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335B1 - Carrier for baby - Google Patents

Carrier for ba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335B1
KR102408335B1 KR1020200112904A KR20200112904A KR102408335B1 KR 102408335 B1 KR102408335 B1 KR 102408335B1 KR 1020200112904 A KR1020200112904 A KR 1020200112904A KR 20200112904 A KR20200112904 A KR 20200112904A KR 102408335 B1 KR102408335 B1 KR 102408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ring
baby
width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1225A (en
Inventor
김민지
Original Assignee
김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지 filed Critical 김민지
Priority to KR1020200112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335B1/en
Publication of KR20220031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2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3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기의 등과 엉덩이 부위를 지지하며, 아기를 감싸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탈착 결합되며, 사용자의 허리에 지지되는 허리 벨트부; 및 아기의 엉덩이 부위를 받치는 상기 본체부의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폭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폭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스트링과, 상기 스트링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토퍼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를 기준으로 상기 스트링을 당겨 외측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본체부의 폭은 좁혀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를 기준으로 상기 스트링을 풀어 내측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본체부의 폭은 넓혀지도록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아기 다리 사이의 폭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유아용 아기띠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back and buttocks of the baby, the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baby; a pair of shoulder belt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supported on the user's shoulder; a waist belt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and supported by the user's waist; and a width adjusting unit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width of the body part supporting the baby's buttocks, wherein the width adjusting unit selectively controls movement of the string and a pair of strings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It has a stopper to control, and when the string is moved outwardly by pulling the string based on the stopper, the width of the main body is narrowed, and when the string is released and moved inward based on the stopper, the width of the main body provides a baby carrier configured to widen, optionally to adjust the width between the baby's legs.

Description

유아용 아기띠{CARRIER FOR BABY}Baby carrier {CARRIER FOR BABY}

본 발명은 유아용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기의 발육 상태에 맞춰 엉덩이가 닿는 부분의 본체부의 폭을 스트링을 통해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유아용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by carrier configured to freely adjust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of the part where the buttocks touch through a string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te of the baby.

유아용 아기띠는 유아의 보호자가 유아를 동반하여 외출시 유아를 등에 업거나 가슴에 안고 이동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A baby carrier is used when a parent or guardian of an infant goes out with an infant on their back or carrying the infant on their chest.

국제고관절협회(IHDI, Iternational Hip Dysplasia Institute)에서는 유아용 아기띠를 사용할 때 유아의 하체가 'M'형 자세를 이루도록 유아용 아기띠를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The International Hip Dysplasia Institute (IHDI) recommends using a baby carrier so that the infant's lower body forms an 'M' shape when using a baby carrier.

도 1은 국제고관절협회에서 발표한 나쁜 자세의 유아용 아기띠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국제고관절협회에서 발표한 올바른 자세의 유아용 아기띠 사용상태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of a baby carrier in a bad posture announced by the International Hip Joint Associa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of a baby carrier in a correct posture by the International Hip Joint Associa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아용 아기띠는 별도로 엉덩이 지지부 없이 상체지지부로만 되어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conventional baby carrier has only an upper body support part without a separate buttock support part.

이러한 상체지지부는 바로 허리벨트와 체결되어 다리폭을 조절할 수 없으며, 다리폭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해도 유아를 등에 업거나 가슴으로 안을 때 유아의 다리가 '11' 자세로 매달리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자세는 유아의 고관절에 상당한 무리를 주거나, 심지어 골격발달에 이상을 초래하기도 한다.The upper body support part is fastened to the waist belt, so the leg width cannot be adjusted, and even if it has a function to adjust the leg width, the infant's legs hang in the '11' position when carrying the infant on the back or holding the chest. Such a posture puts a considerable strain on the infant's hip joint, or even causes abnormalities in skeletal development.

국제고관절협회에서는 유아용 아기띠를 사용할 때 도 1과 같이 무릎을 쫙 편 채 다리와 엉덩이가 일직선이 되고 다리를 모은 자세는 유아의 골격발달에 매우 좋지 않은 자세로서 이런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면 엉덩이뼈가 받은 위험이 커진다고 발표하였다.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Hip Association, when using the baby carrier, the legs and hips are in a straight line with the knees spread out as shown in Fig. reported to increase the risk.

이에, 유아용 아기띠를 사용하는 바른 자세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벅지가 바깥쪽으로 향하고 엉덩이를 굽힐 수 있는 자세가 되는 것이 올바른 자세이다.Accordingly, the correct posture using the baby carrier is a posture in which the thighs face outward and the hips can be bent, as shown in FIG. 2 .

이와 같은 자세에서는 엉덩이에 힘을 가하지 않고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엉덩이뼈가 자연스럽게 발달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골격 발달에 좋은 자세라고 권장하고 있다.In such a posture, you can move freely without applying force to your hips, allowing your hip bones to develop naturall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be a good posture for skeletal development of infants.

이와 같이, 상기에서 언급된 유아용 아기띠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선행문헌 1에서는 엉덩이 받침부의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baby carrier mentioned above, Prior Document 1 describes a configuration capable of selectively adjusting the width of the buttock support part.

