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088B1 -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088B1
KR102407088B1 KR1020200109255A KR20200109255A KR102407088B1 KR 102407088 B1 KR102407088 B1 KR 102407088B1 KR 1020200109255 A KR1020200109255 A KR 1020200109255A KR 20200109255 A KR20200109255 A KR 20200109255A KR 102407088 B1 KR102407088 B1 KR 10240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pressor
clean
bypass
hospital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360A (ko
Inventor
조종재
이범준
조준현
최봉수
백영진
나호상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09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088B1/ko
Priority to US17/458,563 priority patent/US20220065466A1/en
Publication of KR2022002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22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omprising a compressor in the indoor unit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exhaustion of inside air from the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0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in which the air treatment in the central station takes place by means of a heat-pump or by means of a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은, 압축기를 이용해 병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병실의 내부를 음압상태로 만들고, 물 분사부, 압축기 및 살균 챔버에 의해 고온 다습한 환경을 조성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기는 터빈에서 생성된 동력을 이용하고, 터빈에서 나온 공기의 열이 압축기의 흡입측으로 회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압축기의 압축비가 감소하여 소모 동력을 절감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챔버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청정 공기 중 일부를 바이패스 수단을 통해 냉각시킨 후 병실로 다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Clean negative pressure room system using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를 이용하여 병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생성하고, 병실에서 나온 공기는 고온 다습한 살균 챔버를 통과시킴으로써,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압 병실은 병실 내부의 기압을 인위적으로 떨어뜨려, 병실 내부의 병균 및 바이러스를 포함한 공기가 병실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특수 격리 병실을 의미한다. 즉, 기압차로 인해 병실 밖의 공기는 병실 내부로 들어올 수 있지만, 병실 안의 공기는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설계된 공간이다. 환자의 호흡 등을 통해 배출된 바이러스가 섞인 공기는 병실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천장 등에 설치된 정화 시설을 통해 걸리도록 하여, 바이러스의 외부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염병 확산 방지 등을 이유로 환자를 외부 및 일반 환자들과 분리하여 수용하고 치료하기 위한 병실로 사용된다.
최근들어 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의 심각성이 대두됨에 따라 바이러스 환자의 격리 치료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어, 음압병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0653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병실 내부를 음압 상태로 유지함과 아울러 병실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은, 병실의 오염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챔버와; 상기 배기 챔버를 통과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공기의 습도를 높이는 물 분사부와; 상기 물 분사부를 통과한 공기를 압축시켜,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통과하면서 살균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살균 챔버와; 상기 살균 챔버에서 토출된 공기에 의해 구동되어 동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동력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구동 터빈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터빈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터빈에서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배기 챔버로 순환시켜, 상기 구동 터빈에서 토출된 공기의 열을 상기 배기 챔버를 통과하는 공기에 전달하도록 형성된 열회수 유로와, 상기 열회수 유로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열회수 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살균 챔버와 상기 병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 챔버에서 살균된 공기 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병실로 공급하는 바이패스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살균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 챔버에서 살균되고 상기 구동 터빈으로 유입되기 이전의 청정 공기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는 청정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키는 냉각 열교환기와, 상기 냉각 열교환기에서 나온 청정 공기를 상기 병실로 공급하는 청정 공기 공급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되어, 바이패스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구동되며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 터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병실로 펌핑하기 위한 송풍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기 챔버에서 상기 물 분사부보다 상류측에 구비되어, 상기 병실에서 나온 오염 공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 램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기 챔버에서 상기 물 분사부보다 상류측에 구비되어, 상기 병실에서 나온 오염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살균 챔버는,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미리 설정된 최소 설정 시간 이상 통과하도록 나선형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살균 챔버에는 자외선 살균 램프(UV lamp)가 구비된다.
