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676B1 - 분산 자가 복제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보안 영상감시방법 - Google Patents

분산 자가 복제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보안 영상감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676B1
KR102408676B1 KR1020210132393A KR20210132393A KR102408676B1 KR 102408676 B1 KR102408676 B1 KR 102408676B1 KR 1020210132393 A KR1020210132393 A KR 1020210132393A KR 20210132393 A KR20210132393 A KR 20210132393A KR 102408676 B1 KR102408676 B1 KR 102408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ccess
person
data deletion
appr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춘열
Original Assignee
유춘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춘열 filed Critical 유춘열
Priority to KR102021013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04N21/2396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characterized by admiss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3Acknowled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가진다.
관계자의 접근을 승인요청하는 관계자접근승인요청단계;
상기 관계자접근승인요청단계 후에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등록여부확인단계;
상기 등록여부확인단계에서 관계자가 등록된 경우에는 해당되는 데이타베이스에 접근하는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접근권한 확인단계;
상기 접근권한 확인단계에서 접근권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삭제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삭제승인요청단계;
상기 데이터삭제승인요청단계에서 데이터삭제를 승인하는 경우에는 보안모드로 전환하는 보안모드전환단계;
상기 보안모드전환단계에서 삭제명령어 입력시 네트워크와 연결된 저장장치에 복사하는 데이터복사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자가 복제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보안 영상감시방법을 가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분산 자가 복제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보안 영상감시방법{Data security video surveillance method using distributed self-replication technology}
본원발명은 데이터를 삭제하고자 시도하는 자에 대하여 승인받지 않은 데이터는 삭제하지 못하도록 하고 삭제 승인한 데이타도 자가 복제하여 데이터의 보안을 높이는 것과 관련한 기술이다.
도 4는 , 배경 발명에 따른 카메라 영상 녹화 기기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파일 삭제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는, 카메라 영상의 MPEG 데이터 스트림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트라 프레임이 포함되는 지오피(GOP) 단위로 구분하여 녹화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스토리지(12)에 저장 용량이 부족한 경우, 상기 마이컴(13)에서는, 동영상 데이터파일 삭제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S10).
그리고, 상기 마이컴에서는, 상기 스토리지에 녹화된 동영상 데이터 파일들에 대한 녹화 시간 정보를 검색하여(S11),
오래 전에 녹화된 다수의 동영상 데이터 파일들(예: 적어도 2 개 파일 이상)을 선별하게 된다(S12).
또한, 상기 마이컴에서는, 상기 모션 검출부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선별된 다수의 동영상 데이터 파일들에 포함된 예측 프레임(P-Frame)들을 각각 검색하여(S13), 모션 변화량을 확인 및 비교하게 된다(S14).
예를 들어, 상기 모션 검출부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래 전에 녹화된 제1 동영상 데이터 파일(Data File 1)과, 제2 동영상 데이터 파일(Data File 2)에 각각 기록된 예측 프레임(P-Frame)들을 검색하게 되는 데, 상기 예측 프레임(P-Frame)은, 인트라 프레임(I-Frame) 내의 매크로 블록(Macro Block)에 포함된 특정 피사체의 모션 벡터(Motion Vector) 값에 해당하는 데이터이다.
한편, 상기 마이컴에서는, 상기 모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예측 프레임의 모션 벡터 값이 적은 순서대로, 삭제할 동영상 데이터 파일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게 된다(S15).
그리고,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즉, 모션 벡터 값이 가장 적게 검출된 예측 프레임(P-Frmae)이 포함된 동영상 데이터 파일(예: Data File 2)을, 중요도가 낮은 동영상 데이터 파일이라고 판단하여, 우선적으로 삭제하면서(S16), 상기 신호 처리부(11)에 의해 새롭게 신호 처리된 동영상 데이터 파일을 중첩 녹화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7)
이에 따라, 오래 전에 녹화되었지만 모션 변화량이 많은 중요한 동영상 데이터 파일이 부적절하게 삭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에러가 발생한 동영상 데이터 파일의 인트라 프레임(I-Frame)을 이용할수 없기 때문에, 정상 상태인 다른 동영상 데이터 파일의 양방향 프레임(B-Frame)과 예측프레임 (P-Frame)을 재생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본원발명이 추구하는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것으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원발명을 발명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330776(2013.11.26)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322787(2013.11.04)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531191(2015.06.25)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버 내 중요한 증거 영상 자료가 정당한 절차없이 임의로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을 가진다.
