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003B1 -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 - Google Patents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003B1
KR102406003B1 KR1020200058823A KR20200058823A KR102406003B1 KR 102406003 B1 KR102406003 B1 KR 102406003B1 KR 1020200058823 A KR1020200058823 A KR 1020200058823A KR 20200058823 A KR20200058823 A KR 20200058823A KR 102406003 B1 KR102406003 B1 KR 102406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sole
heel
cushion part
lower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2242A (ko
Inventor
하경호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앤에프 filed Critical (주) 에스앤에프
Priority to KR1020200058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003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1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은, 신발 또는 양말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어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하부쿠션부와, 상기 하부쿠션부 상측에 접합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상부쿠션부와, 상기 상부쿠션부 상면에 부착되어 땀을 흡수하는 외피와, 상기 하부쿠션부와 상부쿠션부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장되고 수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며 외부에서 공급된 물과 접촉시 신발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발의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경화하는 수경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A Heel cup insole for instant fitting}
본 발명은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에 관한 것으로, 수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수경화부를 내장하고 선택적으로 물과 접촉시킨 후 착용자가 즉석으로 발모양에 맞게끔 맞춤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즉성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솔 내부에 수경화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발모양 성형을 위한 부가적인 구성이 불필요하게 하여 수경화성수지가 고르게 분포하면서도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바닥 전체면을 지지하는 형태의 인솔은 적용하기 어려운 하이힐 과 같은 신발에도 적용 가능하며 키높이 기능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말 속에 내재하여 실내에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용공간이 인솔 내부에 내장되게 하여 경화시 신발 인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성형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발은 직립시에 지면과 접촉하면서 체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보행 등의 적절한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맞닿도록 하여 고르게 하중을 분산시켜 발에 가해지는 부담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걸을 때 발바닥의 왼쪽 또는 오른쪽부터 지면에 닿도록 하여 걷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바닥에 무리를 주게 되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 특히 장시간에 걸친 운동시에 발바닥의 특정부위에만 압력이 가해지므로 피로를 쉽게 느끼게 됨과 아울러 장기간 지속될 경우 발의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에 가죽이나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조된 안창을 형성하여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고자 한 시도가 있다.
그러나 발의 형상은 사람들 각각 서로 상이하므로 이에 대응하도록 상이한 형상을 갖는 패드가 제공되어야 하나, 일반적인 패드는 대량으로 생산됨에 따라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발의 교정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탄력적으로 완화시키고자 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10435호에는 도 1과 같이 겔상태의 실온 경화성 합성수지를 일정 두께 및 크기를 갖는 안창으로 성형하고, 이를 필름으로 진공포장하되 선택적으로 필름을 터뜨려 공기와 접촉시킴으로써 일정 시간 내에 경화될 수 있도록 한 "맞춤형 신발안창"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발바닥 전면을 찍어눌러 성형하게 되므로 사용자 개개인의 발바닥 형상과 대응하는 안창을 형성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가 안창을 딛고 섰을 때 발바닥이 지면에 가하는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바람직한 성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성형 후 필름(5)을 제거해야 하므로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5647호에는 도 2와 같이 깔창틀(11)의 상향 개방형 내부 공간에 액상의 합성수지(12)와 경화제(13)를 채워 1차 경화한 다음신발 착용자의 발바닥 형상과 형합되는 구조로 2차 경화시킴으로써 깔창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깔창 제조용 키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다수회의 경화과정을 거쳐야만 깔창을 완성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깔창을 제조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6093호에는 도 3과 같이 충격 흡수를 위한 상판과, 압력성 자극에 의해 응고하는 응고성 수지가 내장된 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인 맞춤용 깔창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응고성수지가 경화수지(144a), 상기 경화수지를 발포시키는 발포제(144b), 상기 경화수지의 발포를 안정화시키는 가소제(144c)로 이루어지며, 발포제(144b)와 가소제(144c)가 캡슐 형태로 제공되어 자극에 의해 터지면서 경화수지와 혼합되도록 구성되므로 불균일하게 제공된 자극으로 인해 캡슐이 터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터지지 않은 캡슐은 응고성수지가 응고된 후에는 발바닥에 대해 이물감을 발생시킬 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48728호에는 도 4와 같이 쿠션층부의 하측에 pre-힐컵이 구비된 맞춤형 인솔(10)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탄성판 위에 인솔(10)을 얹고 사용자가 그 위를 딛고 서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바닥 모양에 