선행문헌 1의 내용 설명을 위해 도 3은 본체와 허리벨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래의 유아용 아기띠의 사시도이고, 도 4는 폭 조절부를 통해 엉덩이 받침부의 폭을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종래의 유아용 아기띠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aby carri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waist belt are coupled, and FIG. 4 is a conventional baby carrier show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width of the buttock support part through the width adjusting part. A perspective view of the baby carrier.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유아용 아기띠(10)는 엉덩이 받침부(1)의 폭을 조정함에 있어, 폭 조절부(2)를 접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폭으로 엉덩이 받침부(1)의 폭을 조절해야되기에, 엉덩이 받침부(1)의 폭을 조절하는 과정이 복잡하다. 그리고 이러한 유아용 아기띠(10)는 아기의 체형에 맞는 정확한 폭으로 엉덩이 받침부(1)의 폭을 조절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3 and 4, in the conventional baby carrier 10, in adjusting the width of the buttock support part 1, the buttock support has the width required by the user in the folded state of the width adjustment part 2 Since the width of the part (1) needs to be adjusted,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width of the buttock support part (1) is complicated. In addition, the baby carrier 10 has difficulty in adjusting the width of the buttock support unit 1 to an accurate width suitable for the body type of the baby.

이외에 종래에는 아기의 발육 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엉덩이 받침부(1)의 폭이 조정될 수 있도록 여러개의 단추를 통해 엉덩이 받침부(1)의 폭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방식도 있으나, 이 역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폭으로 엉덩이 받침부(1)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in which the width of the buttock support unit 1 is adjusted in stages through a plurality of buttons so that the width of the buttock support unit 1 can be adjusted in stag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te of the baby, but this is also required by the us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width of the buttock support part (1).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된 종래의 유아용 아기띠(10)는 사용자가 아기를 안고 있는 상태에서 엉덩이 받침부(1)의 폭을 사용자 스스로가 조절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And, in the conventional baby carrier 10 mentioned abov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djust the width of the buttock support part 1 by himself/herself while the user is holding the baby.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엉덩이 받침부(1)와 허리벨트(3)에 각각 구비된 체결지퍼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퍼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체결지퍼는 내측면에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fastening zipper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buttock support part 1 and the waist belt 3 are zipp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fastening zipper is made to be coupled from the inner surface.

따라서, 사용자가 아기를 안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엉덩이 받침부(1)와 허리벨트(3)를 스스로 분리시킬 수 없다. 이에, 예를 들어 유아용 아기띠(10)에서 잠든 아기를 내려놓을 때, 사용자는 등쪽에 배치되는 어깨끈(4)을 연결한 버클 형태의 제1 안전 결합부(6, 도 5참조)를 해제하거나, 본체에 구비된 연결끈(5)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이루어진 버클 형태의 제2 안전 결합부(7, 도 5참조)를 해제한 상태에서 아기를 침대나 이불 등에 눕힐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not separate the buttock support part 1 and the waist belt 3 by themselves while the user is holding the baby. Accordingly, for example, when putting down a sleeping baby in the baby carrier 10, the user releases the first safety coupling part 6 (see FIG. 5) in the form of a buckle connecting the shoulder strap 4 disposed on the back. Alternatively, the baby can be laid on a bed or futon in a state in which the buckle-shaped second safety coupling part 7 (refer to FIG. 5 )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string 5 provided in the body is released.

그러나 이러한 버클 형태의 안전 결합부(6, 7)는 안전 결합부(6, 7)를 해제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어, 아기를 눕히는 과정에서 아기가 깰 수 있다.However, these buckle-type safety coupling parts 6 and 7 generate noise in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safety coupling parts 6 and 7, so that the baby may be woken up in the process of laying the baby down.

도 5는 종래의 또 다른 유아용 아기띠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5 is an image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baby carrier.

도 5의 (a)는 유아용 아기띠(10)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여주는 이미지고, 도 5의 (b)는 유아용 아기띠(10)를 후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여주는 이미지로, 도 5의 (a)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유아용 아기띠(10)는 어깨끈(4)을 연결한 제1 안전 결합부(6)와, 어깨끈(4)의 하부에 구비된 제2 안전 결합부(7)를 사용자가 스스로 체결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즉, 안전 결합부(6, 7)가 구비된 위치적인 문제로 인해 사용자가 안전 결합부(6, 7)를 스스로 체결하거나 해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Fig. 5 (a) is an image showing a state of the infant carrier 10 as viewed from the side, and Fig. 5 (b) is an image showing a state of the infant carrier 10 as viewed from the rear, in Fig. 5 ( As shown in a), the conventional baby carrier 10 has a first safety coupling part 6 connecting the shoulder strap 4 and a second safety coupling par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houlder strap 4 ( 7), there is a difficulty in the user's self-conclusion. That is,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fasten or release the safety coupling parts 6 and 7 by themselves due to a positional problem in which the safety coupling parts 6 and 7 are provided.

이와 같이 엉덩이 받침부의 폭을 사용자가 스스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아기를 안고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 스스로 엉덩이 받침부와 허리벨트를 분리시킬 수도 있으며, 안전 결합부의 체결 및 해제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유아용 아기띠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In this way, the user can freely adjust the width of the buttock support part, the user can separate the hip support part and the waist belt by themselves even when the user is holding a baby, and the safety coupling part is easily fastened and released. A varie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s needed.

