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125B1 - 자전거 운송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운송 방법 - Google Patents

자전거 운송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운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125B1
KR102407125B1 KR1020210094137A KR20210094137A KR102407125B1 KR 102407125 B1 KR102407125 B1 KR 102407125B1 KR 1020210094137 A KR1020210094137 A KR 1020210094137A KR 20210094137 A KR20210094137 A KR 20210094137A KR 102407125 B1 KR102407125 B1 KR 102407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am
body unit
bicycle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용
Original Assignee
윤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준용 filed Critical 윤준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3Corner, edge or end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0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deformable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운송 패키지 및 운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운송 패키지 구성을 통하여 자전거의 파손을 방지하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 및 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자전거 운송 패키지에 있어서, 내부에 운송 공간이 형성되는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 상기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의 상기 운송 공간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폼 유닛; 및 상기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를 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는, 평면 상태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의 상기 운송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디 유닛; 평면 상태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하단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하측을 폐쇄하는 제2 바디 유닛; 및 평면 상태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 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바디 유닛과 대향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상단을 수용하여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상측을 폐쇄하는 제3 바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폼 유닛은, 상기 운송 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전거의 일측이 고정되는 제1 폼 유닛; 상기 운송 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폼 유닛과 대향되는 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전거의 타측이 고정되는 제2 폼 유닛; 및 상기 운송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폼 유닛 및 상기 제2 폼 유닛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자전거의 상측이 접촉 삽입되는 제3 폼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전거 운송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운송 방법{CARRYING PACKAGE FOR BICYCLE AND CARRYING METHOD USING THEREWITH}
본 발명은 자전거 운송 패키지 및 운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송 패키지 구성을 통하여 자전거의 파손을 방지하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 및 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차량이 증가하여 교통체증 및 환경오염이 심해지는 등의 이유로 인해 근거리 이동에는 자전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이 전파력이 높은 바이러스의 유행 등으로 인하여, 밀폐된 내부공간에서의 레저 스포츠보다, 야외 공간에서의 레저 스포츠로써 자전거 타기가 각광받고 있다.
또한, 자전거의 수요 증가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는 고급 소재의 자전거 및 개인형 맞춤형 자전거가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를 임의의 장소 및 섬과 같은 도로가 연결되지 않은 장소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전거를 운송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전거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아, 자전거 운송에 어려움이 있으며, 자전거의 운송 시 외부의 충격으로 망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1-0030913호(2011.03.24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자전거를 운송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최소화 또는 제거하며, 자전거 운송 패키지의 부피를 줄이며 재사용 가능한 자전거 운송 패키지 및 운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자전거 운송 패키지에 있어서, 내부에 운송 공간이 형성되는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 상기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의 상기 운송 공간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폼 유닛, 및 상기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를 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는, 평면 상태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의 상기 운송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디 유닛, 평면 상태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하단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하측을 폐쇄하는 제2 바디 유닛, 및 평면 상태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 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바디 유닛과 대향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상단을 수용하여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상측을 폐쇄하는 제3 바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폼 유닛은, 상기 운송 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전거의 일측이 고정되는 제1 폼 유닛, 상기 운송 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폼 유닛과 대향되는 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전거의 타측이 고정되는 제2 폼 유닛, 및 상기 운송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폼 유닛 및 상기 제2 폼 유닛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자전거의 상측이 접촉 삽입되는 제3 폼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바디 유닛은, 그 상면에 상기 폼 유닛이 안착되는 제2 바디 유닛 하단부, 상기 제2 바디 유닛 하단부에서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바디 유닛 측면부, 상기 제2 바디 유닛 하단부에서 상기 제2 바디 유닛 측면부가 형성된 측과 다른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바디 유닛 정면부를 포함하고, 평면 상태로 폴딩된 상기 제2 바디 유닛 측면부는 평면 상태로 폴딩된 제2 바디 유닛 정면부와 적어도 일부 영역을 공유하며, 입체 상태로 폴딩된 상기 제2 바디 유닛 측면부와 상기 제2 바디 유닛 정면부는 서로 직교하고, 입체 상태로 폴딩된 상기 제2 바디 유닛 정면부는 상기 제2 바디 유닛 측면부 및 상기 제2 바디 유닛 하단부와 각각 직교하며, 상기 제3 바디 유닛은, 그 상면에 상기 폼 유닛이 안착되는 제3 바디 유닛 하단부, 상기 제3 바디 유닛 하단부에서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쌍의 제3 바디 유닛 측면부, 상기 제3 바디 유닛 하단부에서 상기 제3 바디 유닛 측면부가 형성된 측과 다른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바디 유닛 정면부를 포함하고, 평면 상태로 폴딩된 상기 제3 바디 유닛 측면부는 평면 상태로 폴딩된 제3 바디 유닛 정면부와 적어도 일부 영역을 공유하며, 입체 상태로 폴딩된 상기 제3 바디 유닛 측면부와 상기 제3 바디 유닛 정면부는 서로 직교하고, 입체 상태로 폴딩된 상기 제3 바디 유닛 정면부는 상기 제3 바디 유닛 측면부 및 상기 제3 바디 유닛 하단부와 각각 직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 유닛 하단부의 넓이는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단면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하단은 상기 제2 바디 유닛에 삽입되며, 상기 제3 바디 유닛 하단부의 