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603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603B1
KR102407603B1 KR1020200047701A KR20200047701A KR102407603B1 KR 102407603 B1 KR102407603 B1 KR 102407603B1 KR 1020200047701 A KR1020200047701 A KR 1020200047701A KR 20200047701 A KR20200047701 A KR 20200047701A KR 102407603 B1 KR102407603 B1 KR 102407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unit
flow path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794A (ko
Inventor
이민호
이강욱
최중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603B1/ko
Priority to US17/920,262 priority patent/US20230175509A1/en
Priority to DE112021002432.9T priority patent/DE112021002432T5/de
Priority to CN202190000424.1U priority patent/CN218598359U/zh
Priority to PCT/KR2021/004626 priority patent/WO2021215733A1/ko
Publication of KR2021012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3Lubricant distribution through a hollow driving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 F04C18/0261Details of the ports, e.g. location, number, geome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5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using a lubrican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F04C2230/604Mounting devices for pumps or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9Lubricant s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8Lubr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급유유로에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내부의 복수의 영역에 오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결정하는 조절부가 압축부 외부에서 모듈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축기{A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부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유유로를 구비하는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냉장고나 에어컨과 같은 냉동사이클(이하, 냉동사이클로 약칭함)에 적용되는 장치로서, 냉매를 압축함으로써 냉동사이클에서 열교환이 발생하는데 필요한 일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회전자리식, 스크롤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스크롤 압축기는 밀폐용기의 수용공간에 고정된 고정 스크롤에 선회 스크롤이 맞물려 선회운동을 함으로써 고정 스크롤의 고정랩과 선회 스크롤의 선회랩 사이에 압축실이 형성되는 압축기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다른 종류의 압축기에 비하여 서로 맞물린 스크롤 형상을 통해 연속적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얻을 수 있고, 냉매의 흡입, 압축, 토출 행정이 부드럽게 이어져 안정적인 토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스크롤 압축기는 공조장치 등에서 냉매압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등록특허공보 제6344452호를 참조하면, 종래 스크롤 압축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부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압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와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압축부는 케이스에 고정되고 고정랩을 구비하는 고정스크롤과,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고정랩에 맞물려 구동하는 선회랩을 포함하는 선회스크롤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스크롤 압축기는 상기 회전축이 편심되어 구비되고, 상기 선회스크롤은 상기 편심된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선회스크롤은 고정스크롤을 따라 공전(선회)하며 냉매를 압축한다.
이러한 종래 스크롤 압축기는 배출부 하부에 압축부가 구비되고, 구동부가 압축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회전축은 일단이 상기 압축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부를 관통하여 구비되었다.
종래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부가 구동부보다 상부에 구비되어 배출부에 가깝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압축부에 오일을 급유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압축부에 연결된 회전축을 구동부 하부에서 별도로 지지하기 위해 하부프레임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기 내부에서 냉매가 발생시키는 가스력과, 이를 지지하는 반력의 작용점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크롤이 진동(tilting)하여 효율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4636호를 참조하면, 근자에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배출부의 하부에 구동부가 존재하고, 상기 구동부 하부에 압축부가 위치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등장하였다. (일명, 하부스크롤 압축기 또는 축관통 스크롤압축기).
상기 축관통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부(300)가 구동부보다 저유공간에 더 가깝게 구비되므로 오일공급이 원활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동부에서 연장된 회전축을 압축부(300) 자체가 지지하므로 회전축을 별도로 지지하는 구조가 생략되어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이 압축부(300)를 완전히 관통하는 경우에는, 압축부(3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압력을 회전축이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므로, 압축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압축기의 압축부 구조를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1(a)를 참조하면, 상기 압축부는 상기 회전축 (230)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선회스크롤(330)과, 상기 선회스크롤에 맞물려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스크롤(320)과, 상기 고정스크롤(320)에 안착되어 상기 선회스크롤(330)을 수용하는 메인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선회스크롤(330)에 수용된 부분은 직경이 한쪽으로 치우치도록 확장된 편심축(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편심축(232)이 선회스크롤(330)을 고정스크롤(320)의 둘레를 따라 가압하여 상기 선회스크롤(330)과 고정스크롤(320)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를 연속적으로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330)과 상기 고정스크롤(320)은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마찰이 발생할 수 있고, 냉매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과열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압축기는 회전축(230)과 메인프레임(310) 및 고정스크롤(320)를 관통하여 오일을 전달하는 급유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유유로(I)는 상기 선회스크롤(330)의 선회랩(333)과 마주하는 영역까지 연장되어 오일을 압축실로 전달할 수 있었다.
상기 급유유로(I)는 상기 회전축(230)에 구비되는 공급유로(234)와, 상기 메인프레임(310)에 구비되는 전달유로(319), 상기 고정스크롤(320)에 구비되는 고정유로(329)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스크롤(320)에서 냉매가 실제 토출되며 상기 회전축(230)에 인접한 영역은 고압영역(S1)에 해당하며, 상기 고정스크롤과 상기 선회스크롤 사이에서 냉매가 실제 압축되기 시작하는 영역은 상기 고압영역(S1)보다 낮은 중간압영역(V1)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급유유로(I)는 상기 고압영역(S1)과 상기 중간압영역(V1)의 압력차로 인해, 별도의 동력 없이 상기 공급유로(234)에서 상기 중간압영역(V1)까지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종래 압축기가 공기조화기 등에 사용되는 경우,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기 때문에 압축기는 압력비 1.1~1.3 등 상대적으로 저압으로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일명 저압력비 구동)
종래 압축기가 저압력비 구동을 하는 경우에는 고압영역(S1)과 중간압영역(V1)의 압력차가 크지 않으므로, 상기 급유유로(I)로 오일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 압축기는 저압력비 운전 시 급유 중단 및 급유량 부족으로 인한 베어링 소손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대비하여, 상기 압축기는 중간압영역(V1)보다 더 외곽인 저압영역(V2)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저압급유유로(II)를 배치할 수도 있었다. 상기 저압급유유로(II)는 상기 급유유로(I)보다 급유 시작각을 앞당김으로써, 압력차를 더 확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저압급유유로(II)는 저압력비 이상으로 상기 압축기가 냉매를 압축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압영역(S1)과 상기 저압영역(V2)의 압력차가 매우 커짐으로써, 오일이 과도하게 공급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종래 압축기에 저압급유유로(II)와 급유유로(I)를 따로 구비하는 방안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저압급유유로(II)가 구비되어 근본적인 한계에 따라, 저압력비 구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저압급유유로(II)를 통해 오일이 과도하게 공급된다는 문제는 해결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저압급유유로(II)를 구비한 압축기는 저압력비 구동 외에는 적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압축기의 구동조건에 따라 정상적인 급유유로를 구비한 압축기와, 저압급유유로를 구비한 압축기를 따로 제작해야 하는 비효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이용하여 급유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에 따라 저압영역에 오일을 공급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에 따라 기계적으로 유로를 개폐하여, 별도로 유로의 개폐를 위한 전자제어를 배제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급유유로를 통하여 복수의 영역에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축비 1.1~1.3 등 저압력비로 압축기가 구동할 경우에는 냉매가 압축되기 시작하거나 압축이 일부만 진행되는 저압영역에 오일을 공급하는 유로가 개방되고, 저압력비 보다 높은 압력비로 압축기 구동할 경우에는 저압영역에 오일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급유유로를 통하여 복수의 영역(예를들어, 저압영역과 고압영역)에 선택적으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저압력비 구동에 적합한 저압급유유로와 압축비 1.1~1.3 이상의 정상구동에 적합한 정상급유유로에 모두 연통되어 상기 유로들에 오일공급을 결정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저압급유유로가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에 반응하여 개폐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저압력비로 구동할 때나, 정상상태로 구동할 때 모두 오일을 공급할 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저압력비로 구동할 때는 오일이 충분히 공급되고, 정상상태로 구동할 때 과도한 오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압력비 운전 영역 대응을 위한 저압력비 급유유로와 일반 운전 범위 대응을 위한 급유유로를 포함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냉매의 토출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를 통해 오일이 공급되는 급유유로 가 선택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는 전기신호로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냉매 또는 압축기 케이스 내부 압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반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압력비 구동에 적합한 저압급유유로와 압축비 1.1~1.3 이상의 정상구동에 적합한 정상급유유로에 모두 연통되어 상기 유로들에 오일공급을 결정할 수 있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압축기가 배출하는 냉매의 압력에 따라 오일의 공급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 압축기는 상기 조절부를 통해 상기 냉매가 저압으로 토출되면, 상기 압축기 내부는 저압상태일 것이므로 저압영역에 오일을 공급하고, 상기 냉매가 고압으로 토출되면 상기 압축부 내부는 고압상태일 것이므로 고압영역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압력비 급유 유로 path와 정상 운전 급유 path을 별도로 구성하고 압력비에 따라 밸브가 작동하여 저압력비 급유 중단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는 별도의 전자 제어 없이, 상기 냉매의 압력에 따라 수동적이면서 즉각적, 기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 압축기의 저압력비 급유 라인은 압력비 1.1이하에서도 원활한 급유를 위해 흡입구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압축기는 토출압 공간인 저유부의 오일이 감압핀을 통한감압 후 흡입구 다이렉트 오일 인젝션 급유 라인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압축기는 저압력비 구동시 급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일반 운전 조건에서도 급유량이 조절되어 효율저하를 차단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이용하여 급유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에 따라 저압영역에 오일을 공급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에 따라 기계적으로 유로를 개폐하여, 별도로 유로의 개폐를 