선행문헌 1 :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5256호(2017.12.06)Prior Document 1: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5256 (2017.12.0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아기의 발육 상태에 맞춰 엉덩이가 닿는 부분의 본체부의 폭을 스트링을 통해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유아용 아기띠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baby carrier configured to freely adjust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of the part where the buttocks touch through a string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te of the baby.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기의 등과 엉덩이 부위를 지지하며, 아기를 감싸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탈착 결합되며, 사용자의 허리에 지지되는 허리 벨트부; 및 아기의 엉덩이 부위를 받치는 상기 본체부의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폭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폭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스트링과, 상기 스트링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토퍼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를 기준으로 상기 스트링을 당겨 외측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본체부의 폭은 좁혀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를 기준으로 상기 스트링을 풀어 내측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본체부의 폭은 넓혀지도록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아기 다리 사이의 폭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유아용 아기띠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back and buttocks of the baby, the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baby; a pair of shoulder belt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supported on the user's shoulder; a waist belt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and supported by the user's waist; and a width adjusting unit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width of the body part supporting the baby's buttocks, wherein the width adjusting unit selectively controls movement of the string and a pair of strings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It has a stopper to control, and when the string is moved outwardly by pulling the string based on the stopper, the width of the main body is narrowed, and when the string is released and moved inward based on the stopper, the width of the main body provides a baby carrier configured to widen, optionally to adjust the width between the baby's leg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는 본체 지퍼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허리 벨트부의 외측면에는 벨트 지퍼 체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 지퍼 체결부와 벨트 지퍼 체결부는 지퍼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 지퍼 체결부와 벨트 지퍼 체결부의 결합위치는 상기 본체부와 허리 벨트부의 외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ist belt part, and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and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are zipped together. However,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and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waist belt p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깨 벨트부는, 미리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을 이루며, 사용자의 어깨를 감싸며 지지되는 어깨 고정부; 및 한 쌍의 이격된 상기 어깨 고정부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등에 지지되는 연결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고정부는 상기 어깨 고정부와 대응되는 폭을 이루며, 상기 어깨 벨트부로 전달되는 하중의 일부를 사용자의 등쪽으로 전달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ulder belt portion, forming a pair in a pre-spaced state, the shoulder fixing portion wrapped around the user's shoulder is supported; and a connection fixing part connecting the pair of spaced apart shoulder fixing parts and supported on the user's back, wherein the connection fixing part form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fixing part, and a portion of the load transmitted to the shoulder belt part may be made to deliver to the user's bac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는 날개 결합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날개 결합부는 상기 어깨 고정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날개 결합부와 어깨 고정부의 결합은 사용자의 옆구리 또는 옆구리의 앞쪽 부분에서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ng coupling par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the wing coupling part is coupl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a coupling part provided at an end of the shoulder fixing part, and the wing coupling part and the shoulder high The coupling of the government may be made to be coupled at the user's side or the front part of the si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된 상기 스트링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수용하는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에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commodation space portion for protecting and accommodating the string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from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cale may be displayed on the str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관통홀이 형성된 스토퍼 바디부; 및 개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바디부로부터 슬라이딩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과 개방홀에 관통 삽입된 상기 스트링은 이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may include a stopper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a pressing part having an opening hole and sliding from the stopper body, wherein the string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opening hole while the pressing part is pressed may be mov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와 함께 상기 스트링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트링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rranged adjacent to the stopper, it may further include a string fixing unit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tring together with the stopper.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아기띠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폭 조절부를 통해 아기의 체형에 맞도록 본체부의 폭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ccurately adjust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to fit the body of the baby through the width adjustment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날개 결합부와 어깨 고정부의 결합위치는 사용자의 옆구리 또는 사용자 옆구리의 앞쪽 부분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용 아기띠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날개 결합부와 어깨 고정부를 스스로 간편하게 체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wing coupling part and the shoulder fixing part is made to be located on the user's side or in the front part of the user's side, the user can make the wing coupling part and the shoulder fixing part by themselves even while wearing the baby carrier. It can be easily fastened or disconnected.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용 아기띠는 본체 지퍼 체결부와 벨트 지퍼 체결부가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사용자가 유아용 아기띠에서 잠든 아기를 내려놓을 경우, 본체 지퍼 체결부와 벨트 지퍼 체결부의 지퍼 분리를 통해 소음 발생을 최소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아기를 침대 및 이불 등에 눕힐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by carrier is made in a form in which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and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are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when the user puts down the sleeping baby in the baby carrier, the baby can be comfortably laid on a bed or a blanket with minimal noise generation through the zipper separation of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and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국제고관절협회에서 발표한 나쁜 자세의 유아용 아기띠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국제고관절협회에서 발표한 올바른 자세의 유아용 아기띠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체와 허리벨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래의 유아용 아기띠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폭 조절부를 통해 엉덩이 받침부의 폭을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종래의 유아용 아기띠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또 다른 유아용 아기띠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와 허리 벨트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폭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부에서 바라본 유아용 아기띠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에서 바라본 유아용 아기띠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이동 제한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a baby carrier in a bad posture announced by the International Hip Joint Association.
Figure 2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baby carrier in the correct posture announced by the International Hip Joint Associa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aby carrier for infant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waist belt are coupled.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aby carrier showing a process of adjusting the width of the buttock support portion through the width adjustment unit.
5 is an image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baby carrier.
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part and the waist belt part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dth of the main body is adjus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baby carrier as viewed from the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baby carrier as viewed from the r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tring movement limi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parts mean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target member, and do not necessarily mean positioned at the upper or lower part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gravit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와 허리 벨트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폭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부에서 바라본 유아용 아기띠의 착용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에서 바라본 유아용 아기띠의 착용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이동 제한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part and the waist belt part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dth of the body part is adjus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wearing state diagram of the baby carrier seen from the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wearing state diagram of the baby carrier viewed from the r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tring movement limi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아용 아기띠(1000)는 본체부(100), 어깨 벨트부(200), 허리 벨트부(300) 및 폭 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6 to 11 , the baby carrier 1000 may include a body part 100 , a shoulder belt part 200 , a waist belt part 300 , and a width adjustment part 400 .