넓이는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단면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상단은 상기 제3 바디 유닛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폼 유닛은, 상기 제2 바디 유닛의 일면 상에 안착되는 제1 폼 유닛 하부 및 상기 제1 폼 유닛 하부 상에 형성되는 제1 폼 유닛 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폼 유닛 하부는 상기 제1 폼 유닛 하부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폼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폼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1 폼 유닛 하부에서 상기 제1 폼 돌출부가 형성된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폼 유닛은, 상기 제1 폼 유닛 상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삽입부, 및 상기 제1 프레임 삽입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 폼 유닛 상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안장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삽입부는 상기 자전거의 제1 프레임을 수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은 상기 제1 폼 유닛 하부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폼 유닛은, 상기 제2 바디 유닛의 일면 상에 안착되는 제2 폼 유닛 하부; 상기 제2 폼 유닛 하부 상에 형성되는 제2 폼 유닛 중앙부;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 상에 형성되는 제2 폼 유닛 상부; 상기 제2 폼 유닛 하부,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 및 상기 제2 폼 유닛 상부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폼 돌출부, 및 상기 제2 폼 유닛 하부,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 및 상기 제2 폼 유닛 상부 중 적어도 일부에 함몰 형성되는 제1 휠 유닛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폼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2 폼 유닛 하부,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 및 상기 제2 폼 유닛 상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상기 제1 휠 유닛 삽입부는 상기 제2 폼 유닛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휠 유닛 삽입부의 중심은 상기 제1 폼 유닛 중 상기 제1 프레임 삽입부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휠 유닛 삽입부는, 상기 제2 폼 유닛 중 상기 제2 폼 유닛 하부 및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에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제1 타입 삽입 유닛; 및 상기 제1 타입 삽입 유닛과 대향 형성되고, 상기 제2 폼 유닛 중 상기 제2 폼 유닛 상부 및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에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 타입 삽입 유닛의 두께와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제2 타입 삽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폼 유닛의 높이(H1)와 상기 제1 타입 삽입 유닛의 높이(H2) 및 상기 제2 타입 삽입 유닛의 높이(H3)는, 이하의 관계식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H1 < H2 + H3
또한, 상기 제1 타입 삽입 유닛은,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에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삽입 유닛은,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폼 유닛은, 상기 제3 바디 유닛 하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3 폼 유닛 상부, 상기 제3 폼 유닛 상부 하에 형성되는 제3 폼 유닛 중앙부, 상기 제3 폼 유닛 중앙부 하에 형성되는 제3 폼 유닛 하부, 및 상기 제3 폼 유닛 중앙부 및 제3 폼 유닛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프레임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 삽입부는, 상기 제1 폼 유닛의 상기 제1 프레임 삽입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폼 유닛 중앙부는, 상기 제2 프레임 삽입부와 이격된 위치에 제2 휠 유닛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휠 유닛 삽입부에는, 상기 제2 휠 유닛 삽입부의 외면 일부를 둘러 싸는 제2 휠 유닛 보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폼 유닛 하부에는, 상기 제2 프레임 삽입부의 외면 일부를 둘러 싸는 중앙 가이드부와 제2 프레임 보호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상태로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 유닛, 상기 제2 바디 유닛 및 상기 제3 바디 유닛 각각의 두께는, 입체 상태로 폴딩된 상기 제1 바디 유닛, 상기 제2 바디 유닛 및 상기 제3 바디 유닛의 어느 한 외벽 두께의 2배 내지 5배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운송 방법에 있어서, 평면 상태로 폴딩되어 있는 상기 제1 바디 유닛과 상기 제2 바디 유닛을 조립하여 상기 운송 공간을 형성하는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 조립 단계, 상기 운송 공간의 하측에 상기 제1 폼 유닛과 상기 제2 폼 유닛을 배치하는 1차 폼 유닛 배치 단계; 상기 자전거를 상기 운송 공간, 상기 제1 폼 유닛 및 상기 제2 폼 유닛에 배치하는 자전거 배치 단계, 상기 자전거의 상단에 상기 제3 폼 유닛을 배치하는 2차 폼 유닛 배치 단계, 및 조립된 상기 제1 바디 유닛과 상기 제2 바디 유닛에 상기 제3 바디 유닛을 조립하고 상기 스트랩 유닛으로 상기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를 결속하는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 결속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1차 폼 유닛 배치 단계에서, 상기 제1 폼 유닛 돌출부와 상기 제2 폼 유닛 돌출부는 각각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내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폼 유닛 배치 단계에서, 상기 제1 휠 유닛이 제1 타입 삽입 유닛 및 제2 타입 삽입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되도록 제2 폼 유닛을 배치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전거를 컴팩트하게 운송할 수 있고, 상기 자전거를 운송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충격을 최소화 또는 제거하고 여러 번 재사용 가능한 자전거 운송 패키지 및 운송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운송 패키지이다.
도 2는 도 1의 제2 바디 유닛이 입체 상태로 폴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3 바디 유닛이 입체 상태로 폴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바디 유닛과 제2 바디 유닛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바디 유닛과 제2 바디 유닛에 자전거가 수납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제1 바디 유닛과 제2 바디 유닛에 자전거가 수납되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제1 폼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폼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제2 폼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제2 폼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제3 폼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3 폼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자전거 운송 패키지를 이용한 자전거 운송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될 수 있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며,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인바,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실제 발명의 구현모습에 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운송 패키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제2 바디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제3 바디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제1 바디 유닛과 제2 바디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운송 패키지(1)는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100)와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140)을 포함한다.
이때,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100)은 내부에 운송 공간(115)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140)은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100)의 외면 일부에 둘러져,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100)을 결속한다.
