에 나타낸다.
구분 구성 L.reuteri L.casei L.plantarum L.rhamnosus
대조군 균주+PBS 5㎖ 27.1% 26.1% 35.1% 33.6%
1 타라검0.1%+PBS 5㎖ 33.5% 24.5% 47.3% 34.2%
2-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 36.9% 24.6% 45.3% 40.3%
2-2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 51.6% 30.6% 44.3% 41.8%
3-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 48.9% 56.6% 50.1% 52.3%
3-2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 45.6% 58.9% 51.0% 56.4%
4-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홍삼식이 1% 67.2% 64.1% 51.4% 68.1%
4-2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홍삼식이 0.5% 55.5% 64.6% 52.6% 67.2%
4-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홍삼식이 1% 64.2% 65.6% 62.8% 62.5%
4-4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홍삼식이 0.5% 65.3% 64.2% 63.7% 63.3%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77.3% 82.6% 79.6% 80.6%
5-2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0.5% 75.6% 80.6% 77.8% 79.4%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74.6% 81.7% 75.6% 79.6%
5-4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0.5% 73.3% 80.3% 77.9% 78.2%
상기 표 3 및 도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유산균 코팅을 수행한 4-1 내지 4-4 및 5-1 내지 5-4의 경우 4종 유산균의 생존율이 모두 50% 이상으로 전반적으로 동결건조 안정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3중 코팅(증점 다당류, 염기성 아미노산, 홍삼 유래 식이섬유)을 수행한 경우에는 염기성 아미노산 함량을 0.2%로 늘렸을 때(즉, 4-3, 4-4) 유산균 종류에 관계없이 고르게 안정적으로 동결건조 안정성이 개선되었으며, 4중 코팅(증점 다당류, 염기성 아미노산, 식물성 단백질, 홍삼 유래 식이섬유)을 수행한 5-1 내지 5-4의 경우에는, 유산균의 생존율이 모두 70% 이상으로 동결건조 안정성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실험예 3 - 내담즙성
상기 다중 코팅 유산균에 대해 코팅 단계를 수행함에 따른 유산균의 내담즙성 향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담즙(OXGALL MB-B1653, KisanBio.co.Ltd)을 3차 증류수에 0.3%로 희석하고 상기 코팅처리한 유산균을 9배로 희석시켜 투입하고 배양하였다. 배양 3시간 후의 생균수를 측정해 생존율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구분 구성 결과 0시간 대비 생존율
0H(7) 3H(7)
대조군 L. reuteri 균주+PBS 5㎖ 1.18.E+09 7.40.E+08 62.98%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18.E+09 2.12.E+09 97.25%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86.E+09 2.67.E+09 93.18%
대조군 L. casei 균주+PBS 5㎖ 1.19.E+09 8.04.E+08 67.60%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19.E+09 2.04.E+09 93.15%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47.E+09 2.35.E+09 94.94%
대조군 L. plantarum 균주+PBS 5㎖ 1.39.E+09 9.54.E+08 68.60%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30.E+09 2.13.E+09 92.81%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51.E+09 2.24.E+09 89.04%
대조군 L. rhamnosus 균주+PBS 5㎖ 9.65.E+08 6.63.E+08 68.67%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02.E+09 1.85.E+09 91.78%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07.E+09 1.89.E+09 91.30%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유산균에 4중 코팅을 수행한 5-1 및 5-3의 경우 4종 유산균의 생존율이 적어도 89%로 모두 향상되며, 이는 대조군 대비 크게 향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 보관 조건별 안정성
상기 다중 코팅 유산균에 대해 코팅 단계를 수행함에 따른 유산균의 보관 조건별(상온, 냉장, 가속)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온 조건(온도: 25℃, 습도: 60%), 냉장 조건(온도: 4℃) 및 가속 조건(온도: 40℃, 습도: 75%) 하에서 보관한 샘플을 시간별로(0시간, 24시간, 72시간) 확보하여 희석한 후 균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각각 표 5 내지 표 7에 나타낸다.