여기서 본체부(100)는 유아용 아기띠(1000)의 외형을 이룬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사용자가 등 또는 가슴쪽으로 아기를 안을 경우, 아기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main body 10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baby carrier 1000 . When the user holds the baby toward the back or chest, the main body 100 is configured to completely surround the baby.

이와 같은 본체부(100)의 소재는 특정소재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0)의 형태 또한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10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aterial,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body part 100 is also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and may be made in various shapes, of course.

이와 같은 본체부(100)는 사용자가 유아용 아기띠(1000)를 통해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아기의 등 및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main body 10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back and buttocks of the baby while the user holds the baby through the baby carrier 1000 .

이러한 본체부(100)의 양측에는 날개 결합부(110)가 구비된다.The wing coupling portions 11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00 .

이와 같은 날개 결합부(110)는 어깨 고정부(210)의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부(211)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날개 결합부(110)와 어깨 고정부(210)에 구비된 체결부(211)의 결합은 사용자의 옆구리 또는 사용자 옆구리의 앞쪽 부분에서 체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날개 결합부(110)와 어깨 고정부(210)의 결합위치로 인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아용 아기띠(10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날개 결합부(110)와 어깨 고정부(210)의 결합을 풀 경우, 사용자는 간편하게 날개 결합부(110)와 어깨 고정부(210)의 결합을 풀 수 있다.Such a wing coupling unit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211 provided at the end of the shoulder fixing unit 210 . At this time, the coupling of the wing coupling part 110 and the fastening part 211 provided in the shoulder fixing part 210 is made to be fastened at the user's side or the front part of the user's side. Due to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wing coupling unit 110 and the shoulder fixing unit 210, for example, the wing coupling unit 110 and the shoulder fixing unit 210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the baby carrier 1000. When the coupling is released, the user can easily release the coupling of the wing coupling unit 110 and the shoulder fixing unit 210 .

다시 말해서, 날개 결합부(110)와 어깨 고정부(210)의 결합위치는 사용자의 옆구리 또는 사용자 옆구리의 앞쪽 부분에 위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용 아기띠(100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날개 결합부(110)와 어깨 고정부(210)를 간편하게 체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혼자서도 유아용 아기띠(1000)를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wing coupling part 110 and the shoulder fixing part 210 is located on the user's side or the front part of the user's side, the user is wearing the baby carrier 1000, the wing coupling part ( 110) and the shoulder fixing part 210 can be easily fastened or separated.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wear the baby carrier 1000 even alone.

한편, 어깨 벨트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연결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houlder belt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art 100 is formed.

이러한 어깨 벨트부(200)는 어깨 고정부(210)와 연결 고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oulder belt unit 200 may include a shoulder fixing unit 210 and a connection fixing unit 220 .

여기서 어깨 고정부(210)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을 이룬다.Here, the shoulder fixing unit 210 forms a pair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와 같은 어깨 고정부(210)는 사용자의 양쪽 어깨를 각각 감싸며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아기를 안고 있는 상태에서 본체부(100)로 전달되는 아기의 하중은 어깨 벨트부(200)를 통해 사용자의 어깨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shoulder fixing unit 210 is configured to support and wrap both shoulders of the user,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load of the baby transferred to the body part 100 while holding the baby may be transferred toward the user's shoulder through the shoulder belt part 200 .

그리고 연결 고정부(220)는 한 쌍의 이격된 어깨 고정부(210)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connection fixing unit 220 is made to connect a pair of spaced shoulder fixing unit (210).

이러한 연결 고정부(220)는 어깨 고정부(210)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연결 고정부(220)는 사용자의 등쪽 부분에 맞닿도록 이루어져, 어깨 고정부(210)로 전달되는 하중의 일부를 사용자의 등쪽으로 힘을 분산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connection fixing unit 220 is made to connect the shoulder fixing unit 210 . The connection fixing unit 220 is made to abut against the user's back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load transmitted to the shoulder fixing unit 210 is made to distribute the force toward the user's back.

이와 같이, 어깨 벨트부(2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맞닿은 상태에서 어깨 고정부(210)와 연결 고정부(220)를 통해 사용자 상체로 힘을 분산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즉, 어깨 벨트부(200)로 가해지는 힘은 어깨 고정부(210)와 연결 고정부(220)를 통해 넓은 면적으로 힘이 분산될 수 있다.As such, the shoulder belt unit 200 is configured to distribute the force to the user's upper body through the shoulder fixing unit 210 and the connecting fixing unit 220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hat is, the force applied to the shoulder belt unit 200 may be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through the shoulder fixing unit 210 and the connection fixing unit 220 .

