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276B1 -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276B1
KR102407276B1 KR1020210161697A KR20210161697A KR102407276B1 KR 102407276 B1 KR102407276 B1 KR 102407276B1 KR 1020210161697 A KR1020210161697 A KR 1020210161697A KR 20210161697 A KR20210161697 A KR 20210161697A KR 102407276 B1 KR102407276 B1 KR 102407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ser
information
seller
communic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6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에 관한 것이며,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는 판매자가 소지한 판매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상품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상품 관리부; 및 사용자가 상기 상품 관리부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제1 상품에 대한 문의를 희망하여 상품 문의 버튼을 클릭한 경우, 사용자와 판매자 간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소통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소통 공간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통 공간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판매자 간에 양방향으로 상기 제1 상품과 관련된 질의응답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SELLING PRODUCTS BASED ON TWO-WAY COMMUNICATION}
본원은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품 판매 방식으로는 온라인 쇼핑몰 판매 방식, 라이브 커머스 방식, 방문판매 또는 대면영업판매 방식, 전화권유판매 방식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상품 판매 방식은 고객이 특정 상품에 대하여 질의(문의)하는 것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응답(답변)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쇼핑몰 판매 방식은 오픈마켓에 입점하거나 자체 쇼핑몰을 구축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방식은 일반적으로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 내 문의 게시판에 사용자가 문의글을 업로드하면, 업로드된 문의글을 본 판매자가 해당 문의글에 대한 답변을 남기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판매자가 원하는 시간에 답변을 남기는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와 판매자 간에 실시간 양방향 소통이 어려운 구조(즉, 사용자의 문의글에 대한 판매자의 응답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프로세스)라 할 수 있다.
라이브 커머스 방식은 실시간 방송으로 상품을 설명하고 구매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방식은 라이브(실시간) 방송이 진행되는 시점에서만 상품 문의와 답변이 가능할 뿐 라이브 방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는 상품 문의와 답변이 불가능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라이브 커머스 방식은 일반적으로 방송 중에 1명의 판매자와 N명의 사용자가 소통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수의 사용자(N명의 사용자)가 질의하는 내용 중 일부의 질의에 대해서만 답변이 가능할 뿐, 모든 질의에 대한 답변을 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반문판매 및 대면영업판매 방식은 고객을 직접 대면하여 상품(물품)을 판매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방식은 직접 대면을 이용한 판매 방식이기 때문에 고객에게 부담감 및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전화권유판매 방식은 전화 연결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방식은 고객이 다른 상품과 비교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일방적인 권유 방식에 의하면 고객에게 큰 거부감을 안겨줄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가 상품을 판매하고 고객이 상품을 구매하거나 질의하는 데에 있어서, 판매자와 고객 간에 실시간 양방향 소통(상담)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객에게는 상품에 대해 보다 만족스러운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고, 판매자에게는 보다 많은 영업 기회와 고객 관리가 용이해지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301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매자와 고객 간에 실시간 양방향 소통(상담)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객에게는 상품에 대해 보다 만족스러운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고, 판매자에게는 보다 많은 영업 기회와 고객 관리가 용이해지도록 하는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는, 판매자가 소지한 판매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상품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상품 관리부; 및 사용자가 상기 상품 관리부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제1 상품에 대한 문의를 희망하여 상품 문의 버튼을 클릭한 경우, 사용자와 판매자 간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소통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소통 공간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통 공간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판매자 간에 양방향으로 상기 제1 상품과 관련된 질의응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통 공간 제공부는, 상기 소통 공간의 생성을 위해 화상 통화 연결, 음성 통화 연결 및 채팅방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통 공간 제공부는, 상기 제1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기 설정한 문의 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소통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자 단말은 보험 서비스 및 통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상기 상품 관리부에 더 등록하고, 상기 소통 공간 제공부는, 사용자가 상기 상품 관리부에 기 등록된 복수의 서비스 중 제1 서비스의 구매를 희망하여 서비스 구매 버튼을 클릭한 경우, 상기 소통 공간으로서 채팅방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판매자와 고객 간에 실시간 양방향 소통(상담)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객에게는 상품에 대해 보다 만족스러운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고, 판매자에게는 보다 많은 영업 기회와 고객 관리가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제공되는 키워드 검색 아이콘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의 제어부가 제공하는 키워드 검색 아이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내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제공되는 매칭 상품의 목록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제공되는 구매 희망 상품의 상품 판매 페이지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에서 소통 공간으로서 채팅방이 생성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예(a)와 판매자 단말의 화면 표시 예(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에서 소통 공간으로서 음성 통화 연결이 이루어져 음성 기반 상담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예(a)와 판매자 단말의 화면 표시 예(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에서 소통 공간으로서 화상 통화 연결이 이루어져 음성 기반 상담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예(a)와 판매자 단말의 화면 표시 예(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시스템(1000)을 설명의 편의상 본 시스템(1000)라 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0)은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1), 사용자 단말(2) 및 판매자 단말(3)을 포함할 수 있다.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1)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1)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라 하기로 한다.
본 시스템(1000) 내 각 구성들(즉, 본 장치, 사용자 단말, 판매자 단말) 간에는 서로 네트워크(7)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7)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은 사용자(2')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2')는 본 장치(1)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로서, 구매자, 고객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은 구매자 단말, 고객 단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판매자 단말(3)은 판매자(3')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3')는 본 장치(1)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사용자(판매자)로서, 영업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 단말(3)은 영업자 단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자(2')가 소지한 단말인 사용자 단말(2) 및 판매자(3')가 소지한 단말인 판매자 단말(3)은 '단말'이라는 용어로 통칭될 수 있다.
본원에서 단말(즉, 사용자 단말과 판매자 단말 각각)은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장치(1)는 일예로 단말(사용자 단말, 판매자 단말)에 포함된 장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장치(1)는 단말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장치(1)를 통해 제공되는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일예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단말을 통해 사용자(구매자) 혹은 판매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본 장치(1)는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서버의 형태로 마련된 본 장치(1)는, 본 장치(1)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들(즉, 구매자들이나 판매자들)의 단말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본 장치(1)가 일예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에서 본 장치(1)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은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앱이라 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는 본 앱을 설치한 사용자들(구매자들이나 판매자들)의 단말의 동작(일예로 화면 표시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는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시스템 및 장치로서, 이는 실시간 양방향 상담(소통)을 통한 상품 판매 및 상담 데이터를 이용한 고객 관리 시스템 및 장치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 장치(1)는 온라인 상으로 상품을 판매하려는 판매자(3')가 보다 효율적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고, 온라인 상의 상품의 구매를 희망하는 사용자(2')가 보다 효율적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하 본원(본 시스템 및 본 장치)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상품 및 제2 상품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상품(혹은 서비스)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장치(1)는 상품 관리부(110), 소통 공간 제공부(120) 및 탐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관리부(110)는 판매자(3')가 소지한 판매자 단말(3)로부터 획득한 상품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사용자(2')가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제1 상품에 대한 문의를 희망하여 사용자 단말(2)에 표시된 상품 문의 버튼을 클릭한 경우, 상품 문의 버튼에 대한 클릭에 응답하여, 제1 상품에 대하여 문의하려는 사용자(2')와 제1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3') 간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소통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생성된 소통 공간을 사용자 단말(2)과 판매자 단말(3)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소통 공간의 생성을 위해 사용자 단말(2)의 연락처와 판매자 단말(3)의 연락처를 기반으로 화상 통화 연결, 음성 통화 연결 및 채팅방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소통 공간 제공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소통 공간은 화상 통화, 음성 통화 및 채팅방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 단말(3)의 연락처는 일예로 판매자가 본 장치(1)에 상품 정보 혹은 서비스 정보를 본 장치(1)에 등록할 때 함께 기록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의 연락처는 일예로 사용자가 본 앱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수행할 때 획득될 수 있다. 연락처의 획득 예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소통 공간 제공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소통 공간은 복수의 유형(일예로 3가지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예로 제1 유형의 소통 공간은 채팅방이고, 제2 유형의 소통 공간은 음성 통화이고, 제3 유형의 소통 공간은 화상 통화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통 공간의 유형의 종류 및 순서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소통 공간 제공부(120)에 의해 생성(제공)된 소통 공간을 통해, 사용자(2')와 판매자(3') 간에 양방향으로 제1 상품과 관련된 질의응답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제1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3')가 기 설정한 문의 수단을 기반으로 소통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문의 수단은 소통 공간의 유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화상 통화, 음성 통화 및 채팅방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3')가 기 설정한 문의 수단을 음성 통화로 설정해 두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사용자(2')가 제1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문의 버튼을 클릭한 경우, 상품 문의 버튼에 대한 클릭에 응답하여 사용자(2')와 판매자(3') 간에 음성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서로 간에 소통 공간(음성 통화 연결 기반의 소통 공간)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상품 문의 버튼에 대한 클릭에 응답하여, 음성 통화 연결 기반의 소통 공간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과 판매자 단말(3) 각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2')와 판매자(3')는 소통 공간 제공부(120)에 의해 제공되는 소통 공간인 음성 통화 연결을 통해 제1 상품과 관련하여 서로 질의응답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제1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3')가 기 설정한 문의 수단을 화상 통화와 음성 통화로 설정해 두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사용자(2')가 제1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문의 버튼을 클릭한 경우, 상품 문의 버튼에 대한 클릭에 응답하여 사용자(2')와 판매자(3') 간에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서로 간에 소통 공간(화상 통화 연결 기반의 소통 공간 또는 음성 통화 연결 기반의 소통 공간)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판매자(3')가 기 설정한 문의 수단이 복수개이되, 복수개의 문의 수단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기 설정해둔 경우,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판매자(3')가 기 설정해 둔 복수개의 문의 수단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소통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판매자(3')가 복수개의 문의 수단의 우선순위를 1순위는 채팅방, 2순위는 음성 통화, 3순위는 화상 통화로 기 설정해 두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사용자(2')가 제1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문의 버튼을 클릭한 경우, 상품 문의 버튼에 대한 클릭에 응답하여 소통 공간을 생성하되, 이때 1순위로 기 설정된 문의 수단(즉, 채팅방) 정보를 고려하여, 소통 공간으로서 채팅방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과 판매자 단말(3) 각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생성된 채팅방(즉, 제1 유형의 소통 공간인 채팅방) 내에서 사용자(2')가 판매자(3')에게 질의를 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5분) 내에 판매자(3')가 응답하지 않은 경우, 제1 유형의 소통 공간과는 다른 유형의 소통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판매자(3')가 2순위로 설정해둔 문의 수단이 음성 통화임을 고려하여, 일예로 다른 유형의 소통 공간의 생성시 음성 통화 연결(즉, 제2 유형의 소통 공간인 음성 통화)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채팅방의 생성 후 사용자(2')가 판매자(3')에게 질의를 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5분) 내에 판매자(3')가 응답하지 않으면, 사용자(2')가 질의를 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5분)이 경과된 시점에 자동으로 음성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즉, 다른 유형의 소통 공간이 생성되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제2 유형의 소통 공간(음성 통화)을 제공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5분) 내에 판매자(3')가 또 응답하지 않은 경우,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제2 유형의 소통 공간을 제공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시점에 자동으로 제3 유형의 소통 공간(즉, 화상 통화)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소통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함에 있어서, 제1 유형의 소통 공간(채팅방)이 제공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5분) 내에 판매자(3')가 응답하지 않으면(특히, 사용자가 질의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판매자가 응답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제2 유형의 소통 공간(음성 통화 연결)을 생성해 제공되도록 하고, 제2 유형의 소통 공간이 제공된 이후에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판매자가 응답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또 다른 소통 공간의 유형인 제3 유형의 소통 공간(화상 통화 연결)을 생성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는 일예로 채팅방에서 판매자가 응답하지 않을 때, 응답하지 않는 판매자에 대하여 자동으로 전화 연결(음성 통화 연결 내지 화상 통화 연결) 시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사용자가 채팅방 내에서 응답하지 않는 판매자로부터 보다 빠른 응답을 얻고자 하여(즉, 사용자 자신이 한 질의에 대한 대답을 보다 빨리 듣고자 하여) 취했던 행동이 갖는 불편함(즉, 사용자가 판매자의 연락처를 직접 찾아서 전화를 걸어야 했던 불편함, 특히, 판매자의 연락처를 찾는 데에 헤매서 시간이 오래 걸렸던 불편함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제1 유형의 소통 공간(채팅방)을 제공한 이후 판매자로부터 응답이 없어 일예로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5분)이 지난 시점에 자동으로 제1 유형과는 다른 유형의 소통 공간이 제공되었을 때(즉, 음성 통화 연결 또는 화상 통화 연결이 시도되었을 때), 제공된 다른 유형의 소통 공간에 대해서도 판매자가 여전히 응답이 없으면, 판매자 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미리 설정된 재촉 시간(일예로 3분)마다 다른 유형의 소통 공간의 제공을 재시도할 수 있다. 즉,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판매자 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미리 설정된 재촉 시간 마다 사용자(2')와 판매자(3') 간에 음성 통화 연결 또는 화상 통화 연결을 재시도할 수 있다.