상기 살균 챔버에는 필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은, 병실의 오염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챔버와; 상기 배기 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병실에서 나온 공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 램프와; 상기 배기 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자외선 살균 램프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공기의 습도를 높이는 물 분사부와; 상기 물 분사부를 통과한 공기를 압축시켜,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통과하면서 살균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살균 챔버와; 상기 살균 챔버에서 토출된 공기에 의해 구동되어 동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동력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구동 터빈과; 상기 구동 터빈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터빈에서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물 분사부로 순환시켜, 상기 구동 터빈에서 토출된 공기의 열을 상기 물 분사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전달하도록 형성된 열회수 유로와; 상기 열회수 유로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열회수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은, 병실의 오염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챔버와; 상기 배기 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병실에서 나온 공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 램프와; 상기 배기 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자외선 살균 램프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공기의 습도를 높이는 물 분사부와; 상기 물 분사부를 통과한 공기를 압축시켜,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통과하면서 살균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살균 챔버와; 상기 살균 챔버에서 토출된 공기에 의해 구동되어 동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동력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구동 터빈과; 상기 구동 터빈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터빈에서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물 분사부로 순환시켜, 상기 구동 터빈에서 토출된 공기의 열을 상기 물 분사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전달하도록 형성된 열회수 유로와; 상기 열회수 유로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열회수 밸브와; 상기 살균 챔버와 상기 병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 챔버에서 살균된 공기 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병실로 공급하는 바이패스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살균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 챔버에서 살균되고 상기 구동 터빈으로 유입되기 이전의 청정 공기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되어, 바이패스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는 청정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키는 냉각 열교환기와, 상기 냉각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청정 공기를 상기 병실로 공급하는 청정 공기 공급유로와,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구동되어 동력을 생성하고 공기를 냉각시키며, 생성된 동력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냉각 터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은, 압축기를 이용해 병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병실의 내부를 음압상태로 만들고, 물 분사부, 압축기 및 살균 챔버에 의해 고온 다습한 환경을 조성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기는 터빈에서 생성된 동력을 이용하고, 터빈에서 나온 공기의 열이 압축기의 흡입측으로 회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압축기의 압축비가 감소하여 소모 동력을 절감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챔버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청정 공기 중 일부를 바이패스 수단을 통해 냉각시킨 후 병실로 다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은, 배기 챔버(10), 자외선 램프(11), 필터(12), 물 분사부(13), 압축기(20), 살균 챔버(30), 구동 터빈(40), 모터(50), 열회수 유로(60) 및 바이패스 수단(70)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 챔버(10)는, 병실(1)에 연결되어, 상기 병실의 오염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챔버이다.
상기 병실(1)에는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구(2), 상기 배기 챔버(10)와 연결되어 상기 병실의 오염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3), 상기 바이패스 수단(70)과 연결되어 상기 바이패스 수단(70)으로부터 청정 공기가 흡입되는 청정 공기 흡기구(4)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정 공기 흡기구(4)와 상기 흡기구(2)가 별도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배기구(3)에는 상기 병실의 오염 공기 배출량을 제어하는 배기 밸브(5)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 챔버(10)는 3개의 제1,2,3배기 공간(10a)(10b)(10c)으로 구획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2,3배기 공간(10a)(10b)(10c)은 배기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고, 서로 연통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배기 공간(10a)의 내부에는 상기 자외선 살균 램프(11)가 설치된다.
상기 제2배기 공간(10b)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12)가 설치된다.
상기 제3배기 공간(10c)의 내부에는 상기 물 분사부(13)가 설치된다.
상기 자외선 살균 램프(UV lamp)(11)는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배기 챔버(10)를 통과하는 오염 공기에 포함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1차로 사멸시킨다.
상기 필터(12)는, 상기 자외선 살균 램프(11)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먼지,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도 필터링하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 분사부(Water Spray)(13)는, 상기 배기 챔버(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12)를 통과한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공기의 습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기 챔버(10)의 내부에는 상기 자외선 살균 램프(11), 상기 필터(12) 및 상기 물 분사부(13)가 배기 방향으로 차례로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배기 챔버(10)의 내부에는 상기 자외선 살균 램프(11)와 상기 필터(12)의 설치 순서가 바뀌거나 둘 중 하나만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압축기(20)는, 상기 물 분사부(13)를 통과한 공기를 압축시켜,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출한다. 상기 압축기(20)는 상기 모터(50)의 회전축(51)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상기 압축기(20)와 상기 구동 터빈(40)은 상기 모터(50)의 회전축(5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 터빈(40)에서 생성된 동력이 상기 회전축(51)을 통해 상기 압축기(20)에 제공된다.