이에, 사용자가 유아용 아기띠(1000)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상체로 전달되는 하중이 특정 부위로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힘의 분산이 이루어짐이 따라,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user wears the baby carrier 1000 for a long time, the load transferred to the upper body is not concentrated on a specific part and the force is evenly distributed, thereby minimizing fatigue.

이러한 연결 고정부(220)는 어깨 고정부(210)와 대응되는 폭을 이루며, 어깨 벨트부(200)로 전달되는 하중이 사용자의 신체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fixing unit 220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houlder fixing unit 210 so that the load transmitted to the shoulder belt unit 200 is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user's body.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어깨 벨트부(200)는 종래의 유아용 아기띠에 구비되는 어깨끈을 사용자의 어깨에 건 후,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어깨끈을 버클 타입의 안전 결합부로 연결하여 어깨 벨트부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방식과 달리,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미리 결합한 상태에서 어깨 벨트부(200)를 직접 뒤집어 쓰는 형태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기에, 유아용 아기띠(1000)의 착용도 간편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houlder belt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the shoulder strap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baby carrier to the user's shoulder, and connects the shoulder strap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with a buckle-type safety coupling part to the shoulder belt part of the user. Unlike the method of wearing on the body, since it can be worn on the user's body in the form of directly overturning the shoulder belt part 200 in a state in which it is pre-coupled to the user's body, it is also easy to wear the baby carrier 1000 .

여기서 이격된 어깨 고정부(210)를 연결하는 연결 고정부(220)는 예를 들어 벨크로 타입으로 서로 결합되기에, 사용자는 연결 고정부(220)를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어깨 벨트부(200)를 머리에 직접 뒤집어 쓰는 형태로 착용할 수 있다.Here, since the connection fixing parts 220 connecting the spaced shoulder fixing parts 21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or example, a Velcro type, the user does not separate the connection fixing parts 220 separately, and the shoulder belt part 200 It can be worn in the form of being turned over directly on the head.

한편, 허리 벨트부(300)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ist belt part 300 is provided under the body part 100 .

이러한 허리 벨트부(300)는 본체부(100)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허리 벨트부(300)와 본체부(100)는 예를 들어 지퍼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ist belt part 300 is made to be detachable from the body part 100 . Such a waist belt part 300 and the body part 100 may be coupled in the form of a zipper, for example.

여기서 본체부(100)의 외측면에는 본체 지퍼 체결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 지퍼 체결부(120)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지퍼가 체결된 형태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체결되는 지퍼의 개수는 반드시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12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0 . Thes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s 120 may form a form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present invention, a form in which two zippers are fastened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number of fasteners to be fastene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wo,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그리고 허리 벨트부(300)의 외측면에는 벨트 지퍼 체결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 지퍼 체결부(310)는 본체 지퍼 체결부(120)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본체 지퍼 체결부(120)와 벨트 지퍼 체결부(310)는 지퍼 결합을 통해 본체부(100)와 허리 벨트부(300)는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belt zipper fastening part 31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ist belt part 300 .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310 h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120, and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120 and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310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waist belt through a zipper connection. The unit 300 may be combined.

여기서 본체 지퍼 체결부(120)와 벨트 지퍼 체결부(310)가 결합됨에 있어, 본체 지퍼 체결부(120)와 벨트 지퍼 체결부(310)의 결합위치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체 지퍼 체결부(120)와 벨트 지퍼 체결부(310)가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이룰 경우, 사용자는 아기를 안고 있는 상태에서도 지퍼의 분리를 통해 본체부(100)와 허리 벨트부(300)를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Here, when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120 and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310 are coupled,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120 and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310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way, when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120 and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310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user can separate the zipper from the body part 100 and the waist belt part even while holding a baby. (300) can be easily separated.

이렇게 유아용 아기띠(1000)는 본체 지퍼 체결부(120)와 벨트 지퍼 체결부(310)가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이루기에, 유아용 아기띠(1000)에서 잠든 아기를 내려놓을 경우, 본체 지퍼 체결부(120)와 벨트 지퍼 체결부(310)의 지퍼 분리를 통해 소음 발생을 최소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아기를 침대 및 이불 등에 눕힐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baby carrier 1000,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120 and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310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zipper separation of the part 120 and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310, it is possible to comfortably lay the baby on a bed or a blanket with minimal noise gene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아기띠(1000)는 종래의 잠든 아기를 침대 및 이불 등에 눕히기 위해 버클 형태의 안전 결합부를 해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해 아기가 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유아용 아기띠(1000)는 아기를 안고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한 손으로 본체 지퍼 체결부(120)와 벨트 지퍼 체결부(310)의 지퍼 분리가 가능하기에, 허리 벨트부(300)와 본체부(100)를 조용히 분리시킨 상태에서 잠든 아기를 눕힐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by carrie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baby from waking up due to the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buckle-type safety coupling part to lay the conventional sleeping baby on a bed or a blanket. That is, since the baby carrier 1000 is capable of separating the zippers of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120 and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310 with one hand while holding and wearing a baby, the waist belt part 300 an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0 is quietly separated, a sleeping baby can be laid down.