또한,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재시도를 통해 판매자에게 응답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 단말(2)로 판매자의 응답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메시지(일예로 채팅방에서 판매자가 답장을 했음을 알리는 메시지, 다른 일예로 판매자와 음성 통화 혹은 화상 통화의 연결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예시적으로 '사용자님이 질의한 내용에 대해 판매자님이 응답하셨습니다. 확인해주세요'와 같은 메시지일 수 있다.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이러한 메시지를 예시적으로 제1 유형으로서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팝업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제1 유형으로 메시지를 제공한 이후, 미리 설정된 메시지 수신 응답 기한(일예로 10분) 내에 사용자(2')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했음에 대한 확인 응답(즉, 메시지 수신 확인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메시지 제공 유형을 제1 유형과는 다른 제2 유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를 제2 유형으로 제공하는 것은 일예로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팝업 형태로 표시됨과 더불어 사용자 단말(2)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형으로 메시지가 제공된 이후, 역시나 미리 설정된 메시지 수신 응답 기한 내에 사용자(2')로부터 메시지 수신 확인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제3 유형으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로 공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를 제3 유형으로 제공한다는 것은 일예로 메시지의 내용이 사용자 단말(2)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표출되도록 하는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판매자의 응답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메시지 수신 응답 기한(일예로 10분) 마다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다 메시지 수신 인식의 강도가 높은 메시지 제공 유형으로 바꾸어가며 재전송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즉,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판매자의 응답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메시지 수신 응답 기한 마다 제1 유형 → 제2 유형 → 제3 유형으로 바꾸어가며 재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1)는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즉, 사용자 자신이 한 질의에 대하여 판매자의 응답이 이루어졌음)에 대한 인식(인지)이 보다 효과적이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는 판매자로부터 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자동으로 소통 공간의 제공의 재시도(일예로 음성 통화 연결의 재시도, 화상 통화 연결의 재시도 등)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아가 제공된 소통 공간을 통해 사용자가 질의한 내용에 대해 판매자가 응답한 경우 판매자가 응답했음을 알리는 메시지(즉, 판매자의 응답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는 종래에 일예로 사용자가 특정 상품에 대해 질의를 하고자 직접 판매자의 연락처를 찾아 전화 연결을 수행하였는데 판매자가 전화를 받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취했던 행동이 갖는 불편함(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판매자와의 전화 연결을 끊은 후 다시 판매자의 연락처로 전화를 걸어야 했던 불편함, 사용자와 판매자 간에 전화 연결이 시도되는 기간 동안에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판매자와 전화 연결이 이루어졌는지(즉, 전화 연결 상태)를 신경쓰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는 사용자가 소통 공간(일예로 채팅창, 채팅방)을 통해 판매자에게 질의를 한 이후(일예로 1회의 질의를 한 이후) 판매자로부터 질의에 대한 응답이 없을 때 혹은 소통 공간(일예로, 음성 통화 연결, 화상 통화 연결)의 시도에 대하여 판매자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즉, 음성/화상 통화를 받지 않는 경우에), 소통 공간의 제공의 재시도를 통해 자동으로 재촉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재촉에 의해 판매자가 응답했을 때 그를 알리는 메시지(즉, 판매자가 응답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1)는 사용자로 하여금 판매자가 자신의 질의에 응답할 때까지 사용자가 직접 판매자를 재촉하게 하거나 판매자가 자신의 질의에 언제 답할지를 사용자가 계속 신경써서 기다리게 해야 하는 번거로움(불편함)이 해소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는 사용자가 상품 문의 버튼을 클릭하는 것 만으로도, 그 이후에 사용자가 판매자와의 연결 상태(채팅방에서 판매자가 응답했는지, 혹은 전화/화상 통화 연결이 이루어졌는지 등)를 별도로 신경 쓸 필요 없이, 판매자와 사용자 간에 소통이 이루어질 때까지(혹은 판매자가 응답할 때까지) 자동으로 판매자를 재촉(소통 공간의 제공 유형을 달리하며 재시도함으로써 재촉)하여 서로 간에 소통 공간을 통해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바, 판매자가 보다 사용자 자신의 질의에 실시간으로 응답하고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즉, 판매자와 사용자 간에 실시간 질의응답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품 관리부(110)가 판매자 단말(3)로부터 상품 정보를 획득하여 등록하고 관리하는 것으로만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상품 관리부(110)는 판매자 단말(3)로부터 상품 정보 뿐만 아니라, 보험 서비스 및 통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정보를 획득하여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판매자 단말(3)은 상품 관리부(110)에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판매 상품)에 관한 정보(상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판매자 단말(3)은 상품 관리부(110)에 자신이 판매하는 서비스(보험 서비스, 통신 서비스 등)에 관한 정보(서비스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일예로 서비스의 종류에 보험 서비스 및 통신 서비스가 포함된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에는 판매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다.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사용자(2')가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서비스 중 제1 서비스의 구매를 희망하여 서비스 구매 버튼을 클릭한 경우, 소통 공간으로서 채팅방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생성된 채팅방을 사용자 단말(2)과 제1 서비스를 판매하는 판매자의 단말(즉, 판매자 단말)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서비스 구매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이 이루어진 경우, 소통 공간으로서 채팅방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일예로 음성 통화 연결, 화상 통화 연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소통 공간 제공부(120)가 서비스 구매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에 응답하여 채팅방을 생성해 제공함으로써, 본 장치(1)는 생성된 채팅방을 통하여 사용자와 판매자(제1 서비스를 판매하는 판매자) 간에 전자계약서 발송 및 서명 등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와 판매자가 서로 간에 제1 서비스와 관련해 실시간으로 계약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술한 제1 상품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제1 서비스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또한, 도 1을 참조한 일예에서는, 본 장치(1)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이 1개(즉, 본 장치와 연동된 사용자가 1명)이고, 본 장치(1)와 연동되는 판매자 단말이 1개(즉, 본 장치와 연동된 판매자가 1명)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본 장치(1)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 및 복수의 판매자 단말 각각과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본 시스템(1000)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단말(3)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본 시스템(1000)에 포함된 복수의 판매자 단말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시스템(1000)에서 판매자(3')는 판매자 단말(3)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하여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품 관리부(110)에 등록할 수 있다. 특히, 판매자(3')는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또는 서비스)별로 자신이 수행 가능한 문의수단을 적어도 1개 이상 설정(지정)하여 상품 정보(또는 서비스 정보)와 함께 상품 관리부(110)에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품 관리부(110)에는 상품 정보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정보가 함께 등록되고 관리될 수 있는바, 후술하는 설명에서 상품 관리부(110)에 등록된 상품 정보라 함은 단순히 상품에 관한 정보(상품 정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개념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0)에서 사용자(2')(즉, 구매자, 고객)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할 수 있으며, 본 앱을 통해 복수의 판매자가 상품 관리부(110)에 등록해 둔 상품 정보(특히, 복수의 상품 정보와 복수의 서비스 정보) 중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서비스)에 대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2')는 탐색한 상품(서비스)에 대하여 바로 구매를 수행하거나 상담(문의, 질의)을 신청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1)에서의 상품 탐색은 일예로 기존의 쇼핑몰들과 동일한 형태의 방식으로 상품 탐색이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본 장치(1)의 탐색부(130)에 의한 상품 탐색 기능을 통해 상품 탐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탐색부(13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예로, 사용자(2')가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상품들 중 원하는 상품을 골라 고른 상품(즉, 탐색한 상품)에 대하여 바로 구매를 수행하는 경우, 본 장치(1)는 사용자 단말(2)에 대하여 일예로 소통 공간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사용자(2')가 고른 상품에 대하여 바로 구매하지 않고 상담을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2')는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일영역에 표시된 탐색된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문의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이후, 상품 문의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에 응답하여,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소통 공간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과 판매자 단말 각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생성된 소통 공간을 통해 사용자와 판매자 간에는 실시간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연결된 소통 공간을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탐색한 상품(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질의(문의, 상담)를 판매자에게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2')는 일예로 화상 통화, 음성 통화 및 채팅방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판매자에게 실시간으로 문의(질의)할 수 있다.