상기 살균 챔버(30)는, 상기 압축기(20)의 토출측과 상기 구동 터빈(40)의 흡입측을 연결하여, 상기 압축기(20)에서 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살균 챔버(30)는 상기 압축기(20)에서 나온 공기가 고온 다습한 상태로 미리 설정된 최소 설정 시간 이상 통과하면서 살균되도록 형성된 유로이다. 상기 최소 설정 시간은, 세균 또는 바이러스가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노출되어 사멸할 수 있는 최소 노출 시간으로 설정된다. 상기 살균 챔버(30)의 형상, 길이 및 단면적은 상기 최소 노출 시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챔버(30)에는 상기 살균 챔버(30)를 통과하는 공기 중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미도시)와, 상기 살균 챔버(30)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키기 위한 자외선 살균 램프(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미도시)와 상기 자외선 살균 램프(미도시)는 상기 살균 챔버(30)에 착탈가능토록 삽입 가능하다.
상기 구동 터빈(40)은, 상기 살균 챔버(30)에서 나온 공기에 의해 구동되어 동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동력을 상기 압축기(20)에 제공한다.
상기 구동 터빈(40)에는 2개의 제1,2토출구(40a)(40b)가 구비된다. 상기 제1토출구(40a)에는 상기 열회수 유로(60)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 터빈(40)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배기 챔버(10)로 순환시킨다. 상기 제2토출구(40b)에는 터빈 토출유로(41)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 터빈(40)에서 나온 청정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킨다. 상기 터빈 토출유로(41)에는 외부로 토출되는 청정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터빈 토출밸브(42)가 설치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구동 터빈(40)에는 하나의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 연결된 유로에서 터빈 토출유로(41)와 열회수 유로가 분기되어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열회수 유로(60)는, 상기 구동 터빈(40)의 토출구와 상기 배기 챔버(10)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 터빈(40)에서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배기 챔버로 순환시켜, 상기 구동 터빈(40)에서 토출된 공기의 열을 상기 제3배기 공간(10a)을 통과하는 공기에 전달하도록 형성된 유로이다.
상기 열회수 유로(60)와 상기 제3배기 공간(10a)은 서로 연통하지 않고 독립된 유로로 형성되어, 열교환만 이루어지고 공기는 서로 섞이지 않는다.
상기 열회수 유로(60)에는, 열회수 밸브(62)가 설치된다. 상기 열회수 밸브(62)는, 상기 열회수 유로(60)를 통과하여 상기 제3배기 공간(10c)으로 순환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한다.
상기 바이패스 수단(70)은, 상기 살균 챔버(30)와 상기 병실(1)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 챔버(30)에서 살균된 공기 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병실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바이패스 수단(70)은, 바이패스 유로(71), 바이패스 밸브(72), 냉각 열교환기(73), 청정 공기 공급유로(74) 및 냉각 터빈(75)을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71)는, 상기 살균 챔버(30)의 토출측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 챔버(30)에서 살균되고 상기 구동 터빈(40)으로 유입되기 이전의 청정 공기를 바이패스시키도록 형성된 유로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71)는, 상기 열회수 유로(60)나 상기 터빈 토출유로(41)에서 분기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72)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71)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유로(71)의 개폐를 단속하고, 바이패스되는 청정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이다.
상기 냉각 열교환기(73)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71)를 통과하는 고온의 청정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이다. 상기 냉매는 외기나 냉각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74)는, 상기 냉각 열교환기(73)에서 나온 청정 공기를 상기 병실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유로이다.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74)는 상기 청정 공기 흡기구(4)에 연결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74)는 상기 흡기구(1)에 연결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냉각 터빈(75)은,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74)에 설치되어,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74)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74)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킨다.
