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293B1 -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293B1
KR102407293B1 KR1020210089666A KR20210089666A KR102407293B1 KR 102407293 B1 KR102407293 B1 KR 102407293B1 KR 1020210089666 A KR1020210089666 A KR 1020210089666A KR 20210089666 A KR20210089666 A KR 20210089666A KR 102407293 B1 KR102407293 B1 KR 102407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sulator
rod
wall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효숙
Original Assignee
(주)현대인사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인사이트 filed Critical (주)현대인사이트
Priority to KR102021008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탑의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고정애자; 및 상기 배전탑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탑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는 외부환경 파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애자는, 절연재질의 봉체(11)가 형성되고, 봉체(11)에 다수개의 걸림돌기부(12)가 돌출 형성되는 절연봉(10); 한 쌍의 애자반체(21)로 이루어지고, 애자반체(21)의 서로 맞닿는 면 중앙에 수직으로 봉홈(22)이 형성되며, 봉홈(22)의 중앙에 절연봉(10)의 걸림돌기부(12)와 동일한 형상으로 걸림홈(23)이 형성되는 조립식애자(20);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반체(31)가 서로 결합되며, 체결반체(31)의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봉홈(33)이 형성되고, 봉홈(33)의 상단에 돌기홈(34)이 형성되며, 한 쌍의 체결반체(31)가 서로 합쳐진 상태에서 중앙으로 볼트부(35)가 돌출형성되는 체결구(3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Insulator fixing system of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전소에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되는 배전선로 중에서 파손되는 애자의 교체가 용이하고, 조립과 설치가 간편하면서 한편으로 선로고정체로부터 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주 또는 철탑은 상호 간에 다수의 배전선로를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전선로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 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배전되는 선로의 절연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지하기 위한 애자는 배전되는 전압에 따라 사용되는 개수에 차이가 있고 이하에 기재된 기술은 배전선로에 관한 것이며, 애자는 여러가기 원인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다.
한편, 변압기는 입력되는 전압을 설계된 비율로 승압하거나 강압하는 구성이며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력을 적은 손실로 목적지 까지 송전하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올리거나 또는 해당 목적지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전압으로 낮추는데 사용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을 지칭하거나 또는 배전하는데 최종적으로 사용되는 필요한 전압으로 낮추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송전선로는 비교적 높은 고압 레벨의 전력을 특정 목적지로 보내는 전기선로이고, 배전선로는 비교적 낮은 전압의 레벨로 변환된 전력을 각 해당 사용처에 분배 또는 공급하는 전기선로를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송전선로와 배전선로를 일괄 호칭하는 경우 송배전선로 또는 선로라 지칭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변전소와 변전기와 변압기는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배전선로용 전주(철탑)용 조립식 고정금구는 선로고정체로부터 배전선로를 비, 바람, 눈, 조류 등의 영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배전선로 주변의 상황파악과 관리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실시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을 물리적 내구성, 내진성능 등을 모두 감안하여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은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6720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를 배전하는 선로 중에서 파손되는 애자의 교체가 용이하고, 조립과 설치가 간편한 한편, 선로고정체로부터 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전기 배전선로의 애자고정을 제공하는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애자고정 주변의 지상의 상황에 어떤 일들이 진행되거나 진행될 여지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배전탑 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물론 배전탑 제반구성 등에 의한 부정적 영향에 노출되는 대상의 여부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전탑 제반구성 등에 미치는 지상의 여러 요인을 파악하되,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여건에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상황파악 수단을 제공하되, 상황파악을 위한 수단 자체의 안정적 취급과 유지 관리 운용이 가능하게 해주는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전탑 제반구성 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사전에 혹은 사후적으로 면밀히 파악하여 배전탑(전주, 철탑 등)의 설치 계획을 적절하게 수립하고 설치의 적정성을 파악할 수 있고, 설치후에도 안정적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으로서, 지중에 상기 배전탑 등 설치위치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지중의 선정된 위치에 상기 배전탑 등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전탑 등이 설치된 상부 지면 주변에 외부환경 파악유닛(1000)을 설치하여 상기 배전탑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탑 등은, 지중 배전선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지중 배전선로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중 배전선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상위 서버; 전력구 내 전력설비인 환풍설비 및 조명의 