위한 전자제어를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급유유로를 통하여 복수의 영역 (예를들어, 저압영역과 고압영역)에 모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압축비 1.1~1.3 등 저압력비 구동에는 저압영역에 오일을 공급하는 유로가 개방되고, 정상구동에는 저압영역에 오일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급유유로를 통하여 복수의 영역(예를들어, 저압영역과 고압영역)에 선택적으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저압력비 구동에 적합한 저압급유유로와 압축비 1.1~1.3 이상의 정상구동에 적합한 정상급유유로에 모두 연통되어 상기 유로들에 오일공급을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저압급유유로가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에 반응하여 개폐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압축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압축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압축기의 급유유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급유유로 구조의 세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도4의 급유유로 구조의 작동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도4와 도5에 도시된 급유유로의 개폐구조가 실제 적용될 수 있는 구조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도6의 개폐구조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8는 실제적으로 유로를 개폐하는 차폐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9은 실제적으로 유로를 개폐하는 차폐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압축기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압축기의 기본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 스크롤 압축기(10)는 응축기(2), 팽창밸브(3), 증발기(4)가 구비된 냉매사이클의 회로상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스크롤 압축기(10)는 유체가 저장되거나 유동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회전축(23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200),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230)과 결합되어 유체를 압축하도록 구비되는 압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00)는 일측에 냉매가 토출되는 배출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200)와 압축부(300)를 수용하는 수용쉘(110)과, 상기 수용쉘(11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부(121)가 구비되는 배출쉘(120)과, 상기 수용쉘(1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쉘(110)을 밀폐하는 차단쉘(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회전자기장을 생성시키는 고정자(210)와,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자(22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회전자(22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자(22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210)는 그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슬롯이 형성되어 코일이 권선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용쉘(110)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자(220)는 영구자석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자(21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는 상기 회전자(220)의 중심에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300)는 상기 수용쉘(110)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부(200)에서 상기 배출부(121)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구비되는 고정스크롤(320)과, 상기 회전축(230)과 결합되어 고정스크롤(320)에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스크롤(330)과, 상기 선회스크롤(330)을 수용하며 상기 고정스크롤(320)에 안착되어 상기 압축부(330)의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스크롤 압축기(10)는 상기 배출부(120)와 상기 압축부(300) 사이에 상기 구동부(200)가 배치된다. 다시말해, 상기 배출부(120)의 일측에 상기 구동부(200)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200)에서 상기 배출부(12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압축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배출부(121)가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압축부(300)는 상기 구동부(2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배출부(120)와 상기 압축부(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케이스(100)에 오일이 저유되는 경우, 상기 오일이 상기 구동부(2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상기 압축부(30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300)에 상기 회전축(230)이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별도로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스크롤 압축기(10)는 상기 회전축(230)이 상기 선회스크롤(330)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스크롤(320)을 관통하여 상기 선회스크롤(330)과 상기 고정스크롤(320)에 모두 면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압축부(300) 내부에 냉매 등의 유체가 유입될 때 발생하는 유입력 및 상기 압축부(300) 내부에서 냉매가 압축할 때 발생하는 가스력 및 이를 지지하는 반력이 상기 회전축(230)에 그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30)에 상기 유입력, 가스력, 반력이 하나의 작용점에 작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230)에 결합된 상기 선회스크롤(320)에 전복모멘트가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선회스크롤이 진동(tilting)하거나, 전복되는 것이 원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선회스크롤(330)에서 발생하는 진동 중 축방향 진동까지 감쇄되거나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선회스크롤(330)의 전복 모멘트도 감쇠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하부 스크롤 압축기(10)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30)을 상기 고정스크롤(320)이 면접촉하여 지지하므로, 상기 유입력 및 가스력이 상기 회전축(230)에 작용하여도 상기 회전축(230)의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배압력도 상기 회전축(230)이 일부 흡수 또는 지지하여, 상기 선회스크롤(330)과 상기 고정스크롤(320)이 축방향으로 과도하게 밀착되는 힘(수직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선회스크롤(330)과 상기 고정스크롤(230) 사이의 마찰력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압축기(10)는 상기 압축부(300) 내부에서 상기 선회스크롤(330)의 축방향 흔들림 및 전복 모멘트를 감쇠하고, 상기 선회스크롤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상기 압축부(300)의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부(300) 중 상기 메인프레임(310)은 상기 구동부(200)의 일측 또는 상기 구동부(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메인경판(311)과, 상기 메인경판(311)의 내주면에서 상기 구동부(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스크롤(330)에 안착되는 메인측판(312)과, 상기 메인경판(311)에서 연장되어 회전축(2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축수부(3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경판(311) 또는 상기 메인측판(312)에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에서 토출된 냉매를 상기 배출부(121)로 안내하는 메인홀(317)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경판(311)은 상기 메인축수부(318)의 외부에서 음각으로 형성되는 오일포켓(3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포켓(314)은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축수부(318)에서 편심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오일포켓(314)은 상기 차단쉘(130)에 저유된 오일이 상기 회전축(230) 등을 통해 전달되면, 상기 고정스크롤(320)과 상기 선회스크롤(330)이 맞물리는 부분에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스크롤(320)은 상기 메인경판(311)에서 상기 구동부(300)와 멀어지는 방향에서 상기 수용쉘(110)과 결합되어 구비되어 상기 압축부(300)의 타면을 형성하는 고정경판(321)과, 상기 고정경판(321)에서 상기 배출부(121)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메인측판(312)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고정측판(322), 상기 고정측판(322) 내주면에 구비되어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랩(32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스크롤(320)은 상기 회전축(230)이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고정관통홀(328)과, 상기 고정관통홀(328)에서 연장되어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축수부(32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축수부(3281)는 상기 고정경판(321)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경판(321)의 두께는 상기 고정축수부(3281)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고정축수부(3281)가 상기 고정경판(321)에 돌출되어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고정관통홀(328)에 내삽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측판(322)에는 상기 고정랩(323)에 냉매를 유입시키는 흡입구(32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경판(321)에는 상기 냉매가 배출되는 토출구 (3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26)은 상기 고정랩(323)의 중심방향에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고정축수부(3281)와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축수부(3281)에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330)은 상기 메인프레임(310)과 상기 고정스크롤(320) 사이에 구비되는 선회경판(331)과, 상기 선회경판에서 상기 고정랩(323)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랩(3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330)은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선회경판(331)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선회관통홀(3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선회관통홀(338)에 결합되는 부분이 편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선회스크롤(330)은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하면 상기 고정스크롤(320)의 고정랩(323)을 따라 맞물려 운동하며 냉매를 압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구동부(20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메인축(231)과, 상기 메인축(231)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부(3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2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232)는 상기 메인축(231)과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축(231)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메인축(231)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축(232)는 메인 프레임(310)의 메인축수부(318)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지지축(232c)와, 고정 스크롤(320)의 고정축수부(3281)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고정 지지축(232a)와, 메인 지지축(232c)와 고정 지지축(232a) 사이에 구비되어 선회 스크롤(330)의 선회관통홀 (338)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편심축(23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지지축(232c)와 고정 지지축(232a)는 동일 축중심을 가지도록 동축 선상에 형성되고, 편심축(232b)는 무게 중심이 메인 지지축(232c) 또는 고정 지지축(232a)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편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심축(232b)는 그 외경이 메인 지지축(232c)의 외경 또는 고정 지지축(232a)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편심축(232b)은 상기 지지축(232)가 회전할 때 상기 선회스크롤(330)을 공전 운동시키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힘을 제공하며, 상기 선회스크롤(320)은 상기 고정스크롤(320)에서 상기 편심축(232b)에 의해 규칙적으로 선회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선회스크롤(320)이 자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압축기(10)는 상기 선회스크롤(3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올담링(Oldham's ring)(3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올담링(340)은 선회 스크롤(330)과 메인 프레임(3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스크롤(330) 및 상기 메인프레임(310)에 