맞게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인솔(10)의 성형을 위해서는 반드시 5~10㎝두께의 탄성판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pre-힐컵은 쿠션층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딱딱하게 경화된 상태에서 쿠션층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사용자의 발에 상해를 발생시키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발바닥 전체를 지지하는 구조로서 하이힐과 같은 형태의 신발에는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발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내에서 사용하는데에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수경화부를 내장하고 선택적으로 물과 접촉시킨 후 착용자가 즉석으로 발모양에 맞게끔 맞춤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즉성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솔 내부에 수경화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발모양 성형을 위한 부가적인 구성이 불필요하게 하여 수경화성수지가 고르게 분포하면서도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바닥 전체면을 지지하는 형태의 인솔은 적용하기 어려운 하이힐과 같은 신발에도 적용 가능하며 키높이 기능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말 속에 내재하여 실내에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용공간이 인솔 내부에 내장되게 하여 경화시 신발 인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성형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은, 신발 또는 양말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어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하부쿠션부와, 상기 하부쿠션부 상측에 접합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상부쿠션부와, 상기 상부쿠션부 상면에 부착되어 땀을 흡수하는 외피와, 상기 하부쿠션부와 상부쿠션부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장되고 수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며 외부에서 공급된 물과 접촉시 신발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발의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경화하는 수경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쿠션부 상면에는 하측방향으로 함몰되어 상부쿠션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경화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쿠션부에는 수용공간 내부로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한 투수홀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하부쿠션부 외면에는 투수홀을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경화부는 폴리에스테르, 유리섬유, 부직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제작된 패드에 수경화성 수지가 액상 상태로 함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경화성 수지는, 수경화성 수지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60 wt.%의 MDI(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40~75wt.%의 폴리올(polyol)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솔 내부에 수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수경화부를 내장하고 선택적으로 물과 접촉시켜 착용자 개개인의 발모양 특히 발볼에서 발뒤꿈치까지 맞게끔 성형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발모양에 대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신발 인솔 내부에 수경화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발모양 성형을 위한 부가적인 구성이 불필요하게 하여 수경화성수지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고르게 분포한 상태로 경화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수경화부가 신발 인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안전성 및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바닥 전체면을 지지하는 형태의 인솔은 적용하기 어려운 하이힐과 같은 신발에도 적용 가능하며 키높이 기능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말 속에 내재하여 실내에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 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10435호에 개시된 맞춤형 신발안창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5647호에 개시된 깔창 제조용 키트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6093호에 개시된 개인 맞춤용 깔창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 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48728호에 개시된 맞춤형 인솔의 구성을 보인 개요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의 상면 외관을 보인 실물 사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의 하면 외관을 보인 실물 사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에서 일 구성인 차폐부재가 제거된 하면 외관을 보인 실물 사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이하 '뒤꿈치용 인솔(100)'이라 칭함)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100)의 상면 외관을 보인 실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100)의 하면 외관을 보인 실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100)에서 일 구성인 차폐부재(170)가 제거된 하면 외관을 보인 실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뒤꿈치용 인솔(100)은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때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뒤꿈치용 인솔(100)은 일반적인 인솔과 비교하였을 때 길이가 짧으며, 발의 아치부에서 뒤꿈치까지 지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뒤꿈치용 인솔(100)은 이러한 형태를 가짐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뒤꿈치용 인솔(100)은 양말을 신을때 양말 내부에 같이 내재하여 실내에서 사용함으로써 보행할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층간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뒤꿈치용 인솔(100)은 하이힐이나 샌들과 같은 신발 내부 바닥면에 안착하여 뒤꿈치와 접촉함으로써 디자인 감성을 유지하면서도 충격 흡수가 가능하다.
