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892B1 -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892B1
KR102405892B1 KR1020200121217A KR20200121217A KR102405892B1 KR 102405892 B1 KR102405892 B1 KR 102405892B1 KR 1020200121217 A KR1020200121217 A KR 1020200121217A KR 20200121217 A KR20200121217 A KR 20200121217A KR 102405892 B1 KR102405892 B1 KR 102405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ce
supply
preset
target item
de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8878A (ko
Inventor
김낙길
Original Assignee
김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길 filed Critical 김낙길
Priority to KR102020012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8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주가 범위, 수급량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검색조건 정보 입력부, 검색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종목에 대한 일별 종가와 수급량이 저장된 DB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일에서 복수의 종목 각각에 대한 종가와 수급량을 수집하는 종가수급량 수집부, 복수의 종목 각각에 대한 수급량의 크기 순서대로 복수의 종목을 나열하고, 복수의 종목 중 기설정된 순위 이내에 속하는 종목을 대상 종목으로 설정하는 대상 종목 설정부, 대상 종목으로 설정된 종목의 기준일에서의 종가에 따라 대상 종목에 대한 기준가격을 설정하는 기준가격 설정부, 기준가격이 설정된 시점 이후 DB로부터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를 일별로 수집하며,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하한 비율만큼 감소된 가격 이하의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수집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이후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상한 비율만큼 증가된 가격 이상의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수집되면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모듈, 판단모듈에서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시간에 대응되는 시간 좌표축과 가격에 대응되는 주가 좌표축을 가지는 좌표영역상에서 기준가격에 기설정된 비율만큼 각각 가산 및 감산함에 따른 값에 대응되는 상단라인과 하단라인을 생성하고, 상단라인 및 하단라인에 기초하여 매수기준박스를 생성하는 매수기준박스 생성부 및 대상 종목에 대한 주식차트에 매수기준박스를 오버랩함에 따라 매물대 차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APPARATUS OF PROVIDING VOLUME PROFILE THROUGH SUPPLY AND DEMAND ANALYSIS}
본 발명은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급 분석을 통해 매도 또는 매수의 기준이 되는 매물대 차트를 제공하는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탁결제원과 통계청 및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주민등록인구 대비 주식투자자의 비율은 2008년 8.0% 수준에서 꾸준히 상승하여 2019년에는 10.7%에 달했다. 주식투자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주가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매수점 및 손절점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일정 기간동안 주가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이용하여 매수점과 손절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주식의 수급량에 따른 주가 변동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증권사 HTS(Home Trading System)에서는 가격 변화에 따라 누적 집계된 거래량을 표시하는 매물대 차트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매물대 차트는 단순히 가격별 누적 집계량을 표시한 것으로 매수점 및 손절점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늘날을 포함한 이전의 일정기간(5일, 10일, 20일 등)의 평균값을 선으로 표시하는 이동평균선을 제공하는 종래의 차트 표시 기술의 경우 평균값이 하루에도 수시로 변화하기 때문에 매수, 매도의 기준점으로 하기엔 부족한 측면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6-0144403호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238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급량이 비교적 많은 주식 종목들의 일별 종가를 이용하여 매수, 손절매도, 익절매도의 기준이 되는 가로 형태의 직사각 박스형태의 이미지가 표시된 매물대 차트를 제공할 수 있는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주가 범위, 수급량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검색조건 정보 입력부, 검색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종목에 대한 일별 종가와 수급량이 저장된 DB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일에서 복수의 종목 각각에 대한 종가와 수급량을 수집하는 종가수급량 수집부, 복수의 종목 각각에 대한 수급량의 크기 순서대로 복수의 종목을 나열하고, 복수의 종목 중 기설정된 순위 이내에 속하는 종목을 대상 종목으로 설정하는 대상 종목 설정부, 대상 종목으로 설정된 종목의 기준일에서의 종가에 따라 대상 종목에 대한 기준가격을 설정하는 기준가격 설정부, 기준가격이 설정된 시점 이후 DB로부터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를 일별로 수집하며,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하한 비율만큼 감소된 가격 이하의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수집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이후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상한 비율만큼 증가된 가격 이상의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수집되면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모듈, 