모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올담링(340)은 전후좌우의 4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선회스크롤(320)의 자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고정스크롤(320)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압축부(300)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압축부(300)의 외부 및 상기 차단쉘(130)에 저유된 오일과 상기 회전축(230)이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230)은 회전하면서 상기 압축부(300) 내부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상기 회전축(230)을 통해 상기 압축부(3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 또는상기 회전축의 내부에는 상기 오일을 메인 지지축(232c)의 외주면, 고정 지지축(232a)의 외주면, 편심축(232b)의 외주면에 공급하기 위한 오일 공급유로(23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공급유로(234)에는 복수의 급유홀(234a,b,c,d)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유 홀은 제1급유홀(234a), 제2급유홀(234b), 제3급유홀(234c), 제4급유홀(234d)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급유홀(234a)은 메인 지지축(232c)의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유홀(234a)은 오일 공급 유로(234)에서 메인 지지축(232c)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급유홀(234a)은 예를 들어, 메인 지지축(232c)의 외주면 중 상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메인 지지축(232c)의 외주면 중 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제1급유홀(234a)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복수개의 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급유홀(234a)이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는 경우, 각 홀은 메인 지지축(232c)의 외주면 중 상부 또는 하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 지지축(232c)의 외주면 중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30)은 후술하는 머플러(500)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저장된 오일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오일축(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축(233)는 상기 머플러(500)를 관통하여 상기 오일에 접촉하는 연장축(233a)와 상기 연장축(233a)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공급유로(234)에 연통하는 나선홈(23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하면, 상기 나선홈(233b)과 상기 오일의 점성 및 상기 압축부(300) 내부의 고압 영역(S1) 및 중간압(V1) 영역의 압력차로 인해 상기 오일은 상기 오일축(233) 및 상기 공급유로(234)를 통해 상승하고, 상기 복수개의 급유홀에 토출된다. 복수개의 급유홀(234a, 234b, 234c, 234d)을 통해 토출된 오일은 고정 스크롤(250)과 선회 스크롤(240) 사이에 유막을 형성하여 기밀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압축부(300)의 구성들 간의 마 찰 부분에서 발생된 마찰열을 흡수하여 방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을 따라 안내된 오일은, 상기 제1급유홀(234a)를 통해 공급된 오일은 상기 메인 프레임(310)과 회전축(230)을 윤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급유홀(234b)을 통해 토출되어 선회 스크롤(240)의 상면에 공급될 수 있고, 선회 스크롤(240)의 상면에 공급된 오일은 포켓 홈(314)을 통해 중간압실로 안내될 수 있다. 참고로, 제2급유홀(234b) 뿐만 아니라 제1 급유홀(234a) 또는 제3 급유홀(234d)을 통해 토출된 오일이 포켓 홈(314)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230)을 따라 안내된 오일은 선회 스크롤(240)과 메인 프레임(230) 사이에 설치되는 올담링(340)과 고정 스크롤(320)의 고정측판(322)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스크롤(320)의 고정측판(322) 및 올담링(340)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급유홀(234c)에 공급된 오일은 압축실에 공급됨으로써, 선회 스크롤(330)과 고정 스크롤(320) 간 마찰에 따른 마모를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유막을 형성하고, 방열하여 압축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상기 하부 스크롤 압축기(10)가 회전축(230)의 회전을 이용하여 베어링에 오일을 급유하는 원심급유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압축부(300) 내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오일을 급유하는 차압 급유 구조 및 토로코이드 펌프 등을 통해 오일을 공급하는 강제급유구조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압축된 냉매는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이 형성하는 공간을 따라 상기 토출구(326)로 배출된다. 상기 토출구(326)은 상기 배출부(121)를 향하여 구비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26)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동방향의 큰 변화 없이 상기 배출부(121)로 전달되는 것이 가장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압축부(300)가 상기 구동부(200)에서 상기 배출부(121)와 멀어지는 방향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스크롤(320)이 상기 압축부(300)의 최외각에 구비되어야 하는 구조적인 특성 때문에 상기 토출구(326)은 상기 배출부(121)와 반대방향으로 냉매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다시말해, 상기 토출구(326)은 상기 고정경판(321)에서 상기 배출부(1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냉매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326)로 냉매가 그대로 분사되면 냉매가 상기 배출부(121)로 원할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차단쉘(130)에 오일이 저유되어 있는 경우 상기 냉매가 상기 오일과 충돌하여 냉각되거나 혼합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압축기(10)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의 최외각에 결합되어 상기 냉매를 상기 배출부(121)로 안내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머플러(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플러(500)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배출부(121)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스크롤(320) 중 상기 배출부(121)와 멀어지는 방향에 구비된 일면을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머플러(500)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에 결합되는 결합바디(520)와, 상기 결합바디(520)에서 연장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바디(5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토출구(326)에서 분사된 냉매는 상기 머플러(500)가 형성하는 밀폐공간을 따라 유동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배출부(121)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스크롤(320)은 상기 수용쉘(110)에 결합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냉매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에 방해되어 상기 배출부(121)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스크롤(320)은 상기 고정경판(321)을 관통하여 상기 냉매가 상기 고정스크롤(320)을 통과할 수 있는 바이패스홀(32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홀(327)은 상기 메인홀(327)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냉매는 상기 압축부(300)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부(200)를 지나 상기 배출부(121)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매는 상기 고정랩(323)의 외주면에서 내부를 향할수록 더 고압으로 압축되므로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의 내부는 고압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선회스크롤의 배면에는 토출압력이 그대로 작용하게 되며 반작용으로 상기 선회스크롤에서 고정스크롤을 향하여 배압이 작용한다. 본 발명 압축기(10)는 상기 배압이 상기 선회스크롤(320)과 상기 회전축(230)이 결합된 부분에 집중하도록 하여 상기 선회랩(333)과 상기 고정랩(323) 사이 누설을 방지하는 배압씰(seal, 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압씰(350)은 링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주면을 고압으로 유지하며, 외주면을 고압보다 낮은 중간압으로 분리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압이 상기 배압씰(350) 내주면에 집중되도록 하여 상기 선회스크롤(330)을 상기 고정스크롤(320)로 밀착시키도록 한다.
상기 토출구(326)가 상기 회전축(230)과 이격되어 구비된 것을 고려하여, 상기 배압씰(350)도 상기 토출구(326)를 향해 중심이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압씰(350)로 인해, 상기 제1급유홈(234a)에서 공급된 오일은 상기 배압씰(350) 내주면까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은 상기 메인스크롤과 상기 선회스크롤의 접촉면을 윤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압씰(350) 내주면에 공급된 오일은 상기 냉매의 일부와 함께 상기 선회스크롤(330)을 상기 고정스크롤(320)로 밀어내는 배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압씰(350)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의 압축공간은 상기 배압씰(350)의 내부 영역의 고압영역(S1)과, 상기 배압씰(350)의 외부는 중간압영역(V1)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물론, 냉매가 유입되면서 압축되는 과정에서 압력이 높아지므로 상기 고압영역(S1)과 상기 중간압영역(V1)은 자연스럽게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배압씰(350)의 존재로 인해 압력변화가 임계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압실(350)로 인해 상기 압축공간이 구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압축부(300)에 공급된 오일이나, 상기 케이스(100)에 저유된 오일은 상기 냉매가 상기 배출부(121)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냉매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은 상기 냉매보다 밀도가 커 상기 회전자(220)에 의해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배출부(121)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배출쉘(110)과 상기 수용쉘(120)의 내벽에 부착된다. 상기 스크롤압축기(10)는 상기 케이스(100) 내벽에 부착된 오일을 상기 케이스(100)의 저유공간 또는 상기 차단쉘(130)에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200)와 상기 압축부(300)는 외주면에 회수유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수유로는 상기 구동부(2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구동회수유로(201)와, 상기 압축부(3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압축회수유로(301)와, 상기 머플러(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머플러회수유로(5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회수유로(201)는 상기 고정자(210)의 외주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구비되며, 상기 압축회수유로(301)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의 외주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플러회수유로(501)는 상기 머플러의 외주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회수유로(201), 상기 압축회수유로(301) 및 상기 머플러회수유로(501)는 서로 연통하여 오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편심축(232b)로 인해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므로, 회전시 불균형한 편심 모멘트가 발생하여 전체적인 균형이 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스크롤 압축기(10)는 상기 편심축(232b)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편심 모멘트를 상쇄할 수 있는 밸런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300)는 상기 케이스(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밸런서(400)는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회전축(230) 자체 또는 상기 회전자(2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밸런서(400)는 상기 편심축(232b)의 편심 하중을 상쇄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자(220)의 하단 또는 압축부(300)를 향하는 일면에 구비되는 중심밸런서(410)와, 상기 편심축(232b) 또는 상기 하부밸런서(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편심 하중 또는 편심모멘트를 상쇄하도록 상기 회전자(220)의 상단 또는 배출부(121)를 향하는 타면에 결합되는 외각밸런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밸런서(410)는 상기 편심축(232b)와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구비되므로 상기 편심축(232b)의 편심하중을 직접적으로 상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중심밸런서(410)는 상기 편심축(232b)가 편심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편심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상기 회전축(230)이 저속 또는 고속으로 회전하여도 상기 편심축(232b)와 이격된 거리가 가까우므로 거의 균일하게 상기 편심축(232b)에서 발생하는 편심력 또는 편심하중을 효과적으로 상쇄할 수 있다.