사용자(2')가 수행하는 상품에 대한 질의가 서비스 구매에 대한 질의인 경우, 본 장치(1)는 소통 공간으로서 일예로 채팅방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 서비스를 판매하는 판매자 간에 채팅방을 통하여 전자계약서 발송 및 서명 등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실시간으로 계약 진행이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는 예시적으로 보험, 통신 서비스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탐색부(1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탐색부(130)는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내지 서비스들)에 대한 상품 탐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탐색부(130)는 검색어 입력부(131) 및 제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어 입력부(131)는 사용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상품 검색어를 사용자 단말(2)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구매 희망 상품은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사용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혹은 탐색하고자 하는 상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탐색 희망 상품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의 유형에는 일예로 의류(반팔, 긴팔, 아우터 등과 같은 상의, 반바지, 긴바지 등과 같은 하의), 모자, 화장품, 가방, 휴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온라인으로 판매 가능한 각종 상품(물품, 물건)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상품 검색어로는 상품의 유형 정보, 상품명, 상품의 코드명(시리얼번호) 등이 입력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32)는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검색어 입력부(131)에서 입력된 상품 검색어와 매칭되는 매칭 상품을 검색(탐색)하고, 검색된 매칭 상품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검색된 매칭 상품의 목록 내에 사용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구매 희망 상품이 제2 상품이라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32)는 검색된 매칭 상품의 목록 내 제2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선택된 제2 상품의 상세정보를 포함한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1)에서 제공되는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1)의 제어부(132)에 의해 제공되는 키워드 검색 아이콘(4)이 사용자 단말(2)에 표시(특히,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 상에 표시)된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1)의 제어부(132)가 제공하는 키워드 검색 아이콘(4)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2')가 검색어 입력부(131)를 통해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상품 검색어로서 일예로 '트렌치코트'를 입력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32)는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상품 검색어로 입력된 '트렌치코트'와 매칭되는 상품을 검색(탐색)하고, 검색(탐색)된 매칭 상품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검색된 매칭 상품의 목록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상품(일예로 제2 상품)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32)는 어느 하나의 상품인 제2 상품과 관련하여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에는 일예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에는 제2 상품과 관련하여 상세정보, 상품후기, 상품문의, FAQ 등을 볼 수 있는 선택 항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 상품의 상세정보와 관련하여서는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정보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상품의 상품후기와 관련하여서는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정보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에 표시되는 상품 판매 페이지의 예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장치(1)에 의해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제공되는 상품 판매 페이지로는 일예로 종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되는 상품 판매 페이지의 다양한 화면 표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상품(일예로 제2 상품)과 관련하여 제공되는 상품 판매 페이지에 포함된 상세정보(상품 상세정보)에는, 해당 특정 상품과 관련하여 각종 정보(일예로, 상품의 사진 이미지, 상품의 사이즈 정보나 소재 정보, 전성분 정보, 판매자 정보, 주의사항 정보, 배송안내 정보, 교환/반품 절차 관련 안내 정보, 유의사항 정보, 공지사항 정보, 인체적용실험 테스트 관련 정보, 상품의 효능/효과 분석 관련 연구 정보 등)가 포함되어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러한 상세설명 정보 내 각종 정보는 그 양이 방대하고 대부분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검색이 불가능한 이미지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구매자)가 해당 상세설명 정보 내에서 원하는 정보(일예로, 치수 정보, 성분 정보, 교환 방법 등)를 찾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스크롤링(scrolling)을 통해 각종 정보들을 일일이 읽어가면서 원하는 정보가 표시된 위치를 직접 찾아야 했고, 이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찾는 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본 장치(1)의 제어부(132)는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 내에서(특히, 제2 상품의 상세정보 내 각종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구매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자 키워드 검색 아이콘(4)을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2)는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의 표시시, 사용자 단말(2)의 화면의 일영역에 상세정보(제2 상품의 상세정보) 내 키워드 검색을 위한 키워드 검색 아이콘(4)을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 상에 오버랩하여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도 5에는 키워드 검색 아이콘(4)이 상품 판매 페이지(특히, 상품 판매 페이지 중 상세정보) 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되어 있는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2')는 키워드 검색 아이콘(4)을 통해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에 포함된 모든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키워드 검색 아이콘(4)은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에 포함된 각종 정보들을 대상으로 하여 키워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에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제2 상품과 관련하여 상세정보(제2 상품의 상세정보), 구매후기 정보, 상품문의 정보, 교환/반품 관련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키워드 검색 아이콘(4)은 구매 희망 상품인 제2 상품의 상세정보 내 키워드 검색 등을 포함하여,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 내 모든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2)는 키워드 검색 아이콘(4) 내 키워드 입력부(4a)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제2 상품의 상세정보 내 설명 데이터의 글자 인식이 가능하도록 상세정보에 대응하는 페이지에 대하여 글자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글자 인식 처리가 이루어진 상세정보에 대응하는 페이지(즉, 글자 인식 처리가 이루어진 상세정보 내 설명 데이터)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라 간단히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글자 인식 처리는 일예로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광학 문자 인식) 처리일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에서 고려되는 글자 인식 처리로는 다양한 이미지, 동영상 등을 대상으로 해당 이미지, 동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글자의 인식(식별)이 가능한 처리 방식이라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즉, 글자 인식 처리 기술로는 종래에 이미 존재하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글자 인식(식별)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세정보 내 설명 데이터는 상세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설명 데이터에는 구매 희망 상품인 제2 상품의 설명 글자 데이터, 이러한 설명 글자 데이터가 포함된 상품 이미지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세정보에는 판매되고 있는 특정 상품(일예로 제2 상품)과 관련하여 각종 정보(일예로, 상품의 사진 이미지, 상품을 모델이 착용한 착용샷 사진 이미지, 상품의 사이즈 정보나 소재 정보, 전성분 정보, 판매자 정보, 주의사항 정보, 배송안내 정보, 교환/반품 절차 관련 안내 정보, 유의사항 정보, 공지사항 정보, 인체적용실험 테스트 관련 정보, 상품의 효능/효과 분석 관련 연구 정보 등)가 포함되어 있기 마련이다. 본 장치(1)에서는 이러한 상세정보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정보가 설명 데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 내에 존재하는 [상세정보] 항목을 클릭한 경우, 제어부(132)는 [상세정보] 항목에 대한 클릭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제2 상품의 상세정보로서 도 3에 도시된 정보들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일예에 따르면, 일예로 제2 상품(트렌치코트)에 관한 상세정보에는 베스트 리뷰 정보, 제2 상품에 대하여 설명하는 정보인 코멘트(COMMENT) 정보, 제2 상품의 색상별 상품 이미지 정보, 제2 상품의 사이즈 관련 정보, 제2 상품의 세탁 방법 관련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장치(1)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온라인 상(웹 사이트 상)에서 제공되는 특정 상품의 상세정보(상세 설명 정보)에는 특정 상품과 관련하여 각종 정보들(각종 설명 데이터)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세정보 내 각종 정보들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대부분 그 양이 방대하고 일반적으로 검색이 불가능한 이미지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사용자(구매자)가 해당 상세정보 내에서 원하는 정보(일예로, 치수 정보, 성분 정보, 교환 방법 등)를 찾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스크롤링(scrolling)을 통해 각종 정보들을 일일이 읽어가면서 원하는 정보가 표시된 위치를 직접 찾아야 했고, 이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찾는 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본 장치(1)의 제어부(132)는 키워드 검색 아이콘(4) 내 키워드 입력부(4a)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 내 [상세정보]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설명 데이터(즉, 상술한 각종 정보) 내에서의 키워드 검색이 가능하도록, 상세정보에 대응하는 페이지에 대하여 글자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글자 인식 처리의 수행에 의하면, 일예로 도 3의 상품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글자들(일예로, 검은색 코트 사진 내에 표기되어 있는 'Color is 블랙 / BLACK / 黑色' 등)도 인식(식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키워드 검색시 검색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2)는 키워드 입력부(4a)를 통해 키워드가 입력된 경우,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즉, 글자 인식 처리가 이루어진 상세정보 내 각종 정보) 중 키워드 입력부(4a)에서 입력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데이터를 매칭 키워드 데이터로서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2)의 화면 상에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어부(132)가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를 대상으로 매칭 키워드 데이터의 검색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2)는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즉, 글자 인식 처리된 상세정보 내 각종 정보들)를 포함하여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에 포함된 모든 데이터를 대상으로 매칭 키워드 데이터의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상세정보에 포함된 각종 정보들 중에서 '블랙'과 관련된 설명(정보)만 찾아서 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6의 (a)에 도시된 키워드 검색 아이콘(4) 내 키워드 입력부(4a)에 키워드로서 '블랙'을 입력한 후 키워드 입력부(4a) 내 입력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32)는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 중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인 '블랙'과 매칭되는 데이터(단어, 키워드)(일예로, 블랙)를 매칭 키워드 데이터로서 검색하여 화면 상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세정보 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설명(정보)만을 보다 빠르게 찾아 인식(습득)할 수 있다.
제어부(132)는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 내에 블랙과 매칭되는 매칭 키워드 데이터(일예로, 블랙)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개의 매칭 키워드 데이터들을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스캔(이동)해 가며 순차적으로 하나씩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는 제2 상품 관련 상세정보가 종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와 같이 일예로 이미지 형태로 주어지는 상황 속에서도, 해당 상세정보를 글자 인식이 가능한 상태로 마련(즉, 글자 인식 처리를 수행)하여 키워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상세정보에 포함된 각종 정보들(이미지 내 글자 정보 포함) 중 사용자가 원하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만을 보다 신속히 찾아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2)는 키워드 입력부(4a)를 통해 키워드가 입력된 경우,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 내 입력된 키워드의 유의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검색 결과 유의어가 존재하는 경우, 키워드 검색 아이콘(4)의 유의어 표시부(4b) 내에 검색된 유의어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2)는 유의어 표시부(4b) 내에 표시된 유의어의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의어를 고려하여 매칭 키워드 데이터에 대한 재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2)는, 유의어 표시부(4b)에 표시된 유의어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유의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 중 키워드 입력부(4a)에 입력된 키워드 및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유의어와 매칭되는 데이터를 매칭 키워드 데이터로서 함께 동시에 검색(재검색)하여 사용자 단말(2)의 화면 상에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2)는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 내에서의 유의어 검색시, 입력된 키워드와 그 뜻은 동일하나 표기(기재) 방식이 상이한 키워드(단어) 및 입력된 키워드와 그 뜻은 상이하나 입력된 키워드와 동일한 표기 방식을 포함하는 키워드(단어)를 유의어로서 검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자의 예를 살펴보면, 입력된 키워드가 일예로 색상을 나타내는 '블랙'인 경우, 그 유의어로는 black(블랙의 영어), bk(블랙의 영어 약칭), 黑色(흑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후자의 예를 살펴보면, 입력된 키워드가 '블랙'인 경우, 그 유의어로는 블랙이라는 글자가 포함된 키워드(단어)로서 일예로 블랙박스, 블랙컨슈머, 블랙망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유의어 표시부(4b)에 대한 설명은 도 6의 (b)를 참조해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일예로 사용자가 키워드 입력부(4a)에 키워드로서 검은 색상을 의미하는 '블랙'을 입력했다고 하자. 그리고, 글자 인식된 설명 데이터 내에 '블랙'의 유의어가 존재하는지 검색한 결과, '블랙'의 유의어로서 'black'와 '블랙박스'가 검색된 경우, 제어부(132)는 검색된 유의어들을 유의어 표시부(4b) 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일예로 유의어 표시부(4b)에 표시된 유의어의 목록들(즉, black과 블랙박스) 중 'black'을 선택하고 키워드 입력부(4a) 내 입력 버튼을 클릭하였다고 하자. 다른 일예로, 사용자가 유의어 목록들 중 '블랙박스'를 선택하여 삭제되도록 한 다음 키워드 입력부(4a) 내 입력 버튼을 클릭하였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32)는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 중에서(즉, 글자 인식 처리가 이루어진 상세정보 내에서) 2개의 키워드(즉, '블랙'과 'black') 각각과 매칭되는 데이터(단어)를 동시 검색(동시에 재검색)하면서 매칭 키워드 데이터를 식별(검색)해 낼 수 있으며, 식별(검색)된 매칭 키워드 데이터를 화면 상에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2)는 매칭 키워드 데이터의 식별(검색)시 유의어의 목록들 중 사용자의 선택에서 제외된 제외 유의어(일예로, 블랙박스)는 검색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 내에 '블랙'이라는 키워드(단어)가 2개 있고, 'black'이라는 키워드가 3개 있으며, '블랙박스'라는 키워드가 1개 있다고 하자, 이때, 해당 키워드들이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 내에서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보았을 일예로 '블랙, black, black, 블랙, 블랙박스, black'의 순서로 적혀 있다고 하자.