구분 구성 결과
0H 24H 72H(7) 0H/24H 변화율 24H/72H 변화율 0H/72H 변화율
대조군 L. reuteri 균주+PBS 5㎖ 1.23.E+09 1.04.E+09 7.40.E+08 84.90% 71.15% 60.41%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15.E+09 2.00.E+09 1.99.E+09 93.24% 99.25% 92.54%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23.E+09 2.12.E+09 1.95.E+09 94.84% 91.96% 87.22%
대조군 L. casei 균주+PBS 5㎖ 1.20.E+09 9.60.E+08 7.50.E+08 80.33% 78.13% 62.76%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19.E+09 2.08.E+09 1.93.E+09 94.98% 92.79% 88.13%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47.E+09 2.15.E+09 2.03.E+09 86.84% 94.41% 81.98%
대조군 L. plantarum 균주+PBS 5㎖ 1.26.E+09 1.05.E+09 7.65.E+08 83.33% 72.86% 60.71%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26.E+09 2.04.E+09 1.90.E+09 90.24% 93.12% 84.04%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17.E+09 2.04.E+09 1.89.E+09 94.01% 92.40% 86.87%
대조군 L. rhamnosus 균주+PBS 5㎖ 1.08.E+09 8.55.E+08 6.70.E+08 79.17% 78.36% 62.04%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16.E+09 2.10.E+09 1.91.E+09 97.22% 90.95% 88.43%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19.E+09 2.12.E+09 1.92.E+09 97.03% 90.33% 87.64%
구분 구성 결과
0H 24H 72H(7) 0H/24H 변화율 24H/72H 변화율 0H/72H 변화율
대조군 L. reuteri 균주+PBS 5㎖ 1.23.E+09 1.21.E+09 1.04.E+09 98.37% 86.31% 84.90%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15.E+09 2.13.E+09 2.03.E+09 99.30% 95.07% 94.41%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23.E+09 2.21.E+09 2.04.E+09 98.88% 92.52% 91.48%
대조군 L. casei 균주+PBS 5㎖ 1.20.E+09 1.17.E+09 1.05.E+09 97.49% 89.70% 87.45%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19.E+09 2.15.E+09 2.08.E+09 97.95% 96.74% 94.75%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47.E+09 2.39.E+09 2.31.E+09 96.76% 96.65% 93.52%
대조군 L. plantarum 균주+PBS 5㎖ 1.26.E+09 1.22.E+09 9.65.E+08 96.83% 79.10% 76.59%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26.E+09 2.20.E+09 1.98.E+09 97.56% 90.00% 87.80%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17.E+09 2.14.E+09 2.10.E+09 98.39% 98.13% 96.54%
대조군 L. rhamnosus 균주+PBS 5㎖ 1.08.E+09 9.95.E+08 8.25.E+08 92.13% 82.91% 76.39%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16.E+09 2.10.E+09 2.02.E+09 97.22% 96.19% 93.52%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19.E+09 2.15.E+09 2.01.E+09 98.40% 93.26% 91.76%
구분 구성 결과
0H 24H 72H(7) 0H/24H 변화율 24H/72H 변화율 0H/72H 변화율
대조군 L. reuteri 균주+PBS 5㎖ 1.23.E+09 3.15.E+08 1.30.E+08 25.71% 41.27% 10.61%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15.E+09 1.06.E+09 7.85.E+08 49.18% 74.41% 36.60%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23.E+09 1.03.E+09 8.15.E+08 46.19% 79.13% 36.55%
대조군 L. casei 균주+PBS 5㎖ 1.20.E+09 3.20.E+08 1.95.E+08 26.78% 60.94% 16.32%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19.E+09 1.08.E+09 8.65.E+08 49.09% 80.47% 39.50%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47.E+09 1.06.E+09 9.15.E+08 42.91% 86.32% 37.04%
대조군 L. plantarum 균주+PBS 5㎖ 1.26.E+09 3.40.E+08 1.70.E+08 26.98% 50.00% 13.49%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26.E+09 1.08.E+09 8.55.E+08 47.89% 79.17% 37.92%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17.E+09 1.07.E+09 8.20.E+08 49.31% 76.64% 37.79%
대조군 L. rhamnosus 균주+PBS 5㎖ 1.08.E+09 2.55.E+08 1.90.E+08 23.61% 74.51% 17.59%
5-1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1%+쌀단백 1%+홍삼식이 1% 2.16.E+09 1.02.E+09 8.00.E+08 47.22% 78.43% 37.04%
5-3 타라검0.1%+PBS 5㎖+아미노산3종 각 0.2%+쌀단백 1%+홍삼식이 1% 2.19.E+09 1.02.E+09 7.70.E+08 46.68% 75.49% 35.24%
상기 표 5 내지 표 7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유산균에 4중 코팅을 수행한 5-1 및 5-3의 경우 4종 유산균의 상온(표 5), 냉장(표 6), 가속(표 7) 조건 하에서의 보관 안정성이 대조군 대비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1)

  1. a) 유산균에 증점 다당류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1차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1차 코팅된 유산균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2차 코팅하는 단계;
    c) 상기 2차 코팅된 유산균에 쌀 단백질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3차 코팅하는 단계; 및
    d) 상기 3차 코팅된 유산균에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4차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다중 코팅 유산균은 우유 유래 단백질은 포함하지 않는 것인,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점 다당류는 타라검, 타마린드검, 카라야검, 젤란검, 잔탄검, 아카시아검, 구아검, 가티검, 로커스트콩검, 펙틴, 알긴산,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커드란, 히알루론산 및 그 염, 플루란, 키틴, 키토산, 한천, 갈조 엑기스, 콘드로이친황화물, 카세인, 콜라겐, 젤라틴, 알부민,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그 나트륨 등의 염,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오스, 및 결정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은 아르기닌, 라이신 및 히스티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a) 유산균에 유산균 배양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5중량부의 증점 다당류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1차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1차 코팅된 유산균에 유산균 배양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5중량부의 염기성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2차 코팅하는 단계;
    c) 상기 2차 코팅된 유산균에 유산균 배양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5~10중량부의 쌀 단백질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3차 코팅하는 단계; 및
    d) 상기 3차 코팅된 유산균에 유산균 배양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5~10중량부의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혼합하여 4차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홍삼 유래 식이섬유는 홍삼 추출물의 잔사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홍삼 추출물의 잔사로부터 원심분리기, 필터프레스, 벨트프레스 및 건조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이용하여 식이섬유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것인,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 락토코커스 속(Lactococcus sp.), 엔테로코커스 속(Enterococcus sp.), 페디오코커스 속(Pediococcus sp.),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및 비셀라 속(Weissella s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인,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
  9. 유산균;
    증점 다당류;
    염기성 아미노산;
    쌀 단백질; 및
    홍삼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고,
    우유 유래 단백질은 포함하지 않는 다중 코팅 유산균.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중 코팅 유산균.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다중 코팅 유산균 총 중량을 기준으로,
    유산균 7~40 중량%;
    증점 다당류 0.01~1 중량%;
    염기성 아미노산 0.01~1 중량%;
    쌀 단백질 0.1~4 중량%;
    홍삼 유래 식이섬유 0.1~4 중량%; 및
    부형제 50~85 중량%;를 포함하는 다중 코팅 유산균.