상기 외각밸런서(420)는 상기 편심축(232b)가 편심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편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외각밸런서(420)는 상기 중심밸런서(410)가 발생시키는 편심하중을 일부 상쇄할 수 있도록 상기 편심축(232b)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편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중심밸런서(410)와 상기 외각밸런서(420)는 상기 편심축(232b)로 인해 발생하는 편심모멘트를 상쇄하여 상기 회전축(23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 압축기의 급유유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압축기는 상기 선회경판 또는 상기 고정경판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에서 전달되는 오일을 상기 선회랩과 상기 고정랩 사이에 공급하는 급유유로(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유유로(I)는 상기 고정경판(32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프레임(310)도 함께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유유로(I)는 상기 선회스크롤(33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선회유로(319)와, 상기 고정스크롤(32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고정유로(3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회유로(339)는 상기 공급유로(234)에서 전달되는 오일이 상기 선회스크롤 내부로 투입되는 선회투입유로(3391)와, 상기 선회투입유로에서 상기 선회스크롤의 외주면을 향해 연장되는 연결유로(3392)와, 상기 연결유로(3392)에서 상기 고정스크롤(320)을 향해 분지되는 분지유로(339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급유유로(I)는 상기 메인프레임(310)과 고정스크롤(320)을 관통하여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고정유로(329)는 상기 분지유로(3393)와 연통하도록 상기 고정경판(321) 또는 고정측판(322)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유로(339)를 통해 공급된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유로(32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로(234)는 고압영역(S1)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유로(329)는 상기 고압영역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된 중간압영역(v1)이나 저압영역(v2)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동력원이 없어도, 압력차이에 의해, 상기 고정유로(234)에 공급된 오일은 상기 선회유로(339)와 상기 고정유로(329)에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압축기(10)는 저압력비 보다 높은 압력비로 구동하는 경우에, 상기 고압영역(S1)과 중간압 영역(V1)의 압력차는 매우 커질 수 있고, 상기 고정랩(323)과 선회랩(333)으로 오일이 과도하게 공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입되는 냉매에 다량의 오일이 희석되거나, 상기 오일로 인해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이 냉각되거나, 상기 고정랩(323)에 오일 공급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압축기는 상기 전달유로(319) 또는 상기 고정유로(329)에서 상기 고압영역과 저압영역의 압력차를 저감시킬 수 있는 감압부(3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압부(360)는 상기 전달유로나 상기 고정유로에 삽입되어 유로의 직경을 축소함으로써 유로저항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부(360)는 상기 오일과 마찰력을 극대화시켜 유로저항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압부(360)로 인해 상기 고압영역(S1)과 상기 중간압 영역(V1)의 압력차이가 일부 보상되어 오일이 과도하게 상기 고정랩(323)과 선회랩(333)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감압부(360)는 상기 전달유로 또는 상기 고정유로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메인프레임(310) 또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은 상기 압축부(300)의 외부와 연통하여 상기 감압부(360)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삽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압축기(10)는 상기 급유유로(I)를 통해 전달된 오일을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 사이 공간에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3)보다 상기 회전축(230)에서 더 멀리 이격되어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제2유로(32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3293)은 상기 고정경판(321)을 관통하여 오일을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이 형성하는 압축실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3294)는 상기 고정경판(321)을 관통하되, 상기 제1유로(3293) 보다 상기 회전축(230)에서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오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3239)와 상기 제2유로(3294)는 상기 이동유로(3292)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나눠서 공급받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유로(3293)은 중간압영역(V1)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유로(3294)는 상기 저압영역(V2)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유로(3294)는 흡입구(325)에 최대한 인접하게 구비되어, 회전축(230)에 구비된 공급유로(234)와의 압력차이를 확보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1유로(3293)은 상기 중간압영역(V1)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유로(3294)는 상기 저압영역(V2)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3294)는 상기 제1유로(3293) 보다 상기 흡입구(325)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압축기가 토출압과 흡입압의 비율이 1.1~ 1.3 등 저압력비 구동을 수행할 때는 상기 제2유로(3294)을 통해 저압영역(V2)으로 오일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압축기가 저압력비 보다 높은 압력비로 구동될 때에는 상기 제1유로(3293)을 통해 중간압영역(V1)으로 오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유유로(I)는 상기 제1유로(3293)와 상기 제2유로(32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급유유로(I)를 통해 상기 중간압영역(V1)과 상기 저압영역(V2)에 모두 오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압축기(10)는 급유유로(I)가 단수로 구비되더라도, 상기 중간압영역(V1)과 상기 저압영역(V2)에 모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압축부(300)의 구조와 제작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압축기가 저압력비로 구동될 경우에는 상기 제1유로(3293)가 배치된 중간압영역(V1)은 상대적으로 토출압력과 차이가 없으므로, 상기 제1유로(3293)를 밀폐하지 않아도 상기 제1유로(3293)로 오일이 과도하게 공급되지 않거나, 오일 공급 자체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압축기가 저압력비 보다 높은 압력비로 구동될 때에는 상기 제2유로(3294)는 상기 제1유로(3293) 보다 압력이 더 낮은 영역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2유로(3294)에도 오일이 함께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압축기가 저압력비 보다 높은 압력기로 구동될 때에는 상기 압축부(300)에 과도한 오일이 공급될 수 있어 압축기의 효율이 떨어지거나, 오일의 누설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압축기는 상기 급유유로(I)와 상기 제1유로(3293) 및 상기 제2유로(3294)에 모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유로(3293) 또는 상기 제2유로(32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오일을 공급하도록 결정하는 조절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800)는 상기 급유유로(I)에 연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와 모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조절부(800)는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압축기(10)는 하나의 조절부(800)를 통해 급유유로(I)에서 공급된 오일을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조절부(800)를 통해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에 공급할 오일의 양을 조절하거나,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 중 특정 유로에 오일공급을 차단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조절부(800)는 저압력비 구동에서는 상기 제2유로(3294)를 개방하여, 오일을 저압영역(V2)에 충분하게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800)는 저압력비 이상의 구동에서는 상기 제1유로(3293)를 개방하고, 상기 제2유로(3294)는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오일이 중간압영역(V1)으로 공급되되, 과도하게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300)가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작동하면, 상기 케이스(100) 내부는 압축부(300)에서 토출된 냉매로 인해 고온 고압상태가 되므로, 상기 조절부(800)가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 압축기(10)는 상기 조절부(800)가 상기 케이스 내부 압력에 따라 기계적으로 상기 제1유로(3293) 또는 상기 제2유로(3294)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800)는 상기 압축기(10)가 저압력비 구동을 수행할 때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저압 상태에 따라, 상기 제2유로(3294)가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800)는 상기 압축기(10)가 저압력비 이상으로 구동할 때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압력상태에 따라,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가 모두 개방되거나, 상기 제1유로(3293)가 폐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조절부(800)는 상기 압축기(10)가 저압력비 또는 그 이상의 압력비에서 구동할 때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으로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의 개폐상태가 즉각적 및 수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은 고정스크롤(320)의 토출구(326)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과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800)는 상기 토출구(326)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유로(3293) 또는 상기 제2유로(3294)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폐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3294)는 저압력비 구동에서는 저압영역(V2)에 오일을 공급해야 하므로 개방되어야 하지만, 고압력비 구동에서는 상기 저압영역(V2)으로 과도한 오일 공급 차단을 위해 폐쇄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고정경판(321) 내부에서 상기 케이스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제2유로(329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압축부(300)가 저압력비로 구동되어 케이스의 압력이 낮으면 상기 제2유로(3294)를 개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300)가 고압력비로 구동되어상기 케이스 내부 압력이 높으면 상기 제2유로(3294)를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케이스 (100)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제2유로(3294)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 압력이 높을수록 상기 제2유로(3294)에 가까워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800)는 상기 차폐부(820)를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는 탄성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30)는 상기 차폐부(820)의 일단에 안착되어 상기 차폐부(820)가 상기 제2유로(3294)와 이격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차폐부(820)에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탄성부(830)는 상기 차폐부(820)에 압축되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30)는 저압력비 이상의 압력비에서는 압축될 수 있는 탄성계수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830)는 저압력비에 해당하는 압력에서는 상기 차폐부(820)가 상기 제2유로(3294)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30)는 판스프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오일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일반적인 스프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차폐부(820)와 상기 탄성부(830)도 상기 고정스크롤(320)에 설치될 수 있다 .