이러한 허리 벨트부(300)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며, 사용자의 허리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허리 벨트부(300)는 예를 들어 일단부에 벨벳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후크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싼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허리 벨트부(300)는 벨크로 타입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waist belt unit 300 surrounds the user's waist, and is made to be supported by the user's waist. Such a waist belt part 300 is provided with, for example, a velvet at one end and a hook at the other end, so that it can be fixed in a state wrapped around the user's waist. This waist belt part 300 may be coupled to the Velcro type.

이와 같은 허리 벨트부(300)는 어깨 벨트부(200)와 같이, 아기를 안고 있는 상태에서 본체부(100)로 전달되는 아기의 하중이 허리 벨트부(300)를 통해 사용자의 허리쪽으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진다.Such a waist belt unit 300 is such that, like the shoulder belt unit 200 , the load of the baby transferred to the body unit 100 while holding the baby is transmitted toward the user's waist through the waist belt unit 300 . is done

이와 같이, 유아용 아기띠(1000)는 아기를 안고 있는 상태에서 아기의 하중이 어깨 벨트부(200)와 허리 벨트부(300)로 힘의 분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baby carrier 1000 , the weight of the baby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to the shoulder belt part 200 and the waist belt part 300 while holding the baby.

한편, 폭 조절부(400)는 본체부(100)의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width adjusting unit 4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adjust the width of the main body 100 .

이러한 폭 조절부(400)는 스트링(410)과 스토퍼(4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dth adjusting unit 400 may include a string 410 and a stopper 420 .

여기서 스트링(410)은 본체부(100)에 형성된 수용 공간부(미도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링(410)은 수용 공간부에 배치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외부 물체와의 걸림 등이 방지될 수 있다.Here, the string 410 may be disposed in an accommodating space (not shown) formed in the main body 100 . The string 410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Accordingly, jamming with an external object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이러한 스트링(410)은 한 쌍을 이룬다. 즉, 하나의 스트링(410)의 단부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고정되고, 또 다른 하나의 스트링(410)의 단부는 본체부(100)의 타측에 각각 결합 고정된다.These strings 410 form a pair. That is, an end of one string 41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 and an end of another string 410 is coupled and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0 , respectively.

이러한 폭 조절부(400)는 스트링(410)의 선택적인 이동을 통해 아기의 엉덩이 부위를 받치는 본체부(100)의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스트링(410)의 이동을 통해 본체부(100)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부(400)는 본체부(100)의 폭을 조정함에 있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미세한 폭까지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폭 조절부(400)는 예를 들어 복주머니와 같이 스트링(410)을 선택적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본체부(100)의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width adjusting unit 4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adjust the width of the body unit 100 supporting the baby's buttocks through the selective movement of the string 410 . The width adjusting unit 400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tring 410 can accurately adjust the width required by the user in adjusting the width of the main body 100 . . In other words, the width adjusting unit 400 may selectively adjust the width of the main body 100 by selectively pulling the string 410 like a lucky bag.

그리고 스토퍼(420)는 스트링(41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stopper 420 is made to selective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string (410).

이러한 스토퍼(420)를 이용하여 스트링(41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본체부(100)의 폭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tring 410 using the stopper 420 , the width of the main body 100 may be selectively adjusted.

여기서 스트링(410)에는 눈금(미도시)이 표시될 수도 있다. Here, a scale (not shown) may be displayed on the string 410 .

이와 같이, 스트링(410)에 눈금이 표시될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아용 아기띠(1000)를 세탁하는 경우라든지 하나의 유아용 아기띠(1000)를 두 명의 아기가 번갈아가며 함께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트링(410)에 표시된 눈금을 통해 유아용 아기띠(1000)에 안기는 아기의 체형에 맞게 본체부(100)의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트링(410)에 표시된 눈금을 통해 본체부(100)의 폭을 사용자가 요구하는 폭 상태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a scale is displayed on the string 410, for example, when a user washes the baby carrier 1000 or when two babies use one baby carrier 1000 in turn, The user can use it in a state in which the width of the main body 100 is sele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a baby being held in the baby carrier 1000 through the scale displayed on the string 410 . That is,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width of the main body 100 to the user's requested width through the scale displayed on the string 410 .

이러한 스트링(410)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토퍼(420)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잡아당길 경우, 본체부(100)의 폭은 좁혀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달리 당겨진 상태의 스트링(410)을 풀어 스토퍼(420)를 기준으로 스트링(410)이 내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본체부(100)의 폭은 넓혀지게 된다.The string 410 is, for example, when the user pulls outward based on the stopper 420, the width of the main body 100 is narrowed. In contrast, when the string 410 in the pulled state is released to move the string 410 inward based on the stopper 420 , the width of the main body 100 is widened.

이와 같이, 스트링(410)의 길이 조정을 통해 본체부(100)의 폭은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기의 발육 상태에 맞춰 아기에게 맞는 다리 사이의 폭으로 본체부(1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width of the main body 100 may be selectively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ing 410 . Accordingly, the user may adjust the width of the main body 100 to the width between the legs suitable for the bab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te of the baby.

이러한 본체부(100)의 폭을 조절하는 스트링(410)은 스토퍼(42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420)는 스토퍼 바디부(421)와 누름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ement of the string 410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main body 100 may be restricted by the stopper 420 . Such a stopper 420 may include a stopper body portion 421 and a pressing portion 422 .