작동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센서부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지중 배전선로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중 배전선로의 부분방전을 감지하는 부분방전 감지센서; 상기 지중 배전선로와 함께 광케이블의 형태로 포설되어, 상기 지중 배전선로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중에 설치되는 광복합 케이블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의 고장여부를 설정 주기로 검사할 수 있는 광복합 지중 배전, 배전 및 변전케이블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중의 상부인 지상의 상황에 어떤 일들이 진행되거나 진행될 여지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배전탑 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의 여부를 고려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전탑 제반구성 등에 미치는 지상의 여러 요인을 파악하되,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여건에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상황파악 수단을 제공하되, 상황파악을 위한 수단 자체의 안정적 취급과 유지 관리 운용이 가능하게 해주는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전탑 제반구성 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사전에 혹은 사후적으로 면밀히 파악하여 배전탑의 설치 계획을 적절하게 수립하고 설치의 적정성을 파악할 수 있고, 설치후에도 안정적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파악 수단 자체의 구조적 내진성능과 충격완화 등을 기반으로 구조물의 잔성을 부여 및 상황파악을 위한 기능적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전기 배전선로용 애자고정이 배전탑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전기 배전선로용 애자고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전기 배전선로용 애자고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전기 배전선로용 애자고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전기 배전선로용 애자고정에서 암고정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전기 배전선로용 애자고정에서 절연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전기 배전선로용 애자고정에서 선로고정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전기 배전선로용 애자고정에서 체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전기 배전선로용 애자고정에서 일측 애자반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전기 배전선로용 애자고정에서 타측 애자반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전기 배전선로용 애자고정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도 1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복합 지중 배전, 배전 및 변전케이블 감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배전탑과 전주와 철탑은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전기 배전선로용 애자고정은 절연봉(10)에 다수개의 조립식애자(20)를 결합시켜 고정하고, 절연봉(10)의 양단에 체결구(30)를 고정하며, 체결구(30)에 각각 선로고정체(40), 암고정체(50)와 같은 단말부 고정체를 고정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절연봉(10)은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봉체(11)가 형성되고, 봉체(11)에 다수개의 걸림돌기부(12)가 돌출 형성된다. 걸림돌기부(12)는 봉체(11)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봉체(11) 양단 사이 구간에도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걸림돌기부(12) 봉체(11)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조립식 애자(20)의 걸림홈(23)에 삽입되어 조립식애자(2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조립식애자(20)는 한 쌍의 애자반체(21)로 이루어지고, 애자반체(21)의 서로 맞닿는 면 중앙에 수직으로 봉홈(22)이 형성되며, 봉홈(22)의 중앙에 절연봉(10)의 걸림돌기부(12)와 동일한 형상으로 걸림홈(23)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홈(23)에 절연봉(10)의 걸림돌기부(12)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애자반체(21) 중 일측 애자반체(21)의 서로 맞닿는 면에 한 쌍의 결합홀(24)이 수평으로 외측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홀(24)은 봉홈(22)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다.
한 쌍의 애자반체(21) 중 타측 애자반체(21)의 서로 맞닿는 면에 상기 결합홀(24)에 삽입되도록 결합봉(25)이형성되고, 결합봉(25)은 쪼개져 두 부분으로 나뉘도록 절개부(25-1)가 형성되되 절개부(25-1)의 서로 맞닿는 면중앙에 나사홈(25-2)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봉(25)이 결합홀(24)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홈(25-2)에 나사를 체결하면 절개부(25-1)가 벌어지면서 결합홀(24)의 내경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사용하는 나사 또한 절연재질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조립식애자(20) 또한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재질로 형성한다. 체결구(30)는 절연봉(10)의 상하단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선로고정체(40)와 암고정체(50) 같은 단말의 고정체를 고정하도록 한다.
체결구(30)는 한 쌍의 체결반체(31)가 합쳐진 상태가 원통형이 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체결반체(31) 측단부에 플랜지(32)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결합수단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되 금속을 피하고 절연재질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다. 그리고 체결반체(31)의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봉홈(33)이 아래를 향하여 형성되고, 봉홈(33)은 체결반체(31)의 중간에서 하단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홈(33)의 상단에 돌기홈(34)이 형성되어 절연봉(1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부(12)의 봉체(11) 일부가 삽입된다. 이러한 한 쌍의 체결반체(31)가 서로 합쳐진 상태에서 몸체 외측면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상면 중앙으로 볼트부(35)가 돌출 형성된다. 이는 한 쌍의 체결반체(31)가 합쳐진 상태에서 하나의 볼트 역할을 하게 된다.