그러나,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탄성부(830)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구성이며, 상기 제2유로(3294) 등을 선택적으로 개폐해야 하는 등 정교하게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스크롤(3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820)와 상기 탄성부(830)를 상기 고정스크롤(32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스크롤(320) 내부에 상기 유입유로(3291)와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 뿐만 아니라, 이를 연통하면서 상기 차폐부(820)를 수용해야 하는 구성까지 설치한다. 상기 고정스크롤(320)은 플라스틱이 아니라 고온 고압을 견뎌야 하는 금속강체로 구비되기 때문에, 정교한 유로 등의 성형은 매우 어렵고, 가능하더라도 생산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압축기(10)는 상기 압축부(300) 외부에서 상기 유입유로(3291)과 연통하면서, 상기 차폐부(820)와 상기 탄성부(830)를 내부에 수용하여 구비되는 설치모듈(8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고정스크롤(320)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공간의 제약이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고정경판(321) 및 상기 고정측판(322)의 두께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상기 유입유로(3291) 및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의 면적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유입유로(3291) 또는 상기 고정랩(323)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820)와 상기 탄성부(830)가 설치되는 것이 간편할 수 있으며, 상기 차폐부(820)가 상기 제1유로(3293) 또는 상기 제2유로(3294)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토출구(326)에서 토출된 냉매의 압력에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토출구(326)가 노출되는 상기 고정경판(321)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수부(328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23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토출구(326)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설치모듈(810)은 상기 머플러(5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머플러(500)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경판(321)에 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고정경판(321)에서 상기 토출구(326)가 형성된 일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경판(321)에서 상기 배출부(12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경판(3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일부가 상기 고정경판(32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고정경판(321)에 압입되거나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압축부(300)에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고정경판(321)에 설치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차폐부(820)를 왕복이동하게 수용하며,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 및 상기 고정유로(329)에 모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차폐부(820)가 왕복이동 할 수 있고, 상기 탄성부(8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8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경판(321)에서 상기 머플러(500) 또는 상기 저유공간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차폐부(820)에 상기 토출구(326)에서 토출된 냉매 또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압력을 전달하도록 개방면으로 구비되는 작용부(8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용부(814)는 상기 차폐부(820)에 선택적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이동공간(815)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설치모듈(810)을 왕복이동 하면서 설치방향이 틀어지거나 설치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고정스크롤(320)과 동일한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고, 더 강성이나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온도에 따라 팽창계수가 작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고정유로(329)와 상기 제1유로(3293) 및 상기 제2유로(3294)를 연통시키는 내부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 및 상기 고정유로(329)가 어떤 위치에 구비되어 있어도, 상기 설치모듈(810)은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 및 상기 고정유로(329)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작용부에서 이격되어 내부로 상기 오일을 전달하도록 상기 고정유로(329)에 연통하는 급유부(811)와, 상기 작용부(814) 및 상기 급유부(811)와 분리되고 상기 오일을 상기 제1유로(3293)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제1공급부(812)와, 상기 작용부(814) 및 상기 급유부(811)와 분리되고 상기 오일을 상기 제2유로(3294)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제2공급부(81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차폐부(820)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수용공간(16)과, 상기 수용공간(816)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압력에 노출되는 작용부(814)와, 상기 작용부(814)에서 이격되어 상기 수용공간(816)으로 상기 오일을 전달하도록 상기 고정유로에 연통하는 급유부(811)와, 상기 수용공간(816)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오일을 상기 제1유로(3293)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제1공급부(812)와, 상기 제1공급부(812)와 이격되고 상기 수용공간(816)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오일을 상기 제2유로(3294)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제2공급부(8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는 모두 상기 고정경판(321)을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경판에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고,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의 직경을 균일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를 고정경판(321) 중 정확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유입구(325)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325)가 인접한 고정랩(323) 또는 선회랩(33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작용부(814)와 상기 제2공급부(813)를 왕복 이동하여, 상기 제2공급부(813)와 상기 급유부(811)가 연통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30)는 상기 수용공간(816) 중 상기 제2공급부(813)와 상기 차폐부(8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차폐부(820)를 상기 작용부(814)로 밀어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30)는 상기 차폐부(820)에 기준 압력이 작용할 때 압축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압력은 저압력비 이상에 해당하는 압력일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부(812)는 상기 차폐부(820)가 상기 작용부(814)에 상기 제2공급부(813)로 왕복이동 하는 동안 항상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수용공간(816)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작용부(814)와 상기 제2공급부(813)이 연통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유부(811)는 상기 유입유로(3291)의 말단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유부(811)는 상기 차폐부(820)가 상기 작용부(814)를 폐쇄하였을 때 또는 상기 탄성부(830)가 압축되기 전일 때, 상기 차폐부(820)와 이격되어 개방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차폐부(820)에 저압이 작용할 때는 상기 급유부(811)와 상기 제2공급부(813)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부(813)는 상기 제2유로(3294)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부(813)는 상기 흡입구(325)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유로(3294)와 상기 제2공급부(813)의 전체 유로의 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공급부(813)와 상기 제2유로(3294)까지의 유로저항을 최소화하여 저압 상태라도 충분한 오일이 상기 제2유로(3294)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부(813)은 상기 작용부(814)와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제2공급부(813)와 상기 작용부(814)을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부(812)는 상기 설치모듈(810) 중 상기 급유부(811)와 마주하는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부(812)는 상기 설치모듈(810)에서 상기 회전축(230)을 향하는 일면에 구비되어 중간압영역(V2)에 배치된 상기 제1유로(3293)과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4는 상기 조절부(800)에서 상기 설치모듈(810)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4(a)를 참조하면, 상기 설치모듈(810)의 수용공간(816)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유부(811)와 상기 제1공급관(812), 상기 제2공급관(813)은 상기 설치모듈(810)의 수용공간(816)와 연통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유부(811)와 상기 제1공급관(812), 상기 제2공급관(813)은 상기 설치모듈(81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홀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 고정유로(329),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용부(814)는 상기 설치모듈(810)과 상기 고정스크롤(320)의 노출면 또는 상기 머플러(500)와 마주하는 일면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스크롤(320)의 노출면에 연통하는 파이프 형상 또는 홀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작용부(814)의 직경은 상기 차폐부(820)의 직경보다 훨씬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820)가 상기 설치모듈(81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부(813)는 상기 작용부(814)와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차폐부(820)의 길이보다 상기 제2공급부(813)와 상기 작용부(814)의 간격은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작용부(814)로부터 저압력비 이상의 압력을 받으면 상기 작용부(814)에서 상기 제2공급부(813)로 이동하여 상기 제2공급부(813)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30)는 상기 차폐부(820)의 일단과 상기 제2공급부(81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차폐부(820)를 상기 작용부(814)로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30)는 상기 차폐부(820)가 기준압력을 받으면 압축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830)의 탄성계수는 상기 기준압력을 받을 때 변형될 수 있는 물리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준압력은 압축부(300)가 저압력비로 구동할 때 상기 압축부(30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최대압력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압력 이하에서는 상기 탄성부(830)는 압축되지 않거나, 압축되는 양이 작으므로, 상기 차폐부(820)가 상기 제2공급부(813)을 폐쇄하지 못할 수 있다. 