판단모듈에서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시간에 대응되는 시간 좌표축과 가격에 대응되는 주가 좌표축을 가지는 좌표영역상에서 기준가격에 기설정된 비율만큼 각각 가산 및 감산함에 따른 값에 대응되는 상단라인과 하단라인을 생성하고, 상단라인 및 하단라인에 기초하여 매수기준박스를 생성하는 매수기준박스 생성부 및 대상 종목에 대한 주식차트에 매수기준박스를 오버랩함에 따라 매물대 차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식 종목들 각각의 일별 종가와 수급량에 기초하여 주식 종목의 일봉차트 상에 매수, 손절매도, 익절매도의 기준이 되는 박스형태의 이미지가 겹쳐진 매물대 차트를 제공할 수 있는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급량이 기설정된 순위에 드는, 수급량이 비교적 높은 주식 종목에 대한 매물대 차트를 제공함으로써 실수요가 높은 주식에 대한 매수, 손절매도, 익절매도 기준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에서 제공되는 매물대 차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1차 기준값 이하인 대상 종목의 종가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2차 기준값 이상인 대상 종목의 종가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를 포함하는 관리용 서버(10)는 DB(2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관리용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1)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증권사 서버(2)를 포함하거나, 증권사 서버(2)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관리용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증권사 서버(2)로부터 복수의 종목에 대한 일별 종가와 수급량을 수집하여 저장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1)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1)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주가 범위, 수급량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주가 범위 또는 수급량 범위에 대한 시작값 또는 종료값을 입력받아, 주가 범위, 수급량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가 범위에 대한 시작값으로 5,000과 종료값으로 10,000을 입력하는 경우,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5,000원 이상 10,000원 이하의 주가 범위를 포함하는 검색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가 수급량 범위에 대한 시작값으로 3,000,000 을 입력하는 경우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3,000,000 이상의 수급량 범위를 포함하는 검색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DB(200)는 검색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증권사 서버(2)로부터 복수의 종목 각각의 일별 종가와 수급량을 수집하거나, 복수의 종목 각각에 대한 주식차트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조건 정보에 포함된 주가 범위가 5000원 이상 10000원 이하인 경우 DB(200)는 증권사 서버(2)로부터 주가가 5000원 이상 10000원 이하인 복수의 종목 각각의 일별 종가와 수급량을 수집하거나, 복수의 종목 각각에 대한 주식차트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검색조건 정보에 포함된 수급량 범위가 3,000,000 이상인 경우 일 거래량 3,000,000 이상인 복수의 종목 각각의 일별 종가와 수급량을 수집하거나, 복수의 종목 각각에 대한 주식차트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주식차트는 각 주식 종목에 대한 일봉차트, 주봉차트, 월봉차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DB(200)로부터 복수의 종목에 대한 일별 종가와 수급량, 주식차트를 수집하여, 주식차트에 매매의 기준이 되는 가로 직사각형 형태의 박스를 오버랩하여 출력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검색조건 정보 입력부(101), 종가수급량 수집부(103), 대상 종목 설정부(105), 기준가격 설정부(110), 판단모듈(120), 매수기준박스 생성부(130), 손절기준가격 산출부(140), 손절기준박스 생성부(150), 익절기준가격 산출부(160), 익절기준박스 생성부(170), 출력부(180), 통신부(19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검색조건 정보 입력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주가 범위, 수급량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검색조건 정보 입력부(101)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1)에 제공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주가 범위, 최소 수급량을 포함하는 수급량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종가수급량 수집부(103)는 복수의 종목에 대한 일별 종가와 수급량이 저장된 DB(200)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일(t1)에서 검색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종목 각각에 대한 종가와 수급량을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기준일은 DB(200)에 저장된 각 종목에 대한 일별 종가가 최초로 수집된 일자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는 검색조건 정보가 입력된 시점에 따른 일자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고, 또 다른 예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리 선택된 일자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대상 종목 설정부(105)는 복수의 종목 각각에 대한 수급량의 크기 순서대로 복수의 종목을 나열하고, 나열된 복수의 종목 중 기설정된 순위 이내에 속하는 종목을 대상 종목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에 있어서 대상 종목 설정부(105)는 수급량이 기설정된 순위 이내인 종목을 대상 종목으로 설정함에 따라 실수요가 높은 종목에 대한 매물대 차트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급량이 비교적 적은, 즉 실수요가 거의 없는 종목들에 대한 매물대 차트는 생성하지 않음에 따라 불필요한 데이터 처리를 줄일 수 있다.