이때, 스트랩(140)은 1자 형상의 끈일 수도 있고, 링 형상의 탄성밴드 일 수도 있으나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운송 패키지(1) 중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100)는 제1 바디 유닛(110), 제2 바디 유닛(120) 및 제3 바디 유닛(130)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제1 바디 유닛(110), 제2 바디 유닛(120), 및 제3 바디 유닛(130)은 평면 상태로 폴딩되거나 입체 상태로 폴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바디 유닛(110)은 평면 상태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패키지 어셈블리(100)의 운송 공간(115)을 형성한다.
또한, 제2 바디 유닛(120)은 평면 상태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1 바디 유닛(110)의 하단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바디 유닛(110)의 하측을 폐쇄한다. 또한, 제3 바디 유닛(130)은 평면 상태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 유닛(110)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바디 유닛(120)과 대향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1 바디 유닛(110)의 상단을 수용하여 상기 제1 바디 유닛(110)의 상측을 폐쇄한다.
제1 바디 유닛(110)은 입체 상태로 폴딩되어 운송 공간(115)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바디 정면부(111), 및 제1 바디 정면부(111)와 직교하는 제1 바디 측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바디 정면부(111)는 한 쌍이 대향 형성되고, 제1 바디 측면부(112)는 한 쌍이 대향 형성되어, 제1 바디 유닛(110)이 입체 상태로 폴딩되었을 때 직육면체의 옆면을 형성한다. 제1 바디 정면부(111)와 제1 바디 측면부(112)가 형성되지 않은 제1 바디 유닛(110)의 상측과 하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2 바디 유닛(120)은 그 상면에 폼 유닛(200, 300, 400) 중 적어도 하나가 안착되고 다각 평면 형상을 가지는 제2 바디 유닛 하단부(121), 제2 바디 유닛 하단부(121)에서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바디 유닛 측면부(122), 제2 바디 유닛 하단부(121)에서 제2 바디 유닛 측면부(122)가 형성된 측과 다른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바디 유닛 정면부(123)를 포함한다.
이때, 평면 상태로 폴딩된 제2 바디 유닛 측면부(122)는 평면 상태로 폴딩된 제2 바디 유닛 정면부(123)와 적어도 일부 영역을 공유하며, 입체 상태로 폴딩된 제2 바디 유닛 측면부(122)와 제2 바디 유닛 정면부(123)는 서로 직교하고, 입체 상태로 폴딩된 제2 바디 유닛 정면부(123)는 제2 바디 유닛 측면부(122) 및 제2 바디 유닛 하단부(121)와 각각 직교할 수 있다. 즉, 입체 상태로 폴딩된 제2 바디 유닛(120)에서 제2 바디 유닛 하단부(121)는 저면을 형성하고, 제2 바디 유닛 측면부(122)와 제2 바디 유닛 정면부(123)는 정면, 배면, 좌우측면을 형성함으로써, 입체 상태로 폴딩된 제2 바디 유닛(120)은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또한, 평면 형태로 폴딩된 제2 바디 유닛 하단부(121)의 중심에 제2 바디 유닛 하단부(121)의 가로, 세로 모서리 중 적어도 한 모서리와 평행하는 제2 바디 유닛 오시선A(124A)이 형성되어, 제2 바디 유닛 하단부(121)는 도 2(A)와 같은 형상으로 폴딩 가능하고, 제2 바디 유닛 측면부(122)와 제2 바디 유닛 정면부(123)가 공유하는 상기 일부 영역의 외각에는 제2 바디 유닛 모서리부(124C)가 형성된다.
이때, 제2 바디 유닛 모서리부(124C)는 평면 형태의 제2 바디 유닛이 입체 형태로 폴딩될 때, 제2 바디 유닛의 내측으로 폴딩되어, 제2 바디 유닛 측면부(122)와 제2 바디 유닛 정면부(123)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촉된다.
한편, 제3 바디 유닛(130)은 제2 바디 유닛(12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3 바디 유닛(130)은 다각 평면 형상을 가지는 제3 바디 유닛 하단부(131), 제3 바디 유닛 하단부(131)에서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바디 유닛 측면부(132), 제3 바디 유닛 하단부(131)에서 제3 바디 유닛 측면부(132)가 형성된 측과 다른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바디 유닛 정면부(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평면 상태로 폴딩된 제3 바디 유닛 측면부(132)는 평면 상태로 폴딩된 제3 바디 유닛 정면부(133)와 적어도 일부 영역을 공유하며, 입체 상태로 폴딩된 제3 바디 유닛 측면부(132)와 제3 바디 유닛 정면부(133)는 서로 직교하고, 입체 상태로 폴딩된 제3 바디 유닛 정면부(133)는 제3 바디 유닛 측면부(132) 및 제3 바디 유닛 하단부(131)와 각각 직교할 수 있다. 즉, 입체 상태로 폴딩된 제3 바디 유닛(130)에서 제3 바디 유닛 하단부(131)는 상면을 형성하고, 제3 바디 유닛 측면부(132)와 제3 바디 유닛 정면부(133)는 정면, 배면, 좌우측면을 형성함으로써, 입체 상태로 폴딩된 제3 바디 유닛(130)은 하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또한, 평면 형태로 폴딩된 제3 바디 유닛 하단부(131)의 중심에 제3 바디 유닛 하단부(131)의 가로, 세로 모서리 중 적어도 한 모서리와 평행하는 제3 바디 유닛 오시선A(134A)이 형성되어, 제3 바디 유닛 하단부(131)는 도 3(A)와 같은 형상으로 폴딩 가능하고, 제3 바디 유닛 측면부(132)와 제3 바디 유닛 정면부(133)가 공유하는 상기 일부 영역의 외각에는 제3 바디 유닛 모서리부(134C)가 형성된다.