이때, 제어부(132)는 입력된 키워드가 '블랙'이고 사용자가 선택한 유의어가 'black'인 경우,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 내에서 '블랙' 및 'black'과 매칭되는 단어를 매칭 키워드 데이터로서 순차적으로 화면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어부(132)는 사용자가 'black'을 유의어로 선택한 경우, 이후 사용자가 키워드 입력부(4a) 내 입력 버튼을 누를 때 마다, 매칭 키워드 데이터로서 '블랙' → 'black' → 'black' → '블랙' → 'black'이라는 키워드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화면 상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1)에 의하면, 사용자가 유의어로서 '블랙박스'를 선택하지 않음에 따라, 매칭 키워드 데이터로서 '블랙박스'라는 키워드가 화면에 노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검색 용어로 '블랙'이라는 단어(키워드)가 입력되면, 해당 단어와 매칭되는 단어를 검색할 때(즉, '블랙'이라는 단어 검색시) '블랙박스'라는 단어에도 '블랙'이라는 표기가 있음에 따라, 단순히 '블랙'이라는 단어 외에도 '블랙박스'라는 단어가 함께 검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르면, 종래에는 사용자가 검은 색상을 의미하는 '블랙'에 관한 내용을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단순히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단어)와 똑같이 일치하는 데이터만을 검색해 보여줌에 따라, 블랙박스 등과 같이 자신이 원하지 않는 정보(불필요한 정보)에 대해서도 검색이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장치(1)는 사용자가 상세정보(특히,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 내에서 어떠한 특정 키워드(일예로, 검은 색상을 의미하는 '블랙')를 검색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일예로 블랙)와 똑같이 일치하는 데이터(즉, 블랙)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즉, 블랙)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의어(일예로, black)와 매칭되는 데이터를 함께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즉, 검색된 매칭 키워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되,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유의어(일예로, 블랙박스)는 검색에서 제외되도록 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1)는 사용자가 상세정보 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키워드에 관한 정보를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찾아 확인해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일예로, 유의어 표시부(4b)에 표시되는 유의어의 리스트에 'black, 블랙박스, bk'가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가 유의어의 리스트 중 'black'과 'bk'를 선택한 후 키워드 입력부(4a) 내 입력 버튼을 클릭하였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32)는 글자 인식 처리된 설명 데이터 내에서 'black', 'bk', '블랙'과 매칭되는 각각의 데이터를 한번에 순차적으로 동시에 검색해가며(이때, 선택되지 않은 유의어인 '블랙박스'와 매칭되는 데이터는 검색되지 않음) 매칭 키워드 데이터의 식별(검색)을 수행할 수 있고, 식별(검색)된 매칭 키워드 데이터를 화면 상에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일예로 사용자가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 내에 존재하는 [상품후기] 항목을 클릭한 경우, 제어부(132)는 [상품후기]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제2 상품에 관한 후기(리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화면에 표시되는 후기(리뷰) 정보의 예는 예시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쇼핑몰에서는 특정 상품에 관한 후기(리뷰) 정보를 일예로 단순히 최신순, 랭킹순 등을 기준으로 하여 목록 형태로 제공(즉,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목록 형태로 제공)할 뿐이어서,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트렌드(유행, 추세, 경향), 선호도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제어부(132)는 사용자(2',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일예로 제2 상품)에 대한 트렌드(유행, 추세, 경향), 선호도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자, 제2 상품의 후기(리뷰) 정보에 관한 그래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사용자(2')가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 내 [상품후기]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그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제2 상품의 후기(리뷰) 정보가 표시되었다고 하자. 이때, 제어부(132)는 제2 상품의 후기 정보가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된 이후, 사용자 단말(2)의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된 구매 추이 제공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후기(리뷰) 정보와 관련하여 기 설정된 기간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를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간별이라 함은 일예로 날짜별, 월별, 연도별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래프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기간의 유형(즉, 날짜, 월, 연도)에 대한 설정은 일예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본 장치(1)를 관리하는 사용자(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구매 추이 제공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32)는 일예로 제2 상품과 관련하여 기 등록되어 있는 후기 정보들을 기반으로, 제2 상품의 후기 정보를 날짜별(혹은 월별, 연도별) 구매 건수에 관한 그래프 형태로 생성해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2)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구매 희망 상품인 제2 상품에 대한 상품 유형 정보가 더 입력된 경우, 상품 유형 정보별로 구매 추이 관련 후기(리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유형 정보는 구매 희망 상품의 색상 정보 및/또는 사이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 유형 정보의 입력에 의하면, 제어부(132)는 제2 상품에 관한 후기 정보 중 특히나 사용자가 입력한 구매 희망 상품(제2 상품)의 색상 정보와 사이즈 정보와 관련된 후기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이러한 정보(즉, 사용자가 입력한 구매 희망 상품의 색상 정보와 사이즈 정보와 관련된 후기 정보)를 기 설정된 기간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2)는 구매 희망 상품(제2 상품)에 대한 상품 유형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품 유형 정보별 구매 추이 관련 후기 정보(즉, 상품 유형 정보마다의 기 설정된 기간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후기 정보들(상품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후기 정보들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구매 희망 상품인 제2 상품(일예로 트렌치코트)에 관한 상품 유형 정보로서 '55사이즈, 블랙'을 입력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32)는 일예로 제2 상품(일예로 트렌치코트)과 관련된 후기 정보들 중 특히 55사이즈에 블랙 색상인 트렌치코트와 관련된 후기 정보들만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일예로 목록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2)는 구매 추이 관련 후기 정보로서 일예로, 55사이즈의 블랙 트렌치코트와 관련된 후기 정보들을 기반으로 생성된 기 설정된 기간별(일예로 날짜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는 상품 유형 정보가 고려된 구매 추이 관련 정보(그래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상품(구매 희망 상품, 제2 상품)을 실제로 구매하기에 앞서,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트렌드(유행, 추세, 경향), 선호도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일예로 최근 타 사용자들에게 구매가 많이 이루어져 최근 유행하고 있는 상품인지 혹은 작년까지는 타 사용자들이 많이 구매해 유행이었으나 올해는 구매율이 적어 유행이 한물 간 상품인지를 그래프 정보를 토대로 보다 직관적으로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는 상품 검색어에 대응하는 후기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품 검색어에 대응하는 후기 정보들 중 특히나 상품 검색어와 관련해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상품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후기 정보만을 추출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방대한 양의 후기 정보들(특히, 서로 다른 상품 유형의 후기 정보들) 중 자신이 원하는 색상과 사이즈의 상품에 관한 후기만을 모아서 한번에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의 결정에 도움 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상품 검색어로서 트렌치코트를 검색하였다고 하자. 그리고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트렌치코트와 매칭되는 매칭 상품의 목록 중 사용자가 구매를 희망하여 선택한 트렌치코트 상품(구매 희망 상품, 제2 상품)과 관련하여, 판매되는 상품의 색상이 3가지(블랙, 다크그레이, 아이보리, 핑크) 존재하고, 사이즈도 3가지(55, 66, 77)가 존재한다고 하자.
이때, 종래의 쇼핑몰에서는 일반적으로 제2 상품에 대한 후기 정보들을 제공할 때, 단순히 최신순, 랭킹순 등을 기준으로 하여 목록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즉, 해당 트렌치코트의 색상과 사이즈가 다양하게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색상이나 사이즈)의 구분 없이 종래에는 사용자들이 올린 복수의 후기 정보들을 단순히 후기를 올린 순으로(최신순 등으로) 하여 목록 형태로 제공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따르면, 종래에는 일예로 사용자가 제2 상품(트렌치코트)과 관련하여 특히나 55사이즈의 블랙 트렌치코트를 구매하길 희망하고 있고, 55 사이즈의 블랙 트렌치코트를 구매한 사용자들의 후기만을 찾아서 보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목록 형태로 제공되는 후기 정보들을 일일이 확인해 가면서 목록들 중 55사이즈의 블랙 트렌치코트에 관한 후기만을 직접 골라 찾아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후기 정보의 개수가 300건, 1000건 등과 같이 그 양이 방대할수록,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항목(상품의 색상과 사이즈)에 관한 후기만을 찾아보는 것이 더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장치(1)는 상품 검색어에 해당하는 상품에 대한 모든 리뷰가 아닌, 상품 검색어에 해당하는 상품 중 특히나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 유형 정보(일예로 55사이즈, 블랙)에 해당하는 후기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일예로 목록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색상과 사이즈의 상품에 관한 후기만을 보다 쉽게 모아서 한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특정 상품에 대한 후기들이 단순히 날짜 표시(후기 작성이 이루어진 날짜 표시)가 이루어진 목록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어, 해당 특정 상품이 최근(일예로 최근 6개월 사이)에 타 사용자들에게서 많이 구매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혹은 타 사용자들에게서 최근 구매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지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장치(1)는 구매 추이 관련 후기 정보(즉, 상품 검색어와 관련된 기 설정된 기간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 상품 유형 정보별 기 설정된 기간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상품을 구매하기에 앞서, 해당 상품을 다른 사람들이 최근에 많이 구매했는지 혹은 다른 사람들이 요즘 잘 구매하지 않는지 등의 상품 구매 트렌드(추세), 해당 상품의 선호도(선호율)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구매의 결정에 보다 도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시스템(1000)은 전방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2)는 상품 검색어에 대응하는 후기 정보가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된 이후,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된 실감 정보 제공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구매 희망 상품(일예로 제2 상품)의 상품 속성 정보가 고려된 구매 희망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실감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전방표시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장치(1)는 네트워크(7)를 통해 전방표시장치(미도시)와 연동(연결)될 수 있다. 전방표시장치(Head Up Display, HUD)는 빔(beam) 조사를 통해 전방표시장치의 전방에(혹은 전방의 공중에, 전방의 상공에) 상품 실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방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소지한 장치일 수 있다. 전방표시장치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2) 내에 내장된 형태로 마련되거나, 혹은 사용자 단말(2)과는 별개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실감 정보라 함은, 구매 희망 상품(일예로 제2 상품)의 상품 속성 정보(일예로, 치수, 소재, 신축성, 및 비침 정도 등)를 고려하여 구매 희망 상품을 3차원 입체 영상으로 구현한 데이터(즉,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품 실감 정보는 사용자가 구매하길 희망하는 구매 희망 상품의 실물(실제)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로 구현되는 구매 희망 상품의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품 실감 정보는, 전방표시장치에 의하여 상공에 조사되는 빔을 통해 보여지는 구매 희망 상품에 대응하는 3차원 상품 데이터(3차원 형상의 구매 희망 상품)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매 희망 상품의 상품 속성 정보로서 해당 구매 희망 상품(일예로 의류인 트렌치코트)의 총기장, 가슴단면, 어깨넓이, 및 소매길이에 관한 정보가 크롤링을 통해 획득되어 있다고 하자. 이때, 해당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상품 실감 정보의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즉, 실감 정보 제공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32)는 전방표시장치의 전방에 구매 희망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실감 정보가 제공되도록 전방표시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상품 실감 정보는 구매 희망 상품의 총기장, 가슴단면, 어깨넓이, 및 소매길이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치수에 맞추어 구매 희망 상품을 3차원 입체 영상으로 영상화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전방표시장치는 빔(beam) 조사를 통해 전방표시장치의 전방에(혹은 전방의 공중에, 전방의 상공에) 상품 실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방표시장치는 제어부(132)의 제어에 의해, 상품 실감 정보를 전방표시장치의 전방에 제공할 수 있다. 전방표시장치는 빔(beam)을 통해 전방표시장치의 전방에 초점이 맺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해당 초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품 실감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미지)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감 정보 제공 메뉴(실감 정보 제공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 전방표시장치는 제어부(132)의 제어에 응답하여 전방표시장치의 전방에 빔을 통해 상을 뿌림으로써 상품 실감 정보를 전방표시장치 전방의 상공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품을 판매/거래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 상(웹 사이트 상)에서는, 판매하는 상품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일예로, 총기장, 가슴단면, 어깨넓이, 및 소매길이 등)의 표시를 단순히 수치 값(몇 cm, 몇 mm 등)으로만 표시하고 있다. 그렇게 때문에, 사용자는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 판매되는 해당 상품(제품)을 실제로 받아보았을 때 그 크기가 어느정도 되는지를 쉽게 가늠(판단)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즉, 종래에는 온라인 쇼핑몰 상에 표시된 수치 값을 토대로만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었기 때문에, 실제로 실물 상품을 받아보았을 때(즉, 자신이 구매한 상품의 실물을 보았을 때) 자신(사용자 자신)이 예상했던 상품의 크기보다 실제 해당 상품의 크기가 더 크거나 혹은 더 작은 경우가 빈번히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다시 다른 치수의 상품으로 교환하거나 환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장치(1)는 구매 희망 상품의 실제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3차원 입체 영상인 상품 실감 정보를 전방표시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는 사용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구매 희망 상품)을 구매/결제하기에 앞서 상품 실감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의 실물 크기(실제 크기)를 직관적으로 인지하여 체감해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특히나, 제어부(132)는 전방표시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상품 실감 정보가 사용자의 신체 상에 투영되도록 전방표시장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시스템(1000)은 일예로 본 장치(1)와 네트워크(7)를 통해 연결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와 이동 제어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상품 실감 정보의 투영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획득하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카메라, 영상 촬영 센서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2)에 마련된 이미지 센서, 전방표시장치에 마련된 이미지 센서 및 본 장치(1)에 자체 마련된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제어 부재(미도시)는 전방표시장치와 결합되고, 좌/우/상/하/전/후에 대한 전방표시장치의 이동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 제어 부재(미도시)는 전방표시장치의 이동 및 각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동 제어 부재(미도시)는 상품 실감 정보를 제공하는 전방표시장치의 위치뿐만 아니라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32)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상품 실감 정보의 투영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신체 영상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부분 부위(예를 들어, 머리, 목, 팔, 손목, 상체, 하체, 발목, 발 등의 부위)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2)는 상품 실감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 희망 상품의 분류 유형(예를 들어, 상의인지, 하의인지, 팔찌 등의 액세서리인지, 모자인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2)는 식별된 구매 희망 상품의 분류 유형과 식별된 사용자의 부분 부위를 기반으로 하여, 구매 희망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실감 정보가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신체 부분 부위 상에 투영되도록 이동 제어 부재(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전방표시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매 희망 상품의 분류 유형이 상의인 경우, 제어부(132)는 구매 희망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실감 정보가 이미지 분석을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부분 부위 중 식별된 구매 희망 상품의 분류 유형에 대응하는 신체 부분 부위인 상체(즉, 상의에 대응하는 신체부위인 상체) 상에 투영되도록, 이동 제어 부재(미도시)의 동작 제어를 통해 전방표시장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2)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상체 상에 구매 희망 상품(상의)에 해당하는 상품 실감 정보가 오버랩하여 투영되도록 전방표시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전방표시장치의 이동을 위해 이동 제어 부재(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는 상품 실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구매의 실패 확률(일예로, 치수가 작거나 하여 이로 인해 반품/교환/환불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 등)을 효과적으로 죽일 수 있다.