기준가격 설정부(110)는 대상 종목으로 설정된 종목의 기준일(t1)에서의 종가에 따라 대상 종목에 대한 기준가격을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기준가격 설정부(110)는 대상 종목으로 설정된 종목 각각의 기준일(t1)에서의 종가에 따라 각 대상 종목의 기준가격을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판단모듈(120)은 대상 종목에 대한 기준가격이 설정된 시점 이후 DB(200)로부터 대상 종목에 대한 일별 종가를 수집하며,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하한 비율만큼 감소된 가격(1차 기준값(1001)) 이하의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수집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이후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상한 비율만큼 증가된 가격(2차 기준값(1002)) 이상의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수집되면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판단모듈(120)은 기준값 산출부(121), 판단부(12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기준값 산출부(121)는 기준가격을 기설정된 하한 비율(예를 들어 15%)만큼 감소시킴에 따른 1차 기준값(1001)과 기준가격을 기설정된 상한 비율(예를 들어 15%)만큼 증가시킴에 따른 2차 기준값(1002)을 각각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하한 비율과 상한 비율은 각 주식 종목의 특성에 따라 10% 내지 20%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준값 산출부(121)는 기설정된 하한 비율과 상한 비율을 기준가격에 각각 적용하여 1차 기준값과 2차 기준값을 산출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주가의 미미한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판단부(123)는 기준가격 설정부(110)에서 대상 종목에 대한 기준가격이 설정된 시점 이후 수집된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1차 기준값(1001) 이하인지 판단하며, 1차 기준값(1001) 이하의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수집된 시점에서 기설정된 기간 이후 2차 기준값(1002) 이상의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수집되면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판단부(123)는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1차 기준값(1001) 이하가 되고(C1), 그 이후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2차 기준값(1002) 이상이 되면(C2)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C2 이후 대상종목의 매수, 매도의 기준이 되는 기준박스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판단부(123)는 복수개의 대상 종목들 각각에 대해 일별 종가를 수집하며 1차 기준값 이하의 종가가 수집된 날짜와 1차 기준값 이하의 종가가 수집된 대상 종목을 추출하고, 1차 기준값 이하의 종가가 수집된 이후 대상 종목들의 종가가 2차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여 1차 기준값 이하의 종가가 수집된 이후 2차 기준값 이상의 종가가 수집된 날짜와 대상 종목들을 추출하여, 추출된 각 대상 종목이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매수기준박스 생성부(130)는 판단모듈(120)에서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시간에 대응되는 시간 좌표축(가로축)과 가격에 대응되는 주가 좌표축(세로축)을 가지는 좌표영역상에서 기준가격에 기설정된 비율만큼 각각 가산 및 감산함에 따른 값에 대응되는 상단라인과 하단라인을 생성하고, 상단라인 및 하단라인에 기초하여 매수기준박스(1010)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매수기준박스 생성부(130)는 좌표영역상에서 기준가격에 기설정된 상하폭비율(예를 들어 3%)만큼 가산함에 따른 플러스가격과 기준일(t1)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와 플러스가격과 기준일에서 기설정된 판단일(예를 들어 60일) 이후의 일자인 제2 일자(t2)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를 연결함에 따라 상단라인을 생성한다.
또한, 매수기준박스 생성부(130)는 좌표영역상에서 기준가격에 기설정된 상하폭비율(예를 들어 3%)만큼 감산함에 따른 마이너스가격과 기준일(t1)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와, 마이너스가격과 제2 일자(t2)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를 연결함에 따라 하단라인을 생성한다.