또한, 상기 냉각 터빈(75)에서 발생된 동력은 상기 압축기(20)에 제공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74)에는 상기 냉각 터빈(75)을 대신하여 송풍기나 펌프가 설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20)가 구동되면, 상기 병실(1)의 오염 공기가 상기 배기 챔버(10)로 흡입되어, 상기 병실(1) 내부는 음압 상태가 된다.
상기 배기 챔버(10)로 흡입된 오염 공기는 상기 자외선 램프(11)를 통과하면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1차로 사멸된다.
상기 자외선 램프(1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터(12)를 통과하면서 먼지, 이물질,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이 제거된다.
상기 필터(12)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제3배기 공간(10c)을 통과한다.
상기 제3배기 공간(10c)에서는 상기 물 분사부(13)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공기 중 습도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3배기 공간(10c)을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열회수 유로(60)를 통해 순환되는 고온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공기의 온도가 높아진다.
예를 들어, 상기 병실(1)로부터 상기 제1배기 공간(10a)으로 흡입된 공기의 온도가 약 25℃일 때, 상기 제3배기 공간(10c)에서 상기 압축기(20)로 흡입되기 이전 공기의 온도는 약 45℃, 습도는 약 70%가 된다.
상기 제3배기 공간(10c)에서 나온 공기는 상기 압축기(20)에서 압축된 후, 상기 살균 챔버(30)를 통과한다.
상기 압축기(20)에서 나온 공기의 온도는 약 100℃이다.
상기 살균 챔버(30) 내부는 온도가 약 100℃이고, 습도는 약 70% 이상인 고온 다습한 조건이 되므로, 상기 살균 챔버(30)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 중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완전히 사멸하게 된다.
코로나 19 바이러스 등은 온도가 25℃, 습도는 50% 조건일 때 숙주 없이 5일 이상 생존 가능하나, 온도가 56℃, 습도는 60% 이상이면 급격히 사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 챔버(30)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 중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사멸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챔버(30)에서 살균되어 정화된 청정 공기는 상기 터빈(40)으로 유입된다.
상기 터빈(40)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터빈(40)을 구동시키고, 상기 터빈(40)의 구동에 의해 생성된 동력은 상기 모터(50)를 통해 상기 압축기(20)를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터빈(40)에서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열회수 유로(60)를 통해 상기 제3배기 공간(10c)으로 순환된다.
상기 열회수 유로(60)를 통해 상기 제3배기 공간(10c)으로 순환된 고온의 공기는 상기 제3배기 공간(10c)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된다.
상기 열회수 유로(60)를 통해 순환된 공기의 열이 상기 제3배기 공간(10c)을 통과하는 공기에 전달되어, 상기 압축기(20)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20)의 압축비가 감소되어, 상기 압축기(20)의 소모 동력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 챔버(30)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71)를 통해 바이패스시킨다. 상기 살균 챔버(30)를 통과하여 살균되고 상기 구동 터빈(40)으로 유입되기 이전 공기 중 일부를 상기 바이패스 유로(71)로 바이패스시킨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71)로 바이패스된 공기는 상기 냉각 열교환기(73)에서 1차로 냉각된다. 상기 냉각 열교환기(73)에서 1차로 냉각된 공기의 온도는 약 4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냉각 열교환기(73)에서 1차 냉각된 공기는 상기 냉각 터빈(75)에 의해서 2차 냉각된 후, 상기 병실(1)로 공급된다. 상기 냉각 터빈(75)에 의해 냉각된 공기의 온도는 약 18℃이다.