이때, 제3 바디 유닛 모서리부(134C)는 평면 형태의 제3 바디 유닛이 입체 형태로 폴딩될 때, 제3 바디 유닛의 내측으로 폴딩되어, 제3 바디 유닛 측면부(132)와 제3 바디 유닛 정면부(133)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촉된다.
한편, 제2 바디 유닛 하단부(121)의 넓이는 제1 바디 유닛(110)의 단면 넓이보다 넓어, 제1 바디 유닛(110)의 하단은 상기 제2 바디 유닛(120)에 삽입되며, 제3 바디 유닛 하단부(131)의 넓이는 상기 제1 바디 유닛(110)의 단면 넓이보다 넓어, 상기 제1 바디 유닛(110)의 상단은 제3 바디 유닛(1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바디 유닛(110)의 단면은 제2 바디 유닛 하단부(121) 또는 제3 바디 유닛 하단부(131)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바디 유닛(110)의 운송 공간(115)의 면적을 의미한다.
한편, 평면 상태로 폴딩된 상태에서, 제1 바디 유닛(110), 제2 바디 유닛(120) 및 제3 바디 유닛(130) 각각의 두께(D1, D2, D3)는, 입체 상태로 폴딩된 제1 바디 유닛(110), 제2 바디 유닛(120) 및 제3 바디 유닛(130)의 어느 한 외벽 두께(D4, D5, D6)의 2배 내지 5배 이하일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바디 유닛(110), 제2 바디 유닛(120) 및 제3 바디 유닛(130)은 평면 상태로 폴딩될 수 있어, 자전거(900)를 운송하기 전후에 컴팩트하게 휴대 및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운송 패키지(1)에서, 자전거(900)를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운송하기 위한 폼 유닛(200, 300, 400)들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제1 바디 유닛과 제2 바디 유닛에 자전거가 수납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제1 바디 유닛과 제2 바디 유닛에 자전거가 수납되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제1 폼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제1 폼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제2 폼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제2 폼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제3 폼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3 폼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100)는 적어도 하나의 폼 유닛(200, 300, 400)을 더 포함한다. 폼 유닛(200, 300, 400)은 자전거(900)를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10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자전거(900)가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100) 내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자전거(900)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전거(900)는, 예시적으로 프레임과 휠이 분리 가능한 자전거일 수 있으며, 이외에 각 구성이 분리 가능한 자전거일 수 있다.
상기 폼 유닛은 운송 공간(115)의 하측에 배치되어 자전거(900)의 일측이 고정되는 제1 폼 유닛(200), 운송 공간(115)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폼 유닛(200)과 대향되는 측에 배치되어 자전거(900)의 타측이 고정되는 제2 폼 유닛(300) 및 운송 공간(115)에 배치되고 제1 폼 유닛(200) 및 제2 폼 유닛(300)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하부에 자전거(900)의 상측이 접촉 삽입되는 제3 폼 유닛(400)을 포함한다.
한편, 예시적으로 제1 폼 유닛(200), 제2 폼 유닛(300), 및 제3 폼 유닛(400)은 자전거(900)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자전거(900)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우레탄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폼 유닛(200), 제2 폼 유닛(300), 제3 폼 유닛(300)의 재질은 우레탄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전거(900)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외부로부터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제1 폼 유닛(200)은 제2 바디 유닛(120)의 일면 상에 안착되는 제1 폼 유닛 하부(220), 및 제1 폼 유닛 하부(220) 상에 형성되는 제1 폼 유닛 상부(210)을 포함한다. 제1 폼 유닛 하부(220)는 제1 폼 유닛 하부(22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폼 돌출부(221)를 포함하며, 제1 폼 돌출부(221)의 폭(L1)은 제1 폼 유닛 하부(220)에서 제1 폼 돌출부(211)가 형성된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폼 돌출부(221)의 폭(L1)과 제1 폼 유닛 하부(220)의 폭(L2)은, L2 > L1 인 관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폼 유닛 하부(220)의 폭(L2)은, 제1 폼 돌출부(211)가 형성된 측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짐에 따라, 제1 돌출부(221)의 양측에 한 쌍의 제1 폼 모서리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폼 유닛(200)은, 제1 폼 유닛 상부(21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삽입부(211) 및 제1 프레임 삽입부(211)와 이격되며 제1 폼 유닛 상부(21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안장 삽입부(212)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1 프레임 삽입부(211)는 자전거(900)의 제1 프레임(910)을 수용하고, 제1 프레임(910)의 하단은 제1 폼 유닛 하부(220)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폼 돌출부(221)는 돌출 형성되어 외력을 집중적으로 받아 제1 폼 유닛(200)에 접촉되어 삽입되어 있는 제1 프레임(910)에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 폼 유닛(200)의 양 측면은 제1 바디 유닛(110)의 내면과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제1 폼 모서리부(222)를 손으로 집어 제1 폼 유닛(200)을 제1 바디 유닛(110)의 일측 내면(보다 상세하게는, 일측 제1 바디 측면부의 내면과 한 쌍의 제1 바디 정면부의 내면), 그리고 제2 바디 유닛 하단부(121) 상에 안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운송 패키지(1)를 폴딩 상태로 만들기 위해, 배치된 제1 폼 유닛(200) 중 제1 