매수기준박스 생성부(130)는 상단라인의 어느 한 좌표와 시간 좌표축(가로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하단라인의 어느 한 좌표를 연결하고, 상단라인의 나머지 한 좌표와 하단라인의 나머지 한 좌표를 연결함에 따라 매수기준박스(1010)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판단일은 30일 내지 90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하폭비율은 가로 직사각형 형태로, 매수, 손절매도, 익절매도 중 어느 하나의 기준이 되는 기준박스의 상하폭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기준가격이 동일한 경우 상하폭비율이 높아질수록 기준박스의 상하폭이 커지는 것일 수 있다.
상하폭비율은 2% 내지 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손절기준가격 산출부(140)는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손절비율(예를들어 20%)만큼 감산함에 따라 손절기준가격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손절기준박스 생성부(150)는 판단모듈(120)에서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좌표영역상에서 손절기준가격에 기설정된 비율만큼 각각 가산 및 감산함에 따른 값에 대응되는 상단라인과 하단라인을 생성하고, 상단라인 및 하단라인에 기초하여 손절기준박스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손절기준박스 생성부(150)는 좌표영역상에서 손절기준가격에 기설정된 상하폭비율(예를 들어 3%)만큼 가산함에 따른 플러스가격과 기준일(t1)에서 기설정된 기간(예를들어 6일) 이전의 일자인 제3 일자(t3)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와 플러스가격과 제2 일자(t2)에서 기설정된 기간(예를들어 6일) 이전의 일자인 제4 일자(t4)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를 연결함에 따라 상단라인을 생성하고, 좌표영역상에서 손절기준가격에 기설정된 상하폭비율(예를 들어 3%)만큼 감산함에 따른 마이너스가격과 제3 일자(t3)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와 마이너스가격과 제4 일자(t4)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를 연결함에 따라 하단라인을 생성하며, 상단라인의 어느 한 좌표와 시간 좌표축(가로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하단라인의 어느 한 좌표를 연결하고, 상단라인의 나머지 한 좌표와 하단라인의 나머지 한 좌표를 연결함에 따라 손절기준박스(1020)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익절기준가격 산출부(160)는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익절비율(예를들어 35%)만큼 가산함에 따라 익절기준가격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익절기준박스 생성부(170)는 판단모듈(120)에서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좌표영역상에서 익절기준가격에 기설정된 비율만큼 각각 가산 및 감산함에 따른 값에 대응되는 상단라인과 하단라인을 생성하고, 상단라인 및 하단라인에 기초하여 익절기준박스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익절기준박스 생성부(170)는 좌표영역상에서 익절기준가격에 기설정된 상하폭비율(예를 들어 3%)만큼 가산함에 따른 플러스가격과 기준일(t1)에서 기설정된 기간(예를들어 6일) 이후의 일자인 제5 일자(t5)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와 플러스가격과 제2 일자(t2)에서 기설정된 기간(예를들어 6일) 이후의 일자인 제6 일자(t6)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를 연결함에 따라 상단라인을 생성하고, 좌표영역상에서 익절기준가격에 기설정된 상하폭비율(예를 들어 3%)만큼 감산함에 따른 마이너스가격과 제5 일자(t5)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와 마이너스가격과 제6 일자(t6)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를 연결함에 따라 하단라인을 생성하며, 상단라인의 어느 한 좌표와 시간 좌표축(가로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하단라인의 어느 한 좌표를 연결하고, 상단라인의 나머지 한 좌표와 하단라인의 나머지 한 좌표를 연결함에 따라 익절기준박스(1030)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출력부(180)는 DB(200)로부터 대상 종목에 대한 주식차트를 입력받아 주식차트에 매수기준박스, 손절기준박스, 익절기준박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오버랩함에 따라 매물대 차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매수기준박스, 손절기준박스, 익절기준박스는 증권사 서버(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에 제공되거나 증권사 서버(2)를 통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1)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때부터 미리 정해진 기준가격으로부터 생성되는 매수기준박스, 손절기준박스, 익절기준박스를 포함하는 매물대차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시시각각 변하는 주가에 따라 기준이 함께 변하지 않아 주식 매매의 기준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통신부(190)는 사용자 단말기(1)와 통신을 수행하여, 출력부(180)에서 출력되는 매물대 차트가 사용자 단말기(1)의 화면으로 표시가능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와 중복되는 내용 및 구성은 도면 부호를 일치시키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주가 범위, 수급량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조건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다(S101).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와 통신가능한 DB(200)는 검색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예를 들어 증권사 서버)로부터 검색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종목 각각의 종가와 수급량을 수집하여 저장한다(S103).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DB(200)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일(t1)에서 검색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종목 각각의 종가와 수급량을 수집한다(S105).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복수개의 종목 각각에 대한 수급량의 크기 순서대로 복수개의 종목을 나열하여 복수의 종목 중 기설정된 순위 이내에 속하는 종목을 대상 종목으로 설정한다(S107).