체결구(30)에 고정되어 배전선로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로고정체(40)가 구비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결구(30)의 볼트부(35)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볼트체결부(41)가 형성되고, 볼트체결부(41)의 외측 단부에 고리부(42)가 형성된다. 고리부(42)에 배전선로를 고정할 수 있고, 고리부(4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선로고정체(40)는 체결구(30)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암고정체(50)는 배전탑암(1)에 조립식애자(2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암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ㄱ자 형상의 배전탑암(1)에 고정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ㄱ자 형상의 배전탑암(1)에 고정되도록 ㄱ자 형상으로 고정판체(51)가 형성되고, 고정판체(51)의 일측에 걸림부(52)가 절곡형성되어 배전탑암(1)의 일측단에 끼워져 고정된다. 암고정체(50)는 고정판체(51)의 일측 외측면 중앙에 볼트체결부(54)가 형성되어 체결구(30)의 볼트부(35)와 체결고정되고, 고정판체(51)의 일측에 볼트홀(53)이 형성되어 배전탑암(1)에 형성된 홀(1-1)과 동시에 관통하도록 볼트로 고정하게 된다.
암고정체(50)는 걸림부(52)부터 배전탑암(1)에 끼우면서 회전시키면 밀착되고 배전탑암(1)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면 완전히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전기 배전선로용 애자고정은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고정체(40)로부터 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100)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100)는 선로고정체(40)를 중심으로 배전선로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고리부(42)로 집중되는 배전선로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력 변화에 따른 대응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00)는 선로고정체(40)가 결합된 체결구(3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봉체(1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체결구(30)에 안착되는 고정링(110), 지지링(110)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대(120), 배전선로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지지링(130), 하단부가 지지링(130)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고정대(120)를 통과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바(140) 및 고정대(1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지지바(140)가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조절봉(150)을 포함한다. 한 쌍의 애자반체(21)는 서로 접하는 사이로 우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접하는 외측 둘레가 실리콘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즉, 실리콘은 한 쌍의 애자반체(21)가 서로 접하면서 형성되는 라인을 기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고정링(110)은 원형을 이루며, 내경이 걸림돌기부(12)를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링(110)은 체결구(30)가 봉체(11)로 결합되기 전에 봉체(11)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체결구(30)가 봉체(11)로 결합됨에 따라 봉체(11)로부터 분리됨이 없이 체결구(30)에 안착될 수 있다. 고정링(110)은 상,하부면 및 내주면에 절연재질의 마찰방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방지부재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봉체(11)나 체결구(30)와의 접촉 등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고정대(120)는 일단부가 고정링(110)의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배전선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우징(121), 일단부가 하우징(121)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타단부에 조절봉(150)이 구비되는 이동바(122) 및 이동바(122)를 하우징(121)에 결속하는 결속수단(123)을 포함한다. 하우징(121)은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공(121a)이 형성된다.
이동바(122)는 상부에 가이드공(121a)을 통해 하우징(12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22a)가 형성된다.
결속수단(123)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가이드돌기(122a)로 나사결합되면서 이동바(122)를 하우징(121)에 결속한다.
결속수단(123)은 풀림 회전에 따라 이동바(122)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고리부(42)와 지지링(130) 간의 이격거리가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결속수단(123)은 지지링(130)의 위치가 조정되면, 조임 회전에 따라 이동바(122)가 하우징(121)에 결속될 수 있도록 하여 위치 조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링(130)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주면에 완충부재(131)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131)는 이동바(122)의 이동에 따른 배전선로와의 접촉 및 마찰이 최소가 되도록 배전선로와 접하는 표면에 반구 형태의 돌기(131a)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140)는 하부가 지지링(130)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조절봉(150)에 나사결합된다.
조절봉(150)은 상,하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며, 베어링 등에 의해 이동바(12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조절봉(15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회전에 따라 지지바(140)와 함께 지지링(130)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조절봉(150)은 회전에 따라 지지바(140)와 함께 지지링(130)이 승,하강되도록 하여 지지링(130)에 지지된 배전선로와 고정대(120) 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한다.