그 결과, 저압력비 구동에서는 상기 제2공급부(813)로 상기 급유부(811)로 유입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탄성부(830)의 일단을 수용하도록 상기 제2공급부(813)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는 수용단차(8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단차(815)의 내주면에 상기 제2공급부(813)의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30)의 직경은 상기 제2공급부(813)보다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탄성부(830)가 상기 차폐부(820)에 의해 상기 제2공급부(813) 내부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830)의 직경은 상기 수용단차(815)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탄성부(830)가 상기 수용단차(815)의 내부에 안착되어 배치가 임의로 가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작용부(814)는 상기 설치모듈(810)에서 상기 고정스크롤(320)이 상기 머플러(500)와 마주하는 일면과 가장 가깝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공급부(813)는 상기 설치모듈(810)에서 상기 고정랩(323) 또는 선회랩(333)과 가장 가깝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유부(811)는 상기 작용부(814) 보다 상기 제2공급부(813)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공급부(812)은 상기 제2공급부(813) 보다 상기 작용부(814)에 더 가깝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유부(811)에 유입된 오일을 상기 차폐부(820)에 영향을 최대한 받지 않고, 가장 작은 저항으로 상기 제2공급부(813)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유부(811)와 상기 제1공급부(812)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멀게 구비되어, 상기 압축부(300)가 저압력비로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차폐부(820)가 상기 작용부(814)에서 이격된 거리가 작을 때, 상기 제1공급부(812)를 향하여 상기 급유부(811)에서 공급된 오일이 분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설치모듈(810)을 왕복이동하며 상기 급유부(811)와 상기 제1공급부(812)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개폐바디(821)와, 상기 개폐바디(821)에서 상기 작용부(814)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바디(822)와, 상기 연장바디(822)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용부(814)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차단바디(8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바디(821)는 상기 설치모듈(81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바디(821)의 외주면은 상기 설치모듈(810)의 내주면과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설치모듈(810)의 내주면과 면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연장바디(822)는 상기 개폐바디(821)의 직경보다 더 작게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820)가 과도하게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급유부(811)에서 유입된 오일이 이동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차단바디(823)는 상기 연장바디(822) 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모듈(810)의 내주면과 면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바디(823)와 상기 설치모듈(810)의 내주면은 서로 실링되어 상기 작용부(814)로 냉매 또는 오일이 상기 설치모듈(8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차단바디(823)는 상기 설치모듈(810)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작용부(814)와 상기 제1공급부(812) 또는 상기 제2공급부(813)가 연통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바디(823)의 외주면에는 상기 설치모듈(810)의 내주면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실링부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부(820)의 전체 길이는 상기 제2공급부(813)와 상기 작용부(814)까지 길이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급유부(811)와 상기 작용부(814)까지 길이보다도 짧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바디(822)의 길이는 상기 급유부(811)와 상기 제1공급부(812)이 축방향으로 이격된 간격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장바디(822)의 길이는 상기 급유부(811)와 상기 작용부(814)의 간격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고정경판(311) 내부에서 상기 케이스(100)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제2유로(329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4(a)와 같이, 상기 작용부(814)로 고압력비로 토출된 냉매의 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탄성부(830)는 압축되면서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제2공급부(813)를 폐쇄할 수 있다.
도4(b)와 같이, 상기 작용부(814)에 저압력비로 토출된 냉매의 압력이 작용하거나 상기 작용부(814)에 압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탄성부(830)는 신장되어 상기 차폐부(820)를 상기 작용부(814)로 밀어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제2공급부(813)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공급부(812)도 상기 차폐부(820)가 상기 제2공급부(813)와 상기 작용부(814)를 왕복이동 하면서, 상기 차폐부(82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될 있다.
그러나, 상기 제1공급부(812)는 중간압영역(v1)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축기(10)가 저압력비로 구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공급부(812)가 개방되어 있어도 상기 제1공급부(812)로 오일이 공급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압축기(10)가 고압력비로 구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공급부(812)에는 오일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공급부(812)는 개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급부(812)는 상기 차폐부(820)가 상기 작용부(814)에 상기 제2공급부(813)로 왕복이동 하는 동안 항상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급부(812)는 상기 차폐부(820)가 상기 제2공급부(813)을 완전히 폐쇄하여도 상기 차폐부(820)에 의해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820)가 상기 제2공급부(813)에 완전히 밀착된 경우에는, 압축기가 상당한 고압으로 구동한다는 것이므로, 상기 제1공급부(813)와 상기 급유부(811)가 상당한 압력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급부(812)는 상기 차폐부(820)에 일부가 폐쇄되어 오일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바디(822)는 상기 개폐바디(811)가 상기 제2공급부(813)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제1공급부(812)의 일부만 차폐할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 조절부(800)가 작동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압축기(10)에서 냉매가 토출되면, 상기 토출된 냉매는 상기 머플러(50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토출된 냉매는 상기 배출부(121)로 배출되기 까지 상기 케이스(100) 내부 전체에 걸쳐서 압력을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토출된 냉매는 상기 설치모듈(810)의 위치와 관계없이, 상기 작용부(814)가 상기 고정스크롤(320)의 외부러 노출되어 있다면, 상기 토출된 냉매는 상기 작용부(814)에 토출압과 거의 동일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5(a)를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10)는 작동하지 않거나, 흡입 냉매 대비 토출냉매의 압력비율이 1.1에서 1.2 정도인 저압력비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차단바디(823)가 상기 작용부(814)에 밀착하고, 상기 개폐바디(821)가 상기 급유부(811)와 상기 제2공급부(813)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유부(811)에 공급된 오일은 상기 설치모듈(810) 내부에 유입된 후 압력차이에 따라 상기 제2공급부(813)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은 상기 개폐바디(821)로 인해 상기 제1공급부(812)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개폐바디(821)와 상기 차단바디(823)는 상기 제1공급부(812)와 연통되어 있어 상기 제2공급부(813) 보다 압력이 크므로, 상기 오일은 상기 개폐바디(821)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더 확실한 실링을 위하여, 상기 개폐바디(82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바디(821)의 외주면과 상기 설치모듈(810)의 내주면을 밀폐시기키는 실링부재가 더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10)가 고압력비로 구동하여 상기 압력비율이 1.2를 초과할 수 있다. 상기 저압력비 구동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작용부(814)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30)는 저압력비 이상의 냉매에서 압축되는 탄성계수를 구비하기 때문에 가압되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30)가 가압되면,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작용부(814)에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토출압력이 크지 않으므로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제2공급부(813)를 폐쇄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급유부(811)에서 토출된 오일은 상기 제2공급부(813)에 그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10)가 저압력비 이상으로 구동하므로, 상기 급유부(811)와 상기 제1공급부(812)에도 일정한 압력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유부(811)에 공급된 오일이 상기 개폐바디(821)를 지나 상기 제1공급부(812)에도 공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개폐바디(821)의 외주면에 실링부재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급유부(811)의 내주면에 위치할 때, 상기 급유부(811)의 오일이 상기 실링부재의 간섭없이 상기 연장바디(822)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압력비보다 높지만 상대적으로 고압력비 구동보다는 작게 압축기(10)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조절부(800)는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에 모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도5(c)를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10)가 더 높은 압력으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할 수 있다. 즉, 압축기(10)가 더 높은 출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작용부(814)에서 더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바디(821)는 상기 제2공급부(813)로 이동하면서 상기 급유부(811)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공급부(813)에 오일이 공급되는 것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유부(811)의 적어도 일부가 폐쇄됨에 따라 상기 제1공급부(812)에 급유도 중단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압축부(300)가 저압력비 영역에서 고압력비 영역으로 구동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오일의 공급은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유로(3294)를 통해 저압영역(v2)으로 공급된 오일이 전체 압축실을 윤활할 수 있도록 대기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급부(813)가 상기 차폐부(820)에 의해 폐쇄되기 전에 상기 제2공급부(813)와 상기 급유부(811)가 연통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제2유로(3294)와 급유부(811)가 압력차이가 커짐에 따라 과도한 오일이 상기 제2유로(3294)를 통해 공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5(d)를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10)가 고압력비 구동을 수행하여 더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면, 상기 탄성부(830)는 더욱 압축되고,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제2공급부(821)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바디(821)는 상기 제2공급부(821)에 밀착되어 상기 제2공급부(821)를 폐쇄하지만, 상기 급유부(811)는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바디(821)가 상기 제2공급부(821)에 밀착되면, 상기 급유부(811)가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바디(821)의 두께와 상기 급유부(811)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바디(821)가 상기 제2공급부(813)를 폐쇄하면, 상기 차단바디(823)는 상기 제1공급부(812)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바디(823)는 상기 제1공급부(812)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지만, 일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유부(811)와 상기 제1공급부(812)가 연통되어 상기 제1공급부(812)로 오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바디(823)가 상기 제1공급부(812)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공급부(812)로 과도한 오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조절부(800)는 상기 제2공급부(813)과 상기 급유부(811)의 연통을 상기 차폐부(820)가 차단할 때, 상기 제1공급부(812)와 상기 급유부(811)은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800)는 상기 차폐부(820)가 상기 제2공급부(813)에 접촉되어 폐쇄될 때, 상기 제1공급부(812)의 일부와 상기 급유부(811)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바디(822)의 길이는 상기 