본 장치(1)는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들 중 사용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하여, 그 실제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3차원 입체 영상을 전방표시장치를 통해 제공(즉, 상품 실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 희망 상품의 크기(실제 크기)를 보다 현실감 있게 체감하고 가늠해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시뮬레이션부(14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장치(1)는 시뮬레이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140)는 사용자(2')의 신체 특성 정보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신체 특성 정보가 고려된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착용 시뮬레이션 적용을 희망하는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구매 희망 상품의 착용이 이루어진 상품 착용 아바타의 영상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2)은 일예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특성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받은 신체 특성 정보를 시뮬레이션부(140)의 입력부(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10)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2)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사용자 단말(2)은 시뮬레이션부(140)를 포함한 본 장치(1) 내 각 부의 동작을 제어(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140)는 입력부(10), 아바타 생성부(20), 시뮬레이션 제어부(30), 식별부(40) 및 평가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특성과 관련된 정보인 신체 특성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0)는 신체 특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2)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고, 혹은 본 장치(1)에 자체 구비된 화면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신체 특성 정보는 일예로 사용자의 체형, 얼굴형 및 피부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체형에 관한 정보라 함은 사용자의 몸의 모양(형태, 형상)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체형에 관한 정보에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발사이즈, 허리 사이즈, 가슴 사이즈 등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관한 각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신체 특성 정보는 사용자와 닮은 3차원 아바타(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모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입력부(10)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2)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타이핑을 통해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입력부(10)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2)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촬영 이미지로부터 추출함으로써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는 신체 특성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의 카메라를 이용해 본인의 신체 특성 정보에 대한 추출이 가능하도록 본인 자신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본인의 신체 특성 정보에 대한 추출이 가능하도록 촬영한다라 함은, 사용자의 체형(몸의 형태), 얼굴형, 피부톤이 나타나도록 사용자의 전신 부위(혹은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적어도 일부의 신체부위)를 정면, 측면 등에서 촬영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2)을 통해 사용자 본인 자신을 촬영한 이미지인 사용자 촬영 이미지의 획득이 이루어진 경우, 입력부(10)는 획득된 사용자 촬영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사용자 촬영 이미지로부터 신체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사용자 촬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신체 특성 정보를 사용자의 신체 특성 정보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분석시에는 기 알려져 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아바타 생성부(20)는 입력부(10)에서 입력받은 신체 특성 정보가 고려된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아바타 생성부(20)에 의해 생성되는 아바타는, 신체 특성 정보로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체형, 얼굴형 및 피부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생성된 3차원 아바타일 수 있다. 아바타 생성부(20)에 의해 생성되는 아바타는 바람직하게 입력부(10)에서 입력받은 신체 특성 정보를 모두 반영하여 생성된 3차원 아바타임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바타 생성부(20)는 신체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와 상당히 유사한(흡사한) 형상의 아바타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여 생성할 수 있다. 아바타 생성부(20)는 사용자 자신을 닮은 체형의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착용 시뮬레이션 적용을 희망하는 구매 희망 상품(혹은 착용 희망 상품)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매 희망 상품의 착용이 이루어진 상품 착용 아바타의 영상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착용 아바타라 함은, 아바타 생성부(20)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 상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매 희망 상품의 착용이 이루어진 모습(구매 희망 상품이 입혀진 모습)의 아바타를 의미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생성된 상품 착용 아바타의 영상을 일예로 본 장치(1) 자체에 구비된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다른 일예로 사용자 단말(2)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제어부(30)가 생성된 아바타 상에 착용시키는 구매 희망 상품(즉, 아바타에 적용 가능한 구매 희망 상품)으로는 일예로 의류(상의, 하의), 신발, 모자, 액세서리(팔찌, 목걸이 등)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 가능한 상품(제품, 아이템)이라면 무엇이든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고려되는 상품이라 함은 일예로 본 장치(1)에서 판매, 거래되는 각종 상품을 의미할 수 있다. 상품에는 일예로 의류, 패션 잡화, 화장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의류에는 상의, 하의, 원피스, 속옷 등 다양한 의상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패션 잡화에는 액세서리(악세사리), 구두, 신발, 핸드백, 지갑, 벨트, 모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품에는 패션, 스타일링, 외모 꾸밈 등과 관련된 각종 물품, 물건 등이 포함(고려)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일예로 본 장치(1)를 통해 판매되는 복수의 상품(즉, 상품 관리부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특정 상품을 구매하기에 앞서, 해당 특정 상품이 자신에게 잘 어울리는지, 자신이 입었을 때의 핏이 어떻게 보여지는지, 품, 기장 등이 어떠한지, 해당 특정 상품을 착용했을 때 조여지는 부분(타이트한 부분)이 없는지 등을 확인(시뮬레이션)하기 위해, 확인(시뮬레이션)을 희망하는 해당 특정 상품을 구매 희망 상품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즉, 본 장치에 의해 판매되는 보수의 상품) 중 아바타 생성부(20)에서 생성된 아바타에 대하여 착용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길 희망하는 상품을 구매 희망 상품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으로서 제1 상품(일예로 상의-반팔), 제2 상품(일예로 하의-반바지), 제3 상품(일예로 하의-치마) 등이 판매되고 있다고 하자. 그리고 사용자가 제1 상품에 관심이 있어 제1 상품을 자신이 실제 착용했을 때의 모습을 시뮬레이션하고 싶은 경우, 제1 상품이 아바타 생성부(20)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에 입혀진 모습의 영상을 보기 위해, 사용자는 제1 상품을 구매 희망 상품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복수의 상품 중 제1 상품에 대한 사용자 선택(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구매 희망 상품인 제1 상품과 기 생성된 아바타를 서로 합성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상품의 착용이 이루어진 상품 착용 아바타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착용 아바타는 아바타 생성부(20)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 상에 제1 상품이 입혀진 모습의 아바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1 상품의 착용이 이루어진 아바타를 의미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생성된 상품 착용 아바타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상품 착용 아바타를 통하여 제1 상품이 실제로 자신이 입었을 때 어떠한 모습으로 보여지는지에 대한 모습을 가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이후,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상품 착용 아바타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착용 아바타의 자세는 일예로 사용자의 실시간 자세 변경 조작 제어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다른 일예로 기 설정된 복수 유형의 변경 자세로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본원에서 상품 착용 아바타의 자세를 변경시킨다 함은, 정적인 상태로의 자세 변경을 의미할 수 있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적인 상태로의 자세 변경까지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품 착용 아바타의 기본 자세는 정자세일 수 있으며, 변경된 자세로는 다양한 높이별 의자에 앉은 자세, 맨 바닥에 쭈그린 자세, 걷는 자세, 뛰는 자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걷는 동작, 뛰는 동작, 앉았다 일어서는 것을 반복하는 동작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매 희망 상품의 상품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품 착용 아바타의 자세를 변경시킴에 따른 상태 변화가 이루어지는 변화된 구매 희망 상품이 반영된 자세 변경 아바타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상품 착용 아바타의 자세 변경에 응답하여, 변화되는 구매 희망 상품의 상태의 변화(일예로, 옷이 늘어나거나, 조이거나, 팽팽해지거나 하는 등의 변화)가 반영된 자세가 변경된 아바타(자세 변경 아바타)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 희망 상품의 상품 속성 정보에는 치수, 소재, 신축성, 및 비침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매 희망 상품이 반팔 상의인 경우, 치수 정보에는 단순히 S, M, L 와 같은 사이즈 정보만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총기장, 가슴단면, 어깨넓이, 소매길이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매 희망 상품의 상품 속성 정보는, 일예로 구매 희망 상품에 관한 상품 판매 페이지(특히, 상품 판매 페이지 내 상세정보)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복수의 상품 중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상품 속성 정보를 크롤링을 통해 획득하고, 이후 획득된 상품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품 착용 아바타의 자세를 변경시킴에 따라 상태 변화가 이루어지는 구매 희망 상품이 적용된 자세 변경 아바타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품 착용 아바타의 자세 변경에 따라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되는 자세 변경 아바타는, 자세 변경으로 인한 변화된 구매 희망 상품의 상태(형상, 형태 등)가 적용된(반영된) 자세가 변경된 아바타를 의미할 수 있다.