지지링(130)은 조절봉(150)의 회전에 따라 고리부(42)보다 상부에 위치되거나, 고리부(42)와 대략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이때의, 배전선로는 고리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상방향으로 들어져 'V'자 형태를 이루거나, 고리부(42)와 대략 동일선상이 위치되면서 수평을 이룬다.
즉, 조절봉(150)은 정회전에 따라 지지링(140)이 승강되도록 하여 선로고정체(40)를 중심으로 배전선로의 양측이 들어 올려지도록 한다.이와 반대로, 조절봉(150)은 역회전에 따라 지지링(140)이 하강되도록 하여 선로고정체(40)를 중심으로 양측이 하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조절봉(140)은 계절이나 온도 변화 등에 따른 배전선로의 수축,팽창에 따라 배전선로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부(100)는 선로고정체(40)를 중심으로 배전선로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고리부(42)로 집중되는 배전선로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은 것은 물론, 계절이나 온도 변화 등에 따른 배전선로의 수축,이완에 따라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도 1에 따른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탑의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고정애자; 및 상기 배전탑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탑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는 외부환경 파악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애자는, 절연재질의 봉체(11)가 형성되고, 봉체(11)에 다수개의 걸림돌기부(12)가 돌출 형성되는 절연봉(10); 한 쌍의 애자반체(21)로 이루어지고, 애자반체(21)의 서로 맞닿는 면 중앙에 수직으로 봉홈(22)이 형성되며, 봉홈(22)의 중앙에 절연봉(10)의 걸림돌기부(12)와 동일한 형상으로 걸림홈(23)이 형성되는 조립식애자(20);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반체(31)가 서로 결합되며, 체결반체(31)의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봉홈(33)이 형성되고, 봉홈(33)의 상단에 돌기홈(34)이 형성되며, 한 쌍의 체결반체(31)가 서로 합쳐진 상태에서 중앙으로 볼트부(35)가 돌출형성되는 체결구(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환경 파악유닛(1000)은, 지면에 설치되는 메인지지대(1100)와 상기 메인지지대(1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주변상황을 감시하는 상황파악모듈(121,131,141)과, 지면에 메인지지대(1100)의 일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1서포트지지대(1300)와, 지면에 메인지지대(1100)의 타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2서포트지지대(1400)와, 지면에 상기 제1서포트지지대(1300)의 외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3서포트지지대(1500)와, 지면에 상기 제2서포트지지대(1400)의 외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4서포트지지대(16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서포트지지대(1300)는 내벽으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메인지지대(1100)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지지대(1100)를 고정하며 내벽에 제1돌출패널(1320)과, 상기 제1돌출패널(1320)보다 상부에 위치되며 내벽으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메인지지대(1100)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지지대(1100)를 고정하며 내벽에 제2돌출패널(1310)을 포함한다. 상기 제2서포트지지대(1400)는 내벽으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메인지지대(1100)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지지대(1100)를 고정하며 내벽에 제3돌출패널(1420)과, 상기 제3돌출패널(1420)보다 상부에 위치되며 내벽으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메인지지대(1100)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지지대(1100)를 고정하며 내벽에 제4돌출패널(14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서포트지지대(1500)는 내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서포트지지대(1300)를 관통하고 상기 메인지지대(1100)를 접하여 누르는 제1관통체(15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관통체(1510)는 하부로 출몰하는 제1하방출몰체(1511)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돌출패널(1320)의 상부를 누르며, 상부로 출몰하는 제1상방출몰체(1512)가 구비되어 상기 제2돌출패널(1310)의 하부를 누름으로서, 상기 제1돌출패널(1320)과 상기 제2돌출패널(1310) 간에 고정힘을 동시에 가하며, 상기 제4서포트지지대(1600)는 내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2서포트지지대(1400)를 관통하고 상기 메인지지대(1100)를 접하여 누르는 제2관통체(1610)를 포함한다.