관계자의 접근을 승인요청하는 관계자접근승인요청단계;
상기 관계자접근승인요청단계 후에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등록여부확인단계;
상기 등록여부확인단계에서 관계자가 등록된 경우에는 해당되는 데이타베이스에 접근하는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접근권한 확인단계;
상기 접근권한 확인단계에서 접근권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삭제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삭제승인요청단계;
상기 데이터삭제승인요청단계에서 데이터삭제를 승인하는 경우에는 보안모드로 전환하는 보안모드전환단계;
상기 보안모드전환단계에서 삭제명령어 입력시 네트워크와 연결된 저장장치에 복사하는 데이터복사단계를 가지는 분산 자가 복제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보안 영상감시방법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등록여부확인단계에서 관계자가 등록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관계자의 등록 및 승인절차를 진행하는 등록 및 승인절차진행단계를 거친 후에 상기 관계자접근승인요청단계로 돌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근권한확인단계에서 접근권한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관계자의 정보를 확인 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접근차단단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삭제승인요청단계에서 데이터삭제승인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삭제를 시도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삭제시도확인단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삭제시도확인단계에서 데이터삭제를 시도하지 않는 경우에는 결과보고서를 작성하는 결과보고서작성단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삭제시도확인단계에서 데이터삭제를 시도하는 경우에는 보안모드로 전환하는 상기 보안모드전환단계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효과는 서버 내 중요한 증거 영상 자료가 정당한 절차없이 임의 로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즉 서버 관리하는 내 외부 관계자들의 엄격한 관리를 통해 중요 자료의 보안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서버에 접근을 시도하는 자와 이를 승인하는 권한이 있는 자 사이에 구성된 개략도이다.
제2도는 서버에 접근을 하는 자들의 등록 및 승인절차에 관한 플로우챠트에 관한 도이다.
제3도는 본원발명의 데이타를 삭제시에 데이터보호절차에 관한 플로우차트에 관한 도이다.
제4도는 배경기술에 관한 도이다.
본원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1,2,3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원발명은 서버 내 중요한 증거 영상 자료가 정당한 절차없이 임의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서버를 관리하는 외부 용역직원들의 엄격한 관리를 통해 중요 자료의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다.
승인하는 주체는 회사의 경우는 관리자이며, 정부의 경우에는 각 지자체담당자를 의미하는 것이다.
삭제를 시도하는 사람은 내부직원일수도 있고 특별히 영상감시장치를 유지보수하는 담당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서버에 접근을 승인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기 등록된 사람(얼굴 필히 포함, 핸드폰 등록)이 보안 구역내에 있는 NFC 모듈이 포함된 카메라 앞에 대기 후 해당 정보(이름, 장소, 날짜시간, 얼굴 포함사진 등)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거친다.
관리자가 해당 내용을 승인하면 위의 해당 정보와 승인한 관리자 정보를 함께 기록에 남김으로 책임과 보안성을 높이는 것이다.
관리자는 PC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승인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자료를 포함한 어떠한 자료든지 삭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가지는 것이다.
어떠한 정보라도 삭제 시도 시 해당 정보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지정구역에 복사하여 자료를 보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정기한 이후 순차적으로 삭제되는 자료의 경우는 예외로 처리한다.
해당 정보 즉, 자료내용, 일시, 삭제 시도한 자, 승인한 자, 각각의 사진 등자료 삭제 시도 시 해당 정보는 결재자 또는 관리자에게 통보를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2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데이터에 접근하기위한 등록절차는 다음과 같다.
관계자의 기본 정보를 입력한다. 기본정보로는 얼굴이미지, 핸드폰번호, 이름, 접근등급, 핸드폰 등록 등에 해당한다. 관계자 접근승인요청단계(S10)를 거친 후에는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인 등록여부확인단계(S20)를 거친다.
등록이 안되어있는 경우에는 관리자(지자체 담당자 등)에게 등록 결재 승인을 요청한다.
이럴경우에는 등록에 필요한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S40)를 거친다.
여기에서 접근권한승인요청단계(S50)를 거치도록 한다.
네트워크 미 연결 시 승인이 안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관리자의 확인 후 결재를 승인하는 결재승인단계(S60)를 거친도록 구성한다.
데이터 승인절차는 다음과 같다.
본인 인증용 정보를 입력하여 접근승인요청단계(S10)를 거친다.
카메라 등 이미지 입력모듈을 통해 얼굴 사진을 촬영하고 핸드폰 NFC를 이용한 핸드폰 정보를 확인한다.(본인 확인)
등록여부확인단계(S20)를 거친 후에 등록된 관계자인 경우에 해당 정보로는 얼굴사진,이름, 접근등급, 핸드폰 번호 등을 기반으로 관리자에게 승인을 요청하는 영상확인후 승인단계(S30)를 가진다.
즉 해당 사진, 본인 확인 정보 및 현재 실시간 동영상 확인 후 승인하는 결재를 하는 것이다.
도3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영상감시장치를 유지보수하는 담당자 (용역 관계자, 내부인 등) 접근을 시도하는 자는 관계자의 접근을 승인요청하는 관계자접근승인요청단계(S100)를 거친다.