식별부(40)는 화면에 표시되는 자세 변경 아바타 상에서, 변화된(상태 변화가 이루어진) 구매 희망 상품에 의하여 기 설정된 조임 강도값 이상의 조임 강도값이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임 강도값이라 함은 조여지는 수준(정도)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타이트함(tightness) 정도값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식별부(40)에 의해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을 자세 변경 아바타의 영상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원의 일예에서는 시뮬레이션 제어부(30)가 자세 변경 아바타 상에서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을 자세 변경 아바타 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별부(40)는 상품 착용 아바타 상에서 조임 부위의 영역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상품 착용 아바타 상에서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을 상품 착용 아바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기 설정된 조임 강도값 이상의 조임 강도의 수준(정도)에 따라 자세 변경 아바타의 영상 상에 표시되는 조임 부위의 영역에 대한 표시 형태를 달리할 수 있다. 이때,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식별부(40)에 의해 자세 변경 아바타 상에서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들 중 조임 강도의 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일수록, 그보다 상대적으로 조임 강도의 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과 대비하여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식별부(40)에 의해 식별된 조임 부위가 제1 조임 부위 및 제2 조임 부위를 포함하되, 제1 조임 부위의 조임 강도값이 제2 조임 부위의 조임 강도값 보다 큰 경우, 자세 변경 아바타의 영상(혹은 상품 착용 아바타 상에서) 제1 조임 부위의 영역이 제2 조임 부위의 영역 대비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임 부위의 영역을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한다는 것은, 해당 조임 부위의 영역의 표시가 시각적으로 강조된 형태, 크기가 확장된 형태, 청각적인 효과를 수반하는 형태 및 동적인 애니메이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1) 내 식별부(40)에 의해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는 일예로 식별부(40)가 상품 착용 아바타(5) 상에서 조임 부위의 영역을 식별함에 따라, 시뮬레이션 제어부(30)가 식별부(40)에 의해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을 상품 착용 아바타(5)의 영상 상에 표시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식별부(40)에 의해 식별된 자세 변경 아바타 상에서의 조임 부위의 영역을 자세 변경 아바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조임 부위의 영역 식별 및 표시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서, 상품 착용 아바타(5)에 대하여 설명되는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자세 변경 아바타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진 구매 희망 상품의 착용이 이루어진 상품 착용 아바타(5)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착용 아바타(5)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생성된 3차원 아바타 상에 사용자가 선택한 구매 희망 상품의 착용이 이루어진 모습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구매 희망 상품(혹은 착용 희망 상품)이 일예로 복수개로서, 상의-나시인 제1 구매 희망 상품(11), 하의-반바지인 제2 구매 희망 상품(12) 및 양말인 제3 구매 희망 상품(13)이 포함된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제1 구매 희망 상품(11) 내지 제3 구매 희망 상품(13)의 착용이 이루어진 아바타(아바타 생성부에서 생성된 아바타)를 상품 착용 아바타(5)로 하여 화면 상에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식별부(40)는 상품 착용 아바타(5) 상에서, 착용된 구매 희망 상품(11, 12, 13)에 의하여 기 설정된 조임 강도값 이상의 조임 강도값이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식별부(40)에 의하여, 기 설정된 조임 강도값 이상의 조임 강도값이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으로서 제1 조임 부위(21)와 제2 조임 부위(22)를 포함한 두 부위가 식별되었다고 하자.
이때, 제1 조임 부위(21)의 조임 강도값이 제2 조임 부위(22)의 조임 강도값보다 높게 나타난 경우,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화면에 표시되는 상품 착용 아바타(5)의 영상 상에서 제1 조임 부위(21)의 영역이 제2 조임 부위(22)의 영역 대비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제1 조임 부위(21)의 영역을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제2 조임 부위(22)의 영역을 노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일예로 조임 강도값이 가장 큰 값을 기준으로 점차 낮아질수록 빨, 주, 노, 초 파, 남, 보와 같은 색상순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장 높은 조임 강도값으로 나타나는 영역은 빨간색, 가장 낮은 조임 강도값으로 나타나는 영역은 보라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제1 조임 부위(21)의 영역의 표시 크기를 제2 조임 부위(22)의 영역의 표시 크기보다 더 크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제1 조임 부위(21)의 영역을 볼딕으로 표시하고 제2 조임 부위(22)의 영역을 볼딕 없이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제1 조임 부위(21)의 영역을 점멸 형태로 표시하는 반면, 제2 조임 부위(22)의 영역을 정적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제1 조임 부위(21)의 영역을 점멸 형태로 표시(즉, 깜빡깜빡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1 조임 부위(21)의 영역이 제2 조임 부위(22)의 영역 대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조이는 부위임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즉, 시뮬레이션부(140)는 자세 변경 아바타 혹은 상품 착용 아바타(5) 상(혹은 해당 아바타의 영상 상)에서 조임 부위의 영역을 표시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조임 강도값이 더 높게 나타나는 영역이 그보다 조임 강도값이 낮게 나타나는 영역 대비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구매 희망 상품을 구매하여 실제로 착용하였을 때 조임이 예상되는 부위(위치)를 미리 직관적으로 인지(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부(140)는 사용자가 해당 구매 희망 상품(착용 희망 상품)을 실제 구매하기에 앞서, 해당 구매 희망 상품을 구매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 해당 구매 희망 상품 대비 다른 사이즈로 바꾸어 구매할지에 대한 결정, 혹은 해당 구매 희망 상품과는 다른 이종의 상품으로 구매할지에 대한 결정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품(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구매의 실패 확률이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식별부(40)에 의해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조임 부위의 영역이 나타나는 구매 희망 상품보다 한 단계 큰 치수를 갖는 동종 상품의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의 추천을 위해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개수는 일예로 3개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설정(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는 동종 상품의 정보의 추천이 이루어지는 화면이 일영역을 설명의 편의상 화면의 제1 영역이라 할 수 있다. 화면의 제1 영역에는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조임 부위의 영역이 나타난 구매 희망 상품을 기준으로, 그와 동종인 동종 상품의 정보(크기가 더 크거나 크기가 더 작은 동종의 상품의 정보 포함)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이종인 상품의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즉, 화면의 제1 영역은 동종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여 각종 상품 중 사용자에게 추천을 위한 추천 상품이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본원의 일예에서는 화면의 제1 영역에 추천 상품으로서 구매 희망 상품보다 한 단계 큰 치수를 갖는 동종 상품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영역에는 조임 부위의 영역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나타난 구매 희망 상품과 관련하여, 그와 종류는 같으나 사이즈가 더 큰 동종의 구매 희망 상품(이는 색상, 모양, 무늬 등이 모두 같고 크기만 다른 동종 구매 희망 상품을 의미함), 그와 종류는 같으나 사이즈가 더 작은 동종의 구매 희망 상품, 그와 종류가 다른 이종의 구매 희망 상품(이는 색상, 모양 및 무늬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거나 종류 자체가 다른 구매 희망 상품을 의미함) 등이 모두 같고 크기만 다른 동종 구매 희망 상품을 의미함) 등이 추천 상품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일예로 자세 변경 아바타(혹은 상품 착용 아바타)가 복수의 구매 희망 상품을 착용하고 있고, 식별부(40)가 복수의 구매 희망 상품 중 어느 하나의 구매 희망 상품에서 조임 부위의 영역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나타났음을 식별하였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조임 부위의 영역이 나타난 해당 구매 희망 상품(즉, 어느 하나의 구매 희망 상품)이 사용자에게 작은 것으로 판단(즉, 사용자가 해당 구매 희망 상품을 실제 구매하여 착용하였을 때 작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여, 해당 구매 희망 상품보다 한 단계(혹은 두단계 이상) 큰 치수(사이즈)를 갖는 동종의 상품의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 사용자에게 추천하고자 이를 화면의 일영역(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조임 부위의 영역이 식별된 경우(일예로, 5개의 조임 부위의 영역이 식별된 경우),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의 개수,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 각각에 대한 조임 강도값, 및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구매 희망 상품 대비 몇 단계로 치수 차이가 나는 상품을 추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시뮬레이션 결과(일예로, 조임 부위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상품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매 희망 상품이 M 사이즈이고, 구매 희망 상품에서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의 개수가 8개 이상인 경우,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구매 희망 상품 대비 2단계 큰 치수(XL 사이즈)를 갖는 동종의 상품의 정보를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구매 희망 상품이 M 사이즈이고, 구매 희망 상품에서 식별된 조임 부위의 영역의 개수가 3개 이상 8개 미만인 경우,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구매 희망 상품 대비 한단계(1단계) 큰 치수(즉, S 사이즈)를 갖는 동종의 상품의 정보를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동종 상품의 정보는 동종 상품의 이미지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종 상품의 상품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본원의 일예에서는, 식별부(40)가 기 설정된 조임 강도값(이는 기 설정된 조임 강도 상한값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음) 이상의 조임 강도값이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을 식별함에 따라, 그 결과에 따라 시뮬레이션 제어부(30)가 보다 큰 치수의 동종 상품을 추천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식별부(40)는 기 설정된 조임 강도 하한값 미만에 해당하는 조임 강도값이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을 식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해당 구매 희망 상품이 사용자에게 너무 큰 것으로 판단하여 구매 희망 상품보다 한 단계(혹은 두단계 이상) 작은 치수의 동종 상품을 추천 상품으로서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화면의 제1 영역에 추천 상품으로서 일예로 구매 희망 상품보다 한 단계 큰 치수를 갖는 동종 상품의 정보(일예로 이미지)가 표시된 이후, 표시된 동종 상품의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동종 상품의 착용이 이루어진 상품 적용 아바타의 영상을 생성해(재생성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화면의 제1 영역에 추천 상품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그에 응답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추천 상품이 착용된 상품 적용 아바타의 영상을 재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부(140)는 상품 착용 아바타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사용자가 선택한 구매 희망 상품, 사용자가 선택한 추천 상품)의 착용이 이루어진 아바타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되, 이때 상품이 착용된 사용자 체형을 모델링한 아바타 상에서 착용된 상품에 의해 너무 조여지거나 너무 느슨한 부분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생성된 아바타로 하여금 특정 상품을 실제 착용하였을 때 예상되는 모습을 현실감있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부(140)는 상품 착용 아바타의 자세를 변경시켜가며 자세 변경시마다 나타나는 조임 부위의 영역을 실시간으로 표시해 줄 수 있어, 단순히 구매 희망 상품을 정자세로 입었을 때 뿐만 아니라 동적으로 움직여 자세를 변경시켰을 때에도 조임이 예상되는 부분 등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해당 구매 희망 상품을 살지에 대한 결정이 보다 결단력 있게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고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상품의 구매 실패 확률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평가부(50)는, 시뮬레이션 제어부(30)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상품 착용 아바타의 영상(혹은 자세 변경 아바타의 영상) 내 상품 착용 아바타에 대하여 스타일링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평가부(50)에 의한 스타일링 평가의 결과에 따라 화면의 일영역에 추천 상품의 정보를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스타일링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추천 상품의 정보 표시가 이루어지는 화면의 일영역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상 제2 영역이라 지칭될 수 있다.
평가부(50)는 스타일링 평가의 수행시 복수의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되, 산출된 평가 점수에 기반하여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평가 점수가 기 설정된 평가 점수를 충족하지 못하는 평가 항목을 점수 미달 평가 항목으로서 식별할 수 있다. 특히, 평가부(5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사용자 아바타 영상에 대한 스타일링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아바타 영상과 관련하여 복수의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토탈 평가 점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점수 미달 평가 항목에 대한 식별에 응답하여, 상품 착용 아바타에 착용된 구매 희망 상품 중 점수 미달 평가 항목과 관련된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다른 상품으로의 대체를 위해 추천 상품의 정보를 화면의 일영역(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평가 항목은, 상품 착용 아바타에 착용된 구매 희망 상품들 간의 어울림 정도에 관한 제1 평가 항목 및 상품 착용 아바타의 피부톤과 상품 착용 아바타에 착용된 구매 희망 상품 간의 어울림 정도에 관한 제2 평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평가 항목에는 디자인(예시적으로, 상품의 무늬나 패턴 등), 색상(컬러) 조합 등과 관련하여, 아바타와 해당 아바타에 착용된 상품 간의 어울림 정도, 상품들 간의 어울림 정도를 평가하는 항목이라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제1 평가 항목에 의하면, 상품 착용 아바타에 구매 희망 상품으로서 구두와 상의가 착용되어 있는 경우 구두와 상의가 서로 어울리는지가 평가(서로 어울리는 정도가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평가 항목에 의하면, 일예로 상품 착용 아바타에 상의-면티와 하의-치마가 착용되어 있는 경우 상의와 하의가 서로 어울리는지가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제2 평가 항목에 의하면, 일예로 아바타의 피부 톤(일예로 얼굴 피부 색상)과 구매 희망 상품인 상의의 색상이 서로 어울리는지가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제2 평가 항목에 의하면, 아바타의 피부 톤이나 얼굴형과 구매 희망 상품의 무늬 패턴(예를 들어, 줄무늬 패턴, 체크 패턴인 경우 등)과 서로 어울리는지가 평가될 수 있다.