상기 제2관통체(1610)는 하부로 출몰하는 제2하방출몰체(1611)가 구비되어 상기 제3돌출패널(1420)의 상부를 누르며, 상부로 출몰하는 제2상방출몰체(1612)가 구비되어 상기 제4돌출패널(1410)의 하부를 누름으로서, 상기 제3돌출패널(1420)과 상기 제4돌출패널(1410) 간에 고정힘을 동시에 가한다, 상기 외부환경 파악유닛(1000)은, 상기 제3서포트지지대(1500)와 상기 제4서포트지지대(1600)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메인지지대(1100)를 관통하는 연결체(171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황파악모듈(121,131,141)은 상기 메인지지대(1100)와 연결되는 본체(1211,1311,1411)와, 상기 본체(1211,1311,1411)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촬영체(1212,1312,1412)와, 상기 본체(1211,1311,1411)상부에 안착되는 독립비행체(1213,1313,1413)를 포함하며, 상기 독립비행체(1213,1313,1413)는 상기 본체(1211,1311,1411)에 안착되며 상기 본체(1211,1311,1411)에 설치된 충전부(1240)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되, 비행 혹은 안착된 상태에서 각각 촬영을 별도로 수행한다.
상기 상황파악모듈(121,131,141)은, 최상단의 제1상황파악모듈(121)과, 최하단의 제2상황파악모듈(131)과, 상기 제1상황파악모듈(121)과 상기 제2상황파악모듈(131) 사이에 구비되는 제3상황파악모듈(141)을 포함한다.
상기 제2촬영체(1312)는 상기 제4서포트지지대(1600)로부에 설치되는 제2연동받침체를 통해 하부가 지탱되며 상기 제3상황파악모듈(141)의 촬영체인 제3촬영체(1412)는 상기 제3서포트지지대(1500)에 설치되는 제3연동받침체를 통하여 지탱된다,
상기 제1연동받침체는, 상기 제2촬영체(1312)에 설치되는 제1수직플레이트(1811)와, 상기 제1수직플레이트(1811)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제1가이드편(1813)을 통해 상기 제1촬영체(1212)에 장착되는 제1수평플레이트(18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동받침체는, 상기 제3서포트지지대(1500)에 설치되는 제2수직플레이트(1911)와, 상기 제2수직플레이트(1911)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제2가이드편을 통해 상기 제3촬영체(1412)에 장착되는 제2수평플레이트(19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연동받침체는, 상기 제4서포트지지대(1600)에 설치되는 제3수직플레이트(2011)와, 상기 제3수직플레이트(2011)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제3가이드편(2012)을 통해 상기 제2촬영체(1312)에 장착되는 제3수평플레이트(2013)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편(1813) 내지 상기 제3가이드편(2012)은 회전을 통해 각각 상기 제1촬영체(1212) 내지 상기 제3촬영체(1412)를 고정시킨다. 상기 상황파악모듈(121,131,141)을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보호하면서 제한된 상태로 운용하기 위한 외장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외장모듈은, 상기 지면상에 상기 제3서포트지지대(15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외곽몸체(2110)와, 상기 제1외곽몸체(2110)의 상부로 설치되어 상기 상황파악모듈(121,131,141)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제1보호패널(2120)과, 상기 지면상에 상기 제4서포트지지대(16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2외곽몸체(3110)와, 상기 제2외곽몸체(3110)의 상부로 설치되어 상기 상황파악모듈(121,131,141)읠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제2보호패널(3120)과, 상기 제1보호패널(2120) 상부에 설치되는 제1마감패널(2130)과 상기 제2보호패널(3120) 상부에 설치되는 제2마감패널(3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1마감패널(2130)은 내부에서 상기 제2마감패널(3130)측으로 왕복 이동하여 개폐되는 개폐패널(2131)이 구비되며, 상기 독립비행체(1213,1313,1413)는 상기 개폐패널(2131)을 통해 외부로 출격하고 외부의 상황을 촬영하고, 상기 개폐패널(2131)의 개폐를 통해 상기 상황파악모듈(121,131,141)은 설정된 기간과 필요에 따라 외부환경으로부터 노출을 최소화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와곽몸체(2110)의 외측에 제1와곽연동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외곽연동모듈은, 상기 지면(S)에 설치되는 제1하층구동부(4110)와, 상기 제1하층구동부(4110)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1상층구동부(4120)와, 상기 제1상층구동부(4120)로부터 상기 제1외곽몸체(2110), 상기 제3서포트지지대(1500)를 관통하여 상기 제1서포트지지대(1100)에 삽입장착되는 제1연동몸체(4130)와, 상기 제2와곽몸체(3110)의 외측에 제2와곽연동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제2외곽연동모듈은, 상기 지면(S)에 설치되는 제2하층구동부(5110)와, 상기 제2하층구동부(5110)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2상층구동부(5120)와, 상기 제2상층구동부(5120)로부터 상기 제2와곽몸체, 상기 제4서포트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서포트지지대에 삽입장착되는 제2연동몸체(5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동몸체(4130)와 상기 제2연동몸체(5130)는 상기 제1상층구동부(4120)와 상기 제2상층구동부(5120)상에서 각각 축회전되어 상기 제1서포트지지대(1300)와 상기 제2서포트지지대(1400)를 고정한다. 상기 제1상층구동부(4120)와 상기 제2상층구동부(5120)는 각각 상기 제1하층구동부(4110)와 상기 제2하층구동부(5110)에서 전후 이동되며, 상기 전후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연동몸체(4130)와 상기 제2연동몸체(5130)는 각기 상기 제1서포트지지대(1300)와 상기 제2서포트지지대(1400)를 푸시하여 고정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절연봉 20 : 조립식애자