폼 모서리부(222)와 제1 바디 유닛(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손을 삽입하여 용이하게 제1 폼 유닛(200)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폼 모서리부(222)를 통하여 제1 폼 유닛(200)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자전거(900)에서 안장을 분리하여 제1 폼 유닛(200)에 형성된 안장 삽입부(212)에 보관함으로써, 자전거(900)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1)에 컴팩트하고 안정적으로 보관되어 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2 폼 유닛(300)은, 제2 바디 유닛(120)의 일면 상에 안착되는 제2 폼 유닛 하부(311), 제2 폼 유닛 하부(311) 상 형성되는 제2 폼 유닛 중앙부(310), 제2 폼 유닛 중앙부(310) 상에 형성되는 제2 폼 유닛 상부(312), 제2 폼 유닛 하부(311), 제2 폼 유닛 중앙부(310), 및 제2 폼 유닛 상부(312)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폼 돌출부(313) 및 제2 폼 유닛 하부(311), 제2 폼 유닛 중앙부(310), 및 제2 폼 유닛 상부(312) 중 적어도 일부에 함몰 형성되는 제1 휠 유닛 삽입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폼 돌출부(313)의 폭(L3)은 제2 폼 유닛 하부(311), 제2 폼 유닛 중앙부(310), 및 제2 폼 유닛 상부(312)에서 제2 폼 돌출부가 형성된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다. 즉, 제2 폼 돌출부(313)의 폭(L3)은 제2 폼 유닛 하부(311), 제2 폼 유닛 중앙부(310), 및 제2 폼 유닛 상부(31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로 점진적으로 작아져, 제2 폼 돌출부(313)의 폭(L3)과 제1 폼 유닛 상부(313)의 폭(L4)은, L4 > L3 인 관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폼 유닛 하부(311), 제2 폼 유닛 중앙부(310), 및 제2 폼 유닛 상부(312)이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짐에 따라, 제2 돌출부(313)의 양측에 한 쌍의 제2 폼 모서리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제2 폼 모서리부(314)를 손으로 집어 제2 폼 유닛(300)을 제1 바디 유닛(110)의 타측 내면(보다 상세하게는, 타측 제1 바디 측면부의 내면과 한 쌍의 제1 바디 정면부의 내면), 그리고 제2 바디 유닛 하단부(121) 상에 안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운송 패키지(1)를 폴딩 상태로 만들기 위해, 배치된 제2 폼 유닛(200) 중 제2 폼 모서리부(314)와 제1 바디 유닛(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손을 삽입하여 용이하게 제2 폼 유닛(300)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폼 모서리부(314)를 통하여 제2 폼 유닛(300)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휠 유닛 삽입부(320)는 제2 폼 유닛(30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제1 휠 유닛 삽입부(320)의 중심은 제1 폼 유닛(220) 중 제1 프레임 삽입부(211)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일직선상이란, 제1 휠 유닛 삽입부(320)과 제1 프레임 삽입부(211)을 상측에서 보았을 때, 제1 휠 유닛 삽입부(320)과 제1 프레임 삽입부(211)의 중심을 직선으로 이은 선이다.
한편, 제1 휠 유닛 삽입부(320)는, 제2 폼 유닛(300) 중 제2 폼 유닛 하부(311) 및 제2 폼 유닛 중앙부(312)에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제1 타입 삽입 유닛(321) 및 제1 타입 삽입 유닛(321)과 대향 형성되고, 제2 폼 유닛(300) 중 제2 폼 유닛 상부(312) 및 제2 폼 유닛 중앙부(310)에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며, 제1 타입 삽입 유닛(321)의 두께와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제2 타입 삽입 유닛(3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폼 유닛(300)의 높이(H1)와 제1 타입 삽입 유닛(321)의 높이(H2) 및 제2 타입 삽입 유닛(322)의 높이(H3)는, H1 < H2 + H3 인 관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타입 삽입 유닛(321)은, 제2 폼 유닛 중앙부(310)에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부(3210)를 포함하고, 제2 타입 삽입 유닛(322)은, 제2 폼 유닛 중앙부(310)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3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폼 돌출부(313)는 돌출 형성되어 외력을 집중적으로 받아 제2 폼 유닛(300)에 접촉되어 삽입되어 있는 제1 휠 유닛(930)에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2 폼 유닛(300)의 양 측면은 제1 바디 유닛(110)의 내면과 접속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이때, 제2 폼 모서리부(314)를 통하여 제2 폼 유닛(300)의 배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폼 유닛(300)은 제1 타입 삽입 유닛(321)의 두께와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제2 타입 삽입 유닛(322)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규격의 자전거(900)를 운송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제1 지지부(3210) 및 제2 지지부(3220)은 삽입되는 자전거(900)의 제1 휠 유닛(930)에 높낮이의 차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휠 유닛(930)에 형성될 수 있는 그루브(groove, 홈)와 패턴(pattern, 무늬)에 대응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폼 유닛(400)은, 제3 바디 유닛(130)의 내면과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제3 바디 유닛 하단부(131)와 접촉되는 제3 폼 유닛 상부(412), 제3 폼 유닛 상부(412) 하에 형성되는 제3 폼 유닛 중앙부(410), 제3 폼 유닛 중앙부 하에 형성되는 제3 폼 유닛 하부(411), 제3 폼 유닛 중앙부(410) 및 제3 폼 유닛 하부(411)에 형성되는 제2 프레임 삽입부(420) 및 제2 프레임 삽입부(420)와 이격된 위치에 제2 휠 유닛 삽입부(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 삽입부(420)는, 제1 폼 유닛(200)의 제1 프레임 삽입부(211)와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제2 휠 유닛 삽입부(430)는 제3 폼 유닛 중앙부(410)에 형성된다.