이 때, 상기 냉각 터빈(75)은 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압축기(20)에 제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살균 챔버(30)의 토출구 측에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값이 설정 오염도 미만이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72)를 개방시켜, 상기 살균 챔버(30)에서 살균된 공기를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 챔버(30)에서 살균된 청정 공기를 상기 병실(1)로 다시 공급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은, 상기 압축기(20)를 이용해 상기 병실(1)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병실(1) 내부를 음압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병실(1)에서 나온 공기는 상기 물 분사부(13), 상기 압축기(20) 및 상기 살균 챔버(30)에 의해 조성된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20)는 상기 터빈(40)에서 생성된 동력을 이용하고, 상기 터빈(40)에서 나온 공기의 열이 상기 압축기(20)의 흡입측으로 회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압축기(20)의 압축비가 감소하여 소모 동력을 절감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은, 살균 챔버(300)가 나선형 유로로 형성된 것이 상기 일 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유사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살균 챔버(300)는, 상기 압축기(20)와 상기 터빈(40)을 연결하여, 상기 압축기(20)에서 나온 공기가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미리 설정된 최소 설정 시간 이상 통과하도록 형성된 유로이다.
상기 살균 챔버(300)는 나선형 유로로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직선형 유로에 비해 증가되기 때문에, 살균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병실 2: 흡기구
3: 배기구 4: 청정 공기 흡기구
10: 배기 공간 10a: 제1배기 공간
10b: 제2배기 공간 10c: 제3배기 공간
11: 자외선 램프 12: 필터
13: 물 분사부 20: 압축기
30: 살균 챔버 40: 터빈
50: 모터 60: 열회수 유로
62: 열회수 밸브 70: 바이패스 수단
71: 바이패스 유로 72: 바이패스 밸브
73: 냉각 열교환기 74: 청정 공기 공급유로
75: 냉각 터빈

Claims (14)

  1. 병실의 오염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챔버와;
    상기 배기 챔버를 통과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공기의 습도를 높이는 물 분사부와;
    상기 물 분사부를 통과한 공기를 압축시켜,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통과하면서 살균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살균 챔버와;
    상기 살균 챔버에서 토출된 공기에 의해 구동되어 동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동력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구동 터빈과,
    상기 살균 챔버와 상기 병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 챔버에서 살균된 공기 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병실로 공급하는 바이패스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살균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 챔버에서 살균되고 상기 구동 터빈으로 유입되기 이전의 청정 공기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는 청정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키는 냉각 열교환기와,
    상기 냉각 열교환기에서 나온 청정 공기를 상기 병실로 공급하는 청정 공기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터빈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터빈에서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배기 챔버로 순환시켜, 상기 구동 터빈에서 토출된 공기의 열을 상기 배기 챔버를 통과하는 공기에 전달하도록 형성된 열회수 유로와,
    상기 열회수 유로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열회수 밸브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되어, 바이패스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구동되며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 터빈을 더 포함하는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병실로 펌핑하기 위한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 챔버에서 상기 물 분사부보다 상류측에 구비되어, 상기 병실에서 나온 오염 공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 램프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 챔버에서 상기 물 분사부보다 상류측에 구비되어, 상기 병실에서 나온 오염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 챔버는,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미리 설정된 최소 설정 시간 이상 통과하도록 나선형 유로를 포함하는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 챔버에는 자외선 살균 램프(UV lamp)가 구비된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 챔버에는 필터가 구비된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13. 삭제
  14. 병실의 오염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챔버와;
    상기 배기 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병실에서 나온 공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 램프와;
    상기 배기 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자외선 살균 램프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공기의 습도를 높이는 물 분사부와;
    상기 물 분사부를 통과한 공기를 압축시켜,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통과하면서 살균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살균 챔버와;
    상기 살균 챔버에서 토출된 공기에 의해 구동되어 동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동력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구동 터빈과;