KR1020220028147A 2022-03-04 2022-03-04 유산균의 내산성, 내담즙성,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킨 홍삼 식이섬유 다중 코팅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 KR102408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147A KR102408923B1 (ko) 2022-03-04 2022-03-04 유산균의 내산성, 내담즙성,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킨 홍삼 식이섬유 다중 코팅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147A KR102408923B1 (ko) 2022-03-04 2022-03-04 유산균의 내산성, 내담즙성,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킨 홍삼 식이섬유 다중 코팅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923B1 true KR102408923B1 (ko) 2022-06-15

Family

ID=8198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147A KR102408923B1 (ko) 2022-03-04 2022-03-04 유산균의 내산성, 내담즙성,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킨 홍삼 식이섬유 다중 코팅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9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47B1 (ko) * 2005-05-16 2007-04-09 정용현 3단계로 코팅되는 김치 유산균의 코팅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코팅된 김치유산균 및 코팅된 김치 유산균이 함유된 조성물
KR102009732B1 (ko) * 2019-04-15 2019-08-12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세포 농축 방법에 의한 이중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
KR102048690B1 (ko) 2016-12-16 2019-11-26 (주)휴온스 안정성이 증진된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5726B1 (ko) * 2020-03-06 2020-09-1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유산균 안정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신규 부형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47B1 (ko) * 2005-05-16 2007-04-09 정용현 3단계로 코팅되는 김치 유산균의 코팅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코팅된 김치유산균 및 코팅된 김치 유산균이 함유된 조성물
KR102048690B1 (ko) 2016-12-16 2019-11-26 (주)휴온스 안정성이 증진된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9732B1 (ko) * 2019-04-15 2019-08-12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세포 농축 방법에 의한 이중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
KR102155726B1 (ko) * 2020-03-06 2020-09-1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유산균 안정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신규 부형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8206B1 (en) Microparticles for the encapsulation of probiotics,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JP5116473B2 (ja) コレステロール吸収抑制剤
EP1931363B1 (en) Treatment of ibd using both probiotic bacteria and fermented cereal as treatment effectors
EP1947962B1 (en) Edible product containing ginseng polysaccharides and beneficial bacteria
US11717544B2 (en) Pairing probiotics and prebiotics, methods for growth and use, separately and in combination
KR101927859B1 (ko) 초음파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의 안정성과 코팅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 동결건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20120046676A (ko) 다중 코팅층을 갖는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9731B1 (ko)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단백질-다당류 이중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
US20120301505A1 (en) Immunostimulating Agent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bd-Elhamid Production of functional kariesh cheese by microencapsulation of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ATCC 15704
JP5238166B2 (ja) インターロイキン12産生抑制剤
JP2013538827A (ja) 腎機能を増強させ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KR102408923B1 (ko) 유산균의 내산성, 내담즙성,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킨 홍삼 식이섬유 다중 코팅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코팅 유산균의 제조 방법
KR102430949B1 (ko) 생산성과 안정성이 우수한 다중코팅 유산균
JP7246522B2 (ja) コーティングプロバイオティクスおよびこれを含む食品組成物、その製造方法
CN113796540A (zh) 一种复合益生菌冻干粉及其制备方法
KR101172839B1 (ko) 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 및 상기 코팅 유산균을 포함하는 보쌈용 수육의 제조방법
KR102408945B1 (ko) 홍삼을 이용한 유산균의 내산성 강화 배양 공정
KR20200086805A (ko) 장내 세균총에 유익한 효능을 가진 유산균을 활용한 면역력 향상 기능성 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CN115444867B (zh) 短双歧杆菌207-1的应用
RU265924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продукта питания для реабилитации онкологических больных
JP2003047437A (ja) キャベツ発酵エキスを含有する加工食品
Makizaki et al. Activation of chloride channels and promotion of bowel movements by heat-killed Bifidobacterium longum CLA8013
Minj et al. 10 Beneficial Effects of Dairy
CA3163992A1 (en) Uses of lipoteichoic acid from bifidobact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