여기서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수급량의 크기가 큰 순으로 복수개의 종목을 나열하여 복수의 종목 중 기설정된 순위 이내에 속하는, 즉 수급량이 비교적 높은 복수의 종목들을 대상 종목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S107).
이후,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대상 종목으로 설정된 종목의 기준일(t1)에서의 종가에 따라 대상 종목에 대한 기준가격을 설정한다(S109).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기준가격을 기설정된 하한 비율(예를들어 15%)만큼 감소시킴에 따른 1차 기준값(1001)과 기준가격을 기설정된 상한 비율(예를들어 15%)만큼 증가시킴에 따른 2차 기준값(1002)을 각각 산출하고(S111), 일별로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를 수집하며(S113), 일별로 수집된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1차 기준값(1001) 이하인지 판단한다(S115).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1차 기준값(1001) 이하이면, 1차 기준값(1001) 이하의 대상 종목의 종가가 수집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이후 일별로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를 수집하며(S117), 수집된 대상 종목의 종가가 2차 기준값(1002) 이상인지 판단하고(S119), 1차 기준값(1001) 이하의 대상 종목의 종가가 수집된 이후 수집된 대상 종목의 종가가 2차 기준값(1002) 이상이면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121).
다시 말하자면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기준가격을 설정한 이후, DB(200)로부터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를 일별로 수집하며,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하한 비율만큼 감소된 가격 이하의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수집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이후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상한 비율만큼 증가된 가격 이상의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수집되면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 이후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시간에 대응되는 시간 좌표축(가로축)과 가격에 대응되는 주가 좌표축(세로축)을 가지는 좌표영역상에서 기준가격에 기설정된 비율만큼 각각 가산 및 감산함에 따른 값에 대응되는 상단라인과 하단라인을 생성하고, 상단라인 및 하단라인에 기초하여 매수기준박스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S123).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기준가격을 설정하는 단계이후와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있어서,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손절비율(예를들어 20%)만큼 감산함에 따라 손절기준가격과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익절비율(예를들어 35%)만큼 가산함에 따라 익절기준가격을 각각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매수기준박스 생성 단계에서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좌표영역상에서 손절기준가격에 기설정된 비율만큼 각각 가산 및 감산함에 따른 값에 대응되는 상단라인과 하단라인을 생성하고 상단라인 및 하단라인에 기초하여 손절기준박스를 더 생성하거나, 익절기준가격에 기설정된 비율만큼 각각 가산 및 감산함에 따른 값에 대응되는 상단라인과 하단라인을 생성하고 상단라인 및 하단라인에 기초하여 익절기준박스를 더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S123).