30 : 체결구 40 : 선로고정체

Claims (3)

  1.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탑의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고정애자; 및 상기 배전탑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탑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는 외부환경 파악유닛(1000)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애자는,
    절연재질의 봉체(11)가 형성되고, 봉체(11)에 다수개의 걸림돌기부(12)가 돌출 형성되는 절연봉(10); 한 쌍의 애자반체(21)로 이루어지고, 애자반체(21)의 서로 맞닿는 면 중앙에 수직으로 봉홈(22)이 형성되며, 봉홈(22)의 중앙에 절연봉(10)의 걸림돌기부(12)와 동일한 형상으로 걸림홈(23)이 형성되는 조립식애자(20);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반체(31)가 서로 결합되며, 체결반체(31)의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봉홈(33)이 형성되고, 봉홈(33)의 상단에 돌기홈(34)이 형성되며, 한 쌍의 체결반체(31)가 서로 합쳐진 상태에서 중앙으로 볼트부(35)가 돌출형성되는 체결구(3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환경 파악유닛(1000)은,
    지면에 설치되는 메인지지대(1100)와, 상기 메인지지대(1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주변상황을 감시하는 상황파악모듈(121,131,141)과, 지면에 메인지지대(1100)의 일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1서포트지지대(1300)와, 지면에 메인지지대(1100)의 타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2서포트지지대(1400)와, 지면에 상기 제1서포트지지대(1300)의 외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3서포트지지대(1500)와, 지면에 상기 제2서포트지지대(1400)의 외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4서포트지지대(16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서포트지지대(1300)는,
    내벽으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메인지지대(1100)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지지대(1100)를 고정하며 내벽에 제1돌출패널(1310)과, 상기 제1돌출패널(1310)보다 상부에 위치되며 내벽으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메인지지대(1100)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지지대(1100)를 고정하며 내벽에 제2돌출패널(1320)을 포함하며,
    상기 제2서포트지지대(1400)는,
    내벽으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메인지지대(1100)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지지대(1100)를 고정하며 내벽에 제3돌출패널(1410)과, 상기 제3돌출패널(1410)보다 상부에 위치되며 내벽으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메인지지대(1100)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지지대(1100)를 고정하며 내벽에 제4돌출패널(1420)을 포함하며,
    상기 제3서포트지지대(1500)는 내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서포트지지대(1300)를 관통하고 상기 메인지지대(1100)를 접하여 누르는 제1관통체(15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관통체(1510)는,
    하부로 출몰하는 제1하방출몰체(1511)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돌출패널(1310)의 상부를 누르며, 상부로 출몰하는 제1상방출몰체(1512)가 구비되어 상기 제2돌출패널(1320)의 하부를 누름으로서, 상기 제1돌출패널(1310)과 상기 제2돌출패널(1320) 간에 고정힘을 동시에 가하며,
    상기 제4서포트지지대(1600)는 내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2서포트지지대(1400)를 관통하고 상기 메인지지대(1100)를 접하여 누르는 제2관통체(16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관통체(1610)는,
    하부로 출몰하는 제2하방출몰체(1611)가 구비되어 상기 제3돌출패널(1410)의 상부를 누르며, 상부로 출몰하는 제2상방출몰체(1612)가 구비되어 상기 제4돌출패널(1420)의 하부를 누름으로서, 상기 제3돌출패널(1410)과 상기 제4돌출패널(1420) 간에 고정힘을 동시에 가하는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089666A 2021-07-08 2021-07-08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 KR10240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666A KR102407293B1 (ko) 2021-07-08 2021-07-08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666A KR102407293B1 (ko) 2021-07-08 2021-07-08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293B1 true KR102407293B1 (ko) 2022-06-13

Family