상기 관계자접근승인요청단계(S100) 후에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등록여부확인단계(S200)를 거친다.
상기 등록여부확인단계(S200)에서 영상감지장치를 유지보수하는 관계자가 등록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관계자의 등록 및 승인절차를 진행하는 등록 및 승인절차진행단계(S250)를 거친 후에 상기 관계자접근승인요청단계(S100)로 돌아가도록 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등록여부확인단계(S200)에서 관계자가 등록된 경우에는 해당되는 데이타베이스에 접근하는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접근권한 확인단계(S300)를 가진다.
상기 접근권한확인단계(S300)에서 접근권한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관계자의 정보를 확인 후 물리적으로 접근을 차단하는 접근차단단계(S350)를 가진다.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off되도록 구성하거나 경고음이 울리거나 접근하는 관계자를 사용하는 서버를 더이상 사용할 수 없도록 구성한다.
상기 접근권한 확인단계(S300)에서 접근권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삭제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삭제승인요청단계(S400)를 가진다.
상기 데이터삭제승인요청단계(S400)에서 데이터삭제를 승인하는 경우에는 보안모드로 전환하는 보안모드전환단계(S600)를 가진다.
상기 데이터삭제승인요청단계(S400)에서 데이터삭제승인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삭제를 시도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삭제시도확인단계(S500)를 가진다.
상기 데이터삭제시도확인단계(S500)에서 데이터삭제를 시도하지 않는 경우에는 업무가 종료된 후에 결과보고서를 작성하는 결과보고서작성단계(S550)를 가진다.
상기 데이터삭제시도확인단계(S500)에서 데이터삭제를 시도하는 경우에는 보안모드로 전환하는 상기 보안모드전환단계(S600)로 이동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보안모드전환단계(S600)에서 삭제명령어 입력시 네트워크와 연결된 저장장치에 복사하는 데이터복사단계(S700)를 가지는 분산 자가 복제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보안 영상감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안모드전환단계에서는 모니터화면은 초기화면으로 전환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해야지만 접속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데이터삭제승인을 요청하거나 데이터삭제를 시도하는 경우에는기와 같은 과정을 둘수 있다.
회사내 관리자 또는 지자체 담당자와 본인 이외 1인 이상에게 삭제를 시도하는 것에 대하여 알람을 송출하게 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회사내 관리자 또는 지자체 담당자가 용역 관계자에게 직접 전화 및 영상으로 연결(전화 통화 및 실시간 영상 확인) 한다.
회사내 관리자 또는 지자체 담당자 본인 이외 1인 이상의 결재 승인을 요청 및 관련 내용 문자 및 이메일 등으로 전송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필요 시 경찰 또는 경비업체에 관련 내용을 전송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주로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의 영상감시장치를 염두에 둔 것으로 관리자의 주체가 지방정부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범죄자를 추출하거나 범죄예방 등을 목표로 두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외의 목적으로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회사 내의 주요 데이타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있는 방법발명인 것이다.
해당 삭제 명령어 입력 시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저장장치에 복사한다.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동일 서버 또는 저장장치에 복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삭제 명령어 실행 전에 복사를 실행 완료하여야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삭제 실행 후 결과보고서를 회사내 관리자 또는 지자체 담당자와 결재 승인한 상사에게도 송부한다.
해당 로그기록과 결과보고서도 관리서버에 복사한다.
해당 명령어 시도 시 모든 로그 기록도 복사하여 남겨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6)

  1. 보안 구역내에 있는 NFC 모듈이 포함된 카메라 앞에 대기 후 얼굴을 포함하는 해당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여(구성1) 관계자의 접근을 승인요청하는 관계자접근승인요청단계를 가지며,
    상기 관계자접근승인요청단계 후에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등록여부확인단계를 가지고,
    상기 등록여부확인단계에서 관계자가 등록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관계자의 등록 및 승인절차를 진행하는 등록 및 승인절차진행단계를 거친 후에 상기 관계자접근승인요청단계로 되돌아가며,
    상기 등록여부확인단계에서 관계자가 등록된 경우에는 해당되는 데이타베이스에 접근하는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접근권한 확인단계를 가지며,
    상기 접근권한확인단계에서 접근권한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관계자의 정보를 확인 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접근차단단계를 가지고,
    상기 접근권한확인단계에서 접근권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삭제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삭제승인요청단계를 가지며,
    상기 데이터삭제승인요청단계에서 데이터삭제승인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삭제를 시도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삭제시도확인단계를 가지고,
    상기 데이터삭제시도확인단계에서 데이터삭제를 시도하는 경우에는 보안모드로 전환하는 보안모드전환단계로 이동하며,
    상기 데이터삭제승인요청단계에서 데이터삭제를 승인하는 경우에는 보안모드로 전환하는 상기 보안모드전환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보안모드전환단계에서 삭제명령어 입력시 네트워크와 연결된 저장장치에 복사하는 데이터복사단계를 가지며,
    상기 데이터삭제시도확인단계에서 데이터삭제를 시도하지 않는 경우에는 결과보고서를 작성하는 결과보고서작성단계를 가지는 것으로,
    관리자가 해당 내용을 승인하면 해당 정보와 승인한 관리자 정보를 함께 기록에 남김으로 책임과 보안성을 높이며,
    어떠한 정보라도 삭제 시도 시 해당 정보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지정구역에 복사하여 자료를 보존하도록 하는 것이고,