조절부(800)가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급유부(811)와 상기 제1공급부(812)의 설치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조절부(800)는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에만 의존하여, 별도의 전기제어 없이, 상기 제1유로(3293)과 상기 제2유로(329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6은 상기 조절부(800)가 압축부(300)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조절부(800)는 상기 머플러(500)에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일면이 상기 고정경판(321)에 삽입되고, 타면이 상기 머플러(500)의 수용바디(51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머플러(500)은 회전축(230)이 관통하는 머플러축수부(5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머플러축수(541)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용부(814)는 상기 머플러(500) 내부를 향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머플러(500)의 외부도 상기 케이스(100) 내부 압력과 동일하므로 상기 작용부(814)는 상기 수용바디(510) 외부를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510)는 상기 저유공간과 연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작용부(814)는 상기 수용바디(510)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관통홀의 외주면을 실링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머플러(500)에 토출된 냉매가 상기 관통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용부(814)는 상기 머플러(500)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머플러(500)에 토출된 냉매가 상기 작용부(814)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유공간에 저유된 오일에도 케이스(100) 내부의 압력이 미치며, 이는 냉매의 압력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저유공간에 저유된 오일과 상기 작용부(814)를 연통시키면, 상기 작용부(814)는 상기 냉매의 압력이 작용하지만, 상기 냉매가 상기 작용부(814)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부(800)는 상기 작용부(814)에서 상기 저유공간까지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압력을 상기 차폐부(820)에 전달하는 연통관(8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관(840)은 상기 머플러의 수용바디(510)에 결합되는 결합관(841)과, 상기 결합관에서 상기 저유공간까지 연장되는 연장관(8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연장관(842) 내부에는 상기 토출된 냉매에 따라 오일이 상승 또는 하강 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관(842)의 내부 압력변화는 그대로 상기 작용부(814)에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유로(3293)은 상기 제2유로(3294)에서 회전축(230)을 향하여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유로(3294)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급부(812)는 상기 제2공급부(813) 보다 상기 회전축(230)으로 더 가까이 배치되어 상기 제1유로(3293)와 연통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공급부(812)는 상기 수용공간(816)에서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이동유로(8121)과, 상기 이동유로에서 상기 제1유로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유로(8122)와, 상기 이동유로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설치모듈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노출유로(8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모듈(810) 내부에 수용공간(816)과 상기 연장유로(8122)을 서로 연통시키는 이동유로(8121)를 제작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노출유로(8123)의 제작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이동유로(8121)를 제작할 수 있다.
상편, 상기 노출유로(8123)는 상기 이동유로(8121)를 제작하기 위해서만 필요한 구성이므로, 상기 노출유로(8123)로 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노출유로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노출차단부(8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출차단부(860)는 상기 노출유로(8123)의 직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노출유로(8123)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노출유로(8121)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상기 노출차단부(860)는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구 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로(8121)의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816)과 상기 제1유로(3293)의 간격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장유로(8122)는 상기 수용공간(816)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3294)는 상기 수용공간(816)과 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흡입구(325)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유로(3294)는 저압영역(V2) 중 압력이 가장 낮은 영역에 연통될 수 있고, 상기 수용공간(816)도 상기 저압영역(V2) 중 압력이 가장 낮은 영역에 연통될 수 있다.
이로써, 압축기(10)가 저압력비 구동 중 가장 낮은 압력비로 구동하여도, 오일이 상기 제2유로(3294)를 통해 상기 압축부(300)로 충분히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부(300)가 고압력비로 구동하여 냉매를 매우 높은 압력으로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경우, 상기 연통부(840)로 인해 상기 오일이 상기 작용부(814)를 지나 상기 수용공간(816)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경우,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제1공급부(812)를 개방한 상태이므로, 상기 오일은 상기 압축부(300)로 바로 투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이 상기 압축부(300)를 냉각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이 과도하게 마찰되어도 충분히 윤활할 수 있다.
도7은 상기 설치모듈(810)의 세부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설치모듈(810)은 전술한 차폐부(820)와 탄성부(840) 및 노출차단부(8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차폐부(8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차폐부(820)와 상기 수용공간(816) 사이를 밀폐시키는 실링부(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820)의 개폐바디(821)는 상기 제2공급부(813)을 폐쇄하거나, 상기 제2공급부(813)과 상기 급유부(811)의 연통을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실링부(850)는 상기 개폐바디(82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실링부(8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851)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851)는 상기 개폐바디(821)의 외주면에서 상기 수용공간(816)에 접촉하여 상기 개폐바디(821)와 상기 수용공간(816)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장바디(822)에서 유입될 수 있는 오일이 상기 제2공급부(813)으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850)는 상기 차단바디(823)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작용부(814)와 상기 수용공간(816)의 연통을 차단하는 제2실링부(8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852)는 상기 차단바디(823)의 외주면과 상기 수용공간(816)의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차단바디(823)와 상기 수용공간(816) 사이를 실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용공간(816)으로 유입된 오일이 상기 차단바디(823)를 통과하여 상기 작용부(814)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851)와 상기 제2실링부(852)는 동일한 현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른 직경과 두께로 구비될 수도 이ㅆ다.
한편, 상기 설치모듈(810)은 상기 작용부(814)에 결합되는 가스켓(8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870)은 상기 작용부(814)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820)가 상기 설치모듈(810)에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870)은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부(820)에 상기 냉매의 압력을 전달하도록 복수개의 전달홀(871)이 구비될 수 있다.
도8은 상기 차폐부(8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차폐부(820)는 상기 개폐바디(821)와 상기 차단바디(823) 사이에 상기 연장바디(822)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는 지지바디(8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826)는 상기 제1실링부(851)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실링바디(851)를 지지할 수 있을 만큼 상기 연장바디(822)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826)는 상기 개폐바디(821)와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바디(821)의 두께 보다는 작은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851)는 상기 지지바디(826)와 상기 개폐바디(821) 사이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851)는 상기 수용공간(816)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마찰되어도 상기 차폐부(820)에 설치된 위치가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실링부(851)는 상기 지지바디(826)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9는 상기 차폐부(820)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차폐부(820)은 상기 개폐바디(821)와 상기 차단바디(823) 사이에 상기 연장바디(822) 및 상기 개폐바디(821)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는 지지바디(8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바디(821)는 상기 차단바디(823)의 직경보다 더 작게 구비되어, 상기 제2공급부(813)의 내주면에 투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826)은 상기 개폐바디(821)가 상기 제2공급부(813)에 투입되면, 상기 제2공급부(813)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상기 제2공급부(811)를 실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바디(821)는 상기 연장바디(822)와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공급부(813)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실링부(851)는 상기 지지바디(826)에 안착되어 상기 제2공급부(813)를 선택적으로 실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공급부(813)가 상기 차폐부(820)에 의해 확실하게 실링될 수 있고, 상기 제2공급부(813)에 과도한 오일이 공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 압축기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압축기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0(a)는 선회스크롤을 도시한 것이며, 도10(b)는 고정스크롤을 도시한 것이며, 도10(c)는 상기 선회스크롤과 상기 고정스크롤이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선회스크롤(330)은 상기 선회경판(331)의 일면에 선회랩(333)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고정스크롤(320)은 상기 고정경판(321)의 일면에 상기 고정랩(3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회스크롤(330)은 냉매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밀폐된 강체로 구비되나, 상기 고정스크롤(320)은 액상 등의 저온 저압의 냉매가 유입되도록 냉매공급관과 연통하는 흡입구(325)과, 상기 고온 고압의 냉매가 배출되는 토출구(326)을 구비할 수 있고, 외주면에 상기 토출구(326)에서 토출된 냉매가 배출되는 바이패스홀(327)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랩(323)과 선회랩(333)은 인볼류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2점 이 맞물리면서 상기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실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볼류트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반경을 갖는 기초원의 주위에 감겨있는 실을 풀어낼 때 실의 단부가 그리는 궤적에 해당되는 곡선을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은 20개 이상의 원호를 조합하여 형성한 것으로 곡률반경이 부분마다 달라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 압축기는 상기 회전축(230)이 상기 고정스크롤(320)과 상기 선회스크롤(330)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의 곡률반경 및 압축공간이 감소한다.