ID=8198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666A KR102407293B1 (ko) 2021-07-08 2021-07-08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2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39995A (zh) * 2022-11-14 2023-04-07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海盐县供电公司 一种便于已脱落令克带电固定器安装的带电安装工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205B1 (ko) 2010-02-05 2010-07-05 성지파워 주식회사 송전용 가공선로의 애자고정식 완철
KR20180074247A (ko) * 2016-12-23 2018-07-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이벤트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2011011B1 (ko) * 2018-08-31 2019-10-14 (주)월명기술단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구조
KR102076801B1 (ko) * 2019-04-29 2020-02-12 (주)금강엔지니어링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한 특고압 배전선로
KR102147192B1 (ko) * 2020-04-07 2020-08-25 (주)이산기술단 드론을 활용한 전신주간 배전선로 전력설비 감시 시스템
KR102269832B1 (ko) * 2021-03-03 2021-06-28 장덕혜 배전 전신주 매립 고정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205B1 (ko) 2010-02-05 2010-07-05 성지파워 주식회사 송전용 가공선로의 애자고정식 완철
KR20180074247A (ko) * 2016-12-23 2018-07-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이벤트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2011011B1 (ko) * 2018-08-31 2019-10-14 (주)월명기술단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구조
KR102076801B1 (ko) * 2019-04-29 2020-02-12 (주)금강엔지니어링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한 특고압 배전선로
KR102147192B1 (ko) * 2020-04-07 2020-08-25 (주)이산기술단 드론을 활용한 전신주간 배전선로 전력설비 감시 시스템
KR102269832B1 (ko) * 2021-03-03 2021-06-28 장덕혜 배전 전신주 매립 고정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39995A (zh) * 2022-11-14 2023-04-07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海盐县供电公司 一种便于已脱落令克带电固定器安装的带电安装工具
CN115939995B (zh) * 2022-11-14 2023-11-14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海盐县供电公司 一种便于已脱落令克带电固定器安装的带电安装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7162B1 (en) Mounting apparatus to secure a solar panel rail to stone-coated metal tile roofs
US9271563B2 (en) Portable self powered line mountable electric power line current monitor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KR102407293B1 (ko) 변전소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 시스템
US20100236609A1 (en) Photovoltaic solar panel mounting system
US10320325B1 (en) Mounting apparatus to secure solar panel rails to stone-coated metal tile roofs
US7964983B2 (en) Retrofittable wind powered electric generator
KR100861795B1 (ko) 전주의 배전식 가공전선 이음구조
KR102333246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356092B1 (ko)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시시스템
CN113810660A (zh) 输电线路防外力破坏检测装置及具有其的杆塔
CN210092778U (zh) 一种电缆支架
CN110716098A (zh) 一种复合绝缘子湿工频淋雨试验装置
KR101895805B1 (ko)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US20240039463A1 (en) Cable hanger
CN116443285A (zh) 飞行器组件和线缆的检修方法
KR102404289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고장구간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2052538B1 (ko) 장력 유지가 가능한 송전선로의 철탑구조
KR101206495B1 (ko)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US105416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objects on roofs and surfaces
KR20210031118A (ko) 가공송전선로용 이도조정장치
CN219198645U (zh) 隧道的接触网和视频组件的集成装置
KR102571431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 공급 설비
CA2831225A1 (en) Portable self powered line mountable electric power line and environment parameter monitor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CN220271237U (zh) 一种支柱瓷绝缘子相控阵超声探头
CN212059192U (zh) 一种桩端应力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