    상기 구동 터빈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터빈에서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물 분사부로 순환시켜, 상기 구동 터빈에서 토출된 공기의 열을 상기 물 분사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전달하도록 형성된 열회수 유로와;
    상기 열회수 유로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열회수 밸브와;
    상기 살균 챔버와 상기 병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 챔버에서 살균된 공기 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병실로 공급하는 바이패스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살균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 챔버에서 살균되고 상기 구동 터빈으로 유입되기 이전의 청정 공기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되어, 바이패스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는 청정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키는 냉각 열교환기와,
    상기 냉각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청정 공기를 상기 병실로 공급하는 청정 공기 공급유로와,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청정 공기 공급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구동되어 동력을 생성하고 공기를 냉각시키며, 생성된 동력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냉각 터빈을 포함하는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KR1020200109255A 2020-08-28 2020-08-28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KR102407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255A KR102407088B1 (ko) 2020-08-28 2020-08-28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US17/458,563 US20220065466A1 (en) 2020-08-28 2021-08-27 Clean negative pressure hospital room system using compressor and turb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255A KR102407088B1 (ko) 2020-08-28 2020-08-28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360A KR20220028360A (ko) 2022-03-08
KR102407088B1 true KR102407088B1 (ko) 2022-06-13

Family

ID=8035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255A KR102407088B1 (ko) 2020-08-28 2020-08-28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065466A1 (ko)
KR (1) KR1024070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0461B2 (ja) * 1986-09-20 1997-03-1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バイオクリ−ンル−ムの排気装置
JP2006000145A (ja) * 2004-06-15 2006-01-05 Masaru Kizaki 病室ユニット
KR102101612B1 (ko) * 2019-01-31 2020-04-17 주식회사 우정바이오 개별 공간 멸균 제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격리시스템
KR102151091B1 (ko) * 2020-04-03 2020-09-03 하민호 음압 격리 병실 내 살균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36Y1 (ko) 2005-09-08 2006-01-23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인공지능형 공기차압장치를 이용한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방지 시스템
KR20070050196A (ko) * 2005-11-10 2007-05-15 박영기 유해 미생물(세균 또는 바이러스) 박멸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0461B2 (ja) * 1986-09-20 1997-03-1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バイオクリ−ンル−ムの排気装置
JP2006000145A (ja) * 2004-06-15 2006-01-05 Masaru Kizaki 病室ユニット
KR102101612B1 (ko) * 2019-01-31 2020-04-17 주식회사 우정바이오 개별 공간 멸균 제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격리시스템
KR102151091B1 (ko) * 2020-04-03 2020-09-03 하민호 음압 격리 병실 내 살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65466A1 (en) 2022-03-03
KR20220028360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1953B2 (en) Environmental control unit for hospital room
US11648331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purifying air
US20080250800A1 (en) Total room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air conditioning, filtration and ventilation
CN1200231C (zh) 可控湿度空气净化处理装置
CN1985130B (zh) 空气净化装置、隔离设备及空气移送机构
CN111306672A (zh) 具消毒及自清洁功能的间接加直接蒸发冷却空调机组
KR102407088B1 (ko) 압축기를 이용한 청정 음압병실 시스템
CN111207462A (zh) 一种杀菌消毒方法及其系统
KR102327427B1 (ko) 일체형 냉난방 환기 청정 시스템
KR20000056577A (ko) 살균 기능을 가진 공기 조화기
JP3410389B2 (ja) クリーンルーム
KR102216154B1 (ko) 비말감염 방지수단을 구비한 공공시설물
KR100858520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JP7304222B2 (ja) アイソレータおよびその滅菌方法
KR200443340Y1 (ko) 이중 팬과 이중 케이스를 구비한 공기살균기
JPH07227421A (ja) 空気殺菌装置
KR20220023535A (ko) 감염병 방지 기능을 갖는 에어컨 시스템 및 동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20230004987A (ko) 공기순환부 내부유입공기의 살균부가 구비된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KR102517987B1 (ko) 이물 제거 음압실 공조장치
CN2626489Y (zh) 具杀毒杀菌功能的空气净化装置
JP3231878U (ja) 循環空気清浄装置
KR102445311B1 (ko) 안티바이러스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CN211926020U (zh) 一种防疫杀菌新风系统
CN111412563B (zh) 一种具备消毒功能的空调机组及消毒控制方法
CN212720019U (zh) 一种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