또한, 제2 폼 유닛 중앙부(410)에는 제2 휠 유닛 삽입부(430)의 외면 일부를 둘러싸는 제2 휠 유닛 보호부(431)가 형성되고, 제2 폼 유닛 하부(411)에는 제2 프레임 삽입부(420)의 외면 일부를 둘러 싸는 중앙 가이드부(440)와 제2 프레임 보호부(421)를 형성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프레임 삽입부(211)와 제2 프레임 삽입부(420) 및 제1 휠 유닛 삽입부(320)은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각각의 폼 유닛(200, 300, 400)에 중심에 편심됨으로 제1 프레임 삽입부(211)와 제2 프레임 삽입부(420) 및 제1 휠 유닛 삽입부(320)와 이격되며 각각의 폼 유닛(200, 300, 400)에 중심에 편심된 위치에 다른 구성을 위치시킬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자전거 운송 패키지(1)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프레임 삽입부(211), 제2 프레임 삽입부(420), 및 제1 휠 유닛 삽입부(320)의 배치 구성에 따라 자전거(900)를 운송하기 위한 최소한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운송 패키지(1)는 그 내부의 운송 공간(115)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3 폼 유닛(300)에서 제2 프레임 삽입부(420)은 제2 프레임(920)에 존재할 수 있는 제2 프레임(920) 전방과 후방의 높낮이의 차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2 휠 유닛 삽입부(430)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자전거 운송 패키지(1)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운송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도 1의 자전거 운송 패키지를 이용한 자전거 운송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1)를 이용한 운송 방법에 관한 구성으로, 자전거 운송 패키지(1)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12에서 도시되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언급하며,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앞서서 설명한 자전거 운송 패키지(1)를 이용한 운송 방법에 있어서, 먼저, 평면 상태로 폴딩되어 있는 제1 바디 유닛(110)과 제2 바디 유닛(120)을 조립하여 운송 공간(115)을 형성하는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 조립 단계;(S110)를 수행한다.
이후, 운송 공간(115)의 하측에 제1 폼 유닛(200)과 제2 폼 유닛(300)을 배치하는 1차 폼 유닛 배치 단계(S120)를 수행한다.
이때, 1차 폼 유닛 배치 단계(S120)에서, 제1 폼 유닛 돌출부(221)와 제2 폼 유닛 돌출부(313)는 각각 제1 바디 유닛(110)의 내면과 마주보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1차 폼 유닛 배치 단계(S120)에서, 제1 휠 유닛(930)이 제1 타입 삽입 유닛(321) 및 제2 타입 삽입 유닛(322)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되도록 제2 폼 유닛(300)을 배치할 수 있다.
그 다음, 자전거(900)를 운송 공간(115), 제1 폼 유닛(200) 및 제2 폼 유닛(300)에 배치하는 자전거 배치 단계(S130)를 수행한다.
그 다음, 자전거(900)의 상단에 제3 폼 유닛(400)을 배치하는 2차 폼 유닛 배치 단계;(S140)를 수행한다.
그 다음, 조립된 제1 바디 유닛(110)과 제2 바디 유닛(120)에 제3 바디 유닛(130)을 조립하고 스트랩 유닛(140)으로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100)를 결속하는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 결속 단계(S150)를 수행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100)은 사용하기 전, 후로 평면 상태로 폴딩되어 있어 보관 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간편히 운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폼 유닛(200, 300, 400)은 자전거(900)에 컴팩트하게 고정하여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 또는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폼 유닛(300)은 제1 타입 삽입 유닛(321)와 제2 타입 삽입 유닛(322)을 구비하여, 자전거(900)의 다양한 휠 모양에 대응하여 자전거(900)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하부’, ‘~중앙부’, ‘~상부’가 순서대로 적층되는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금형에 의하여 ‘~하부’, ‘~중앙부’, ‘~상부’가 동시에 성형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자전거 운송 패키지
100 :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 110 : 제1 바디 유닛
111 : 제1 바디 유닛 정면부 112 : 제1 바디 유닛 측면부
114A : 제1 바디 유닛 오시선A 114B : 제1 바디 유닛 오시선B
115 : 운송 공간
120 : 제2 바디 유닛 121 : 제2 바디 유닛 하단부
122 : 제2 바디 유닛 측면부 123 : 제2 바디 유닛 정면부
124A : 제2 바디 유닛 오시선A 124B : 제2 바디 유닛 오시선B
124C : 제2 바디 유닛 모서리부
130 : 제3 바디 유닛 131 : 제3 바디 유닛 하단부
132 : 제3 바디 유닛 측면부 133 : 제3 바디 유닛 정면부
134A : 제3 바디 유닛 오시선A 134B : 제3 바디 유닛 오시선B
134C : 제3 바디 유닛 모서리부
140 : 스트랩 유닛
200 : 제1 폼 유닛 210 : 제1 폼 유닛 상부
211 : 제1 프레임 삽입부 212 : 안장 삽입부
220 : 제1 폼 유닛 하부 221 : 제1 폼 돌출부
222 : 제1 폼 모서리부
300 : 제2 폼 유닛 310 : 제2 폼 유닛 중앙부
311 : 제2 폼 유닛 하부 312 : 제2 폼 유닛 상부
313 : 제2 폼 유닛 돌출부 314 : 제2 폼 유닛 모서리부
320 : 제1 휠 유닛 삽입부 321 : 제1 타입 삽입 유닛
322 : 제2 타입 삽입 유닛 3210 : 제1 지지부
3220 : 제2 지지부
400 : 제3 폼 유닛 410 : 제3 폼 유닛 중앙부
411 : 제3 폼 유닛 하부 412 : 제3 폼 유닛 상부
420 : 제2 프레임 삽입부 421 : 제2 프레임 보호부
430 : 제2 휠 유닛 삽입부 431 : 제2 휠 유닛 보호부
440 : 중앙 가이드부
900 : 자전거
910 : 제1 프레임 920 : 제2 프레임
930 : 제1 휠 유닛(뒷바퀴) 940 : 제2 휠 유닛(앞바퀴)

Claims (13)

  1. 자전거 운송 패키지에 있어서,
    내부에 운송 공간이 형성되는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
    상기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의 상기 운송 공간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폼 유닛; 및
    상기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를 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는,
    평면 상태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의 상기 운송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디 유닛;