이후,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는 DB(200)로부터 대상 종목에 대한 주식차트를 입력받아 주식차트에 매수기준박스, 손절기준박스, 익절기준박스 중 적어도 하나를 오버랩함에 따라 매물대 차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S125).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한 사용자 단말기(1)는 매물대 차트를 입력받아 화면상에 출력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식차트상에 매수, 손절매도, 익절매도의 기준이 되는 가로 직사각 형태의 박스가 표시되는 매물대 차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주식 매매의 기준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급량이 비교적 높은 종목들에 대해 매수, 손절매도, 익절매도의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급량이 없는 종목에 대한 분석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처리를 줄여 데이터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급량이 비교적 높은 종목에 대해 기설정된 기준일에서의 종가를 기준가격으로 매수, 손절매도, 익절매도의 기준값을 산출하되, 종목의 종가가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시점에서 매수, 손절매도, 익절매도 각각의 기준이 되는 기준박스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기준일의 종가를 기준으로 기준가격을 설정하되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매수, 손절, 익절 각각의 기준이 되는 기준박스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주가에 따라 기준박스가 변동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매수, 매도의 기준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이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
101 : 검색조건 정보 입력부
103 : 종가수급량 수집부
105 : 대상 종목 설정부
110 : 기준가격 설정부
120 : 판단모듈
130 : 매수기준박스 생성부
140 : 손절기준가격 산출부
150 : 손절기준박스 생성부
160 : 익절기준가격 산출부
170 : 익절기준박스 생성부
180 : 출력부
190 : 통신부

Claims (7)

  1. 사용자로부터 주가 범위, 수급량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검색조건 정보 입력부;
    상기 검색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종목에 대한 일별 종가와 수급량이 저장된 DB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일에서 복수의 종목 각각에 대한 종가와 수급량을 수집하는 종가수급량 수집부;
    상기 복수의 종목 각각에 대한 수급량의 크기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종목을 나열하고, 상기 복수의 종목 중 기설정된 순위 이내에 속하는 종목을 대상 종목으로 설정하는 대상 종목 설정부;
    상기 대상 종목으로 설정된 종목의 상기 기준일에서의 종가에 따라 상기 대상 종목에 대한 기준가격을 설정하는 기준가격 설정부;
    상기 기준가격이 설정된 시점 이후 상기 DB로부터 상기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를 일별로 수집하며, 상기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하한 비율만큼 감소된 가격 이하의 상기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수집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이후 상기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상한 비율만큼 증가된 가격 이상의 상기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수집되면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에서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시간에 대응되는 시간 좌표축과 가격에 대응되는 주가 좌표축을 가지는 좌표영역상에서 상기 기준가격에 기설정된 비율만큼 각각 가산 및 감산함에 따른 값에 대응되는 상단라인과 하단라인을 생성하고, 상기 상단라인 및 상기 하단라인에 기초하여 매수기준박스를 생성하는 매수기준박스 생성부; 및
    상기 대상 종목에 대한 주식차트에 상기 매수기준박스를 오버랩함에 따라 매물대 차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수기준박스 생성부는,
    상기 좌표영역상에서 상기 기준가격에 기설정된 상하폭비율만큼 가산함에 따른 플러스가격과 상기 기준일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와, 상기 플러스가격과 상기 기준일에서 기설정된 판단일 이후의 일자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를 연결함에 따라 상단라인을 생성하고,
    상기 좌표영역상에서 상기 기준가격에 기설정된 상기 상하폭비율만큼 감산함에 따른 마이너스가격과 상기 기준일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와, 상기 마이너스가격과 상기 기준일에서 상기 판단일 이후의 일자에 기초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를 연결함에 따라 하단라인을 생성하며,
    상기 상단라인의 어느 한 좌표와 시간 좌표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하단라인의 어느 한 좌표를 연결하고, 상기 상단라인의 나머지 한 좌표와 상기 하단라인의 나머지 한 좌표를 연결함에 따라 매수기준박스를 생성하는 것
    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기준가격을 기설정된 하한 비율만큼 감소시킴에 따른 1차 기준값과 상기 기준가격을 기설정된 상한 비율만큼 증가시킴에 따른 2차 기준값을 각각 산출하는 기준값 산출부; 및
    상기 기준가격을 설정한 시점 이후 수집된 상기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상기 1차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하고, 상기 1차 기준값 이하의 상기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수집된 시점에서 기설정된 기간 이후 상기 2차 기준값 이상의 상기 대상 종목에 대한 종가가 수집되면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
    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손절비율만큼 감산함에 따라 손절기준가격을 산출하는 손절기준가격 산출부; 및
    상기 판단모듈에서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좌표영역상에서 상기 손절기준가격에 기설정된 비율만큼 각각 가산 및 감산함에 따른 값에 대응되는 상단라인과 하단라인을 생성하고, 상기 상단라인 및 상기 하단라인에 기초하여 손절기준박스를 생성하는 손절기준박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주식차트에 상기 매수기준박스 및 상기 손절기준박스를 오버랩함에 따라 매물대 차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