평가부(50)는 상품 착용 아바타에 대한 스타일링 평가시 상품 착용 아바타에 대한 평가 점수(즉, 복수의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는데, 이때 상품 착용 아바타에 대한 평가 점수는 복수의 타 사용자에 의하여 평가된 타인 평가 점수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하길 희망하는 상품인 구매 희망 상품이 착용된 아바타(상품 착용 아바타, 자세 변경 아바타)에 대한 전반적인 스타일링(즉, 구매하고자 하는 의류가 사용자에게 어울리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스타일링)을 타 사용자들에게 평가받기 위해(즉, 타 사용자에 의한 스타일링 평가를 받기 위해), 일예로 시뮬레이션 제어부(30)에 의해 생성되어 화면에 표시된 아바타(상품 착용 아바타, 자세 변경 아바타)의 영상에 대한 평가 요청 신호를 시뮬레이션부(140)에 입력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시뮬레이션 제어부(30)에 의해 생성되어 화면에 표시된 아바타(상품 착용 아바타, 자세 변경 아바타)의 영상을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의 영상으로서, 사용자 아바타 영상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이때, 평가 요청 신호는 화면의 일영역에 마련된 평가 요청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평가 요청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시뮬레이션 제어부(30)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의 영상(즉, 사용자 아바타 영상)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Sites, SNS) 상에 업로드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평가 요청 신호에 의하여, 사용자 아바타 영상이 SNS 상에 업로드되면, 해당 영상의 업로드가 이루어진 SNS의 이용자들(즉, 타 사용자들)은 사용자 아바타 영상에 대하여 복수의 평가 항목과 관련된 스타일링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SNS의 이용자들(즉, 타 사용자들)은 사용자 아바타 영상에 대하여 복수의 평가 항목과 관련하여 평가 점수를 제공할 수(매길 수) 있으며, 이처럼 타 사용자에 의하여 평가된 점수는 타인 평가 점수라 지칭될 수 있다.
평가부(50)는 사용자 아바타 영상에 대하여 타 사용자들에 의해 평가된 적어도 하나의 점수(즉, 적어도 하나의 타인 평가 점수)를 고려하여 사용자 아바타 영상과 관련한 스타일링 평가 점수(즉, 사용자 아바타 영상과 관련하여 복수의 평가 항목에 관한 토탈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아바타 영상과 관련된 스타일링 평가 점수는, 일예로 사용자 아바타 영상에 대하여 평가된 타인 평가 점수들의 평균값으로 산출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부(50)는 사용자 아바타 영상과 관련한 스타일링 평가 점수에서 복수의 평가 항목 중 평가 점수가 기 설정된 평가 점수를 충족하지 못하는 평가 항목을 점수 미달 평가 항목으로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일예로 점수 미달 평가 항목이 제2 평가 항목으로 식별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사용자 아바타 영상 내 상품 착용 아바타의 피부톤과 해당 상품 착용 아바타가 착용하고 있는 구매 희망 상품이 서로 어울리지 않는 것으로 판단(즉, 사용자가 구매하길 희망하는 구매 희망 상품이 사용자의 피부톤과 어울리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점수 미달 평가 항목과 관련된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다른 상품으로의 대체를 위해 화면의 제2 영역에 추천 상품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추천 상품은, 점수 미달 평가 항목과 관련된 구매 희망 상품을 대체하기 위한 대체 추천 상품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평가부(50)는 사용자 아바타 영상과 관련한 스타일링 평가 점수(즉, 사용자 아바타 영상과 관련하여 복수의 평가 항목에 관한 토탈 평가 점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타인 평가 점수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다른 일예로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스타일링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딥러닝 모델은, 일예로 복수의 사용자의 신체 특성 정보(얼굴형, 피부톤, 사이즈 등)를 입력으로 하고 복수의 사용자의 신체 특성 정보 각각과 매칭되는 상품을 출력값으로 하여 학습하는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딥러닝 모델은 인공지능(AI) 알고리즘 모델, 기계학습(머신러닝) 모델, 신경망 모델(인공 신경망 모델), 뉴로 퍼지 모델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델로는 예시적으로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합성곱 신경망), 순환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딥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등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신경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추천 상품의 정보(대체 추천 상품의 정보)로서, 대체 추천 상품의 이미지, 대체 추천 상품의 리스트 등을 제공(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추천 상품(대체 추천 상품)에 포함된 리스트에는 점수 미달 평가 항목과 관련된 구매 희망 상품과 색상만 다른 동종의 상품 및 점수 미달 평가 항목과 관련된 구매 희망 상품과 유사한 성능(모양, 소재, 신축성, 비침 정도 등)을 가진 다른 이종의 상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다른 이종의 상품으로는 점수 미달 평가 항목과 관련된 구매 희망 상품과 대비하여 후기(평가)가 더 좋거나, 가격이 더 낮거나, 품질이 더 좋은 상품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시뮬레이션부(140)는 사용자가 구매 희망하는 상품(구매 희망 상품) 중 평가부(50)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어울리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는 상품(즉, 점수 미달 평가 항목과 관련된 구매 희망 상품)을 대체할 대체 추천 상품(대체 추천 상품)의 정보(일예로, 리스트)를 제공함에 있어서, 점수 미달 평가 항목과 관련된 구매 희망 상품과 색상만 다른 동종의 상품뿐만 아니라 그와는 종류가 다르나 성능이 좋은 가성비 좋은 상품을 함께 대체 추천 상품의 리스트에 포함시켜 제공(추천)할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부(140)는 사용자로 하여금, 점수 미달 평가 항목과 관련된 구매 희망 상품의 대체(교체)시, 합리적으로 상품 비교/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며,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대체/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상품 착용 아바타의 영상에 포함된 구매 희망 상품의 구매를 위한 구매 버튼을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설명에서 구매 버튼이 이루어지는 화면의 일영역은 화면의 제3 영역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제어부(30)는 화면의 제3 영역에 표시된 구매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화면에 표시된 상품 착용 아바타 상에 착용된 구매 희망 상품의 구매를 위한 구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 요청 신호는, 구매 희망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와 연계되어 구매 희망 상품의 자동 결제가 가능(혹은 자동 결제로 인한 자동 배송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신호이거나 및/또는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주문 장려를 위해 본 장치(1)와 연계된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메시지 알림을 제공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부(140)는 구매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구매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 희망하는 상품에 대한 착용 시뮬레이션을 본 이후 구매를 원하는 상품들을 동시에 일괄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어,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장치(1)는 시뮬레이션부(140)의 제공을 통해, 실제 피팅할 수 없는 온라인 쇼핑몰의 한계를 보완하여 상품에 대한 코디, 옷 구매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는 옷, 액세서리, 메이크업 요소 등이 포함된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아바타 생성부(20)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 상에 코디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는 사용자(구매자)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구매하기 전에, 해당 상품이 착용된 모습(미리 착용 모습)을 시뮬레이션해 상품의 착용 핏을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는 사용자(구매자, 소비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에 대한 구매를 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보다 원활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본 장치(1)는 시뮬레이션부(140)에 의한 착용 시뮬레이션(상품 착용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아바타를 통해 보이는 상품의 착용 핏(아바타 착용 핏)과 실제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구매하여 착용했을 때의 착용 핏(실제 착용 핏, 실제 코디한 모습)이 상당히 비슷하게 보이도록 제공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의 상품의 구매 실패 확률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는 시뮬레이션부(140)로 하여금,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 본 상품(상품)을 구매하여 실제 받아보았을 때 쇼핑몰 상에서 본 상품의 느낌/크기 등이 실제 상품을 본 느낌/크기 등과 다름에 따라 상품 구매의 만족도가 높지 않고 교환/환불 등이 빈번히 일어나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장치(1)에서, 시뮬레이션부(140)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아바타에 구매 희망 상품을 착용시킴으로써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착용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는 시뮬레이션부(140)를 통한 착용 시뮬레이션의 수행을 통하여,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구매하길 희망하는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착용 핏(즉, 구매 희망 상품을 실제로 입었을 때 예측되는 착용 핏)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의류 상품과의 핏 비교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1)는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 판매/거래되는 상품을 구매함에 있어서 구매 실패의 확률을 최소화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핏을 가진 의류 상품을 효과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원(즉,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은 종래의 상품 판매 방식(일예로, 온라인 쇼핑몰 판매 방식, 라이브 커머스 방식, 방문판매 또는 대면영업판매 방식, 전화권유판매 방식 등)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의 상품/서비스 판매 기술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원은 종래의 상품 판매 방식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원은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의 제공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판매 형태를 가지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2')는 본 장치(1)를 통해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구매요청 및 구매문의를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한 구매요청 및 문의에 대하여 판매자(3')(또는 영업자)는 실시간으로 응답할 수 있다. 본원은 이처럼 사용자와 판매자 간에 응답과 문의가 단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는 화상전화(화상 통화 연결), 전화(음성 통화 연결) 및 실시간 채팅(채팅방) 중 적어도 하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상품 문의(즉, 상품 문의 버튼의 클릭에 대한 응답)가 판매자에게 화상 통화, 음성 통화 및 채팅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들의 내용을 종합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장치(1)는 일예로 화상 통화 기반의 소통(상담)의 경우, 사용자(구매자, 고객)의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 및 STT(Speach to Text)를 통해 텍스트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조합 및 분석하여 여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를 통해서는 일예로 사용자의 성별, 인종, 감정상태, 나이 등의 판단(식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는 일예로 음성 통화 기반의 소통(상담)의 경우, 음성정보 및 텍스트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는 일예로 채팅방 기반의 소통(상담)의 경우, 텍스트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1)의 제어부(132)에 의해 제공되는 매칭 상품의 목록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1)의 제어부(132)에 의해 제공되는 구매 희망 상품(일예로 제2 상품)의 상품 판매 페이지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검색어 입력부(131)는 사용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상품 검색어를 사용자 단말(2)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2)는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검색어 입력부(131)에서 입력된 상품 검색어와 매칭되는 매칭 상품을 검색(탐색)하고, 검색된 매칭 상품의 목록을 일예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특히 검색어 입력부(131)가 사용자 단말(2)로부터 검색어(상품/서비스에 관한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제어부(132)는 상품 관리부(1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서비스(즉, 복수의 상품 및/또는 복수의 서비스) 중 검색어 입력부(131)에서 입력된 검색어와 매칭되는 매칭 상품/서비스를 검색(탐색)하고, 검색된 매칭 상품/서비스의 목록을 일예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본 앱을 통해 검색 가능한 대상은 본 장치(1)에 등록되어 판매되는 상품 및/또는 서비스일 수 있다.