    평면 상태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하단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하측을 폐쇄하는 제2 바디 유닛; 및
    평면 상태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 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바디 유닛과 대향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상단을 수용하여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상측을 폐쇄하는 제3 바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폼 유닛은,
    상기 운송 공간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자전거의 일측이 고정되는 제1 폼 유닛;
    상기 운송 공간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폼 유닛과 대향되는 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전거의 타측이 고정되는 제2 폼 유닛; 및
    상기 운송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폼 유닛 및 상기 제2 폼 유닛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자전거의 상측이 접촉 삽입되는 제3 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폼 유닛은,
    상기 제2 바디 유닛의 일면 상에 안착되는 제1 폼 유닛 하부;
    상기 제1 폼 유닛 하부 상에 형성되는 제1 폼 유닛 상부;
    상기 제1 폼 유닛 상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삽입부; 및
    상기 제1 프레임 삽입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 폼 유닛 상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안장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폼 유닛 하부는 상기 제1 폼 유닛 하부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폼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삽입부는 상기 자전거의 제1 프레임을 수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은 상기 제1 폼 유닛 하부 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1 폼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1 폼 유닛 하부에서 상기 제1 폼 돌출부가 형성된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 유닛은,
    그 상면에 상기 폼 유닛이 안착되는 제2 바디 유닛 하단부;
    상기 제2 바디 유닛 하단부에서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바디 유닛 측면부;
    상기 제2 바디 유닛 하단부에서 상기 제2 바디 유닛 측면부가 형성된 측과 다른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바디 유닛 정면부;를 포함하고,
    평면 상태로 폴딩된 상기 제2 바디 유닛 측면부는 평면 상태로 폴딩된 제2 바디 유닛 정면부와 적어도 일부 영역을 공유하며, 입체 상태로 폴딩된 상기 제2 바디 유닛 측면부와 상기 제2 바디 유닛 정면부는 서로 직교하고,
    입체 상태로 폴딩된 상기 제2 바디 유닛 정면부는 상기 제2 바디 유닛 측면부 및 상기 제2 바디 유닛 하단부와 각각 직교하며,
    상기 제3 바디 유닛은,
    상기 제2 바디 유닛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바디 유닛 하단부;
    상기 제3 바디 유닛 하단부에서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쌍의 제3 바디 유닛 측면부;
    상기 제3 바디 유닛 하단부에서 상기 제3 바디 유닛 측면부가 형성된 측과 다른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바디 유닛 정면부;를 포함하고,
    평면 상태로 폴딩된 상기 제3 바디 유닛 측면부는 평면 상태로 폴딩된 제3 바디 유닛 정면부와 적어도 일부 영역을 공유하며, 입체 상태로 폴딩된 상기 제3 바디 유닛 측면부와 상기 제3 바디 유닛 정면부는 서로 직교하고,
    입체 상태로 폴딩된 상기 제3 바디 유닛 정면부는 상기 제3 바디 유닛 측면부 및 상기 제3 바디 유닛 하단부와 각각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 유닛 하단부의 넓이는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단면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하단은 상기 제2 바디 유닛에 삽입되며,
    상기 제3 바디 유닛 하단부의 넓이는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단면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상단은 상기 제3 바디 유닛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폼 유닛은,
    상기 제2 바디 유닛의 일면 상에 안착되는 제2 폼 유닛 하부;
    상기 제2 폼 유닛 하부 상에 형성되는 제2 폼 유닛 중앙부;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 상에 형성되는 제2 폼 유닛 상부;
    상기 제2 폼 유닛 하부,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 및 상기 제2 폼 유닛 상부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폼 돌출부; 및
    상기 제2 폼 유닛 하부,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 및 상기 제2 폼 유닛 상부 중 적어도 일부에 함몰 형성되는 제1 휠 유닛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폼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2 폼 유닛 하부,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 및 상기 제2 폼 유닛 상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상기 제1 휠 유닛 삽입부는 상기 제2 폼 유닛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휠 유닛 삽입부의 중심은 상기 제1 폼 유닛 중 상기 제1 프레임 삽입부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휠 유닛 삽입부는,
    상기 제2 폼 유닛 중 상기 제2 폼 유닛 하부 및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에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제1 타입 삽입 유닛; 및
    상기 제1 타입 삽입 유닛과 대향 형성되고, 상기 제2 폼 유닛 중 상기 제2 폼 유닛 상부 및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에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 타입 삽입 유닛의 두께와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제2 타입 삽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폼 유닛의 높이(H1)와 상기 제1 타입 삽입 유닛의 높이(H2) 및 상기 제2 타입 삽입 유닛의 높이(H3)는, 이하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
    (관계식)