따라서, 이를 보상하기 위해, 본 발명 압축기는 냉매가 토출되는 공간을 축소하고, 압축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의 토출직전의 곡률반경을 회전축의 관통된 축수부 보다 더 작게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은 토출구(326) 부근에서 더 심하게 꺽여 구비될 수 있고, 흡입구(325) 부분으로 연장될수록 꺽여 구비된 부분에 대응하여 곡률반경이 지점마다 달라질 수 있다.
도10 (c)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스크롤(320)의 흡입구(325)에 냉매(I)이 유입되고, 상기 냉매(I)보다 먼저 유입된 냉매(II)는 상기 고정스크롤(320)의 토출구(326)의 근방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냉매(I)은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의 외곽면에서 서로 맞물려 구비되는 영역에 존재하며, 상기 냉매(II)는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이 2점 맞물리는 다른 영역에 밀폐되어 존재한다.
이후 상기 선회스크롤(330)이 선회운동을 시작하면, 상기 선회랩(333)의 위치변경에 따라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이 2점맞물리는 영역이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부피가 축소되기 시작하며, 냉매(I)은 이동하여 압축되기 시작한다. 상기 냉매(II)는 더욱 부피가 감소하여 압축되어 상기 토출구(326)로 안내되기 시작한다.
상기 냉매(II)는 상기 토출구(326)에서 배출되며, 상기 냉매(I)은 상기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이 2점맞물리는 영역이 시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하며, 부피가 감소하여 더욱 압축되기 시작한다.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이 2점맞물리는 영역이 또다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정스크롤 내부와 가까워지며, 부피는 더욱 감소되어 압축되고, 상기 냉매(II)는 배출이 거의 완료된다.
이처럼, 상기 선회스크롤(330)이 선회운동함에 따라 상기 냉매는 상기 고정스크롤의 내부로 이동하면서 선형적 또는 연속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상기 도면은 냉매가 불연속적으로 상기 흡입구(325)에 유입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냉매는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고정랩(323)과 상기 선회랩(333)이 2점 맞물리는 영역 마다 냉매가 수용되어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200 압축부
300 구동부
500 머플러
800 조절부
810 설치모듈

Claims (18)

  1. 냉매가 토출되는 배출부와, 오일이 저유되는 저유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되 상기 오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냉매를 압축하며, 상기 오일로 윤활되는 압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공전운동하는 선회경판과, 상기 선회경판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선회랩을 포함하는 선회스크롤과,
    상기 냉매를 공급받는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에서 이격되어 압축된 상기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되는 고정경판과, 상기 고정경판에서 상기 선회랩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고정랩을 포함하는 고정스크롤과,
    상기 고정경판에 안착되어 상기 선회스크롤을 수용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선회경판 또는 상기 고정경판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에서 전달되는 오일을 상기 선회랩과 상기 고정랩 사이에 구비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에서 상기 흡입구에 더 가깝게 구비되는 제2유로에 공급하는 급유유로와,
    상기 고정경판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급유유로로 전달된 오일을 상기 제1유로 또는 상기 제2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급하도록 결정하는 조절부와,
    상기 고정스크롤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배출부로 안내하는 머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머플러와 상기 고정경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고정경판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되며 상기 급유유로,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설치모듈과,
    상기 설치모듈 내부에서 상기 케이스 내부 압력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제2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모듈은
    상기 차폐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압력에 노출되고 상기 차폐부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작용부와,
    상기 작용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오일을 전달하도록 상기 급유유로에 연통하는 급유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오일을 상기 제1유로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제1공급부와,
    상기 제1공급부와 이격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오일을 상기 제2유로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제2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작용부와 상기 제2공급부를 왕복 이동하여, 상기 제2공급부와 상기 급유부가 연통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중 상기 제2공급부와 상기 차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차폐부를 상기 작용부로 밀어내도록 구비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차폐부에 기준 압력이 작용할 때 압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부는 상기 차폐부가 상기 작용부에서 상기 제2공급부로 왕복이동 하는 동안 항상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작용부와 상기 제2공급부가 연통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작용부에서 상기 저유공간 까지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압력을 상기 차폐부에 전달하는 연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부는 상기 차폐부의 일단과 마주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작용부는 상기 차폐부의 타단과 마주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공급부는 상기 제2공급부 보다 상기 흡입구에서 더 멀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급유부는 상기 제1공급부 보다 상기 작용부에서 더 멀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은 상기 머플러에 결합되는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에서 상기 저유공간 까지 연장되는 연장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부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이동유로과,
    상기 이동유로에서 상기 제1유로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유로와,
    상기 이동유로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설치모듈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노출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모듈은 상기 노출유로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노출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가 상기 설치모듈에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되, 상기 케이스 내부압력이 상기 차폐부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전달홀을 포함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2공급부를 폐쇄하거나, 상기 제2공급부와 상기 급유부의 연통을 차단하는 개폐바디와,
    상기 개폐바디에서 상기 작용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바디와,
    상기 연장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용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차단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개폐바디의 외주면 또는 상기 차단바디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개폐바디와 상기 차단바디 사이에 상기 연장바디 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는 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지바디의 외주면 또는 상기 지지바디와 상기 개폐바디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개폐바디와 상기 차단바디 사이에 상기 연장바디 및 상기 개폐바디 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는 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바디는 상기 차단바디의 직경보다 더 작게 구비되어 상기 제2공급부의 내주면에 투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지바디에 안착되어 상기 제2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실링할 수 있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1020200047701A 2020-04-20 2020-04-20 압축기 KR102407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701A KR102407603B1 (ko) 2020-04-20 2020-04-20 압축기
US17/920,262 US20230175509A1 (en) 2020-04-20 2021-04-13 Compressor
DE112021002432.9T DE112021002432T5 (de) 2020-04-20 2021-04-13 Verdichter
CN202190000424.1U CN218598359U (zh) 2020-04-20 2021-04-13 压缩机
PCT/KR2021/004626 WO2021215733A1 (ko) 2020-04-20 2021-04-13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701A KR102407603B1 (ko) 2020-04-20 2020-04-20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794A KR20210129794A (ko) 2021-10-29
KR102407603B1 true KR102407603B1 (ko) 2022-06-13

Family

ID=7823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701A KR102407603B1 (ko) 2020-04-20 2020-04-20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75509A1 (ko)
KR (1) KR102407603B1 (ko)
CN (1) CN218598359U (ko)
DE (1) DE112021002432T5 (ko)
WO (1) WO20212157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3486A (ja) * 1984-08-22 1986-03-17 Hitachi Ltd スクロ−ル圧縮機
JPS6245429A (ja) 1985-08-23 1987-02-27 Sato Seiki:Kk バ−リング加工に於けるフランジ部の割れ防止方法
JPH073228B2 (ja) * 1986-12-16 1995-01-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ロ−ル気体圧縮機
US4950795A (en) * 1987-08-27 1990-08-21 Ciba-Geigy Corporation Oligomeric benzil ketals and their use as photoinitiators
JP2002180981A (ja) * 2000-12-12 2002-06-26 Toyota Industries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02257062A (ja) * 2001-02-27 2002-09-11 Aisin Seiki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1934295B1 (ko) * 2018-01-16 2019-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WO2019193796A1 (ja) * 2018-04-03 2019-10-10 株式会社Nttドコモ 対話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1002432T5 (de) 2023-02-23
US20230175509A1 (en) 2023-06-08
KR20210129794A (ko) 2021-10-29
CN218598359U (zh) 2023-03-10
WO2021215733A1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3958B1 (en) Compressor and refriger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248608B2 (en) Compressor having centrifugation and differential pressure structure for oil supplying
JP2010525240A (ja) 圧縮機及びそのオイル供給構造
KR102206246B1 (ko) 압축기
KR102329423B1 (ko) 압축기
KR102407603B1 (ko) 압축기
KR102302329B1 (ko) 압축기
KR102331606B1 (ko) 압축기
KR102191874B1 (ko) 압축기
KR102448868B1 (ko) 압축기
KR102344070B1 (ko) 압축기
KR102340237B1 (ko) 압축기
KR102318551B1 (ko) 압축기
KR102373831B1 (ko) 압축기
KR102464109B1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