    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가격에서 기설정된 익절비율만큼 가산함에 따라 익절기준가격을 산출하는 익절기준가격 산출부; 및
    상기 판단모듈에서 기준박스 생성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좌표영역상에서 상기 익절기준가격에 기설정된 비율만큼 각각 가산 및 감산함에 따른 값에 대응되는 상단라인과 하단라인을 생성하고, 상기 상단라인 및 상기 하단라인에 기초하여 익절기준박스를 생성하는 익절기준박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주식차트에 상기 매수기준박스 및 상기 익절기준박스를 오버랩하여 출력하는 것
    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한 비율은 15%인 것이고,
    상기 상한 비율은 15%인 것이며,
    상기 상하폭비율은 2% 내지 3%인 것이고,
    상기 판단일은 30일, 60일 및 90일 중 어느 하나인 것
    인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
  7. 삭제
KR1020200121217A 2020-09-21 2020-09-21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 KR102405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217A KR102405892B1 (ko) 2020-09-21 2020-09-21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217A KR102405892B1 (ko) 2020-09-21 2020-09-21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78A KR20220038878A (ko) 2022-03-29
KR102405892B1 true KR102405892B1 (ko) 2022-06-03

Family

ID=8099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217A KR102405892B1 (ko) 2020-09-21 2020-09-21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8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950B1 (ko) 2016-01-19 2018-06-11 주식회사 미라클인베스트먼트 주식차트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27498A (ja) 2018-08-14 2020-02-20 有限会社増田経済研究所 評価チャート、株価・指数チャート、クライアント端末、チャート出力ソフトウエア、出力方法、及びチャート出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0014A (ko) * 2013-10-04 2015-04-14 조상광 변동 추이 차트(w-차트) 매매기법을 이용하는 주식 거래 장치 및 그 방법
JP6341993B2 (ja) 2014-04-09 2018-06-13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多孔質フィルム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6615719B2 (ja) 2016-08-25 2019-12-04 株式会社ジョブ X線装置およびx線装置の制御方法
KR101792763B1 (ko) * 2017-02-16 2017-11-01 정규성 매매시점 파악이 가능한 증권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950B1 (ko) 2016-01-19 2018-06-11 주식회사 미라클인베스트먼트 주식차트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27498A (ja) 2018-08-14 2020-02-20 有限会社増田経済研究所 評価チャート、株価・指数チャート、クライアント端末、チャート出力ソフトウエア、出力方法、及びチャート出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78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 Nascimento Maêda et al. Investments in Times of Pandemics: An Approach by the SAPEVO-M-NC Method.
US79706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trades in a user preferred security
US20140317023A1 (en) Stock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 business growth cycle and calculating undervalued/overvalued stocks using same
US20130080353A1 (en) Methods and systems of financial data analysis and simulation
CN109636621A (zh) 用于资产配置评估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Steuer et al. Non-contour efficient fronts for identifying most preferred portfolios in sustainability investing
Honarmandi et al. Comparing the impact of brand value on corporate profit in B2B and B2C businesses: A case study
Kovacevic et al. Medium-term planning for thermal electricity production
US20100257119A1 (en) Currency Pair Trading Suppor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of the Same
US20210358044A1 (en) Analysis and visual presentation of dataset components
KR20210035616A (ko) 자동거래 시스템 및 방법
Obersteiner et al. Drivers of imbalance cost of wind power: a comparative analysis
JP2020129345A (ja) 電力需給計画作成装置および電力需給計画作成方法
CN117237054A (zh) 电力市场中长期集中竞价交易策略推荐方法、系统及设备
KR102405892B1 (ko) 수급 분석을 통한 매물대 차트 제공 장치
CN112862175A (zh) 基于p2p电力交易的本地优化控制方法及装置
US847339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building and managing portfolios based on ordinal ranks of securities
CN113658007A (zh) 一种投融资匹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407827A (zh) 基于用户价值分类的信息推荐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2000421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a User Interface and Options Selection in the User Interface
Rehnman et al. Application of mean absolute deviation optimization in portfolio management
JP6285525B1 (ja) 情報処理装置
KR20210066338A (ko) 자산 운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210063573A (ko) 부동산 가치평가 서버 및 방법
KR20180053609A (ko) 야구용어 연계 투자평가 및 특성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