    자료내용, 일시, 삭제 시도한 자, 승인한 자, 각각의 사진자료 삭제 시도 시 해당 정보는 결재자 또는 관리자에게 통보하도록 구성하며,
    삭제 명령어 실행 전에 복사를 실행 완료하여야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해당 명령어 시도 시 로그 기록도 복사하여 남겨두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자가 복제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보안 영상감시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32393A 2021-10-06 2021-10-06 분산 자가 복제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보안 영상감시방법 KR102408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93A KR102408676B1 (ko) 2021-10-06 2021-10-06 분산 자가 복제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보안 영상감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93A KR102408676B1 (ko) 2021-10-06 2021-10-06 분산 자가 복제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보안 영상감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676B1 true KR102408676B1 (ko) 2022-06-15

Family

ID=8198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393A KR102408676B1 (ko) 2021-10-06 2021-10-06 분산 자가 복제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보안 영상감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6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86953A (zh) * 2023-09-06 2023-10-13 湖南马栏山视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云存储视频数据的保护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524A (ja) * 2002-09-06 2004-04-02 Ttt Kk データベース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方法
KR20040052569A (ko) * 2004-04-03 2004-06-23 주식회사 피앤피시큐어 데이터베이스 감시 및 보안 방법 및 장치
KR101322787B1 (ko) 2013-02-27 2013-11-04 렉스젠(주) 회전형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30776B1 (ko) 2013-03-22 2013-11-26 렉스젠(주) 영상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31191B1 (ko) 2008-11-24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영상 녹화 기기와 동영상 데이터 파일 삭제 방법
KR102069567B1 (ko) * 2019-01-11 2020-01-23 주식회사 에버정보기술 생체 인증을 이용한 통합배선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524A (ja) * 2002-09-06 2004-04-02 Ttt Kk データベース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方法
KR20040052569A (ko) * 2004-04-03 2004-06-23 주식회사 피앤피시큐어 데이터베이스 감시 및 보안 방법 및 장치
KR101531191B1 (ko) 2008-11-24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영상 녹화 기기와 동영상 데이터 파일 삭제 방법
KR101322787B1 (ko) 2013-02-27 2013-11-04 렉스젠(주) 회전형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30776B1 (ko) 2013-03-22 2013-11-26 렉스젠(주) 영상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69567B1 (ko) * 2019-01-11 2020-01-23 주식회사 에버정보기술 생체 인증을 이용한 통합배선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86953A (zh) * 2023-09-06 2023-10-13 湖南马栏山视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云存储视频数据的保护系统
CN116886953B (zh) * 2023-09-06 2023-11-24 湖南马栏山视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云存储视频数据的保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7460B2 (en) Device function restricting method and system in specific perimeters
JP6266184B1 (ja) 監視システム
KR102237086B1 (ko) 안면인식 기능에 기초하여 5g 이동통신망의 이용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통해 영상감시가 가능한 로비폰 제어 장치 및 방법
US8781296B2 (en) Auditing system for misuse of an image information
JP2011048547A (ja) 異常行動検知装置、監視システム及び異常行動検知方法
JP2006323704A (ja) 通報システム
RU2581559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политик безопасности к накопителю в сети
KR102408676B1 (ko) 분산 자가 복제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보안 영상감시방법
KR20070001477A (ko)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보안출입관리 시스템
US1087354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mobile consent verification
CN110766850B (zh) 访客信息管理方法、门禁系统、服务器及存储介质
CA3058105A1 (en) Event monitoring
KR101897987B1 (ko) 전자파일의 전자지문 관리방법, 관리장치 및 관리시스템
JP2009087033A (ja) 人物追跡システム
KR102555680B1 (ko) 초상권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731012B1 (ko) 개인영상정보 반출 관리시스템
KR20120041571A (ko) 유에스비형 무선식별리더기를 이용한 데이터 모니터링시스템
JP2005094642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2372350B1 (ko) 상시 저장방식의 ip 방송단말기
KR10086318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66008B1 (ko) 인텔리전트 도어록 시스템
JP2009059117A (ja) 情報管理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706214B2 (en) Continuous multifactor authentication system integration with corporate security systems
JP2006185255A (ja) 映像管理システム
JP4900040B2 (ja) 撮影条件選択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