여기서 스토퍼 바디부(421)는 스토퍼(420)의 외형을 이룬다. 이와 같은 스토퍼 바디부(421)에는 스트링(410)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423)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topper body 421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stopper 420 . A through hole 423 through which the string 41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stopper body portion 421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누름부(422)는 스토퍼 바디부(42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누름부(422)에는 개방홀(424)이 형성되고, 스트링(410)은 관통홀(423)과 개방홀(424)에 관통 삽입된다.And the pressing part 422 is made to be able to slide from the stopper body part 421 . An open hole 424 is formed in the pressing portion 422 , and the string 41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423 and the open hole 424 .

이와 같은 누름부(422)의 내부에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으로 누름부(422)를 누를 경우, 누름부(422)는 스토퍼 바디부(421)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A spring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pressing unit 422 , so that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unit 422 with a certain force or more, the pressing unit 422 may be moved to the stopper body 421 side. have.

이렇게 누름부(422)를 누르는 과정에서 관통홀(423)과 개방홀(424)의 연통되는 부분은 크게 형성되어, 고정되어 있는 스트링(410)은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일정 이상의 힘으로 누르고 있는 누름부(422)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누름부(422)는 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스트링(41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트링(410)과 스토퍼(420)를 통해 본체부(100)의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pressing part 422 in this way, the communicating portion of the through hole 423 and the open hole 424 is formed large, so that the fixed string 410 can move freely. An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unit 422 press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s removed, the pressing unit 422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 spring, and the movement of the string 410 is restricted.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ively adjust the width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string 410 and the stopper 420 .

이러한 스트링(410)을 고정시키는 스토퍼(420)는 예를 들어 코드락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stopper 420 for fixing the string 41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code lock.

한편, 유아용 아기띠(1000)는 스트링(410)의 고정 작업시, 스트링(41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스트링 고정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baby carrier 1000 may further include a string fixing unit 430 capable of more firmly fixing the string 410 during the fixing operation of the string 410 .

이러한 스트링 고정부(430)는 스토퍼(420)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스토퍼(420)와 함께 스트링(41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상태로 고정시킨 스트링(410)의 이동 발생은 방지된다.The string fixing part 430 is arranged adjacent to the stopper 420 and is mad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tring 410 together with the stopper 420 . Accordingly, the occurrence of movement of the string 410 fixed in a state previously designated by the user is prevented.

이러한 유아용 아기띠(1000)는 스트링(410)을 이중 형태로 고정시킴에 따라, 스트링(410)의 이동 제한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스토퍼(420)와 스트링 고정부(430)가 함께 구비된 유아용 아기띠(1000)는 안전성이 높아질 수 있다.As the baby carrier 1000 fixes the string 410 in a double shape, movement restriction of the string 410 can be made more effectively. In this way, the safety of the baby carrier 1000 provided with the stopper 420 and the string fixing part 430 can be increased.

이와 같이 스토퍼(420)와 함께 스트링(410)을 고정시키는 스트링 고정부(430)는 예를 들어 픽스락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string fixing part 430 for fixing the string 410 together with the stopper 42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fix lock.

여기서 스트링(410)을 고정시키는 스토퍼(420) 및 스트링 고정부(430)는 반드시 상기 언급된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트링(410)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stopper 420 and the string fixing part 430 for fixing the string 410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hapes, and any configuration can be used as long as the movement of the string 410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Of course.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부
110: 날개 결합부
120: 본체 지퍼 체결부
200: 어깨 벨트부
210: 어깨 고정부
211: 체결부
220: 연결 고정부
300: 허리 벨트부
310: 벨트 지퍼 체결부
400: 폭 조절부
410: 스트링
420: 스토퍼
421: 스토퍼 바디부
422: 누름부
423: 관통홀
424: 개방홀
430: 스트링 고정부
1000: 유아용 아기띠
100: body part
110: wing coupling part
120: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200: shoulder belt part
210: shoulder fixing unit
211: fastening part
220: connection fixture
300: waist belt part
310: belt zipper fastening part
400: width control unit
410: string
420: stopper
421: stopper body portion
422: press
423: through hole
424: open hall
430: string fixing part
1000: baby carrier

Claims (7)