상기 뒤꿈치용 인솔(100) 상면에는 외피(120)가 구비된다. 상기 외피(120)는 통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발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게 되며, 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므로 땀을 흡수할 수 있고, 물에 대하여 투과성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외피(120) 하측에는 상부쿠션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쿠션부(130)는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외피(120)와 대응하는 면적 및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일부분 흡수하여 피로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쿠션부(130) 하측에는 하부쿠션부(160)가 부착된다. 상기 하부쿠션부(160)는 상부쿠션부(130)와 같이 탄성복원력을 갖는 소재로 성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6과 같이 상기 하부쿠션부(160) 외면에는 차폐부재(17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차폐부재(1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거시 상기 하부쿠션부(160)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쿠션부(160)에는 도 7과 같이 투수홀(140)이 다수 천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수홀(140)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수경화부(162)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차폐부재(170)는 사용자가 뒤꿈치용 인솔(100)을 자기 발에 맞게 성형하고자 할 때 제거되며, 외부로 노출된 투수홀(140)은 물의 유입을 허용하여 수경화부(162)가 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경화부(162)의 경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뒤꿈치용 인솔(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100)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과 같이 상기 뒤꿈치용 인솔(100)은 차폐부재(170)가 제거되어 투수홀(140)이 개구된 상태에서 투수홀(140)을 통해 뒤꿈치용 인솔(100) 내부로 물을 유입시킨 후 사용자가 밟은 상태로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뒤꿈치용 인솔(100) 내부에는 수경화부(162)가 내장된다. 상기 수경화부(162)는 하부쿠션부(160)와 상부쿠션부(130) 사이 공간의 우측에 위치하며, 상부쿠션부(130)와 하부쿠션부(160)에 의해 외측이 완전히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경화부(162)는 수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물과 접촉시 신발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발 형상의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경화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뒤꿈치용 인솔(100)은 착용자 개개인의 발모양에 맞도록 그 형상을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경화부(162)는 폴리에스텔, 유리섬유, 부직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제작된 패드에 수경화성 수지가 액상 상태로 함침된 것으로서, 상기 수경화성 수지는 물과 접촉시 반응하여 경화하는 성질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경화성 수지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60 wt.%의 MDI(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40~75wt.%의 폴리올(polyol)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수경화성 수지는 뒤꿈치용 인솔(100)의 푹신함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량을 조절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경화성 수지는 뒤꿈치용 인솔(100)을 소프트(soft)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 25~35 wt.%의 MDI(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60~75wt.%의 폴리올(polyol)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뒤꿈치용 인솔(100)을 하드(hard)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 50~60 wt.%의 MDI(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40~50wt.%의 폴리올(polyol)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만일 25wt.% 미만의 MDI(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를 포함하는 경우 물과 접촉시 경화가 빨라 사용자의 발모양에 맞추기가 쉽지 않고, 60wt.% 초과하는 MDI(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가 포함되는 경우 경화되지 않고 겔 상태로 남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MDI(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폴리올(polyol)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착화감에 따라 상기와 같은 함량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경화부(162)는 하부쿠션부(160) 내부에 수용되어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쿠션부(160)의 상면에는 하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함몰된 수용공간(164)이 구비된다.
상기 수용공간(164)은 수경화부(162)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하부쿠션부(160)의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경화부(162)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공간(164)은 하부쿠션부(160)의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며, 도 7과 같이 하부쿠션부(160)의 하면에서 보았을 때 수용공간(164)의 외형이 드러나지 않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164) 내부에 수경화부(162)가 수용되고, 상부쿠션부(130)와 하부쿠션부(160)가 서로 면접촉하도록 부착되면 상기 수경화부(162)는 뒤꿈치용 인솔(100) 내부에 완전히 내장되며, 뒤꿈치용 인솔(100) 외부에서 보았을 때 어느 부위에 수경화부(162)가 내장되어 있는지 육안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164)의 바닥면은 상부쿠션부(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며, 상기 수경화부(162)는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수용공간(164) 내부에서만 유동하여 성형될 뿐 수용공간(164) 밖으로 유출되지 않게 되므로 성형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수경화부(162)가 유출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뒤꿈치용 인솔(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뒤꿈치용 인솔(100)은 신발과 함께 동봉되어 있을 수도 있고, 구매자가 뒤꿈치용 인솔(100)만 따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뒤꿈치용 인솔(100)은 외부 공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밀봉된 상태로 보관 및 배송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밀봉된 뒤꿈치용 인솔(100)의 밀봉 상태를 해지한 다음 뒤꿈치용 인솔(100) 내부에 내장된 수경화부(162)에 물을 공급하여 경화시키게 된다.
즉, 외부의 물은 상기 투수홀(140)을 통해 수용공간(164)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차폐부재(170)는 제거된 상태여야 한다.
상기 차폐부재(170)가 제거된 뒤꿈치용 인솔(100)은 물에 담긴 상태에서 쥐었다 펴는 행동에 의해 투수홀(140)을 통해 수용공간(164) 내부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며, 물과 접촉한 수경화부(162)는 수경화 반응이 진행된다.