매칭 상품(혹은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매칭 상품(혹은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구매를 희망하여 선택한 경우, 제어부(132)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의 상품(혹은 서비스)의 상세정보를 포함한 상품 판매 페이지(즉, 상술한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를 일예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상품(즉, 구매 희망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에는 제2 상품의 이름, 이미지, 설명, 구매 버튼, 실시간 문의하기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문의하기 버튼에는 채팅 버튼, 음성 버튼, 화상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간 문의하기 버튼은 상술한 상품 문의 버튼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일예로 채팅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 이에 응답하여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사용자와 판매자 간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소통 공간으로서 채팅방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음성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 이에 응답하여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소통 공간으로서 음성 통화 연결을 수행하여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와 판매자 간에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화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 이에 응답하여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소통 공간으로서 화상 통화 연결을 수행하여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와 판매자 간에 화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1)에서 소통 공간으로서 채팅방이 생성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예(a)와 판매자 단말의 화면 표시 예(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소통 공간으로서 채팅방을 생성하여 사용자(2', 구매자, 고객, 클라이언트)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는 구매 희망 상품(상술한 제1 상품 혹은 제2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 내용, 및 판매자(3')와의 채팅상담을 통한 상담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소통 공간으로서 채팅방을 생성하여 판매자(3', 영업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판매자 단말(3)의 화면에는 구매 희망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 내용, 사용자(2')와의 채팅상담을 통한 상담 내용(실시간 현재의 채팅 상태), 자신에게 문의를 하는 사용자(2')의 고객 정보 내용, 고객 성향 정보, 현재 상태 정보, 추천 상품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정보 내용에는 예시적으로 연령대, 성별, 구매내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고객 성향 정보나 현재 상태 정보는 일예로 사용자가 과거 혹은 현재에 특정 판매자와 소통 공간을 통해 상담(질의응답)을 수행할 때(일예로, 채팅 상담, 음성 상담, 화상 상담을 수행할 때), 상담 내용을 실시간으로 음성 분석 혹은 텍스트 분석함으로써 파악된 감성(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분석 혹은 텍스트 분석 기법으로는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분석 기법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나 사용자의 감성(감정)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 기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1)에서 소통 공간으로서 음성 통화 연결이 이루어져 음성 기반 상담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예(a)와 판매자 단말의 화면 표시 예(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소통 공간으로서 음성 통화 연결을 수행하여 사용자(2', 구매자, 고객, 클라이언트)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소통 공간 제공부(120)가 소통 공간으로서 음성 통화 연결을 생성해 사용자 단말(2)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 판매자 간에는 음성 통화를 기반으로 한 상담(질의응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의 화면에는 구매 희망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 내용, 및 판매자(3')와의 음성 상담 내용이 STT를 통해 텍스트로 변환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2)에는 판매자(3')와의 채팅 기능이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소통 공간 제공부(120)는 소통 공간으로서 음성 통화 연결을 수행하여 판매자(3', 영업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판매자 단말(3)의 화면에는 구매 희망 상품 관련 상품 판매 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 내용, 사용자(2')와의 음성 상담 내용이 STT를 통해 텍스트로 변환된 내용, 자신에게 문의를 하는 사용자(2')의 고객 정보 내용, 고객 성향 정보, 현재 상태 정보, 추천 상품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1)에서 소통 공간으로서 화상 통화 연결이 이루어져 음성 기반 상담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예(a)와 판매자 단말의 화면 표시 예(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과 대비하여, 일예로 사용자 단말(2) 및 판매자 단말(3)의 화면 각각에, 상대방의 화상 이미지 및 자신의 화상 이미지가 추가적으로 더 표시되는 정도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서 설명된 내용은 도 12를 참조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원(즉, 본 시스템 및 본 장치)에 의하면, 판매자(3', 영업자)는 고객(사용자)과의 소통을 통해서 적극적인 판매 및 영업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의하면, 판매자(3')는 고객의 구매기록 뿐만 아니라, 소통(상담)을 통해 얻은 정보들을 기반으로 새로운 상품에 대한 만족스러운 고객(customer, 커스터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의하면 사용자(2', 구매자, 고객)는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궁금사항을 즉각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최근 COVID-19의 확산과 더불어 사회적으로 대면 영업의 심리적 부담감이 증가하였는데, 본원은 본 시스템(1000)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비대면 기반으로 판매, 관리되고 있는 재화 및 서비스 뿐만 아니라, 대면 영업이 필수적이었던 상품들을 비대면 영업 구조로 변경할 수 있다.
현재 종래의 여러 기업들은 자체적인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을 구축하거나 적절한 솔루션을 도입하여 영업을 관리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기업 또는 판매자가 고객들을 관리하기 위한 Customer Relationship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방법들은 판매자가 CRM을 이용하여, 고객에 대한 정보를 단방향으로 기록하는 기능에 특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본원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양방향으로 소통가능한 본 시스템(1000)을 구축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시스템(1000)에서 사용자(2', 구매자)는, 본 장치(1)를 통하여 자신이 필요로 하는 재화(상품 등) 및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으며, 비대면 영업자(비대면 판매자)와 컨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0)에서 판매자(3', 영업자)는 본 장치(1)를 통하여 비대면 영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은 대면 구매와 비대면 영업의 심리적 진입장벽을 낮추고, 비대면 영업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은 판매자에게 더 많은 영업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고객 관리가 용이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상품 관리부는, 판매자가 소지한 판매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상품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소통 공간 제공부는, 사용자가 단계S11에서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제1 상품에 대한 문의를 희망하여 상품 문의 버튼을 클릭한 경우, 사용자와 판매자 간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소통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소통 공간을 통해, 사용자와 판매자 간에는 양방향으로 제1 상품과 관련된 질의응답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계S12에서 소통 공간 제공부는, 소통 공간의 생성을 위해 사용자 단말의 연락처와 판매자 단말의 연락처를 기반으로 화상 통화 연결, 음성 통화 연결 및 채팅방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2에서 소통 공간 제공부는, 제1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기 설정한 문의 수단(화상 통화, 음성 통화, 채팅방)을 기반으로 소통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방법은 단계S12이후에, 탐색부가 상품 관리부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 탐색 기능을 사용자 혹은 판매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및 S12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시스템
1: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110: 상품 관리부 120: 소통 공간 제공부
130: 탐색부
131: 검색어 입력부 132: 제어부
140: 시뮬레이션부 141: 입력부
142: 아바타 생성부 143: 시뮬레이션 제어부
144: 식별부 145: 평가부
2: 사용자 단말 2': 사용자
3: 판매자 단말 3': 판매자
7: 네트워크

Claims (4)

  1.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로서,
    판매자가 소지한 판매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상품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상품 관리부;
    사용자가 상기 상품 관리부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제1 상품에 대한 문의를 희망하여 상품 문의 버튼을 클릭한 경우, 사용자와 판매자 간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소통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소통 공간 제공부; 및
    상기 복수의 상품 중 검색어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품 검색어와 매칭되는 매칭 상품을 검색하고, 검색된 매칭 상품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통 공간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판매자 간에 양방향으로 상기 제1 상품과 관련된 질의응답이 이루어지고,
    상기 소통 공간 제공부는,
    상기 제1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기 설정한 문의 수단을 기반으로, 화상 통화 연결, 음성 통화 연결 및 채팅방 생성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소통 공간을 생성하고,
    판매자가 기 설정한 문의 수단이 복수개이되, 복수개의 문의 수단에 대하여 제1 유형의 소통 공간인 채팅방을 1순위로 하고 제2 유형의 소통 공간인 음성 통화를 2순위로 하고 제3 유형의 소통 공간인 화상 통화를 3순위로 하여 우선순위를 기 설정해둔 경우, 판매자가 기 설정해 둔 복수개의 문의 수단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소통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하되,
    제1 유형의 소통 공간인 채팅방이 제공된 이후 사용자가 판매자에게 질의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판매자가 응답하지 않으면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질의를 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시점에 자동으로 상기 제1 유형의 소통 공간과는 다른 유형의 소통 공간으로서 상기 2순위로 설정된 상기 제2 유형의 소통 공간을 생성해 제공하여 음성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자동으로 제1 유형과는 다른 유형의 소통 공간이 제공되었을 때 판매자가 재차 응답하지 않으면, 판매자 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재촉 시간마다 상기 다른 유형의 소통 공간의 제공의 재시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재시도를 통해 판매자에게 응답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로 판매자에게 응답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공하되,
    상기 메시지의 제공 이후 미리 설정된 메시지 수신 응답 기한 내에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수신에 대한 확인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미리 설정된 메시지 수신 응답 기한마다 사용자에게 상기 메시지의 재전송을 수행하되, 재전송 수행시에 메시지 수신 인식의 강도가 높아지는 메시지 제공 유형으로 바꾸어가며 재전송을 반복 수행하고, 제1 유형의 메시지 제공 유형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팝업 형태로 메시지가 표시되는 유형이고, 제2 유형의 메시지 제공 유형은 사용자 단말에 메시지가 팝업 형태로 표시됨과 함께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유형이고, 제3 유형의 메시지 제공 유형은 메시지의 내용이 사용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표출되도록 하는 유형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상품 중 제2 상품의 후기 정보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이후,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된 구매 추이 제공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상품과 관련하여 기 등록되어 있는 후기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상품의 후기 정보를 기 설정된 기간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형태로 생성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구매 희망 상품인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상품 유형 정보가 더 입력된 경우, 상품 유형 정보마다의 기 설정된 기간별 구매 건수에 대한 그래프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2 상품과 관련된 후기 정보들 중 상기 상품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후기 정보들만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목록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기 설정된 기간별은 날짜별, 월별 및 연도별을 의미하고,
    상기 상품 유형 정보는 구매 희망 상품의 색상 정보 및/또는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은 보험 서비스 및 통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상기 상품 관리부에 더 등록하고,
    상기 소통 공간 제공부는, 사용자가 상기 상품 관리부에 기 등록된 복수의 서비스 중 제1 서비스의 구매를 희망하여 서비스 구매 버튼을 클릭한 경우, 상기 소통 공간으로서 채팅방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인,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KR1020210161697A 2021-11-22 2021-11-22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 KR102407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697A KR102407276B1 (ko) 2021-11-22 2021-11-22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697A KR102407276B1 (ko) 2021-11-22 2021-11-22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276B1 true KR102407276B1 (ko) 2022-06-13

Family

ID=8198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697A KR102407276B1 (ko) 2021-11-22 2021-11-22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2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317B1 (ko) * 2022-06-16 2023-06-22 김필규 지식박스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77A (ko) * 2000-06-12 2000-09-05 김윤식 동화상을 이용한 실시간 대화형 전자상거래 방법
KR100430533B1 (ko) * 2000-06-30 2004-05-10 김현숙 실시간 대화식 인터넷 음성 게시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77A (ko) * 2000-06-12 2000-09-05 김윤식 동화상을 이용한 실시간 대화형 전자상거래 방법
KR100430533B1 (ko) * 2000-06-30 2004-05-10 김현숙 실시간 대화식 인터넷 음성 게시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317B1 (ko) * 2022-06-16 2023-06-22 김필규 지식박스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91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rtual fitting rooms or hybrid stores
US118935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shopping, business and entertainment
Luce Artificial intelligence for fashion: How AI is revolutionizing the fashion industry
US10002337B2 (en) Method for collaborative shopping
US11538083B2 (en) Cognitive fashion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Stangl et al. Browsewithme: An online clothes shopping assistant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US10346893B1 (en) Virtual dressing room
US10956928B2 (en) Cognitive fashion product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CN106462979A (zh) 时尚偏好分析
US8549001B1 (en) Method and system for gathering and providing consumer intelligence
KR102132714B1 (ko)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06356B1 (ko) 코디 추천 장치 및 방법
US20130060610A1 (en) Methods and systems of using personalized multi-dimensional avatar (pmda) in commerce
KR102461863B1 (ko) 개인화 스타일링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407276B1 (ko) 양방향 소통 기반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
KR102381566B1 (ko) 패션 스타일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90103649A (ko)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31374B1 (ko) 인공지능 기반 죽은 반려동물의 가상세계 구현 장치
KR102365896B1 (ko) 의류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419056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US119897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KR102375569B1 (ko) 챌린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40095969A1 (en) Pose recommendation and real-time guidance for user-generated content
KR20230133644A (ko) 소비자 전문 리뷰 빅데이터 학습에 기반한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170430B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rsona based gift searches for all occa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