아기의 등과 엉덩이 부위를 지지하며, 아기를 감싸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탈착 결합되며, 사용자의 허리에 지지되는 허리 벨트부; 및
아기의 엉덩이 부위를 받치는 상기 본체부의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폭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폭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스트링과, 상기 스트링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와 함께 상기 스트링의 이동을 이중 형태로 제한하는 스트링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를 기준으로 상기 스트링을 당겨 외측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본체부의 폭은 좁혀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를 기준으로 상기 스트링을 풀어 내측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본체부의 폭은 넓혀지도록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아기 다리 사이의 폭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어깨 벨트부는, 미리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을 이루며 사용자의 어깨를 감싸며 지지되는 어깨 고정부; 및 한 쌍의 이격된 상기 어깨 고정부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등에 지지되는 연결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고정부는 상기 어깨 고정부와 대응되는 폭을 이루며 사용자의 등쪽 부분에 맞닿도록 이루어져 상기 어깨 벨트부로 전달되는 하중의 일부를 사용자의 등쪽으로 전달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고정부는 벨크로 타입으로 서로 결합되어 상기 어깨 벨트부를 뒤집어 쓰는 형태로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유아용 아기띠.
Supporting the baby's back and buttocks, the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baby;
a pair of shoulder belt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supported on the user's shoulder;
a waist belt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and supported by the user's waist; and
It includes a width adjustment unit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supporting the baby's buttocks,
The width adjustment unit,
A pair of strings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 stoppe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tring, and a string high disposed adjacent to the stopper and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tring together with the stopper in a double form have a government
When the string is pulled and moved outward with respect to the stopper, the width of the main body is narrowed, and when the string is released and moved inward based on the stopper, the width of the main body is widened, optionally is made to adjust the width between the legs of the baby,
The shoulder belt portion, forming a pair in a pre-spaced state, the shoulder fixing portion wrapped around the user's shoulder is supported; and a connection fixing part that connects the pair of spaced apart shoulder fixing parts and supported on the user's back, wherein the connection fixing part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fixing part and is made to abut against the user's back part so that the shoulder A baby carrier that is made to transmit a portion of the load transmitted to the belt unit to the user's back, and the connection fixing unit is coupled to each other in a Velcro type to be worn on the body in the form of turning over the shoulder bel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는 본체 지퍼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허리 벨트부의 외측면에는 벨트 지퍼 체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 지퍼 체결부와 벨트 지퍼 체결부는 지퍼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 지퍼 체결부와 벨트 지퍼 체결부의 결합위치는 상기 본체부와 허리 벨트부의 외측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아기띠.
According to claim 1,
A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 belt zipper fastening part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ist belt part,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and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are zip-coupled, and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zipper fastening part and the belt zipper fastening part is a baby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part and the waist belt part are coupled from the outs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는 날개 결합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날개 결합부는 상기 어깨 고정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날개 결합부와 어깨 고정부의 결합은 사용자의 옆구리 또는 옆구리의 앞쪽 부분에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아기띠.
According to claim 1,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re provided with wing coupling portions, respectively,
The wing coupling part is coupl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provided at the end of the shoulder fixing part,
The combination of the wing coupling part and the shoulder fixing part is a baby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user's side or the front part of th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된 상기 스트링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수용하는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에는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아기띠.
According to claim 1,
A baby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portion for protecting and accommodating the string fix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from the outside, the string is marked with a sca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관통홀이 형성된 스토퍼 바디부; 및
개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바디부로부터 슬라이딩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과 개방홀에 관통 삽입된 상기 스트링은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아기띠.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is
a stopper body having a through hole; and
An open hole is formed, and it includes a pressing part sliding from the stopper body part,
Infant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ing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opening hole is made to move while the pressing part is pressed.
삭제delete
KR1020200112904A 2020-09-04 2020-09-04 Carrier for baby KR1024083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904A KR102408335B1 (en) 2020-09-04 2020-09-04 Carrier for ba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904A KR102408335B1 (en) 2020-09-04 2020-09-04 Carrier for bab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225A KR20220031225A (en) 2022-03-11
KR102408335B1 true KR102408335B1 (en) 2022-06-13

Family

ID=80814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904A KR102408335B1 (en) 2020-09-04 2020-09-04 Carrier for ba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3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7880B1 (en) * 2022-07-14 2024-10-15 이길봉 Variable width baby carri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967B2 (en) 1995-06-29 2001-06-04 株式会社クボタ Waste incinerator waste quality estimation method
JP2005059925A (en) * 2003-08-19 2005-03-10 Nifco Inc Holder for long-sized objec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967U (en) * 2011-12-19 2012-03-01 玲子 渡邉 Baby carrier
KR20150004498U (en) * 2014-06-09 2015-12-17 임지연 Variable width multi-functional sling blanket
KR101693079B1 (en) * 2014-09-22 2017-01-04 (주)쁘띠엘린 Baby carrier having hip-seat
KR200485256Y1 (en) * 2016-03-24 2017-12-14 차복희 Baby carrier having width adjustable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967B2 (en) 1995-06-29 2001-06-04 株式会社クボタ Waste incinerator waste quality estimation method
JP2005059925A (en) * 2003-08-19 2005-03-10 Nifco Inc Holder for long-sized o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225A (en)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013Y1 (en) Hip seat carrier set
TWI655921B (en) Noise-removable baby carrier belt
KR200477837Y1 (en) Hip seat carrier set
KR101359888B1 (en) Hip seat carrier
JP2001070107A (en) Baby carrier with pad
WO2011071441A1 (en) Child carrying device
KR20150088030A (en) Baby carrier having hip-seat
KR200473475Y1 (en) Baby hip seat carrier
KR20150053581A (en) Baby carrier
CA1332928C (en) Baby carrier
KR102408335B1 (en) Carrier for baby
KR200473628Y1 (en) A baby sling
KR200312695Y1 (en) Baby Carrier
KR102684472B1 (en) Baby carrier
KR200473921Y1 (en) Carrier for baby
KR101716580B1 (en) Baby carrier
KR20210063868A (en) Baby Carrier
TWM517571U (en) Dual bearing-on-shoulder baby sling
KR101502580B1 (en) Hip seat for infant
CN113854779B (en) Infant holding back strap
US20230097626A1 (en) Harness for baby
US20230190008A1 (en) Baby carrier
KR20160046224A (en) Baby carrier
KR20130030578A (en) Safety belt for wheelchair
KR20160054182A (en) Multipurpose nursing cush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