이후 사용자는 신발 내부에 뒤꿈치용 인솔(100)을 안착시킨 후 발을 집어넣어 곧게 서게 되면 체중에 의해 눌려진 수경화부(162)는 사용자의 발모양에 대응하도록 변형되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경화성 수지는 경화된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발에 꼭 맞는 뒤꿈치용 인솔(100)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성형된 뒤꿈치용 인솔(100)은 필요에 따라 꺼내어 실내에서 양말 속에 집어넣어 사용함으로써 실내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뒤꿈치용 인솔 120. 외피
130. 상부쿠션부 140. 투수홀
160. 하부쿠션부 162. 수경화부
164. 수용공간 170. 차폐부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신발 또는 양말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어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하부쿠션부와, 상기 하부쿠션부 상측에 접합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상부쿠션부와, 상기 상부쿠션부 상면에 부착되어 땀을 흡수하는 외피와, 상기 하부쿠션부와 상부쿠션부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장되고, 폴리에스테르, 유리섬유, 부직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제작된 패드에 액상 상태로 함침된 수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며 외부에서 공급된 물과 접촉시 신발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발의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경화하는 수경화부와, 상기 하부쿠션부 상면에서 하측방향으로 함몰되어 상부쿠션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경화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하부쿠션부 일측에서 수용공간 내부로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천공된 다수의 투수홀과, 상기 하부쿠션부 외면에서 투수홀을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용 인솔은 발의 아치부에서 뒤꿈치까지 지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가져 하이힐이나 샌들에 적용 가능하며, 양말 속에 내재하는 경우 실내에서 착용 가능하여 충격 흡수 및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상기 수경화성 수지는, 수경화성 수지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60 wt.%의 MDI(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40~75wt.%의 폴리올(polyol)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폐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제거시에 투수홀을 외부로 노출시켜 물의 유입을 허용함으로써 수경화부와 물을 접촉시켜 수경화부의 경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
KR1020200058823A 2020-05-18 2020-05-18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 KR102406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23A KR102406003B1 (ko) 2020-05-18 2020-05-18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23A KR102406003B1 (ko) 2020-05-18 2020-05-18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242A KR20210142242A (ko) 2021-11-25
KR102406003B1 true KR102406003B1 (ko) 2022-06-08

Family

ID=78745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823A KR102406003B1 (ko) 2020-05-18 2020-05-18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0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637Y1 (ko) * 2000-09-06 2001-02-15 김만종 통풍기능을 갖는 신발
JP2017025456A (ja) * 2015-07-27 2017-02-02 花王株式会社 室内用履物
KR101964409B1 (ko) * 2018-12-27 2019-04-01 (주)에스앤에프 자가 맞춤형 수경화성 신발 인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637Y1 (ko) * 2000-09-06 2001-02-15 김만종 통풍기능을 갖는 신발
JP2017025456A (ja) * 2015-07-27 2017-02-02 花王株式会社 室内用履物
KR101964409B1 (ko) * 2018-12-27 2019-04-01 (주)에스앤에프 자가 맞춤형 수경화성 신발 인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242A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9637A (en) Helium footwear sole
EP2106714B1 (en) Shoe sole with tunnel-type air chambers
JP4819251B2 (ja)
CA2514278C (en) Heel insert
US20030097767A1 (en) 4-E.V.A system
US3968577A (en) Method and construction of footwear incorporating a customized, form fitted casting unit
US8776399B2 (en) Shoe insole
US20120272546A1 (en) Healthy insole
JP2001190305A (ja) 作業用の靴中底
WO2011068782A1 (en) Shoe sole with compressible protruding element
US9943132B1 (en) Support insole for shoes
KR101096561B1 (ko) 아치지지부의 셀프 포지셔닝 시스템 장착 인솔
TW201729706A (zh) 定製適配鞋之套件及方法、定製的鞋系統
KR101964409B1 (ko) 자가 맞춤형 수경화성 신발 인솔
KR101703478B1 (ko) 신발용 패드
KR102406003B1 (ko) 즉석 성형이 가능한 뒤꿈치용 인솔
KR20150000306U (ko)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KR100553027B1 (ko) 평발 보조용 깔창
KR101276093B1 (ko) 개인 맞춤용 깔창
KR101791188B1 (ko) 기능성 깔창
KR20090006030U (ko) 신발인솔
KR100666938B1 (ko) 키높이 이중인솔
CN217885244U (zh) 足部保护垫
KR101979998B1 (ko)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US20240074536A1 (en) Foot Protection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