    H1 < H2 + H3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삽입 유닛은,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에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삽입 유닛은,
    상기 제2 폼 유닛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폼 유닛은,
    상기 제3 바디 유닛 하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3 폼 유닛 상부;
    상기 제3 폼 유닛 상부 하에 형성되는 제3 폼 유닛 중앙부;
    상기 제3 폼 유닛 중앙부 하에 형성되는 제3 폼 유닛 하부;
    상기 제3 폼 유닛 중앙부 및 상기 제3 폼 유닛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프레임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 삽입부는,
    상기 제1 폼 유닛의 상기 제1 프레임 삽입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폼 유닛 중앙부는,
    상기 제2 프레임 삽입부와 이격된 위치에 제2 휠 유닛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휠 유닛 삽입부에는,
    상기 제2 휠 유닛 삽입부의 외면 일부를 둘러 싸는 제2 휠 유닛 보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폼 유닛 하부에는,
    상기 제2 프레임 삽입부의 외면 일부를 둘러 싸는 중앙 가이드부와 제2 프레임 보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
  10. 제1 항에 있어서,
    평면 상태로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 유닛, 상기 제2 바디 유닛 및 상기 제3 바디 유닛 각각의 두께는,
    입체 상태로 폴딩된 상기 제1 바디 유닛, 상기 제2 바디 유닛 및 상기 제3 바디 유닛의 어느 한 외벽 두께의 2배 내지 5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
  11. 제1 항 내지 제3 항, 및 제6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자전거 운송 패키지를 이용한 운송 방법에 있어서,
    평면 상태로 폴딩되어 있는 상기 제1 바디 유닛과 상기 제2 바디 유닛을 조립하여 상기 운송 공간을 형성하는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 조립 단계;
    상기 운송 공간의 하측에 상기 제1 폼 유닛과 상기 제2 폼 유닛을 배치하는 1차 폼 유닛 배치 단계;
    상기 자전거를 상기 운송 공간, 상기 제1 폼 유닛 및 상기 제2 폼 유닛에 배치하는 자전거 배치 단계;
    상기 자전거의 상단에 상기 제3 폼 유닛을 배치하는 2차 폼 유닛 배치 단계; 및
    조립된 상기 제1 바디 유닛과 상기 제2 바디 유닛에 상기 제3 바디 유닛을 조립하고 상기 스트랩 유닛으로 상기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를 결속하는 패키지 바디 어셈블리 결속 단계;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를 이용한 운송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폼 유닛 배치 단계;에서,
    상기 제1 폼 유닛 돌출부와 상기 제2 폼 유닛 돌출부는 각각 상기 제1 바디 유닛의 내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를 이용한 운송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폼 유닛 배치 단계;에서,
    상기 제1 휠 유닛이 상기 제1 타입 삽입 유닛 및 상기 제2 타입 삽입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2 폼 유닛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송 패키지를 이용한 운송 방법.
KR1020210094137A 2021-04-16 2021-07-19 자전거 운송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운송 방법 KR102407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0103 2021-04-16
KR1020210050103 2021-04-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125B1 true KR102407125B1 (ko) 2022-06-10

Family

ID=8198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137A KR102407125B1 (ko) 2021-04-16 2021-07-19 자전거 운송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운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1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0913A (ko) 2009-09-18 2011-03-24 주식회사 유캠프 박스형 자전거 보관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보관 시스템
JP2017030770A (ja) * 2015-07-30 2017-02-09 合同会社S−Works 自転車梱包部材
JP3210642U (ja) * 2017-03-14 2017-06-01 レンゴー株式会社 自転車通販用梱包材
WO2019124516A1 (ja) * 2017-12-20 2019-06-27 合同会社S-Works 自転車梱包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0913A (ko) 2009-09-18 2011-03-24 주식회사 유캠프 박스형 자전거 보관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보관 시스템
JP2017030770A (ja) * 2015-07-30 2017-02-09 合同会社S−Works 自転車梱包部材
JP3210642U (ja) * 2017-03-14 2017-06-01 レンゴー株式会社 自転車通販用梱包材
WO2019124516A1 (ja) * 2017-12-20 2019-06-27 合同会社S-Works 自転車梱包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8800B2 (en) Cushioning material for packaging and packaging matter
JP4913729B2 (ja) 包装体
KR101107749B1 (ko) 디스플레이용 유리기판 포장상자
KR102407125B1 (ko) 자전거 운송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운송 방법
KR20110011641U (ko) 하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CN212667927U (zh) 一种显示器全纸包装装置
JP2018103997A (ja) パレット
CN209321477U (zh) 一种拼接包装箱
KR100856372B1 (ko) 조립식 랙 겸용 캐리어
JPH07187247A (ja) 包装資材並びに該包装資材を用いた包装方法
JP6666868B2 (ja) 瓶容器緩衝材
WO2019031476A1 (ja) 容器
KR20060097287A (ko) 포장상자
CN214567631U (zh) 缓冲结构及包装箱
KR100554410B1 (ko) 반도체 패키지 보관장치
CN208947982U (zh) 一种酒瓶泡沫包装盒
KR100740526B1 (ko) 글래스 기판 운반용 상자
CN209427256U (zh) 一种牢固型安全运输包装纸箱
KR101680460B1 (ko) 고정력을 개선한 휴대폰 및 태블릿바디 케이스 트레이
KR102614687B1 (ko) 벨크로를 구비한 캠핑용 트레일러
CN207826849U (zh) 红酒包装衬托
JP2007048829A (ja) 基板搬送用容器の内壁構造
KR200188246Y1 (ko)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
KR940000141Y1 (ko) 절연애자 운반용 합성수지제 상자
JP2008235294A (ja) 半導体集積回路用ト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